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849B1 - Isg차량의 재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Isg차량의 재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849B1
KR101326849B1 KR1020120107282A KR20120107282A KR101326849B1 KR 101326849 B1 KR101326849 B1 KR 101326849B1 KR 1020120107282 A KR1020120107282 A KR 1020120107282A KR 20120107282 A KR20120107282 A KR 20120107282A KR 101326849 B1 KR101326849 B1 KR 101326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control
restart
vehicl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석훈
이희용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7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 F02D41/065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at hot start or rest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8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id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5/00Electrical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D41/00 - F02D4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14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omprising means for controlling automatic idle-start-s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2200/00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 F02N2200/10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driver demands or status
    • F02N2200/101Accelerator pedal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2200/00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 F02N2200/10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driver demands or status
    • F02N2200/102Brake pedal 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펌프가 적용되는 ISG(Idle Stop and Go)시스템 장착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엔진 재시동시 엔진 출력 토크 및 유압 제어의 실행으로 차량의 거동에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ISG차량의 재시동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엔진이 아이들 정지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차량의 상태정보가 아이들 정지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과정; 아이들 정지 해제 조건을 만족하면 엔진 크랭킹과 연료분사 및 점화를 제어하여 엔진 재시동을 실행하는 과정; 엔진 재시동시 엔진의 상승 속도에 따라 연료분사 및 점화시기를 제어하여 엔진 속도가 피크치에 도달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과정; 엔진 재시동시 가속페달의 팁 인 스트로크가 설정량을 초과하면 마찰요소가 목표 변속단의 동기를 완료하기까지 연료량 및 점화시기를 조절하여 엔진 출력 토크를 저감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ISG차량의 재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RESTART CONTROL SYSTEM FOR IDLE STOP AND GO SYSTEM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오일펌프가 적용되는 ISG(Idle Stop and Go)시스템 장착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엔진 재시동시 엔진 출력 토크 및 유압 제어의 실행으로 차량의 거동에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ISG차량의 재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인 고유가 및 강화되는 환경규제에 따라 친환경, 고연비는 차량개발의 핵심항목이 되었고 차량 메이커들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친환경 차량의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차량이 정지되어 일정시간 이상 공회전이 지속되고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면 엔진이 아이들 정지되고,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의 해제 혹은 가속페달의 팁 인 등에 따른 출발의지가 검출되면 엔진을 재시동시키는 ISG(Idle Stop and Go) 시스템이 주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ISG시스템은 소형 일부의 차종에만 적용되고 있으나 점차 적용폭이 확대되어 모든 차량에 기본 기능으로 탑재되도록 추진되고 있다.
ISG시스템이 장착된 자동변속기 차량에서는 엔진이 아이들 정지되었을 때 자동변속기의 마찰요소(결합요소 및 해방요소)에 유압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동식 모터로 작동되는 오일펌프가 적용되고 있다.
최근들어 ISG시스템이 장착된 자동변속기 차량에서는 원가절감, 중량절감 및 연비개선을 위해 전동식 오일펌프 대신에 유압 저장장치가 장착되고 있다.
유압 저장장치는 엔진이 작동 중인 상태에서 자동변속기의 오일 펌프로부터 오일을 공급받아 충전되고, 엔진이 아이들 정지되면 유압 저장장치는 작동 준비 상태가 된다.
이후, 엔진이 재시동되면 유압 저장장치는 충전된 오일을 자동변속기의 마찰요소에 공급하여 목표 변속단을 계합할 수 있도록 한다.
수동변속기(M/T) 차량에 장착된 ISG시스템은 중립단(N)에서 설정된 제어조건을 만족할 때 엔진이 아이들 정지 및 재시동된다.
그러나, 자동변속기(A/T) 차량에 장착된 ISG시스템은 주행단(D 혹은 R)에서 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때 엔진 아이들 정지 및 재시동된다.
따라서, 자동변속기 차량은 ISG시스템의 작동으로 주행단(D 혹은 R)에서 엔진의 재시동이 이루어질 때 엔진 재시동 토크에 의해 크립력(Creep Power)이 상승되어 차량의 울컥거림 및 발진 충격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ISG시스템의 작동으로 주행단(D 혹은 R)에서 엔진의 재시동이 이루어질 때 가속페달의 팁 인(Tip In)이 발생되는 경우 팁 인에 따른 급격한 토크의 급상승으로 급격한 울컥거림 등 발진 충격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오일펌프가 적용되지 않는 ISG시스템에서 엔진 재시동이 실행되면 엔진속도가 피크치에 도달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엔진 속도가 피크치에 도달되면 엔진 속도 저감 제어를 실행하여 차량의 안정된 거동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일펌프가 적용되지 않는 ISG시스템에서 엔진 재시동이 실행될 때 가속페달의 팁 인이 검출되면 자동변속기의 마찰요소가 목표 변속단의 동기를 완료하는 시점까지 엔진 출력토크 저감 제어를 실행하여 마찰요소에 공급되는 유압을 안정되게 유지하여 차량의 울컥거림 및 급발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특징은 오일펌프가 적용되지 않는 ISG차량의 재시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엔진속도, 가속페달의 변위, 시프트 레버로 선택되는 변속단, 배터리의 충전상태(SOC), 엔진의 출력토크, 브레이브 페달의 온/오프, 공조장치의 작동 온/오프를 포함하는 정보를 검출하는 차량상태검출부; 상기 차량상태검출부의 정보에 따라 엔진 아이들 정지 및 엔진 재시동을 제어하는 엔진제어부; 마찰요소에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여 목표 변속단을 계합하는 변속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엔진제어부는 엔진 재시동시 엔진의 상승 속도에 따라 연료분사 및 점화시기를 제어하여 엔진 속도가 피크치에 도달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엔진 속도가 피크치에 도달되면 오버슈트가 발생되지 않도록 엔진 속도를 저감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차량의 재시동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엔진제어부는 엔진 속도를 피크치에 도달시키는 시간 단축 제어는 정상적인 엔진 시동 제어와 엔진 재시동 제어로 이원화되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엔진제어부는 연료분사량과 점화시기를 조절하여 엔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엔진제어부는 엔진 재시동시 가속페달의 팁 인 스트로크가 설정량 이하이고, 엔진 출력 토크가 기준 토크 미만이면 CAN통신으로 연결되는 변속제어부와 연동하여 변속제어부를 통해 마찰요소를 작동시켜 목표 변속단을 계합할 수 있다.
상기 엔진제어부는 엔진 재시동시 가속페달의 팁 인 스트로크가 설정량을 초과하면 마찰요소가 목표 변속단의 동기를 완료하기까지 연료량 및 점화시기를 조절하여 엔진 출력 토크를 저감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엔진제어부는 엔진 재시동시 엔진 출력 토크가 설정된 기준 토크를 초과하면 마찰요소가 목표 변속단의 동기를 완료하기까지 연료량 및 점화시기를 조절하여 엔진 출력 토크를 저감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엔진제어부는 엔진 재시동시 엔진 출력 토크를 저감 제어하는 상태에서 목표 변속단의 동기가 완료되면 가속페달의 팁 인에 따라 정상적인 엔진 출력 토크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특징은 오일펌프가 적용되지 않는 ISG차량의 엔진 재시동 제어방법에 있어서, 엔진이 아이들 정지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차량의 상태정보가 아이들 정지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아이들 정지 해제 조건을 만족하면 엔진 크랭킹과 연료분사 및 점화를 제어하여 엔진 재시동을 실행하는 과정; 상기 엔진 재시동시 엔진의 상승 속도에 따라 연료분사 및 점화시기를 제어하여 엔진 속도가 피크치에 도달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과정; 상기 엔진 재시동시 가속페달의 팁 인 스트로크가 설정량을 초과하면 마찰요소가 목표 변속단의 동기를 완료하기까지 연료량 및 점화시기를 조절하여 엔진 출력 토크를 저감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ISG차량의 재시동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엔진 속도가 피크치에 도달되면 오버슈트가 발생되지 않도록 엔진 속도를 저감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엔진 속도의 피크치 도달 시간 단축 제어는 정상적인 엔진 시동 제어와 엔진 재시동 제어로 이원화할 수 있다.
상기 엔진 재시동시 엔진 출력 토크가 설정된 기준 토크를 초과하면 마찰요소가 목표 변속단의 동기를 완료하기까지 연료량 및 점화시기를 조절하여 엔진 출력 토크를 저감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엔진 재시동시 엔진 출력 토크를 저감 제어하는 상태에서 목표 변속단의 동기가 완료되면 가속페달의 팁 인에 따라 정상적인 엔진 토크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일펌프가 적용되지 않는 ISG차량의 재시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전반적인 운전상태를 검출하는 차량상태검출부; 상기 차량상태검출부의 정보에 따라 엔진 아이들 정지 및 엔진 재시동을 제어하는 엔진제어유닛; 마찰요소에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여 목표 변속단을 계합하는 변속제어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엔진제어유닛은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ISG차량의 재시동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오일펌프가 적용되지 않는 ISG시스템 장착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엔진 재시동시 엔진속도의 피크치 도달시간을 단축시키고, 엔진속도의 피크치에서 속도 저감 제어하여 안정된 차량 거동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일펌프가 적용되지 않는 ISG시스템 장착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엔진 재시동시에 가속페달의 팁 인이 발생되는 경우 마찰요소가 목표 변속단을 동기하기까지 엔진 출력토크를 저감시켜 유압을 안정화시킴으로써 급발진 방지 및 안정된 차량 거동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일펌프가 적용되지 않는 ISG시스템 장착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엔진 재시동될 때 엔진 출력 토크 제어와 유압 제어를 반복적으로 실행하여 엔진 및 자동변속기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시킴으로써 엔진 및 자동변속기의 내구성 향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SG차량의 재시동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SG차량의 재시동 제어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SG차량의 재시동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오일펌프가 적용되지 않는 ISG시스템 장착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엔진 재시동을 제어하는 기술이므로, 아이들 정지에 진입하는 기술은 통상적인 기술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상태검출부(100)와 엔진제어부(200) 및 변속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차량상태검출부(100)는 현재의 엔진속도, 운전자의 가속요구인 가속페달의 변위, 시프트 레버로 선택되는 변속단, 배터리의 충전상태, 엔진의 출력토크, 브레이브 페달의 온/오프, 에어컨과 히터 등을 포함하는 공조장치의 작동 온/오프 여부, 운전자의 선택에 따른 ISG 시스템의 온/오프 여부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검출하여 엔진제어부(200)에 제공한다.
상기 차량상태검출부(100)는 엔진 속도를 검출하는 엔진속도검출부(110), 운전자의 가속요구인 가속페달의 변위를 검출하는 가속페달검출부(120), 시프트 레버로 선택되는 변속단을 검출하는 변속단검출부(130),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검출하는 배터리검출부(140), 엔진의 출력토크를 검출하는 엔진토크검출부(150), 브레이크 페달의 온/오프 여부를 검출하는 브레이크페달검출부(160), 에어컨과 히터 등을 포함하는 공조장치의 작동 온/오프 여부를 검출하는 공조상태검출부(170), ISG시스템의 인위적인 작동 온/오프 선택을 검출하는 ISG선택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엔진제어부(200)는 엔진이 아이들 정지된 상태에서 차량상태검출부(100)에서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분석하여 아이들 정지 해제조건, 즉 엔진 재시동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엔진 재시동 조건을 만족하면 엔진 재시동을 실행한다.
상기 엔진제어부(200)는 엔진 아이들 정지 상태에서 엔진 재시동이 요구되면 ISG시스템(210)를 작동시켜 엔진 크랭킹을 실행하고, 연료분사장치(220)를 제어하여 산출된 연료량을 각 실린더에 분사하며, 점화장치(230)를 제어하여 산출된 BTDC혹은 TDC영역에서 점화를 실행하여 엔진 재시동을 실행한다.
상기 엔진제어부(200)는 시프트 레버로 선택된 변속단이 주행변속단(D 혹은 R)이고, 브레이크 페달이 오프로 검출되는 경우 아이들 정지를 해제하고 엔진 재시동을 실행한다..
상기 엔진제어부(200)는 배터리의 충전상태가 설정된 일정 전압 이하로 다운되거나 난방장치의 작동 온이 선택되고, 실내의 온도가 설정된 일정온도 이하를 유지하는 경우 아이들 정지를 해제하고 엔진 재시동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엔진제어부(200)는 운전자가 ISG선택부(180)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아이들 정지를 해제한 경우 엔진 재시동을 실행한다.
상기 엔진제어부(200)는 엔진이 재시동되면 엔진 속도를 제어하는 제1차 제어를 실행한다.
상기 엔진제어부(200)는 엔진 재시동에 따른 제1차 제어로, 엔진 재시동 될 때 엔진의 상승 속도에 따라 연료분사장치(220)를 통한 연료량 제어와 점화장치(230)를 통한 점화시기 제어로 엔진 속도가 피크(Pick)까지 도달되는 시간을 최대로 단축시킨다.
따라서, 가속페달로부터의 발진 요구에 응답성 향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엔진의 상승 속도에 따라 연료량 및 점화시기를 제어하여 엔진 속도가 피크에 도달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제어는 일반적인 엔진 시동 제어와 ISG시스템에 의한 엔진 재시동 제어로 이원화하여 설정한다.
따라서, 전동식 오일펌프가 적용되지 않는 ISG시스템 장착 자동변속기에서 결합요소 및 해방요소로 구성되는 마찰요소에 대한 유압 응답성을 개선시킨다.
또한, 상기 엔진제어부(200)는 엔진 재시동으로 엔진 속도의 피크치에 도달되면 피크치에서의 속도를 저감 제어하여 오버슈트(Overshoot)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자동변속기의 마찰요소 작동시 차량의 울컥거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엔진제어부(200)는 엔진 재시동이 실행되는 상태에서 차량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가속페달의 팁 인 스트로크(ST)가 설정된 일정량을 초과하는 운전자의 가속의지가 판단되거나 엔진의 출력 토크가 설정된 기준 토크를 초과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엔진제어부(200)는 가속페달의 팁 인 스트로크(ST)가 설정된 일정량 이하로 검출되고, 엔진의 출력토크가 설정된 기준 토크 미만으로 검출되면 통상적인 제어요구를 CAN통신으로 연결되는 변속제어부(300)에 제공한다.
따라서, 변속제어부(300)는 CAN통신으로 제공되는 엔진제어부(200)의 요청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310)를 작동시켜 자동변속기의 마찰요소에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여 목표 변속단을 결합하는 제2차 제어를 실행한다.
그러나, 상기 엔진제어부(200)는 가속페달의 팁 인 스트로크(ST)가 설정된 일정량을 초과하여 운전자의 가속의지가 판단되거나 엔진의 출력 토크가 설정된 기준 토크를 초과하면 자동변속기의 마찰요소가 목표 변속단의 동기를 완료하는 시점까지 엔진 출력 토크 제어와 유압 제어를 동시에 실행하는 제3차 제어를 실행한다.
상기 엔진제어부(200)는 제3차 제어의 실행으로, 연료분사장치(220)를 통해 연료분사량을 제어하고, 점화장치(230)를 통해 점화시기를 제어하여 자동변속기의 마찰요소가 목표 변속단의 동기를 완료하기까지 엔진 출력 토크 저감 제어를 실행하여 마찰요소에 공급되는 유압을 안정되게 유지시켜 차량의 울컥거림 및 급발진 충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엔진제어부(200)와 CAN통신으로 연결되는 변속제어부(300)는 자동변속기의 마찰요소에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여 엔진의 토크 상승을 흡수하도록 함으로서 차량의 울컥거림이나 발진 충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변속제어부(300)는 엔진제어부(200)와 CAN통신으로 연결되어 엔진이 재시동되는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310)를 제어하여 자동변속기의 마찰요소(결합요소 및 해방요소)에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여 목표 변속단의 계합을 제공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10)는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로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혹은 액추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ISG시스템이 적용되는 자동변속기 차량이 엔진 아이들 정지를 유지하는 상태에서(S101) 엔진제어부(200)는 차량상태검출부(100)로부터 현재의 엔진속도, 운전자의 가속요구인 가속페달의 변위, 시프트 레버로 선택되는 변속단, 배터리의 충전상태, 엔진의 출력토크, 브레이브 페달의 온/오프, 에어컨과 히터 등을 포함하는 공조장치의 작동 온/오프 여부, 운전자의 선택에 따른 ISG 시스템의 온/오프 여부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검출한다(S102).
엔진제어부(200)는 차량상태검출부(100)를 통해 검출한 각종 정보를 분석하여 아이들 정지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S103).
상기 엔진제어부(200)는 S103의 판단에서 아이들 정지 해제조건을 만족하면 엔진 재시동을 위해 ISG시스템(210)를 작동시켜 엔진 크랭킹을 실행하고, 연료분사장치(220)를 제어하여 산출된 연료량을 각 실린더에 분사하며, 점화장치(230)를 제어하여 산출된 BTDC혹은 TDC영역에서 점화를 실행한다(S104).
상기 엔진제어부(200)는 시프트 레버로 선택된 변속단이 주행변속단(D 혹은 R)이고, 브레이크 페달이 오프로 검출되는 경우 아이들 정지를 해제하고 엔진 재시동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엔진제어부(200)는 배터리의 충전상태(SOC)가 설정된 일정 전압 이하로 다운되거나 난방장치의 작동 온이 선택되고, 실내의 온도가 설정된 일정온도 이하를 유지하는 경우 아이들 정지를 해제하고 엔진 재시동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제어부(200)는 운전자가 ISG선택부(180)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아이들 정지를 해제한 경우 엔진 재시동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엔진제어부(200)는 엔진이 재시동되면 엔진 속도를 제어하는 제1차 제어를 실행한다(S105).
상기 엔진제어부(200)는 엔진 재시동에 따른 제1차 제어로, 엔진 재시동 될 때 엔진의 상승 속도에 따라 연료분사장치(220)를 통한 연료량 제어와 점화장치(230)를 통한 점화시기 제어로 엔진 속도가 피크치에 도달되는 시간을 최대로 단축시켜 발진 요구에 응답성 향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엔진의 상승 속도에 따라 연료량 및 점화시기를 제어하여 엔진 속도가 피크치에 도달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제어는 일반적인 엔진 시동 제어와 ISG시스템에 의한 엔진 재시동 제어로 이원화하여 설정한다.
따라서, 전동식 오일펌프가 적용되지 않는 ISG시스템 장착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엔진 재시동 이후 발진 요구에 대하여 유압 응답성을 개선하여 준다.
또한, 상기 엔진제어부(200)는 엔진 재시동으로 엔진 속도가 피크치에 도달되면 피크치에서 속도 저감 제어를 실행하여 오버슈트(Overshoot)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자동변속기의 마찰요소가 목표 변속단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차량의 울컥거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엔진 출력 토크를 제어하는 1차 제어를 실행한 상태에서 상기 엔진제어부(200)는 차량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가속페달의 팁 인 스트로크(ST)가 설정된 일정량을 초과하는 운전자의 가속의지가 판단되거나 엔진의 출력 토크가 설정된 기준 토크를 초과하는지 판단한다(S106).
상기 엔진제어부(200)는 가속페달의 팁 인 스트로크(ST)가 설정된 일정량 이하로 검출되고, 엔진의 출력토크가 설정된 기준 토크 미만으로 검출되면 통상적인 제어요구를 CAN통신으로 연결되는 변속제어부(300)에 요구한다(S107).
따라서, 변속제어부(300)는 CAN통신으로 제공되는 엔진제어부(200)의 요청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310)를 작동시켜 자동변속기의 마찰요소에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제2차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목표 변속단을 동기시킨다.
그러나, 엔진제어부(200)는 상기 S106의 판단에서 가속페달의 팁 인 스트로크(ST)가 설정된 일정량을 초과하여 운전자의 가속의지로 판단되거나 엔진의 출력 토크가 설정된 기준 토크를 초과하면 자동변속기의 마찰요소가 목표 변속단의 동기를 완료하는 시점까지 엔진 출력 토크 저감제어와 유압 제어를 동시에 실행하는 제3차 제어를 실행한다(S108).
상기 엔진제어부(200)는 제3차 제어의 실행으로, 연료분사장치(220)를 통해 연료분사량을 제어하고, 점화장치(230)를 통해 점화시기를 제어하여 목표 변속단의 동기가 완료되기까지 엔진 출력 토크를 저감시켜 자동변속기의 마찰요소에 공급되는 유압을 안정화시킴으로써 목표 변속단을 동기시키는 과정에서 차량의 울컥거림 및 급발진 충격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때, 변속제어부(300)는 자동변속기의 마찰요소에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여 엔진의 토크 상승을 흡수시켜 차량의 울컥거림이나 발진 충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가속페달의 팁 인에 따라 엔진 출력 토크 저감 제어와 자동변속기의 마찰요소에 공급되는 유압 제어를 동시에 수행하는 상태에서 변속제어부(300)는 목표 변속단의 동기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한다(S109).
상기 S109에서 변속제어부(300)는 목표 변속단의 동기 완료를 판단하면 CAN통신으로 연결되는 엔진제어부(200)에 동기 완료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엔진제어부(200)는 엔진 출력토크 저감 제어를 종료하고, 가속페달의 팁 인에 대하여 정상적인 엔진 토크가 출력될 수 있도록 연료분사장치(220) 및 점화장치(230)를 제어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차량상태검출부 200 : 엔진제어부
300 : 변속제어부 310 : 솔레노이드 밸브

Claims (13)

  1. 오일펌프가 적용되지 않는 ISG차량의 재시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엔진속도, 가속페달의 변위, 시프트 레버로 선택되는 변속단, 배터리의 충전상태(SOC), 엔진의 출력토크, 브레이브 페달의 온/오프, 공조장치의 작동 온/오프를 포함하는 정보를 검출하는 차량상태검출부;
    상기 차량상태검출부의 정보에 따라 엔진 아이들 정지 및 엔진 재시동을 제어하는 엔진제어부;
    마찰요소에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여 목표 변속단을 계합하는 변속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엔진제어부는 엔진 재시동시 엔진의 상승 속도에 따라 연료분사 및 점화시기를 제어하여 엔진 속도가 피크치에 도달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엔진 속도가 피크치에 도달되면 오버슈트가 발생되지 않도록 엔진 속도를 저감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차량의 재시동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제어부는 엔진 속도를 피크치에 도달시키는 시간 단축 제어는 정상적인 엔진 시동 제어와 엔진 재시동 제어로 이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차량의 재시동 제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제어부는 연료분사량과 점화시기를 조절하여 엔진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차량의 재시동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제어부는 엔진 재시동시 가속페달의 팁 인 스트로크가 설정량 이하이고, 엔진 출력 토크가 기준 토크 미만이면 CAN통신으로 연결되는 변속제어부와 연동하여 변속제어부를 통해 마찰요소를 작동시켜 목표 변속단을 계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차량의 재시동 제어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제어부는 엔진 재시동시 가속페달의 팁 인 스트로크가 설정량을 초과하면 마찰요소가 목표 변속단의 동기를 완료하기까지 연료량 및 점화시기를 조절하여 엔진 출력 토크를 저감 제어하는 ISG차량의 재시동 제어장치.
  6.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제어부는 엔진 재시동시 엔진 출력 토크가 설정된 기준 토크를 초과하면 마찰요소가 목표 변속단의 동기를 완료하기까지 연료량 및 점화시기를 조절하여 엔진 출력 토크를 저감 제어하는 ISG차량의 재시동 제어장치.
  7.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제어부는 엔진 재시동시 엔진 출력 토크를 저감 제어하는 상태에서 목표 변속단의 동기가 완료되면 가속페달의 팁 인에 따라 정상적인 엔진 출력 토크로 제어하는 ISG차량의 재시동 제어장치.
  8. 오일펌프가 적용되지 않는 ISG차량의 엔진 재시동 제어방법에 있어서,
    엔진이 아이들 정지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차량의 상태정보가 아이들 정지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아이들 정지 해제 조건을 만족하면 엔진 크랭킹과 연료분사 및 점화를 제어하여 엔진 재시동을 실행하는 과정;
    상기 엔진 재시동시 엔진의 상승 속도에 따라 연료분사 및 점화시기를 제어하여 엔진 속도가 피크치에 도달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과정;
    상기 엔진 재시동시 가속페달의 팁 인 스트로크가 설정량을 초과하면 마찰요소가 목표 변속단의 동기를 완료하기까지 연료량 및 점화시기를 조절하여 엔진 출력 토크를 저감 제어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ISG차량의 재시동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속도가 피크치에 도달되면 오버슈트가 발생되지 않도록 엔진 속도를 저감 제어를 실행하는 ISG차량의 재시동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속도의 피크치 도달 시간 단축 제어는 정상적인 엔진 시동 제어와 엔진 재시동 제어로 이원화하는 ISG차량의 재시동 제어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재시동시 엔진 출력 토크가 설정된 기준 토크를 초과하면 마찰요소가 목표 변속단의 동기를 완료하기까지 연료량 및 점화시기를 조절하여 엔진 출력 토크를 저감 제어하는 ISG차량의 재시동 제어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재시동시 엔진 출력 토크를 저감 제어하는 상태에서 목표 변속단의 동기가 완료되면 가속페달의 팁 인에 따라 정상적인 엔진 토크의 출력을 제어하는 ISG차량의 재시동 제어방법.
  13. 오일펌프가 적용되지 않는 ISG차량의 재시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전반적인 운전상태를 검출하는 차량상태검출부;
    상기 차량상태검출부의 정보에 따라 엔진 아이들 정지 및 엔진 재시동을 제어하는 엔진제어유닛;
    마찰요소에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여 목표 변속단을 계합하는 변속제어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엔진제어유닛은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ISG차량의 재시동 제어장치.
KR1020120107282A 2012-09-26 2012-09-26 Isg차량의 재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326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282A KR101326849B1 (ko) 2012-09-26 2012-09-26 Isg차량의 재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282A KR101326849B1 (ko) 2012-09-26 2012-09-26 Isg차량의 재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6849B1 true KR101326849B1 (ko) 2013-11-11

Family

ID=49857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282A KR101326849B1 (ko) 2012-09-26 2012-09-26 Isg차량의 재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8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854B1 (ko) * 2013-12-19 2015-10-19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자동 엔진 정지 및 재시동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906003B1 (ko) * 2016-11-23 2018-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시동 방법
CN112664337A (zh) * 2019-10-16 2021-04-16 罗伯特·博世有限公司 用于使内燃机停机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3147A (ja) 2000-03-21 2001-09-26 Nissan Motor Co Ltd エンジンの停止判定装置および再始動装置
KR20020042137A (ko) * 2000-11-30 2002-06-05 이계안 전자 트로틀 방식 엔진의 시동 초기 공회전 제어 시스템및 그 방법
JP2003175747A (ja) 2001-12-13 2003-06-24 Denso Corp エンジン自動停止再始動装置
KR100833614B1 (ko) 2007-06-28 2008-05-30 주식회사 케피코 아이들스탑 기능을 가진 차량의 엔진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3147A (ja) 2000-03-21 2001-09-26 Nissan Motor Co Ltd エンジンの停止判定装置および再始動装置
KR20020042137A (ko) * 2000-11-30 2002-06-05 이계안 전자 트로틀 방식 엔진의 시동 초기 공회전 제어 시스템및 그 방법
JP2003175747A (ja) 2001-12-13 2003-06-24 Denso Corp エンジン自動停止再始動装置
KR100833614B1 (ko) 2007-06-28 2008-05-30 주식회사 케피코 아이들스탑 기능을 가진 차량의 엔진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854B1 (ko) * 2013-12-19 2015-10-19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자동 엔진 정지 및 재시동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906003B1 (ko) * 2016-11-23 2018-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시동 방법
CN112664337A (zh) * 2019-10-16 2021-04-16 罗伯特·博世有限公司 用于使内燃机停机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6795B1 (ko) 엔진 재시동 요구 발생시의 내연기관 재시동 시스템
RU2643080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натяжением приводного ремня двигателя, система натяжения приводного ремня двигателя и автомобиль, содержащий такую систему
JP6252495B2 (ja) 車両の制御装置
EP2527220B1 (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vehicle
CN101892934B (zh) 用于控制起动内燃机的起动器的系统
CN105909395B (zh) 一种控制发动机的停止和启动的方法
CN102673566B (zh) 用于dfco操作的动力传动系统刚性松弛系统和方法
RU2563442C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EP3179125B1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CN103089511B (zh) 发动机控制装置及发动机控制方法
US8554453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arter, and vehicle
GB2517751A (en)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topping and starting of an engine of a motor vehicle
CN102140990A (zh) 在内燃机转速下降期间重起内燃机的系统
WO2012011167A1 (ja) エンジンの始動装置およびエンジンの始動方法
JP6355931B2 (ja) 車両の制御装置
KR101326849B1 (ko) Isg차량의 재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
JP5320944B2 (ja) 車両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8876659B2 (en) Engine start control device
US9020710B2 (en) Engine restart strategy
JP5413325B2 (ja) エンジン停止始動制御装置
EP3088710B1 (en)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for engines
RU2684155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транспортным средством со стартерным мотором
EP2554448B1 (en)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system configured to control the powertrain in a freewheel condition with stopp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0084841A (ja) 車両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101558854B1 (ko) 자동 엔진 정지 및 재시동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