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288B1 - 소결층 통기장치 - Google Patents

소결층 통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5288B1
KR101325288B1 KR1020120075551A KR20120075551A KR101325288B1 KR 101325288 B1 KR101325288 B1 KR 101325288B1 KR 1020120075551 A KR1020120075551 A KR 1020120075551A KR 20120075551 A KR20120075551 A KR 20120075551A KR 101325288 B1 KR101325288 B1 KR 101325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tered
layer
wheel
link
venti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석
양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075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2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21/00Open or uncovered sintering apparatus; Other heat-treatment apparatus of like construction
    • F27B21/02Sintering grates or tabl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16Sintering; Agglomerating
    • C22B1/20Sintering; Agglomerating in sintering machines with movable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6Charging or discharging machines on travelling carri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2Travelling or movable supports or containers for the charge
    • F27D2003/125Charging cars, lift troll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소결대차의 통기성 개선을 가능하게 하는 소결층 통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소결층 통기장치는, 소결대차의 주행휠 통과에 따라 승강토록 제공된 작동수단; 및, 상기 작동수단과 연계되고 소결대차 진행경로의 하측에 제공되면서 선택적으로 소결대차 베드부를 관통하여, 적어도 소결원료의 용융층과 수분응축대를 통기토록 제공된 수직형 통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소결대차에서 착화되어 소결되는 장입 소결원료에서 적어도 통기성 확보가 어려운 용융층과 수분 응축대(영역)의 (집중적인) 기공을 구현하여, 통기성을 확보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를 통하여 소결품질을 향상시키고 제조 생산성 개선을 가능하게 하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소결층 통기장치{Apparatus for Improving the Permeability of Sintering Bed}
본 발명은 소결 대차에 장입된 소결원료(소결층)의 통기성 개선을 가능하게 하는 소결층 통기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소결대차 장입되고 착화되어 소결되는 소결원료에서 적어도 통기성 확보가 어려운 용융층과 수분 응축대(영역)의 집중적인 기공을 통하여, 안정적인 통기성 확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소결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제조 생산성의 개선을 가능하게 한 소결층 통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산지에서 생산된 철광석은 성분, 크기 등이 일정하지않는 등의 여러 요인으로 고로에 직접 투입할 수 없기 때문에, 철광석의 성분, 크기 등을 일정하게 처리하고 코크스 등과 혼합한 후 이를 소결시킨 소결광 등의 배합원료 형태로 고로에 장입한다.
이때, 이와 같은 소결광 생산을 위한 알려진 소결설비(100)를 도 1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결설비(100)는, 장입장치(102)(불출슈트와 로터리 불출기구 등)를 통하여, 소결원료(104)(배합원료)(소결층)가 무한궤도 형태로 연이어 이동하는 소결대차(110)에 장입되고, 장입된 소결원료(104)는 소결대차(110)가 점화로(130)를 통과하는 순간 그 표면에 착화되어 소결원료에 포함된 코크스에 점화된다.
그리고,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 주행되는 소결대차(110)의 하부에 위치한 메인 블로어(Blower)(152)와 연계된 소결대차 하부의 윈드박스(150)를 통하여 강한 공기 흡인력이 소결원료에 인가되어, 표면 측에 착화된 화기(화염)는 원료 장입층의 아래쪽, 즉 소결대차 베드부(도 2의 120)로 옮겨지면서 소결원료의 소결 작업이 수행되는 것이다.
또한, 도 2에서는 소결대차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알려진 소결대차 (110)는, 주행레일(112)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휠(114)이 양측 측벽(116)측에 각각 프레임(미부호)을 매개로 총 4개가 제공되고, 측벽 사이로 바디(118)가 연결되고, 바디 내측으로 측벽 사이에 상부광(104')이 안착 장입되는 베드부(120)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소결대차 베드부(120)는, 측벽 사이를 가로질러 다열로 제공된 인슐레이션 피스(122)사이에 폭 40mm 정도의 그레이트 바(122)들이 3열 정도로 이탈이 방지토록 제공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그레이트 바(124)의 측면에는 공기 흡인을 가능하게 하는 공극(도 6a의 '124a' 참조)들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별도의 도면부호로 나타내지 않았지만, 인슐레이션에서 이탈이 방지토록 체결되는 걸림돌턱 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그레이트 바의 공극이 협력하여 형성되는 평면상 직사각 형태의 구멍(공극들)은 5-6mm 정도로 제공되고, 따라서 도 3과 같이 베드부 상부에는 입자가 큰 상부광들을 먼저 장입시키어 안착시키고, 그 상부로 소결원료를 장입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도 1 및 도 2의 종래 소결설비(100)의 경우에는 소결대차(110)를 이용하는 경우, 실제 소결 회수율은 소결원료 중 코크스의 연소 속도와 관련되고, 코크스의 연소속도는 소결대차(110)에 장입된 소결원료를 통과하는 공기 흡인량에 영향을 받고, 이와 같은 공기 흡인량은 장입된 소결원료의 통기성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즉, 소결원료의 통기성이 적정하게 확보되지 않으면 공기 흡인이 미흡하여, 결과적으로 소결의 품질이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소결대차에 장입되고 점화후 소결되는 소결원료의 통기성 유지가 소결원료의 정상적인 소결을 수행하는 데에 중요한 인자인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소결원료의 통기성 확보를 위하여는, 종래의 경우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소결대차(110)에 소결원료(배합원료)가 장입되는 때에 수평방향으로 통기봉들이 이동하면서 소결원료의 통기성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수평 통기봉을 이용한 소결대차의 통기성 확보는, 실제로는 미흡하고, 특히 소결대차의 배드부 측의 통기성을 안정적으로 확보 가능하는 것은 어려운 것이었다.
예를 들어, 소결대차에 장입된 소결원료의 표층부에서의 수평 통기봉을 통한 통기성 확보는 어느 정도 가능하나, 소결원료의 표층부 품질은 반대로 취약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수평 통기봉을 이용하여도 실제 생산성 증대는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었다.
한편, 소결원료의 소결층에서 가장 통기가 어려운 부분은 소결대차 베드 측의 원료 용융층(도 3의 104a 참조)과 수분 응축대(도 3의 104b 참조)이고, 이부분에서의 통기성 저하로 소결광의 고품질 생산을 어렵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소결과정은 분철광석에 연료를 혼합한 소결원료(배합원료)(104)를 소결대차의 상부광 상부에 장입하고, 점화로(130)를 통하여 소결원료(104)의 표층부에 착화시키면 메인 블로워 가동시 공기 흡인이 이루어지면서 소결원료 착화부분(층)이 소결대차 베드부 측으로 이동하면서, 원료의 소성결합이 진행되는 것이다.
이때, 소결원료에는 원료의 조립과 온도 구배를 위해 수분이 대략 7.5~8.5 % 정도가 포함되어 있고, 소성이 진행됨에 따라 원료 용용층(104a)의 바로 아래 쪽에 상부에서 건조된 수분들이 응축되는 수분응축대(104b)가 형성되고, 따라서 용융층과 수분응축대에서 원료의 통기성이 가장 미흡한 부분인 것이다.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종래의 수평 통기봉 들을 이용하여서는 이와 같은 소결대차 베드측의 용융층과 수분 응축대의 통기는 불가능하고, 결국 이 부분에서의 통기성 미흡으로 인하여 소결 품질의 개선을 어렵게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당 기술분야에서는, 소결대차에 장입되고 착화되어 소결되는 소결층(원료)에서, 적어도 통기성 확보가 어려운 용융층과 수분 응축대(영역)의 (집중적인) 기공을 구현하여, 통기성을 확보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를 통하여 소결품질을 향상시키고 제조 생산성 개선을 가능하게 한 소결층 통기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요구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소결대차의 주행휠 통과에 따라 승강토록 제공된 작동수단; 및,
상기 작동수단과 연계되고 소결대차 진행경로의 하측에 제공되면서 선택적으로 소결대차 베드부를 관통하여, 적어도 소결원료의 용융층과 수분응축대를 통기토록 제공된 수직형 통기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소결층 통기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수단과 수직형 통기수단 사이에 연계되면서 작동수단의 승강에 따라 피봇을 중심으로 회동토록 제공된 링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형 통기수단에 연계되어, 통기수단과 링크수단을 통하여 작동수단을 소결대차 주행휠로 눌려지는 위치로 제어토록 제공되는 웨이트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수단은, 소결대차 주행휠이 통과하는 주행레일을 통과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면서 주행휠 통과시 하강되고, 주행휠 미접촉시 상승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재와 링크수단은 힌지수단을 매개로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일측에 상기 승강부재가 힌지수단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링크수단은, 피봇축이 관통하고 피봇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재의 타측에 힌지수단을 매개로 상기 수직형 통기수단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계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하강시 수직형 통기수단은 상승토록 구성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형 통기수단은, 상기 링크수단의 링크부재의 타측에 힌지수단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계되고 소결대차의 폭에 대응하여 신장된 승강로드; 및, 상기 승강로드 상에 수직 제공되고, 소결대차 베드부를 관통토록 제공된 복수의 통기봉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형 통기수단의 통기봉들은, 소결대차 베드부를 구성하는 그레이트 바에 형성된 공극을 수직하게 관통하여 적어도 소결원료의 융융층와 수분 응축대를 통기토록 제공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수단의 승강부재는, 소결대차 주행휠의 진행 방향으로 경사진 휠 접촉부 및, 상기 휠 접촉부에 일체로 신장되어 제공된 부재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휠 접촉부의 상단에 제공되면서 주행휠로서 눌려지되 신장된 눌림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소결대차의 장입 원료의 통기를 소결대차의 베드부 하부에서 수직 작동되는 통기봉들을 통하여 구현하기 때문에, 적어도 소결조업 중 통기성 확보가 어려운 용융층과 수분응축대(영역)의 집중기공을 통하여 안정적인 통기성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결광의 생산성과 품질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장치는 소결대차의 주행휠과 접촉하는 여부에 따라 작동이 선택적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별도의 동력 인가를 위한 구동수단이 필요하지 않고, 전반적으로 구조도 간단하여 현장 설치가 용이하고, 장치의 가동 비용도 적게 드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소결공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알려진 소결대차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결층 통기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도 3의 본 발명 장치의 통기봉들을 통한 소결원료의 융용층과 수분 응축대의 통기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 장치가 소결대차의 주행휠 이동에 따라 작동되는 상태를 각각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본 발명 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소결층 통기장치의 전체 구성(작동상태)을 도시하고 있고, 도 5에서는 본 발명 장치를 분해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 6 및 도 7에서는 소결대차의 주행휠 진행에 따른 본 발명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다만, 이하의 본 발명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기존 소결설비 즉, 소결대차 (110)와 관련된 도면부호는 도 1,2에서 설명한 100 단위의 도면부호로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결층 통기장치(1)는, 크게 소결대차의 주행휠 통과에 따라 승강토록 제공된 작동수단(10)과, 상기 작동수단(10)과 연계되고 소결대차의 하측에 제공되면서 선택적으로 소결대차 베드부(120)를 관통하여, 적어도 소결원료(104)의 용융층(104a)과 수분응축대(104b)를 통기토록 제공된 수직형 통기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 일예로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결층 통기장치(1)는, 기존에 수평 통기바들을 이용하여 주로 소결원료(104)의 표층부(상층부)를 통기하는 것과는 다르게, 소결대차(110)의 하부에서 수직하게 작동되면서, 통기 확보가 가장 어려운 소결대차(110)의 베드부(120)에 근접하여 기공을 통한 통기를 구현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통기성 확보 측면에서 그 실효성이 상당한 것이다.
그리고, 소결대차(110)의 폭 방향으로 매우 촘촘하게 통기 구멍을 형성하기 때문에, 통기성 확보를 가능하게 하고, 결국 통기 확보가 가장 어려운 소결원료 (104)의 베드부측 용융층(104a)과 수분 응축대(104b)의 통기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즉, 종래 가장 통기 확보가 어려운 소결원료 층의 통기 확보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소결품질을 매우 향상시키는 것이다.
물론,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인 소결층 통기장치의 경우에는, 그 설치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기존 설비의 구조 변경도 거의 없기 때문에, 현장 적용도 용이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소결층 통기장치(1)는,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수단(10)과 수직형 통기수단(30) 사이에 연계되면서 작동수단의 승강에 따라 피봇을 중심으로 회동토록 제공되는 링크수단(50)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링크수단(50)은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작동수단 (10)이 소결대차 주행휠(114)이 접촉하는 순간 주행휠이 완전하게 통과하기 까지 눌려지는 작동수단(10)의 하강은, 링크수단(50)을 통하여 수직형 통기수단(30)의 상승을 유도하고, 결국 통기수단(30)의 상승시 소결대차 베드부(120)의 상부에서의 기공을 통한 통기 확보가 이루어 지는 것이다.
반대로, 주행휠이 완전하게 작동수단(10)을 통과하면, 링크수단(50)은 연계된 웨이트수단(90)의 하중으로 반대로 회전되면서 작동수단(10)이 원래의 주행휠 접촉 위치로 상승되게 하고, 따라서 웨이트 수단(90)은 작동수단(10)이 상승된 상태로 유지되는 힘을 인가시킨다.
물론, 웨이트수단(90)의 중량은 주행휠(114)이 작동수단(10)위로 통과하는 경우 인가되는 하중력 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것이 필요하고, 이는 주행휠의 작동수단(10) 통과시 웨이트수단(90)과 일체로 수직형 통기수단(30)은 강제로 링크수단(50)을 매개로 상승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다음, 이와 같은 웨이트수단(90) 즉, 상기 수직형 통기수단(30)에 연계되어, 통기수단과 링크수단을 통하여 작동수단을 소결대차 주행휠로 눌려지는 위치로 제어토록 제공되는 웨이트수단(90)은,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상기 수직형 통기수단(30)의 길게 신장된 승강로드(32)에 적정하게 연결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웨이트수단(90)은 연결와이어를 매개로 승강로드(32)에 연결되는 원추형 추일 수 있다.
다음, 도면을 토대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수단들을 살펴본다.
즉, 도 3, 도 5 및 도 6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결층 통기장치(1)의 상기 작동수단(10)은, 소결대차 주행휠(114)이 통과하는 주행레일(112)의 원하는 지점에 제공된 연결블록(113)을 통과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면서 주행휠 통과시에는 눌려져 하강되고, 주행휠이 통과하여 미접촉시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웨이트수단(90)의 하중력으로 상승되는 승강부재(1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작동수단(10)의 승강부재(12)는,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결대차 주행휠(114)의 진행 역방향으로 경사진 휠 접촉부(14)와, 상기 휠 접촉부에 일체로 신장되어 제공되는 부재바디(16)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휠 접촉부(14)는 레일(112)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휠(114)이 접촉하여 주행휠의 통과중에는 눌려지므로, 주행휠의 중심선 아래로 그 상단이 배치되는 길이를 갖고, 휠이 접촉하는 면이 경사지게 만곡되어 휠 접촉시 단락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휠 접촉부와 부재바디는 일체로 주물 등으로 제작하거나 분리된 부품(요소)들을 용접 등으로 조립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휠 접촉부(14)의 길이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사실상 수직형 통기수단(30)의 상승폭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주행휠이 통과하면서 접촉하여도 부드럽게 하강하는 것에 더하여, 적당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너무 길이가 짧을 경우 통기수단의 상승 및 하강 폭이 너무 작고, 반대로 휠의 중심을 벗어나 그 이상으로 길게 되면 주행휠이 휠 접촉부를 파손시키면서 통고할 우려가 있게 된다.
이때, 도 5와 같이 상기 승강부재(12)의 부재바디(16)는 로드 형태로 제공되되, 하단은 상기 링크수단(50)과 힌지수단(70)을 매개로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승강부재(12)의 부재바디(16)의 하단에 힌지수단(70)의 수 연결부(74)가 연결되고, 반대로 링크수단(50)의 단부에 암 연결부(72)가 연결되어 힌지핀(볼트)로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승강부재(12)와 연계된 링크수단(50)은 피봇축(52)을 축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수지 운동하는 승강부재 (12)와 힌지수단(70)의 암 연결부(74)와 수 연결부(72)의 힌지축 체결부분에는 장홈을 통하여 상기 링크수단의 회동을 보상하게 하는 공간을 형성시키거나, 아니면 도 6a에서 승강부재(12)가 수직 통과하는 지지블록(13)에 공차를 두어 승강부재가 승강하되, 링크수단의 회동에 따른 원주운동을 보상하는 공차(틈새)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이와 같은 회동되는 링크수단(50)과 통기수단(30)의 연결부분에도 힌지수단(70)을 매개로 서로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되, 링크수단(50)의 회동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하는 장홈 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통기수단과 링크수단 사이에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수단 (70)도 암,수 연결부(74)(72)와 힌지축(76)을 매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신축성 연결부(주름구조, 스프링을 통하여 연결되는 구조)를 매개로 링크수단(50)의 피봇축 중심으로 한 회동에 따른 원운동의 갭을 보상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결층 통기장치(1)에서, 상기 링크수단(50)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주변 프레임(58)으로 수평 배치된 피봇축(52)이 중앙 링크(56)의 베어링 조립부분을 관통하고, 상기 중앙 링크(56)의 양측에 링크부재(54)들이 일체로 또는 조립부품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링크부재(54)들에 힌지수단(70)의 암 또는 수 연결부들이 용접 또는 볼팅 등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때, 피봇축(52)을 기점으로 수직형 통기수단(30)의 승강로드(32)와 연계되는 쪽의 링크부재(54)의 길이를 조정하면 피복축으로 원운동하는 반경이 확대되고, 결국 수직형 통기수단(50)의 상승 폭이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통기수단을 통한 수직한 기공 범위가 확장되고, 따라서 링크부재의 길이를 적정하게 하여 원하는 기공범위에서 통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승강부재(12)가 주행휠(114)이 통과하여 눌려져 강제로 하강하면, 링크수단(50)의 링크(54)들은 피봇축(52)을 축으로 회동되어, 통기수단(30)의 승강로드(32)는 승강부재의 하강과는 반대로 상승되는 것이다.
이때, 주행휠(114)이 승강부재(12)의 휠 접촉부(14)를 통과하면서 누르는 힘이 유지되는 동안에는 승강로드(32)와 일체로 웨이트수단(90)이 들려지고, 반대로 주행휠이 통과하면 눌려지는 힘이 제거되는 순간, 웨이트수단(90)의 하중이 승강로드(32)에 인가되고, 링크(54)들의 반대 회동으로 승강부재(12)는, 웨이트수단의 하중이 인가되면서 상승되어,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6a 및 도 6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동수단(10)은 주행바퀴(114)가 대차 측벽의 외곽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므로, 작동수단의 휠 접촉부가 휠에 접촉하여 승강부재가 눌려지는 간격도 일정하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소결원료의 배드부 측에 균일한 기공을 형성하고, 결국 확실한 통기성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도 3,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에서 상기 수직형 통기수단(30)은, 상기 링크수단(50)의 타측 링크(54)에 힌지수단(70)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계되고 소결대차의 폭에 대응하여 신장된 앞에서 설명한 승강로드(32)와, 상기 승강로드(32)상에 수직하게 일정한 간격 즉, 소결대차의 그레이트바(124)의 공극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을 갖도록 하여 소결대차 베드부의 그레이트 바(124)의 공극(124a)을 관통하여 그 상부의 원료층의 기공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통기봉(34)들을 포함한다.
이때, 도 3,4를 참고하고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수직형 통기수단(30)의 통기봉(34)들은, 소결대차 베드부(120)를 구성하는 그레이트 바(도 6a의 124)에 형성된 공극(도 6a의 124a)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통과하는 두께를 갖는 봉으로 제공되고, 따라서 적어도 소결원료(104)의 융융층(104a)와 수분 응축대 (104b)를 통기토록 기공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통기봉(34)들은 승강로드(32)를 따라 소결대차 그레이트 바의 공극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형성된 결함구멍(미부호)에 나사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통기봉들은 소결되는 원료층이 고온이므로, 금속봉 소재이므로 용접등으로 승강로드상에 수직하게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통기봉들이 무한정 소결원료에 상승하여 잔류하는 것은 아니고, 일정시간 통기를 위하여 상승하고, 바로 하강하므로 봉이 열에 의하여 손상되는 우려는 적다.
그리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승강로드와 힌지수단(70)을 매개로 연계되는 링크부재의 길이 조정에 따라 통기봉들의 승강폭이 조정되지만, 통기봉 자체의 길이 조정도 가능하므로, 이를 통하여 통기봉들이 소결층을 통과하여 형성되는 기공범위의 조정이 가능할 것인데, 다만 통기봉 들은 소결층이 고온이므로, 내열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 6a 및 도 6b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에서, 상기 통기수단의 통기봉(34)들은 베드부(120)의 그레이트 바(124)의 공극(124a)부분을 통하여 수직하게 관통되어야 하기 때문에, 작동부자(10)가 주행휠(114)로서 눌려지는 시간은 그레이트 바의 공극(124a)의 최대 길이 T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 실제 주행휠이 통과하면서 작동수단(10)의 승강부재(12)의 휠 접촉부가 눌려지는 시간이 크지 않기 때문에, 단지 눌려지는 시점이 그레이트 바의 공극이 형성된 범위 내에 있도록 하면 될 것이다.
물론, 작동수단(10)의 승강부재(12)의 길이와, 링크수단(50)의 통기수단측 링크(54)의 길이 등은 승강로드(32)의 상승 및 하강 폭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통기봉의 길이와 상기 승강부재의 길이와 링크(54)의 길이는 적어도 통기봉이 상승하여 소결원료의 융융층(104a)과 그 하부의 수분 응축대(104b)에는 기공을 형성하여 통기를 가능하게 하도록 미리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다음, 도 7a 및 도 7b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소결대차 주행휠(114)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눌려지는 작동수단(10)의 승강부재(12)의 상기 휠 접촉부(14)의 상단에 주행휠로서 눌려지되 신장되어 어느 정도의 길이를 갖는 눌림판(18)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눌림판(18)은 도 6의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비하여, 주행휠 (114)이 통과하는 시간이 지연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승강수단(10)->링크수단(50) ->통기수단(30)으로 이어져 최종적으로 통기봉(34)이 소결원료에 기공을 형성하면서 잔류하는 시간을 지연시키어, 도 6 보다 더 기공 형성면적을 확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물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기봉(34)들이 통과할 수 있는 부분은, 도 6a와 같이, 그레이트 바(124)의 공극(124a)의 폭(T)만큼이므로, 상기 눌림판의 길이(D)는 상기 그레이트 바의 공극의 폭을 고려하여 적정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3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소결층 통기장치(1)는, 도 1에서 점화로 (130)를 기준으로 소결 완료된 원료를 배출하는 궤도의 경우가 바뀌는 소결광 불출위치까지의 전체 길이의 50-60% 정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공기 흡인을 위한 윈드박스(150)의 일부분은 본 발명 장치의 구축을 위하여 위치 조정되거나 일부 절개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장치가 소결대차의 폭 방향으로는 길이를 갖지만, 소결대차의 진행방향으로는 크기가 크지 않는 로드, 링크 등의 조립 구조이므로, 후드사이의 공간에 설치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즉,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소결층 통기장치는 구조적으로 별도의 외부 동력 인가 없이, 웨이트수단의 하중과 주행휠의 누름력을 이용하는 간단한 구조이므로, 현장 설치나 운용이 용이하고, 비용도 크게 필요하지 않는 것이다.
1.... 소결층 통기장치 10.... 작동수단
12.... 승강부재 14.... 휠 접촉부
18.... 눌림판 30.... 수직형 통기수단
32.... 승강로드 34.... 통기봉
50.... 링크수단 70.... 힌지수단
90.... 웨이트 수단

Claims (9)

  1. 소결대차의 주행휠 통과에 따라 승강토록 제공된 작동수단(10); 및,
    상기 작동수단(10)과 연계되고 소결대차 진행경로의 하측에 제공되면서 선택적으로 소결대차 베드부(120)를 관통하여, 적어도 소결원료의 용융층과 수분응축대를 통기토록 제공된 수직형 통기수단(30);
    을 포함하여 구성된 소결층 통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10)과 수직형 통기수단(30) 사이에 연계되면서 작동수단의 승강에 따라 피봇을 중심으로 회동토록 제공된 링크수단(5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층 통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형 통기수단(30)에 연계되어, 통기수단과 링크수단을 통하여 작동수단이 통과하는 소결대차 주행휠로 눌려지는 위치로 위치 제어토록 제공되는 웨이트수단(9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층 통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10)은, 소결대차 주행휠이 통과하는 주행레일(112)을 통과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면서 주행휠 통과시 하강되고, 주행휠 미접촉시 상승되는 승강부재(12)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재와 링크수단(50)은 힌지수단(70)을 매개로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층 통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일측에 상기 승강부재가 힌지수단(70)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링크수단(50)는, 피봇축(52)이 관통하고 피봇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링크부재(54)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재의 타측에 힌지수단(70)을 매개로 상기 수직형 통기수단(30)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계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하강시 수직형 통기수단은 상승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층 통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형 통기수단(30)은, 상기 링크수단(50)의 링크부재의 타측에 힌지수단(70)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계되고 소결대차의 폭에 대응하여 신장된 승강로드(32); 및,
    상기 승강로드(32)상에 수직 제공되고, 소결대차 베드부를 관통토록 제공된 복수의 통기봉(34)들;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층 통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형 통기수단(30)의 통기봉(34)들은, 소결대차 베드부(120)를 구성하는 그레이트 바(124)에 형성된 공극(124a)을 수직하게 관통하여 적어도 소결원료(104)의 융융층(104a)와 수분 응축대(104b)를 통기토록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층 통기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10)의 승강부재(12)는, 소결대차 주행휠(112)의 진행 역방향으로 경사진 휠 접촉부(14); 및,
    상기 휠 접촉부에 일체로 신장되어 제공된 부재바디(16);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층 통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휠 접촉부(14)의 상단에 제공되면서 주행휠로서 눌려지되 신장된 눌림판(18);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층 통기장치.
KR1020120075551A 2012-07-11 2012-07-11 소결층 통기장치 KR101325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551A KR101325288B1 (ko) 2012-07-11 2012-07-11 소결층 통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551A KR101325288B1 (ko) 2012-07-11 2012-07-11 소결층 통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5288B1 true KR101325288B1 (ko) 2013-11-05

Family

ID=49856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551A KR101325288B1 (ko) 2012-07-11 2012-07-11 소결층 통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2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4022A (ja) * 1995-10-30 1997-07-15 Kawasaki Steel Corp 焼結鉱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US6312252B1 (en) * 1999-11-03 2001-11-06 Bmh Claudius Peters Gmbh Cooler for combustion products
KR20020029965A (ko) * 2000-10-16 2002-04-22 이구택 통기성을 높인 소결대차
KR100931177B1 (ko) 2002-09-26 2009-12-11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 장입층내의 통기도 균배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4022A (ja) * 1995-10-30 1997-07-15 Kawasaki Steel Corp 焼結鉱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US6312252B1 (en) * 1999-11-03 2001-11-06 Bmh Claudius Peters Gmbh Cooler for combustion products
KR20020029965A (ko) * 2000-10-16 2002-04-22 이구택 통기성을 높인 소결대차
KR100931177B1 (ko) 2002-09-26 2009-12-11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 장입층내의 통기도 균배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5288B1 (ko) 소결층 통기장치
CN205046155U (zh) 一种热处理电阻炉
CN205561549U (zh) 一种改善烧结料层透气性的装置
CN112191492A (zh) 一种矿石筛分装置
JPH09184022A (ja) 焼結鉱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CN110749196A (zh) 一种烧结机及其打孔透气装置
KR100931177B1 (ko) 소결 장입층내의 통기도 균배제어장치
CN105987612B (zh) 烧结矿温分式冷却方法、分时卸料台车及温分式卸料装置
CN103983112A (zh) 用于烧结机的传动式松料装置
CN106241809B (zh) 电石生产成套设备
CN209565655U (zh) 一种钢格板用焊接装置
KR20150047681A (ko) 개선된 펠렛타이저
KR100920623B1 (ko) 소결기의 소결대차 자동 교체장치
CN1060312A (zh) 烧结作业方法及其装置
JPH02263935A (ja) 焼結原料層の通気度制御方法
CN112577321B (zh) 一种烧结气流倾斜向下的带式抽风烧结工艺
CN105689413B (zh) 一种带保温装置的辊道
CN109443013A (zh) 一种环冷机台车篦板
CN201016567Y (zh) 烧结机铺底料用摆动漏斗
CN205466779U (zh) 一种推板窑中烧钵物料的打孔装置
CN210292756U (zh) 一种烧结砖隧道式干燥窑用干燥车
CN105799308B (zh) 一种多功能印刷生产线
CN110470142B (zh) 一种烧结机台车多种篦条布置结构
CN211664052U (zh) 一种提高干振料生产效率的装置
KR101453672B1 (ko) 무동력 그레이트바 타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