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182B1 - 종자생산성이 안정화된 고임성 배무채 신품종 식물의 육종방법 - Google Patents

종자생산성이 안정화된 고임성 배무채 신품종 식물의 육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182B1
KR101328182B1 KR1020100058451A KR20100058451A KR101328182B1 KR 101328182 B1 KR101328182 B1 KR 101328182B1 KR 1020100058451 A KR1020100058451 A KR 1020100058451A KR 20100058451 A KR20100058451 A KR 20100058451A KR 101328182 B1 KR101328182 B1 KR 101328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formity
seed
xbrassicoraphanus
vesicles
breeding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8778A (ko
Inventor
이수성
Original Assignee
김명선
주식회사 바이오브리딩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선, 주식회사 바이오브리딩연구소 filed Critical 김명선
Publication of KR20100138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8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6Processes for producing mutations, e.g. treatment with chemicals or with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 A01H1/026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4Processes of selection involving genotypic or phenotypic markers; Methods of using phenotypic markers for selection
    • A01H1/045Processes of selection involving genotypic or phenotypic markers; Methods of using phenotypic markers for selection using molecular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10Se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6/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botanic taxonom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6/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6/20Brassicaceae, e.g. canola, broccoli or rucol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5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plants, fungi or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35/00Reactions characterised by the assay type for determining the identity of a nucleotide base or a sequence of oligonucleotides
    • C12Q2535/138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FLP]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자생산성이 안정화된 고임성 배무채 신품종 식물의 육종방법에 관한 것으로 돌연변이 유발물질 NMU를 0.01㎍/L 처리하여 배무채 종자를 돌연변이 처리하고 파종하여 채종하고 다시 파종후 실내에서 인공교배하여 종자생산성을 확인하고 이어서 AFLP primer를 이용하여 품종의 균일성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무채 신품종 식물의 육종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종자생산성이 안정화된 고임성 배무채 신품종 식물의 육종방법{Breeding method of New plant variety of baemoochae xBrassicoraphanus having a stabilized high fertility}
본 발명은 배무채 식물의 종자생산성이 안정화된 고임성 배무채 신품종 비비(BB) 식물의 육종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배추와 무 간의 속간잡종식물인 "배무채(속명: xBrassicoraphanus, genome : aarr, 2n=38)"를 육성하고 이를 특허 취득한 바 있다 (대한민국 특허제 0492518호, 특허의 명칭: 신종 배무채 변종식물 및 그 육종방법, 등록일: 2005년 5월 23일). 그 후 본 발명자가 확인한 바에 따르면, 이 식물은 싹 채소, 애기채소, 쌈 채소, 열무채소, 김치채소 및 건강보조식품의 원료재료 등으로 널리 이용될 수 있으나, 원연간 잡종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두 가지 문제점이 완전하게 해결되지는 못하였음을 알게 되었다.
첫째 종자 생산성이 낮은 것이다. 이 식물이 비록 농업 경영상 이익이 창출될 정도의 종자가 생산되기는 하지만(400-600L/ha), 한 꼬투리에 10여개의 종자가 들 수 있음에도 1-3개 정도만 영글고 나머지는 중간에 퇴화하여 종자 수량이 적다는 것이다. 둘째 형질이 계속적으로 분리되어 균일성이 비교적 낮다는 사실이다. 농업적으로 실용상 지장 없을 정도의 균일성은 있지만 세대가 거듭되어도 계속해서 특성이 조금씩 분리함으로 채종 재배 때에 형질이 다른 개체를 잘 솎아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식물학적으로 기존의 식물들과 같이 꼬투리내의 모든 종자가 퇴화 없이 영글고 적당한 육종적 방법으로 1대잡종 품종의 친으로 이용할 수 있을 정도의 균일성이 보장되는 신 계통을 육성하고 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돌연변이처리하는 단계와, 채종단계와; 인공교배하여 종자생산성을 확인하는 단계와; AFLP primer를 이용하여 균일성을 확인하는 단계를 통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배무채의 꼬투리내의 모든 종자가 퇴화없이 영글어 종자생산성이 향상되고 품종 형질이 분리됨이 없이 균일성을 유지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무채 노지 채종된 계통별 협내 종자상태를 보인사진도이다.
도 2는 배무채 신품종 식물 원예특성 조사를 위한 재배사진도이다.
실험 재료 및 방법
신 계통의 배무채 신품종 식물의 육종방법으로 소포자 돌연변이법을 이용코자하였다. 본 발명자 등에 의해 개발된 소포자 배양에서는 배 발생율이 배양접시 당 0.9개밖에 안되므로(홍과 이, 1995) 돌연변이 유도 수단으로 부적합한 상태이다. 따라서 좀 더 배 발생량이 많은 배양법을 확립함과 동시에 돌연변이제 NMU를 0.01μg/L로 처리하는 시험을 수행하였다. 많은 시험 중 배가 많이 나오는 어떤 한 시험에서 유래된 배를 식물로 유도하고 후대를 채종하였다. 그 결과 종래의 배무채 보다 실내 인공교배에서 채종 량이 많은 개체가 있었다(농림부과제(ARPC), "신 채소작물 배무채의 주요 형질 개선 및 쌈 채소로 연중 생산 연구"의 최종 보고서(2006), 31-38쪽의 표 15-23 참조). NMU(n-nitroso n-methyl urethane)는 분자량이 132로서 반감기가 빠르고 빛에 의해 분해됨으로 소포자 배양 직전에 제조하여 처리한다. 즉 소포자가 배양액 1㎖당 100,000개 들어있는 용액을 먼저 만든다. 그리고 즉시 전등이 꺼진 크린벤치내에서 아래와 같은 과정으로 NMU 농도를 묽게 하여 0.01μM이 되게 배양액에 첨가한다. 그리고 배양액을 2.5㎖씩 직경 60mm petridish에 분주하고 보통의 소포자 배양과정에 준하여 배양한다. 즉 처리중에 NMU를 씻어내지 않고 그대로 두고서 배양하는 것이다.
NMU 농도 희석 과정은
- 1M NMU=132㎖ NMU/L H20
- 10mM(X100희석)용액제조=1.32㎖/L ∴ 0.132㎖=132μl=132p/100㎖ H20
- 0.1mM(X100희석)용액제조=10mM 용액 1㎖/100mL H20
- 1.0μM(X희석)용액제조=0.1mM 용액 1㎖/100mL H20
배양액 100mL에 0.1μM NMU용액 1㎖를 혼합하여 0.01 μM 농도로 조정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시험 연구결과에 고무되어 2007년부터 집중적인 연구를 수행한 결과, 먼저 2007년도에 채종량이 많았던 4개체의 후대를 다시 실내 인공교배로 종자 생산능력을 확인하고 가을에는 포장에 재배하여 균일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다시 2008년도에는 노지 밭에 이들 계통을 재배하여 자연상태에서의 종자생산능력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그 계통들의 균일성을 육안검정만으로는 부족하다고 생각하여 AFLP로 비교하였다. AFLP는 primer를 E-AAC/M-CAA~CGG까지 9개(CAA, CAC, CAG, CCA, CCC, CCG, CCT, CGC, CGG)를 이용하였다.
균일성 및 종자생산성 확인평가
종자 생산능력을 확인하기위한 실내교배시험에서 역시 돌연변이제가 처리된 계통은 전년도와 비슷하게 종자가 많이 수확되었다(표 1).
Figure 112010039591732-pat00001

이들을 가을에 재배한 결과 균일성이 기존 계통보다 훨씬 좋았다. 따라서 이듬해에는 기존계통 2개와 신 계통 4개를 동일한 노지 밭에 재배하여 자연 상태에서 동일한 조건으로 종자생산능력을 비교하였다(표 2 및 도 1 참조).
Figure 112010039591732-pat00002

종래 계통 BB1호와 4호는 전체 생산량을 10a당으로 환산하였을 때 약 60L정도로 과거의 시험결과와 아주 비슷하였다. 그런데 돌연변이제가 처리되었던 4계통, BB11호, 12호, 13호, 14호는 100L이상으로 많이 생산되었다. 특히 BB12호는 160L이상으로 무나 배추의 고정종과 비슷한 량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꼬투리안의 종자가 대부분 퇴화하지 않고 영글기 때문임을 사진 1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BB1호와 BB4호는 대부분의 종자가 갈색으로 퇴화하고 있는데 BB#12호는 퇴화하는 종자가 거의 없고 대부분이 아직도 초록색을 띄고 있다. 이렇게 종자생산성은 원연간 잡종임에도 완전히 기존식물과 같이 개량되었다. 즉 원연간 잡종이 가지는 한가 지 문제점이 완전히 해결된 것이다.
두 번째 문제점인 낮은 균일성에 대하여 염려하지 않을 수 없었으나 실제로 두 번에 걸친 포장재배에서 기존 계통보다 월등히 높은 균일성을 보였다. 즉 외관상으로 볼 때 무나 배추 등의 1대잡종과 거의 비슷한 수준의 균일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좀 더 확실하게 증명하고자 AFLP기술을 적용하였다. 한 계통의 모든 공시개체를 AFLP로 전기영동 하였을 때 만일 그들이 모두 동일한 유전자를 가졌다면 그들은 모두 동일한 밴드를 나타낼 것이다. 그리고 한 유전자만이라도 다른 개체가 있으면 그 개체는 다른 개체들과는 다른 밴드, 즉 다형성 밴드를 나타낼 것이다. 이러한 이론에 따라 AFLP를 수행해 본 것인데 예상하였던 것과 같이 균일성이 가장 낮다고 생각되었던 BB4호는 다형성 밴드 율이 5.4%로 그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Figure 112010039591732-pat00003

그런데 기존 보유계통 중 균일성이 가장 좋다고 생각되었던 BB1호는 4.5%로 역시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돌연변이제 처리 후 얻어진 계통 중 종자생산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된 계통들은 4.0%에서 4.9%로 모두 5.0% 이하로 나타났다. 품종의 균일성을 나타내는 기준으로 이 AFLP 기술을 이용하려는 연구가 몇몇 곳에서 있었는데 균일성이 가장 높다는 1대잡종과 그 잡종의 양친까지도 다형성 밴드 율이 재료와 시험시기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5%까지는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따라서 BB1호를 비롯한 BB11호, 12호, 13호, 14호는 외관상으로 나타난 것(도 2 참조)과 동일하게 균일성이 개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두 번째 문제점인 낮은 균일성도 완전히 해결 된 것이다.
여기서 변이제가 처리되어 돌연변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4개의 계통이 어떻게 변이 제1세대(M1)에서 모든 형질이 고정되어 균일할 수 있느냐하는 의문이 생길 수 있다. 이는 Swanson 등(1989)이 유채의 소포자 배양 때 돌연변이제를 처리하여 제초제저항성 고정계통을 육성할 있었다는 보고에 따라 시험한 결과인 것이다. 즉 소포자를 배양하는 배양액에 돌연변이 유발제를 혼합하여 처리함으로서 반수체인 소포자 내지는 소포자유래 반수성 세포의 분열기에 돌연변이가 생기고 그것이 배로 자라서 식물로 분화하는 과정에 2배체체로 되기 때문인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추와 무의 원연간 잡종식물 배무채가 소포자 돌연변이라는 육종법으로 종자생산성이 안정화되고 고임성의 신계통을 개량한 뛰어난 효과가 있고 향후 동일한 육종방법으로 배무채의 또다른 신 계통 변종식물을 육성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원예식물육종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돌연변이 유발물질 NMU용액 0.01μM 농도를 배무채 식물 소포자 배양 직전에 제조하여 전등을 끈 상태의 크린 벤치에서 처리하고 배양액을 유지하여 배무채 소포자를 돌연변이 시키는 단계와; 상기 돌연변이 처리한 소포자를 분주 배양 후 결실한 종자를 채종하는 단계와; 실내 인공교배로 종자생산성을 확인하는 단계와; AFLP primer E-AAC/M-CAA~CGG까지 9개를 사용하여 품종의 균일성을 다시 확인하는 단계를 결합한 것이 특징인 종자생산성이 안정화되고 균일성이 증대된 배무채 신품종 xBrassicoraphanus BB 식물의 육종방법.


  2. 삭제
KR1020100058451A 2009-06-23 2010-06-21 종자생산성이 안정화된 고임성 배무채 신품종 식물의 육종방법 KR1013281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55969 2009-06-23
KR1020090055969 2009-06-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0030A Division KR20130108235A (ko) 2013-09-12 2013-09-12 종자생산성이 안정화된 고임성 배무채 신품종 식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778A KR20100138778A (ko) 2010-12-31
KR101328182B1 true KR101328182B1 (ko) 2013-11-19

Family

ID=43386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451A KR101328182B1 (ko) 2009-06-23 2010-06-21 종자생산성이 안정화된 고임성 배무채 신품종 식물의 육종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210457A1 (ko)
EP (1) EP2446735A4 (ko)
JP (1) JP2012523832A (ko)
KR (1) KR101328182B1 (ko)
CN (1) CN102427718A (ko)
WO (1) WO201015096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15571A (zh) * 2021-09-16 2021-11-09 山西省农业科学院作物科学研究所 一种小麦诱变育种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518B1 (ko) 2002-12-30 2005-06-02 이수성 신종 배무채 변종식물 및 그 육종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518B1 (ko) 2002-12-30 2005-06-02 이수성 신종 배무채 변종식물 및 그 육종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농림부 최종보고서(신 채소 작물 배무채의 주요 형질 개선 및 쌈 채소로 연중생산 연구, 2006년) *
원예과학기술지 제25권 제2호, page(s): 75-81(AFLP 분석을 이용한 배추과 식물의 종속간 분자유전연구, 2007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50968A3 (ko) 2011-02-17
WO2010150968A2 (ko) 2010-12-29
EP2446735A4 (en) 2013-03-20
CN102427718A (zh) 2012-04-25
EP2446735A2 (en) 2012-05-02
JP2012523832A (ja) 2012-10-11
KR20100138778A (ko) 2010-12-31
US20120210457A1 (en) 201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30491B (zh) 四倍体蓖麻的培育方法
BRPI0618023A2 (pt) planta cìbrida do gênero lactuca ou a progênie da mesma e método para sua produção, microcalo, mitocÈndria e genoma mitocondrial da planta cìbrida do gênero lactuca e método para produção da semente de primeira geração filial
CN104642096A (zh) 一种油用向日葵新葵19号不育系1193a的选育方法
CN107950388B (zh) 一种利用ems诱变产生玉米突变体的方法
KR101328182B1 (ko) 종자생산성이 안정화된 고임성 배무채 신품종 식물의 육종방법
KR20130108235A (ko) 종자생산성이 안정화된 고임성 배무채 신품종 식물
Wang et al. Development of peanut varieties with high oil content by in vitro mutagenesis and screening
CN104938326A (zh) 一种高花青素紫甘薯品种的快速选育方法
CN108077080A (zh) 一种花生高油体的离体定向筛选方法
CN112715355A (zh) 一种安全高效的草地早熟禾诱变方法
CN102802404A (zh) 不依赖于受精的番茄的果实形成
CN103766214B (zh) 一种海带重离子辐射诱变育种方法
Rajesh et al. Development of a Mutant Genetic Resource of Tomato Solanum lycopersicum L. cv. ArkaVikas
Warman et al. Selection and semi-dwarf allele mutants segregation pattern as the result of gamma ray irradiation of West Sumatera black rice
JP6247806B2 (ja) 発芽促進処理されたイチゴ種子の製造方法
CN111727874A (zh) 用甜菜品种或品系群体创制甜菜n型胞质种质资源的方法
CN102057866B (zh) 一种提高小桐子植株诱变育种效率的方法
Diordiieva et al. Enrichment of the winter triticale gene pool under intergeneric hybridization
CN104782481A (zh) 借助游离小孢子培养和ems诱变创制大白菜突变体的方法
Barroso et al. Heritability of traits related to germination and morphogenesis in vitro in ornamental peppers
Amkul et al. Pollen viability and seed set of interspecific hybrids between Jatropha curcas x Jatropha integerrima
CN109122304B (zh) 一种快速培育耐高温耐直播水稻的育种方法
WO2020213727A1 (ja) 低温生長性が改良された細胞質雄性不稔Lactuca属植物
CN115669536A (zh) 一种双单倍体及化学诱导联合作用的甘蓝类蔬菜育种方法
Sihaloho et al. Individual Selection Soybean (Glycine max L.) The Genotype of Cross Argomulyo and Tanggamus Based on Character of Yield Compon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