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437B1 -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5437B1
KR101325437B1 KR1020120007699A KR20120007699A KR101325437B1 KR 101325437 B1 KR101325437 B1 KR 101325437B1 KR 1020120007699 A KR1020120007699 A KR 1020120007699A KR 20120007699 A KR20120007699 A KR 20120007699A KR 101325437 B1 KR101325437 B1 KR 101325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direction angle
wireless communication
range wireless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7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6765A (ko
Inventor
백윤주
정연수
허주식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07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437B1/ko
Publication of KR20130086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6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73Antenna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95Proximity-based methods, e.g. position inferred from reception of particular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H01Q3/0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for varying one co-ordinate of the orientation
    • H01Q3/0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for varying one co-ordinate of the orientation over a restricted ang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방사패턴이 일정한 회전 가능한 방향성 안테나와, 동서남북의 방위를 검출하는 지자기 센서부와, 상기 방향성 안테나의 회전으로 인한 태그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통해 상기 태그를 인식하는 태그 인식부와, 상기 지자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방위를 기준으로 상기 방향성 안테나의 회전을 통해 수신된 태그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세기 변화를 분석하여 상기 태그와의 방향각을 측정하는 방향각 측정부와, 상기 측정된 방향각에 대응되게 상기 방향성 안테나를 고정하고, 상기 고정된 방향각에서 상기 태그와 통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RELESS IN LOCAl AREA}
본 발명은 리더와 태그를 구비하여 상호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GPS는 넓은 지역에서는 사용 가능하지만 실내와 같은 위성 신호가 닿지 않는 곳에서는 사용할 수 없은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통신 모듈이 상대적으로 고가이고 소비전력이 높아 배터리를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기에는 적합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최근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및 알에프아이디(RFID)를 포함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실시간 위치 추적 시스템(Real-Time Locating System, RTLS)이 부각되고 있다.
상기 실시간 위치 추적 시스템은 최신의 RFID 센서 기술 및 네트워크 기술을 접목하여, 실시간으로 사물 혹은 사람의 위치를 찾아주는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으로, 홈 네트워트, 물류항만, 지능형 교통망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위치정보는 중요한 요소로 평가되고 있다.
기존 RTLS 시스템에서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은 삼변측량법(Triangulation)과 핑거프린팅(Finger Printing)방식이 있으며, 사용의 편리성 및 장비운용 등의 이유로 실제 위치 추적 솔루션에는 삼변측량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삼변측량법이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110)와 각 리더(112, 114 및 116)간의 거리를 반지름(d1, d2, d3)으로 하는 세 개의 원을 그리고 원들의 교점을 구하여 태그의 2차원 좌표를 알아내는 방법이다.
즉, 삼변측량을 위해서는 위치를 알고자 하는 태그와 세 개 이상의 리더 사이의 거리를 구해야 한다.
그러나, 실제 항만이나 도심 환경에서 한 위치에서 세 개 이상의 리더 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것은 용이치 않으며, 이를 위해서는 매우 많은 수의 리더를 설치해야 하고 이로 인해 극심한 시스템 설치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사패턴이 일정한 회전 가능한 방향성 안테나 및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단일 리더만을 이용하여 태그의 위치를 추적하고자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방사패턴이 일정한 회전 가능한 방향성 안테나와, 동서남북의 방위를 검출하는 지자기 센서부와,상기 방향성 안테나의 회전으로 인한 태그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통해 상기 태그를 인식하는 태그 인식부와, 상기 지자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방위를 기준으로 상기 방향성 안테나의 회전을 통해 수신된 태그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세기 변화를 분석하여 상기 태그와의 방향각을 측정하는 방향각 측정부와, 상기 측정된 방향각에 대응되게 상기 방향성 안테나를 고정하고, 상기 고정된 방향각에서 상기 태그와 통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태그 위치 검색 요청 시,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조절하여 주변 태그를 검색하는 과정과, 동서남북의 방위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태그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통해 상기 태그를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방위를 기준으로 상기 안테나의 회전을 통해 수신된 태그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세기 변화를 분석하여 해당 태그와의 방향각을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된 방향각에 대응되게 상기 안테나를 고정하는 과정과, 상기 고정된 방향각에서 태그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태그의 최종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가의 장비 없이도 단일 리더만을 이용해 리더-태그 간 위치 추적이 용이한 기술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리더-태그 간 위치 추적을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더-태그 간 방향각 측정에 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더-태그 간 거리에 의해 생성되는 방향각도 별 수신 신호 세기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비트맵을 이용한 RFID 태그의 최종 위치 결정 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개략적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방사패턴이 일정한 회전 가능한 방향성 안테나 및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리더-태그 간 위치 추적에 관한 것으로, 리더에 구비된 방향성 안테나를 통해 주변 태그로부터의 신호를 인식하고, 상기 지자기 센서를 통해 측정된 리더의 현재 방위를 기준으로 상기 인식된 태그로부터의 수신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리더의 안테나와 태그가 일직선이 되는 방향각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방향각에 대응되게 상기 안테나를 고정한 후 리더-태그간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고가의 장비 없이도 단일 리더만을 이용해 리더-태그 간 위치 추적이 용이한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해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200)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방향성 안테나부(210), 태그 인식부(212), 지자기 센서부(214), 방향각 측정부(216)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200),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ireless LAN), 초광대역(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지그비(Zigbee), 알에프아이디(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기술을 포함한다.
상기 방향성 안테나부(210)은 방사패턴이 일정한 회전 가능한 방향성 안테나이다. 상기 방향성 안테나부(210)는 일정 주기로 회전을 하면서 이를 통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200) 즉, 리더 인식 반경 내에 무선신호를 지속적으로 발산함으로써 상기 무선신호 발산 범위 내 RFID 태그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태그 인식부(212)는 상기 방향성 안테나부(210)로부터 출력된 RFID 태그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통해 상기 RFID 태그를 인식한다.
이때, 상기 RFID 태그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의 크기, 형태, 종류에 따라 구별할 수 있고, 특히 메모리 형태에서는 읽기 전용 형(read-only), 읽기/쓰기가 가능한 형(read/write), 그리고 한 번 쓰고 여러 번 읽기형(write once read many; WORM)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기 RFID 태그에 부여된 식별정보(예컨대, ID)를 통해 해당 RFID 태그를 인식한다.
상기 지자기 센서부(214)는 동서남북의 방위를 검출하는 것으로, 상기 RFID 태그와의 방향각 측정을 위한 기준각도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200)가 위치하는 현재 방위를 검출한다.
상기 방향각 측정부(216)은 지자기 센서부(214)에 검출된 방위를 기준으로 상기 방향성 안테나부(210)의 회전을 통해 수신된 태그로부터 수신 신호의 세기 변화를 분석하여 상기 RFID 태그와의 방향각을 측정한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더(310)-태그(312)간 방향각 측정에 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로서, 상기 리더(310)가 위치한 방위를 지자기 센서부를 통해 검출하여 기준 각도를 획득하고, 상기 리더(310)와 태그(312)간의 거리에 의한 상기 기준 각도와 이루는 방향각이 발생하며 이를 통해 방향각 측정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상기 도 2로 돌아가서, 상기 제어부(218)은 상기 방향각 측정부(210)에 의해 측정된 방향각에 대응되게 상기 방향성 안테나부(210)를 고정하고, 상기 고정된 방향각에서 상기 RFID 태그와 통신하도록 제어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218)은 상기 고정된 방향각에서 RFID 태그로부터 수신된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RFID 태그와의 방향각을 측정하고, 상기 방향성 안테나부(210)가 회전하면서 상기 RFID 태그와의 방향각이 일직선에 수렴해 가는 동안의 다수의 방향각을 다수 측정하도록 상기 방향각 측정부(210)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218)의 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준 각도 기반 하에 방향성 안테나의 회전에 의해 RFID 태그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의해 생성되는 방향각도 별 수신 신호 세기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로서, 상기 그래프의 소정 구간은 방향성 안테나부가 회전하면서 RFID 태그와의 방향각이 일직선에 수렴해 가는 즉, 기울기가 0에 근접하는 구간이 존재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218)은 상기 방향각 측정부(216)로부터 측정된 RFID 태그와의 방향각이 일직선에 수렴하는 다수의 방향각 중에서 상기 RFID 태그의 최종 위치를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RFID 태그의 최종 위치는 상기 RFID 태그와의 통신 범위 내 공간을 일정 크기의 격자로 분할하여 비트맵을 구성한 후 상기 구성된 비트맵 내 상기 태그와 일직선에 수렴하는 다수의 방향각별 해당 위치에 점수를 부여하여 최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위치가 최종 위치로 결정된다.
이와 같은 비트맵을 이용한 RFID 태그의 최종 위치 결정을 도 5에 도시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610 과정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태그 위치 검색이 요청되고, 612 과정에서 안테나 방사패턴을 조절하여 통신 범위 주변 태그를 검색한다.
이때, 상기 안테나는 방사패턴이 일정한 회전 가능한 방향성 안테나로서, 일정 주기로 회전을 하면서 이를 통해 리더 인식 반경 내에서 무선신호를 지속적으로 발산함으로써 상기 무선신호 발산 범위 내 RFID 태그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출력한다.
계속해서, 614 과정에서 동서남북의 방위를 검출한다. 이는 상기 RFID 태그와의 방향각 측정을 위한 기준각도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가 위치하는 현재 방위를 검출한다.
616 과정에서 상기 612 과정에서 검색된 태그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통해 상기 태그를 인식하고, 618 과정에서 상기 검출된 방위를 기준으로 상기 안테나의 회전을 통해 수신된 RFID 태그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세기 변화를 분석하여 상기 RFID 태그와의 방향각을 측정한다.
즉, 현재 위치한 방위를 검출하여 기준 각도로 설정하고, 상기 RFID 태그 간거리에 의한 상기 기준 각도와 이루는 방향각을 통해 방향각 측정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방향성 안테나가 회전하면서 상기 RFID 태그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세기 변화의 분석을 발생하는 방향각이 일직선에 수렴해 가는 동안의 다수의 방향각을 다수 측정한다.
상기 기준 각도 기반 하에 방향성 안테나의 회전에 의한 해당 RFID 태그 간 거리에 의해 생성되는 방향각도 별 수신 신호 세기 변화를 측정하여 소정 구간에서 방향성 안테나부가 회전하면서 RFID 태그와의 방향각이 일직선에 수렴해 가는 즉, 기울기가 0에 근접하는 구간이 존재하는 데 이에 해당하는 방향각을 반복적으로 모두 측정한다.
620 과정은 상기 618 과정에서 측정된 방향각에 대응되게 상기 안테나를 고정하고, 622 과정에서 상기 고정된 방향각에서 RFID 태그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후, 624 과정에서 상기 RFID 태그의 최종 위치를 결정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RFID 태그의 최종 위치는, 상기 RFID 태그와의 통신 범위 내 공간을 일정 크기의 격자로 분할하여 비트맵을 구성한 후, 상기 구성된 비트맵 내 상기 태그와 일직선에 수렴하는 다수의 방향각별 해당 위치에 점수를 부여하여 최우선순위에 해당하는 위치가 최종 위치로 결정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10: 방향성 안테나부 212: 태그 인식부
214: 지자기 센서부 216: 방향각 측정부
218: 제어부

Claims (13)

  1.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방사패턴이 일정한 회전 가능한 방향성 안테나와,
    동서남북의 방위를 검출하는 지자기 센서부와,
    상기 방향성 안테나의 회전으로 인한 태그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통해 상기 태그를 인식하는 태그 인식부와,
    상기 지자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방위를 기준으로 상기 방향성 안테나의 회전을 통해 수신된 태그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세기 변화를 분석하여 상기 태그와의 방향각을 측정하는 방향각 측정부와,
    상기 측정된 방향각에 대응되게 상기 방향성 안테나를 고정하고, 상기 고정된 방향각에서 상기 태그와 통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향각 측정부로터 측정된 태그와의 거리가 일직선에 수렴하는 다수의 방향각 중에서 상기 태그의 최종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태그의 최종 위치는,
    상기 태그와의 통신 범위 내 공간을 일정 크기의 격자로 분할하여 비트맵을 구성한 후 상기 구성된 비트맵 내 상기 태그와 일직선에 수렴하는 다수의 방향각별 해당 위치에 점수를 부여하여 최우선순위에 해당하는 위치가 최종 위치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정된 방향각에서 태그로부터 수신된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태그와의 방향각을 측정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향성 안테나가 회전하면서 상기 태그와의 방향각이 일직선에 수렴해 가는 동안의 다수의 방향각을 다수 측정하도록 상기 방향각 측정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ireless LAN), 초광대역(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지그비(Zigbee), 알에프아이디(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기술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자기 센서부는,
    상기 태그와의 방향각 측정을 위한 기준 각도를 결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8.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태그 위치 검색 요청 시,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조절하여 주변 태그를 검색하는 과정과,
    동서남북의 방위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태그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통해 상기 태그를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방위를 기준으로 상기 안테나의 회전을 통해 수신된 태그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세기 변화를 분석하여 해당 태그와의 방향각을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된 방향각에 대응되게 상기 안테나를 고정하는 과정과,
    상기 고정된 방향각에서 태그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태그의 최종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태그의 최종 위치는,
    상기 태그와의 통신 범위 내 공간을 일정 크기의 격자로 분할하여 비트맵을 구성한 후, 상기 구성된 비트맵 내 상기 태그와 일직선에 수렴하는 다수의 방향각별 해당 위치에 점수를 부여하여 최우선순위에 해당하는 위치가 최종 위치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방사패턴이 일정한 회전 가능한 방향성 안테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된 방향각에서 태그로부터 수신된 수신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태그와의 방향각을 측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와의 방향각을 측정하는 과정은,
    방향성 안테나가 회전하면 상기 태그와의 방향각이 일직선에 수렴해 가는 동안의 다수의 방향각을 다수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다수의 방향각 중에서 상기 태그의 최종 위치를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13. 삭제
KR1020120007699A 2012-01-26 2012-01-26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1325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699A KR101325437B1 (ko) 2012-01-26 2012-01-26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699A KR101325437B1 (ko) 2012-01-26 2012-01-26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765A KR20130086765A (ko) 2013-08-05
KR101325437B1 true KR101325437B1 (ko) 2013-11-04

Family

ID=49213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7699A KR101325437B1 (ko) 2012-01-26 2012-01-26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4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733B1 (ko) * 2015-09-29 2016-01-28 (주)나인마케팅 위치파악기능이 구비된 냉장 보관 시스템
KR20190048694A (ko) 2017-10-31 2019-05-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안테나 방향각 추정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532B1 (ko) 2016-03-10 2022-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판단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122A (ko) * 2002-11-29 2004-06-05 주식회사 라딕스 방위각을 이용한 이동체에서의 위성 방송 수신 방법 및 장치
JP2005123983A (ja) * 2003-10-17 2005-05-12 Sony Corp 無線lan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20080068332A (ko) * 2007-01-19 2008-07-23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지향성 안테나와 가변 송신출력을 이용한 원격 통신 시스템및 그 방법
KR20110095536A (ko) * 2010-02-19 2011-08-25 투파시스템즈(주) Rfid를 이용한 지게차 안전주행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122A (ko) * 2002-11-29 2004-06-05 주식회사 라딕스 방위각을 이용한 이동체에서의 위성 방송 수신 방법 및 장치
JP2005123983A (ja) * 2003-10-17 2005-05-12 Sony Corp 無線lan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20080068332A (ko) * 2007-01-19 2008-07-23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지향성 안테나와 가변 송신출력을 이용한 원격 통신 시스템및 그 방법
KR20110095536A (ko) * 2010-02-19 2011-08-25 투파시스템즈(주) Rfid를 이용한 지게차 안전주행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733B1 (ko) * 2015-09-29 2016-01-28 (주)나인마케팅 위치파악기능이 구비된 냉장 보관 시스템
WO2017057808A1 (ko) * 2015-09-29 2017-04-06 (주)나인마케팅 위치파악기능이 구비된 물품 보관 시스템
KR20190048694A (ko) 2017-10-31 2019-05-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안테나 방향각 추정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765A (ko) 2013-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6910B2 (en) Lighting system that self detects the relative physical arrangement of its sources
CN104105063A (zh) 一种基于rfid和蓝牙网络的监控定位系统和方法
US10484880B2 (en) Determining one or more potential installation positions and/or areas for installing one or more radio positioning support devices
CN104330770B (zh) 一种基于超高频rfid电子标签的精确定位系统
KR102328673B1 (ko) 로케이션 기반 스마트홈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01975938A (zh) 基于射频信号的五维定位方法和系统
CN107356903A (zh) 基于相位差测量的无源rfid定位方法和装置
US10215839B2 (en) Pose detection device of movable body and location-based supplemental service providing system
Astafiev et al. Development of indoor positioning algorithm based on Bluetooth Low Energy beacons for building RTLS-systems
Krukowski et al. RFID-based positioning for building management systems
WO2012047559A2 (en) Object localization with rfid infrastructure
CN104735781A (zh) 一种室内定位系统及其定位方法
US10687165B2 (en)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utilizing normalized beacon signal strengths
KR101325437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Truijens et al.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absolute RSSI positioning algorithm-based microzoning and RFID in construction materials tracking
Vongkulbhisal et al. An RFID-based indoor localization system using antenna beam scanning
KR20150008295A (ko) 사용자 기기의 측위방법
Regus et al. Indoor positioning and navigation system for autonomous vehicles based on RFID technology
Luo et al. RFID-based indoor antenna localization system using passive tag and variable RF-attenuation
US108715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fining a parametric model for mobile device positioning
US20160377699A1 (en)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Grzechca et al. Indoor location and idetification of objects with video survillance system and WiFi module
Bardareh et al. AN INTEGRATED RFID--UWB METHOD FOR INDOOR LOCALIZATION OF MATERIALS IN CONSTRUCTION.
De Schepper et al. Dynamic BLE-based fingerprinting for location-aware smart homes
ES2642009T3 (es) Método para optimizar la precisión de localización de una etiqueta RFID en un alcance de radio de frecuencia ultra alta en un sistema para la localización de etiquetas RFID que comprende una pluralidad de lecto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