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755B1 - 천장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천장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755B1
KR101329755B1 KR1020080008656A KR20080008656A KR101329755B1 KR 101329755 B1 KR101329755 B1 KR 101329755B1 KR 1020080008656 A KR1020080008656 A KR 1020080008656A KR 20080008656 A KR20080008656 A KR 20080008656A KR 101329755 B1 KR101329755 B1 KR 101329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ntainer
container housing
foreign matter
air condition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2730A (ko
Inventor
문성국
최동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8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755B1/ko
Priority to ES08252102.2T priority patent/ES2620820T3/es
Priority to EP08252102.2A priority patent/EP2083225B1/en
Priority to US12/213,461 priority patent/US7862636B2/en
Priority to CN2008101291140A priority patent/CN101498477B/zh
Publication of KR20090082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2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로부터 청소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먼지통을 공기 흡입구의 일측에 배치된 사이드패널만을 탈거하고서도 간편하게 상기 먼지통이 수납되는 먼지통 하우징으로부터 탈거하여 상기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이물질 수집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이점이 있다.
필터, 브러쉬조립체, 흡입유닛, 이물질 수집부, 착탈부

Description

천장형 공기조화기{Ceiling typ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물질이 포집되는 이물질 수집부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탈거할 수 있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크게 천장 상측에 설치되어 냉각기능을 수행하는 실내기와, 방열 및 압축기능을 수행하는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를 서로 연결시키는 냉매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실내기는 실내 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가 내부에 배치된 케이스의 내부에서 열교환시킨 후 다시 실내 측으로 토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실내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실내기의 다른 역할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내 측의 온도를 조절하는 외에 실내 측의 공기를 정화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하여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 측에 배치되는 망체의 필터를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그 사용빈도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필터를 탈거하여 수시로 물세척하는 등 청소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이때, 일반적으로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의 상측에 배치되는 바, 사용자가 상기 필터를 착탈하는데에 있어서 많은 불편함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 측에 배치되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로부터 브러쉬조립체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분리하고, 분리된 이물질이 포집되는 이물질 수집부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탈거할 수 있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배치되고, 내부에 소정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일측과 타측에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베이스패널과, 상기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필터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분리하여 이동시키는 브러쉬조립체와, 상기 브러쉬조립체가 일측으로 이동되어 오면 상기 브러쉬조립체와 연통되어 상기 브러쉬 조립체에 수집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유닛과, 상기 흡입유닛에 의하여 흡입된 이물질이 포집되는 이물질 수집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패널의 좌우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해당되는 상기 베이스패널의 하부에 착탈되는 사이드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패널이 상기 베이스패널로부터 탈거될 때, 상기 이물질 수집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 수집부는, 상기 흡입유닛에 의하여 상기 이물질이 포집되는 먼지통과,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먼지통이 착탈되는 먼지통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 수집부는, 상기 먼지통에 결합되는 먼지통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통은, 상기 먼지통 하우징의 하부에서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먼지통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먼지통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먼지통 하우징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통의 외측면에는 상기 먼지통 하우징의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상기 먼지통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직선방향으로 끼워져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먼지통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먼지통 하우징에는 상기 먼지통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 키는 제2관통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 홀과 상기 제2관통 홀은, 상기 먼지통이 상기 먼지통 하우징에 결합되면 얼라인되면서 상기 흡입유닛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 홀과 상기 제2관통 홀 사이에는 상기 흡입유닛으로부터 이동되는 상기 이물질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실링하는 실링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통은, 하부에 상기 먼지통이 상기 먼지통 하우징에 결합된 때 상기 먼지통 하우징의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배치되어 상기 먼지통을 상기 먼지통 하우징에 결합하거나 그 결합을 해제하는 착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중간 부분이 힌지 고정되어 일단과 타단이 외력에 의하여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같은 방향으로 회동될 때, 타단이 상기 먼지통 하우징에 접촉되거나 상기 먼지통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먼지통을 상기 먼지통 하우징에 결합시키거나 그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통 하우징에는, 상기 착탈부의 타단이 상기 먼지통 하우징에 접촉되거나 상기 먼지통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될 때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면서 상기 먼지통을 상기 먼지통 하우징에 결합시키거나 결합을 해제시키는 걸림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착탈부 사이에는, 상기 착탈부의 타단을 상기 먼지통 하우징에 접촉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필터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이물질 수집부에 포집되면, 상기 이물질 수집부를 간편한 동작으로 탈거하여 실외로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200)에서 베이스패널(300)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천장형 공기조화기(1)는, 천장(100)의 내부공간에 고정되어 공기를 흡입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케이스(20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00)는 저면이 개구되고, 길이방향이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케이스(200)는 상기 천장(100)의 내부공간 상측에 밀착되도록 볼트(미도시)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및 도 2에서 상기 케이스(200)의 길이방향(즉, 좌우방향)을 도면부호 X로, 상기 케이스(200)의 길이방향에 수평되게 직교되는 방향(즉, 전후방향)을 도면부호 Y로, 상기 케이스(200)의 길이방향에 수직되게 직교되는 방향(즉, 상하방향)을 도면부호 Z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는 하부의 실내(170) 측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 한 후 토출시키기 위한 각종 열교환 부품(180)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1)는, 상기 케이스(200)의 개구된 저면을 덮도록 상기 케이스(200)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패널(300)을 더 포함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베이스패널(300)에 배치되는 주요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기 흡입구(305) 측에 배치되는 필터(380)와 상기 필터(380)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필터(380)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브러쉬조립체(500)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패널(300)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305)와,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310)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 흡입구(305)와 상기 공기 토출구(310)는 X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서로 Y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곳의 상기 베이스패널(300) 상에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200)의 내외부를 연통시킨다. 상기 공기 흡입구(305)의 흡입면과 상기 공기 토출구(310)의 토출면은 수평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패널(300)의 좌우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해당되는 상기 베이스패널(300)의 하부에는 사이드패널(350)이 착탈된다. 상기 사이드패널(350)은 상기 베이스패널(3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조화기(1)의 외관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공기 흡입구 측에는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380)가 배치된다. 상기 필터(380)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흡입구(305) 측에 배치되는 필터 하우징(400)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하우징(400)에는 브러쉬조립체(500)가 상기 필터(38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브러쉬조립체(500)는 상기 필터(380)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필터(380)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분리하여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브러쉬조립체(5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자동으로 상기 필터(380)를 따라 이동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는, 이물질이 걸러지는 상기 필터(380)를 청소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공기조화기(1)로부터 상기 필터(380)를 탈거할 필요가 없고, 상기 브러쉬조립체(500)가 상기 필터(380)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필터(380)를 자동으로 청소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필터(380)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브러쉬조립체(500)에 의하여 상기 필터 하우징(400)의 어느 일측으로 이동된 상기 이물질은 상기 브러쉬조립체(500)와 연통되는 흡입유닛(600)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20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패널(350)의 착탈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차폐되거나 외부로 노출되는 이물질 수집부(700)로 흡입되어 이동하여 포집된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 수집부(700)는 상기 사이드패널(350)의 탈거 시 외부로부터 노출되도록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사이드패널(350)만을 탈거하는 간편한 동작으로 상기 이물질 수집부(700)를 상기 공기조화기(1)로부터 착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유닛(600)과 이물질을 포집하는 이물질 수집부(700)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흡입유닛(600)은,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브러쉬조립체(500)의 일측과 연통되게 배치되고, 상기 브러쉬조립체(500)에 소정의 흡입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물질을 흡입함과 동시에, 흡입되는 이물질만을 분리하여 상기 이물질 수집부(700)로 포집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흡입유닛(600)과 상기 이물질 수집부(700)는 상기 이물질이 포집될 수 있도록 서로 연통된다.
상기 이물질 수집부(700)는, 상기 브러쉬조립체(500)에 의하여 상기 필터(380)로부터 분리되는 이물질이 이동하여 포집되는 먼지통(710)과, 상기 케이스(200)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먼지통(710)이 착탈됨과 아울러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사이드패널(350)의 탈거 시 노출되는 먼지통 하우징(720)을 포함한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의 구성 중 이물질 수집부(70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은 상기 먼지통(710)이 하부에서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 내부의 직선방향으로 또는 상기 먼지통(710)이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의 내부에서 하부의 직선방향으로 이동하여 착탈되도록 하부가 개구된다.
상기 먼지통(710)은,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의 하부에서 직상방(즉,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에 결합되거나,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의 내부로부터 직하방(즉,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이물질 수집부(700)의 구성 중 먼지통(710)이 먼지통 하우징(720)에 착탈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먼지통(710)의 외측면에는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의 내 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711)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돌출부(711)가 상기 직선방향으로 끼워져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부(721)가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711)에는 상기 먼지통(7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관통 홀(716)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먼지통(710)이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에 결합된 상태의 상기 제1관통 홀(716)에 대응되는 부분인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에는 상기 제1관통 홀(716)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의 제2관통 홀(726)이 형성된다. 상기 제1관통 홀(716)과 상기 제2관통 홀(726)은 상기 먼지통(710)이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에 끼워져 결합되는 경우, 상기 흡입유닛(600)과 상기 이물질 수집부(700)를 연통시키는 하나의 연통 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서로 얼라인(align)되면서 상기 흡입유닛(600)과 연통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제1관통 홀(716)과 상기 제2관통 홀(726)을 통하여 상기 흡입유닛(600)에 의하여 흡입되어 분리되는 상기 이물질이 상기 먼지통(710)으로 이동되어 포집되게 된다.
상기 돌출부(711)는 상기 먼지통(710)이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에 결합될 때,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의 내측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제1관통 홀(716)과 상기 제2관통 홀(726) 사이의 얼라인을 실링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상기 제1관통 홀(716)과 상기 제2관통 홀(726)을 실링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반드시 상기 돌출부(71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1관통 홀(716)과 상기 제2관통 홀(726) 사이에는 상기 흡입유닛(600)으로부터 이동되는 상기 이물질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실링하는 별도의 실링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먼지통(710)은, 상기 먼지통(710)이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의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손잡이부(712)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부(712)는, 사용자가 상기 먼지통(710)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손으로 쥐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먼지통(710)은, 상기 손잡이부(712)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과 결합시키거나 그 결합을 해제시키는 착탈부(713)를 포함한다. 상기 착탈부(713)는, 일단(714A)이 사용자가 손으로 쥐는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손잡이부(712)에 배치되고, 타단(714B)이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 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 배치된다. 상기 착탈부(713)는 중간 부분이 상기 손잡이부(712)의 일측에 힌지(717) 고정되어 상기 일단(714A)이 외력에 의하여 상기 힌지(717)를 중심으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동될 때, 타단(714B)이 상기 힌지(717)를 중심으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으로부터 이격되거나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의 내측면에 접촉된다.
상기 먼지통(710)과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의 결합 및 결합 해제가 용이하도록 상기 먼지통(710)이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에 결합 시 상기 착탈부(713)의 타단(714B)이 위치되는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에는, 상기 착탈부(713)의 타단(714B)이 걸림되거나 걸림이 해제되도록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되게 연결하는 걸림 홀(7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 홀(724)은 상기 착탈부(713)의 타단(714B)과 걸림되거나 그 걸림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먼지통(710)과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 사이를 결합 또는 그 결합을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 착탈부(713)의 타단(714B)을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에 걸림시키거나 그 걸림을 해제시키는 구성이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걸림 홀(72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착탈부(713)의 타단(714B)은 외력에 의하여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에 접촉되거나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먼지통(710)을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에 결합시키거나 그 결합을 해제할 수 있는 구성이면 족하므로 상기 착탈부(713)의 타단(714B)을 걸리게 하는 걸림 홈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착탈부(713)의 타단(714B)이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걸림 홀(724)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에는 상기 먼지통(710)과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의 결합이 해제되는 경우이고, 상기 착탈부(713)의 타단(714B)이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걸림 홀(724)에 걸림되는 경우에는 상기 먼지통(710)과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이 결합되는 경우이다.
상기 착탈부(713)는, 상기 착탈부(713)와 상기 손잡이부(71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착탈부(713)의 타단(714B)이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717)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717)는, 일단(714A)이 상기 손잡이부(712)에 접촉되어 지지되고, 타단(714B)이 상기 착탈부(713)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용수철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712)를 쥐는 동작으로 상기 착탈부(713)의 일단(714A)을 함께 쥐거나, 상기 먼지통(710)을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의 내부로 이동시켜 결합시키는 과정 동안 상기 착탈부(713)의 타단(714B)이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의 내측면에 접촉되 어 소정의 외력이 상기 착탈부(713)에 전달될 경우 상기 탄성부재(717)는 탄성변형(예를 들면, 압축변형)되면서 상기 착탈부(713)의 일단(714A)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상기 먼지통(710)이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의 내부로 이동되어, 상기 착탈부(713)의 타단(714B)이 상기 걸림 홀(724)에 도달할 때 상기 착탈부(713)로 제공되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717)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착탈부(713)의 일단(714A)을 일측으로 회동시키고, 이때 상기 착탈부(713)의 타단(714B)이 상기 걸림 홈에 걸림되어 상기 먼지통(710)이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에 결합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는, 사용자가 상기 착탈부(713)를 간편하게 조작하는 동작으로 상기 먼지통(710)을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에 착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증대된다.
한편, 상기 이물질 수집부(700)은 상기 먼지통(710)에 결합되는 먼지통 덮개(715)를 더 포함한다. 상기 먼지통 덮개(715)는 상기 먼지통(7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착탈방식은 일측이 힌지(미도시) 고정되는 회동방식 또는 상기 먼지통 덮개(715) 전체가 분리될 수 있는 분리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먼지통(715)에 상기 이물질이 가득차게 되면 사용자는 상기 먼지통(710)을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으로부터 탈거한 후, 상기 먼지통(710)으로부터 다시 상기 먼지통 덮개(715)를 분리하여 상기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상기 먼지통 덮개(715)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상기 먼지통(710)을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으로부터 탈거 시 상기 먼지통(710)이 과도하게 유동될 때, 상기 먼지 통(710)으로부터 상기 이물질이 쏟아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수집부(700')의 분해 사시도이다. 전술된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물질 수집부(700')는, 대략 수직방향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먼지통 하우징(720)과,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에 착탈되도록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처럼 대략 수직방향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먼지통(7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수집부(700')는, 상술하였던 바와 같이,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의 하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에 결합되거나,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의 내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으로부터 탈거되는 이물질 수집부(700)와는 달리, 상기 먼지통(710)이 사선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에 착탈된다. 상기 이물질 수집부(700')는,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수집부(700)에 비하여 사용자가 상기 먼지통(710)을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에 착탈하기 위하여 고개를 적게 들거나 손을 더 적게 들어올려도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증대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빈도에 따라 상기 이물질 수집부(700)에 이물질이 가득차게 되면 사용자는 상기 베이스패널(300)로부터 상기 사이드패널(350)만을 탈거한다. 이때, 상기 이물질 수집부(700)가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다른 구성(예컨대, 베이스패널(300) 전체)을 상기 공기조화기(1)로부터 분리하지 않더라도 쉽게 상기 이물질 수집부(700)를 탈거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이물질 수집통의 구성 중 상기 먼지통(710)의 손잡이부(712)를 손으로 쥐는 동작으로 상기 착탈부(713)를 조작하여 상기 먼지통(710)과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 사이의 결합을 해제시킨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먼지통(710)이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으로부터 탈거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상기 먼지통(710)에 가득찬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고 상술한 먼지통(710)의 탈거과정과는 반대의 순서대로 상기 먼지통(710)을 상기 먼지통 하우징(720)에 결합하고, 상기 사이드패널(350)을 상기 베이스패널(300)에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는 상기 사이드패널(350)만을 상기 베이스패널(300)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먼지통(710)을 착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 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 또는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에서 베이스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베이스패널에 배치되는 주요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기 흡입구 측에 배치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필터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브러쉬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유닛과 이물질을 포집하는 이물질 수집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구성 중 이물질 수집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8a 및 도 8b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이물질 수집부의 구성 중 먼지통이 먼지통 하우징에 착탈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9는 이물질 수집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천장형 공기조화기 100: 천장
170: 실내 200: 케이스
300: 베이스패널 305: 공기 흡입구
310: 공기 토출구 350: 사이드패널
400: 필터 하우징 500: 브러쉬조립체
600: 흡입유닛 700: 이물질 수집부
710: 먼지통 712: 착탈부
713: 일단 714: 타단
715: 먼지통 덮개 716: 제1관통 홀
717: 탄성부재 720: 먼지통 하우징
724: 걸림 홀 726: 제2관통 홀

Claims (13)

  1. 천장에 배치되고, 내부에 소정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일측과 타측에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베이스패널과;
    상기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필터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분리하여 수집하는 브러쉬조립체와;
    상기 브러쉬조립체가 일측으로 이동되어 오면 상기 브러쉬조립체와 연통되어 상기 브러쉬조립체에 수집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유닛과;
    상기 흡입유닛에 의하여 흡입된 이물질이 포집되는 이물질 수집부와;
    상기 베이스패널의 좌우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해당되는 상기 베이스패널의 하부에 착탈되는 사이드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패널이 상기 베이스패널로부터 탈거될 때, 상기 이물질 수집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수집부는,
    상기 흡입유닛에 의하여 상기 이물질이 포집되는 먼지통과;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먼지통이 착탈되는 먼지통 하우징을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수집부는,
    상기 먼지통에 결합되는 먼지통 덮개를 더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먼지통은, 상기 먼지통 하우징의 하부에서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먼지통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먼지통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먼지통 하우징으로부터 탈거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직선방향은 수직방향 또는 사선방향인 천장형 공기조화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먼지통의 외측면에는, 상기 먼지통 하우징의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상기 먼지통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직선방향으로 끼워져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부가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먼지통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먼지통 하우징에는 상기 먼지통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2관통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 홀과 상기 제2관통 홀은, 상기 먼지통이 상기 먼지통 하우징에 결합되면 서로 얼라인되면서 상기 흡입유닛과 연통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 홀과 상기 제2관통 홀 사이에는 상기 흡입유닛으로부터 이동되는 상기 이물질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실링하는 실링부재가 배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먼지통은,
    하부에 상기 먼지통이 상기 먼지통 하우징에 결합된 때 상기 먼지통 하우징의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배치되어 상기 먼지통을 상기 먼지통 하우징에 결합하거나 그 결합을 해제하는 착탈부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중간 부분이 힌지 고정되어 일단과 타단이 외력에 의하여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같은 방향으로 회동될 때, 타단이 상기 먼지통 하우징에 접촉되거나 상기 먼지통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먼지통을 상기 먼지통 하우징에 결합시키거나 그 결합을 해제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먼지통 하우징에는, 상기 착탈부의 타단이 상기 먼지통 하우징에 접촉되거나 상기 먼지통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될 때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면서 상기 먼지통을 상기 먼지통 하우징에 결합시키거나 결합을 해제시키는 걸림 홈이 형성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착탈부 사이에는, 상기 착탈부의 타단을 상기 먼지통 하우징에 접촉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배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0080008656A 2008-01-28 2008-01-28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329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656A KR101329755B1 (ko) 2008-01-28 2008-01-28 천장형 공기조화기
ES08252102.2T ES2620820T3 (es) 2008-01-28 2008-06-18 Acondicionador de aire del tipo de techo
EP08252102.2A EP2083225B1 (en) 2008-01-28 2008-06-18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US12/213,461 US7862636B2 (en) 2008-01-28 2008-06-19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N2008101291140A CN101498477B (zh) 2008-01-28 2008-06-23 吊顶式空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656A KR101329755B1 (ko) 2008-01-28 2008-01-28 천장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730A KR20090082730A (ko) 2009-07-31
KR101329755B1 true KR101329755B1 (ko) 2013-11-14

Family

ID=40481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656A KR101329755B1 (ko) 2008-01-28 2008-01-28 천장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62636B2 (ko)
EP (1) EP2083225B1 (ko)
KR (1) KR101329755B1 (ko)
CN (1) CN101498477B (ko)
ES (1) ES2620820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4553B2 (en) * 2007-12-11 2014-05-27 Daikin Industries, Ltd.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6102903B2 (ja) * 2014-12-22 2017-03-2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室内機
KR102373165B1 (ko) * 2015-02-09 2022-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필터 청소 장치
JP6068577B2 (ja) * 2015-07-30 2017-01-25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 ヒタチ エア コンディショニング テクノロジー(ホンコン)リミテッド 空気調和機
EP3276275B1 (en) * 2016-07-28 2019-11-20 Daikin Industries, Ltd. Filter cleaning device for an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having such filter cleaning device
EP3276276B1 (en) * 2016-07-28 2021-11-03 Daikin Industries, Ltd. Filter cleaning device for an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having such filter cleaning device
JP6993299B2 (ja) * 2018-07-13 2022-01-13 株式会社コロナ 空気調和装置
CN112121542A (zh) * 2020-09-15 2020-12-25 赵亚超 一种新能源汽车中车载空调过滤板刮除装置
CN117387324B (zh) * 2023-12-11 2024-02-02 河北骞海鼓风机有限公司 一种鼓风机干燥系统及干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3036A (en) * 1987-07-20 1989-01-25 Sanyo Electric Co Air conditioner having vacuum cleaner
JPH1114093A (ja) * 1997-06-19 1999-01-22 Sharp Corp 空気調和機
JP2004340507A (ja) * 2003-05-16 2004-1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天井埋め込み型空気調和機
JP2005308274A (ja) 2004-04-20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0375B2 (ja) * 2002-06-27 2008-07-0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KR100564450B1 (ko) * 2003-07-09 200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집진 유니트의 장착 구조
US7797790B2 (en) * 2003-12-27 2010-09-21 Lg Electronics Inc.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JP4418427B2 (ja) * 2005-07-04 2010-02-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室内機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機
JP4124225B2 (ja) * 2005-11-25 2008-07-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5069870B2 (ja) * 2006-05-18 2012-11-07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4918283B2 (ja) * 2006-05-23 2012-04-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3036A (en) * 1987-07-20 1989-01-25 Sanyo Electric Co Air conditioner having vacuum cleaner
JPH1114093A (ja) * 1997-06-19 1999-01-22 Sharp Corp 空気調和機
JP2004340507A (ja) * 2003-05-16 2004-1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天井埋め込み型空気調和機
JP2005308274A (ja) 2004-04-20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83225B1 (en) 2017-03-22
EP2083225A2 (en) 2009-07-29
EP2083225A3 (en) 2014-07-16
CN101498477B (zh) 2011-01-26
US20090188216A1 (en) 2009-07-30
KR20090082730A (ko) 2009-07-31
CN101498477A (zh) 2009-08-05
ES2620820T3 (es) 2017-06-29
US7862636B2 (en) 2011-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755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0987080B1 (ko) 공기 조화 장치
RU2275839C2 (ru) Циклонное пылеулавл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пылесос с таким устройством
KR100564450B1 (ko) 진공 청소기 집진 유니트의 장착 구조
JPH11226331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EP2083224B1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with filter cleaning mechanism
KR101539020B1 (ko) 저소음 저발열 구조의 클린룸 진공청소기
KR20110094105A (ko) 열교환 환기 장치
KR100818225B1 (ko) 진공청소기
JP2004209222A (ja) 真空掃除機用フィルタ組立体
JP3979341B2 (ja) 換気装置
JP5863154B2 (ja) 集塵機
JP3663630B2 (ja) 掃除用具載置台
CN101182949A (zh) 箱式空气净化器
KR10146629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412153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5616843B2 (ja) 換気装置
JP2007167777A (ja) 空気清浄機
CN101147660A (zh) 吸尘器集尘桶底部灰尘倒除装置
CN213506888U (zh) 一种新型dna测序仪防尘除灰装置
CN217604285U (zh) 一种便于清洗的通风设备
JP2013111333A (ja) サイクロン式集塵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CN211987629U (zh) 一种轻便型工业吸尘吸水机
CN101596085B (zh) 吸尘器的排气过滤装置
KR100205688B1 (ko) 진공 청소기용 배기필터 착, 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