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802B1 - 조립식 주택의 골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주택의 골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802B1
KR101329802B1 KR1020120026776A KR20120026776A KR101329802B1 KR 101329802 B1 KR101329802 B1 KR 101329802B1 KR 1020120026776 A KR1020120026776 A KR 1020120026776A KR 20120026776 A KR20120026776 A KR 20120026776A KR 101329802 B1 KR101329802 B1 KR 101329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eiling
protrusion
connection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4864A (ko
Inventor
김정현
Original Assignee
김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현 filed Critical 김정현
Priority to KR1020120026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802B1/ko
Publication of KR20130104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6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longitudi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26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prefabricated modules,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2Columns; Pillars; Strut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주택의 골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골조, 기둥골조, 천장골조 및 지붕골조의 연결부에 각각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돌출부를 갖는 연결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연결프레임을 매개체로 골조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상기 연결프레임에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돌출부의 구성으로 인해 교호결합을 통해 강한 내구력을 갖는 조립식 주택의 골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주택의 골조는,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열되는 바닥골조와, 상기 바닥골조의 모서리 위치 각각에서 연직으로 세워져 하단부가 상기 바닥골조에 연결되는 기둥골조와, 상기 바닥골조에 대응되는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모서리 위치 각각이 상기 기둥골조 상단부에 연결되는 천장골조와, 상기 천장골조에 연결되어 그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골조를 포함하는 조립식 주택의 골조에 있어서, 상기 기둥골조는, 지상에 연직으로 세워지는 기둥프레임과, 상기 기둥프레임의 하단부에 상기 바닥골조가 연결되도록 두 개의 돌출부가 서로 직각을 이루는 바닥연결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닥연결프레임은, 상기 두 개의 돌출부 각각이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장변돌출부와 단변돌출부가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바닥연결프레임의 돌출부와 마주보는 제2의 바닥연결프레임의 돌출부는 상기 바닥연결프레임의 돌출부와 대비하여 장변돌출부와 단변돌출부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바닥골조는, 제1바닥프레임과 제2바닥프레임이 연결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제1바닥프레임은 상기 바닥연결프레임의 장변돌출부와 상기 제2의 바닥연결프레임의 단변돌출부 사이에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바닥프레임은 상기 바닥연결프레임의 단변돌출부와 상기 제2의 바닥연결프레임의 장변돌출부 사이에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주택의 골조{FRAME STRUCTRUE OF BULIT-UP TYPE HOUSE}
본 발명은 조립식 주택의 골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골조, 기둥골조, 천장골조 및 지붕골조의 연결부에 각각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돌출부를 갖는 연결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연결프레임을 매개체로 골조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상기 연결프레임에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돌출부의 구성으로 인해 교호결합을 통해 강한 내구력을 갖는 조립식 주택의 골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돌이나 시멘트를 주재료로 하는 건축물은 그 건축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사용 후 철거가 곤란하므로 영구적인 주거 이외의 임시 용도에는 경제성이 없다.
한편, 천막(텐트)은 설치와 철거가 용이한 반면, 견고하지 못하고 보안성이 취약하여, 비교적 오래 머물기에 비교적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임시주거를 위한 가건물로서, 조립식 건축물이나 주거용으로 개량된 콘테이너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조립식 건물은 형강이나 H빔 또는 파이프등의 철강구조물로 축조된다.
그러나, 조립식 건축물은 이동이 편리한 방면에, 조립과 철거에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하며, 대부분의 조립식 건축물은 한번 조립후 영구사용의 목적을 위한 것이므로, 그 철거 및 재사용이 완전하지 못한 실정이다.
한편, 개량 콘테이너는 현재에 건설현장 사무실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무겁고 부피가 커서 운반 및 설치시 대형 트레일러와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동원해야 하고, 보관에도 커다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원발명의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출원번호 제10-2007-0041029호(발명의 명칭: 조립식 주택의 골조)를 출원한 바 있다.
상기 출원번호 제10-2007-0041029호에 따른 종래기술에 따른 조립식 주택의 골조는 바닥판, 측벽판, 천정판 및 지붕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서로 연결된 바닥골조와, 상기 바닥골조가 연결된 모서리 위치 각각에서 연직으로 세워져 하단이 상기 바닥골조에 연결된 기둥골조와, 상기 바닥골조가 형성하는 사각형에 대응되는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서로 연결되며 그 연결된 모서리 위치 각각이 상기 기둥골조 각각에 연결되는 천정골조, 및 상기 천정골조에 연결되어 그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골조를 포함하여 구성된 조립식 주택의 골조에 있어서, 상기 기둥골조는, 제1기둥프레임과 그에 결합되는 제2기둥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기둥프레임은, 서로 직각을 이루며 양측으로 연장형성된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 각각의 측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 각각의 내측단에서 양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양측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각각의 측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연장부와 마주보게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 각각의 외측단에서 양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양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측벽판걸림부를 갖는 단면을 갖고, 상기 제2기둥프레임은, 상기 제1기둥프레임의 기둥부와 대향되게 서로 직각을 이루며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기둥부와, 상기 제1기둥프레임의 결합부와 마주보게 상기 기둥부 각각의 외측단에서 양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기둥프레임의 결합부와 같은 길이로 양측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각각의 측단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측벽판지지부와, 상기 측벽판지지부 각각의 내측단에서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측방향으로 연장된 측벽판걸림부와, 상기 측벽판걸림부 각각의 측단에서 순서대로 내측 방향, 양측 방향 및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밀봉재삽입부를 갖는 단면을 가지며, 상기 측벽판은 그 측단 가장자리가 상기 제1기둥프레임의 측벽판걸림부와 상기 제2기둥프레임의 측벽판걸림부가 서로 마주본 상태에서 형성된 채널에 삽입되어 그 측단 말단이 상기 제1기둥프레임의 제2연결부와 상기 제2기둥프레임의 측벽판지지부에 지지되고, 상기 측벽판의 내면에 상기 제2기둥프레임의 밀봉재삽입부에 삽입된 밀봉재가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본원발명의 출원인은 상기의 종래기술에 따른 조립식 주택의 골조를 개선하여 보다 구조가 심플하면서도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강한 내구력을 갖는 조립식 주택의 골조를 발명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골조, 기둥골조, 천장골조 및 지붕골조의 연결부에 각각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돌출부를 갖는 연결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연결프레임을 매개체로 골조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상기 연결프레임에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돌출부의 구성으로 인해 교호결합을 통해 강한 내구력을 갖는 조립식 주택의 골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주택의 골조는,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열되는 바닥골조와, 상기 바닥골조의 모서리 위치 각각에서 연직으로 세워져 하단부가 상기 바닥골조에 연결되는 기둥골조와, 상기 바닥골조에 대응되는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모서리 위치 각각이 상기 기둥골조 상단부에 연결되는 천장골조와, 상기 천장골조에 연결되어 그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골조를 포함하는 조립식 주택의 골조에 있어서, 상기 기둥골조는, 지상에 연직으로 세워지는 기둥프레임과, 상기 기둥프레임의 하단부에 상기 바닥골조가 연결되도록 두 개의 돌출부가 서로 직각을 이루는 바닥연결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닥연결프레임은, 상기 두 개의 돌출부 각각이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장변돌출부와 단변돌출부가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바닥연결프레임의 돌출부와 마주보는 제2의 바닥연결프레임의 돌출부는 상기 바닥연결프레임의 돌출부와 대비하여 장변돌출부와 단변돌출부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바닥골조는, 제1바닥프레임과 제2바닥프레임이 연결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제1바닥프레임은 상기 바닥연결프레임의 장변돌출부와 상기 제2의 바닥연결프레임의 단변돌출부 사이에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바닥프레임은 상기 바닥연결프레임의 단변돌출부와 상기 제2의 바닥연결프레임의 장변돌출부 사이에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주택의 골조는 상기 기둥골조는, 상기 기둥프레임의 상단부에 상기 천장골조가 연결되도록 상기 바닥연결프레임에 대응되게 두 개의 돌출부는 서로 직각을 이루고, 상기 지붕골조가 연결되도록 제3의 돌출부는 상방으로 경사진 천장연결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천장연결프레임은, 상기 두 개의 돌출부 각각이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장변돌출부와 단변돌출부가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천장연결프레임의 돌출부와 마주보는 제2의 천장연결프레임의 돌출부는 상기 천장연결프레임의 돌출부와 대비하여 장변돌출부와 단변돌출부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천장골조는, 제1천장프레임과 제2천장프레임이 연결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제1천장프레임은 상기 천장연결프레임의 장변돌출부와 상기 제2의 천장연결프레임의 단변돌출부 사이에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천장프레임은 상기 천장연결프레임의 단변돌출부와 상기 제2의 천장연결프레임의 장변돌출부 사이에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주택의 골조는, 상기 지붕골조는, 상기 천장골조의 상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마룻대와, 상기 마룻대의 양단에 각각 양측방향으로 상기 천장연결프레임의 제3의 돌출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돌출부를 갖는 지붕연결프레임과, 상기 지붕연결프레임의 돌출부와 상기 천장연결프레임의 제3의 돌출부 사이에 연결되는 지붕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주택의 골조는, 상기 기둥골조 사이에서 연직으로 세워져 양단 각각이 상기 바닥골조와 상기 천장골조 각각에 연결된 중간기둥골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중간기둥골조는, 지상에 연직으로 세워지는 중간기둥프레임과, 상기 중간기둥프레임의 하단부에 상기 바닥골조가 연결되도록 두 개의 돌출부가 서로 평행을 이루는 바닥중간연결프레임과, 상기 중간기둥프레임의 상단부에 상기 천장골조가 연결되도록 두 개의 돌출부가 서로 평행을 이루는 천장중간연결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닥중간연결프레임 및 상기 천장중간연결프레임은, 각각 상기 두 개의 돌출부 각각이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장변돌출부와 단변돌출부가 상호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주택의 골조는,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바닥연결프레임의 장변돌출부와 상기 제2바닥프레임, 상기 바닥연결프레임의 단변돌출부와 상기 제1바닥프레임, 상기 제1바닥프레임과 상기 제2바닥프레임, 상기 천장연결프레임의 장변돌출부와 상기 제2천장프레임, 상기 천장연결프레임의 단변돌출부와 상기 제1천장프레임 및 상기 제1천장프레임과 상기 제2천장프레임의 상호 맞닿는 면에 동시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과; 일측은 상기 관통공에 통과되지 않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통과되는 고리부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한 고리부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주택의 골조는 상기 바닥골조와 상기 천장골조 사이에 판부재의 측벽패널이 장착되도록 상기 바닥골조 및 상기 천장골조는 상호 마주보는 면에 각각 상기 측벽패널의 하단부 및 상단부가 삽입 지지되는 측벽지지채널이 구비되고; 상기 지붕골조에 판부재의 지붕패널이 장착되도록 상기 마룻대의 양측에 각각 상기 지붕패널의 상단부가 삽입 지지되는 지붕지지채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주택의 골조는, 상기 바닥골조, 기둥골조, 천장골조 및 지붕골조는 각각 강재의 단면이 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되고 양측단에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된 한 쌍의 플랜지를 갖는 ㄷ형강으로 구성되되; 상기 측벽지지채널 및 지붕지지채널은 상기 ㄷ형강의 한 쌍의 플랜지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절곡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플랜지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주택의 골조는 연결프레임을 매개체로 골조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상기 연결프레임에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돌출부의 구성으로 인해 교호결합을 통해 강한 내구력을 갖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주택의 골조의 구조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주택의 골조의 주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주택의 골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주요부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수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수단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주택의 골조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주택의 골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주택의 골조의 구조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주택의 골조의 주요부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주택의 골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주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수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수단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주택의 골조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주택의 골조는 바닥골조(10)와, 기둥골조(20)와, 천장골조(30)와, 지붕골조(40)와, 중간기둥골조(50)와, 연결수단(60)과, 측벽지지채널(70)과, 지붕지지채널(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주택의 골조는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열되는 바닥골조(10)와, 상기 바닥골조(10)의 모서리 위치 각각에서 연직으로 세워져 하단부가 상기 바닥골조(10)에 연결되는 기둥골조(20)와, 상기 바닥골조(10)에 대응되는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모서리 위치 각각이 상기 기둥골조(20) 상단부에 연결되는 천장골조(30)와, 상기 천장골조(30)에 연결되어 그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골조(40)와, 상기 기둥골조(20) 사이에서 연직으로 세워져 양단 각각이 상기 바닥골조(10)와 상기 천장골조(30) 각각에 연결된 중간기둥골조(50)와, 각각의 골조를 연결하는 연결수단(60)과, 상기 바닥골조(10)와 상기 천장골조(30) 사이에 판부재의 측벽패널(P1)이 장착되도록 구비된 측벽지지채널(70)과, 상기 지붕골조(40)에 판부재의 지붕패널(P2)이 장착되도록 구비된 지붕지지채널(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닥골조(10)는 제1바닥프레임(11)과 제2바닥프레임(12)이 연결수단(60)에 의해 상호 결합된 상태로 지면에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열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서는 상기 기둥골조(20)의 바닥연결프레임(22)에 의해 상기 기둥골조(20)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바닥골조(10)에 바닥판(미도시)이 안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바닥보(미도시)가 상기 바닥골조(10)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둥골조(20)는 상기 바닥골조(10)의 모서리 위치 각각에서 연직으로 세워지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기둥프레임(21)과, 바닥연결프레임(22)과, 천장연결프레임(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둥프레임(21)은 조립식 주택의 4개의 모서리 기둥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단부에는 상기 바닥연결프레임(22)이 결합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천장연결프레임(23)이 결합된다.
한편, 상기 기둥프레임(21)은 상기 바닥연결프레임(22)이 하단부에 결합됨으로써 독립적으로 지상에 연직으로 세워지는 것이 가능하여 현장에서 사용자가 상기 기둥골조(20)를 먼저 세우고 상기 기둥골조(20)에 상기 바닥골조(10) 및 상기 천장골조(30)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바닥연결프레임(22)은 상기 기둥프레임(21)의 하단부에 상기 바닥골조(10)가 연결되도록 두 개의 돌출부(221, 222)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연결프레임(22)의 두 개의 돌출부(221, 222) 각각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장변돌출부(221a, 222a)와 단변돌출부(221b, 222b)가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바닥연결프레임(22)의 돌출부(221)와 마주보는 제2의 바닥연결프레임(22')의 돌출부(221')는 상기 바닥연결프레임(22)의 돌출부(221)와 대비하여 장변돌출부(221a)와 단변돌출부(221b)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골조(10)의 제1바닥프레임(11)은 상기 바닥연결프레임(22)의 장변돌출부(221a)와 상기 제2의 바닥연결프레임(22')의 단변돌출부(221b) 사이에 연결수단(6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바닥골조(10)의 제2바닥프레임(12)은 상기 바닥연결프레임(22)의 단변돌출부(221b)와 상기 제2의 바닥연결프레임(22')의 장변돌출부(221a) 사이에 연결수단(60)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서로 마주보는 상기 바닥연결프레임(22, 22') 상호간 장변돌출부(221a)와 단변돌출부(221b)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바닥프레임(11)과 상기 제2바닥프레임(12)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게 되어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게 되고, 상기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장변돌출부(221a)와 단변돌출부(221b)의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바닥연결프레임(22)과 상기 제1바닥프레임(11) 및 상기 제2바닥프레임(12)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천장연결프레임(23)은 상기 기둥프레임(21)의 상단부에 상기 천장골조(30)가 연결되도록 상기 바닥연결프레임(22)에 대응되게 두 개의 돌출부(231, 232)는 서로 직각을 이루고, 상기 지붕골조(40)가 연결되도록 제3의 돌출부(233)는 상방으로 경사지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천장연결프레임(23)의 두 개의 돌출부(231, 232) 각각은 전술한 상기 바닥연결프레임(22)에서와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장변돌출부(231a, 232a)와 단변돌출부(231b, 232b)가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천장연결프레임(23)의 돌출부(231)와 마주보는 제2의 천장연결프레임(23')의 돌출부(231')는 상기 천장연결프레임(23)의 돌출부(231)와 대비하여 장변돌출부(231a)와 단변돌출부(231b)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다.
상기 천장골조(30)는 제1천장프레임(31)과 제2천장프레임(32)이 연결수단(60)에 의해 상호 결합된 상태로 상기 바닥골조(10)에 대응되는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모서리 위치 각각이 상기 기둥골조(20) 상단부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 6에 도시되고 전술한 상기 바닥골조(10)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상기 천장골조(30)의 제1천장프레임(31)은 상기 천장연결프레임(23)의 장변돌출부(231a)와 상기 제2의 천장연결프레임(23')의 단변돌출부(231b) 사이에 연결수단(6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천장프레임(32)은 상기 천장연결프레임(23)의 단변돌출부(231b)와 상기 제2의 천장연결프레임(23')의 장변돌출부(231a) 사이에 연결수단(60)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지붕골조(40)는 상기 천장골조(30)에 연결되어 그 상부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마룻대(41)와, 지붕연결프레임(42)과, 지붕지지프레임(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룻대(41)는 상기 천장골조(30)의 상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구성으로 상기 바닥골조(10) 및 상기 천장골조(30)와 마찬가지로 제1마룻대프레임(미도시)와 제2마룻대프레임(미도시)이 연결수단(60)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붕연결프레임(42)은 상기 지붕지지프레임(43) 및 상기 마룻대(41)가 연결되는 구성으로 상기 마룻대(41)의 양단에 각각 양측방향으로 상기 천장연결프레임(23)의 제3의 돌출부(233)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돌출부(421)를 갖고 그 돌출부(421)에 상기 지붕지지프레임(43)이 연결되고, 상기 마룻대(41) 방향으로 돌출된 또 다른 돌출부(422)를 갖고 그 돌출부(422)에 상기 마룻대(41)가 연결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천장연결프레임의 제3의 돌출부(233) 및 상기 지붕연결프레임(42)의 돌출부(421, 422)는 전술한 상기 바닥연결프레임(22)의 돌출부(221, 222) 및 상기 천장연결프레임(23)의 돌출부(231, 232)와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장변돌출부(233a, 421a, 422a) 및 단변돌출부(233b, 421b, 422b)가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에 따라 상기 지붕지지프레임(43)과 상기 마룻대(41)는 각각 제1,2지붕지지프레임 및 제1,2마룻대로 나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상기 기둥골조(20)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 있으므로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중간기둥골조(50)는 상기 기둥골조(20) 사이에서 연직으로 세워져 양단 각각이 상기 바닥골조(10)와 상기 천장골조(30) 각각에 연결되어 조립식 주택을 견고하게 하는 구성으로 중간기둥프레임(51)과, 바닥중간연결프레임(52)과, 천장중간연결프레임(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간기둥프레임(51)은 상기 기둥프레임(21)에 대응되는 구성으로 상기 기둥프레임(21)과 설치되는 위치만 차이가 있다할 것이다.
상기 바닥중간연결프레임(52)은 상기 바닥연결프레임(52)에 대응되는 구성으로 상기 바닥연결프레임(52)과는 달리 상기 바닥골조(10)가 연결되도록 두 개의 돌출부(521, 522)가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두 개의 돌출부(521, 522)와 수직한 또 다른 돌출부(523)가 구비되어 바닥골조(10) 상호간 가로질러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바닥중간연결프레임(52)의 돌출부(521, 522, 523)는 상기 바닥연결프레임(22)의 돌출부(221, 222)와 마찬가지로 각각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장변돌출부(521a, 522a, 523a)와 단변돌출부(521b, 522b, 523b)가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상기 기둥골조(20)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 있으므로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천장중간연결프레임(53)은 상기 천장연결프레임(53)에 대응되는 구성으로 상기 천장연결프레임(53)과는 달리 상기 천장골조(30)가 연결되도록 두 개의 돌출부(531, 532)가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두 개의 돌출부(521, 522)와 수직한 또 다른 돌출부(533)가 구비되어 상기 지붕골조(40)의 마룻대(41)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천장중간연결프레임(53)의 돌출부(531, 532, 533)는 상기 바닥중간연결프레임(52)의 돌출부(521, 522, 523)과 마찬가지로 각각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장변돌출부(도면부호 미도시)와 단변돌출부(도면부호 미도시)가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상기 기둥골조(20)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 있으므로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수단(60)은 상기 기둥골조(20)에 상기 바닥골조(10), 천장골조(30) 및 지붕골조(4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상호 겹쳐진 프레임을 고정할 수 있는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결합수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체결 및 해체의 편의를 위하여 관통공(61)과, 고리부(62)와, 고정부(6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61)은 두 개의 프레임이 상호 겹쳐지는 위치에 동시에 관통 형성되는 구성으로 예를 들면 상기 바닥연결프레임(22)의 장변돌출부(221a)와 상기 제2바닥프레임(12), 상기 바닥연결프레임(22)의 단변돌출부(221b)와 상기 제1바닥프레임(11), 상기 제1바닥프레임(11)과 상기 제2바닥프레임(12), 상기 천장연결프레임(23)의 장변돌출부(231a)와 상기 제2천장프레임(32), 상기 천장연결프레임(23)의 단변돌출부(231b)와 상기 제1천장프레임(31) 및 상기 제1천장프레임(31)과 상기 제2천장프레임(32)의 상호 맞닿는 면에 동시에 관통 형성된다.
상기 고리부(62)는 일측(621)은 상기 관통공(61)에 통과되지 않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타측(622)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61)에 통과되는 구성이다.
상기 고정부(63)는 상기 관통공(61)에 상기 고리부(62)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61)을 통과한 상기 고리부(62)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리부(62)를 고정할 수 있는 쐐기 형상의 막대로 구성하였다.
상기 측벽지지채널(70)은 상기 바닥골조(10)와 상기 천장골조(30) 사이에 판부재의 측벽패널(P1)이 장착되도록 상기 바닥골조(10) 및 상기 천장골조(30)는 상호 마주보는 면에 각각 상기 측벽패널(P1)의 하단부 및 상단부가 삽입 지지되는 구성이고, 상기 지붕지지채널(80)은 상기 지붕골조(40)에 판부재의 지붕패널(P2)이 장착되도록 상기 마룻대(41)의 양측에 각각 상기 지붕패널(P2)의 상단부가 삽입 지지되는 구성이다.
상기 측벽지지채널(70) 및 상기 지붕지지채널(80)의 구성으로 인하여 조립식 주택의 골조에 상기 측벽패널(P1) 및 상기 지붕패널(P2)을 결합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측벽지지채널(70) 및 상기 지붕지지채널(80)은 각각 측벽패널(P1) 및 지붕패널(P2)이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의 홈이 형성된 별도의 부재를 상기 바닥골조(10), 기둥골조(20), 천장골조(30) 및 지붕골조(40)에 부착할 수도 있다할 것이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측벽지지채널(70) 및 상기 지붕지지채널(80)을 상기 바닥골조(10), 기둥골조(20), 천장골조(30) 및 지붕골조(40)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바닥골조(10), 기둥골조(20), 천장골조(30) 및 지붕골조(40)는 각각 강재의 단면이 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되고 양측단에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된 한 쌍의 플랜지(F1, F2)를 갖는 ㄷ형강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ㄷ형강의 한 쌍의 플랜지(F1, F2)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절곡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플랜지(F1, F2) 사이에 상기 측벽지지채널(70) 및 지붕지지채널(80)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장연결프레임(23)의 제3의 돌출부(233), 지붕지지프레임(4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연결프레임(42)의 돌출부(421)에도 마찬가지로 한 쌍의 플랜지(F1, F2)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절곡되도록 하여 상기 한 쌍의 플랜지(F1, F2) 사이에 지붕삼각측벽패널(미도시)이 삽입될 수 있는 지붕삼각측벽지지채널(9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주택의 골조는 상기 각종 연결프레임(22, 23, 42, 52, 53)을 매개체로 각종 골조(10, 20, 30, 40, 50)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상기 각종 연결프레임(22, 23, 42, 52, 53)에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돌출부의 구성으로 인해 교호결합을 통해 강한 내구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조립식 주택의 골조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바닥골조
11 제1바닥프레임
12 제2바닥프레임
20 기둥골조
21 기둥프레임
22 바닥연결프레임
221, 222 두 개의 돌출부
23 천장연결프레임
231, 232 두 개의 돌출부
233 제3의 돌출부
30 천장골조
31 제1천장프레임
32 제2천장프레임
40 지붕골조
41 마룻대
42 지붕연결프레임
421 돌출부
43 지붕지지프레임
50 중간기둥골조
51 중간기둥프레임
52 바닥중간연결프레임
521, 522 두 개의 돌출부
53 천장중간연결프레임
531, 532 두 개의 돌출부
60 연결수단
61 관통공
62 고리부
63 고정부
70 측벽지지채널
80 지붕지지채널

Claims (7)

  1.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열되는 바닥골조(10)와, 상기 바닥골조(10)의 모서리 위치 각각에서 연직으로 세워져 하단부가 상기 바닥골조(10)에 연결되는 기둥골조(20)와, 상기 바닥골조(10)에 대응되는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모서리 위치 각각이 상기 기둥골조(20) 상단부에 연결되는 천장골조(30)와, 상기 천장골조(30)에 연결되어 그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골조(40)를 포함하는 조립식 주택의 골조에 있어서,
    상기 기둥골조(20)는, 지상에 연직으로 세워지는 기둥프레임(21)과, 상기 기둥프레임(21)의 하단부에 상기 바닥골조(10)가 연결되도록 두 개의 돌출부(221, 222)가 서로 직각을 이루는 바닥연결프레임(2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닥연결프레임(22)은, 상기 두 개의 돌출부(221, 222) 각각이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장변돌출부(221a, 222a)와 단변돌출부(221b, 222b)가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바닥연결프레임(22)의 돌출부(221)와 마주보는 제2의 바닥연결프레임(22')의 돌출부(221')는 상기 바닥연결프레임(22)의 돌출부(221)와 대비하여 장변돌출부(221a)와 단변돌출부(221b)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바닥골조(10)는, 제1바닥프레임(11)과 제2바닥프레임(12)이 연결수단(60)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제1바닥프레임(11)은 상기 바닥연결프레임(22)의 장변돌출부(221a)와 상기 제2의 바닥연결프레임(22')의 단변돌출부(221b) 사이에 연결수단(6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바닥프레임(12)은 상기 바닥연결프레임(22)의 단변돌출부(221b)와 상기 제2의 바닥연결프레임(22')의 장변돌출부(221a) 사이에 연결수단(60)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주택의 골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골조(20)는, 상기 기둥프레임(21)의 상단부에 상기 천장골조(30)가 연결되도록 상기 바닥연결프레임(22)에 대응되게 두 개의 돌출부(231, 232)는 서로 직각을 이루고, 상기 지붕골조(40)가 연결되도록 제3의 돌출부(233)는 상방으로 경사진 천장연결프레임(2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천장연결프레임(23)은, 상기 두 개의 돌출부(231, 232) 각각이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장변돌출부(231a, 232a)와 단변돌출부(231b, 232b)가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천장연결프레임(23)의 돌출부(231)와 마주보는 제2의 천장연결프레임(23')의 돌출부(231')는 상기 천장연결프레임(23)의 돌출부(231)와 대비하여 장변돌출부(231a)와 단변돌출부(231b)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천장골조(30)는, 제1천장프레임(31)과 제2천장프레임(32)이 연결수단(60)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제1천장프레임(31)은 상기 천장연결프레임(23)의 장변돌출부(231a)와 상기 제2의 천장연결프레임(23')의 단변돌출부(231b) 사이에 연결수단(6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천장프레임(32)은 상기 천장연결프레임(23)의 단변돌출부(231b)와 상기 제2의 천장연결프레임(23')의 장변돌출부(231a) 사이에 연결수단(60)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주택의 골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골조(40)는, 상기 천장골조(30)의 상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마룻대(41)와, 상기 마룻대(41)의 양단에 각각 양측방향으로 상기 천장연결프레임(23)의 제3의 돌출부(233)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돌출부(421)를 갖는 지붕연결프레임(42)과, 상기 지붕연결프레임(42)의 돌출부(421)와 상기 천장연결프레임(23)의 제3의 돌출부(233) 사이에 연결되는 지붕지지프레임(4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주택의 골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골조(20) 사이에서 연직으로 세워져 양단 각각이 상기 바닥골조(10)와 상기 천장골조(30) 각각에 연결된 중간기둥골조(5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중간기둥골조(50)는, 지상에 연직으로 세워지는 중간기둥프레임(51)과, 상기 중간기둥프레임(51)의 하단부에 상기 바닥골조(10)가 연결되도록 두 개의 돌출부(521, 522)가 서로 평행을 이루는 바닥중간연결프레임(52)과, 상기 중간기둥프레임(51)의 상단부에 상기 천장골조(30)가 연결되도록 두 개의 돌출부(531, 532)가 서로 평행을 이루는 천장중간연결프레임(5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닥중간연결프레임(52) 및 상기 천장중간연결프레임(53)은, 각각 상기 두 개의 돌출부(521, 522)(531, 532) 각각이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장변돌출부(521a, 522a)와 단변돌출부(521b, 522b)가 상호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주택의 골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60)은, 상기 바닥연결프레임(22)의 장변돌출부(221a)와 상기 제2바닥프레임(12), 상기 바닥연결프레임(22)의 단변돌출부(221b)와 상기 제1바닥프레임(11), 상기 제1바닥프레임(11)과 상기 제2바닥프레임(12), 상기 천장연결프레임(23)의 장변돌출부(231a)와 상기 제2천장프레임(32), 상기 천장연결프레임(23)의 단변돌출부(231b)와 상기 제1천장프레임(31) 및 상기 제1천장프레임(31)과 상기 제2천장프레임(32)의 상호 맞닿는 면에 동시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61)과; 일측(621)은 상기 관통공(61)에 통과되지 않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타측(622)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61)에 통과되는 고리부(62)와; 상기 관통공(61)을 통과한 고리부(62)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고정부(6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주택의 골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골조(10)와 상기 천장골조(30) 사이에 판부재의 측벽패널(P1)이 장착되도록 상기 바닥골조(10) 및 상기 천장골조(30)는 상호 마주보는 면에 각각 상기 측벽패널(P1)의 하단부 및 상단부가 삽입 지지되는 측벽지지채널(70)이 구비되고;
    상기 지붕골조(40)에 판부재의 지붕패널(P2)이 장착되도록 상기 마룻대(41)의 양측에 각각 상기 지붕패널(P2)의 상단부가 삽입 지지되는 지붕지지채널(8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주택의 골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골조(10), 기둥골조(20), 천장골조(30) 및 지붕골조(40)는 각각 강재의 단면이 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되고 양측단에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된 한 쌍의 플랜지(F1, F2)를 갖는 ㄷ형강으로 구성되되;
    상기 측벽지지채널(70) 및 지붕지지채널(80)은 상기 ㄷ형강의 한 쌍의 플랜지(F1, F2)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절곡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플랜지(F1, F2)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주택의 골조.
KR1020120026776A 2012-03-15 2012-03-15 조립식 주택의 골조 KR101329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776A KR101329802B1 (ko) 2012-03-15 2012-03-15 조립식 주택의 골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776A KR101329802B1 (ko) 2012-03-15 2012-03-15 조립식 주택의 골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864A KR20130104864A (ko) 2013-09-25
KR101329802B1 true KR101329802B1 (ko) 2013-11-15

Family

ID=49453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776A KR101329802B1 (ko) 2012-03-15 2012-03-15 조립식 주택의 골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8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024B1 (ko) * 2014-07-16 2015-11-23 안기풍 구조물용 고정 브라켓과 이를 이용한 diy 조립식 구조물
KR101683817B1 (ko) 2016-02-24 2016-12-08 디에스(주)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
KR102535996B1 (ko) 2020-06-08 2023-05-23 김종훈 지붕구조물 연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384U (ko) * 1993-06-28 1995-01-04 장춘식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 고정용 쐐기
KR200311206Y1 (ko) 2002-12-21 2003-04-26 광토건설산업 주식회사 분해조립형 컨테이너
JP2009017834A (ja) 2007-07-12 2009-01-29 Toto Kogyo Co Ltd 管状シート止め材の連結構造
KR20110013731A (ko) * 2009-08-03 2011-02-10 주식회사 미래이엔지 조립식 건축물의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384U (ko) * 1993-06-28 1995-01-04 장춘식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 고정용 쐐기
KR200311206Y1 (ko) 2002-12-21 2003-04-26 광토건설산업 주식회사 분해조립형 컨테이너
JP2009017834A (ja) 2007-07-12 2009-01-29 Toto Kogyo Co Ltd 管状シート止め材の連結構造
KR20110013731A (ko) * 2009-08-03 2011-02-10 주식회사 미래이엔지 조립식 건축물의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864A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06559T3 (es) Sistema estructural de paneles para construcción de edificios
KR101208207B1 (ko) 유자형 합성보를 이용한 층고절감형 철골골조
KR101229194B1 (ko) 유자형 합성보 및 덮개부재를 이용한 층고절감형 철골골조
KR102334512B1 (ko) 상호 작용하여 임시 계단을 형성하는 계단 모듈
KR101329802B1 (ko) 조립식 주택의 골조
KR20080096085A (ko) 조립식 주택의 골조
JP5947005B2 (ja) 組立式立体構造物
CN103866859A (zh) 一种多层移动组合房屋
KR101308066B1 (ko) 조립식 천막 구조물의 지지력 보강을 위한 빔 설치구조
KR20160030029A (ko) 이동식 가옥
KR100889338B1 (ko) 거푸집용 조립식 패널
JP2009097146A (ja) 鉄骨建材およびこの建材を用いた建築構造物
CN207314916U (zh) 一种住人集装箱
CN203066239U (zh) 一种多层移动组合房屋
CN111749343A (zh) 一种可拆卸装配式钢结构房屋的安装方法
KR101639256B1 (ko) 공학용 목재를 이용한 복합모듈러 및 그 시공방법
KR20190140141A (ko)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CN213868313U (zh) 一种便于拆卸移动的轻质活动房结构
CN213296663U (zh) 一种可拆卸装配式钢结构房屋
KR102268469B1 (ko) 절곡형 수평 지지부를 갖는 철골보 및 이를 이용한 춤이 깊은 데크의 시공방법
KR20120011688A (ko) 조립식 건물
KR100660211B1 (ko) 수직 대공간형 조립식 건축 모듈 및 그 시공방법
JP7369022B2 (ja) プレハブ建築物
JP2019065637A (ja) 板状建築物の柱梁構造
KR101912122B1 (ko) 이중벽체 표준 하우스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