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274B1 - 선박용 측방향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측방향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274B1
KR101930274B1 KR1020170149580A KR20170149580A KR101930274B1 KR 101930274 B1 KR101930274 B1 KR 101930274B1 KR 1020170149580 A KR1020170149580 A KR 1020170149580A KR 20170149580 A KR20170149580 A KR 20170149580A KR 101930274 B1 KR101930274 B1 KR 101930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flow path
water
path switc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규
이진선
김은미
이미소
박정환
손창련
이경환
김병남
Original Assignee
(주)태우산업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우산업,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filed Critical (주)태우산업
Priority to KR1020170149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2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6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jets or by rudders carrying j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 F16K11/08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측방향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하부에 설치되는 흡입펌프로 선박 외부의 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선체의 양측방향으로 분출함으로써 분출된 수압에 의해 선박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선박용 측방향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선박(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10)의 외부로부터 물을 흡입하는 흡입제어부(100)와, 상기 흡입제어부(10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선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메인유로부(200)와, 상기 메인유로부(200)의 양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유로부(200)로 유동한 물이 상기 선박(10)의 양측면 중 어느 한 측면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유로전환부(300)와, 상기 유로전환부(300)로부터 상기 선박(10)의 양측면으로 분기되어 연장되는 보조유로관(410)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로전환부(300)로부터 유동한 물을 선박의 측면 외측으로 분출함으로써 상기 선박(10)이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측방추진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용 측방향 이동장치{LATERAL MOVEMENT DEVICE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측방향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하부에 설치되는 흡입펌프로 선박 외부의 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선체의 양측방향으로 분출함으로써 분출된 수압에 의해 선박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선박용 측방향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이동장치라 하면 몸체 중 수면에 잠기어 설치된 스크류 프로펠러(Screw Propeller)가 대표적이다.
상기와 같은 프로펠러는 고정 피치 프로펠러(FPP:Fixed Pitch Propeller), 가변 피치 프로펠러(CPP:Controllable Pitch Propeller), 복합 프로펠러(compound propeller), 상반회전 프로펠러(CRP) 및 텐덤 프로펠러(Tendem propeller)등이 있고, 통상적으로 3 내지 7개의 날개로 구성되며 수중에 설치되어 물을 밀어내고 그 반동으로 생긴 추진력으로 전진하게 되는 원리이다. 이때 선박의 방향이동을 위해 운항사는 조향키를 틀어 프로펠러를 일정각도 회전시킴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추진하는 것이 일반적인 선박의 조향법이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선박의 조향법은, 고속화, 대형화의 추세에 맞추어 발전되어 가고 있으나, 선박이 고속화되면서 발생되는 공동현상(Cavitation)으로 소음과 진동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공동현상(Cavitation)이란, 부하가 높은 프로펠러가 어떤 임계 회전수를 넘는 회전속도로 구동될 때 발생되는 현상이며, 쉽게 말해 수중에 다량의 수증기 또는 공기가 채워져 기포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공동현상으로 인한 선박의 추진력 저하, 선박의 승차감 저하, 프로펠러 날개의 휨과 부식, 파손 등을 야기시킬 수 있으며, 선박정비로 인한 시간소요와 비용소모가 크므로 정비작업능률이 저하될 수 있다.
특히, 고속선, 소방선, 구조선, 경비선, 순시선 등과 같이 긴급하게 기동력을 요구하는 특수선 또한 상기한 문제에서 벗어날 수 없는 실정이며, 추진된 후에 회전이 가능하여 회전반경이 크고 목표지점으로 회전하는데 시간이 소요되어 특수선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프로펠러추진 선박은 진로방향에 충돌 가능한 장애물이 접근할 경우 급정지 및 급선회가 어려운 점이 있었고, 회전에 따른 선회반경이 크므로 높은 RPM으로 회전시켜 프로펠러 모터에 순간부하를 일으키고, 정박 시 유도선의 도움을 받아야 할 정도로 정밀한 측방향이동이 이루어지지 못했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개특허 제2000-0062804호(공개일자 : 2000년 10월 15일)에서 선미늑판과, 상기 선미늑판의 전방 아래에 위치되고 선박의 워터라인 아래에 위치되는 중간늑판 및 상기 주요 선미늑판의 하부 에지로부터 상기 중간늑판의 일반적으로 위쪽에 인접한 위치까지 전방르로 연장되는 후방 바닥섹션을 포함하는 후방부를 가지는 선박와, 상기 중간늑판 전방의 상기 선박내에 유입개구를 가지며 상기 중간늑판 전방의 상기 선박내에 유출개구를 가지는 워터 흡입도관과, 상기 중간늑판내의 개구내에 장착되는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중간늑판의 전방에서 상기 흡입도관의 상기 유출구까지 연결되는 전방 부분과, 상기 중간늑판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부분과, 상기 전방 부분내에 수용된 회전자, 상기 후방 부분내에 수용된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의 후방에 있는 배출노즐을 포함하는 워터제트 추진 펌프와, 상기 펌프로부터 배출되는 워터제트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배출노즐상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조향축선주위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후방 바닥섹션내의 개구를 통하여 조향노즐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며 상부 단부가 상기 선박내에 위치하는 조향샤프트의 하부 단부에 연결되는 조향노즐 및 상기 선박 선박내에 위치되고, 상기 조향축선주위로 상기 조향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조향샤프트에 연결된 조향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흡입도관의 하나 이상의 후방부와 상기 펌프하우징의 상기 전방 부분이, 상기 선박 구조의 일부를 형성하고 후방 단부가 상기 중간늑판에 연결된 아래로 연장되는 돌출부내에 수용되며, 상기 돌출부는 유체역학적 형상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의 전방에서 나란하게 상기 선박의 상기 바닥부에 대해 완만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추진 시스템을 갖는 수상 선박을 게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워터제트 추진 시스템을 갖는 수상선박은 워터제트 기반의 조향노즐의 위치가 후미에 집중되게 설치되어 선박이 추진 후 선회로 목표지점까지 측방이동하게 되므로 신속한 측방향 이동을 도모할 수 없어 직접적인 측방향이동이 가능한 선박용 측방향 이동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을 측방향으로 신속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측방에 물을 분출하는 선박용 측방향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수표면에서 선수방향의 일 측면방향으로 물을 분출시키고, 선미방향의 타측면으로 물을 분출시켜 측방향의 이동뿐만 아니라 수표면에서 선박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선박용 측방향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측방향 이동장치는, 선박(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10)의 외부로부터 물을 흡입하는 흡입제어부(100)와, 상기 흡입제어부(10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선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메인유로부(200)와, 상기 메인유로부(200)의 양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유로부(200)로 유동한 물이 상기 선박(10)의 양측면 중 어느 한 측면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유로전환부(300)와, 상기 유로전환부(300)로부터 상기 선박(10)의 양측면으로 분기되어 연장되는 보조유로관(410)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로전환부(300)로부터 유동한 물을 선박의 측면 외측으로 분출함으로써 상기 선박(10)이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측방추진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로전환부(300)는, 상기 메인유로부(200)와 연결되는 유입구(313) 및 상기 보조유로관(410)이 연결되는 한 쌍의 유출구(315)가 형성된 통체의 유로몸체(310)와, 상기 유로몸체(3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메인유로부(200)로부터 유입된 물을 한 쌍의 유출구 중 어느 하나의 유출구(315)로 안내하는 유로전환체(330)와, 상기 유로전환체(330)의 상부에 축결합되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컨트롤모터부(350)와, 상기 컨트롤모터부(350)를 커버하도록 상기 유로몸체(3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체(3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로전환체(330)의 상측면에는 원호상의 회전제한홈(333)이 형성되고, 상기 유로몸체(310)의 상측면에는 내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차단판(320)이 설치되되 상기 차단판(320)에는 상기 회전제한홈(333)에 삽입되어 상기 유로전환체(330)의 회전시 회전반경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돌출구(32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방추진부(400)에는, 상기 보조유로관(410)으로부터 유동된 물의 분출을 위해 개방하거나 분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분출개폐구(42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항구에 정박하거나 수면에 표류할 시에 선박을 이동시키고자 별도의 추진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선박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물을 분출시켜 선박의 측방향으로 이동을 가능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박의 추진으로 나아가고 선회하여 목표되는 측방향지점까지 이동하던 기존의 선박과 달리 정박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신속한 이동효과를 갖고, 측방향 이동에 더불어, 선수방향의 일측방향으로 물을 분출시키고, 선미방향의 타측면에 물을 분출시켜 선박을 회전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측방향 이동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제어부의 설치상태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제어부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전환부가 선수방향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전환부가 선미방향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전환부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전환체의 유로안내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측방추진부가 선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측방향 이동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측방향 이동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제어부의 설치상태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제어부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전환부가 선수방향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전환부가 선미방향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전환부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전환체의 유로안내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측방추진부가 선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측방향 이동장치는 선박(10)의 내측에 설치되는 흡입제어부(100)와, 상기 흡입제어부(100)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메인유로부(200)와, 상기 메인유로부(200)의 양측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유로전환부(300)와, 상기 유로전환부(300)로부터 선박(10)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측방추진부(40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측방향 이동장치는 선박의 측방향 이동이 필요할 경우, 선박(10)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흡입제어부(100)를 구동하여 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메인유로부(200)를 매개로 유로전환부(300)로 안내하여 선박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유로를 전환하여 상기 측방추진부(400)를 통해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선박의 측방향 이동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선박의 추진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흡입되는 물의 분출을 통해 선박의 측방향 이동을 이룰 수 있게 됨에 따라 정박된 선박의 이동이나 선박의 회전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상기 흡입제어부(100)는 선박(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10)의 외부로부터 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선박(10)의 하부면에 형성된 관통공에 일측이 연결되는 엘보우관(110)과, 상기 엘보우관(110)에 연결되어 선박(10) 외부의 물을 흡입하는 흡입펌프(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엘보우관(110)과 흡입펌프(120)의 사이에는 상기 엘보우관(110)을 통한 물의 유입을 개폐하는 개폐밸브(130)가 설치되는데, 이는 상기 흡입펌프(120)의 보수 및 교체시 상기 엘보우관(110)으로부터 선박 내부로의 물의 유입을 차단하여 보수 및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또한, 상기 엘보우관(110)이 연결되는 상기 선박(10)의 관통공에는 누수방지를 위한 실링부재가 설치되어 선박내로의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개폐밸브(130)와 흡입펌프(120)는 별도의 연결관(125)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흡입펌프(120)의 측면에는 상기 연결관(125)으로부터 유입된 물을 상기 메인유로부(200)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토출구(121)가 형성된다.
상기 메인유로부(200)는 상기 흡입제어부(10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흡입펌프(120)의 토출구(121)에 연결되는 T형관(210)과, 상기 T형관(210)의 양측에 연결되는 선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전방유로관(220) 및 후방유로관(230)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흡입펌프(120)에서 배출된 물은 상기 T형관(210)을 통해 상기 전방유로관(220) 및 후방유로관(230)으로 유동하여 선박의 선수 및 선미 방향에 설치되는 상기 유로전환부(300)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T형관(210)에 상기 전방유로관(220) 및 후방유로관(230)이 끼움결합되는 경우, 상기 전방유로관(220) 및 후방유로관(230)의 끼움결합부위에는 별도의 고정부재(240)가 설치되어 물의 유동에 의한 수압으로 상기 전방유로관(220) 및 후방유로관(230)이 상기 T형관(2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유로전환부(300)는 상기 메인유로부(200)의 양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유로부(200)로 유동한 물이 상기 선체의 양측면 중 어느 한 측면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유로부(200)의 전방유로관(220)의 단부 및 후방유로관(230)의 단부에 한 쌍이 설치된다.
즉, 선박이 멈춰선 상태에서 선박을 일 측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메인유로부(200)를 통해 상기 유로전환부(300)로 유입된 물을 선박의 이동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유동시킴으로써 상기 측방추진부(400)를 통한 분출로 선박의 측방향 이동을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측방추진부(400)는 상기 유로전환부(300)로부터 상기 선박(10)의 양측면으로 분기되어 연장되는 보조유로관(410)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10)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유로전환부(300)로부터 유동한 물을 선체의 측면 외측으로 분출함으로써 상기 선박(10)이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측방추진부(400)에는 상기 보조유로관(410)으로부터 유동된 물의 분출을 위해 개방하거나 분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측방추진부(400)을 통한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분출개폐구(42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유로전환부(300)는 상기 메인유로부(200)와 연결되는 유입구(313)및 상기 보조유로관(410)이 연결되는 한 쌍의 유출구(315)가 형성된 통체의 유로몸체(310)와, 상기 유로몸체(3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메인유로부(200)로부터 유입된 물을 한 쌍의 유출구 중 어느 하나의 유출구로 안내하는 유로전환체(330)와, 상기 유로전환체(330)의 상부에 축결합되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컨트롤모터부(350)와, 상기 컨트롤모터부(350)를 커버하도록 상기 유로몸체(3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체(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로몸체(310)는 통체의 바디구(311)와, 상기 바디구(311)의 내부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메인유로부(200)와 연결되는 상기 유입구(313)와, 상기 바디구(311)의 내부와 연통된 상태로 선박의 양측면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한 쌍의 상기 유출구(315)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유로전환체(330)는 상기 바디구(3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유로전환체(330)의 외부 하측면에는 상기 바디구(311)의 내부 하측면에 형성된 삽입공(312)으로 삽입되어 축회전될 수 하는 삽입축(33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로전환체(330)에는 상기 유입구(313)의 내부와 한 쌍의 유출구 중 어느 하나의 유출구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유로(332)가 상기 유로전환체(330)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로전환체(330)의 상측면에는 원호상의 회전제한홈(33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제한홈(333)의 길이는 상기 유입구(313)와 유출구(315)간의 이격거리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로전환체(330)의 상측면 중앙부에는 상기 컨트롤모터부(350)의 회전축(353)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샤프트홈(33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로몸체(310)의 상측에는 내부에 설치된 상기 유로전환체(330)의 외부노출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차단판(320)이 설치되되 상기 차단판(320)의 중앙부에는 상기 컨트롤모터부(350)의 회전축(353)이 상기 유로전환체(330)의 샤프트홈(334)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통공(32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차단판(320)의 하측면에는 상기 유로전환체(330)의 회전제한홈(333)에 삽입되어 상기 유로전환체(330)의 회전시 회전반경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돌출구(321)가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모터부(350)는 상기 차단판(320)의 상측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구(351)와 상기 회전축(353)이 연결되는 기어결합부(352)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모터구(351)의 구동력이 상기 기어결합부(352)를 통해 상기 회전축(353)으로 전달되어 상기 회전축(353)을 양방향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유로전환체(330)를 상기 회전제한홈(333)의 길이만큼 왕복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체(370)는 상기 컨트롤모터부(350)의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유로몸체(310)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먼저 선박을 일 측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흡입제어부(100)의 흡입펌프(120)를 구동시키게 되면 선박 외부의 물이 상기 엘보우관(110)을 통해 흡입되어 상기 흡입펌프(120)를 거쳐 상기 메인유로부(200)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메인유로부(200)로 유동한 물은 상기 T형관(210)에 의해 상기 전방유로관(220)과 후방유로관(230)을 분기되어 선박의 선수 및 선미 방향에 위치한 상기 유로전환부(300)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유로전환부(300)로 유동한 물은 상기 유로전환체(330)에 의해 선박의 타 측면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측방추진부(400)를 통해 분출됨에 따라 선박을 일 측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선박을 회전시키는 경우에, 선수방향에 위치한 상기 유로전환부(300)는 선박의 일 측면방향으로 물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작되고, 선미방향에 위치한 상기 유로전환부(300)는 선박의 타 측면방향으로 물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작됨으로써 선박의 저속회전을 가능케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선박 100 : 흡입제어부
110 : 엘보우관 120 : 흡입펌프
121 : 토출구 125 : 연결관
130 : 개폐밸브 200 : 메인유로부
210 : T형관 220 : 전방유로관
230 : 후방유로관 240 : 고정부재
300 : 유로전환부 310 : 유로몸체
311 : 바디구 312 : 삽입공
313 : 유입구 315 : 유출구
320 : 차단판 321 : 가이드돌출구
322 : 통공 330 : 유로전환체
331 : 삽입축 332 : 관통유로
333 : 회전제한홈 334 : 샤프트홈
350 : 컨트롤모터부 351 : 모터구
352 : 기어결합부 353 : 회전축
370 : 커버체 400 : 측방추진부
410 : 보조유로관 420 : 분출개폐구

Claims (4)

  1. 선박(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10)의 외부로부터 물을 흡입하는 흡입제어부(100); 상기 흡입제어부(10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선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메인유로부(200); 상기 메인유로부(200)의 양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유로부(200)로 유동한 물이 상기 선박(10)의 양측면 중 어느 한 측면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유로전환부(300); 상기 유로전환부(300)로부터 상기 선박(10)의 양측면으로 분기되어 연장되는 보조유로관(410)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로전환부(300)로부터 유동한 물을 선박의 측면 외측으로 분출함으로써 상기 선박(10)이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측방추진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로전환부(300)는, 상기 메인유로부(200)와 연결되는 유입구(313) 및 상기 보조유로관(410)이 연결되는 한 쌍의 유출구(315)가 형성된 통체의 유로몸체(310)와, 상기 유로몸체(3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메인유로부(200)로부터 유입된 물을 한 쌍의 유출구 중 어느 하나의 유출구로 안내하는 유로전환체(330)와, 상기 유로전환체(330)의 상부에 축결합되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컨트롤모터부(350)와, 상기 컨트롤모터부(350)를 커버하도록 상기 유로몸체(3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체(3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측방향 이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체(330)의 상측면에는 원호상의 회전제한홈(333)이 형성되고, 상기 유로몸체(310)의 상측면에는 내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차단판(320)이 설치되되 상기 차단판(320)에는 상기 회전제한홈(333)에 삽입되어 상기 유로전환체(330)의 회전시 회전반경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돌출구(3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측방향 이동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방추진부(400)에는, 상기 보조유로관(410)으로부터 유동된 물의 분출을 위해 개방하거나 분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분출개폐구(4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측방향 이동장치.
  4. 삭제
KR1020170149580A 2017-11-10 2017-11-10 선박용 측방향 이동장치 KR101930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580A KR101930274B1 (ko) 2017-11-10 2017-11-10 선박용 측방향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580A KR101930274B1 (ko) 2017-11-10 2017-11-10 선박용 측방향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0274B1 true KR101930274B1 (ko) 2018-12-19

Family

ID=65009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580A KR101930274B1 (ko) 2017-11-10 2017-11-10 선박용 측방향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2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6789A (ko) * 2020-12-01 2022-06-08 김윤철 선박의 선체 안정화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849B1 (ko) * 2014-06-12 2014-10-17 송경진 좌우선벽의 외벽 해수면선 하부에 설치하는 군함과 선박의 추진 및 방향전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849B1 (ko) * 2014-06-12 2014-10-17 송경진 좌우선벽의 외벽 해수면선 하부에 설치하는 군함과 선박의 추진 및 방향전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6789A (ko) * 2020-12-01 2022-06-08 김윤철 선박의 선체 안정화 장치
KR102416756B1 (ko) * 2020-12-01 2022-07-06 김윤철 선박의 선체 안정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2841A (en) Waterjet docking control system for a marine vessel
KR101258935B1 (ko) 추진 장치와 이를 갖는 선박
KR20180094793A (ko) 선박의 항행 저항 저감 및 선박의 방향 전환 보조가 가능한 장치
KR101930274B1 (ko) 선박용 측방향 이동장치
US5199913A (en) Small, jet-propelled boat
US3933113A (en) Marine vessel propulsion system
KR102271758B1 (ko) 테슬라 펌프를 이용한 워터젯 추진 장치
US3593686A (en) System for laterally maneuvering a watercraft hull
JP7091549B2 (ja) 排気システム
US6932013B1 (en) Maneuvering of submerged waterjet propelled sea craft
KR100889975B1 (ko) 워터젯 추진방법 및 추진기
US6164230A (en) Passive system for mitigation of thruster wake deficit
KR20110000079A (ko) 타력 향상과 틈새 캐비테이션 억제용 혼 내부의 제트유동 분출장치
US7144282B1 (en) Contoured rudder maneuvering of waterjet propelled sea craft
US10239596B2 (en) Lateral thrust device
KR102394957B1 (ko) 선박용 선수 선미 통합형 터널 스러스터
KR101701749B1 (ko) 선박 추진장치
KR102069169B1 (ko) 선박 선회를 위한 스러스트 추력장치
US20220371712A1 (en) Thrust Device
KR20140072824A (ko) 덕트 장치
KR102394958B1 (ko) 선박용 선수 선미 분리형 터널 스러스터
KR20220142225A (ko) 테슬라 터빈이 구비된 선박의 방향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20190070142A (ko) 선박용 워터제트추진장치 및 선박용 방향전환 유닛
KR20230174928A (ko) 수압을 이용한 소형 선박용 스러스트 추력장치
US20220348300A1 (en) Integrated thruster apparatus for a marine ve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