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300B1 - 수밀튜브 및 상하수도관과 이를 이용한 관의 수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수밀튜브 및 상하수도관과 이를 이용한 관의 수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5300B1
KR101325300B1 KR1020110096488A KR20110096488A KR101325300B1 KR 101325300 B1 KR101325300 B1 KR 101325300B1 KR 1020110096488 A KR1020110096488 A KR 1020110096488A KR 20110096488 A KR20110096488 A KR 20110096488A KR 101325300 B1 KR101325300 B1 KR 101325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tight
tube
index portion
index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2726A (ko
Inventor
정유미
Original Assignee
정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유미 filed Critical 정유미
Priority to KR1020110096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300B1/ko
Publication of KR20130032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1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the packing being sealed by the pressure of a fluid other than the fluid in or surround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30Detecting lea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밀튜브 및 상하수도관과 이를 이용한 관의 수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충진재가 채워지는 수밀튜브를 이용한 각종 관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설치 시 수밀 여부를 간단하게 검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관의 길이방향 수축 및 팽창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탄력적으로 팽창 가능하며, 각각 링 형상의 튜브로 이루어지는 제1지수부(100) 및 제2지수부(200)와; 상기 제1지수부(100)와 상기 제2지수부(200)를 축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일체를 이루어 연결하는 동시에, 그 내부에 상기 제1지수부(100) 및 상기 제2지수부(200)의 내부 공간을 상호 연통 시키는 통로(310)가 형성되며, 그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관통공(320)이 형성된 환상의 연결부(300)와; 상기 제1지수부(100)의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 시켜, 충진재를 외부에서 상기 제1지수부(100)의 내부 공간에 액상으로 주입 가능한 주입구(400)와; 상기 제1지수부(100)의 내부 공간과 연통 되지 않도록 상기 제1지수부(100)를 관통하여 상기 제1지수부(100)와 상기 제2지수부(200)의 사이공간에 수밀시험용 유체를 주입 가능한 수밀시험용 유입구(500)로 구성되어, 관의 연결 설치 시 2중으로 이루어진 수밀튜브 사이공간에 수밀시험용 유체를 주입하여 수밀 여부를 간단하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어 관 연결에 대한 수밀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온도 변화에 따른 관의 길이방향 수축 및 팽창을 수용할 수 있음으로써 관의 파손 또한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수밀튜브 및 상하수도관과 이를 이용한 관의 수밀 연결구조{Watertight tube, water and sewage pipe,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pipes utilizing thereof}
본 발명은 수밀튜브 및 상하수도관과 이를 이용한 관의 수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충진재가 채워지는 수밀튜브를 이용한 각종 관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설치 시 수밀 여부를 간단하게 검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관의 길이방향 수축 및 팽창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써, 관의 연결 설치 시 2중으로 이루어진 수밀튜브 사이공간에 수밀시험용 유체를 주입하여 수밀 여부를 간단하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어 관 연결에 대한 수밀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온도 변화에 따른 관의 길이방향 수축 및 팽창을 수용할 수 있음으로써 관의 파손 또한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에 매설되는 상하수도관은 주철관 또는 콘크리트관으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길이 단위로 생산된 후 이들 관을 현장에서 수밀을 유지하도록 연결하여 매설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관의 수밀 연결구조를 도시하는 도로서, 도 1에 도시한 일반적인 관의 수밀 연결구조는 관(10)과 관(10)의 연결부위에 고무링과 같은 탄력적인 수밀부재(40)를 끼워 넣어 관(10) 내부의 유체가 그 연결부위를 통해 관(1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에서 도 1의 (a)는 그 분해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그 단면도이다.
그러나, 고무링과 같은 수밀부재(40)는 관(10)과 관(10)의 연결 시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지 않고 말려서 위치가 이동하거나 비교적 큰 틈새가 발생할 경우 수밀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웠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개발이 진행되었으며,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50053호에는 개량된 형태의 관의 수밀 연결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관의 수밀 연결구조를 도시하는 도로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50053호에 개시된 종래의 관의 수밀 연결구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수관(10)의 연결부위 내주면에 제1장홈(16)을 형성하고, 이와 연결되는 다른 상·하수관(10)의 연결부위 외주면에 제2장홈(19)을 형성한 후, 역지변(28)이 마련되어 충진재(30)가 채워지는 튜브형상의 유출방지수단(20)을 마련한 것이다.
여기에서 도 2의 (a)는 그 분해사시도이고, 도 2의 (b)는 그 요부 단면도이다.
이를 통해, 제1장홈(16)과 제2장홈(19) 사이에 유출방지수단(20)을 배치한 후, 역지변(28)을 통해 충진재(30)를 주입함으로써, 상·하수관(10) 상호 연결부위에 수밀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관의 수밀 연결구조는 단순히 튜브형상의 유출방지수단 내에 충진재를 주입하는 것으로써, 상·하수관의 연결 설치 시 수밀 여부를 검사할 수 없어 수밀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며, 유출방지수단이 제1장홈 및 제2장홈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 시 상·하수관의 길이방향 수축 및 팽창이 발생할 경우 그 연결구조를 유지할 수 없다는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관의 연결 설치 시 2중으로 이루어진 수밀튜브 사이공간에 수밀시험용 유체를 주입하여 수밀 여부를 간단하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어 관 연결에 대한 수밀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온도 변화에 따른 관의 길이방향 수축 및 팽창을 수용할 수 있음으로써 관의 파손 또한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밀튜브 및 상하수도관과 이를 이용한 관의 수밀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수밀튜브는 탄력적으로 팽창 가능하며, 각각 링 형상의 튜브로 이루어지는 제1지수부 및 제2지수부와; 상기 제1지수부와 상기 제2지수부를 축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일체를 이루어 연결하는 동시에, 그 내부에 상기 제1지수부 및 상기 제2지수부의 내부 공간을 상호 연통 시키는 통로가 형성되며, 그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환상의 연결부와; 상기 제1지수부의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 시켜, 충진재를 외부에서 상기 제1지수부의 내부 공간에 액상으로 주입 가능한 주입구와; 상기 제1지수부의 내부 공간과 연통 되지 않도록 상기 제1지수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지수부와 상기 제2지수부의 사이공간에 수밀시험용 유체를 주입 가능한 수밀시험용 유입구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충진재는; 액상으로 주입되어 응고에 따라 부피가 팽창하여 탄성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수밀튜브를 이용한 관의 수밀 연결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에 확경된 소켓이 형성된 다수의 관과; 어느 하나의 관의 소켓 내주면과 이웃한 다른 하나의 관 외주면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수밀튜브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밀튜브를 이용한 관의 수밀 연결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는, 탄력적으로 팽창 가능하며, 각각 링 형상의 튜브로 이루어지는 제1지수부 및 제2지수부와, 상기 제1지수부 및 상기 제2지수부의 내부 공간과 외부를 각각 연통 시켜, 충진재를 외부에서 상기 제1지수부 및 상기 제2지수부의 내부 공간에 각각 액상으로 주입 가능하도록 법선방향으로 형성된 제1주입구 및 제2주입구로 이루어진 수밀튜브와;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 측에 확경된 소켓이 형성되며, 어느 하나의 관의 소켓 내주면과 이웃한 다른 하나의 관 외주면 사이에 상기 수밀튜브가 위치하되, 상기 소켓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지수부 및 상기 제2지수부의 외측 외주를 감싸도록 원호형 단면으로 오목하게 두 개의 수밀홈이 서로 이격 형성된 다수의 관과; 어느 하나의 관의 소켓 내주면과 이웃한 다른 하나의 관 외주면 사이공간 중 상기 제1지수부와 상기 제2지수부의 사이공간을 외부를 연통 시켜, 수밀시험용 유체를 주입 가능하도록 상기 관에 법선 방향으로 형성된 수밀시험용 유입공으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 때에도, 상기 충진재는; 액상으로 주입되어 응고에 따라 부피가 팽창하여 탄성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하수도관은,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 측에 확경된 소켓이 형성되며, 상기 소켓의 내주면에는 링 형상의 수밀부재 외측 외주를 감싸도록 오목하게 두 개의 수밀홈이 서로 이격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수밀홈 사이에는 수밀시험용 유체를 주입 가능하도록 법선방향으로 수밀시험용 유입공이 형성된 것으로써 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관의 연결 설치 시 2중으로 이루어진 수밀튜브 사이공간에 수밀시험용 유체를 주입하여 수밀 여부를 간단하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어 관 연결에 대한 수밀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온도 변화에 따른 관의 길이방향 수축 및 팽창을 수용할 수 있음으로써 관의 파손 또한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관의 수밀 연결구조를 도시하는 도,
도 2는 종래의 관의 수밀 연결구조를 도시하는 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밀튜브를 도시하는 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밀튜브를 이용한 관의 수밀 연결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밀튜브를 이용한 관의 수밀 연결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밀튜브를 도시하는 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수밀튜브를 이용한 관의 수밀 연결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수밀튜브를 이용한 관의 수밀 연결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수밀튜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력적으로 팽창 가능하며, 각각 링 형상의 튜브로 이루어지는 제1지수부(100) 및 제2지수부(200)와; 상기 제1지수부(100)와 상기 제2지수부(200)를 축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일체를 이루어 연결하는 동시에, 그 내부에 상기 제1지수부(100) 및 상기 제2지수부(200)의 내부 공간을 상호 연통 시키는 통로(310)가 형성되며, 그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관통공(320)이 형성된 환상의 연결부(300)와; 상기 제1지수부(100)의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 시켜, 충진재를 외부에서 상기 제1지수부(100)의 내부 공간에 액상으로 주입 가능한 주입구(400)와; 상기 제1지수부(100)의 내부 공간과 연통 되지 않도록 상기 제1지수부(100)를 관통하여 상기 제1지수부(100)와 상기 제2지수부(200)의 사이공간에 수밀시험용 유체를 주입 가능한 수밀시험용 유입구(500)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밀튜브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제1지수부(100) 및 제2지수부(200)와, 연결부(300), 주입구(400), 그리고 수밀시험용 유입구(500)로 이루어지며, 이 모든 구성요소가 모두 일체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도 3의 (a)는 그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상기 주입구(400) 및 수밀시험용 유입구(500)가 형성된 부위의 단면도이며, 도 3의 (b)는 도 3의 (a)에 있어서 A-A선의 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제1지수부(100) 및 제2지수부(200)는 탄력적으로 팽창 가능한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각각 링 형상의 중공 튜브로 이루어져 있어 그 내부에는 이후에 설명할 충진재를 채워 넣음에 따라 팽창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지수부(100) 및 상기 제2지수부(200)는 연결하고자 하는 관(800)의 길이방향(이하 축방향이라 한다)으로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이루어 연결부(30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제1지수부(100) 및 상기 제2지수부(200)와 함께 대략 고무 밴드 형상을 이루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부(300)의 내부에는 상기 제1지수부(100) 및 상기 제2지수부(200)의 내부 공간을 상호 연통시키는 통로(310)가 형성되어 있어, 이후에 설명할 충진재가 상기 제1지수부(100)에 채워질 경우 상기 연결부(300)의 통로(310)를 통해 상기 제2지수부(200)에도 상기 충진재가 함께 채워지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연결부(300)에는 그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여 관통공(320)이 형성되어 있어, 이 관통공(320)을 통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수밀시험용 유체가 통과할 수 있어 상기 연결부(300)의 내측 공간과 외측 공간을 연통시키게 된다.
물론, 이 관통공(320)은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300)의 통로(310)와는 연결되지 않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1지수부(100)에는 그 충진재를 채워주기 위한 주입구(400)가 형성되며, 이러한 주입구(400)는 관(800)과 관(800) 사이로 연장되어 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주입구(400)는 상기 제1지수부(100)의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켜, 충진재를 외부에서 상기 제1지수부(100)의 내부 공간에 액상으로 주입 가능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1지수부(100)에는 도 3의 (b)와 같이 상기 제1지수부(100)의 내부 공간과는 연통되지 않도록 상기 제1지수부(100)를 관통하여 상기 제1지수부(100)와 상기 제2지수부(200)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수밀시험용 유입구(500)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 수밀시험용 유입구(500)를 통하여 수밀시험용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제1지수부(100)와 상기 제2지수부(200)의 사이 공간에 주입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밀시험용 유체는 상기 연결부(300)의 관통공(320)을 통해 그 내측과 외측에 고르게 채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밀튜브에 대한 동작은 본 발명의 수밀튜브를 이용한 관의 수밀 연결구조에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술한 수밀튜브 내에 채워지게 되는 상기 충진재는; 액상으로 주입되어 응고에 따라 부피가 팽창하여 탄성을 지니는 것이 본 발명에 있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충진재는 실리콘, 경화성 액체 고무, 우레탄 등 액상으로 주입되어 응고 시 부피가 팽창하며 탄성을 지녀 수밀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지하는 것이면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수밀튜브를 이용한 관의 수밀 연결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밀튜브를 이용한 관의 수밀 연결구조는 충진재 및 수밀시험용 유체를 주입하는 방향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실시예로 구분하여 설명하며, 축방향으로 주입하는 실시예는 상술한 수밀튜브를 적용한 것이고, 법선방향으로 주입하는 실시예는 별도의 이하에서 설명할 별도의 수밀튜브를 적용한 것이다.
우선 충진재 및 수밀시험용 유체를 축방향으로 주입하게 되는 본 발명의 수밀튜브를 이용한 관의 수밀 연결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 측에 확경된 소켓(810)이 형성된 다수의 관(800)과; 어느 하나의 관(800)의 소켓(810) 내주면과 이웃한 다른 하나의 관(800) 외주면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수밀튜브(WT)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도 4의 (a)는 그 분해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그 요부 단면도이다.
즉, 관(800)과 관(800)이 연결될 때, 어느 하나의 관(800)에 형성된 소켓(810) 내부로 다른 하나의 관(800)이 연결되며, 이때, 상기 관(800)의 소켓(810) 내주면과 다른 관(800)의 외주면 사이에 상술한 수밀튜브(WT)가 삽입된다.
이후, 액상의 충진재를 상기 제1지수부(100)에 일체로 형성된 주입구(400)로 주입하면, 상기 제1지수부(100)의 내부 공간에 충진재가 채워지며 이와 함께 연결부(300)의 통로(310)를 통해 상기 제2지수부(200)의 내부 공간에도 충진재가 채워지게 된다.
상기 제1지수부(100) 및 제2지수부(200)의 내부 공간에 충진재가 모두 채워지면, 별도의 마개(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주입구(400)를 막은 후 액상으로 주입한 충진재가 응고됨으로써 관(800)의 연결부위에 수밀 연결구조가 생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충진재의 응고가 완료된 후, 수밀시험용 유입구(500)를 통해 기체나 액체 등의 수밀시험용 유체를 주입하면, 이 수밀시험용 유체는 먼저 상기 제1지수부(100)와 상기 제2지수부(200)의 사이공간 중 상기 연결부(300)의 외주에 형성되는 공간에 채워지며, 이후, 상기 연결부(300)에 형성된 관통공(320)을 통해 상기 연결부(300)의 내측 공간 및 외측 공간 모두를 채우게 되며, 이 때 상기 수밀시험용 유체의 주입 압력을 통해 수밀 상태가 올바르게 유지되는지 손쉽게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수밀시험용 유체의 주입 압력이 소정의 기준 압력 미만인 경우에는 수밀이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이며, 상기 수밀시험용 유체의 주입 압력이 소정의 기준 압력 이상인 경우에는 수밀이 확실하게 이루어진 경우이다.
다음으로, 충진재 및 수밀시험용 유체를 축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이하 법선방향이라 한다)으로 주입하게 되는 본 발명의 수밀튜브를 이용한 관의 수밀 연결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력적으로 팽창 가능하며, 각각 링 형상의 튜브로 이루어지는 제1지수부(100') 및 제2지수부(200')와, 상기 제1지수부(100') 및 상기 제2지수부(200')의 내부 공간과 외부를 각각 연통 시켜, 충진재를 외부에서 상기 제1지수부(100') 및 상기 제2지수부(200')의 내부 공간에 각각 액상으로 주입 가능하도록 법선방향으로 형성된 제1주입구(410) 및 제2주입구(420)로 이루어진 수밀튜브(WT)와;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 측에 확경된 소켓(810)이 형성되며, 어느 하나의 관(800)의 소켓(810) 내주면과 이웃한 다른 하나의 관(800) 외주면 사이에 상기 수밀튜브(WT)가 위치하되, 상기 소켓(81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지수부(100') 및 상기 제2지수부(200')의 외측 외주를 감싸도록 원호형 단면으로 오목하게 두 개의 수밀홈(811)(812)이 서로 이격 형성된 다수의 관(800)과; 어느 하나의 관(800)의 소켓(810) 내주면과 이웃한 다른 하나의 관(800) 외주면 사이공간 중 상기 제1지수부(100')와 상기 제2지수부(200')의 사이공간을 외부를 연통 시켜, 수밀시험용 유체를 주입 가능하도록 상기 관(800)에 법선방향으로 형성된 수밀시험용 유입공(820)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도 5의 (a)는 그 분해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그 요부 단면도이다.
그리고 이 때, 상기 충진재는; 액상으로 주입되어 응고에 따라 부피가 팽창하여 탄성을 지니는 것이 양호하다.
본 발명의 수밀튜브를 이용한 관의 수밀 연결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작용은 상술한 수밀튜브를 이용한 관의 수밀 연결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유사한 것으로, 충진재 및 수밀시험용 유체가 오직 관(800)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그 법선방향으로 주입된다는 것에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제1지수부(100')와 제2지수부(200')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연결부가 필요치 않으며, 관(800)에는 상기 제1지수부(100')에 충진재를 주입하기 위한 제1주입구(410)와 상기 제2지수부(200')에 충진재를 주입하기 위한 제2주입구(420)가 관통하는 구멍이 별도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어느 하나의 관(800)의 소켓(810) 내주면과 이웃한 다른 하나의 관(800) 외주면 사이공간 중 상기 제1지수부(100')와 상기 제2지수부(200')의 사이공간을 외부로 연통 시켜, 수밀시험용 유체를 주입 가능하도록 상기 관(800)에 법선방향으로 수밀시험용 유입공(82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지수부(100')와 제2지수부(200')가 상호 소정 간극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관(800)의 소켓(810) 내주면에는 제1지수부(100')와 제2지수부(200')를 외측에서 감싸는 수밀홈(811)(812)이 형성되어 있고, 이를 통해 관(800)이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열팽창 또는 열수축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1지수부(100')와 제2지수부(200')는 이동하지 않고 오직 그와 밀착한 관(800)이 외주면만이 접촉한 상태로 이동하여, 항상 수밀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수밀튜브를 이용한 관의 수밀 연결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면, 관(800)과 관(800)이 연결될 때, 상기 관(800)의 소켓(810) 내주면과 다른 관(800)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제1지수부(100') 및 제2지수부(200')가 각각 수밀홈(811)(812)에 안착하도록 삽입된다.
이후, 액상의 충진재를 상기 제1지수부(100')에 일체로 형성된 제1주입구(410)로 주입하는 동시에, 상기 제2지수부(200')에 일체로 형성된 제2주입구(420)로 주입하면, 상기 제1지수부(100') 및 제2지수부(200')의 내부 공간에 각각 충진재가 채워지게 된다.
상기 제1지수부(100') 및 제2지수부(200')의 내부 공간에 충진재가 모두 채워지면, 별도의 마개(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제1주입구(410) 및 제2주입구(420)를 막은 후 액상으로 주입된 충진재가 응고됨으로써 관(800)의 연결부위에 수밀 연결구조가 생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충진재의 응고가 완료된 후, 수밀시험용 유입공(820)을 통해 기체나 액체 등의 수밀시험용 유체를 주입하면, 이 수밀시험용 유체는 관(800)의 소켓(810) 내주면과 다른 관(800)의 외주면 사이공간 중 상기 제1지수부(100')와 상기 제2지수부(200')의 사이공간에 채워지며, 이 때 상기 수밀시험용 유체의 주입 압력을 통해 수밀 상태가 올바르게 유지되는지 손쉽게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밀튜브 및 상하수도관과 이를 이용한 관의 수밀 연결구조는 튜브 형태의 제1지수부(100)(100') 및 제2지수부(200)(200')에 액상으로 주입되어 응고에 따라 팽창하여 탄력을 지니는 충진재를 채워 수밀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특히 그 사이 공간에 수밀시험용 유체를 채워 넣어 그 주입 압력을 통해 수밀이 확실하게 이루어졌는지 손쉽고 정확하게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것이다.
이뿐 아니라, 종래와는 다르게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에 따라 관(800)의 길이방향 열 수축이나 열 팽창에 대해서도 수밀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구조를 갖는 다는 큰 이점을 지닌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상하수도관은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 측에 확경된 소켓(810)이 형성되며, 상기 소켓(810)의 내주면에는 링 형상의 수밀부재 외측 외주를 감싸도록 오목하게 두 개의 수밀홈(811)(812)이 서로 이격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수밀홈(811)(812) 사이에는 수밀시험용 유체를 주입 가능하도록 법선방향으로 수밀시험용 유입공(820)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수밀부재란 상술한 제1지수부(100)나 제2지수부(200)여도 좋고 종래에 널리 사용되는 고무링 등도 포함하여, 수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삽입 가능한 것이면 그 재료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100' : 제1지수부 200, 200' : 제2지수부
300 : 연결부 310 : 통로
400 : 주입구 410 : 제1주입구
420 : 제2주입구 500 : 수밀시험용 유입구
800 : 관 810 : 소켓
811, 812 : 수밀홈 820 : 수밀시험용 유입공
WT : 수밀튜브

Claims (6)

  1. 탄력적으로 팽창 가능하며, 각각 링 형상의 튜브로 이루어지는 제1지수부 및 제2지수부와;
    상기 제1지수부와 상기 제2지수부를 축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일체를 이루어 연결하는 동시에, 그 내부에 상기 제1지수부 및 상기 제2지수부의 내부 공간을 상호 연통 시키는 통로가 형성되며, 그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환상의 연결부와;
    상기 제1지수부의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 시켜, 충진재를 외부에서 상기 제1지수부의 내부 공간에 액상으로 주입 가능한 주입구와;
    상기 제1지수부의 내부 공간과 연통 되지 않도록 상기 제1지수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지수부와 상기 제2지수부의 사이공간에 수밀시험용 유체를 주입 가능한 수밀시험용 유입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튜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액상으로 주입되어 응고에 따라 부피가 팽창하여 탄성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튜브.
  3.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 측에 확경된 소켓이 형성된 다수의 관과;
    어느 하나의 관의 소켓 내주면과 이웃한 다른 하나의 관 외주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 2항의 수밀튜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튜브를 이용한 관의 수밀 연결구조.
  4. 탄력적으로 팽창 가능하며, 각각 링 형상의 튜브로 이루어지는 제1지수부 및 제2지수부와, 상기 제1지수부 및 상기 제2지수부의 내부 공간과 외부를 각각 연통 시켜, 충진재를 외부에서 상기 제1지수부 및 상기 제2지수부의 내부 공간에 각각 액상으로 주입 가능하도록 법선방향으로 형성된 제1주입구 및 제2주입구로 이루어진 수밀튜브와;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 측에 확경된 소켓이 형성되며, 어느 하나의 관의 소켓 내주면과 이웃한 다른 하나의 관 외주면 사이에 상기 수밀튜브가 위치하되, 상기 소켓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지수부 및 상기 제2지수부의 외측 외주를 감싸도록 원호형 단면으로 오목하게 두 개의 수밀홈이 서로 이격 형성된 다수의 관과;
    어느 하나의 관의 소켓 내주면과 이웃한 다른 하나의 관 외주면 사이공간 중 상기 제1지수부와 상기 제2지수부의 사이공간을 외부로 연통 시켜, 수밀시험용 유체를 주입 가능하도록 상기 관에 법선방향으로 형성된 수밀시험용 유입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튜브를 이용한 관의 수밀 연결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액상으로 주입되어 응고에 따라 부피가 팽창하여 탄성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튜브를 이용한 관의 수밀 연결구조.
  6. 삭제
KR1020110096488A 2011-09-23 2011-09-23 수밀튜브 및 상하수도관과 이를 이용한 관의 수밀 연결구조 KR101325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488A KR101325300B1 (ko) 2011-09-23 2011-09-23 수밀튜브 및 상하수도관과 이를 이용한 관의 수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488A KR101325300B1 (ko) 2011-09-23 2011-09-23 수밀튜브 및 상하수도관과 이를 이용한 관의 수밀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726A KR20130032726A (ko) 2013-04-02
KR101325300B1 true KR101325300B1 (ko) 2013-11-08

Family

ID=48435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488A KR101325300B1 (ko) 2011-09-23 2011-09-23 수밀튜브 및 상하수도관과 이를 이용한 관의 수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3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797A (ko) * 2017-10-13 2019-04-23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배관 어셈블리
KR20210000541A (ko) 2019-06-25 2021-01-05 디프리기술연구원(주) 수밀용 패킹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12310B (zh) * 2022-08-29 2022-11-29 恒洁利(南通)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不锈钢焊管用密封性测试仪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1292A (ja) * 1981-11-10 1983-05-16 三井建設株式会社 水中コンクリ−ト管の継手部の止水方法
KR20060004637A (ko) * 2005-12-29 2006-01-12 안태인 상·하수관 접속구조
KR20080050053A (ko) * 2006-12-01 2008-06-05 관개공건설 주식회사 상·하수관의 기밀 유지구조 및 방법
KR20080096288A (ko) * 2007-04-27 2008-10-30 김경목 관이음용 연결구 및 그 연결구를 이용한 관이음 연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1292A (ja) * 1981-11-10 1983-05-16 三井建設株式会社 水中コンクリ−ト管の継手部の止水方法
KR20060004637A (ko) * 2005-12-29 2006-01-12 안태인 상·하수관 접속구조
KR20080050053A (ko) * 2006-12-01 2008-06-05 관개공건설 주식회사 상·하수관의 기밀 유지구조 및 방법
KR20080096288A (ko) * 2007-04-27 2008-10-30 김경목 관이음용 연결구 및 그 연결구를 이용한 관이음 연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797A (ko) * 2017-10-13 2019-04-23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배관 어셈블리
KR102023621B1 (ko) * 2017-10-13 2019-09-20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배관 어셈블리
KR20210000541A (ko) 2019-06-25 2021-01-05 디프리기술연구원(주) 수밀용 패킹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726A (ko) 2013-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2107B2 (en) Sealing arrangements for subsea pipe-in-pipe systems
KR100792089B1 (ko) 지반 주입 공법
KR101325300B1 (ko) 수밀튜브 및 상하수도관과 이를 이용한 관의 수밀 연결구조
KR100917144B1 (ko) 단열이중관의 신축 조인트장치
JP5443717B2 (ja) 地盤改良薬液の注入方法および装置
KR102120676B1 (ko) 세미쉴드 공법의 추진관 수밀구조
JP2009243143A (ja) 水封用のボーリング孔の給排水装置
KR100932283B1 (ko) 매질주입 및 팽창이 가능한 중공형 링을 구비한 연결관
JP5785058B2 (ja) 地盤への薬液注入用外管
KR101918856B1 (ko) 매립 압력관용 연결관 구조
KR20060004637A (ko) 상·하수관 접속구조
KR20150052720A (ko) 기밀 및 수밀 탐지기능이 구비된 접속관
JP2007321542A (ja) 地盤注入装置
KR101080118B1 (ko) 맨홀과 하수관의 연결 구조
JP5210921B2 (ja) 地盤改良薬液の注入方法
KR200459984Y1 (ko) 맨홀용 관 연결구
KR101223473B1 (ko) 기밀특성 측정 장치 및 시스템
KR102521050B1 (ko) 관로구 방수장치
CN216386718U (zh) 一种单孔多介质注水试验装置
KR101144627B1 (ko) 밸브실의 열배관 시공방법
KR100981433B1 (ko) 롯드관 보강 그라우팅의 이중 팩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입공 코킹 방법
US10233608B2 (en) Sealing system for precast concrete structures
KR100756307B1 (ko) 오폐수 도관의 결합구조
KR20060106014A (ko) 하나의 외관에 복수의 내관을 갖는 보온수단을 갖는 이중관
JP2004190238A (ja) 鋼管継手部の止水材注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