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0151B1 - 이중 블로우 용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블로우 용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151B1
KR101330151B1 KR1020110034423A KR20110034423A KR101330151B1 KR 101330151 B1 KR101330151 B1 KR 101330151B1 KR 1020110034423 A KR1020110034423 A KR 1020110034423A KR 20110034423 A KR20110034423 A KR 20110034423A KR 101330151 B1 KR101330151 B1 KR 101330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ner container
conpol
weight
pet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6781A (ko
Inventor
이도훈
임종백
Original Assignee
임종백
부국티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백, 부국티엔씨(주) filed Critical 임종백
Priority to KR1020110034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151B1/ko
Publication of KR20120116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8Copolymers of 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20Flexible squeeze tubes, e.g. for cosme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블로우 용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부에 액상의 화장용 내용물이 충전되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의 내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외부용기로 이루어진 이중 블로우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는 PE 100 중량%에 CONPOL 5 내지 10 중량%가 배합된 것으로 성형되고, 상기 외부용기는 PETG와 PCTG중 어느 하나 또는 동일 중량%로 배합된 PETG 및 PCTG로 성형함으로써, 외부용기로부터의 내부용기 분리성을 향상시키고, 내부용기 내에 잔량을 최소화하여 화장품 낭비를 방지함과 아울러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동시에 성형함에 따라 두 재질간의 작용에 따라 발생하는 악취를 저하시켜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중 블로우 용기 제조방법{DOUBLE BLOW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이중 블로우 용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용기를 PE 100 중량%에 CONPOL 5 내지 10 중량%가 배합된 것으로 성형하고 외부용기를 PETG와 PCTG 중 어느 하나 또는 동일 중량%로 배합된 PETG 및 PCTG로 성형함으로써, 외부용기로부터의 내부용기 분리성을 향상시키고, 내부용기 내의 잔량을 최소화하여 화장품 낭비를 방지함과 아울러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동시에 성형함에 따라 두 재질간의 작용에 따라 발생하는 악취를 저하시켜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이중 블로우 용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로우 용기는 화장용 내용물이 수납되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의 내부용기와 내부용기를 감싸도록 구비된 외부용기를 동시에 성형하는 이중 블로우 용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블로우 용기는 펌핑수단에 의한 펌핑작업시 외부용기의 내주면으로부터 내부용기가 박리되면서 찌그러지고, 그에 의해 내부용기에 수납된 화장용 내용물이 토출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블로우 용기는 내부용기가 나일론 재질로 마련되어 찌그러짐이 좋지 못하고, 결과적으로는 내부용기에 수납된 화장용 내용물의 토출작업이 원할하게 수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부용기 내에 화장품 내용물이 많이 남게 되어 화장품 낭비를 초래함과 아울러 나일론 재질 등으로 마련되는 내부용기 재질의 특성상 외부용기와 동시에 이중 블로우 성형을 할 때 재질 상호간 작용에 의해 악취가 발생되어 작업환경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용기를 PE 100 중량%에 CONPOL 5 내지 10 중량%가 배합된 것으로 성형하고 외부용기를 PETG와 PCTG 중 어느 하나 또는 동일 중량%로 배합된 PETG 및 PCTG로 성형함으로써, 외부용기로부터의 내부용기 분리성을 향상시키고, 내부용기 내에 잔량을 최소화하여 화장품 낭비를 방지함과 아울러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동시에 성형함에 따라 두 재질간의 작용에 따라 발생하는 악취를 저하시켜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이중 블로우 용기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내부에 액상의 화장용 내용물이 충전되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의 내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외부용기로 이루어진 이중 블로우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는 PE(Polyethyene), PP(Polypropylene) 또는 Surlyn(Surlyn® : DuPont) 중 어느 하나 100 중량%에 CONPOL(Conpol™ : DuPont) 5 내지 10 중량%가 배합된 것으로 성형되고, 상기 외부용기는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글리콜)와 PCTG(Polycyclohexylene Dimethylene Terephthalate:폴리사이클로헥실렌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동일 중량%로 배합된 PETG 및 PCTG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블로우 용기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상기 CONPOL은 끈적임을 방지하는 Anti Blocking Agent(안티 블로킹 에이전트)역할을 하며, 경화 시 표면을 매끄럽게 해주는 Slip Agent(슬립 에이전트)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외부용기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는 PETG와 PCTG 중 어느 하나 또는 동일 중량%로 배합된 PETG 및 PCTG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블로우 용기 제조방법에 의하면, 펌핑수단에 의한 펌핑작업시 외부용기로부터 내부용기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블로우 용기 제조방법에 의하면, 내부용기의 찌그러짐이 원활하여 내용물의 토출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블로우 용기 제조방법에 의하면, 내부용기 내에 잔량을 최소화하여 화장품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블로우 용기 제조방법에 의하면, 내부/외부용기로 이루어진 이중 블로우 용기 성형시 발생하는 악취를 저하시켜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블로우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블로우 용기의 측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블로우 용기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우 용기(110)는, 화장(Make_Up)용 내용물이 수납된 내부용기(112)와, 내부용기(112)를 감싸는 형태로 이중 블로우 성형되는 외부용기(114)로 이루어져 화장품 용기(100)를 구성한다.
내부용기(112)의 내부에는 액상의 화장용 내용물이 충전되는 수납공간(112a)이 형성된다. 내부용기(112)의 상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용 내용물이 토출되는 토출부(112b)가 구비된다. 토출부(112b)의 외주면부에는 후술할 펌핑수단(120)이 결합되는 나사산 형태의 결합부(112c)가 성형된다.
내부용기(112)는 펌핑수단(120)에 의한 펌핑작업에 의해 찌그러지면서 수납된 화장용 내용물의 토출이 가능한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마련된다.
내부용기(112)는 외부용기(114)의 내주면부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찌그러짐이 이루어져야 하는 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내부용기(112)의 재질은 다음과 같이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내부용기(112)는 PE(Polyethyene) 100 중량%에 CONPOL 5 내지 10 중량%가 배합된 것으로 성형될 수도 있고, PP(Polypropylene) 100 중량% 대비 CONPOL 5 내지 10 중량%가 배합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Surlyn(썰린) 100 중량%에 CONPOL 5 내지 10 중량%가 배합된 것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CONPOL(Controlled Polymer:콘트롤드 폴리머)는 듀폰(DuPont)에서 개발한 폴리머로서, Ethylene/Methacrylic acid copolymer(에틸렌메타크릴산(EMAA)공중합체), Flux-calcined diatomaceous earth(규조토 융제소성품), Cristobalite(크리스토발라이트) 및 Silica(실리카)를 포함하여, 끈적임을 방지하는 Anti Blocking Agent(안티 블로킹 에이전트) 역할과 경화시 표면을 매끄럽게 해주는 Slip Agent(슬립 에이전트)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Surlyn(썰린)은 듀폰(DuPont)에서 개발한 플라스틱으로서, 에틸렌과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카복실기를 아연 또는 나트륨 등의 금속으로 부분적으로 중화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재질로 마련된 내부용기(112)는, 외부용기(114)로부터의 분리성 향상외에 찌그러짐을 좋게 함으로서 내부용기(112) 내에 잔량을 최소화하여 화장품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성형 작업시 악취발생을 저하시켜 작업환경을 개선하는 장점이 있다.
외부용기(114)는 경질(硬質)의 재질로 마련되어 내부용기(112)를 감싸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외부용기(114)의 재질은 다음과 같이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외부용기(114)는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글리콜)와 PCTG(Polycyclohexylene Dimethylene Terephthalate:폴리사이클로헥실렌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동일 중량%로 배합된 PETG 및 PCTG로 이루어진다.
( 실험예1 )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우 용기(110)에서 외부용기(114)가 PETG일 경우, 내부용기(112)의 재질에 따른 성형 작업시 악취도, 내부/외부용기 분리시의 압력, 화장용 내용물의 용기내 잔량을 관찰하여 그 결과를 아래의 표1 내지 표3에 기재하였다.
내부용기 재질이 PE + CONPOL 또는 PE
PE : CONPOL 중량%비 악취도 (1~10) 분리압력 (㎏f/㎠) 잔 량 (%)
100:0 0.6 1.6 2
95:5 0.5 1.8 2
90:10 0.3 1.5 1
85:15 0.7 1.7 2
80:20 5 4 4
50:50 7 6 6
20:80 9 8 7
내부용기 재질이 PP + CONPOL 또는 PP
PP : CONPOL 중량%비 악취도 (1~10) 분리압력 (㎏f/㎠) 잔 량 (%)
100:0 0.6 1.6 2
95:5 0.5 1.7 2
90:10 0.3 1.5 1
85:15 0.7 1.7 2
80:20 4 5 5
50:50 6 6 6
20:80 8 8 7
내부용기 재질이 Surlyn + CONPOL 또는 Surlyn
Surlyn : CONPOL 중량%비 악취도 (1~10) 분리압력 (㎏f/㎠) 잔 량 (%)
100:0 0.6 1.8 2
95:5 0.6 2 2
90:10 0.5 1.5 1
85:15 0.7 2 2
80:20 6 5 5
50:50 7 6 6
20:80 8 8 8
상기 표1 내지 표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외부용기(114)의 재질이 PETG일 경우, 내부용기(112)의 재질이 PE 또는 PP 또는 Surlyn 각각의 100 중량% 대비 5 내지 15 중량%로 배합되는 CONPOL로 성형되거나, PE, PP 또는 Surlyn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선택적으로 성형될 때의 악취도가 0.3~0.7로 가장 낮게 평가되었으며 낮은 압력으로 인해 내부용기(112)와 외부용기(114)의 분리성이 우수하여 화장용 내용물의 잔량이 1~2%로 가장 낮게 관찰되었다.
( 실험예2 )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우 용기(110)에서 외부용기(114)의 재질이 PCTG일 때, 내부용기(112)의 재질에 따른 성형 작업시 악취도, 내부/외부용기 분리시의 압력, 화장용 내용물의 용기내 잔량을 관찰하여 그 결과를 아래의 표4 내지 표6에 기재하였다.
내부용기 재질이 PE + CONPOL 또는 PE
PE : CONPOL 중량%비 악취도 (1~10) 분리압력 (㎏f/㎠) 잔 량 (%)
100:0 0.7 1.7 2
95:5 0.5 1.8 2
90:10 0.3 1.5 1
85:15 0.7 1.7 2
80:20 5 4 4
50:50 7 6 6
20:80 9 8 7
내부용기 재질이 PP + CONPOL 또는 PP
PP : CONPOL 중량%비 악취도 (1~10) 분리압력 (㎏f/㎠) 잔 량 (%)
100:0 0.6 1.8 2
95:5 0.5 1.7 2
90:10 0.3 1.5 1
85:15 0.7 1.7 2
80:20 4 5 5
50:50 6 6 6
20:80 8 8 8
내부용기 재질이 Surlyn + CONPOL 또는 Surlyn
Surlyn : CONPOL 중량%비 악취도 (1~10) 분리압력 (㎏f/㎠) 잔 량 (%)
100:0 0.7 1.7 2
95:5 0.6 2 2
90:10 0.5 1.5 1
85:15 0.8 2 2
80:20 6 5 5
50:50 7 6 6
20:80 8 8 8
상기 표4 내지 6로부터 알 수 있듯이, 외부용기(114)의 재질이 PCTG일 경우, 내부용기(112)의 재질이 PE 또는 PP 또는 Surlyn 각각의 100 중량% 대비 5 내지 15 중량%로 배합되는 CONPOL로 성형되거나, PE, PP 또는 Surlyn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선택적으로 성형될 때의 악취도가 0.3~0.7로 가장 낮게 평가되었으며 낮은 압력으로 인해 내부용기(112)와 외부용기(114)의 분리성이 우수하여 화장용 내용물의 잔량이 1~2%로 가장 낮게 관찰되었다.
( 실험예3 )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우 용기(110)에서 외부용기(114)가 동일 중량%로 배합된 PETG 및 PCTG일 경우, 내부용기(112)의 재질에 따른 성형 작업시 악취도, 내부/외부용기 분리시의 압력, 화장용 내용물의 용기내 잔량을 관찰하여 아래의 표7 내지 표9에 기재하였다.
내부용기 재질이 PE + CONPOL 또는 PE
PE : CONPOL 중량%비 악취도 (1~10) 분리압력 (㎏f/㎠) 잔 량 (%)
100:0 0.6 1.7 2
95:5 0.5 1.8 2
90:10 0.3 1.5 1
85:15 0.7 1.7 2
80:20 5 4 4
50:50 7 6 6
20:80 9 8 7
내부용기 재질이 PP + CONPOL 또는 PP
PP : CONPOL 중량%비 악취도 (1~10) 분리압력 (㎏f/㎠) 잔 량 (%)
100:0 0.7 1.7 2
95:5 0.5 1.7 2
90:10 0.3 1.5 2
85:15 0.7 1.7 2
80:20 4 5 5
50:50 6 6 6
20:80 8 8 8
내부용기 재질이 Surlyn + CONPOL 또는 Surlyn
Surlyn : CONPOL 중량%비 악취도 (1~10) 분리압력 (㎏f/㎠) 잔 량 (%)
100:0 0.7 1.8 2
95:5 0.6 2 1
90:10 0.5 1.5 1
85:15 0.7 2 2
80:20 6 5 5
50:50 7 6 6
20:80 8 8 8
상기 표7 내지 표9로부터 알 수 있듯이 외부용기(114)의 재질이 동일 중량%로 배합된 PETG 및 PCTG일 경우, 내부용기(112)의 재질이 PE 또는 PP 또는 Surlyn 각각의 100 중량% 대비 5 내지 15 중량%로 배합되는 CONPOL로 성형되거나, PE, PP 또는 Surlyn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선택적으로 성형될 때의 악취도가 0.3~0.7로 가장 낮게 평가되었으며 낮은 압력으로 인해 내부용기(112)와 외부용기(114)의 분리성이 우수하여 화장용 내용물의 잔량이 1~2%로 가장 낮게 관찰되었다.
( 실험예4 )
한편, 외부용기(114)의 재질이 PETG이고 내부용기(112)의 재질을 나일론, 에틸렌알콜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합성수지로 성형했을 경우, 내부/외부용기와의 분리압력, 화장용 조성물의 잔량, 이중 블로우 용기 성형시의 악취도를 비교하여 아래의 표<10>에 기재하였다.
단, PE, PP, Surlyn과 혼합된 Conpol은 PE 또는 PP 또는 Surlyn 각각의 100 중량% 대비 5 내지 15 중량%로 배합되었다.
내부용기재질 분리압력(㎏f/㎠) 잔량 (%) 악취도(1~10)
PE+CONPOL 1.5 1.5 2
PP+CONPOL 1.5 1.5 2
Surlyn+CONPOL 1.5 1.5 2
PE(Polyethyene) 2 2 3
PP(Polypropylene) 2 2 3
Surlyn 2 2 3
CONPOL 2 2 3
나일론 5 5 5
에틸렌비닐알콜공중합체 5 5 6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6 6 7
상기 <표10>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우 용기(110)의 성형에 사용되는 내부용기(112)의 재질은 나일론, 에틸비닐알콜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합성수지보다 분리압력, 잔량 및 이중 블로우 용기 성형시 악취저하도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실험예5 )
그리고, 외부용기(114)의 재질이 PCTG이고 내부용기(112)의 재질을 나일론, 에틸렌알콜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합성수지로 성형했을 경우, 내부/외부용기와의 분리압력, 화장용 조성물의 잔량, 이중 블로우 용기 성형시 악취도를 비교하여 아래 표<11>에 기재하였다.
단, PE, PP, Surlyn과 혼합된 Conpol은 PE 또는 PP 또는 Surlyn 각각의 100 중량% 대비 5 내지 15 중량%로 배합되었다.
내부용기재질 분리압력(㎏f/㎠) 잔량 (%) 악취도(1~10)
PE+CONPOL 1.5 1.5 2
PP+CONPOL 1.5 1.5 2
Surlyn+CONPOL 1.7 1.7 2
PE(Polyethyene) 2 2 3
PP(Polypropylene) 2 2 3
Surlyn 2 2 3
CONPOL 2 2 3
나일론 5 5 5
에틸렌비닐알콜공중합체 5 5 6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6 6 7
상기 <표11>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우 용기(110)의 성형에 사용되는 재질은 나일론, 에틸비닐알콜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합성수지보다 분리압력, 잔량 및 이중 블로우 용기 성형시 악취저하도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실험예6 )
아울러, 외부용기(114)의 재질이 동일 중량%로 배합된 PETG 및 PCTG이고 내부용기(112)의 재질을 나일론, 에틸렌알콜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합성수지로 성형했을 때 외부용기(114)와의 분리압력, 화장용 조성물의 잔량, 이중 블로우 용기 성형시 악취도를 비교하여 아래 표<12>에 기재하였다.
단, PE, PP, Surlyn과 혼합된 Conpol은 PE 또는 PP 또는 Surlyn 각각의 100 중량% 대비 5 내지 15 중량%로 배합되었다.
내부용기재질 분리압력(㎏f/㎠) 잔량 (%) 악취도(1~10)
PE+CONPOL 1.5 1.5 2
PP+CONPOL 1.5 1.5 2
Surlyn+CONPOL 1.5 1.5 2
PE(Polyethyene) 2 2 3
PP(Polypropylene) 2 2 3
Surlyn 2 2 3
CONPOL 2 2 3
나일론 5 5 5
에틸렌비닐알콜공중합체 5 5 6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6 6 7
상기 <표12>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우 용기(110)의 성형에 사용되는 재질은 나일론, 에틸비닐알콜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합성수지보다 분리압력, 잔량 및 이중 블로우 용기 성형시 악취저하도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외부용기(114)의 일정부위(예를 들어, 용기의 하부면)에는 관통 형성된 공기유입공(116)을 구비하여 펌핑수단(120)에 의한 펌핑작업시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게 하여 내부용기(112)의 찌그러짐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우 용기(1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 내용물을 토출하는 펌핑수단(120)과, 펌핑수단(120)의 하부에 장착되는 실린더(130)와, 펌핑수단(130)의 상부에 설치되는 누름버튼(140)과, 누름버튼(140)의 승하강시 완충역할을 하는 탄성부재(150)와, 실린더(130)의 내용물유입공(132)을 개폐하는 체크밸브(160)와, 펌핑수단(150)을 감싸도록 체결되는 덮개(170)가 설치될 수 있다.
펌핑수단(120)은 내부용기(112)의 토출부(112b)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고, 누름버튼(140)의 누름조작에 의해 승하강되면서 내부용기(112)의 내부에 수납된 화장품 내용물을 토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실린더(130)는 실린더로드(133)와, 실린더로드(133)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착부재(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린더로드(133)는 일정길이로 상하 연장성형되고, 실린더(130)의 하부에 관통 성형된 내용물유입공(132)의 상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실린더로드(133)의 상부측에는 화장품 내용물의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유동공(미도시)이 성형된다.
밀착부재(134)는 실린더로드(133)의 외측에 위치되고, 실린더로드(133)의 외주면과 실린더(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기밀성을 유지하게 된다.
누름버튼(140)은 펌핑수단(120)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어 내부용기(112)의 상부에 장착된 펌핑수단(120)에 의해 승하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누름버튼(140)의 일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되게 하는 노즐(142)이 구비된다.
탄성부재(150)는 스프링(Spring) 등 탄성력을 갖는 다양한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150)는 펌핑수단(120)과 누름버튼(140)을 상향이동시켜 내부용기(112)로부터 화장품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체크밸브(160)에는 실린더로드(133)의 상하 이동에 따라 내용물유입공(13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내부용기(112)로부터 화장품 내용물을 유입하는 개폐볼(162)이 구비된다. 체크밸브(170)는 볼타입 외 등 다양한 방식으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외부용기(114)의 외부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경질(硬質)의 케이스를 더 설치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키거나 외부용기(114)를 감싸 보호할 수도 있다.
이러한 케이스는, 외부용기(114)와 동일 재질인 PETG와 PCTG 중 어느 하나 또는 동일 중량%로 배합된 PETG 및 PCTG로 마련할 수 있다.
케이스의 일정부위(예를 들어, 외부용기의 공기유입공과 인접된 위치)에는 관통 형성된 케이스용 공기유입공을 구비하여 펌핑수단(120)에 의한 펌핑작업시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게 하여 내부용기(112)의 찌그러짐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원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는 본원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화장품 용기, 110 : 블로우 용기,
112 : 내부용기, 112a : 수납용기,
112b : 토출부, 112c : 결합부,
114 : 외부용기, 120 : 펌핑수단,
130 : 실린더, 132 : 내용물유입공,
133 : 실린더로드, 134 : 밀착부재,
140 : 누름버튼, 142 : 노즐,
150 : 탄성부재, 160 : 체크밸브,
162 : 개폐볼, 170 : 덮개.

Claims (6)

  1. 내부에 액상의 화장용 내용물이 충전되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의 내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외부용기로 이루어진 이중 블로우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는 PE(Polyethyene), PP(Polypropylene) 또는 Surlyn(Surlyn® : DuPont) 중 어느 하나 100 중량%에 CONPOL(Conpol™ : DuPont) 5 내지 10 중량%가 배합된 것으로 성형되고,
    상기 외부용기는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글리콜)와 PCTG(Polycyclohexylene Dimethylene Terephthalate:폴리사이클로헥실렌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동일 중량%로 배합된 PETG 및 PCTG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블로우 용기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ONPOL은 끈적임을 방지하는 Anti Blocking Agent(안티 블로킹 에이전트) 역할을 하며, 경화 시 표면을 매끄럽게 해주는 Slip Agent(슬립 에이전트)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블로우 용기 제조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는 PETG와 PCTG 중 어느 하나 또는 동일 중량%로 배합된 PETG 및 PCTG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블로우 용기 제조방법.
KR1020110034423A 2011-04-13 2011-04-13 이중 블로우 용기 제조방법 KR101330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423A KR101330151B1 (ko) 2011-04-13 2011-04-13 이중 블로우 용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423A KR101330151B1 (ko) 2011-04-13 2011-04-13 이중 블로우 용기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781A KR20120116781A (ko) 2012-10-23
KR101330151B1 true KR101330151B1 (ko) 2013-11-15

Family

ID=47284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423A KR101330151B1 (ko) 2011-04-13 2011-04-13 이중 블로우 용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015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583A (ko) * 2001-07-13 2003-01-23 주식회사 천경 다층벽 구조를 갖는 용기와 그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859229B1 (ko) * 2006-12-27 2008-09-18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코팅효과를 갖는 다층용기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583A (ko) * 2001-07-13 2003-01-23 주식회사 천경 다층벽 구조를 갖는 용기와 그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859229B1 (ko) * 2006-12-27 2008-09-18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코팅효과를 갖는 다층용기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781A (ko) 2012-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2233B2 (en) Bottle shaped container with integrated sleeve
US10081028B2 (en) Eco-pump type cosmetic container
AU2007362344B2 (en) A fragrance dispensing pump head
JP5265136B2 (ja) 高レベルに油性物質を有するゴム組成物およびそのゴルフボールにおける使用
JP6203633B2 (ja) 二重容器
EP3015383A1 (en) Double-walled container
US8236398B2 (en) Cup-type polypropylene container and method of molding the same
JP2012532046A5 (ko)
CN104114461B (zh) 真空装置
AU2011309320A1 (en) Bottle
KR100996439B1 (ko) 화장품용기의 노즐개폐장치
KR101330151B1 (ko) 이중 블로우 용기 제조방법
KR102439604B1 (ko) 고점성 액체용 이중 용기
US9902119B2 (en) Puncture repair liquid-holding container
JP2008189317A (ja) ポンプ容器
KR20180000826A (ko) 내용기와 외용기로 이루어지는 이중 브로우 용기에서의 내용기내 전량 사용이 가능한 용기 구조
JP2009149373A (ja) ボトルキャップおよびこのボトルキャップを有する容器
JP5156365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7292788B2 (ja) 倒立二重容器
KR200482051Y1 (ko) 플라스틱 이중 용기
JP6570363B2 (ja) 吐出容器
US11919016B2 (en) Discharging container
CN213324393U (zh) 一种具有防漏汤结构的塑料包装盒
JP5270141B2 (ja) ポンプ式ディスペンサー
CN104910460A (zh) 一种防漏水耐老化的保温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