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703B1 - 유체 분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선박 - Google Patents

유체 분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5703B1
KR101325703B1 KR1020110144829A KR20110144829A KR101325703B1 KR 101325703 B1 KR101325703 B1 KR 101325703B1 KR 1020110144829 A KR1020110144829 A KR 1020110144829A KR 20110144829 A KR20110144829 A KR 20110144829A KR 101325703 B1 KR101325703 B1 KR 101325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moving part
rudder
inlet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4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6300A (ko
Inventor
조희상
양희준
이성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4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703B1/ko
Publication of KR20130076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38Rud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유체 분배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 구조체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 도입관을 포함하는 유체 유입부; 내부에 제 1 유체 이동부 및 제 2 유체 이동부를 포함하는 유체 분배부 및 상기 제 1 유체 이동부 및 상기 제 2 유체 이동부에 각각 연결되어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 1 출력 도관 및 제 2 출력 도관을 포함하되, 상기 유체 분배부는 상기 유체 도입관으로 유입된 유체가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유체 이동부 또는 상기 제 2 유체 이동부로 분배되도록 상기 유체 유입부에 결합된다.

Description

유체 분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선박{FLUID DISTRIBUTION STRUCTURE AND A SHIP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체 분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선미에 장착된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추진된다. 상세히, 프로펠러는 회전하면서 주위의 물을 후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선박의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선박의 이동 방향을 조정하기 위해서 프로펠러의 후방에는 러더(rudder, 이를 '키' 또는 '방향타'라고도 한다)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러더(1)는 선박의 프로펠러(60) 후방에서 프로펠러(60)의 중심축을 경계로 하여 대칭되는 유선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스티어링 기어(Steering Gear)에 연결된 러더스톡(Rudder Stock, 10)에 의해 상기 선박 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한편, 선박의 좌우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러더(1)의 표면에 워터 제트를 분사하는 기술이 유럽공개특허 제 0909703 호에 개시되어 있다.
워터 제트는 선박의 회전방향에 따라 러더(1)의 표면에서 선택적으로 분사된다. 상세히, 선박이 좌측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선박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러더(1)의 우측 표면에 워터 제트를 분사하고, 선박이 우측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러더(1)의 좌측 표면에 워터 제트를 분사한다.
이 때, 워터 제트가 분사되는 러더(1) 표면 측에는 유체의 속도가 증가되어 압력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러더(1)를 중심으로 좌우측의 압력차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의해 양력이 증가하게 되어 선박의 회전이 원활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러더(1)의 표면에서 워터 제트를 분사하기 위해서 러더(1) 내에 워터 펌프가 설치된다. 이는 러더(1) 내에 설치된 워터 펌프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유지 보수에 있어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워터 펌프를 선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러더(1) 내에 워터 제트를 선택적으로 분배하는 별도의 장치가 요구된다.
특허문헌 1 : 유럽공개특허 제 0909703 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체에 있어서 회전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 분배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택적으로 유체를 분배하는 유체 분배 구조체를 구비한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체가 유입되어 하측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형성되는 유체 도입관을 포함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으로 링형 단면을 갖는 유체 유입부; 내부에 제 1 유체 이동부 및 제 2 유체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으로 상기 유체 유입부의 하측면과 접하는 링형 단면을 갖는 유체 분배부 및 상기 제 1 유체 이동부 및 상기 제 2 유체 이동부에 각각 연결되어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 1 출력 도관 및 제 2 출력 도관을 포함하되, 상기 유체 분배부는 상기 유체 도입관으로 유입된 유체가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유체 이동부 또는 상기 제 2 유체 이동부로 분배되도록 상기 유체 유입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유체 이동부 각각의 일 단부는 상기 유체 분배부의 상측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유체 분배 구조체가 제공된다.
삭제
삭제
이 때, 상기 유체 분배부는 상기 유체 유입부와 동심축상에 배열되며, 상기 동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유체 유입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유체 이동부 및 상기 제 2 유체 이동부의 상기 일 단부는 상기 동심축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 원호형 슬릿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체 분배부가 상기 유체 유입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 1 유체 이동부 및 상기 제 2 유체 이동부 중 어느 하나의 일 단부와 상기 유체 도입관의 일 단부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유체 이동부 및 상기 제 2 유체 이동부는 상기 동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박에 설치되는 러더의 내부에 유체 분배 구조체를 구비한 선박으로서, 상기 유체 분배 구조체의 상기 유체 유입부 및 상기 유체 분배부는 상기 러더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 상에 설치되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체 도입관의 상측단은 상기 선박의 내부에 설치되는 유체 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체 공급원은 상기 선박의 외부로부터 해수를 공급받아 상기 유체 분배 구조체 측으로 상기 해수를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박에 설치되는 러더의 내부에 유체 분배 구조체를 구비한 선박은 상기 유체 도입관이 상기 제 1 유체 이동부 및 제 2 유체 이동부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유체 공급원에서 상기 유체 도입관으로 해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유체 공급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체 분배부의 상기 제 1 유체 이동부 및 상기 제 2 유체 이동부의 타 단부는 각각 상기 러더의 일 측면 및 타 측면으로 상기 유체를 배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체 유입부는 상기 선박에 대하여 위치 고정되며, 상기 유체 분배부는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러더의 상측면에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원호형 슬릿 홀이 형성되며, 상기 유체 도입관은 상기 슬릿 홀을 관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 구조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체에 있어서 회전방향에 따라 유체가 분사되는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러더의 회전방향에 따라 러더의 측면에서 선택적으로 워터 제트를 분사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선박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 구조체의 유체 유입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 구조체의 유체 분배부의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 구조체에서 회전시에 유체를 분배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 구조체를 구비한 선박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 구조체가 설치된 러더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 구조체의 유체 유입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 구조체의 유체 분배부의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 구조체에서 회전시에 유체를 분배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 구조체는 유체 유입부(100)를 통하여 유입된 유체를 유체 분배부(300)를 통하여 배출하는 구조체로서, 유체 분배부(300)가 유체 유입부(1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할 때 유체 분배부(3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유체가 분배되는 경로가 변경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 구조체는 유체 유입부(100) 및 유체 분배부(300)를 포함한다.
유체 유입부(100)는 외부로부터 유체를 공급받는 부분으로 유입된 유체를 유체 분배부(300)로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유입부(100)는 링형 단면을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유체 유입부(100)는 외부에서 유체가 유입되도록 유체 도입관(130)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체 도입관(130, 도 2 참조)은 링형 단면의 중심축(C)으로부터 일정거리(L)만큼 이격되어 유체 유입부(100)에 형성된 유체 유입구(110)을 관통한다.
또한, 유체 도입관(130, 도 2 참조)은 유체 유입구(110)을 통해 유체 유입부(100)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유체 유입부(1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된 유체는 유체 도입관(130)을 지나 유체 유입부(100)의 하측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유체 유입부(110)의 중심에 형성된 중공(150)은 후술할 러더(1, 도 9 참조)의 회전축 기능을 하는 러더스톡(10, 도 9 참조)이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유체 분배부(300)는 유체 유입부(100)에 대한 유체 분배부(300)의 상대적인 회전방향에 따라 유체 유입부(100)로부터 유입된 유체의 경로를 변경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유체 분배부(300)는 유체 유입부(100)의 하측면과 접하는 링형 단면을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유입부(100) 및 유체 분배부(300)는 동일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유체 유입부(100) 및 유체 분배부(300)의 단면 형상 및 크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유체 분배부(300)는 내부에 제 1 유체 이동부(310) 및 제 2 유체 이동부(330)를 포함한다. 제 1 유체 이동부(310) 및 제 2 유체 이동부(330)는 유체 유입부(100) 측으로 유입된 유체를 유체 분배부(300) 외측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유체를 안내하는 부분으로, 제 1 유체 이동부(310) 및 제 2 유체 이동부(330) 각각은 외부로 유체를 배출하는 제 1 출력 도관(311) 및 제 2 출력 도관(331)에 연결된다.
이 때,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유체 이동부(310) 및 제 2 유체 이동부(330)의 일 단부는 유체 분배부(300)의 상측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링형 단면의 중심축(C)으로부터 거리 L만큼 이격된 원호형 슬릿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1 유체 이동부(310) 및 제 2 유체 이동부(330)는 유체 분배부(300)의 상측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 원호형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유체 도입관(130)으로부터 이동된 유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유체 이동부(310) 및 제 2 유체 이동부(330)는 중심축(C)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열된다.
이 때, 유체 분배부(300)의 중심에 형성된 중공(350)은 후술할 러더(1, 도 9 참조)의 회전축 기능을 하는 러더스톡(10, 도 9 참조)이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분배부(300)는 유체 도입관(130)으로 유입된 유체가 선택적으로 제 1 유체 이동부(310) 또는 제 2 유체 이동부(330)로 분배되도록 유체 유입부(10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체 분배부(300)가 유체 유입부(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유체 유입부(100)를 관통하는 유체 도입관(130)의 하측단이 유체 분배부(300)의 상측면에 형성된 제 1 유체 이동부(310) 또는 제 2 유체 이동부(330)의 상단부와 선택적으로 유체 소통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 유체 분배부(300)의 상대적 회전에 따라 유체 분배부(300)와 유체 유입부(100)가 유체 소통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유체 유입부(100)에 대하여 유체 분배부(300)가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유체가 분배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나는 유선형 단면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른 유체 분배 구조체가 설치되는 선박의 러더(1)의 단면을 나타낸다. 러더(1)는 유체 분배 구조체의 유체 분배부(300)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도 5는 유체 분배부(300)가 유체 유입부(100)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을 하지 않은 중립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 상부에 위치하는 유체 도입관(130)의 하측단은, 유체 유입부(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원호형 슬릿 형상의 제 1 유체 이동부(310) 및 제 2 유체 이동부(330) 사이에 위치되며 유체 분배부(300)의 상단면에 접하여 막혀 있게 된다. 따라서, 유체 도입관(130)으로 유입된 유체는 유체 분배부(300)로 유동되지 않는다.
한편, 도 6은 유체 분배부(300)가 유체 유입부(100)에 대하여 유체 분배 구조체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바라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때, 상부에 위치하는 유체 도입관(130)의 하측단은 유체가 이동가능하도록 하부에 위치하는 제 1 유체 이동부(3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 도입관(130)으로 유입되는 유체는 유체 분배부(300)의 제 1 유체 이동부(310)로 유동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유체 분배부(300)가 유체 유입부(100)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때, 상부에 위치하는 유체 도입관(130)의 하측단은 유체가 이동가능하도록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유체 이동부(3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 도입관(130)으로 유입되는 유체는 유체 분배부(300)의 제 2 유체 이동부(330)로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유체 분배부(300)에 의해 제 1 유체 이동부(310)로 분배된 유체는 제 1 출력 도관(3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반면에, 유체 분배부(300)에 의해 제 2 유체 이동부(330)로 분배된 유체는 제 2 출력 도관(3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 구조체를 구비한 선박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 구조체가 설치된 러더의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 구조체는 선박의 러더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유체 분배 구조체가 설치된 선박은, 선박의 회전방향에 따라 러더(1)의 양측면으로 유체 분배 구조체에 의해 선택적으로 워터 제트를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 구조체가 설치된 선박은 러더(1)의 양측면에서 러더의 회전방향에 따라 워터 제트를 선택적으로 분사함으로써 높은 양력을 발생시켜 선박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 구조체가 설치된 선박은 외부로부터 해수를 공급받아 러더(1) 내부에 해수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원(80)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체 공급원(80)은 선박 내부에 설치되며, 유체 도입관(130)을 통해 러더(1) 내에 설치되는 유체 분배 구조체로 해수를 공급한다.
이 때, 유체 공급원(80)은 해수를 워터 제트 형태로 유체 도입관(130)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 구조체가 설치된 선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분배 구조체가 선박의 러더(1) 내부에 설치된다. 유체 분배 구조체의 유체 유입부(100) 및 유체 분배부(300)는 러더(1) 내의 러더스톡(10)상에 설치된다. 상세히, 러더(1)의 회전축 기능을 하는 러더스톡(10)이 유체 유입부(100)의 중공(150) 및 유체 분배부(300)의 중공(350)을 관통한다.
이 때, 유체 유입부(100)의 중공(150)을 관통하는 러더스톡(10)은 유체 유입부(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유체 유입부(100)는 선박에 설치된 유체 공급원(80)과 유체 도입관(130)을 통해 연결되며, 선박에 대하여 위치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러더스톡(10)이 유체 유입부(100)에 대하여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러더스톡(10)과 유체 유입부(100) 사이에 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유체 분배부(300)의 중공(350)을 관통하는 러더스톡(10)이 유체 분배부(300)와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유체 분배부(300)는 러더스톡(10)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선박의 회전을 위해 러더(1)가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러더스톡(10)은 유체 분배부(300)와 함께 선박에 위치 고정된 유체 유입부(1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도입관(130)은 러더(1)의 상측면에 형성된 슬릿 홀(15)을 관통한다. 슬릿 홀(15)은 러더(1)의 회전축인 러더스톡(10)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원호형 슬릿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슬릿 홀(15)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유체 도입관(130)이 유체 유입부(100)의 중심축으로부터 떨어진 거리(L)와 동일하게 러더스톡(10)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에 의해, 러더(1)가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선박에 대해 위치 고정된 유체 도입관(130)은 슬릿 홀(15) 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러더(1)가 회전하더라도 유체 도입관(130)은 회전하는 러더(1)에 의한 파손의 위험 없이 선박에 대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체 분배부(300)에는 선박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에는 제 1 유체 이동부(310), 우측에는 제 2 유체 이동부(330)가 형성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선박의 진행방향, 즉 선미에서 선수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우측 방향을 설정하여 설명한다.
이 때, 유체 분배부(300)에 의해 분배된 워터 제트를 외부로 전달하도록, 제 1 유체 이동부(310)는 제 1 출력 도관(311)과, 제 2 유체 이동부(330)는 제 2 출력 도관(331)과 연결된다.
한편, 제 1 출력 도관(311)은 워터 제트를 러더(1)의 우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 1 유체 배출부(70)로 분사하기 위해 제 1 분배관(71)과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출력 도관(331)은 워터 제트를 러더(1)의 좌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 2 유체 배출부(50)로 분사하기 위해 제 2 분배관(51)과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분배관(71) 및 제 2 분배관(51)은 매니폴드 형태일 수 있다.
이 때, 러더(1)의 측면에 형성된 제 1 유체 배출부(70) 및 제 2 유체 배출부(50)는 러더(1)의 측면으로 워터 제트를 분사하는 개구로서, 러더(10)의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복수개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선박 내부의 유체 공급원(80)으로부터 발생하여 유체 유입부(100)로 유입되는 워터 제트는 유체 분배부(300)의 상대적인 회전방향에 따라 제 1 유체 이동부(310) 또는 제 2 유체 이동부(330)로 선택적으로 분배될 수 있다.
이 때, 선박이 직진하는 경우에는 선박의 러더(1)는 중립상태를 유지한다(도 5 참조). 이와 같이, 러더(1)가 중립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유체 분배부(300)는 유체 유입부(100)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을 하지 않으며, 유체 도입관(130)은 유체 분배부(300)의 제 1 유체 이동부(310)과 제 2 유체 이동부(330) 사이에서 위치하게 되며 유체 분배부(300)의 상단면에 접하여 막혀 있게 된다. 따라서, 유체 도입관(130)으로 유입된 워터 제트는 유체 분배부(300)로 분배되지 않으며, 러더(1)의 측면으로 워터 제트가 분사되지 않는다.
한편, 선박이 좌측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러더(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도 6 참조). 이 때, 유체 분배부(300)는 러더스톡(10)과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체 분배부(300)가 유체 유입부(100)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유체 도입관(130)이 유체 분배부(300)의 제 1 유체 이동부(3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체 도입관(130)으로 유입되는 워터 제트는 유체 분배부(300)의 제 1 유체 이동부(310)으로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워터 제트는 제 1 출력 도관(311)을 거쳐 제 1 유체 배출부(70)를 통해 러더(1)의 우측으로 배출된다.
한편, 선박이 우측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러더(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도 7 참조). 이 때, 유체 분배부(300)는 러더스톡(10)과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유체 분배부(300)가 유체 유입부(100)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유체 도입관(130)이 유체 분배부(300)의 제 2 유체 이동부(330)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유체 도입관(130)으로 유입되는 워터 제트는 유체 분배부(300)의 제 2 유체 이동부(330)로 유동하게 되며, 제 2 출력 도관(331)을 거쳐 제 2 유체 배출부(50)를 통해 러더(1)의 좌측으로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유체 공급원(80)을 제어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한다. 제어부(90)는 유체 도입관(130)이 제 1 유체 이동부(310) 및 제 2 유체 이동부(330)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유체 공급원(80)에서 유체 도입관(130)으로 해수를 공급하도록 유체 공급원(80)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90)는 러더(1)가 중립상태가 되어 유체 도입관(130)이 제 1 유체 이동부(310)과 제 2 유체 이동부(330) 사이에서 위치하여 유체 분배부(300)의 상단면에 접하여 막혀 있게 되는 경우에, 유체 공급원(80)이 유체 도입관(130)으로 해수를 공급하지 않도록 유체 공급원(80)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 구조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체에 있어서 회전방향에 따라 유체가 분사되는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러더의 회전방향에 따라 러더의 측면에서 선택적으로 워터 제트를 분사함으로써 선박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 러더 10: 러더스톡
50: 제 2 유체 배출부 70: 제 1 유체 배출부
100: 유체 유입부 130: 유체 도입관
300: 유체 배출부 310: 제 1 유체 이동부
330: 제 2 유체 이동부 311: 제 1 출력 도관
331: 제 2 출력 도관

Claims (13)

  1. 유체가 유입되어 하측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형성되는 유체 도입관을 포함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으로 링형 단면을 갖는 유체 유입부;
    내부에 제 1 유체 이동부 및 제 2 유체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으로 상기 유체 유입부의 하측면과 접하는 링형 단면을 갖는 유체 분배부 및
    상기 제 1 유체 이동부 및 상기 제 2 유체 이동부에 각각 연결되어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 1 출력 도관 및 제 2 출력 도관을 포함하되,
    상기 유체 분배부는 상기 유체 도입관으로 유입된 유체가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유체 이동부 또는 상기 제 2 유체 이동부로 분배되도록 상기 유체 유입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유체 이동부 각각의 일 단부는 상기 유체 분배부의 상측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배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배부는 상기 유체 유입부와 동심축상에 배열되며, 상기 동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유체 유입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배 구조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체 이동부 및 상기 제 2 유체 이동부의 상기 일 단부는 상기 동심축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 원호형 슬릿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체 분배부가 상기 유체 유입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 1 유체 이동부 및 상기 제 2 유체 이동부 중 어느 하나의 일 단부와 상기 유체 도입관의 일 단부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배 구조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체 이동부 및 상기 제 2 유체 이동부는 상기 동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배 구조체.
  7. 선박에 설치되는 러더의 내부에 제 1 항,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체 분배 구조체를 구비한 선박으로서,
    상기 유체 분배 구조체의 상기 유체 유입부 및 상기 유체 분배부는 상기 러더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도입관의 상측단은 상기 선박의 내부에 설치되는 유체 공급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원은 상기 선박의 외부로부터 해수를 공급받아 상기 유체 분배 구조체 측으로 상기 해수를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도입관이 상기 제 1 유체 이동부 및 제 2 유체 이동부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유체 공급원에서 상기 유체 도입관으로 해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유체 공급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선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배부의 상기 제 1 유체 이동부 및 상기 제 2 유체 이동부의 타 단부는 각각 상기 러더의 일 측면 및 타 측면으로 상기 유체를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입부는 상기 선박에 대하여 위치 고정되며, 상기 유체 분배부는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러더의 상측면에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원호형 슬릿 홀이 형성되며,
    상기 유체 도입관은 상기 슬릿 홀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1020110144829A 2011-12-28 2011-12-28 유체 분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325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829A KR101325703B1 (ko) 2011-12-28 2011-12-28 유체 분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829A KR101325703B1 (ko) 2011-12-28 2011-12-28 유체 분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300A KR20130076300A (ko) 2013-07-08
KR101325703B1 true KR101325703B1 (ko) 2013-11-06

Family

ID=48989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829A KR101325703B1 (ko) 2011-12-28 2011-12-28 유체 분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7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0511A (en) 1969-09-25 1972-08-01 Nat Res Dev Hydrofoils for ships and like vessels
JPS57110598A (en) * 1980-12-27 1982-07-0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Rudder
JPS59145500U (ja) * 1983-03-18 1984-09-2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舵装置
US4515101A (en) 1981-06-30 1985-05-07 Bengt Akerblom Flow-modifying element, especially a rudd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0511A (en) 1969-09-25 1972-08-01 Nat Res Dev Hydrofoils for ships and like vessels
JPS57110598A (en) * 1980-12-27 1982-07-0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Rudder
US4515101A (en) 1981-06-30 1985-05-07 Bengt Akerblom Flow-modifying element, especially a rudder
JPS59145500U (ja) * 1983-03-18 1984-09-2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300A (ko)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8977B2 (en) Surface-cleaning device and vehicle
JP5721675B2 (ja) プロペラノズル
JP5797418B2 (ja) 船舶の摩擦抵抗低減用気泡吹出装置
US11434847B2 (en) Multi-nozzle jet propulsor
RU2651949C1 (ru) Многоструйный реактивный движитель для высокоскоростных судов, движущихся по поверхности воды, над поверхностью воды и под водой (варианты)
KR101291179B1 (ko) 러더 워터젯 장치를 구비한 선박
KR20120139397A (ko) 워터젯 타력장치를 구비한 선박
KR101383115B1 (ko) 선박의 진동 저감 장치
KR101325703B1 (ko) 유체 분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선박
JP2010280297A (ja) プロペラ噴流発生装置
KR102271758B1 (ko) 테슬라 펌프를 이용한 워터젯 추진 장치
JP5970363B2 (ja) クレーン船及びクレーン船を制御する演算制御装置
JP5816238B2 (ja) ジェット推進艇
KR20110000079A (ko) 타력 향상과 틈새 캐비테이션 억제용 혼 내부의 제트유동 분출장치
JP2014218142A (ja) 船舶
KR101930274B1 (ko) 선박용 측방향 이동장치
KR102018744B1 (ko) 선박의 사이드 스러스터
US7144282B1 (en) Contoured rudder maneuvering of waterjet propelled sea craft
KR101487416B1 (ko) 추력 보강형 선박
JP2012116329A (ja) 船舶推進装置
KR101245725B1 (ko) 에너지 절감장치를 구비한 선박
KR101661911B1 (ko) 추진 장치
KR102394958B1 (ko) 선박용 선수 선미 분리형 터널 스러스터
JP2004352167A (ja) ウォッシャノズル及びノズルチップ並びにウォッシャ装置
JP2521737Y2 (ja) ウォータージェット推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