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498B1 - 휴대용 수목 직경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수목 직경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498B1
KR101329498B1 KR1020120039835A KR20120039835A KR101329498B1 KR 101329498 B1 KR101329498 B1 KR 101329498B1 KR 1020120039835 A KR1020120039835 A KR 1020120039835A KR 20120039835 A KR20120039835 A KR 20120039835A KR 101329498 B1 KR101329498 B1 KR 101329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measuring
diameter
measuring table
measu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7099A (ko
Inventor
박영의
우종영
장도현
정운진
Original Assignee
푸른공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른공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푸른공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9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498B1/ko
Publication of KR20130117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42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measuring geometrical properties or aberrations
    • G01M11/025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measuring geometrical properties or aberrations by determining the shape of the object to be tes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01N2021/0181Memory or computer-assisted visual determin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수목 직경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목의 일측에 수평상태로 배치되는 제1 측정대; 상기 수목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측정대와 대향하는 제2 측정대; 상기 제1 측정대 및 제2 측정대에 제각기 마련되는 발광부 및 수광부로 구성되어 수광되는 광을 통해 수목의 직경을 측정하면서 상기 제1 측정대 및 제2 측정대의 수평을 측정하는 측정기; 상기 측정기에서 수평이 측정된 것이나 직경이 측정된 것을 음향이나 조명으로 출력하는 알림부; 상기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상기 수목의 직경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 상기 측정기 및 상기 알림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측정기의 상기 수광부에서 제공되는 수광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측정대 및 제2 측정대의 이격거리를 환산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상기 수목의 직경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측정기를 통해 수목의 직경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수목 직경 측정 장치{Portable apparatus for measuring diameter of tree}
본 발명은 휴대용 수목 직경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휴대가 가능하고, 사용자가 혼자서 수목의 직경을 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수목 직경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목의 직경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2명의 작업자가 줄자 등의 측정도구를 이용해 1명이 수작업으로 직경을 측정하고, 다른 1명이 필기구를 이용해 메모를 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사무실로 복귀한 후 메모된 내용을 다시 컴퓨터 등의 기록장치에 일일이 입력한다.
그러나, 이러한 측정방식은 메모된 내용을 컴퓨터 등에 일일이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 줄자를 이용하여 수목의 직경을 측정하므로 줄자의 어느 한 부분이 경사를 형성하거나 하방으로 늘어질 경우 수평이 맞지 않아 수목의 정확한 직경 측정이 불가능하다. 또한, 측정이 완료된 후에도 수기로 표기된 메모장의 분실의 우려도 있으며, 기록장치에 입력시에도 일일이 사람이 입력해야 하므로 실수가 발생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평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를 장착하여 수목의 직경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직경을 포함하는 수목의 다양한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는 수목 직경 측정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수목 직경 측정 장치는, 휴대상태로 수목의 직경을 측정하는 수목 직경 측정 장치에 있어서, 수목의 일측에 수평상태로 배치되고, 수목의 측방을 가로지르는 길이를 갖는 제1 측정대; 상기 수목의 타측에 수평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수목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측정대와 대향하고, 상기 제1 측정대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수목의 반대편 측방을 가로지르는 길이를 갖는 제2 측정대; 상기 제1 측정대 및 제2 측정대에 제각기 마련되는 발광부 및 수광부로 구성되어 수광되는 광을 통해 수목의 직경을 측정하면서 상기 제1 측정대 및 제2 측정대의 수평을 측정하는 측정기; 상기 측정기에서 수평이 측정된 것이나 직경이 측정된 것을 음향이나 조명으로 출력하는 알림부; 상기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상기 수목의 직경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 상기 측정기 및 상기 알림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측정기의 상기 수광부에서 제공되는 수광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측정대 및 제2 측정대의 이격거리를 환산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상기 수목의 직경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기는 예컨대, 상기 제1 측정대 및 제2 측정대에 제각기 마련되고, 상기 수목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된 상기 제1 측정대 및 제2 측정대의 이격거리를 통해 상기 수목을 직경을 측정하도록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로 이루어진 직경측정기; 및 상기 제1 측정대 및 제2 측정대의 수평을 측정하도록 상기 직경측정기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 측정대 및 제2 측정대에 마련되고, 발광부 및 수광부로 이루어지는 수평측정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수목의 위치정보를 수신받는 GPS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목의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나 상기 측정된 직경을 출력하기 위한 입출력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목의 높이를 계산하기 위해 수목의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기; 상기 각도기와 상기 수목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기; 및 상기 각도기에서 측정된 각도 및 상기 거리측정기에서 측정된 거리를 환산하여 상기 수목의 높이를 계산하는 높이연산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직경측정기 및 수평측정기에 의해 제1 및 제2 측정대가 수평상태로 수목을 측정하므로 수목의 직경을 거의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수목의 직경이 메모리에 저장되므로 관리컴퓨터에 용이하게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수목의 다양한 정보도 저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목 직경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목 직경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목 직경 측정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목 직경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수목의 높이를 측정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수목 직경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수목 직경 측정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수목 직경 측정 장치는 수목의 직경을 측정하기 위해 한쌍의 제 1 및 제 2측정대(100, 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 측정대(100, 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발광부(10a, 20a) 및 한쌍의 수광부(10b, 20b)가 선단측에 제각기 마련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목의 양측에서 수목을 가로지르는 길이를 갖되,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한쌍의 상기 발광부(10a, 20a)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측정대(100)의 선단에 이격상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한쌍의 상기 수광부(10b, 20b)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측정대(200)의 선단에 이격상태로 마련되어 상기 제1 측정대(100)에 마련된 전술한 한쌍의 상기 발광부(10a, 20a)에 대응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측정대(100, 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의 일측에 상기 제1 발광부(10a) 및 상기 제1 수광부(10b)로 구성되는 직경측정기(10)가 마련되고, 선단부의 타측에 제2 발광부(20a) 및 제2 수광부(20b)로 구성되는 수평측정기(20)가 마련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측정대(100, 200)는 선단부에 상기 직경측정기(10) 및 상기 수평측정기(20)가 이격상태로 제각기 마련된다. 이러한 상기 직경측정기(10) 및 상기 수평측정기(20)는 수목의 직경이나 상기 제1 및 제2 측정대(100, 200)의 수평을 측정하는 측정기이다.
상기 직경측정기(10)는 상기 제1 발광부(10a) 및 상기 제1 수광부(10b)의 작동에 의해 수목의 직경을 측정한다. 즉, 상기 직경측정기(10)는 상기 제1 수광부(10b)에 수광되는 상기 제1 발광부(10a)의 광을 이용하여 수목의 직경을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측정기(20)는 상기 제2 발광부(20a) 및 상기 제2 수광부(20b)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측정대(100, 200)의 수평을 측정한다. 즉, 상기 수평측정기(20)는 상기 제2 수광부(20b)에 수광되는 상기 제2 발광부(20a)의 광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측정대(100, 200)의 수평상태를 측정한다. 이때, 상기 수평측정기(20)는 상기 제2 수광부(20b)에 광이 수광되고, 상기 제1 수광부(10b)에도 광이 수광되어야 수평상태를 측정한다.
한편, 제1 및 제2 측정대(100, 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40), 부저(60) 및/또는 디스플레이(50)나 램프(미도시)로 구성된 알림부, 그리고 메모리(70) 및 제어부(90)가 마련된다.
상기 조작부(40)는 버튼으로 구성되어 전술한 상기 발광부(10a, 20a) 및 상기 수광부(10b, 20b)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상기 발광부(10a, 20a) 및 상기 수광부(10b, 20b)는 상기 조작부(40)의 조작에 의해 작동한다. 이러한 상기 조작부(40)는 상기 발광부(10a, 20a) 및 상기 수광부(10b, 20b)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정되는 수목의 종류나 관리정보(해충피해 관련정보나 동공발생 관련정보 등)를 입력하도록 키패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조작부(40)는 버튼 및 키패드가 혼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알림부는 전술한 상기 직경측정기(10)에서 수목의 직경이 측정될 경우 이를 음향이나 조명으로 출력한다. 알림부는 디스플레이(50)로 구성될 경우 측정된 수목의 직경을 현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수목의 종류나 관리내용을 현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알림부는 상기 제1 발광부(10a) 및 상기 제1 수광부(10b) 및/또는 상기 제2 발광부(20a) 및 상기 제2 수광부(20b)의 작동상태를 음향이나 조명으로 알려준다. 즉, 알림부는 상기 제1 수광부(10b) 및 상기 제2 수광부(20b)의 수광시 이를 음향이나 조명으로 알려준다. 이와 달리, 알림부는 상기 제1 수광부(10b) 및 상기 제2 수광부(20b) 중 어느 하나는 수광되고, 다른 하는 수광이 안될 경우에도 이를 음향이나 조명으로 알려줄 수 있다.
상기 메모리(70)는 전술한 상기 직경측정기(10)에 의해 측정되는 수목의 직경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메모리(70), 상기 직경측정기(10), 상기 수평측정기(20) 및 상기 알림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직경측정기(10)의 상기 수광부(10b)에서 제공되는 수광신호를 기반으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측정대(100) 및 상기 제2 측정대(200)의 이격거리를 환산하여 상기 메모리(70)에 저장되는 수목의 직경을 산출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GPS수신기(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GPS수신기(30)는 상기 제1 및 제2 측정대(100, 200)의 현재 위치에 관한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메모리(70)는 상기 GPS수신기(30)의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70)는 저장된 위치정보를 통해 직경이 측정된 수목의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기(80), 거리측정기(84) 및 높이연산부(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정대(100)나 제2 측정대(200)에 일체로 설치된다.
상기 각도기(80)는 상기 제1 측정대(100)나 상기 제2 측정대(200)를 기준으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수목의 각도를 측정한다. 상기 거리측정기(84)는 수목에서 상기 제1 측정대(100)나 상기 제2 측정대(200)의 거리를 측정한다. 이러한 상기 거리측정기(84)는 예컨대, 통상의 레이저 측정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연산부(82)는 상기 거리측정기(84)에서 측정된 거리 및 상기 각도기(80)에서 측정된 각도를 연산하여 수목의 높이를 산출한다. 물론, 산출된 수목의 높이는 전술한 상기 메모리(70)에 저장된다.
또 다른 한편, 전술한 상기 제1 측정대(100)나 상기 제2 측정대(200)는 미도시된 연결선에 의해 통상의 쌍절봉과 같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측정대(100)나 상기 제2 측정대(200)는 미도시된 'C'형의 탄성클램프가 마련되어 탄성클램프를 통해 평상시 일체로 보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측정대(100)나 상기 제2 측정대(200)는 용이하게 보관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선 및 탄성클램프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수목 직경 측정 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측정대(100, 200)는 사용자의 손에 후단부가 제각기 파지된 후, 수목의 직경을 측정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목(T)의 양측에 제각기 수평상태로 배치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측정대(100, 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목(T)을 중심으로 수목(T)의 일측 및 타측에 제각기 배치되어 수평(W1)을 유지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측정대(100, 200)는 수평(W1)에 의해 수목(T)을 중심으로 수목(T)의 양측에서 서로 대향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측정대(100, 200)에 마련된 두개의 상기 발광부(10a, 20a) 및 두개의 상기 수광부(10b, 20b)는 수평상태로 마주한다.
두개의 상기 발광부(10a, 20a) 및 두개의 상기 수광부(10b, 20b)는 상기 조작부(40)가 조작될 경우 제각기 발광 및 수광을 실시한다. 이때, 전술한 상기 제어부(90)는 두개의 상기 수광부(10b, 20b)에 광이 모두 수광될 경우에만 상기 제1 및 제2 측정대(100, 200)가 수평을 형성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1 수광부(10b)의 수광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및 제2 측정대(100, 200)의 이격거리를 환산하여 수목(T)의 직경을 산출한다. 즉,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제1 수광부(10b)의 수광신호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측정대(100, 200)의 이격거리를 환산하여 수목(T)의 직경을 산출한다. 물론, 상기 제어부(90)는 통상의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리와 같이 수광되는 수광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및 제2 측정대(100, 200)의 이격거리를 환산하여 수목(T)의 직경을 산출한다.
한편, 상기 제1 측정대(100) 및 상기 제2 측정대(200)는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가 상측방향(c)이나 하측방향(a) 또는 서로 어긋나는 방향(c)으로 배치될 경우 수평이 유지되지 않는다. 이때, 두개의 상기 수광부(10b, 20b)는 두개의 상기 발광부(10a, 20a)과 대향하지 못하므로 수광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90)는 두개의 상기 수광부(10b, 20b)로부터 수광신호를 받지 못하므로 수목(T)의 직경을 산출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제어부(90)는 두개의 상기 수광부(10b, 20b)가 수광을 못하므로 상기 제1 측정대(100) 및 상기 제2 측정대(200)가 수평상태가 아닌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제1 측정대(100) 및 상기 제2 측정대(200)가 수평상태일 경우에만 수목(T)의 직경을 산출할 수 있으므로 수목(T)의 직경을 거의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발광부(10a, 20a) 및 상기 수광부(10b, 20b)가 하나씩만 구성되었다면 상기 제1 측정대(100) 및 상기 제2 측정대(200)가 경사 또는 어긋나도 상기 수광부(10b, 20b)가 수광을 실시하므로 상기 제1 측정대(100) 및 상기 제2 측정대(200)가 수평이 아닌 것을 감지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하여 수목(T)의 직경을 오측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어부(90)는 각각 한쌍을 이루는 상기 발광부(10a, 20a) 및 상기 수광부(10b, 20b)가 이격상태로 상기 제1 측정대(100) 및 상기 제2 측정대(200)의 선단부에 제각기 마련되고, 한쌍을 이루는 상기 발광부(10a, 20a) 및 상기 수광부(10b, 20b)가 모두 작동할 경우에만 수목(T)의 직경을 측정하므로 수목(T)의 직경을 거의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제1 측정대(100) 및 상기 제2 측정대(200)가 수평을 형성하여 두개의 상기 발광부(10a, 20a) 및 상기 수광부(10b, 20b)가 모두 작동될 경우, 또는 상기 제1 측정대(100) 및 상기 제2 측정대(200)의 수평에 의해 수목(T)의 측정이 완료될 경우, 전술한 상기 부저(60)나 상기 디스플레이(60) 또는 미도시된 램프를 통해 상기 제1 측정대(100) 및 상기 제2 측정대(200)의 수평상태나 측정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70)는 상기 제어부(90)에서 측정된 수목(T)의 직경을 저장한다. 또, 상기 메모리(70)는 전술한 상기 GPS수신기(30)에 수신되는 상기 제1 측정대(100) 및 상기 제2 측정대(2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70)는 상기 조작부(40)를 통해 입력되는 전술한 측정 수목의 종류나 측정 수목의 관리정보도 저장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50)는 상기 조작부(40)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현시한다.
한편, 수목의 직경을 측정이 완료될 경우 작업자는 관리소로 복귀하여 상기 메모리(70)를 미도시된 관리컴퓨터에 연결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컴퓨터에 저장한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메모리(70)가 샌디스크이거나 USB메모리일 경우 상기 메모리(70)를 상기 제1 측정대(100)나 상기 제2 측정대(200)에서 탈거하여 관리컴퓨터에 연결하고, 상기 메모리(70)가 착탈식이 아닌 고정식일 경우 케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70)와 관리컴퓨터를 연결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혼자서 수목(T)을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정된 내용을 관리컴퓨터에 용이하게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상기 GPS수신기(30)에 의한 수목의 위치정보 및 상기 조작부(40)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통해 수목의 관리현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감독관은 관리컴퓨터에 다운로드되는 데이터를 통해 작업자의 실제 수목 측정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측정대(100)나 상기 제2 측정대(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수목(T)과 이격되어 상기 각도기(80)를 통해 수목(T)의 상부 및 하부의 각도(A, B)를 제각기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거리측정기(84)를 통해 상기 각도기(80)와 수목(T)의 거리를 측정한다. 또, 상기 높이연산부(82)는 상기 거리측정기(84)에서 측정된 거리 및 상기 각도기(80)에서 측정된 각도(A, B)를 통해 수목(T)의 높이를 산출한다. 이때, 상기 높이연산부(82)는 상기 각도기(80)에 의해 각도(A, B)가 구해짐에 따라 삼각함수의 탄젠트를 이용하여 수목(T)의 높이에 해당하는 한변의 길이를 연산함으로써 수목(T)의 높이를 산출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산출된 수목(T)의 높이는 전술한 상기 메모리(70)에 저장된 후 작업자에 의해 관리컴퓨터에 다운로드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200 : 제1 및 제2측정대 10a,10b : 직경측정기
20a,20b : 수평측정기 30 : GPS수신기
40 : 조작부 50 : 디스플레이부
60 : 부저 70 : 메모리
80 : 각도기 90 : 제어부

Claims (5)

  1. 휴대상태로 수목의 직경을 측정하는 수목 직경 측정 장치에 있어서,
    수목의 일측에 수평상태로 배치되고, 수목의 측방을 가로지르는 길이를 갖는 제1 측정대;
    상기 수목의 타측에 수평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수목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측정대와 대향하고, 상기 제1 측정대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수목의 반대편 측방을 가로지르는 길이를 갖는 제2 측정대;
    상기 제1 측정대 및 제2 측정대에 제각기 마련되는 발광부 및 수광부로 구성되어 수광되는 광을 통해 수목의 직경을 측정하면서 상기 제1 측정대 및 제2 측정대의 수평을 측정하는 측정기;
    상기 측정기에서 수평이 측정된 것이나 직경이 측정된 것을 음향이나 조명으로 출력하는 알림부;
    상기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상기 수목의 직경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 상기 측정기 및 상기 알림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측정기의 상기 수광부에서 제공되는 수광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측정대 및 제2 측정대의 이격거리를 환산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상기 수목의 직경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수목 직경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는,
    상기 제1 측정대 및 제2 측정대에 제각기 마련되고, 상기 수목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된 상기 제1 측정대 및 제2 측정대의 이격거리를 통해 상기 수목을 직경을 측정하도록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로 이루어진 직경측정기; 및
    상기 제1 측정대 및 제2 측정대의 수평을 측정하도록 상기 직경측정기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 측정대 및 제2 측정대에 마련되고, 발광부 및 수광부로 이루어지는 수평측정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수목 직경 측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목 직경 측정장치는
    상기 수목의 위치정보를 수신받는 GPS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목 직경 측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목 직경 측정장치는
    상기 수목의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나 상기 측정된 직경을 출력하기 위한 입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목 직경 측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목 직경 측정장치는
    상기 수목의 높이를 계산하기 위해 수목의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기;
    상기 각도기와 상기 수목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기; 및
    상기 각도기에서 측정된 각도 및 상기 거리측정기에서 측정된 거리를 환산하여 상기 수목의 높이를 계산하는 높이연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목 직경 측정 장치.
KR1020120039835A 2012-04-17 2012-04-17 휴대용 수목 직경 측정 장치 KR101329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835A KR101329498B1 (ko) 2012-04-17 2012-04-17 휴대용 수목 직경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835A KR101329498B1 (ko) 2012-04-17 2012-04-17 휴대용 수목 직경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099A KR20130117099A (ko) 2013-10-25
KR101329498B1 true KR101329498B1 (ko) 2013-11-13

Family

ID=49635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835A KR101329498B1 (ko) 2012-04-17 2012-04-17 휴대용 수목 직경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4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39789A (zh) * 2014-04-25 2014-07-23 耿志伟 一种树灯底座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234B2 (ja) * 1989-04-07 1996-03-04 プリューフテヒニーク ディーテル ブッシュ ウント パルトネル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ムパニー タンデム―配置軸の検査方法
KR20020035048A (ko) * 2002-03-16 2002-05-09 김옥현 원통의 기하오차 측정장치
US7843576B2 (en) 2005-04-05 2010-11-30 Haglof Sweden Ab Means for measuring a diame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234B2 (ja) * 1989-04-07 1996-03-04 プリューフテヒニーク ディーテル ブッシュ ウント パルトネル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ムパニー タンデム―配置軸の検査方法
KR20020035048A (ko) * 2002-03-16 2002-05-09 김옥현 원통의 기하오차 측정장치
US7843576B2 (en) 2005-04-05 2010-11-30 Haglof Sweden Ab Means for measuring a diam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099A (ko) 201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2889B2 (en) Apparatus for pointing spatial coordinates, comprising a movable hand-held probe and a portable base unit, and a related method
JP4441561B2 (ja) 光学装置
JP2006506654A (ja) レベル、角度および距離計測装置
WO2007032136A1 (ja) 光学装置、および光学装置を用いて物体の寸法を測定する方法
EP1503176A3 (en) Survey guiding system
CN102878879A (zh) 利用角度进行长度、距离测量的测距尺
US20140073983A1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bio-impedance data of a person
JP4614685B2 (ja) 手持ち式光電測距装置
CN102078180A (zh) 具有视力检测功能的手持电子设备及其检测方法
GB2576273A (en) Cloud-enabled testing of control systems
CN202938729U (zh) 利用角度进行长度、距离测量的测距尺
KR101494855B1 (ko) 레벨기를 활용한 정밀 수준점측량시스템
JP5080593B2 (ja) 手首血圧計
KR101329498B1 (ko) 휴대용 수목 직경 측정 장치
KR20210103142A (ko) 골프 거리 측정기
JP2004205221A (ja) 携帯型距離計測装置
KR20070066541A (ko) 디지털 영상 처리를 통한 구조물의 3 차원 변위 측정 장치및 방법
JP2006194653A (ja) 電線の弛度測定方法および装置
CN206469847U (zh) 一种激光测距和测面积的便携式仪器
CN213812044U (zh) 一种单次测量即得到长物体长度的激光尺
CN203940918U (zh) 身高体重测量装置
US10859373B2 (en) Method and measuring device for determining an angle of a corner
JP2008039460A (ja) データロガー付き傾斜計
JP3182515U (ja) レーザ距離計
KR101284673B1 (ko) 수평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