KR101330668B1 - 암타이밴드 결합형 전선 가이드 롤러 - Google Patents

암타이밴드 결합형 전선 가이드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668B1
KR101330668B1 KR1020120098711A KR20120098711A KR101330668B1 KR 101330668 B1 KR101330668 B1 KR 101330668B1 KR 1020120098711 A KR1020120098711 A KR 1020120098711A KR 20120098711 A KR20120098711 A KR 20120098711A KR 101330668 B1 KR101330668 B1 KR 101330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guide
pole
arm
tie band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걸
Original Assignee
이재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걸 filed Critical 이재걸
Priority to KR1020120098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6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02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06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separate securing members, e.g. by deformation thereof
    • B65D63/08Joints using buckles, wedges, or like locking members attached to the ends of th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02G7/205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extending along a p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타이밴드 결합형 전선 가이드 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전주를 감싸서 한 쌍이 조립되는 반체형상의 암타이밴드와 상기 암타이밴드 사이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 전주결합부; 한 쌍씩의 가이드롤러가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에 차례로 대향 설치되어 우물정자의 롤러게이트를 형성하여 전선이 관통되도록 하는 전선가이드부; 및 상기 전선가이드부와 전주결합부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주의 종류에 관계없이 전주를 감싸서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는 암타이밴드를 이용한 전주결합부에 우물정자 형태의 롤러게이트를 형성하여 전선이 관통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이 개선되며, 공사기간을 단축시켜 공사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암타이밴드 결합형 전선 가이드 롤러{Arm-tie band combined type roller of neutral line}
본 발명은 암타이밴드 결합형 전선 가이드 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주의 종류 및 설치위치에 관계없이 쉽고 빠르게 중성선 및 저압선 통신선을 가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이 개선되도록 하는 암타이밴드 결합형 전선 가이드 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신주에는 상단에서부터 가공지선, 특고압선, 중성선, 저압선 통신선 순으로 완금 또는 랙크를 매개로 설치된다.
이때, 전주의 종류 및 설치위치에 따라 중성선 및 저압선, 통신선을 설치하기 위해 다양한 설치구조가 제안된다.
먼저, 내장주의 경우 별도의 지지봉이나 체결밴드를 이용하여 전주의 상부 양측에 완금을 지지하고, 상기 완금에 특고압선이 연결된 현수애자 및 LP애자를 사용하여 고정 지지 및 점퍼선에 의해 연결 하였고, 중성선 및 저압선, 통신선의 경우에는 고압 전주의 경우에는 중단부에 저압주 및 통신주의 경우에는 상부에 랙크를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규격별 암타이밴드로 고정하여 상기 랙크에 중성선, 저압선, 통신선이 지지되게 하였으나 설치하는 과정에서 설치규정에 별도의 롤러를 사용하여 중성선, 저압선, 통신선의 외부에 손상을 주지 않게 되어 있으나 현재는 바닥에 롤러를 설치하여 전선을 늘어뜨린 후 사람이 이를 다시 전주나 통신주의 설치위치로 들어 올려 설치하는 2중공사의 불편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으로서, 전주나 통신주의 발판볼트에 도르래 형태의 단링롤러를 갈고리로 걸쳐놓고 이를 이용해 중성선 및 저압선, 통신선을 가이드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도르래 형태의 단링롤러가 견고하게 부착되지 못해 불균형한 가선장력에 의해 전주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있고, 조그만 각도에서의 전선 통과시에는 롤러 외함에 전선이 마찰되어 손상을 주거나 롤러 자체가 전주나 통신주에서 떨어져 이탈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땅바닥에 롤러를 설치하고 중성선 및 저압선, 통신선을 늘어뜨린 후 이를 다시 전주로 들어올려 고정시키는 2중의 작업공정이 투여될 수 밖에 없고 이는 지나친 공사비가 투여될 뿐만 아니라, 중성선 및 저압선, 통신선이 바닥과 마찰되어 시공품질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의 배경기술로 한국 등록특허 제10-1126669호 '직선부용 전선 가이드롤러'가 있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주의 종류 및 설치위치와 관계없이 쉽고 빠르게 중성선 및 저압선, 통신선을 가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이 개선되도록 하는 암타이밴드 결합형 전선 가이드 롤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전주를 감싸서 한 쌍이 조립되는 반체형상의 암타이밴드와 상기 암타이밴드 사이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 전주결합부; 한 쌍씩의 가이드롤러가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에 차례로 대향 설치되어 우물정자의 롤러게이트를 형성하여 전선이 관통되도록 하는 전선가이드부; 및 상기 전선가이드부와 전주결합부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타이밴드 결합형 전선 가이드 롤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선가이드부는 4개의 면으로 이루어지는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4개의 면 중 어느 한 개의 면이 경첩부를 중심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된 도어부를 형성하며, 상기 도어부는 경첩부 반대측에 시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선가이드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선가이드부의 전선이 관통되는 롤러게이트의 전 후단에 각각 보조가이드부를 더 연결하되, 전선가이드부와 보조가이드부 사이를 스프링부재로 연결시켜 자유로운 굴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주의 종류에 관계없이 전주를 감싸서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는 암타이밴드를 이용한 전주결합부에 우물정자 형태의 롤러게이트를 형성하여 전선이 관통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이 개선되며, 공사기간을 단축시켜 공사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암타이밴드 결합형 전선 가이드 롤러를 도시한 도면대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암타이밴드 결합형 전선 가이드 롤러의 도어부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대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암타이밴드 결합형 전선 가이드 롤러를 전주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암타이밴 결합형 중성선 롤러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암타이밴드 결합형 전선 가이드 롤러를 도시한 도면대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암타이밴드 결합형 전선 가이드 롤러의 도어부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대용 사시도이다.
도 1, 2를 참조하면, 암타이밴 결합형 중성선 롤러는 크게 전주결합부(110), 전선가이드부(120), 연결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전주결합부(110)는 전주(1)를 감싸서 한 쌍이 조립되는 반체형상의 암타이밴드(111)(112)와 상기 암타이밴드(111)(112) 사이를 체결하는 체결수단(11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암타이밴드(111)(112)는 반원형상의 금속링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한 쌍의 암타이밴드(111)(112)는 양측단부가 맞닿는 부위를 절곡시켜 면 접촉되도록 하고, 접촉면에 관통홀을 뚫어 체결수단(113)이 관통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수단(113)은 볼트 및 너트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결수단(113)은 암타이밴드(111)(112)의 양측단에 각각 한 쌍이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선가이드부(120)는 한 쌍씩의 가이드롤러(R)가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에 차례로 대향 설치되어 우물정자의 롤러게이트(G)를 형성하여 중성선(2)이 관통되는 것으로서, 4개의 면으로 이루어지는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4개의 면 중 어느 한 개의 면이 경첩부(123)를 중심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된 도어부(122)를 형성하며, 상기 도어부(122)는 경첩부(123) 반대측에 시건장치(124)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몸체의 내측 4면에 각각 가이드롤러(R)가 대향 설치되어 롤러게이트(G)를 형성하게 되며, 그 사이에 중성선을 관통시켜 가이드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122)는 경첩부(123) 반대측에 시건장치(124)를 구비함으로써, 도어부(122)를 개방시켜 롤러게이트(G) 내에 중성선(2)이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하거나, 도어부(122)를 밀폐시켜 닫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건장치(124)는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그 중 하나의 예로서, 일단부가 도어부(122)의 자유단과 접하는 몸체부(121) 측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링크 결합되는 아이볼트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건장치(124)는 아이볼트가 몸체부(121) 측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며, 회동되는 타단이 도어부(122)의 자유단에 형성된 슬릿홈에 삽입된 후 볼트를 조여서 록킹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30)는 상기 전선가이드부(120)와 전주결합부(110)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서, 반원형상의 금속링의 양측단부가 전선가이드부(120)의 몸체부(121) 측에 결합되고, 금속링의 곡면 중심이 암타이밴드(111)(112) 측과 축고정부(131)로 연결된다.
상기 축고정부(131)는 암타이밴드(111)(112) 측으로부터 연결부(130)를 관통하는 볼트부재와 이를 연결부(130)측에서 나사 결합하는 너트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축고정부(131)는 리벳구조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선가이드부(12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재 소재로 제작할 경우, 혼촉 및 누전을 방지할 수 있다. 몰론, 상기 전선가이드부(120)의 구성부품인 가이드롤러(R)의 재질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을 이용한 중성선 가선작업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암타이밴드 결합형 전선 가이드 롤러를 전주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한 쌍의 암타이밴드(111)(112)를 분리시켜 전주(1)를 감싸도록 한 후, 한 쌍의 암타이밴드(111)(112) 사이를 체결수단(113)을 이용해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전주(1)를 감싼 상태의 암타이밴드(111)(112) 한 쌍은 일정 간격 이격된 갭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체결수단(113)의 조임력에 의해 갭이 점차 좁혀지도록 함으로써, 전주(1) 상에서의 체결력이 조절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암타이밴드(111)(112)가 결합되고 나면, 전선가이드부(120)에 중성선(2)이 거치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전선가이드부(120)의 시건장치(124)를 풀어서, 도어부(122)를 열고 롤러게이트(G) 내부에 중성선(2)이 위치되도록 한다. 이후, 도어부(122)를 닫고 시건장치(124)를 잠그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가선된 중성선(2)은 상하좌우면의 가이드롤러(R)에 의해 이동이 안내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암타이밴 결합형 중성선 롤러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선가이드부(120)의 전선이 관통되는 롤러게이트(G)의 전 후단에 각각 보조가이드부(120')를 더 연결하되, 전선가이드부(120)와 보조가이드부(120') 사이를 스프링부재(140)로 연결시켜 자유로운 굴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가이드부(120')의 구성은 전선가이드부(120)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재(140)는 롤러게이트(G)의 테두리부를 연결하는 형태로서, 판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부재(140)는 단폭과 장폭의 비가 1:4 이상되는 부정형으로 권선된 코일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전주의 종류에 관계없이 전주를 감싸서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는 암타이밴드를 이용한 전주결합부에 우물정자 형태의 롤러게이트를 형성하여 전선이 관통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이 개선되며, 공사기간을 단축시켜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를 제한적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 전주 3: 중성선
110: 전주결합부 111,112: 암타이밴드
113: 체결수단 120: 전선가이드부
121: 몸체부 122: 도어부
123: 경첩부 124: 시건장치
130: 연결부 131: 축고정부
120': 보조가이드부 140: 스프링부재
G: 롤러게이트 R: 가이드롤러

Claims (4)

  1. 전주(1)를 감싸서 한 쌍이 조립되는 반체형상의 암타이밴드(111)(112)와 상기 암타이밴드(111)(112) 사이를 체결하는 체결수단(113)으로 이루어진 전주결합부(110);
    한 쌍씩의 가이드롤러(R)가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에 차례로 대향 설치되어 우물정자의 롤러게이트(G)를 형성하여 전선(3)이 관통되도록 하는 전선가이드부(120); 및
    상기 전선가이드부(120)와 전주결합부(110)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전선가이드부(120)의 전선이 관통되는 롤러게이트(G)의 전 후단에 각각 보조가이드부(120')를 더 연결하되, 전선가이드부(120)와 보조가이드부(120') 사이를 스프링부재(140)로 연결시켜 자유로운 굴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암타이밴드 결합형 전선 가이드 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가이드부(120)는 4개의 면으로 이루어지는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4개의 면 중 어느 한 개의 면이 경첩부(123)를 중심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된 도어부(122)를 형성하며, 상기 도어부(122)는 경첩부(123) 반대측에 시건장치(1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타이밴드 결합형 전선 가이드 롤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가이드부(12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타이밴드 결합형 전선 가이드 롤러.
  4. 삭제
KR1020120098711A 2012-09-06 2012-09-06 암타이밴드 결합형 전선 가이드 롤러 KR101330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711A KR101330668B1 (ko) 2012-09-06 2012-09-06 암타이밴드 결합형 전선 가이드 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711A KR101330668B1 (ko) 2012-09-06 2012-09-06 암타이밴드 결합형 전선 가이드 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0668B1 true KR101330668B1 (ko) 2013-11-19

Family

ID=49857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711A KR101330668B1 (ko) 2012-09-06 2012-09-06 암타이밴드 결합형 전선 가이드 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06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504B1 (ko) * 2015-05-21 2016-02-25 (주)한국주조 역류방지기능을 갖는 인장클램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796U (ko) * 1975-07-09 1977-01-24
JPH0898379A (ja) * 1994-09-22 1996-04-12 Hokkai Bane Kk 電柱用支線耐雪器
KR20040039701A (ko) * 2002-11-04 2004-05-12 장근선 전기선로 교체용 전선가이드 롤러
KR101126669B1 (ko) * 2011-10-05 2012-03-29 이재걸 직선부용 전선 가이드롤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796U (ko) * 1975-07-09 1977-01-24
JPH0898379A (ja) * 1994-09-22 1996-04-12 Hokkai Bane Kk 電柱用支線耐雪器
KR20040039701A (ko) * 2002-11-04 2004-05-12 장근선 전기선로 교체용 전선가이드 롤러
KR101126669B1 (ko) * 2011-10-05 2012-03-29 이재걸 직선부용 전선 가이드롤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504B1 (ko) * 2015-05-21 2016-02-25 (주)한국주조 역류방지기능을 갖는 인장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1461B1 (ko) 회전과 슬라이드가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KR100966616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인류애자 설치용 인류스트랍
CA2850926C (en) Split, non-metallic electrical insulating bushing
KR101126669B1 (ko) 직선부용 전선 가이드롤러
CN110797801B (zh) 一种电力施工紧线装置
KR101330668B1 (ko) 암타이밴드 결합형 전선 가이드 롤러
US8789811B2 (en) Wire puller
KR101371566B1 (ko) 송배전 케이블 연결 장치용 처짐 방지 겸용 케이블 고정장치
CN201877757U (zh) 一种带电安装驱鸟器的安装装置
CN206806926U (zh) 接户线电缆固定支架装置
JP6565582B2 (ja) 引込線の途中支持工法
KR200446267Y1 (ko) 전선케이블 연결을 위한 경완금 연결장치
CN203589645U (zh) 立母线支撑装置
CN110706872B (zh) 一种便于安装的电力绝缘子
CN207150118U (zh) 一种楔型线夹
CN208401261U (zh) 一种可调节角度的避雷针
KR20130015952A (ko) 전주의 조가선 설치용 2단 밴드
KR200463116Y1 (ko) 인입선용 회전식 인류애자
KR101143543B1 (ko) 말단 편출 장주 지지밴드
CN203532437U (zh) 一种电缆桥架卡接件结构
KR20130039565A (ko)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
KR102308897B1 (ko) 저압케이블 배선용 바인더
KR102323128B1 (ko) 고정력을 향상시킨 송배전 케이블 연결장치
KR101349027B1 (ko) 전주 상부 지지대
KR101036897B1 (ko) 라인포스트 애자의 점퍼선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