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0248B1 - 소방 호스 수거기 - Google Patents

소방 호스 수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248B1
KR101330248B1 KR1020110051703A KR20110051703A KR101330248B1 KR 101330248 B1 KR101330248 B1 KR 101330248B1 KR 1020110051703 A KR1020110051703 A KR 1020110051703A KR 20110051703 A KR20110051703 A KR 20110051703A KR 101330248 B1 KR101330248 B1 KR 101330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transmission means
fire hose
winding ro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3169A (ko
Inventor
변상윤
Original Assignee
변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상윤 filed Critical 변상윤
Priority to KR1020110051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248B1/ko
Publication of KR20120133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62C33/04Supports or clamps for fire h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81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driving the reel or the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 호스 수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에 페달이 형성되고 타측에 수직판이 형성되는 동력발생부, 상기 수직판에 일측이 연결되어 회전되는 동력전달수단 및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권취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권취봉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일측방향으로만 회전되어 호스가 감겨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페달을 작업자가 발로 밟아 상기 권취봉을 회전시켜 호스를 감을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피로도 감소 및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소방 호스 수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방 호스 수거기{Apparatus for winding fire fighting hose}
본 발명은 소방 호스 수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에 페달이 형성되고 타측에 수직판이 형성되는 동력발생부, 상기 수직판에 일측이 연결되어 회전되는 동력전달수단 및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권취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권취봉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일측방향으로만 회전되어 호스가 감겨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페달을 작업자가 발로 밟아 상기 권취봉을 회전시켜 호스를 감을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피로도 감소 및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소방 호스 수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 호스는 소화전 내부에 보관되며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소화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가지런히 정리된 상태로 보관된다.
그리고 소방 호스는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단부에는 연결구 또는 관창이 결합되어 각각의 소방 호스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화재가 발생하여 소방 호스를 사용하고 난 후에는 각각의 소방 호스를 분리하여 그 내부에 남아있는 물을 제거하여 말린 다음 접거나 둥글게 감은 상태로 보관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소방 호스를 접거나 둥글게 감는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자의 피로가 증가되며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방관들이 화재 진압시 사용하는 소방 호스는 사용 후 직접 무작위로 수거하여 소방차에 보관하게 되며, 화재 진압 후 소방서로 복귀하여 다음 출동 전에 미리 소방 호스를 말린 다음 펴서 직접 감아 정리하여 소방차에 보관해야 한다.
그런데 연속으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 소방 호스가 정리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출동이 지연되거나 출동하더라도 화재 진압을 위해 무작위로 엉켜있는 소방 호스를 풀어야 하므로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동장치를 사용하여 소방 호스를 빠르게 감을 수도 있으나, 이는 소방 호스의 단부에 결합되는 연결구 및 관창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전원이나 배터리 등이 있어야 하므로 사용에 제한이 있고 제작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에 페달이 형성되고 타측에 수직판이 형성되는 동력발생부, 상기 수직판에 일측이 연결되어 회전되는 동력전달수단 및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권취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권취봉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일측방향으로만 회전되어 호스가 감겨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페달을 작업자가 발로 밟아 상기 권취봉을 회전시켜 호스를 감을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피로도 감소 및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소방 호스 수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방 호스 수거기는,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일측에 페달(120)이 형성되고 타측에 수직판(130)이 형성되는 동력발생부(100); 상기 동력발생부(100)의 수직판(130)에 일측이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동력전달수단(200);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200)에 일측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수단(300); 및 상기 제2동력전달수단(300)에 일측이 연결되어 회전되는 권취봉(5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동력전달수단(300)은 일방향으로만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3동력전달수단(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권취봉(500)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200)은 상기 동력발생부(100)의 수직판(130)의 일단에 호형으로 형성되는 제1기어(131); 및 상기 제1기어(131)에 맞물리는 제2기어(2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동력전달수단(300)은 상기 제2기어(210)의 일측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하부동력전달수단(310); 상기 권취봉(500)의 일측에 연결되는 상부동력전달수단(320); 및 상기 하부동력전달수단(310)과 상부동력전달수단(320)을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연결수단(3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3동력전달수단(400)은 상기 상부동력전달수단(320) 또는 동력연결수단(330)에 결합되어, 상기 권취봉(500)이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동력전달수단(310)은 상기 제2기어(2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수직베벨기어(311)이고, 상기 상부동력전달수단(320)은 상기 권취봉(5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수직베벨기어(321)이며, 상기 동력연결수단(330)은 상기 하부동력전달수단(310)의 상기 수직베벨기어(311)에 맞물리는 수평베벨기어(312); 상기 상부동력전달수단(320)의 수직베벨기어(321)에 맞물리는 수평베벨기어(322); 및 상기 수평베벨기어(312,322)들에 양단이 연결되는 동력전달축(3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3동력전달수단(400)은 상기 상부동력전달수단(320)의 수직베벨기어(321) 또는 상기 수평베벨기어(312,322)들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동력전달수단(400)은 일방향 클러치 또는 클러치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권취봉(500)은 일측에 절개홈(5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수단(200,300,400)들이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동력발생부(100)의 페달(120) 및 상기 권취봉(500)의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몸체(600); 및 상기 동력발생부(100)의 페달(120) 및 상기 몸체(600)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탄성수단(700);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600)에 일면이 결합되되 중앙에 상기 권취봉(500)이 위치되도록 결합되며, 타면은 개방되게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 투입부(810)가 형성되는 커버(8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권취봉(500)은 일측에 회전판(87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입부(810) 측면에는 호스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 클립(8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클립(820)은 상기 투입부(810)에 일측이 핀(840)으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타측은 고정홈(830)이 형성되어 핀(85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800)는 일측에 손잡이(86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소방 호스 수거기는 페달을 작업자가 발로 밟아 권취봉을 회전시켜 호스를 감을 수 있어 작업자의 피로도 감소 및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방관들이 화재 진압 후 소방 호스의 수거가 용이하며, 다음 출동까지의 정비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기장치 등을 이용하지 않고 페달을 발로 밟아 호스를 감을 수 있으므로 사용이 용이하며, 각각의 소화전 마다 권취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권취봉에 소방 호스가 감겨진 상태에서 소방 호스 롤을 탈거 할 수 있어 각각의 소방 호스를 개별적으로 감은 후 탈거하여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방 호스 수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소방 호스 수거기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동력전달수단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소방 호스 수거기에 소방 호스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소방 호스 수거기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소방 호스 수거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방 호스 수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방 호스 수거기(1000)는,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일측에 페달(120)이 형성되고 타측에 수직판(130)이 형성되는 동력발생부(100); 상기 동력발생부(100)의 수직판(130)에 일측이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동력전달수단(200);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200)에 일측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수단(300); 및 상기 제2동력전달수단(300)에 일측이 연결되어 회전되는 권취봉(5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동력전달수단(300)은 일방향으로만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3동력전달수단(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권취봉(500)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페달(120)을 발로 밟으면 상기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반대측에 형성되는 수직판(130)이 상측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판(130)에 연결되는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200)이 회전되고, 이에 연결되는 제2동력전달수단(300)이 회전되어 상기 권취봉(500)이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제2동력전달수단(300)에는 일방향으로만 회전력을 전달하는 상기 제3동력전달수단(400)이 결합되어, 상기 권취봉(500)이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소방 호스의 일단을 상기 권취봉(500)에 고정하고 상기 페달(120)을 발로 수회 밟으면 상기 권취봉(500)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소방 호스가 감기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소방 호스 수거기의 실시 예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소방 호스 수거기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소방 호스 수거기(1000)는 크게 동력발생부(100), 제1동력전달수단(200), 제2동력전달수단(300) 및 권취봉(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권취봉(500)이 상기 제2동력전달수단(300)에 결합되는 제3동력전달수단(400)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우선, 상기 동력발생부(100)는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일측에 페달(120)이 형성되고 타측에 수직판(130)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110)은 몸체(600)에 결합되되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페달(120)이 하강하면 상기 수직판(130)이 상승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200)은 상기 동력발생부(100)의 수직판(130)의 일단에 호형으로 형성되는 제1기어(131); 및 상기 제1기어(131)에 맞물리는 제2기어(2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판(130)이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일단에 호형으로 상기 제1기어(131)가 형성되고, 이에 맞물리도록 상기 제2기어(21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기어(210)는 상기 몸체(6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축에 연결되어, 상기 수직판(130)이 회전되면 상기 제1기어(131)에 맞물리는 상기 제2기어(210)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200)의 제2기어(210)의 일측에 제2동력전달수단(30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동력전달수단(300)은 상기 제2기어(210)의 일측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하부동력전달수단(310); 상기 권취봉(500)의 일측에 연결되는 상부동력전달수단(320); 및 상기 하부동력전달수단(310)과 상부동력전달수단(320)을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연결수단(3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3동력전달수단(400)은 상기 상부동력전달수단(320) 또는 동력연결수단(330)에 결합되어, 상기 권취봉(500)이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하부동력전달수단(310)이 상기 제2기어(2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수직베벨기어(311)이고, 상기 상부동력전달수단(320)은 상기 권취봉(5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수직베벨기어(321)이며, 상기 동력연결수단(330)은 상기 하부동력전달수단(310)의 상기 수직베벨기어(311)에 맞물리는 수평베벨기어(312); 상기 상부동력전달수단(320)의 수직베벨기어(321)에 맞물리는 수평베벨기어(322); 및 상기 수평베벨기어(312,322)들에 양단이 연되는 동력전달축(331)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3동력전달수단(400)은 상기 상부동력전달수단(320)의 수직베벨기어(321) 또는 상기 수평베벨기어(312,322)들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발생부(10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이 상기 권취봉(500)으로 전달되되, 상기 제3동력전달수단(400)에 의해 상기 권취봉(500)은 일방향으로만 회전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3동력전달수단(400)은 일방향 클러치 또는 클러치 베어링일 수 있다.
즉, 상기 제3동력전달수단(400)은 일방향으로는 회전력을 전달하나 그 반대 방향으로는 공회전 되도록 하는 장치이며, 다양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동력전달수단(400)이 결합되는 부분으로는, 상기 상부동력전달수단(320)의 수직베벨기어(321) 또는 상기 수평베벨기어(312,322)들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수평베벨기어(312)에 외륜(411)이 결합되고 상기 동력전달축(331)에 내륜(412)이 결합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수단(200,300,400)들이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동력발생부(100)의 페달(120) 및 상기 권취봉(500)의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몸체(600)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600)의 하측에 상기 페달(120)이 돌출되고 상측에 권취봉(500)이 돌출된다.
이때, 상기 페달(120)과 권취봉(500)은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되어 상기 페달(120)을 밟기 용이하게 구성되며, 상기 몸체(600)의 하면에는 받침판(610)이 형성되어 흔들리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페달(120)이 상하로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600)가 일부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권취봉(500)이 위치되는 부분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권취봉(500)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발생부(100)의 페달(120) 및 상기 몸체(600)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도록 탄성수단(700)이 결합된다.
즉, 상기 탄성수단(700)이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회전축에 삽입되어 상기 페달(120)과 몸체(600)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상기 페달(120)을 발로 밟았다 떼었을 때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권취봉(500)은 일단에 소방 호스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절개홈(510)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소방 호스 수거기(1000)는, 상기 권취봉(500)에 형성되는 절개홈(510)에 소방 호스를 삽입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페달(120)을 발로 밟으면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수직판(130)이 상승된다.
이때, 상기 수직판(130)의 일단에 형성되는 호형상의 제1기어(131)가 제2기어(210)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2기어(210)에 결합된 수직베벨기어(311)가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베벨기어(311)에 맞물리는 수평베벨기어(312)가 회전되며, 이때 상기 수평베벨기어(312)에 결합되는 클러치 베어링의 외륜(411)과 내륜(412)이 함께 회전되며 상기 동력전달축(331)으로 회전력이 전달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회전력이 전달되어 상기 수평베벨기어(312)가 회전되면, 이에 결합되는 상기 클러치 베어링의 외륜(411)이 회전되고 상기 외륜(411)과 내륜(412) 사이에 개재되는 볼(413)에 의해 상기 외륜(411)과 내륜(412)이 고정되어 함께 회전되며, 이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축(331)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축(331)의 상단에 결합되는 수평베벨기어(322)가 회전되고 이에 수직베벨기어(321)가 맞물려 회전되며, 상기 권취봉(500)은 상기 수직베벨기어(321)과 연결축(520)으로 연결되어 회전됨으로써 소방 호스가 감기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페달(120)에서 발을 떼면 상기 수직판(130)이 하강하고 제2기어(210)와 그 일면에 결합되는 수직베벨기어(311)가 반대로 회전되고 이에 맞물리는 수평베벨기어(312)가 회전되는데, 이때 상기 클러치 베어링의 외륜(411)은 상기 수평베벨기어(312)와 함께 회전되나 내륜(412)은 회전되지 않는다.
그리하여 상기 클러치 베어링에 의해 회전력이 차단되어 상기 권취봉(500)은 회전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페달(120)을 발로 밟았다 떼는 과정을 수차례 반복함으로써, 길이가 긴 소방 호스를 상기 권취봉(500)에 감을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소방 호스를 발로 밟아 감을 수 있어 종래에 손으로 감거나 접어서 보관하던 것에 비해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작업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권취봉(500)은 일측에 절개홈(510)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절개홈(510)에 소방 호스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권취봉(500)을 회전시켜 소방 호스를 감을 수 있으며, 소방 호스를 감은 후에 감겨진 상태의 소방 호스 롤을 탈거하기 용이하다.
또한, 상기 제2기어(210)의 크기보다 상기 수직베벨기어(311)의 크기가 매우 크게 형성되어, 상기 페달(120)을 밟았을 때 상기 권취봉(500)이 많이 회전되도록 하여 5 내지 8회 발로 밟아 소방 호스를 빨리 감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4와 같이 상기 몸체(600)에는 원통형의 커버(8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600)에 일면이 결합되되 중앙에 상기 권취봉(500)이 위치되도록 결합되며, 타면은 개방되게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 투입부(81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권취봉(500)의 절개홈(510)에 소방 호스(900)를 끼워 고정하여 연결구(910)가 걸려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투입부(810)의 개방된 측면으로 소방 호스(900)를 투입하고 소방 호스(900)를 감으면, 상기 커버(800)의 투입부(810)를 따라 일정하게 딸려오며 또한 상기 커버(800)의 측면에 닿으면서 정돈되어 가지런하게 소방 호스(900)가 감겨질 수 있다.
이때,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권취봉(500)에는 회전판(870)이 결합되어 상기 권취봉(500)과 회전판(870)이 함께 회전되어 소방 호스가 원활하게 감길 수 있으며, 상기 회전판(870)은 상기 권취봉(500)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거나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투입부(810)는 단부를 둥글게 형성하여 소방 호스(900)가 걸리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투입부(810) 측면에는 가이드 클립(820)이 형성되어, 소방 호스(9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클립(820)은 상기 투입부(810)에 일측이 핀(840)으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타측은 고정홈(830)이 형성되어 핀(85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클립(820)의 상측이 핀(840)으로 결합되고 경사진 상태로 자중에 의해 하측이 핀(850)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가이드 클립(82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올린 상태에서 소방 호스(900)를 삽입하고 다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핀(950)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800)는 상측에 손잡이(860)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상기 페달(120)을 밟아 소방 호스(900)를 감을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커버(800)의 하부에 받침대(880)가 형성되어 보다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860) 및 받침대(870)는 접을 수 있도록 결합되어 사용 후 상기 손잡이(860)와 받침대(870)를 접어 부피를 줄여 보관하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200) 및 제2동력전달수단(300)이 기어 및 축으로 형성되는 형태를 나타내었으나, 마찰차 또는 체인스프라켓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어의 형태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방 호스 수거기는 스테인리스, FRP,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용도의 특성상 부식에 강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소방 호스는 물론 기타 다양한 종류의 호스들을 감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소방서, 농가 및 건축현장 등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본 발명의) 소방 호스 수거기
100 : 동력발생부
110 : 회전축 120 : 페달
130 : 수직판 131 : 제1기어
200 : 제1동력전달수단
210 : 제2기어
300 : 제2동력전달수단
310 : 하부동력전달수단
311 : 수직베벨기어 312 : 수평베벨기어
320 : 상부동력전달수단
321 : 수직베벨기어 322 : 수평베벨기어
330 : 동력연결수단 331 : 동력전달축
400 : 제3동력전달수단
411 : 외륜 412 : 내륜
413 : 볼
500 : 권취봉
510 : 절개홈 520 : 연결축
600 : 몸체 610 : 받침판
700 : 탄성수단
800 : 커버 810 : 투입부
820 : 가이드 클립 830 : 고정홈
840,850 : 핀 860 : 손잡이
870 : 회전판 880 : 받침대
900 : 소방 호스 910 : 연결구

Claims (12)

  1.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일측에 페달(120)이 형성되고 타측에 수직판(130)이 형성되는 동력발생부(100);
    상기 동력발생부(100)의 수직판(130)에 일측이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동력전달수단(200);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200)에 일측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수단(300);
    상기 제2동력전달수단(300)에 일측이 연결되어 회전되는 권취봉(500);
    상기 동력전달수단(200,300)들이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동력발생부(100)의 페달(120) 및 상기 권취봉(500)의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몸체(600); 및
    상기 동력발생부(100)의 페달(120) 및 상기 몸체(600)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탄성수단(700); 을 포함하며,
    상기 제2동력전달수단(300)은 일방향으로만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3동력전달수단(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권취봉(500)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호스 수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200)은 상기 동력발생부(100)의 수직판(130)의 일단에 호형으로 형성되는 제1기어(131); 및 상기 제1기어(131)에 맞물리는 제2기어(2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호스 수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력전달수단(300)은 상기 제2기어(210)의 일측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하부동력전달수단(310);
    상기 권취봉(500)의 일측에 연결되는 상부동력전달수단(320); 및
    상기 하부동력전달수단(310)과 상부동력전달수단(320)을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연결수단(3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3동력전달수단(400)은 상기 상부동력전달수단(320) 또는 동력연결수단(330)에 결합되어, 상기 권취봉(500)이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호스 수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동력전달수단(310)은 상기 제2기어(2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수직베벨기어(311)이고,
    상기 상부동력전달수단(320)은 상기 권취봉(5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수직베벨기어(321)이며,
    상기 동력연결수단(330)은 상기 하부동력전달수단(310)의 상기 수직베벨기어(311)에 맞물리는 수평베벨기어(312); 상기 상부동력전달수단(320)의 수직베벨기어(321)에 맞물리는 수평베벨기어(322); 및 상기 수평베벨기어(312,322)들에 양단이 연결되는 동력전달축(3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3동력전달수단(400)은 상기 상부동력전달수단(320)의 수직베벨기어(321) 또는 상기 수평베벨기어(312,322)들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호스 수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동력전달수단(400)은 일방향 클러치 또는 클러치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호스 수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봉(500)은 일측에 절개홈(5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호스 수거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600)에 일면이 결합되되 중앙에 상기 권취봉(500)이 위치되도록 결합되며, 타면은 개방되게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 투입부(810)가 형성되는 커버(8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호스 수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봉(500)은 일측에 회전판(87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호스 수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810) 측면에는 호스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 클립(8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호스 수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클립(820)은 상기 투입부(810)에 일측이 핀(840)으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타측은 고정홈(830)이 형성되어 핀(85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호스 수거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800)는 일측에 손잡이(86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호스 수거기.
KR1020110051703A 2011-05-30 2011-05-30 소방 호스 수거기 KR101330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703A KR101330248B1 (ko) 2011-05-30 2011-05-30 소방 호스 수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703A KR101330248B1 (ko) 2011-05-30 2011-05-30 소방 호스 수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169A KR20120133169A (ko) 2012-12-10
KR101330248B1 true KR101330248B1 (ko) 2013-11-18

Family

ID=47516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703A KR101330248B1 (ko) 2011-05-30 2011-05-30 소방 호스 수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02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92335A (zh) * 2016-04-15 2016-06-22 苏州市晨彩纺织研发有限公司 一种纺织用缠纱装置
KR102026433B1 (ko) * 2019-06-14 2019-11-04 김진기 블리스터 포장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051B1 (ko) * 2017-06-14 2018-08-1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화기 회전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865Y1 (ko) * 1995-12-16 1999-01-15 이종암 소방 호스 권취기
KR200271669Y1 (ko) * 2002-01-03 2002-04-10 김종만 소방호스릴
KR200439622Y1 (ko) * 2006-12-21 2008-04-22 강지선 와이어 권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865Y1 (ko) * 1995-12-16 1999-01-15 이종암 소방 호스 권취기
KR200271669Y1 (ko) * 2002-01-03 2002-04-10 김종만 소방호스릴
KR200439622Y1 (ko) * 2006-12-21 2008-04-22 강지선 와이어 권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92335A (zh) * 2016-04-15 2016-06-22 苏州市晨彩纺织研发有限公司 一种纺织用缠纱装置
KR102026433B1 (ko) * 2019-06-14 2019-11-04 김진기 블리스터 포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169A (ko)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0248B1 (ko) 소방 호스 수거기
US9884214B1 (en) Hose winding device
KR101797472B1 (ko) 소방호스 권취 장치
KR102085660B1 (ko) 소방호스 권취기
CN204237379U (zh) 卷绕软管束或缆线束的卷筒的曲柄、卷筒和高压清洁设备
CN203808610U (zh) 便捷式围护装置
KR100955096B1 (ko) 이동식 소방호스 두루마리 장치
US10179352B2 (en) Pivoting tube brush
KR102333930B1 (ko) 탈부착식 소방호스 권취기
CN206772327U (zh) 一种汽车线束检测台
KR101572804B1 (ko) 유압호스 자동 와인딩 장치
CN208877780U (zh) 一种移动式泡沫灭火装置
CN214209254U (zh) 一种消防水带收纳架设绞盘
CN201999577U (zh) 一种消防水龙带卷收装置
CN203602166U (zh) 一种电动消防卷管机
US9517496B2 (en) Fire-tube boiler cleaner
KR200480708Y1 (ko) 잔수제거용 호스말이
KR102110713B1 (ko) 소방호스용 권취기
KR20240042753A (ko) 가이드 조절식 소방호스 권취장치
CN214050294U (zh) 便携式消防水带收卷装置
CN209601845U (zh) 一种手摇收纳装置轮毂
KR101505771B1 (ko) 호스릴의 클러치 장치
KR200269359Y1 (ko) 로우프 엉킴 방지 권취기
CN111888701A (zh) 一种平衡的消防水带快速展开出水和收整装置
US1649224A (en) Clothesline r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