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293B1 - 싱글레버로 물의 양과 온도와 토수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수전 - Google Patents

싱글레버로 물의 양과 온도와 토수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5293B1
KR101325293B1 KR1020130042020A KR20130042020A KR101325293B1 KR 101325293 B1 KR101325293 B1 KR 101325293B1 KR 1020130042020 A KR1020130042020 A KR 1020130042020A KR 20130042020 A KR20130042020 A KR 20130042020A KR 101325293 B1 KR101325293 B1 KR 101325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r
faucet
temperature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2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연호
Original Assignee
변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연호 filed Critical 변연호
Priority to KR1020130042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2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2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faucet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allow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spout or the outlet nozzl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30Diverter valves in faucets or t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2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a deformable member
    • F16K11/02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a deformable member with an 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글레버를 이용하여 물의 양과 온도와 토수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수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토수구가 있는 수전에서 토수(吐水)구를 선택하는 별도의 급수선택부 없이 싱글레버를 이용하여 토수되는 물의 양과 온도를 조절하고, 동시에 원하는 토수방향까지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수전 금구(100)에 두 개의 입수관(20a, 20b)과; 두 개의 토수관(30a, 30b)이 연결되어 있으며, 레버연결돌기(120)를 통해 레버(110)와 연결되어 레버(110)의 움직임에 따라 높이와 회전방향이 결정되는 회동체(150)와; 회동체의 높이에 따라 토수구를 결정되고, 회동체(150)와 높이와 회전방향에 따라 입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회동체의 홈(151a, 151b, 151c, 151d)을 가지는 싱글레버 수전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싱글레버로 물의 양과 온도와 토수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수전{On single lever faucet for choosing volume, temperature, outlet of water}
본 발명은 싱글레버를 이용하여 물의 양과 온도와 토수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수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토수구가 있는 수전에서 토수(吐水)구를 선택하는 별도의 급수선택부 없이 싱글레버를 이용하여 토수되는 물의 양과 온도를 조절할 수 있고, 원하는 토수방향까지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수전에 관한 것이다.
수전은 연결형태, 개폐방법, 토수구 수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연결형태에 따라 구분하면, 하나의 입수관과 하나의 토수관을 연결하는 단수전 또는 막꼭지라고 부르기도 하는 직결형 수전과, 냉수와 온수 등 두 개의 입수관을 하나의 수전에 연결하여 두 개 입수관으로부터 물이 수전 금구에 입수되어 하나의 토수구로 토수되거나 두 개의 토수구 중에서 선택한 토수구로 토수되는 혼합형 수전이 있다. 혼합형 수전을 다시 세분하면 입수구마다 각각의 레버핸들을 갖는 투핸들 레버 수전과 두 개의 입수구를 동시에 통제하는 싱글 레버 수전이 있다.
개폐방법으로 구분하면, 동그란 형태의 장치를 좌우로 회전시켜 토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목돌림 핸들식 수전과 연결된 막대모양을 상하좌우로 움직여 물의 양과 온도를 조절하는 레버식 수전이 있다.
토수구 수에 따라 구분하면, 토수구가 한 개인 수전과 급수선택부를 추가하여 토수구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토수구가 두 개인 수전이 있다.
현재 다양하게 요구되는 기능을 충족할 수 있게 연결형태와 개폐방법, 토수구 수 등을 조합하여 물의 양과 온도, 토수방향 등을 조절하고 통제할 수 있는 수전을 제작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두 개의 토수구와 급수선택부가 있는 싱글레버 혼합형 수전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수전에서는 냉수와 온수 두 개의 입수관이 수전 금구에 연결되고, 레버의 조작으로 입수되는 냉수와 온수의 양과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토수되는 물의 양과 온도가 조절되었으며, 토수방향은 별도의 급수선택부(10)를 올리거나 내림에 따라 물이 위쪽 토수구 또는 아래쪽 토수구로 토수되는 방법으로 토수 방향을 제어하였다.
그러나 도 1의 수전은 물의 양과 온도를 조절하는 레버와는 별도로 원하는 토수구를 선택하기 위한 급수선택부(10)가 설치되어야 하고, 토수구 변경시마다 작은 크기의 급수선택부(10)를 조작해야 한다.
또 물 사용을 잠시 중지하기 위해 수전을 잠그면, 수전 내부 수압이 낮아지면서 급수선택부(10)가 원상태로 되돌아가 재 사용시 다시 조작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두 개의 입수구와 두 개의 토수구가 있는 혼합 수전에서 싱글레버로 두 개의 입수구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양과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토수되는 물의 양과 온도가 조절되고, 동시에 두 개의 토수구 중 원하는 토수구를 쉽게 선택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수전 금구(100)에 두 개의 입수구(20a, 20b)과; 두 개의 토수구(30a, 30b)이 있으며, 레버연결돌기 (120)를 통해 레버(110)와 연결되어 레버(110)의 움직임에 따라 높이와 회전방향이 결정되는 회동체(150)와; 회동체의 높이에 따라 토수구를 결정되고, 회동체(150)와 높이와 회전방향에 따라 입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회동체의 홈(151a, 151b, 151c, 151d);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싱글레버로 물의 양과 온도와 토수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수전에 의하면, 사용자가 별도의 급수선택부 없이 싱글레버의 조작만으로 두 개의 입수구로부터 입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여 토수되는 물의 양과 온도와 토수방향까지 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손쉽게 수전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급수선택부가 있는 수전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전의 단면도
도 3는 도 2의 3D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가에서의 단면도.
도 5a, 5b, 5c, 5d는 회동체의 사시도, 측면도, 저면도, 회동하부의 투명사시도.
도 6은 회동체의 높이와 회전방향에 따른 물의 양과 온도, 토수방향을 보여주는 전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전의 모듈이 조립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전의 외형상 형태는 수전 금구(100)와 물이 입수되도록 하거나 차단할 때, 입수되는 물의 종류에 따른 입수 비율을 조절할 때 조작하는 레버(110)가 위쪽에 있고, 수전 금구 좌우에 냉수와 온수가 입수되는 두 개의 입수구(20a, 20b)가 있으며, 뒤쪽으로는 샤워헤드 등으로 연결되는 위쪽 토수구 (30a), 아래쪽으로는 욕조나, 물받이 통으로 토수하게 하는 아래쪽 토수구(30b) 등 두 개의 토수구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전을 도시한 도 2의 3D 형태의 분해도이며,
도 4는 도 2의 가 높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전의 수전 금구(100)의 주요모듈은 레버(110)를 포함하고, 레버(110)을 좌우로 회전하고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레버부와 레버(110) 움직임에 따른 에너지를 회동체(150)에 전달하는 레버연결돌기 (120), 높이와 회전방향에 따라 입수구와 접하는 홈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토수되는 물의 양과 온도, 토수방향을 결정하는 회동체(150)로 구성된다.
레버부를 상세히 알아보면, 레버(110)와, 레버가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작은 힘으로도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레버고정대(130), 레버(110)를 고정한 레버고정대(130)가 작은 힘으로도 좌우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레버고정대 레일(14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전의 레버부 주요 모듈을 상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레버(110)는 레버접속부(131)에 결합하기 위한 중앙의 구멍과 구멍을 중심으로 일단은 레버손잡이가, 반대쪽은 레버연결돌기(120)를 결합하기 위한 모양의 레버연결부(111)가 형상된다.
레버(110)와 레버접속부(131)의 결합은 레버 중앙에 있는 구멍을 레버접속부(131) 홈의 구멍과 일치시키고 고정쇠(50)로 관통 고정쇠 끝단에 고정핀(51)을 삽입하면 되고, 레버(110)와 레버연결돌기(120)의 결합도 레버연결부(111)에 레버연결돌기 (120)의 구멍을 일치시켜 고정쇠(50)와 고정핀(51)을 이용하여 결합한다.
레버고정대(130) 하단부의 돌출된 부분은 레버고정대 레일(140)과 접하며, 중간부에는 상부 캡(101)을 고정할 수 있는 세 개의 구멍이 있고, 상단부에는 레버접속부 (131)를 결합하기 위한 구멍 두 개가 있는 원통형의 형상이며, 레버고정대(130)와 레버접속부(131)의 결합은 레버접속부 하단의 고정을 위한 홈을 레버고정대(130)에 맞춰 끼우고 레버접속부(131)를 결합하기 위한 구멍에 두 개의 나사를 이용하여 레버고정대(130)에 결합한다.
레버고정대 레일(140)은 레버(110)가 결합된 레버고정대(130)가 좌우 회전시에 필요한 힘이 최소화되도록 레버고정대(130)와 수전 금구(100) 사이에 볼(141)을 넣어 레버고정대(130) 회전시 베어링처럼 볼(141)이 같이 회전되어 수전 금구와 레버고정대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며, 볼(141)이 볼 회전막음 부재(142)를 넘어가지 못하도록 하여 레버(110)의 좌우 회전에 대한 임계치를 설정되도록 하고, 레일잠금링 (143)의 외경 나사홈을 이용하여 수전 금구(100)에 고정되도록 하여 레버고정대 (130)와 볼(141)이 위로 빠지지 않도록 구성한다.
레버연결돌기(120)는 위와 아래 끝이 둥글며, 양끝에 구멍이 있는 직육면체의 막대 모양으로 위쪽은 레버연결부(111), 아래쪽은 회동체연결부(154)와 결합된다.
도 5는 회동체의 사시도, 측면도, 저면도, 회동하부의 투명사시도이며,
도 6은 수전 금구내에서 회동체가 움직일 때 회동체의 홈과 입수구가 접하는 각각의 상태에 따라 물의 양, 온도, 토수방향이 결정되는 상황의 전개도이다.
도 5, 도 6을 참조하면, 회동체(150)는 레버(110)의 상하좌우 움직임에 따른 에너지를 레버연결돌기(120)를 통해 전달받아 움직이며, 후술되는 회동상부와 회동하부로 형상된다.
회동상부는 고정쇠와 고정핀으로 레버연결돌기와 결합되는 회동체연결부(154)와 입수되는 물이 위의 레버부로 흐르지 못하도록 하는 둥근원판 모양의 회동상판(152)과 오링(153)으로 구성되며, 회동체가 아래로 내려갈 때 회동하부와의 사이 공간을 위쪽 토수구(30a)로 연결하여 물 흐름 통로 역할을 하게 한다.
회동하부는 회동체가 아래로 내려갈 때 입수구와 접하는 두 개의 홈(151a, 151b)과 회동체가 위로 올라갈 때 입수구와 접하는 두 개의 홈(151c, 151d)이 있으며, 입수구와 접하는 홈의 깊이나 모양은 회동체(150)의 높이나 방향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고, 이때 생기는 공간의 크기에 따라 입수되는 물의 양이 다르거나 차단되게 된다. 또한 회동체가 움직일 때 수전 금구(100)와의 마찰이 최소화되도록 홈이 시작되는 부분부터 점차 지름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형상한다.
도 6을 참조하여 화살표 방향의 레버 움직임에 따른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레버(110)의 상하 방향 움직임에 대해 회동체(150)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다.
회동체(150)의 위쪽이나 아래쪽일수록 홈의 깊이가 깊고 넓게 형성되어 레버손잡이가 위쪽으로 올라갈수록 회동체(150)는 아래쪽으로 내려가 ①, ②, ③과 같이 입수구와 회동체 위쪽 홈(151a, 151b)과 접하는 면이 커지게 되어 입수량이 많아지게 되며, 위쪽 토수구(30a)로의 물 흐름 통로가 형성되어 물이 위쪽 토수구(30a)로 토수된다.
위와 반대로 레버손잡이가 아래로 내려갈수록 회동체(150)는 위쪽으로 올라가고 ⑤, ⑥, ⑦과 같이 입수구와 회동체 아래 홈(151c, 151d)과 접하는 면이 커지게 되어 입수량이 많아지게 되며, 아래쪽 토수구(30b)로의 물 흐름 통로가 형성되어 물은 아래쪽 토수구(30b)로 토수된다.
또 ④와 같이 레버손잡이가 중간(중립)에 위치하면, 입수구와 회동체 홈과 접하는 부분이 생기지 않아 입수가 불가능하여 토수가 차단되는 등 레버의 상하 움직임으로 토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동시에 물의 토수방향까지 결정할 수 있다.
레버(110)의 좌우 회전에 따라 회동체(150)도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다.
①, ⑤와 같이 레버(110)을 온수 입수구(20a) 방향으로 회전하면 회동체(150)도 같은 방향인 온수 입수구(20a) 방향으로 회전되어 온수 입수구(20a)와 회동체의 홈(151a 또는 151c)과 접하는 면이 크게 형성되고, 냉수 입수구(20b)와 회동체 홈(151b 또는 151d)과 만나는 면은 작게 형성되어, 냉수보다는 온수가 많이 입수되어 온도가 높은 물이 토수된다.
같은 원리로 ③, ⑦과 같이 냉수 입수구(20b) 방향으로 회전하면 냉수가 많이 입수되어 낮은 온도의 물이 토수된다
또한 ②, ⑥과 같이 레버(110)가 좌우로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같은 양의 냉수와 온수가 입수되어 중간 온도의 물이 토수된다.
상기의 내용과 같이 레버의 좌우방향에 따라 회동체의 홈(151)과 냉온수 입수구가 접하는 면의 크기가 다르며, 이에 따른 냉온수의 입수량도 다르게 되어 토수되는 물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싱글레버로 물의 양과 온도와 토수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수전은 사용자가 한번 싱글레버(110)를 움직임으로서 토수되는 물의 양과 온도 그리고 토수방향까지 3가지의 요소를 동시에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급수선택부
20 : 입수구(20a, 20b) 30 : 토수구(30a, 30b)
100 : 수전 금구 101 : 상부 캡 102 : 하부 캡
110 : 레버 111 : 레버연결부
120 : 레버연결돌기
130 : 레버고정대 131 : 레버접속부
140 : 레버고정대 레일 141 : 볼 142 : 볼 회전막음 부재
143 : 레일잠금링
150 : 회동체 151 : 회동체 홈(151a, 151b, 151c, 151d)
152 : 회동상판 153 : 오링 154 : 회동체연결부

Claims (2)

  1. 싱글레버로 물의 양과 온도와 토수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수전에 있어서,
    회동체의 위치에 따라 홈의 깊이를 다르게 하여
    회동체 상하위치에 따라 수전 금구로 유입되는 물의 양의 조절이 가능하고,
    좌우 회전방향에 따라 냉온수의 입수량을 다르게 하여 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고,
    회동체가 수전 금구내에서 아래쪽 위치시 입수구와 접하며 위쪽 토수구로 물이 흐르도록 하는 통로의 일부를 구성하고, 위쪽 위치시 입수구와 접하며 아래쪽 토수구로 물이 흐르도록 하는 통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회동체 상부와 하부에 각각 두 개씩 형상된 홈과;
    회동체가 아래로 이동시 입수구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레버부로 흐르지 못하게 차단하고, 위쪽 토수구와 연결되는 통로를 만드는 회동상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형상되는 회동체를 특징으로 하는 싱글레버로 물의 양과 온도와 토수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수전.
  2. 삭제
KR1020130042020A 2013-04-17 2013-04-17 싱글레버로 물의 양과 온도와 토수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수전 KR101325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020A KR101325293B1 (ko) 2013-04-17 2013-04-17 싱글레버로 물의 양과 온도와 토수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020A KR101325293B1 (ko) 2013-04-17 2013-04-17 싱글레버로 물의 양과 온도와 토수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수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5293B1 true KR101325293B1 (ko) 2013-11-08

Family

ID=49856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020A KR101325293B1 (ko) 2013-04-17 2013-04-17 싱글레버로 물의 양과 온도와 토수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2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2477A (ko) 2016-04-18 2016-05-12 전대연 목욕시간 및 욕조물 관리 앱 시스템
CN105927743A (zh) * 2016-06-27 2016-09-07 潘健 一种轴向直流重叠密封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65B2 (ja) * 1986-01-18 1995-01-18 ヤンマー産業株式会社 シングルレバー式切換弁付ディスク形混合栓
KR950033738U (ko) * 1994-05-10 1995-12-18 황태순 수도와샤워절환기능을갖는싱글레버식수도전
KR200311252Y1 (ko) 2003-01-17 2003-04-23 유성현 자동수압조정형 매립식 싱글레버 혼합수전
JP2005315395A (ja) 2004-04-28 2005-11-10 Kenji Takei 球形自転軸移動式弁(シングルレバー水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65B2 (ja) * 1986-01-18 1995-01-18 ヤンマー産業株式会社 シングルレバー式切換弁付ディスク形混合栓
KR950033738U (ko) * 1994-05-10 1995-12-18 황태순 수도와샤워절환기능을갖는싱글레버식수도전
KR200311252Y1 (ko) 2003-01-17 2003-04-23 유성현 자동수압조정형 매립식 싱글레버 혼합수전
JP2005315395A (ja) 2004-04-28 2005-11-10 Kenji Takei 球形自転軸移動式弁(シングルレバー水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2477A (ko) 2016-04-18 2016-05-12 전대연 목욕시간 및 욕조물 관리 앱 시스템
CN105927743A (zh) * 2016-06-27 2016-09-07 潘健 一种轴向直流重叠密封阀
CN105927743B (zh) * 2016-06-27 2018-04-03 潘健 一种轴向直流重叠密封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3049B2 (en) Shower faucet
US20120248203A1 (en) Water supply valve cartridge
US20130199632A1 (en) Balancing valve in faucet
CN104653816A (zh) 一种两进两出带水路切换功能的混水阀芯
US20130019975A1 (en) Spin controlled faucet outlet structure
US4346735A (en) Water faucet and attachment therefor
KR101325293B1 (ko) 싱글레버로 물의 양과 온도와 토수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수전
EP1922501A1 (en) Cartridge of water supply valve
ITMI20132072A1 (it) Dispositivo di erogazione con canna abbattibile
KR100797519B1 (ko) 수도 밸브 카트리지
KR101260729B1 (ko) 절수 및 에너지 절약형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
CN206419508U (zh) 一种浴缸水龙头
EP0902856B1 (en) Liquid flow control tap with inexhaustible energy-operated valve
CN204112419U (zh) 三孔式台面用水龙头
KR100828160B1 (ko) 수도꼭지
KR101496264B1 (ko) 싱글레버용 수도밸브
CN104930232A (zh) 一种涓流控制阀
CA2696106C (en) Shower faucet
CN110056676A (zh) 一种带流量控制的单把手恒温阀芯及出水龙头
CN209654670U (zh) 一种按键恒温淋浴龙头
US20110214766A1 (en) Faucet diverter device
KR200175247Y1 (ko) 수전금구 카트리지
KR200346807Y1 (ko) 원터치 레버식 냉온수 분배기
CN102606771A (zh) 翻转水嘴式龙头
CN218091085U (zh) 一种入墙式龙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