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701B1 - 정수기용 출수구 버튼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출수구 버튼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701B1
KR101326701B1 KR1020110078585A KR20110078585A KR101326701B1 KR 101326701 B1 KR101326701 B1 KR 101326701B1 KR 1020110078585 A KR1020110078585 A KR 1020110078585A KR 20110078585 A KR20110078585 A KR 20110078585A KR 101326701 B1 KR101326701 B1 KR 101326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er
water
main body
touch plate
outlet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6569A (ko
Inventor
장평순
김진섭
박정우
김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교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to KR1020110078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701B1/ko
Publication of KR20130016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4Dispensing machi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정수기용 출수구 버튼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에서, 상기 출수구 버튼은 터치판, 측벽, 스위치 터치부 및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측벽은 상기 터치판으로부터 상기 터치판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터치부는 상기 터치판의 내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측벽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정수기의 본체에 고정되며,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정수기용 출수구 버튼이 고정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용 출수구 버튼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OUTLET BUTTON IN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용 출수구 버튼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기에 구비되는 출수구 버튼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먹는 물에 대한 관심 및 편리성 등을 이유로 가정이나 업소 등에서 정수기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데, 이러한 정수기에는 정수의 출수를 위한 출수 버튼이 필수적으로 장착되고 있다.
정수기에 사용되는 출수 버튼은 정수기 출수부에 결합되어 지렛대 원리를 통해 사용자가 컵으로 출수 버튼을 미는 경우 출수부가 개방되어 정수를 공급하는 형태로부터, 컵으로 출수 버튼을 밀지 않고 별도의 터치식 버튼을 통해 정수를 공급하는 형태까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특히, 사용자가 컵으로 출수 버튼을 밀어 정수를 공급받는 형태의 출수 버튼의 경우, 일반적으로 출수 버튼의 상부가 고정되어 회전의 중심이 되고 하부가 컵으로 눌리면서 회전하여 출수부를 개방시켜 정수를 공급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 상기 출수 버튼의 상부에는 돌기부 또는 홈부가 형성되어 대응하는 홈부 또는 돌기부에 고정되며 하부가 컵으로 눌리는 경우 상기 고정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부가 고정되어 회전의 중심이 되고, 하부가 회전하면서 정수를 공급하는 구조에서는, 상기 출수 버튼의 하부 중 어느 부분을 누르는지에 따라 다른 강도가 필요하게 되며, 출수 버튼의 동작이 불균일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상기 돌기부 또는 홈부가 형성된 출수 버튼은 사출 성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므로, 돌기부 또는 홈부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출수 버튼 전체를 교체해야하므로 교체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판의 어느 부분을 터치하더라도 일정한 터치감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교체가 용이한 정수기용 출수구 버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출수구 버튼을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출수구 버튼은 터치판, 측벽, 스위치 터치부 및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측벽은 상기 터치판으로부터 상기 터치판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스위치 터치부는 상기 터치판의 내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측벽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정수기의 본체에 교체가능하게 고정되며,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U자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방향의 응력을 흡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측벽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로부터 휘어지도록 연장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에 반대인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고정부의 끝단은 상기 정수기 본체와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고정부의 끝단 및 상기 정수기 본체를 스크류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측벽은 상기 정수기 본체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스위치 터치부는 상기 터치판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정수기 본체의 출수구 스위치를 개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 터치부의 외면에 고정된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본체, 출수부 및 출수구 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내부의 수납공간에 필터부 및 정수통을 수납한다. 상기 출수부는 상기 본체의 일 면에 형성되어 상기 정수통으로부터 제공되는 정수를 유출한다. 상기 출수구 버튼은 상기 출수부의 하부에 상기 본체와 결합되어 형성되며, 터치판, 측벽, 스위치 터치부 및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판은 상기 본체의 일 면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측벽은 상기 터치판으로부터 상기 터치판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스위치 터치부는 상기 터치판의 내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측벽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본체에 고정되며,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수기용 출수구 버튼이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터치판의 어느 부분을 터치하더라도 일정한 터치감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가 U자형으로 형성되고 스위치 터치부의 외면에 탄성 부재가 고정되어, 탄성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정수기용 출수구 버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가 정수기 본체와 결합부재를 통해 스크류 결합을 하므로, 상기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정수기용 출수구 버튼과 상기 정수기 본체와의 조립 또는 교체가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출수구 버튼을 포함하는 정수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출수구 버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출수구 버튼이 도 1의 정수기에 결합된 내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출수구 버튼을 포함하는 정수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1)는 본체(10), 출수부(20) 및 출수구 버튼(3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10) 내부의 수납공간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정수기의 일반적인 구성요소인 필터부, 정수통, 전원장치, 배관 등이 수납된다.
상기 출수부(20)는 상기 본체(10)의 전면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출수부(20)의 판넬에는 정수기 조작버튼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출수부(20)의 하부방향으로 정수가 출수되는 출수구(2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출수부(20) 및 출수구(21)는 도 1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출수구 버튼(30)은 상기 출수부(20)의 하부 및 상기 본체(10)의 전면부에 형성된다. 상기 출수구 버튼(30)의 위치는 상기 출수구(21)와 소정의 위치를 유지하여, 정수기의 사용자가 상기 출수구 버튼(30)을 누르면서 정수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10)와 결합되어 상기 본체(10)의 전면부에서 관찰되는 상기 출수구 버튼(30)은 모서리가 라운드 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형상으로 제한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겠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출수구 버튼(30)을 상기 본체(10)의 전면부 방향으로 밀면, 상기 출수구(21)에서 정수가 배출된다.
도 2는 도 1의 출수구 버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출수구 버튼(30)은 터치판(31), 측벽(32), 스위치 터치부(35) 및 고정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출수구 버튼(30)은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상기 스위치 터치부(35) 및 상기 고정부재(40)는 별도로 형성된 후, 상기 터치판(31) 및 상기 측벽(32)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판(31)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모서리가 라운드 된 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외면은 사용자가 정수물을 제공받고자 할 때 터치하는 터치면이 된다.
상기 측벽(32)은 상기 터치판(31)의 모서리로부터 상기 터치판(31)에 수직인 제1 방향(D1)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측벽(32)은 상기 터치판(31) 모서리의 전체에서부터 동일하게 연장되므로, 상기 터치판(31)과 함께 소정의 수납 공간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측벽(32)의 끝단들 중, 상기 터치판(31)과 연결된 끝단과 반대 끝단에는 상기 측벽(32)의 연장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지지대(32')가 돌출되며, 상기 지지대(32')는 상기 본체(10)와의 결합에서 상기 출수구 버튼(30)의 이동범위를 제한한다. 구체적인 결합관계는 후술한다.
상기 스위치 터치부(35)는 상기 터치판(31)의 내면, 즉 사용자가 정수를 제공받고자 터치하는 상기 터치판(31)의 터치면의 반대면에 고정되며, 상기 터치판(31)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D1)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위치 터치부(35)는 상기 터치판(31)의 내면에 형성된 고정홈(33) 및 상기 고정홈(33)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연장부(3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홈(33)은 상기 터치판(31)의 내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원통형의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연장부(34)가 상기 원통형의 공간에 삽입 및 고정된다. 상기 연장부(3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방향(D1)으로 상기 측벽(32)의 연장 길이보다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연장부(34)의 외면에 탄성 부재가 고정되어 상기 제1 방향(D1)으로 밀린 상기 연장부(34)가 원위치로 복귀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 부재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34)는 도시한 바와 달리 단면이 외면에 탄성 부재가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0)는 제1 고정부(36), 제2 고정부(37) 및 제3 고정부(38)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U'자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 고정부(36)는 상기 측벽(32)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D1)에 수직인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며, 상기 측벽(32)의 일단은 상기 스위치 터치부(35)와 인접한 일단의 반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고정부(36)와 상기 측벽(32)은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별도로 형성되어 결합부재 등을 통해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고정부(36)는 연장방향인 제2 방향(D2)과 수직인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응력을 전달받으므로, 상기 측벽(32)과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탄성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36)는 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37)는 일단은 상기 제1 고정부(36)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3 고정부(38)에 연결되며, 전체적으로 'U'자 형상으로 휘어지도록 연장된다.
상기 제3 고정부(38)는 상기 제2 고정부(37)로부터 상기 제2 방향(D2)에 반대인 제3 방향(D3)으로 연장된다. 이 경우, 상기 제3 고정부(38)는 상기 제1 고정부(36)와 평행하게 연장되지 않고 제2 고정부(37)로부터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제1 고정부(36) 방향으로 가까워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1 방향(D1)의 응력 흡수 및 탄성력 유지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고정부(38)의 끝단에는 정수기의 본체(10)와 고정되는 고정단(39)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단(39)에는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단(39)의 홀에는 결합부재(15)가 삽입되어 상기 정수기의 본체(10)와 상기 고정단(39)을 서로 결합 및 고정시킨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상기 제3 고정부(38)의 끝단은 상기 제1 고정부(36)와 상기 측벽(32)의 연결부와 정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15)는 상기 제1 고정부(36)를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 고정부(36)에도 상기 고정단(39)의 홀과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결합부재(15)가 관통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고정부들(36, 37, 38)은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응력이 특정 부분에 집중되지 않고 고르게 분산되어 상기 고정부재(40)가 일정한 탄성력을 내구성을 갖고 유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출수구 버튼이 도 1의 정수기에 결합된 내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출수구 버튼(30)은 터치판(31) 및 측벽(32)의 일부를 제외하고는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10)와 결합된다.
상기 본체(10)의 전면부에는 상기 출수구 버튼(30)이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출수구 버튼(30)의 일부가 삽입된다. 특히, 상기 본체(10) 내부에 상기 출수구 버튼(30)의 측벽(32)이 삽입되는 부분에는 지지부(11)가 형성되어, 상기 출수구 버튼(30)의 측벽(32)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부(11)는 또한, 상기 출수구 버튼(30)이 제1 방향(D1)으로 눌렸다가 탄성력에 의해 회복하여 제1 방향의 반대방향(-D1)으로 이동하는 경우 초기 위치이상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출수구 버튼(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초기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11)는 상기 측벽(32)의 지지대(32')와 접촉한 상태로 상기 측벽(32)을 지지하며, 상기 출수구 버튼(30)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경우 상기 지지부(11)와 상기 지지대(32')는 소정간격 이격된다. 이후, 탄성력에 의해 상기 출수구 버튼(30)이 초기 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지지부(11)는 상기 지지대(32')와 다시 접촉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한편,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단(39) 및(또는) 상기 제1 고정부(36)에는 상기 결합부재(15)가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40)를 상기 본체의 내면에 고정시킨다. 이 경우, 상기 결합부재(15)는 상기 고정부재(40)의 내면에서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고정부(36)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단(39)의 홀에 삽입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15)와 상기 고정단(39)의 홀은 서로 스크류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부재(15)는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결합부재(15)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단(39)의 홀에 삽입될 수도 있고, 이 외의 다양한 체결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터치판(31)을 눌러 상기 출수구(21)로부터 정수를 제공받게 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터치판(31)은 누르는 경우, 상기 스위치 터치부(35)는 상기 터치판(31)과 함께 상기 정수기의 본체(10)의 내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정수기의 본체(10) 내부에 배치된 마이크로 스위치를 터치하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는 상기 출수구(21)의 개폐를 제어하는 스위치로, 상기 스위치 터치부(35)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가 터치되면, 상기 출수구(21)는 개방되어 사용자에게 정수가 제공된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터치판(31)의 누름을 멈추는 경우, 상기 스위치 터치부(35)는 상기 터치판(31)과 함께 최초 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가 터치되지 않게 되며, 상기 출수구(21)는 폐쇄되어 사용자에게 정수가 제공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터치판(31)을 누르지 않으면, 상기 고정부재(40)는 'U'자형 형상에 의한 탄성회복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40)와 고정된 상기 터치판(31) 및 상기 측벽(32)을 원 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 터치부(35)의 외면에 고정된 탄성 부재(미도시)도 탄성회복을 통해 상기 터치판(31), 상기 측벽(32) 및 상기 스위치 터치부(35)의 원 위치 복귀를 보완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40) 및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회복력은 탄성변형의 범위 내에서는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상기 터치판(31)의 누른다 하더라도, 상기 출수구 버튼(30)은 충분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고정부재(40)의 크기가 충분히 크도록 제작되므로, 상기 터치판(31) 중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응력 집중 부분과 상관없이 상기 고정부재(40)는 일정한 탄성회복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터치판(31)의 어느 부위를 누르더라도 일정한 터치감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정수기용 출수구 버튼이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터치판의 어느 부분을 터치하더라도 일정한 터치감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가 U자형으로 형성되고 스위치 터치부의 외면에 탄성 부재가 고정되어, 탄성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정수기용 출수구 버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가 정수기 본체와 결합부재를 통해 스크류 결합을 하므로, 상기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정수기용 출수구 버튼과 상기 정수기 본체와의 조립 또는 교체가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출수구 버튼은 가정용 및 업소용으로 사용되는 정수기에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정수기 10: 본체
20: 출수부 30: 출수구 버튼
35: 스위치 터치부 40: 고정부재

Claims (8)

  1. 터치판;
    상기 터치판으로부터 상기 터치판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
    상기 터치판의 내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위치 터치부; 및
    상기 측벽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정수기의 본체에 교체가능하게 고정되며, 탄성 변형이 가능하고, 상기 측벽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로부터 휘어지도록 연장되는 제2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에 반대인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고정부를 포함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정수기용 출수구 버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U자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방향의 응력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출수구 버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고정부의 끝단은 상기 정수기 본체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출수구 버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고정부의 끝단 및 상기 정수기 본체를 스크류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용 출수구 버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정수기 본체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스위치 터치부는 상기 터치판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정수기 본체의 출수구 스위치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출수구 버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터치부의 외면에 고정된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출수구 버튼.
  8. 내부의 수납공간에 필터부 및 정수통을 수납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 면에 형성되어 상기 정수통으로부터 제공되는 정수를 유출하는 출수부; 및
    상기 출수부의 하부에 상기 본체와 결합되어 형성되는 출수구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출수구 버튼은,
    상기 본체의 일 면의 외부로 노출되는 터치판;
    상기 터치판으로부터 상기 터치판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
    상기 터치판의 내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위치 터치부; 및
    상기 측벽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정수기의 본체에 교체가능하게 고정되며, 탄성 변형이 가능하고, 상기 측벽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로부터 휘어지도록 연장되는 제2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에 반대인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고정부를 포함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110078585A 2011-08-08 2011-08-08 정수기용 출수구 버튼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1326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585A KR101326701B1 (ko) 2011-08-08 2011-08-08 정수기용 출수구 버튼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585A KR101326701B1 (ko) 2011-08-08 2011-08-08 정수기용 출수구 버튼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569A KR20130016569A (ko) 2013-02-18
KR101326701B1 true KR101326701B1 (ko) 2013-11-07

Family

ID=47895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585A KR101326701B1 (ko) 2011-08-08 2011-08-08 정수기용 출수구 버튼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7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4917A (ko) 2021-05-14 2022-11-22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정수기 취수 버튼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4168A (ko) * 1996-11-05 1998-08-05 김광호 스윗스 버튼의 조작장치
JP4167669B2 (ja) 2005-03-31 2008-10-15 リンナイ株式会社 湯沸器の出湯口装置
KR100930134B1 (ko) 2008-01-30 2009-12-07 주식회사 엔텍 정수기
KR20110075443A (ko) * 2009-12-28 2011-07-0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이온 정수기의 출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4168A (ko) * 1996-11-05 1998-08-05 김광호 스윗스 버튼의 조작장치
JP4167669B2 (ja) 2005-03-31 2008-10-15 リンナイ株式会社 湯沸器の出湯口装置
KR100930134B1 (ko) 2008-01-30 2009-12-07 주식회사 엔텍 정수기
KR20110075443A (ko) * 2009-12-28 2011-07-0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이온 정수기의 출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4917A (ko) 2021-05-14 2022-11-22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정수기 취수 버튼 구조
KR20230084450A (ko) 2021-05-14 2023-06-13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정수기 취수 버튼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569A (ko) 2013-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70407B (zh) 扣合機構及具該扣合機構的電子裝置
US20100086840A1 (en) Battery latching mechanism
US20100301717A1 (en) Electronic device and handle structure thereof
CN103518027A (zh) 车辆的门把手装置
KR20100105738A (ko) 커넥터 포트
KR101326701B1 (ko) 정수기용 출수구 버튼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US20090059482A1 (en) Electronic device
CN201288725Y (zh) 机箱面板的锁扣装置
TWI520674B (zh) 承載裝置與其自鎖結構
KR101254449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착탈구조물
CN202352745U (zh) 便携式电子装置
US20130322960A1 (en) Locking assembly
KR200465479Y1 (ko) 스타일러스 펜
JP5552471B2 (ja) 引手
KR20220025750A (ko) 칫솔 케이스 및 칫솔 세트
CN201270026Y (zh) 可换壳的鼠标
CN211459136U (zh) 一种简易直发器
TWI463490B (zh) 儲存元件收納裝置的蓋板
CN203659232U (zh) 一种学习机
CN215403164U (zh) 一种净水器
CN219306621U (zh) 一种清洁器具用可拆整体式铲条结构
CN216474071U (zh) 一种洗衣机粉末盒的弹开结构
CN219982603U (zh) 化妆镜组件及镜柜
TWI397065B (zh) 硬碟固定裝置
JP2017153866A (ja) 化粧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