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0536B1 - 제철소용 연주설비 - Google Patents

제철소용 연주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536B1
KR101330536B1 KR1020120095386A KR20120095386A KR101330536B1 KR 101330536 B1 KR101330536 B1 KR 101330536B1 KR 1020120095386 A KR1020120095386 A KR 1020120095386A KR 20120095386 A KR20120095386 A KR 20120095386A KR 101330536 B1 KR101330536 B1 KR 101330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emperature
cooling
water
temperature dev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병원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5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5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2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06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plastic shaping of stran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7/00Active solid-state devices, e.g. transistors, solid-state diodes
    • Y10S257/93Thermoelectric, e.g. peltier effect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형과 냉각부를 통과하여 공급되는 슬래브가 안착되는 이송롤러와, 이송롤러를 따라 이동되는 슬래브로부터 배출되는 열에너지에 의해 일측이 가열되는 온도편차부와, 온도편차부의 타측을 냉각시켜 온도편차부의 일측과 타측의 온도 편차를 가중시키는 과열방지부와, 온도편차부에서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충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철소용 연주설비 {CONTINUOUS CASTING FACILITY FOR IRONWORKS}
본 발명은 제철소용 연주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주공정에 의해 생산되는 슬래브로부터 배출되는 폐열을 회수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제철소용 연주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 상태인 철이 고체가 되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연주공정은 액체 상태인 용강을 주형(Mold)에 주입한 후 연속 주조기를 통과시키면서 냉각, 응고시켜 연속적으로 슬래브(Slab)나 블룸(Bloom) 등의 중간 소재로 만들어내는 공정이다.
이 과정에서 블룸은 다시 강편 압연기를 거쳐 빌릿(Billet)으로 변하며 선재 압연기를 통해 선재로 가공된다.
또한, 슬래브는 후판 압연기를 거쳐 후판으로 생산되거나 열간 압연장치를 통과하면서 열연코일이나 열연강판 등으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2-0040435호(2002년 5월 30일 공개, 발명의 명칭 : 해수 강관용 스테인레스강의 표층결함 저감을 위한 연속주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연주공정에 의해 생산되는 슬래브로부터 배출되는 폐열을 회수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제철소용 연주설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주형과 냉각부를 통과하여 공급되는 슬래브가 안착되는 이송롤러; 상기 이송롤러를 따라 이동되는 슬래브로부터 배출되는 열에너지에 의해 일측이 가열되는 온도편차부; 상기 온도편차부의 타측을 냉각시켜 상기 온도편차부의 일측과 타측의 온도 편차를 가중시키는 과열방지부; 및 상기 온도편차부에서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온도편차부는, 상기 이송롤러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가열금속부; 및 상기 가열금속부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과열방지부에 밀착되는 냉각금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과열방지부는, 상기 냉각금속부에 밀착되게 설치되고 냉각수가 담수되는 챔버; 상기 챔버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가 담수되는 수조; 및 상기 수조에 담수된 냉각수를 상기 챔버로 순환시키는 급수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과열방지부는, 상기 수조의 급수관에 설치되는 급수밸브; 상기 수조의 배수관에 설치되는 배수밸브; 상기 수조에 담수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제1온도감지센서로부터 송신되는 온도신호가 설정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급수밸브 및 상기 배수밸브에 작동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온도편차부를 지지하는 지지대에는 슬래브의 통과여부를 판단하도록 제2온도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철소용 연주설비는, 연주공정이 완료되어 상온에서 냉각되는 슬래브로부터 배출되는 폐열을 활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어 제철소의 에너지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철소용 연주설비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철소용 연주설비의 온도편차부 장차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철소용 연주설비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철소용 연주설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철소용 연주설비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철소용 연주설비의 온도편차부 장차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철소용 연주설비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철소용 연주설비는, 주형(16)과 냉각부(18)를 통과하여 공급되는 슬래브(100)가 안착되는 이송롤러(30)와, 이송롤러(30)를 따라 이동되는 슬래브(100)로부터 배출되는 열에너지에 의해 일측이 가열되는 온도편차부(50)와, 온도편차부(50)의 타측을 냉각시켜 온도편차부(50)의 온도 편차를 가중시키는 과열방지부(70)와, 온도편차부(50)에서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충전부(80)를 포함한다.
연주공정이 진행되면 래들(12)로부터 공급되는 용선이 턴디쉬(14)를 지나 주형(16)에 공급되어 용선이 슬래브(100) 모양으로 성형되고, 냉각부(18)를 통과하면서 슬래브(100)의 모양이 완성된다.
냉각부(18)를 통과한 슬래브(100)는 이송롤러(30)를 통해 다음 공정으로 이동되는데, 이송롤러(3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온에 노출되어 설정시간 동안 냉각된다.
이때, 슬래브(100)로부터 배출되는 열에너지에 의해 온도편차부(50)의 일측이 가열되고, 온도편차부(50)의 타측은 과열방지부(70)에 의해 과열이 방지되므로 온도편차부(50)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온도 편차가 발생된다.
온도편차부(50)는 온도 편차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열전쌍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온도편차부(50)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온도 편차가 설정치 이상으로 커지면 온도편차부(50)에서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를 충전부(80)에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연주설비에서 소모되는 폐열을 활용하여 제철소에서 요구되는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온도편차부(50)는, 이송롤러(30)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가열금속부(52)와, 가열금속부(52)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고 과열방지부(70)에 밀착되는 냉각금속부(54)를 포함한다.
열전쌍을 이루는 가열금속부(52)는 구리, 철, 크로멜(Chromel) 및 텅스텐을 포함하고, 냉각금속부(54)는 콘스탄탄(Constantan), 알루멜(Alumel) 및 백금을 포함한다.
가열금속부(52)는 지지대(86)에 의해 이송롤러(3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가열금속부(52)의 상부에 냉각금속부(54)가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된다.
따라서 이송롤러(30)를 따라 이동되는 슬래브(100)로부터 발생되는 열에너지에 의해 가열금속부(52)가 가열되고, 가열금속부(52)와 비교하여 상측에 배치되는 냉각금속부(54)는 과열방지부(70)에 의해 가열되는 정도가 낮다.
과열방지부(70)는, 냉각금속부(54)에 밀착되게 설치되고 냉각수가 담수되는 챔버(72)와, 챔버(72)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가 담수되는 수조(74)와, 수조(74)에 담수된 냉각수를 챔버(72)로 순환시키는 급수펌프(76)를 포함한다.
급수펌프(76)가 구동되면 수조(74)에 담수된 냉각수가 챔버(72)로 순환되므로, 챔버(72)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냉각금속부(54)로부터 열에너지를 흡수한 냉각수가 수조(74)로 순환된다.
따라서 냉각금속부(54)는 섭씨온도 약 1200도까지 가열되는 슬래브(100)로부터 발생되는 열에너지에 의해 과열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가열금속부(52)와 냉각금속부(54)는 섭씨온도 500도 이상까지 온도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과열방지부(70)는, 수조(74)의 급수관(77)에 설치되는 급수밸브(77a)와, 수조(74)의 배수관(78)에 설치되는 배수밸브(78a)와, 수조(74)에 담수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신호를 송신하는 제1온도감지센서(82)와, 제1온도감지센서(82)로부터 송신되는 온도신호가 제1설정온도를 초과하면 급수밸브(77a) 및 배수밸브(78a)에 작동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한다.
수조(74)와 챔버(72)를 순환하는 냉각수의 온도가 제1설정온도를 초과하면 제1온도감지센서(82)로부터 송신되는 온도신호에 따라 제어부(90)에서 급수밸브(77a) 및 배수밸브(78a)에 작동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제어부(90)에서 송신되는 작동신호에 따라 배수밸브(78a)가 개방되면 수조(74)에 담겨진 냉각수가 배수관(78)을 따라 배수되고, 배수밸브(78a)가 폐쇄된 후에 급수밸브(77a)가 개방되면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제1설정온도 미만의 냉각수가 공급된다.
따라서 수조(74)에 담수되는 냉각수의 온도가 제1설정온도를 넘지 않게 되므로 냉각수에 의해 냉각금속부(54)의 가열이 억제된다.
또한, 온도편차부(50)를 지지하는 지지대(86)에는 슬래브(100)의 통과여부를 판단하도록 제2온도감지센서(84)가 설치된다.
따라서 제2온도감지센서(84)로부터 송신되는 온도신호가 제2설정온도를 초과하면 제어부(90)에서 슬래브(100)가 통과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급수펌프(76)에 구동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제2온도감지센서(84)로부터 송신되는 온도신호가 제2설정온도 이하이면 슬래브(100)의 공급이 중단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부(90)로부터 급수펌프(76)에 정지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따라서 슬래브(100)가 통과하지 않는 동안에는 급수펌프(76)가 구동되지 않게 되므로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철소용 연주설비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주공정이 개시되면 래들(12)로부터 떨어지는 용선이 턴디쉬(14)를 통과하여 주형(16)에 공급되므로 슬래브(100)의 모양을 이루게 되고, 주형(16)으로부터 배출되는 용선이 냉각부(18)를 통과하면서 용선이 냉각되어 슬래브(100)를 이루게 된다.
냉각부(18)로부터 배출되는 슬래브(100)는 이송롤러(3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상온에 노출되어 냉각되는데, 이때, 슬래브(100)로부터 배출되는 열에너지는 가열금속부(52)를 가열시키게 된다.
또한, 제2온도감지센서(84)로부터 송신되는 온도신호가 제2설정온도를 초과하면 제어부(90)에서 슬래브(100)의 공급을 판단하고, 급수펌프(76)에 작동신호를 송신하므로 수조(74)에 담수된 냉각수가 챔버(72)로 순환되면서 냉각금속부(54)의 냉각작동을 행하게 된다.
따라서 가열금속부(52)와 냉각금속부(54) 사이에 온도차가 발생되면서 열전쌍으로 이루어지는 가열금속부(52)와 냉각금속부(54) 사이에서 제백효과에 의한 전기에너지가 발생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는 충전지에 저장되고, 과열방지부(70)의 냉각작동이 장시간 지속되어 냉각수의 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제어부(90)로부터 송신되는 작동신호에 따라 배수밸브(78a) 및 급수밸브(77a)가 개폐된다.
배수밸브(78a)가 먼저 개방되면 수조(74) 내부에 담수되는 냉각수가 배수관(78)을 따라 수조(74) 외부로 배수되고, 배수밸브(78a)가 폐쇄된 후에 급수밸브(77a)가 개방되면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가 수조(74)에 담수된다.
상기한 작동에 의해 연주공정이 완료되어 상온에서 냉각되는 슬래브(100)로부터 배출되는 폐열을 활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어 제철소의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다.
이로써, 연주공정에 의해 생산되는 슬래브(100)로부터 배출되는 폐열을 회수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제철소용 연주설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제철소용 연주설비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제철소용 연주설비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연주설비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2 : 래들 14 : 턴디쉬
16 : 주형 18 : 냉각부
30 : 이송롤러 50 : 온도편차부
52 : 가열금속부 54 : 냉각금속부
70 : 과열방지부 72 : 챔버
74 : 수조 76 : 급수펌프
77 : 급수관 77a : 급수밸브
78 : 배수관 78a : 배수밸브
80 : 충전부 82 : 제1온도감지센서
84 : 제2온도감지센서 86 : 지지대
90 : 제어부 100 : 슬래브

Claims (5)

  1. 주형과 냉각부를 통과하여 공급되는 슬래브가 안착되는 이송롤러;
    상기 이송롤러를 따라 이동되는 슬래브로부터 배출되는 열에너지에 의해 일측이 가열되는 온도편차부;
    상기 온도편차부의 타측을 냉각시켜 상기 온도편차부의 일측과 타측의 온도 편차를 가중시키는 과열방지부; 및
    상기 온도편차부에서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편차부는, 상기 이송롤러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가열금속부; 및
    상기 가열금속부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과열방지부에 밀착되는 냉각금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소용 연주설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열방지부는,
    상기 냉각금속부에 밀착되게 설치되고 냉각수가 담수되는 챔버;
    상기 챔버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가 담수되는 수조; 및
    상기 수조에 담수된 냉각수를 상기 챔버로 순환시키는 급수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소용 연주설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과열방지부는,
    상기 수조의 급수관에 설치되는 급수밸브;
    상기 수조의 배수관에 설치되는 배수밸브;
    상기 수조에 담수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제1온도감지센서로부터 송신되는 온도신호가 설정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급수밸브 및 상기 배수밸브에 작동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소용 연주설비.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편차부를 지지하는 지지대에는 슬래브의 통과여부를 판단하도록 제2온도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소용 연주설비.
KR1020120095386A 2012-08-30 2012-08-30 제철소용 연주설비 KR101330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386A KR101330536B1 (ko) 2012-08-30 2012-08-30 제철소용 연주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386A KR101330536B1 (ko) 2012-08-30 2012-08-30 제철소용 연주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0536B1 true KR101330536B1 (ko) 2013-11-18

Family

ID=49857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386A KR101330536B1 (ko) 2012-08-30 2012-08-30 제철소용 연주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05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9158A (ja) * 1994-09-30 1996-04-16 Hitachi Ltd 薄スラブ連続鋳造機及び薄スラブ連続鋳造方法
JP2005033894A (ja) * 2003-07-10 2005-02-03 Toshiba Corp 廃熱発電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9158A (ja) * 1994-09-30 1996-04-16 Hitachi Ltd 薄スラブ連続鋳造機及び薄スラブ連続鋳造方法
JP2005033894A (ja) * 2003-07-10 2005-02-03 Toshiba Corp 廃熱発電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11833A1 (en) Compact, flexible csp facility for continuous, semi-continuous and batch operation
JP2018520876A (ja) 連続鋳造圧延装置及び連続鋳造圧延方法
KR101330536B1 (ko) 제철소용 연주설비
JP5098528B2 (ja) 連続鋳造鋳片の欠陥検出方法及び連続鋳造鋳片の処理方法
JP6381868B2 (ja) チタンまたはチタン合金からなる鋳塊の連続鋳造方法
JP2007111760A (ja) 連続鋳造装置
US11529676B2 (en) Method for altering casting roll profile with the alteration of localized temperature
KR101087128B1 (ko) 노정압 발전기용 냉각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6475539A (zh) 一种减轻铸坯角裂的装置和减裂方法
KR20130034945A (ko) 압연기용 윤활유 정화장치
JPWO2020179698A1 (ja) スラブ鋳片の連続鋳造方法
JP5747286B2 (ja) 三相交流電極式円形電気炉の冷却方法及びその三相交流電極式円形電気炉
KR20130074644A (ko) 박판 주조 설비
CN104661768B (zh) 制造设备列以及热电发电方法
KR101377505B1 (ko) 주선기용 발전장치
JPH11216557A (ja) 鋳造用金型の型温制御方法
KR20100047006A (ko) 가열로의 슬라브 가열장치 및 방법
JP2004298888A (ja) 熱延鋼帯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2549966B1 (ko) 래들 내화물의 함열량 산출방법
KR101545979B1 (ko) 롤의 열 처리로
JP6606611B2 (ja) 連続鋳造機の終了動作処理装置及び終了動作処理方法
JPS60238001A (ja) 薄板連続製造方法
Ghosh et al. Development of laboratory scale thin strip caster and investigation of direct casting of AISI 304 stainless steel
KR20150075570A (ko) 압연기용 온도조절장치
KR101399865B1 (ko) 폭 압연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