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0074B1 - 이온성 액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제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이온성 액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제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074B1
KR101330074B1 KR1020100096389A KR20100096389A KR101330074B1 KR 101330074 B1 KR101330074 B1 KR 101330074B1 KR 1020100096389 A KR1020100096389 A KR 1020100096389A KR 20100096389 A KR20100096389 A KR 20100096389A KR 101330074 B1 KR101330074 B1 KR 101330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etylene
formula
compound
ionic liquid
ole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8029A (ko
Inventor
이현주
안병성
김훈식
김진형
공경택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6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074B1/ko
Priority to US12/970,346 priority patent/US8785711B2/en
Publication of KR20120038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074B1/ko
Priority to US14/308,737 priority patent/US957391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295/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 C07D295/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substituted by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s
    • C07D295/08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substituted by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s with the ring nitrogen atoms and the oxygen or sulfur atoms attached to the same carbon chain, which is not interrupted by carbocyclic rings
    • C07D295/08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substituted by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s with the ring nitrogen atoms and the oxygen or sulfur atoms attached to the same carbon chain, which is not interrupted by carbocyclic rings to an acyclic saturated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5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oxygen or sulfur atom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1/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Table
    • C07F1/08Coppe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09/00Sulfonic acids; Halides, esters, or anhydrides thereof
    • C07C309/63Esters of sulfonic acids
    • C07C309/64Esters of sulfonic acids having sulfur atoms of esterified sulf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09/68Esters of sulfonic acids having sulfur atoms of esterified sulf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1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extraction, i.e. purification or separation of liquid hydrocarbons with the aid of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07/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07/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hetero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리(I) 화합물이 포함된 에테르 작용기를 갖는 이온성 액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올레핀에 미량 함유된 아세틸렌계 탄화수소 화합물을 흡수 또는 추출 공정으로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용액을 사용하는 경우, CuX가 이온성 액체에 의해 안정화됨으로서 Cu(I)이 Cu(II)로 산화되는 현상이 억제되어, 아세틸렌 제거 성능이 장시간 유지될 뿐만 아니라 올레핀에 대한 아세틸렌계 화합물의 선택적 제거율이 크게 증가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액은 흡수액으로 뿐만 아니라 추출액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운전이 간편하고 장치비가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온성 액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제거하는 방법 {Ionic liquids,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method for removing acteylenes from olefin mixtures using the ionic liquids}
본 발명은 이온성 액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리 이온을 포함하는 이온성 액체를 이용하여 올레핀에 미량 함유된 아세틸렌계 탄화수소 화합물을 흡수 또는 추출 공정으로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산업의 기초 원료 중의 하나인 올레핀은 주로 나프타 또는 천연가스를 크래킹(cracking)하여 얻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비점이 유사한 파라핀계 탄화수소와 더불어 아세틸렌계 화합물이 함께 생성되기 때문에 순수한 올레핀을 얻기 위해서는 복잡한 분리 정제공정을 거쳐야 한다. 특히 아세틸렌계 화합물은 올레핀을 원료로 하는 폴리올레핀 생산 공정에서 촉매 독(poison)으로 작용할 뿐 아니라 제품의 질을 저하시키고, 공정 중에 종종 고체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로 변환되고 축적되어 유체의 흐름을 막거나 폭발을 일으키는 위험을 수반할 수도 있으므로 아세틸렌계 화합물의 제거는 필수적이다.
실제 상용공정에서는 올레핀에 미량 포함되어 있는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촉매하에서 수소화시켜 올레핀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아세틸렌계 화합물의 수소화 반응과정에서 생성된 올레핀과 원료 올레핀 자체가 수첨반응을 일으켜 파라핀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올레핀 손실이 야기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수첨반응에 의해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아세틸렌류만을 선택적으로 수소화시킬 수 있는 촉매가 사용되어야만 한다. 현재 상업적으로는 α-알루미나에 팔라듐을 담지시킨 촉매가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높은 수소화 활성으로 인한 파라핀의 생성 과다 및 탄소침적에 의한 촉매의 피독 현상이 심하여, 미국특허 3,755,448 및 3792981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촉매 재생 단계가 추가로 필요하다.
아세틸렌계 화합물 제거방법으로서는 수첨반응 외에도 저온증류법, 액체 흡수법, 고체 흡착법, 막 분리법 등이 알려져 있다. 이중 저온 증류법과 액체흡수법은 기체 혼합물로부터 CO 또는 올레핀과 같은 불포화 화합물을 분리하는데 흔히 쓰이고 있는 방법이나 저온 증류법은 장치비 및 운전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또는 N-메틸피롤리디논(NMP)와 같은 휘발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액체흡수법은 올레핀의 동시 흡수로 인한 낮은 선택성으로 인해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순수하게 얻기 위해서는 흡수제에 용해되어 있는 아세틸렌아세틸렌계 화합물로 부터 올레핀을 제거하는 추가적인 분리 정제과정이 필요하다. 또 반복되는 흡수제의 재생과정 중에 휘발성 유기 용매가 손실되는 문제가 있어 경제적인 측면에서 어려움이 있다.
미국특허 4,019,879 및 4,034,065에서는 분자체(Molecular sieves)를 이용하여 CO와 같은 불포화화합물을 흡착 제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흡착용량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탈기 시, 높은 온도 및 고진공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미국특허 4,717,398에서는 faujasite zeolite에 Cu(I)를 치환시킨 흡착제를 사용하여 pressure swing 방법으로 불포화화합물을 제거시키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50929-1968에서는 Cu(I) 또는 Ag(I) 화합물을 알루미나, 실리카 또는 활성탄에 담지시킨 흡착체를 사용하여 아세틸렌류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아세틸렌계 화합물이 Cu(I) 또는 Ag(I)와 반응하여 불안정하고 폭발성이 있는 구리-아세틸라이드(CuC-R) 또는 은-아세틸라이드(AgC-R)를 생성하는 문제가 있어 이들 물질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는 보다 개선된 흡착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독일 특허 2059794에서는 Cu(I)화합물과 모노에탄올아민과 같은 알카놀아민(alkanolamine)을 주성분으로 한 액체 흡수제를 사용하여 아세틸렌류를 포함한 불포화 화합물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알카놀아민에 의한 최종 생성물의 오염 및 올레핀의 동시 흡수로 인하여 추가적인 정제 장치가 필요하다. Ind. Eng. Chem. Res. 2571(1998)에서도 올레핀 및 아세틸렌과 가역적인 반응을 하는 Cu(I) 또는 Ag(I) 화합물 용액을 사용하여 불포화화합물과 파라핀을 분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흡착제의 안정성이 낮아 복잡한 재생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가 있다.
미국특허 제 3,758,603호에는 미세기공을 지닌 분리막에 은염을 담지시켜 제조한 액막을 사용하여 불포화 화합물과 포화화합물을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액막법에서는 도입되는 기체에 의해서 촉진수송 염이 유실되고 용매가 쉽게 휘발되어 분리효율을 장시간 유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미국특허 4,318,714에 개시된 것과 같이 은이온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이온을 은 이온으로 치환한 이온 교환 수지막을 사용하더라도 고정된 액막을 사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수분이 있는 상태에서만 촉진수송이 일어나기 때문에 분리막 내의 수분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시켜야 하고 분리 후에는 다시 수분을 제거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분리막이 100 ~ 500㎛ 이상으로 두꺼워야 하므로 실용적이지 못하고 분리 효율도 떨어진다.
그러나 Cu(I) 또는 Ag(I) 화합물을 사용하는 상기 방법들은 불포화 탄화수소를 포화탄화수소로부터 분리하는 데에는 사용하게 적용될 수도 있으나 불포화혼합물간의 분리에는 적용할 수 없다. 이는 Cu(I) 또는 Ag(I) 화합물이 이중결합 및 삼중결합화합물과 비슷한 세기의 π-착화합물을 형성하기 때문에 분리 선택성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올레핀 중에서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구리(Cu) 이온을 포함하는 이온성 액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올레핀 중에서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제거할 수 있는 구리 이온을 포함하는 이온성 액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세 번째 과제는 구리 이온을 포함하는 이온성 액체를 이용하여 올레핀에 미량 함유된 아세틸렌계 탄화수소 화합물을 흡수 또는 추출 공정으로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첫 번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유기금속화합물을 1종 이상 포함하는 이온성 액체를 제공한다.
< 화학식 1 > < 화학식 2 >
Figure 112010063971236-pat00002
< 화학식 3 > < 화학식 4 >
Figure 112010063971236-pat00003
Figure 112010063971236-pat00004
상기 식에서,
X는 Cl, Br, I 중에서 선택된 음이온이고,
R1은 C1 ~ C4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이며,
n은 1 ~ 6의 정수이고,
Y는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설포네이트 음이온이며, 이때 R2는 C1 ~ C4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이다.
본 발명은 두 번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 반응식 (1) 내지 (3)에 따라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구리할라이드와 하기 화학식 (5) 내지 (7)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1) 내지 (3)의 유기금속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1]
Figure 112010063971236-pat00005
(5) (6) (1)
[반응식 2]
Figure 112010063971236-pat00006
(5) (7) (2)
[반응식 3]
Figure 112010063971236-pat00007
(5) (8) (3)
본 발명은 세 번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유기금속화합물을 1종 이상 포함하는 이온성 액체를 이용하여 올레핀 혼합물 중에서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CuX(X = Cl, Br, I)가 용해된 에테르 작용기를 갖는 이미다졸륨, 피롤리디늄 또는 피퍼리디늄계 이온성 액체 용액을 올레핀에 포함된 아세틸렌류 제거용 흡수 또는 추출제로 사용하는 경우, CuX가 이온성 액체에 의해 안정화됨으로서 Cu(I)이 Cu(II)로 산화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제거성능이 장시간 유지될 뿐만 아니라 올레핀에 대한 아세틸렌계 화합물의 선택적 제거율이 크게 증가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용액은 액상으로 되어 있어 흡수 및 추출공정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흡착 및 막분리 공정에 비해 훨씬 간편하고 장치비가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에테르 작용기를 갖는 이미다졸륨, 피롤리디늄 또는 피퍼리디늄계 이온성 액체 용액은 증기압이 매우 낮아 기존의 일반적인 흡수제나 추출제에 비해 유실율이 매우 적으며 또한 슬러리 상태의 흡수제 혹은 흡착제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공정이 훨씬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이온성 액체의 열적 안정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성 액체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유기금속화합물을 1종 이상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 화학식 1 > < 화학식 2 >
Figure 112010063971236-pat00008
Figure 112010063971236-pat00009
< 화학식 3 > < 화학식 4 >
Figure 112010063971236-pat00010
Figure 112010063971236-pat00011
상기 식에서,
X는 Cl, Br, I 중에서 선택된 음이온이고,
R1은 C1 ~ C4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이며,
n은 1 ~ 6의 정수이고,
Y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설포네이트 음이온이며, 이때 R2는C1 ~ C4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이다.
일반적으로 CuX는 유기 용매에 녹지 않으며 알코올 또는 아민등과 반응하여 산화되는 성질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아세틸렌류와 반응하여 폭발성이 있는 아세틸라이드를 생성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의 구조를 갖는 이온성 액체는 CuX와는 달리 쉽게 산화되지 않으며 아세틸렌계 화합물의 수소원자와의 상호작용도 약한 편이어서 아세틸라이드를 생성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CuX는 빈자리(vacant site)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중결합화합물 및 삼중결합화합물과 강한 π-결합을 하는 경향이 있으나 그 세기가 비슷하여 이중결합화합물로부터 삼중결합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반면에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의 [CuXY]-는 이미 리간드로 포화되어 있어 Cu가 이중결합 또는 삼중결합화합물과 직접적으로 π-결합할 수 있는 빈자리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중결합 화합물 및 삼중 결합화합물에 대한 결합력이 떨어지긴 하나 Cu에 결합되어 있는 염기성의 설포네이트기가 산성인 삼중결합 아세틸렌류 화합물과 비교적 강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어 올레핀 중에 포함된 미량의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효과적이며 선택적으로 제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때 Cu는 설포네이트 리간드가 아세틸렌류 화합물과 보다 더 잘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설포네이트 리간드의 위치를 최적화해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기 화학식 (1) 내지 (3)의 유기금속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1) 내지 (3)에 따라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구리할라이드와 하기 화학식 (6) 내지 (8)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 반응식 1 >
Figure 112010063971236-pat00012
(5) (6) (1)
< 반응식 2 >
Figure 112010063971236-pat00013
(5) (7) (2)
< 반응식 3 >
Figure 112010063971236-pat00014
(5) (8) (3)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5)의 CuX는 상기 화학식 (6) 내지 (8)의 화합물에 대해 5 ~ 30 wt%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10 ~ 30 wt%가 더욱 바람직하다. CuX를 너무 적게 사용하면 아세틸렌계 화합물의 제거 성능이 떨어지고, CuX를 필요 이상으로 과량 사용하면 흡수 용액의 점도가 높아져 공정상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유기금속화합물을 1종 이상 포함하는 이온성 액체를 이용하여 올레핀 혼합물 중에서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에테르 작용기를 갖는 이온성 액체에 대한 올레핀 혼합물의 양은 중량비로 0.2 ~ 5배, 바람직하게는 0.5 ~ 2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보다 적게 혹은 많이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온성 액체 용액에 대한 올레핀의 처리량이 작은 경우는 생산성에 문제가 생기고 처리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삼중결합 화합물 제거율이 낮아져 다단계의 흡수 혹은 추출공정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에서 Cu(I) 화합물이 포함된 이온성 액체 용액을 사용하여 올레핀에 포함된 아세틸렌류를 제거하는 공정으로는 흡수 혹은 추출공정이 사용할 수 있다. 조업 조건에서 올레핀이 기상이면 흡수공정이 유리하고, 액상이면 추출공정을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최소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성 액체는 올레핀 혼합물 중에서 탄소수가 2개 내지 5개인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제거하는 데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소수가 2개 내지 5개인 아세틸렌계 화합물은 예를 들어, 아세틸렌, 메틸아세틸렌, 에틸아세틸렌, 이소프로필아세틸렌을 들 수 있다. 탄소수가 2개 내지 4개(C2 ~ C4)인 올레핀은 상온에서 기체이므로 흡수공정을 사용하고 상온에서 액체로 존재하는 C5 이상의 올레핀 혼합물은 액상 추출공정을 사용하든지 또는 기화시켜 흡수공정을 선택할 수도 있다. 원료가 액상 올레핀 혼합물의 경우에는 층 분리를 통하여 아세틸렌이 포함된 이온성 액체와 올레핀 화합물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반응 온도 즉, 흡수 및 추출 온도는 통상 0 ~ 100 oC인데, 20 ~ 50 oC가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가 20 oC 보다 낮거나 50 oC 보다 높은 경우에는 불필요한 에너지가 소모가 많아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성 액체는 올레핀 혼합물 중에서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제거한 후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어 더욱 유용하다. 흡수 또는 추출 공정 후 이온성 액체 용액의 재생 온도는 탈기조건에 따라 달라지나 통상 50 ~ 200 oC이고, 80 ~ 200 oC가 바람직하다. 재생 온도가 80 oC 미만이면 재생 효율이 떨어지고, 200 oC를 초과하면 화학식 (1) 내지 (3)의 에테르 작용기를 갖는 이온성 액체가 일부 분해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탈기 시 진공 세기는 1 ~ 200 mmHg 정도가 가능하나 공업적 측면에서는 50 ~ 100 mmHg가 바람직하다. 진공도가 100 mmHg 이상이면 탈기 성능이 떨어지고, 50 mmHg 미만이면 에너지 소비가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기술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에테르 작용기를 갖는 이온성 액체의 합성
본 발명에 사용된 에테르 작용기를 갖는 이미다졸륨, 피롤리디늄 및 피퍼리디늄계 이온성 액체는 두 단계에 걸쳐 생성되는 반응으로 합성하는데, 첫 단계에서 1-메틸이미다졸과 에테르기를 갖는 글리콜류를 알칸설포닐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에테르기가 치환된 설포네이트 중간체를 합성하였고, 두 번째 단계에서 1-알킬이미다졸(1-alkylimidazole), 1-알킬피롤리디논(1-alkylpyrrolidine) 또는 1-알킬피퍼리딘(1-alkylpiperidine)을 설포네이트 중간체와 반응시켜 최종적으로 에테르 작용기를 갖는 이온성 액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메탄설포네이트의 합성
500 mL 2구 플라스크에 다이클로로메탄을 용매로 사용하여 50 g의 1-메틸이미다졸과 66 g의 메탄설포닐클로라이드를 혼합하고 10 oC에서 42 g의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를 적하한 뒤 실온에서 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물을 넣고 10분간 교반한 뒤 생성물이 녹아있는 용매 층과 부생성물이 녹아있는 물 층을 분리하여 생성물은 실온에서 증발기(evaporator)를 사용해 용매를 제거하여 얻었고 (수율:98%),부생성물인 1-메틸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는 40 wt% NaOH 수용액을 사용하여 1-메틸이미다졸로 다시 회수시켜 재사용하였다.(수율:95%)
에테르기가 치환된 다른 설포네이트 중간체 또한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실시예 1-(2): 1-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3-메틸이미다졸륨 메탄설포네이트의 합성.
환류장치가 부착된 500 mL 2구 플라스크에 벤젠을 용매로 사용하여 40 g의 1-메틸이미다졸과 90 g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메탄설포네이트를 80 oC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생성물을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디에틸에테르로 수차례 세척하여 미 반응 1-메틸이미다졸과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메탄설포네이트를 제거하고 남아 있는 이온성 액체는 60 oC 에서 진공 건조하였다.(수율96%).
에테르 작용기를 갖는 다른 이미다졸륨계 이온성 액체 또한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실시예 1-(3): 1-다이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1-메틸피롤리디늄 에탄설포네이트의 합성
환류장치가 부착된 500 mL 2구 플라스크에 벤젠을 용매로 사용하여 40 g의 1-메틸피롤리딘과 120 g의 1-다이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에탄설포네이트를 80 oC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생성물을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디에틸에테르로 수차례 세척하여 미 반응 1-메틸피롤리딘과 1-다이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에탄설포네이트를 제거하고 남아 있는 이온성 액체는 60 oC 에서 진공 건조하였다.(수율 97%).
여타 에테르 작용기를 갖는 피롤리디늄계 이온성 액체 또한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실시예 1-(4): 1-트라이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1-부틸피퍼리디늄 메탄설포네이트의 합성
환류장치가 부착된 500 mL 2구 플라스크에 벤젠을 용매로 사용하여 60 g의 1-부틸피퍼리딘과 124 g의 1-트라이에틸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테르 메탄설포네이트를 80 oC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생성물을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디에틸에테르로 수차례 세척하여 미 반응 1-부틸피퍼리딘과 1-트라이에틸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테르 메탄설포네이트를 제거하고 남아 있는 이온성 액체는 60 oC 에서 진공 건조하였다.(수율 98%).
에테르 작용기를 갖는 다른 피퍼리디늄계 이온성 액체 또한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실시예 2 - 120 : 아세틸렌계 화합물 제거 실험
실시예 2
C5 아세틸렌 화합물인 이소프로필아세틸렌(isopropenylacetylene, IPA)과 2-부타인(2-butyne, 2-BT)를 각각 1,000 ppm 포함하고 내부 표준물질인 n-헵탄(n-heptane)을 5,000 ppm 포함하고 있는 이소프렌(isoprene) 시료 1 g을 25 oC에서 CuCl 0.4 g이 1-알킬 에테를 작용기를 갖는 이미다졸륨계 이온성 액체 (1-hexa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butylimidazolium butanesulfonate) 2.0 g에 용해되어 있는 이온성 액체 용액과 혼합하였다. 1 분 교반 후 상층액 및 하층액의 조성을 GC 및 1H NMR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시료 중, IPA의 100%, 2-BT의 37%, 이소프렌의 0.05%가 이온성 액체 용액층에 추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조성 분석에는 HP-PLOT 칼럼이 부착된 Agilent사 (model 6890N) GC 및 Brucker사 400 MHz NMR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3
C5 아세틸렌 화합물인 IPA와 2-BT를 각각 1,000 ppm 포함하고 내부 표준물질인 n-헵탄을 5,000 ppm 포함되어 있는 이소프렌 시료 1 g을 25 oC에서 CuCl 0.4g이 1-알킬 에테를 작용기를 갖는 피롤리디늄계 이온성 액체인 1-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1-에틸 피롤리디늄 에탄설페이트(1-diethylene glycolmonomethylether-1-ethylpyrrolidinium ethanesulfonate) 2.0 g에 용해되어 있는 이온성 액체 용액과 혼합하였다. 1 분 교반 후 상층액 및 하층액의 조성을 GC 및 1H NMR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시료 중, IPA의 100%, 2-BT의 41%, isoprene의 0.06%가 이온성 액체 용액층에 추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조성 분석에는 HP-PLOT 칼럼이 부착된 Agilent사 (model 6890N) GC 및 Brucker사 400 MHz NMR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4
C5 아세틸렌 화합물인 IPA와 2-BT를 각각 1,000 ppm 포함하고 내부 표준물질인 n-헵탄을 5,000ppm 포함되어 있는 isoprene 시료 1 g을 25o C에서 CuCl 0.4 g이 1-알킬 에테를 작용기를 갖는 피퍼리디늄계 이온성 액체(1-hexa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 butylpiperidinium butanesulfonate) 2.0 g에 용해되어 있는 이온성 액체 용액과 혼합하였다. 1 분 교반 후 상층액 및 하층액의 조성을 GC 및 1H NMR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시료 중, IPA의 100%, 2-BT의 46%, 이소프렌의 0.08%가 이온성 액체 용액층에 추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조성 분석에는 HP-PLOT column이 부착된 Agilent사 (model 6890N) GC 및 Brucker사 400 MHz NMR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5 - 9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에서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1-알킬 에테르 작용기를 갖는 이미다졸륨계 이온성 액체의 종류를 달리하여 용액을 제조한 후, 추출실험을 실시하여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이온성 액체의 종류 아세틸렌 제거율(%)
R1 R2 n Y- IPA 2-BT
5 CH3 CH3 1 H3CSO3 100 32
6 CH3 C2H5 2 H5C2SO3 100 34
7 C4H9 CH3 3 H3CSO3 100 34
8 CH3 C3H7 4 H7C3SO3 100 35
9 C2H5 C2H5 5 H5C2SO3 100 36
10 C4H9 C4H9 6 H9C4SO3 100 37
IPA : isopropenylacetylene
2-BT : 2-butyne
실시예 11 - 16
실시예 3과 동일한 조건에서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1-알킬 에테르 작용기를 갖는 피롤리디늄계 이온성 액체의 종류를 달리하여 용액을 제조한 후, 추출실험을 실시하여 표 2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이온성 액체의 종류 아세틸렌 제거율(%)
R1 R2 n Y- IPA 2-BT
11 CH3 CH3 1 H3CSO3 100 37
12 CH3 C2H5 2 H5C2SO3 100 38
13 C4H9 CH3 3 H3CSO3 100 38
14 CH3 C3H7 4 H7C3SO3 100 39
15 C2H5 C2H5 5 H5C2SO3 100 41
16 C4H9 C4H9 6 H9C4SO3 100 41
IPA : isopropenylacetylene
2-BT : 2-butyne
실시예 17 - 22
실시예 4와 동일한 조건에서 화학식 (3)의 구조를 갖는 1-알킬 에테르 작용기를 갖는 피퍼리디늄계 이온성 액체의 종류를 달리하여 용액을 제조한 후, 추출실험을 실시하여 표 3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이온성 액체의 종류 아세틸렌 제거율(%)
R1 R2 n Y- IPA 2-BT
17 CH3 CH3 1 H3CSO3 100 40
18 CH3 C2H5 2 H5C2SO3 100 42
19 C4H9 CH3 3 H3CSO3 100 42
20 CH3 C3H7 4 H7C3SO3 100 44
21 C2H5 C2H5 5 H5C2SO3 100 44
22 C4H9 C4H9 6 H9C4SO3 100 46
IPA : isopropenylacetylene
2-BT : 2-butyne
실시예 23 - 28
실시예 2에서 에테르 작용기를 갖는 이미다졸륨계 이온성 액체에 대한 CuCl의 양을 변화시킨 용액을 제조한 후, 추출실험을 실시하여 표 4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wt.% (CuCl/IL)* 아세틸렌 제거율(%)
IPA 2-BT
23 5 87 26
24 10 95 30
25 15 100 33
26 20 100 37
27 25 100 40
28 30 100 43
*IL : 1-hexa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butylimidazolium butanesulfonate
실시예 29 - 34
실시예 3에서 에테르 작용기를 갖는 피롤리디늄계 이온성 액체에 대한 CuCl의 양을 변화시킨 용액을 제조한 후, 추출실험을 실시하여 표 5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wt.% (CuCl/IL)* 아세틸렌 제거율(%)
IPA 2-BT
29 5 91 28
30 10 98 31
31 15 100 36
32 20 100 41
33 25 100 45
34 30 100 49
*IL : 1-di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1-ethyl pyrrolidinium ethane sulfonate
실시예 35 - 40
실시예 4에서 1-에틸 에테르 작용기를 갖는 피퍼리디늄계 이온성 액체에 대한 CuCl의 양을 변화시킨 용액을 제조한 후, 추출실험을 실시하여 표 6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wt.% (CuCl/IL)* 아세틸렌 제거율(%)
IPA 2-BT
35 5 94 33
36 10 100 37
37 15 100 41
38 20 100 46
39 25 100 49
40 30 100 53
*IL : 1-hexa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 butylpiperidinium butanesulfonate
실시예 41 - 42
실시예 2에서 CuX의 종류를 달리하여 용액을 제조한 후, 추출실험을 실시하여 표 7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CuX 아세틸렌 제거율(%)
IPA 2-BT
41 CuBr 100 40
42 CuI 100 42
실시예 43 - 44
실시예 3에서 CuX의 종류를 달리하여 용액을 제조한 후, 추출실험을 실시하여 표 8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CuX 아세틸렌 제거율(%)
IPA 2-BT
43 CuBr 100 45
44 CuI 100 48
실시예 45 - 46
실시예 4에서 CuX의 종류를 달리하여 용액을 제조한 후, 추출실험을 실시하여 표 9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CuX 아세틸렌 제거율(%)
IPA 2-BT
45 CuBr 100 49
46 CuI 100 53
실시예 47 - 49
실시예 2에서 1-헥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3-부틸 이미다졸륨 부탄설포네이트(1-hexa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butyl imidazolium butanesulfonate) 2.0 g 대신, 서로 다른 2 종류의 에테르 작용기를 갖는 이미다졸륨계 이온성 액체 A, B를 각각 1.0 g 씩 사용하여 용액을 제조한 후, 추출실험을 실시하여 표 10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에테르 작용기를 갖는 이미다졸륨계 이온성 액체 아세틸렌 제거율(%)
A B IPA 2-BT
47 1-di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propyl imidazolium ethanesulfonate 1-penta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butyl imidazolium butanesulfonate 100 37
48 1-tri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butyl imidazolium butanesulfonate 1-tetraa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ethyl imidazolium methanesulfonate 100 37
49 1-hexa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methyl imidazolium propanesulfonate 1-tri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butyl imidazolium butanesulfonate 100 38
실시예 50 - 52
실시예 3에서 1-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1-에틸 피롤리디늄 에탄설포네이트(1-di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1-ethyl pyrrolidinium ethane sulfonate) 2.0 g 대신, 서로 다른 2 종류의 1-알킬 에테를 작용기를 갖는 피롤리디늄계 이온성 액체 A, B를 각각 1.0 g 씩 사용하여 용액을 제조한 후, 추출실험을 실시하여 표 1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에테르 작용기를 갖는 피롤리디늄계 이온성 액체 아세틸렌 제거율(%)
A B IPA 2-BT
50 1-di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propyl
pyrrolidinium ethanesulfonate
1-penta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butyl pyrrolidinium butanesulfonate 100 42
51 1-tri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butyl
pyrrolidinium butanesulfonate
1-tetraa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ethyl pyrrolidinium methanesulfonate 100 43
52 1-hexa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methyl pyrrolidinium propanesulfonate 1-tri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butyl pyrrolidinium butanesulfonate 100 43
실시예 53 - 55
실시예 4에서 1-헥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3-부틸피퍼리디늄 부탄설포네이트(1-hexa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 butylpiperidinium butanesulfonate) 2.0 g 대신, 서로 다른 2 종류의 1-알킬 에테를 작용기를 갖는 피퍼리디늄계 이온성 액체 A, B를 각각 1.0 g 씩 사용하여 용액을 제조한 후, 추출실험을 실시하여 표 12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에테르 작용기를 갖는 피롤리디늄계 이온성 액체 아세틸렌 제거율(%)
A B IPA 2-BT
53 1-di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propyl
piperidinium ethanesulfonate
1-penta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butyl piperidinium butanesulfonate 100 46
54 1-tri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butyl piperidinium butanesulfonate 1-tetraa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ethyl piperidinium methanesulfonate 100 47
55 1-hexa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methyl piperidinium propanesulfonate 1-tri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butyl piperidinium butanesulfonate 100 47
실시예 56 - 61
실시예 2에서 1-알킬 에테를 작용기를 갖는 이미다졸륨계 이온성 액체에 대한 시료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추출실험을 실시하여 표 13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시료(올레핀)의 양 (g)
/이온성 액체의 양 (g)
아세틸렌 제거율 (%)
IPA 2-BT
56 0.20 100 54
57 0.50 100 37
58 1.00 97 33
59 1.50 90 29
60 2.00 84 24
61 5.00 78 20
실시예 62 - 67
실시예 3에서 1-알킬 에테를 작용기를 갖는 피롤리디늄계 이온성 액체에 대한 시료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추출실험을 실시하여 표 14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시료(올레핀)의 양 (g)
/이온성 액체의 양 (g)
아세틸렌 제거율 (%)
IPA 2-BT
62 0.20 100 60
63 0.50 100 41
64 1.00 100 38
65 1.50 93 34
66 2.00 87 30
67 5.00 81 24
실시예 68-73
실시예 4에서 1-알킬 에테를 작용기를 갖는 피퍼리디늄계 이온성 액체에 대한 시료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추출실험을 실시하여 표 15와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시료(올레핀)의 양 (g)
/이온성 액체의 양 (g)
아세틸렌 제거율 (%)
IPA 2-BT
68 0.20 100 67
69 0.50 100 46
70 1.00 100 41
71 1.50 96 37
72 2.00 89 32
73 5.00 84 27
실시예 74 - 79
실시예 2에서 시료의 종류 및 에테르 작용기를 갖는 이미다졸륨계 이온성 액체의 종류를 변화시키면서 추출실험을 실시하여 표 16의 결과를 얻었다. 에테르 작용기를 갖는 이미다졸륨계 이온성 액체에 대한 CuCl의 비는 20%이며 에틸렌, 프로필렌, 1-부틸렌 시료에는 각각 아세틸렌, 메틸아세틸렌, 에틸아세틸렌이 1,000 ppm 씩 함유되어 있다.
실시예 시료 이온성 액체 아세틸렌류 제거율 (%)
74 ethylene 1-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methylimidazolium methanesulfonate 96
75 propylene 1-di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methyl imidazolium
ethanesulfonate
97
76 1-butene 1-tri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propyl imidazolium propanesulfonate 98
77 ethylene 1-tetra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butyl imidazolium propanesulfonate 99
78 propylene 1-penta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butyl imidazolium butanesulfonate 100
79 1-butene 1-hexa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butyl imidazolium butanesulfonate 100
실시예 80 - 85
실시예 3에서 시료의 종류 및 에테르 작용기를 갖는 피롤리디늄계 이온성 액체의 종류를 변화시키면서 추출실험을 실시하여 표 17의 결과를 얻었다. 에테르 작용기를 갖는 피롤리디늄계 이온성 액체에 대한 CuCl의 비는 20%이며 에틸렌, 프로필렌, 1-부틸렌 시료에는 각각 아세틸렌, 메틸아세틸렌, 에틸아세틸렌이 1,000 ppm 씩 함유되어 있다.
실시예 시료 이온성 액체 아세틸렌류 제거율 (%)
80 ethylene 1-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methylpyrrolidinium methanesulfonate 98
81 propylene 1-di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methylpyrrolidinium
ethanesulfonate
98
82 1-butene 1-tri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propylpyrrolidinium propanesulfonate 99
83 ethylene 1-tetra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butylpyrrolidinium
propanesulfonate
100
84 propylene 1-penta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butylpyrrolidinium
butanesulfonate
100
85 1-butene 1-hexa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butylpyrrolidinium
butanesulfonate
100
실시예 86 - 91
실시예 4에서 시료의 종류 및 에테르 작용기를 갖는 피퍼리디늄계 이온성 액체의 종류를 변화시키면서 흡수실험을 실시하여 표 18의 결과를 얻었다. 피퍼리디늄계 이온성 액체에 대한 CuCl의 비는 20%이며 에틸렌, 프로필렌, 1-부틸렌 시료에는 각각 아세틸렌, 메틸아세틸렌, 에틸아세틸렌이 1,000 ppm 씩 함유되어 있다.
실시예 시료 이온성 액체 아세틸렌류 제거율 (%)
86 ethylene 1-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methylpiperidinium methanesulfonate 99
87 propylene 1-di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methylpiperidinium
ethanesulfonate
99
88 1-butene 1-tri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propylpiperidinium propanesulfonate 100
89 ethylene 1-tetra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butylpiperidinium
propanesulfonate
100
90 propylene 1-penta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butylpiperidinium
butanesulfonate
100
91 1-butene 1-hexa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3-butylpiperidinium
butanesulfonate
100
실시예 92 - 96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에서 추출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실시한 결과, 표 19와 같다.
실시예 추출온도
(oC)
아세틸렌 제거율 (%)
IPA 2-BT
92 20 100 42
93 25 100 37
94 30 97 34
95 40 92 31
96 50 85 28
실시예 97 - 101
실시예 3과 동일한 조건에서 추출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실시한 결과, 표 20과 같다
실시예 추출온도
(oC)
아세틸렌 제거율 (%)
IPA 2-BT
97 20 100 47
98 25 100 41
99 30 98 37
100 40 94 34
101 50 90 30
실시예 102 - 106
실시예 4와 동일한 조건에서 추출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실시한 결과, 표 21과 같다
실시예 추출온도
(oC)
아세틸렌 제거율 (%)
IPA 2-BT
102 20 100 50
103 25 100 46
104 30 100 41
105 40 96 36
106 50 92 33
실시예 106 - 110
실시예 2와 같은 조건에서 추출실험을 실시한 후, 에테르 작용기를 갖는 이미다졸륨계 이온성 액체 용액에 추출된 탄화수소(올레핀 및 아세틸렌)를 감압시켜 탈기시켰다. 탈기온도 및 압력조건에 따라 탈기율은 다음 표 22와 같았다.
실시예 탈기온도
(oC)
탈기압력
(mmHg)
탈기율 (%)
IPA 2-BT
106 20 50 87 92
107 50 20 100 100
108 50 70 96 98
109 70 50 100 100
110 100 100 100 100
실시예 111 - 115
실시예 3과 같은 조건에서 추출실험을 실시한 후, 에테르 작용기를 갖는 피롤리디늄계 이온성 액체 용액에 추출된 탄화수소(올레핀 및 아세틸렌)를 감압시켜 탈기시켰다. 탈기온도 및 압력조건에 따라 탈기율은 다음 표 23과 같았다.
실시예 탈기온도
(oC)
탈기압력
(mmHg)
탈기율 (%)
IPA 2-BT
111 20 50 89 95
112 50 20 100 100
113 50 70 96 98
114 70 50 100 100
115 100 100 100 100
실시예 116 - 120
실시예 4와 같은 조건에서 추출실험을 실시한 후, 에테르 작용기를 갖는 피퍼리디늄계 이온성 액체 용액에 추출된 탄화수소(올레핀 및 아세틸렌)를 감압시켜 탈기시켰다. 탈기온도 및 압력조건에 따라 탈기율은 다음 표 24와 같았다.
실시예 탈기온도
(oC)
탈기압력
(mmHg)
탈기율 (%)
IPA 2-BT
116 20 50 93 98
117 50 20 100 100
118 50 70 100 100
119 70 50 100 100
120 100 100 100 100
비교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테르 작용기를 갖는 이온성 액체와 에테르 작용기를 갖지 않는 이온성 액체의 열적 안정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 이온성 액체의 TGA를 측정하여 도 1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도 1에서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따른 이온성 액체로서, 구체적으로 A는 1-트리에틸렌 글리콜 모노 에틸 에테르-3-메틸 이미다졸륨 메탄설포네이트이고, B는 1-에틸렌 글리콜 모노 에틸 에테르-3-메틸 이미다졸륨 메탄설포네이트이다. 한편 C는 1,3-디메틸 이미다졸륨 메틸포스파이트[Dimm]MeHPO3 로서 에테르 작용기를 갖지 않는 이온성 액체이다. 상기 그래프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온성 액체 A와 B의 열적안정성이 에테르 작용기를 갖지 않는 이온성 액체 C에 비해 열적 안정성이 훨씬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6)

  1.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구리할라이드를 포함하는 유기금속화합물을 1종 이상 포함하는 이온성 액체로서, 올레핀에 함유된 아세틸렌계 화합물 제거용 이온성 액체:
    < 화학식 1 > < 화학식 2 >
    Figure 112013036842809-pat00015
    Figure 112013036842809-pat00016

    < 화학식 3 > < 화학식 4 >
    Figure 112013036842809-pat00017
    Figure 112013036842809-pat00018

    상기 식에서,
    X는 Cl, Br, I 중에서 선택된 음이온이고,
    R1은 C1 ~ C4의 알킬기이며,
    n은 1 ~ 6의 정수이고,
    Y는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설포네이트 음이온이며, 이때, R2는 C1 ~ C4의 알킬기이다.
  2. 하기 반응식 (1)에 따라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구리할라이드와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1)의 올레핀에 함유된 아세틸렌계 화합물 제거용 구리할라이드를 포함하는 유기금속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 반응식 1 >
    Figure 112013036842809-pat00019

    (5) (6) (1)
    상기 식에서,
    X는 Cl, Br, I 중에서 선택된 음이온이고,
    R1은 C1 ~ C4의 알킬기이며,
    n은 1 ~ 6의 정수이고,
    Y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설포네이트 음이온이며, 이때, R2는 C1 ~ C4의 알킬기이다:
    < 화학식 4 >
    Figure 112013036842809-pat00023
  3. 하기 반응식 (2)에 따라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구리할라이드와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2)의 올레핀에 함유된 아세틸렌계 화합물 제거용 구리할라이드를 포함하는 유기금속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 반응식 2 >
    Figure 112013036842809-pat00020

    (5) (7) (2)
    상기 식에서,
    X는 Cl, Br, I 중에서 선택된 음이온이고,
    R1은 C1 ~ C4의 알킬기이며,
    n은 1 ~ 6의 정수이고,
    Y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설포네이트 음이온이며, 이때, R2는 C1 ~ C4의 알킬기이다:
    < 화학식 4 >
    Figure 112013036842809-pat00024
  4. 하기 반응식 (3)에 따라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구리할라이드와 하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3)의 올레핀에 함유된 아세틸렌계 화합물 제거용 구리할라이드를 포함하는 유기금속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 반응식 3 >
    Figure 112013036842809-pat00021

    (5) (8) (3)
    상기 식에서,
    X는 Cl, Br, I 중에서 선택된 음이온이고,
    R1은 C1 ~ C4의 알킬기이며,
    n은 1 ~ 6의 정수이고,
    Y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설포네이트 음이온이며, 이때, R2는 C1 ~ C4의 알킬기이다:
    < 화학식 4 >
    Figure 112013036842809-pat00025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5)의 CuX가 상기 화학식 (6) 내지 (8)의 화합물에 대해 5 ~ 30 wt%로 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할라이드를 포함하는 유기금속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6. 제1항에 따른 이온성 액체를 이용하여 올레핀 혼합물 중에서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제거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액체에 대한 상기 올레핀 혼합물의 양이 중량비로 0.2 내지 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 혼합물 중에서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제거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반응 온도가 0 ~ 100 o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 혼합물 중에서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제거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반응 온도가 20 ~ 50 o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 혼합물 중에서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제거하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 혼합물 중에서 탄소수가 2개 내지 5개인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제거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가 2개 내지 5개인 아세틸렌계 화합물은 아세틸렌, 메틸아세틸렌, 에틸아세틸렌, 이소프로필아세틸렌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 혼합물 중에서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제거하는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액체는 올레핀 혼합물 중에서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제거한 후 재생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제거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온도는 50 ~ 200 oC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제거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온도는 100 ~ 200 oC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제거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압력은 1 ~ 200 mmH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제거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압력은 50 ~ 100 mmH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제거하는 방법.
KR1020100096389A 2010-10-04 2010-10-04 이온성 액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제거하는 방법 KR101330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389A KR101330074B1 (ko) 2010-10-04 2010-10-04 이온성 액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제거하는 방법
US12/970,346 US8785711B2 (en) 2010-10-04 2010-12-16 Ionic liquids,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method for removing acetylenes from olefin mixtures using the ionic liquids
US14/308,737 US9573915B2 (en) 2010-10-04 2014-06-19 Ionic liquids,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method for removing acetylenes from olefin mixtures using the ionic liqui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389A KR101330074B1 (ko) 2010-10-04 2010-10-04 이온성 액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제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029A KR20120038029A (ko) 2012-04-23
KR101330074B1 true KR101330074B1 (ko) 2013-11-18

Family

ID=45890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389A KR101330074B1 (ko) 2010-10-04 2010-10-04 이온성 액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제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785711B2 (ko)
KR (1) KR1013300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75427B (zh) * 2012-09-18 2014-02-19 安徽世华化工有限公司 一种2-甲氧基甲磺酸甲酯的合成方法
WO2014065937A1 (en) * 2012-10-25 2014-05-01 Carrier Corporation Method of measuring concentrations of gas mixtures
CN114307560B (zh) * 2020-10-09 2022-11-22 中石化南京化工研究院有限公司 用于回收废气中nmp的方法
CN114950073B (zh) * 2021-07-14 2023-10-20 上海宜室建筑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提高舒适性的离子复配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9774B2 (en) * 2001-12-31 2005-02-01 Chevron U.S.A. Inc. Separation of dienes from olefins using ionic liquids
KR20100013669A (ko) * 2008-07-31 2010-02-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온성 액체계 용액을 사용한 올레핀으로부터 아세틸렌류의 제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59839A (fr) 1969-12-05 1971-06-03 Int Synthetic Rubber Purification de monomeres
US3758603A (en) 1972-05-12 1973-09-11 Standard Oil Co Process for separation of unsaturated hydrocarbons
US4019879A (en) 1975-09-26 1977-04-26 Union Carbide Corporation Selective adsorption of carbon monoxide from gas streams
US4034065A (en) 1975-09-26 1977-07-05 Union Carbide Corporation Preparation of CU+ zeolites
US4318714A (en) 1980-05-14 1982-03-09 General Electric Company Facilitated separation of a select gas through an ion exchange membrane
GB8334610D0 (en) 1983-12-30 1984-02-08 Bp Chem Int Ltd Selective absorption of carbon monoxide on zeolites
IT221594Z2 (it) 1991-01-31 1994-07-23 Rutil Srl Elemento di copertura applicabile particolarmente a calzature per calciatore
US6339182B1 (en) * 2000-06-20 2002-01-15 Chevron U.S.A. Inc. Separation of olefins from paraffins using ionic liquid solutions
WO2002074718A2 (de) * 2001-03-20 2002-09-26 Basf Aktiengesellschaft Ionische flüssigkeiten als selektive zusatzstoffe für die trennung engsiedender oder azeotroper gemische
DE10206808A1 (de) * 2002-02-19 2003-08-28 Oxeno Olefinchemie Gmbh Verfahren zur Trennung von Stoffen durch Extraktion oder Wäsche mit ionischen Flüssigkeiten
KR101123214B1 (ko) * 2009-10-20 2012-03-0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구리(ⅰ) 할로겐화물 함유 피롤리디늄계 또는 피페리디늄계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올레핀 정제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9774B2 (en) * 2001-12-31 2005-02-01 Chevron U.S.A. Inc. Separation of dienes from olefins using ionic liquids
KR20100013669A (ko) * 2008-07-31 2010-02-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온성 액체계 용액을 사용한 올레핀으로부터 아세틸렌류의 제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73915B2 (en) 2017-02-21
US20120083642A1 (en) 2012-04-05
US20140296523A1 (en) 2014-10-02
KR20120038029A (ko) 2012-04-23
US8785711B2 (en) 201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652B1 (ko) 1-부텐, 2-부텐 및 이소부텐을 포함하는 공업용 c4 탄화수소 스트림으로부터 말단 이중 결합의 함량이 50% 초과인 폴리이소부틸렌을 제조하는 방법
KR101108382B1 (ko) 2,7-옥타디에닐 유도체의 제조 방법
KR101330074B1 (ko) 이온성 액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제거하는 방법
WO2012084642A1 (en) Manufacture of vinyl chloride by hydrochlorination of acetylene in the presence of a catalytic system consisting of at least one ionic liquid
WO2007027752A1 (en) Catalytic reactions involving alkenes
EP3668826B1 (en) Ethane oxidative dehydrogenation
AU2018319128B2 (en) Ethane oxidative dehydrogenation
KR101014886B1 (ko) 이온성 액체계 용액을 사용한 올레핀으로부터 아세틸렌류의 제거방법
CN102452934A (zh) 一种乙酸仲丁酯的制备方法
CN101018754B (zh) 2,7-辛二烯基衍生物的生产方法
KR101102444B1 (ko) 이미다졸륨계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올레핀으로부터 아세틸렌류의 제거방법
US8143470B2 (en) Method of purifying olefins using pyrrolidinium-based or piperidinium-based ionic liquids comprising copper (I) halide
EP2537582A1 (en) Novel phosphine-based catalysts suitable for butadiene telomerisation
JP3702343B2 (ja) 二酸化炭素を原料とする高級アルコールの製造方法
KR100979685B1 (ko) 이온성 액체계 흡수제를 이용한 올레핀으로부터 아세틸렌류의 제거방법
US10584087B2 (en) Removal of permanganate reducing compounds from intermediate GAA process streams
CN113559924A (zh) 一种离子液体催化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40040951A (ko) 이온성 액체를 사용한 나프타 내 방향족 화합물의 분리방법
CN117986203A (zh) 萃取剂及其应用和液液萃取分离环氧丙烷与烷烃混合物的方法
US20070112238A1 (en) Telomerization of dienes
KR101118238B1 (ko) 올레핀으로부터 아세틸렌류의 분리를 위한 촉진수송 분리막
JP2014014762A (ja) 固定床反応器、それを用いたエポキシ化合物の製造方法及びその触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