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0620B1 -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 Google Patents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620B1
KR101330620B1 KR1020110054671A KR20110054671A KR101330620B1 KR 101330620 B1 KR101330620 B1 KR 101330620B1 KR 1020110054671 A KR1020110054671 A KR 1020110054671A KR 20110054671 A KR20110054671 A KR 20110054671A KR 101330620 B1 KR101330620 B1 KR 101330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coupling
safety
hook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5766A (ko
Inventor
이강창
Original Assignee
이강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창 filed Critical 이강창
Priority to KR1020110054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620B1/ko
Publication of KR20120135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22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a hook and a locking element acting on a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63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hydraulically-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내에 안전장치를 구비하여 작업 도중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요인들에 의해 어태치먼트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작업장치에 연결되는 제1결합장치와 어태치먼트가 결합되는 제2결합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제2결합장치는 상기 어태치먼트의 제1 및 제2원형바가 삽입되는 제1 및 제2결합부재, 상기 제2결합부재의 소정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원형바를 상기 제2결합부재에 밀착하는 안전유지부재 및 로드가 신축함에 따라 상기 안전유지부재를 회동가능하게 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 상부의 상기 제2결합장치 면에 제1후크 결합부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상기 어태치먼트가 회동 시 힌지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원형바를 상기 제1결합부재에 속박하며, 배면에 걸림부가 형성된 제1후크, 상기 제1후크 상부의 상기 제2결합장치 면에 고정바 결합부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상기 어태치먼트가 회동 시 힌지회전하여 단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1후크를 고정하는 고정바 및 상기 고정바를 중심으로 타단에 형성된 고정바 지지부와 함께 상기 고정바를 속박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어태치먼트가 회동 시 이동하여 상기 고정바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고정바를 힌지회전하도록 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Attachment exchangeable device consisting of safety combination structiure}
본 발명은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내에 안전장치를 구비하여 작업 도중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요인들에 의해 어태치먼트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는 어태치먼트에 이중으로 장착된 원형바를 체결할 수 있도록 상단과 하단에 반대방향으로 개방된 도크를 수반하며 이러한 도크를 통해 작업조건 및 환경에 따라 버킷, 브레이커, 크러셔 등의 어태치먼트를 작업장치에 수시로 교환하여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작업을 행하게 된다.
이러한 어태치먼트를 중장비의 암에 결합시키기 위한 기계장치를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라고 하는데, 도 1에는 종래의 어태치먼트 교환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된 제1 및 제2 결합부재(210, 220)와 제2결합부재(220)에 구비된 안전유지부재(221)에 의하여 어태치먼트의 제1 및 제2원형바(240, 250)를 삽입하여 장착한다.
이때, 안전유지부재(221)는 일단이 제1결합부재(220)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유압실린더(230)의 로드(231)에 결합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230)의 작동에 의해 힌지회전함으로써, 제2원형바(250)를 구속 또는 해제하게 된다.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와 어태치먼트의 장착은, 도 1에 도시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 형성된 제1결합부재(210) 통해 어태치먼트의 제1원형바(240)를 장착하고, 작업장치로부터 공급된 압유로 신장되는 유압실린더(230)에 의해 안전유지부재(221)가 힌지회전하여 제2결합부재(220)에 제2원형바(250)를 속박하면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로부터 어태치먼트가 분리되지 않는 완전장착 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작업장치에서 사용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는 유압실린더(230)로 공급되는 압유가 누유되거나 실린더 로드(231)가 절손 또는 안전유지부재(221)가 파손될 경우,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로부터 어태치먼트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유압실린더(230)에 공급되는 압유가 누유되면 유압실린더(230)는 빠른 속도로 수축되고, 유압실린더(230)가 수축되면 어태치먼트를 구속하고 있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의 안전유지부재(221)가 제2원형바(250)를 구속하고 있는 구속력이 해제되면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로부터 어태치먼트가 분리되는 것이다.
또한, 실린더 로드(231)가 절손된 경우, 안전유지부재(221)를 밀고 있는 실린더 로드(231)가 절손되면서 안전유지부재(221)가 뒤로 후퇴하고, 제2원형바(250)를 구속하고 있는 안전유지부재(221)의 구속력이 해제되면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로부터 어태치먼트가 분리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 종류의 안전장치가 공개되고 있으나 운전자 및 보조자가 직접 안전장치의 잠금 및 해제를 수행하는 것으로,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로 어태치먼트를 장착시 올바르게 완전 장착이 되었는지 확인할 방법이 없어, 불완전 장착으로 인해 어태치먼트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작업 도중 어태치먼트에 가해지는 무리한 힘에 의한 실린더 로드의 절손 또는 안전유재부재의 파손이나 공급되는 압유의 누유로 인하여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의 제2결합부재로부터 제2원형바가 해제되더라도 제1원형바를 제1결합부재에 속박함으로써 어태치먼트가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로부터 우발적으로 이탈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태치먼트 교환장치가 어태치먼트를 완전 장착하게 되면, 실린더 로드에 연결된 제2후크가 힌지회전하여 하강함으로써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어태치먼트를 올바르게 완전장착이 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불완전 장착으로 인한 어태치먼트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작업장치에 연결되는 제1결합장치와 어태치먼트가 결합되는 제2결합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제2결합장치는 상기 어태치먼트의 제1 및 제2원형바가 삽입되는 제1 및 제2결합부재, 상기 제2결합부재의 소정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원형바를 상기 제2결합부재에 밀착하는 안전유지부재 및 로드가 신축함에 따라 상기 안전유지부재를 회동가능하게 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 상부의 상기 제2결합장치 면에 제1후크 결합부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상기 어태치먼트가 회동 시 힌지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원형바를 상기 제1결합부재에 속박하며, 배면에 걸림부가 형성된 제1후크, 상기 제1후크 상부의 상기 제2결합장치 면에 고정바 결합부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상기 어태치먼트가 회동 시 힌지회전하여 단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1후크를 고정하는 고정바 및 상기 고정바를 중심으로 타단에 형성된 고정바 지지부와 함께 상기 고정바를 속박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어태치먼트가 회동 시 이동하여 상기 고정바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고정바를 힌지회전하도록 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후크의 단부가 탄성체에 의해 상기 제2결합장치 면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추, 구동핀 또는 구동토글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추는 상기 고정바 상부의 상기 제2결합장치 면에 형성되는 구동추 결합부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추는 상기 고정바 하부의 상기 제1후크 면에 형성되는 구동추 결합부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추는 상기 고정바 결합부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핀은 상기 고정바 상부의 상기 제2결합장치 면에 형성되는 구동핀 삽입홀에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핀 삽입홀은 타원형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핀이 상기 구동핀 삽입홀 내에서 이동함에 있어서, 상기 구동핀의 마모 또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핀 삽입홀에 소음방지부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토글은 'ㅗ' 형태의 갈고리 모양으로서, 상기 고정바 상부의 상기 제2결합장치 면에 형성되는 구동토글 결합부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유지부재는 상기 제2원형바를 상기 제2결합부재에 밀착하기 위해 후크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부는 요홈 또는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결합장치는 좌우대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후크가 힌지결합되는 상기 제1후크 결합부를 동일 축으로 하여 힌지결합되며, 단부가 상기 안전유지부재 또는 상기 유압실린더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여부를 점검할 수 있는 제2후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작업 도중 어태치먼트에 가해지는 무리한 힘에 의한 실린더 로드의 절손 또는 안전유재부재의 파손이나 공급되는 압유의 누유로 인하여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의 제2결합부재로부터 제2원형바가 해제되더라도 제1원형바를 제1결합부재에 구속함으로써 어태치먼트가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로부터 우발적으로 이탈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태치먼트 교환장치가 어태치먼트를 완전 장착하게 되면, 실린더 로드에 연결된 제2후크가 힌지회전하여 하강함으로써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어태치먼트를 올바르게 완전장착이 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불완전 장착으로 인한 어태치먼트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기술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기술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서 고정바 및 구동추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기술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기술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기술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서 고정바 및 구동추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기술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기술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서 고정바 및 구동추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기술의 제5실시예에 따른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기술의 제6실시예에 따른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기술의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서 제2후크가 부가된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기술의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서 제2후크가 부가된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종래기술의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를 나타낸 도 1에 근거하여 비교, 설명해보면,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결합장치는 작업장치에 연결되는 제1결합장치(100)와 어태치먼트가 결합되는 제2결합장치(200)로 구성되며, 제2결합장치(200)는 어태치먼트의 제1 및 제2원형바(250)가 삽입되는 제1 및 제2결합부재(220), 제2결합부재(220)의 소정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원형바(250)를 제2결합부재(220)에 밀착하는 안전유지부재(221), 로드(231)가 신축함에 따라 안전유지부재(221)를 회동가능하게 하는 유압실린더(230)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 있어서, 제1결합부재(210) 상부의 제2결합장치(200) 면에 제1후크 결합부(211(b))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어태치먼트가 회동 시 힌지회전함으로써 제1원형바(240)를 제1결합부재(210)에 속박하며 배면에 걸림부(211(a))가 형성된 제1후크(211), 제1후크(211) 상부의 제2결합장치(200) 면에 고정바 결합부(212(a))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어태치먼트가 회동 시 힌지회전하여 단부가 걸림부(211(a))에 걸림으로써 제1후크(211)를 고정하는 고정바(212) 및 고정바(212)를 중심으로 타단에 형성된 고정바 지지부(212(b))와 함께 고정바(212)를 속박하도록 형성되며, 어태치먼트가 회동 시 이동하여 고정바(212)를 해제함으로써 고정바(212)를 힌지회전하도록 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안전유지부재(221)는 제2원형바(250)를 제2결합부재(220)에 밀착하기 위해 후크 형태로 형성되며, 제2결합장치(200)는 좌우대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어태치먼트의 움직임에 따라 제1후크(211)의 회동을 용이하게 위해 제1후크(211)의 단부에는 탄성체 연결부(211-(c))에 탄성체가 부가되어 제2결합장치 면과 연결될 수도 있다.
이 때, 구동수단은 구동추(213), 구동핀(214) 또는 구동토글(215)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는데 각각에 따른 실시예가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기술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수단은 구동추(213)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구동추(213)는 고정바(212) 상부의 제2결합장치(200) 면에 형성되는 구동추 결합부(213(a))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어태치먼트를 체결하기 전, 실선에 위치에 놓여진 구동추(213)는 어태치먼트를 체결하여 들어 올려지면서 점선의 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구동추(213)와 고정바 지지부(212(b))에 의해 속박되어 있던 고정바(212)는 구속이 해제되면서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여 하부에 있는 제1후크(211)의 걸림부(211(a))에 걸리게 되고, 제1후크(211)는 고정된 상태가 되어 제1결합부재(210) 내에 제1원형바(240)를 속박하게 된다.
여기에서, 걸림부(211(a))는 요홈 또는 돌기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 때, 고정바(212) 및 구동추(213)의 움직임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측면도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기술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수단은 구동추(213)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구동추(213)는 고정바(212) 하부의 제1후크(211) 면에 형성되는 구동추 결합부(213(a))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는 달리 구동추(213)가 하강하면서 제1후크(211)나 다른 인접한 부재의 작동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소정 각도에서만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동추 지지부(213(b))를 부가하게 된다.
도 5는 본 기술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수단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구동추(213)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구동추(213)는 고정바 결합부(212(a))를 동일 축으로 하여 고정바(212)와 함께 힌지결합된다. 이 때에도 도 4의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동추(213)가 하강하면서 제1후크(211)나 다른 인접한 부재의 작동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소정 각도에서만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동추 지지부(213(b))를 부가하게 된다.
고정바(212) 및 구동추(213)의 움직임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측면도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본 기술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수단은 하부가 폐쇄된 'ㅁ' 형태의 구동추(213)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구동추(213)는 고정바 결합부(212(a))를 동일 축으로 하여 고정바(212)와 함께 힌지결합된다.
제3실시예에서 구동추(213)의 상부가 고정바(212)의 속박을 해제하면서 제1후크(211)를 고정하는 데 반해 제4실시예에서는 구동추(213)의 하부가 고정바(212)를 밀어줌으로써 고정바(212)를 이동시키고, 이러한 고정바(212)의 움직임에 의해서 제1후크(211)가 고정되게 된다.
이 때, 고정바(212) 및 구동추(213)의 움직임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측면도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본 기술의 제5실시예에 따른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수단은 구동핀(214)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동핀(214)은 고정바(212) 상부의 제2결합장치(200) 면에 형성되는 구동핀 삽입홀(214(a))에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진다.
어태치먼트를 체결하기 전, 구동핀 삽입홀(214(a)) 내의 실선에 위치에 놓여진 구동핀(214)은 어태치먼트를 체결하여 들어 올려지면서 점선의 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구동핀(214)과 고정바 지지부(212(b))에 의해 속박되어 있던 고정바(212)는 구속이 해제되면서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여 하부에 있는 제1후크(211)의 걸림부(211(a))에 걸리게 되고, 제1후크(211)는 고정된 상태가 되어 제1결합부재(210) 내에 제1원형바(240)를 속박하게 된다.
여기에서, 구동핀 삽입홀(214(a))은 원기둥 형태인 구동핀(214)이 이동하기 용이하도록 타원형의 형태인 것이 좋으며, 구동핀(214)이 구동핀 삽입홀(214(a)) 내에서 이동함에 있어서 구동핀(214)의 마모 또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동핀 삽입홀(214(a))에 소음방지부재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기술의 제6실시예에 따른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수단은 'ㅗ' 형태의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된 구동토글(215)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동토글(215)은 고정바(212) 상부의 제2결합장치(200) 면에 형성되는 구동토글 결합부(215(a))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어태치먼트를 체결하기 전, 고정바(212)를 속박하고 있던 구동토글(215)은 어태치먼트를 체결하여 들어 올려지면서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구동토글(215)과 고정바 지지부(212(b))에 의해 속박되어 있던 고정바(212)는 구속이 해제되면서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여 하부에 있는 제1후크(211)의 걸림부(211(a))에 걸리게 되고, 제1후크(211)는 고정된 상태가 되어 제1결합부재(210) 내에 제1원형바(240)를 속박하게 된다.
도 11은 본 기술의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서 제2후크가 부가된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230)의 움직임과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제1원형바(240)를 제1결합부재(210)에 속박하는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제1후크(211)의 형태에, 제1후크(211)가 힌지결합되는 제1후크 결합부(211(b))를 동일 축으로 하여 힌지결합되며 단부가 안전유지부재(221) 또는 유압실린더(230) 중 어느 하나와 와이어 등에 의해 연결되는 제2후크(211(d))가 결합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1후크(211)로 유압실린더(230)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유압실린더(230)의 올바른 작동여부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도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제2후크(211(d))가 부가된 변형예를 좀 더 자세히 도시한 도면은 도 12이며, 가운데에 형성된 제1후크(211)는 유압실린더(230)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어태치먼트를 체결하여 들어 올려지면서 고정바(212)에 의해 고정되어 제1원형바(240)를 제1결합부재(210)에 속박하게 된다.
또한, 제1후크(211)의 양 옆에 형성되는 제2후크(211(d))는 유압실린더(230)와 연결되어 유압실린더(230)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임임으로써 유압실린더(230)의 작동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제1결합장치 200 : 제2결합장치
210 : 제1결합부재 211 : 제1후크
211(a) : 걸림부 211(b) : 제1후크 결합부
211(c) : 탄성체 연결부 211(d) : 제2후크
212 : 고정바 212(a) : 고정바 결합부
212(b) : 고정바 지지부 213 : 구동추
213(a) : 구동추 결합부 213(b) : 구동추 지지부
214 : 구동핀 214(a) : 구동핀 삽입홀
215 : 구동토글 215(a) : 구동토글 결합부
220 : 제2결합부재 221 : 안전유지부재
230 : 유압실린더 231 : 로드
240 : 제1원형바 250 : 제2원형바

Claims (15)

  1. 작업장치에 연결되는 제1결합장치와 어태치먼트가 결합되는 제2결합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제2결합장치는 상기 어태치먼트의 제1 및 제2원형바가 삽입되는 제1 및 제2결합부재, 상기 제2결합부재의 소정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원형바를 상기 제2결합부재에 밀착하는 안전유지부재 및 로드가 신축함에 따라 상기 안전유지부재를 회동가능하게 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 상부의 상기 제2결합장치 면에 제1후크 결합부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상기 어태치먼트가 회동 시 힌지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원형바를 상기 제1결합부재에 속박하며, 배면에 걸림부가 형성된 제1후크;
    상기 제1후크 상부의 상기 제2결합장치 면에 고정바 결합부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상기 어태치먼트가 회동 시 힌지회전하여 단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1후크를 고정하는 고정바 및
    상기 고정바를 중심으로 타단에 형성된 고정바 지지부와 함께 상기 고정바를 속박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어태치먼트가 회동 시 이동하여 상기 고정바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고정바를 힌지회전하도록 하는 구동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추 또는 구동핀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이며, 상기 구동추는 상기 고정바 하부의 상기 제1후크 면에 형성되는 구동추 결합부에 의해 힌지결합되거나 상기 고정바 결합부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후크의 단부가 탄성체에 의해 상기 제2결합장치 면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추는 하부가 폐쇄된 'ㅁ'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핀은 상기 고정바 상부의 상기 제2결합장치 면에 형성되는 구동핀 삽입홀에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핀 삽입홀은 타원형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핀이 상기 구동핀 삽입홀 내에서 이동함에 있어서, 상기 구동핀의 마모 또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핀 삽입홀에 소음방지부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유지부재는 상기 제2원형바를 상기 제2결합부재에 밀착하기 위해 후크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요홈 또는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장치는 좌우대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후크가 힌지결합되는 상기 제1후크 결합부를 동일 축으로 하여 힌지결합되며, 단부가 상기 안전유지부재 또는 상기 유압실린더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여부를 점검할 수 있는 제2후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KR1020110054671A 2011-06-07 2011-06-07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KR101330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671A KR101330620B1 (ko) 2011-06-07 2011-06-07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671A KR101330620B1 (ko) 2011-06-07 2011-06-07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766A KR20120135766A (ko) 2012-12-17
KR101330620B1 true KR101330620B1 (ko) 2013-11-18

Family

ID=47903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671A KR101330620B1 (ko) 2011-06-07 2011-06-07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06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694B1 (ko) * 2013-02-28 2014-12-30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퀵 커플러의 고정훅 록킹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043U (ko) * 1998-11-14 2000-06-15 이원해 굴삭기용 커플러
KR200251572Y1 (ko) * 2001-07-06 2001-11-17 최승묵 굴삭기 버킷 장착용 클램프의 안전장치
KR20110005057A (ko) * 2009-07-09 2011-01-17 주식회사 에버다임 어태치먼트의 안전 잠금장치를 구비한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043U (ko) * 1998-11-14 2000-06-15 이원해 굴삭기용 커플러
KR200251572Y1 (ko) * 2001-07-06 2001-11-17 최승묵 굴삭기 버킷 장착용 클램프의 안전장치
KR20110005057A (ko) * 2009-07-09 2011-01-17 주식회사 에버다임 어태치먼트의 안전 잠금장치를 구비한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
KR101033020B1 (ko) * 2009-07-09 2011-05-09 주식회사 에버다임 어태치먼트의 안전 잠금장치를 구비한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766A (ko) 2012-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8036B1 (ko) 퀵커플러의 자동 안전장치
US20100067982A1 (en) Coupler for excavators
RU2663838C2 (ru) Откидное днище ковша и узел командоаппарата откидного днища ковша
KR101033020B1 (ko) 어태치먼트의 안전 잠금장치를 구비한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
CA2590464A1 (en) Quick coupling mechanism for tool attachment
JP2003522859A5 (ko)
KR20090082409A (ko) 연결기
KR20100053065A (ko)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
EP3052707B1 (en) A coupler device
WO2006083172A1 (en) Quick coupling device for a work tool
JP2022510990A (ja) カプラー
KR20150076255A (ko) 피봇가능하게 장착된 상부 및 하부 케이싱을 갖는 핀치 밸브
KR101330620B1 (ko)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JP2007161357A (ja) フック収納部付バケットリンク
BR0208910B1 (pt) conjunto de válvula de gaveta.
US9611616B2 (en) Bucket attaching structure of construction machine and construction machine
JP2007161397A (ja) フック収納部付バケットリンク
AU2012201264B2 (en) A safety mechanism for a coupler for coupling an accessory to a dipper arm
US20160244943A1 (en) Safety lifting system for a mechanical excavator
KR101285073B1 (ko) 자동 안전핀을 구비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KR101628984B1 (ko) 퀵 커플러용 안전 잠금장치
KR101380542B1 (ko) 안전 고정핀을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KR102353169B1 (ko) 굴삭기용퀵커플러
WO2010103557A1 (en) Device for rapid connection between the arm of an operating machine having an arm, in particular the arm of an excavator, and an item of equipment removably associated therewith, in particular a bucket and the like
KR101313921B1 (ko)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