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913B1 -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7913B1 KR101327913B1 KR1020110054613A KR20110054613A KR101327913B1 KR 101327913 B1 KR101327913 B1 KR 101327913B1 KR 1020110054613 A KR1020110054613 A KR 1020110054613A KR 20110054613 A KR20110054613 A KR 20110054613A KR 101327913 B1 KR101327913 B1 KR 1013279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cam
- bracket
- rotation
- surface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352 storage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5—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 E05D11/1064—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14—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only one position, e.g. closed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동브라켓에 구비되어 고정브라켓에 대해 회동브라켓과 함께 회동하고 둘레면이 불균일한 곡률의 비선형으로 편심되는 캠, 및 이 고정브라켓 내측에 구비되어 캠을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캠을 설정 위치에서 회동 방향으로 자동 회동시키는 회동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캠 방식으로 저장고의 여닫이형 도어를 일정위치에서 자동 개폐 유도하고 여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가스켓의 변형이나 조립 및 부품의 가공공차로 인한 본체와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캠 방식으로 저장고의 여닫이형 도어를 일정위치에서 자동 개폐 유도하고 여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가스켓의 변형이나 조립 및 부품의 가공공차로 인한 본체와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캠 방식으로 저장고의 여닫이형 도어를 일정위치에서 자동 개폐 유도하고 여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가스켓의 변형이나 조립 및 부품의 가공공차로 인한 본체와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김치저장고는 크게, 열고 닫는 도어가 윗면에 위치하는 윗면개폐형, 정면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서랍형, 그리고 서랍형과 도어형를 혼용한 스탠드형으로 분류된다. 이들 방식은 각각 김치통 출납 방식에 따른 불편이나 냉기 유출에 의한 보관 효율 면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는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윗면개폐형은 열고 닫는 도어가 윗면에 위치하여 도어 하중에 의해 압착력이 좋아 냉기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으나, 내부에 위치한 김치통을 꺼내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어왔다.
그리고, 서랍형은 수평으로 열고 닫게 되어 있어서, 김치통을 꺼내기가 수월하지만, 상대적으로 윗면개폐형보다 압착력이 적어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가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마지막으로, 스탠드형은 정면 상부에 열고 닫을 수 있는 도어형과 하부에 서랍형으로 일체로 되게 구성된다.
기존 스탠드형 김치저장고는 여닫이식 도어를 자력으로 본체에 부착시킴으로서 닫게되는데, 자력의 약화시 본체와 도어의 틈새 발생으로 인해 냉기 유출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저장고의 여닫이형 도어를 일정위치에서 탄성적으로 캠을 원주 방향으로 미는 방식에 의해 자동 개폐 유도하고 여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가스켓의 변형이나 조립 및 부품의 가공공차로 인한 본체와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냉기 누출을 방지하고자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는: 전면이 개방된 본체의 가장자리에 고정 연결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본체의 개방된 전면을 여닫는 도어에 고정 연결되는 회동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회동브라켓을 연결하며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도어의 설정각도 이상 회동시 자동적으로 여닫히도록 안내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로서, 상기 회동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에 대해 상기 회동브라켓과 함께 회동하고 둘레면이 불균일한 곡률의 비선형으로 편심되는 캠, 및 상기 고정브라켓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캠을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캠을 설정 위치에서 회동 방향으로 자동 회동시키는 회동조작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조작부는, 상기 캠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브라켓 내측에 장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캠과 면접되게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으로 상기 캠의 원주 방향 회동을 지지하며 상기 고정브라켓의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고, 상기 캠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고정브라켓 내부에서 사방향 이동 가능한 서포터를 포함한다.
상기 캠은, 상기 고정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디, 상기 회동조작부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 유지력을 받도록 상기 바디에 형성되는 제 1변곡안내면부, 상기 회동조작부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도어의 열림 상태 유지력을 받도록 상기 바디에 형성되는 제 2변곡안내면부, 및 상기 제 1변곡안내면부와 상기 제 2변곡안내면부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바디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회동시 상기 회동조작부에 가이드되는 가이드면부를 포함한다.
상기 캠은 둘레면에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 상기 캠의 완전 회동시 상기 스토퍼를 지지하는 지지턱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도어의 닫힘 방향으로 상기 캠의 완전 회동시 상기 가이드면부와 접하는 접촉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회동브라켓은 상기 도어의 완전 개방시 상기 회동브라켓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고정브라켓에 걸리는 걸림턱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저장고의 여닫이형 도어를 일정위치에서 탄성적으로 캠을 원주 방향으로 미는 방식에 의해 자동 개폐 유도하고 여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가스켓의 변형이나 조립 및 부품의 가공공차로 인한 본체와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냉기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를 구비한 스탠드형 김치저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를 구비한 스탠드형 김치저장고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의 도어 닫힘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의 도어 닫힘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의 도어 열림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의 도어 열림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의 개폐 중 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의 과도한 개방을 제한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를 구비한 스탠드형 김치저장고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의 도어 닫힘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의 도어 닫힘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의 도어 열림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의 도어 열림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의 개폐 중 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의 과도한 개방을 제한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를 구비한 스탠드형 김치저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를 구비한 스탠드형 김치저장고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의 도어 닫힘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의 도어 닫힘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의 도어 열림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의 도어 열림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의 개폐 중 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의 과도한 개방을 제한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는 저장고의 도어(4)를 자동 개폐하도록 하고 개폐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저장고는 일반냉장고 또는 김치냉장고일 수 있고, 김치냉장고 일 경우 스탠드형 또는 상부 개폐식일 수 있다.
편의상, 저장고는 스탠드형 양문형 김치냉장고로 도시하고, 본체(2)와 도어(4)로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본체(2)는 김치통(도시하지 않음)을 적층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전면을 개방한다.
아울러, 도어(4)는 본체(2)의 개방된 전면을 여닫도록 본체(2)의 일측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본체(2)는 도어(4)를 힌지 연결하는 해당 가장자리에 고정브라켓(10)을 연결하고, 도어(4)는 회동브라켓(20)을 구비한다. 이때, 회동브라켓(20)은 도어(4)와 함께 회동되도록 도어(4)에 구비된다.
그리고, 고정브라켓(10)과 회동브라켓(20)은 개폐부(100)에 의해 연결된다.
특히, 고정브라켓(10)은 본체(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유지 보수를 위해 본체(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정브라켓(10)은 볼팅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본체(2)에 연결된다. 물론, 고정브라켓(10)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고정브라켓(10)은 본체(2)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 경우, 본체(2)에 대한 도어(4)의 회동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브라켓(10)의 크기를 증가시켜야 한다.
그래서, 고정브라켓(10)의 크기가 비교적 작게 형성되기 위해서는 고정브라켓(10)이 본체(2)에 직접적으로 설치된 연결브라켓(12)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회동브라켓(20)은 도어(4)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유지 보수를 위해 도어(4)의 가장자리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회동브라켓(20)은 볼팅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본체(2)에 설치된다. 물론, 회동브라켓(20)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회동브라켓(20)은 도어(4)에 고정 설치되어 도어(4)의 여닫음시 도어(4)와 함께 회동하게 된다.
한편, 개폐부(100)는 고정브라켓(10)과 회동브라켓(20)을 연결하며, 본체(2)에 대한 도어(4)의 설정각도 이상 회동시 자동적으로 여닫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개폐부(100)는 캠(110) 및 회동조작부(120)를 포함한다.
캠(110)은 회동브라켓(20)에 구비되어 고정브라켓(10)에 대해 회동브라켓(20)과 함께 회동한다. 즉, 캠(110)은 회동브라켓(20)의 고정브라켓(10)과 연결부위에 해당되는 일측에 형성되어 회동브라켓(20)과 동일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캠(110)은 회동브라켓(20)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으나, 회동브라켓(20)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캠(110)은 고정브라켓(10)에 대해 회동브라켓(20)의 피벗(pivot)을 기준으로 둘레면이 불균일한 곡률의 비선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캠(110)은 불균일한 비선형에 의해 불규칙하도록 편심되게 회전한다.
물론, 캠(110)은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회동조작부(120)는 고정브라켓(10)에 구비되어 캠(110)을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캠(110)을 설정 위치에서 회동 방향으로 자동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회동조작부(120)는 고정브라켓(10)에 대해 회전하는 캠(110)을 회전하는 원주 방향으로 밀어 자동적으로 회동시키고, 완전히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캠(110)의 완전한 회동'은 도어(4)의 닫힘 또는 완전히 열림을 의미한다.
이때, 회동조작부(120)는 탄성부재(122) 및 서포터(124)를 포함한다.
탄성부재(122)는 고정브라켓(10)에 장착되는데, 고정브라켓(10)에 축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고정브라켓(10)은 축 방향을 따라 삽입홈(123)을 형성한다.
탄성부재(122)는 삽입홈(123)에 축 삽입되어 삽입홈(123)의 바닥에 타측이 지지된다. 이때, 탄성부재(122)의 일측은 고정브라켓(10)의 일측으로 노출된다.
여기서, 탄성부재(122)는 판 스프링 등 스프링류로 적용 가능한데, 편의상, 코일스프링으로 도시한다.
또한, 서포터(124)는 탄성부재(122)의 일측에 구비되어 캠(11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즉, 탄성부재(122)가 코일 스프링일 경우, 캠(110)과 면접촉하도록 별도의 서포터(12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서포터(124)가 탄성부재(12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서포터(124)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특히, 서포터(124)는 탄성부재(122)에 탄성 지지되며 캠(110)과 면접되어, 탄성부재(122)의 탄성 복원력으로 캠(110)의 원주 방향 회동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서포터(124)는 캠(110)을 탄성적으로 밀게 됨에 따라, 캠(110)은 도어(4)의 회동하는 방향으로 일정 위치에서부터 자동적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서포터(124)는 캠(110)의 회전 방향을 따라 고정브라켓(10)의 내부에서 사방향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는, 캠(110)과 서포터(124)의 마찰로 인한 캠(110)의 회전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줄이기 위함이다.
한편, 캠(110)은 도어(4)와 함께 회동하는 회동브라켓(20)에 의해 회동하면서 탄성부재(122)를 압축하거나, 탄성부재(122)의 탄성 복원력으로 자동 회전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일례로, 캠(110)은 바디(112), 제 1변곡안내면부(114), 제 2변곡안내면부(116) 및 가이드면부(118)를 포함한다.
바디(112)는 고정브라켓(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바디(112)는 피벗핀(113)에 의해 고정브라켓(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피벗핀(113)을 기준으로 회동브라켓(20)과 캠(110)으로 나뉘어진다. 그래서, 피벗핀(113)을 기준으로 회동브라켓(20)과 캠(110)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회동브라켓(20)은 도어(4)와 연결됨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4)를 여닫는 행동에 의해, 회동브라켓(20)과 캠(110)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아울러, 제 1변곡안내면부(114)는 회동조작부(120) 특히, 탄성부재(12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도어(4)의 닫힘 상태 유지력을 받도록 바디(112)에 형성되며, 바디(112)의 둘레면 곡률이 달라지는 변곡점에 해당되는 부위이다.
그리고, 제 2변곡안내면부(116)는 회동조작부(120) 특히, 탄성부재(12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도어(4)의 열림 상태 유지력을 받도록 바디(112)에 형성되며, 바디(112)의 둘레면 곡률이 달라지는 변곡점에 해당되는 부위이다.
또한, 가이드면부(118)는 제 1변곡안내면부(114)와 제 2변곡안내면부(116) 사이에 해당되는 바디(112)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도어(4)의 회동시 회동조작부(120) 특히, 서포터(124)에 가이드되는 역할을 한다.
즉,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어(4)를 닫게 되면, 고정브라켓(10)과 회동브라켓(20)은 회동브라켓(20)의 축 방향을 따라 대응되는 가장자리끼리 접하게 된다. 그래서, 회동브라켓(20)은 도어(4)의 닫히는 방향으로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캠(110)의 바디(112)는 소정 돌출되는 제 1변곡안내면부(114)에서 제 2변곡안내면부(116)를 향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에 해당되는 둘레면을 서포터(124)와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탄성부재(122)는 축 방향으로 소정 압축되어 캠(110)을 탄성적으로 미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즉, 캠(110)은 탄성부재(122)의 미는 힘을 받는 상태에서 돌출된 제 1변곡안내면부(114)에 의해 도어(4)의 열림 방향으로 임의 회전 방지된다.
특히, 후술할, 가이드면부(118)는 접촉면부(140)와 면접됨에 따라, 도어(4)의 닫힘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되고, 이로 인해, 본체(2) 내부는 밀폐 처리된다.
그리고, 도 7에서처럼, 사용자가 도어(4)를 강제로 소정 열게 되면, 캠(110)은 회동브라켓(20)과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특히, 제 1변곡안내면부(114)가 서포터(124)와 접촉하게 되면, 서포터(124)와 탄성부재(122)는 고정브라켓(10) 내부 방향으로 더 밀리게 되고, 이로 인해, 탄성부재(122)는 더 압축된다.
이 후, 사용자가 도어(4)를 더 열게 되면, 캠(110)은 중심에서 제 1변곡안내면부(114)까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 궤적 내에 형성되는 가이드면부(118)를 서포터(124)에 대향하게 회전한다.
이때, 가이드면부(118)가 캠(110)의 중심에서 제 1변곡안내면부(114)까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 궤적 내에 형성되기 때문에 탄성부재(122)는 소정 탄성 복원된다. 물론, 탄성부재(122)는 탄성 복원력을 유지하게 된다. 이는, 캠(110)의 임의적 회전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처럼, 사용자가 도어(4)를 완전히 열게 되면, 고정브라켓(10)과 회동브라켓(20)은 설정 각도만큼 벌어지게 된다.
이때, 캠(110)의 바디(112)는 소정 돌출되는 제 2변곡안내면부(116)에서 제 1변곡안내면부(114)를 향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에 해당되는 둘레면을 서포터(124)와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탄성부재(122)는 축 방향으로 소정 압축되어 캠(110)을 탄성적으로 미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즉, 캠(110)은 탄성부재(122)의 미는 힘을 받는 상태에서 돌출된 제 2변곡안내면부(116)에 의해 도어(4)의 닫힘 방향으로 임의 회전 방지된다.
그리고, 캠(110)은 중심에서 제 1변곡안내면부(114)까지의 직경 궤적보다 제 1변곡안내면부(114)에서 가이드면부(118)를 향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외측)의 둘레면의 직경 궤적을 작게하고, 제 2변곡안내면부(116)까지의 직경 궤적보다 제 2변곡안내면부(116)에서 가이드면부(118)를 향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외측)의 둘레면의 직경 궤적을 작게한다.
따라서, 서포터(124)가 캠(110)의 둘레면 중 제 1변곡안내면부(114)를 기준으로 외측 둘레면에 접할 경우, 캠(110)은 탄성부재(1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도어(4)의 닫힘 방향으로 자동 회전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서포터(124)가 캠(110)의 둘레면 중 제 2변곡안내면부(116)를 기준으로 외측 둘레면에 접할 경우, 캠(110)은 탄성부재(1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도어(4)의 열림 방향으로 자동 회전하게 된다.
한편, 도어(4)가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회동브라켓(20)과 캠(110)은 임의적으로 도어(4)의 닫힘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견고하게 방지되어야 한다.
그래서, 도 6에서처럼, 캠(110)은 둘레면에 스토퍼(132)를 구비하고, 고정브라켓(10)은 도어(4)의 개방 방향으로 캠(110)의 회동시 스토퍼(132)를 지지하는 지지턱(134)을 형성한다.
즉, 스토퍼(132)가 지지턱(134)에 접함으로써, 회동브라켓(20)은 임의적으로 도어(4)의 닫힘 방향으로 회동하지 않게 된다. 물론, 도어(4)가 사용자에 의해 강제로 닫힘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스토퍼(132)는 강제적으로 지지턱(134)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물론, 스토퍼(132)와 지지턱(134)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도어(4)가 완전 닫힘 상태에서, 회동브라켓(20)과 캠(110)은 임의적으로 도어(4)의 열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견고하게 방지되어야 한다.
그래서, 도 4에서처럼, 고정브라켓(10)은 도어(4)의 닫힘 방향으로 캠(110)의 완전 회동시 가이드면부(118)와 접하는 접촉면부(140)를 형성한다.
즉, 가이드면부(118)가 접촉면부(140)에 접함으로써, 회동브라켓(20)은 임의적으로 도어(4)의 열림 방향으로 회동하지 않게 된다. 물론, 도어(4)가 사용자에 의해 강제로 열림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가이드면부(118)는 강제적으로 접촉면부(14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물론, 접촉면부(140)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어(4)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회동브라켓(20)과 캠(110)은 더 이상 회전 방지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도 8에서처럼, 회동브라켓(20)은 도어(40)의 완전 개방시 회동브라켓(20)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해 고정브라켓(10)에 걸리는 걸림턱(150)을 형성한다.
걸림턱(150)은 고정브라켓(10)에 대해 완전히 젖혀진 회동브라켓(20)의 더 이상 젖혀짐을 방지하도록 회동브라켓(20)의 일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걸림턱(150)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고정브라켓(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고정브라켓 20: 회동브라켓
100: 개폐부 110: 캠
112: 바디 114: 제 1변곡안내면부
116: 제 2변곡안내면부 118: 가이드면부
120: 회동조작부 122: 탄성부재
124: 서포터 132: 스토퍼
134: 지지턱 140: 접촉면부
150: 걸림턱
100: 개폐부 110: 캠
112: 바디 114: 제 1변곡안내면부
116: 제 2변곡안내면부 118: 가이드면부
120: 회동조작부 122: 탄성부재
124: 서포터 132: 스토퍼
134: 지지턱 140: 접촉면부
150: 걸림턱
Claims (6)
- 전면이 개방된 본체의 가장자리에 고정 연결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본체의 개방된 전면을 여닫는 도어에 고정 연결되는 회동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회동브라켓을 연결하며,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도어의 설정각도 이상 회동시 자동적으로 여닫히도록 안내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회동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에 대해 상기 회동브라켓과 함께 회동하고, 둘레면이 불균일한 곡률의 비선형으로 편심되는 캠; 및
상기 고정브라켓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캠을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캠을 설정 위치에서 회동 방향으로 자동 회동시키는 회동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조작부는, 상기 캠의 원주 방향 회동을 지지하며 상기 고정브라켓의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고, 회전되는 상기 캠의 접촉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캠을 회전방향으로 밀거나 회전 정지시키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캠은, 상기 회동브라켓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디;
상기 회동조작부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 유지력을 받도록 상기 바디에 형성되는 제 1변곡안내면부;
상기 회동조작부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도어의 열림 상태 유지력을 받도록 상기 바디에 형성되는 제 2변곡안내면부; 및
상기 제 1변곡안내면부와 상기 제 2변곡안내면부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바디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회동시 상기 회동조작부에 가이드되는 가이드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조작부는, 상기 고정브라켓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캠을 지지하는 상기 서포터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 삭제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둘레면에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 상기 캠의 완전 회동시 상기 스토퍼를 지지하는 지지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도어의 닫힘 방향으로 상기 캠의 완전 회동시 상기 가이드면부와 접하는 접촉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브라켓은 상기 도어의 완전 개방시 상기 회동브라켓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고정브라켓에 걸리는 걸림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4613A KR101327913B1 (ko) | 2011-06-07 | 2011-06-07 |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4613A KR101327913B1 (ko) | 2011-06-07 | 2011-06-07 |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5730A KR20120135730A (ko) | 2012-12-17 |
KR101327913B1 true KR101327913B1 (ko) | 2013-11-13 |
Family
ID=47903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4613A KR101327913B1 (ko) | 2011-06-07 | 2011-06-07 |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2791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500587A (ja) | 1997-04-04 | 2001-01-16 | ヤングデール マニュファクチュアリング コーポレーション | 自動掛止式のナイフ型蝶番 |
KR20020066266A (ko) * | 2001-02-09 | 2002-08-14 | 만도공조 주식회사 | 김치저장고의 도어용 힌지조립체 |
JP2002360166A (ja) | 2001-05-24 | 2002-12-17 | Mando Climate Control Corp | 漬物貯蔵庫のドア用ヒンジ組立体 |
JP2008516110A (ja) * | 2004-10-12 | 2008-05-15 | エドゥシャ アーゲー | 自動車のドア用ヒンジ |
-
2011
- 2011-06-07 KR KR1020110054613A patent/KR10132791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500587A (ja) | 1997-04-04 | 2001-01-16 | ヤングデール マニュファクチュアリング コーポレーション | 自動掛止式のナイフ型蝶番 |
KR20020066266A (ko) * | 2001-02-09 | 2002-08-14 | 만도공조 주식회사 | 김치저장고의 도어용 힌지조립체 |
JP2002360166A (ja) | 2001-05-24 | 2002-12-17 | Mando Climate Control Corp | 漬物貯蔵庫のドア用ヒンジ組立体 |
JP2008516110A (ja) * | 2004-10-12 | 2008-05-15 | エドゥシャ アーゲー | 自動車のドア用ヒン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5730A (ko) | 2012-1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316565B2 (en) | Ejecting device and arrangement consisting of a piece of furniture and an ejecting device | |
US20160138319A1 (en) | Secure Assembly Structure For Furniture Hinge Buffer Device | |
WO2019206093A1 (zh) | 闭门器及具有该闭门器的冰箱 | |
JP2013500410A (ja) | ヒンジを備えた旋回可能に支承されたドア | |
JP6611360B2 (ja) | ドア用のベアリング装置 | |
CN104302859A (zh) | 水平向上开启盖体用铰链 | |
WO2015035747A1 (zh) | 一种支撑机构及具有该机构的清分机 | |
CN208593635U (zh) | 一种收纳盒 | |
KR101490160B1 (ko) | 자동 닫힘 도어힌지 | |
KR101327913B1 (ko) |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 |
CN111042683A (zh) | 铰链 | |
CN203433578U (zh) | 一种支撑机构及具有该机构的清分机 | |
EP3299510A1 (en) | Open lid/closed lid structure of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 |
CN208010765U (zh) | 一种新型手动翻转装置 | |
CN102128538B (zh) | 用于旋转式门体的闭门装置和具有其的冰箱 | |
CN106460436B (zh) | 用于家具或家用电器的铰链 | |
KR20150097003A (ko) | 미닫이식 도어용 개폐장치 | |
JP6325386B2 (ja) | 扉操作補助装置 | |
JP2016052416A (ja) | カバー開閉構造 | |
JP2018071223A (ja) | 扉体開閉装置並びにこの扉体開閉装置を備えた各種キャビネット | |
JP2015045150A (ja) | 蝶番 | |
CN210003094U (zh) | 一种侧开门缓冲复位铰链的改良结构 | |
JP2018202943A5 (ko) | ||
CN209632868U (zh) | 一种试孕纸卡壳在凸轮分割器上定位装置 | |
CN109253577B (zh) | 铰链装置及冰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