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089B1 -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검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검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5089B1
KR101325089B1 KR1020110138912A KR20110138912A KR101325089B1 KR 101325089 B1 KR101325089 B1 KR 101325089B1 KR 1020110138912 A KR1020110138912 A KR 1020110138912A KR 20110138912 A KR20110138912 A KR 20110138912A KR 101325089 B1 KR101325089 B1 KR 101325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upper wall
vehicle
housing
las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8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1607A (ko
Inventor
김병옥
양경채
엄창섭
이상록
김계현
유한규
백완기
Original Assignee
교통안전공단
주식회사 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통안전공단, 주식회사 자스텍 filed Critical 교통안전공단
Priority to KR1020110138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089B1/ko
Publication of KR20130071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2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24Wear-indicating arrangements
    • B60C11/246Tread wear monito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6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deformation of the tyre, e.g. tyre mounted deformation sensors or indirect determination of tyre deformation based on wheel speed, wheel-centre to ground distance or inclination of wheel axle
    • B60C23/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deformation of the tyre, e.g. tyre mounted deformation sensors or indirect determination of tyre deformation based on wheel speed, wheel-centre to ground distance or inclination of wheel axle by touching the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002Inspecting ty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9Testing or calibrating during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서 자동차에 대해 속도계 및 제동력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검사기기가 설치된 장소에 제공되어, 상기 자동차 타이어의 트레드 마모도를 측정할 수 있는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상기 검사기기의 롤러 부재에 안착되는 상기 자동차의 전방 및 후방 적어도 한 곳의 바닥벽에 형성한 공동 내에 설치되고, 상기 측정 장치를 수납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그 상벽의 일부가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인 상기 하우징과, 상기 측정 장치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자동차의 좌우 타이어를 향해 좌우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타이어에 대해 레이저를 조사하고 타이어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광하여, 상기 타이어의 트레드 마모도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는 레이저 센서와, 상기 레이저 센서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부 상벽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상벽을 수직으로 이동시켜 그 상벽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승강 기구와, 상기 레이저 센서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를 외부의 자동차 검사 시스템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 부재에 안착된 자동차의 제동력 및/또는 속도 시험 중에,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거나 상기 자동차 검사 시스템의 운영자가 수동으로 명령을 입력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승강 기구가 구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벽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그 상벽을 개방하고, 상기 상벽이 개방됨에 따라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레이저 센서가 상기 회전하는 좌우 타이어에 레이저를 소정 시간 조사하고 또 그 반사된 레이저를 수광하여, 상기 데이터를 취득하며, 상기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승강 기구가 구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벽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벽을 폐쇄한다.

Description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검사 시스템{APPARATUS FOR MEASURING TIRE TREAD AND AUTOMOBILE INSPE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 검사장에 설치된 자동차 검사 시스템과 연동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카센터, 타이어 검사소 등의 차대동력계가 설치 가능한 곳에 설치되어, 타이어 트레드 마모도 및 타이어의 표면 상태를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필수품으로 자리 잡은 자동차의 보급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자동차의 안전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자동차가 도로 위를 주행하고 있는 한 노면과 직접 접촉되는 타이어의 안정성 문제가 중요한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손해보험협회 자료에 따르면, 마모된 타이어로 인한 자동차 사고는 대부분 대형 교통사고로 이어지는 만큼 타이어의 상태는 자동차 안전도에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2008년 한국소비자원이 대한타이어공업협회와 공동으로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5대 대도시(서울, 대전, 광주, 대구, 부산)에서 운행중인 차량 1,051대에 대해서 타이어 마모도와 외관 상태를 확인한 결과, 345대(32.8%)가 불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동차 타이어의 교환주기가 길어 운전자가 타이어 교환주기를 쉽게 알 수 없을 뿐 아니라, 주의 깊게 살펴보지 않으면, 타이어의 이상 여부를 쉽게 알 수 없기 때문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경우, 타이어 마모한계 규제치를 1.6 mm로 설정해 놓고 있으며(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12조 참조), 미국과 유럽도 타이어 트레드 마모 한계선을 1.6 mm로 정하고 있으나, 최근 3.2 mm로 올려야 한다는 주장이 일고 있다.
이러한 타이어 마모도 측정과 관련한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등록번호 제10-224506호). 상기 장치는 레이저를 조사하고 그 레이저를 수광하여, 타이어 트레드의 깊이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별도로 타이어 검사를 위해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야 하며, 검사자의 수동 작업에 의해 측정이 이루어지고, 타이어의 편마모 상태 등 타이어의 전체 상태를 측정하지 못하고 또 타이어 검사와 관련한 객관성을 담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우리나라는 타이어의 마모도 검사를 위한 검사방법 기준이 없으며, 현재 수동 측정기를 가지고 검사원이 육안으로 살펴보았을 때 마모가 심한 부분만 검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예컨대, 도 1 참조). 그러나, 수동 측정기를 사용하게 되면, 검사기기의 영점조정상태와 측정 위치에 따라 트레드의 깊이가 달라질 수 있고 편마모 등과 같은 타이어 상태를 검사원의 개인의견에 의해 고객에게 전달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어, 객관성을 담보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한 가지 목적은 검사자의 주관적인 의견이 아니라 객관적인 데이터에 근거하여 타이어 트레드의 마모도를 측정할 수 있는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타이어 트레드의 마모도 시험을 위한 별도의 시간을 투여하거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자동차 검사장에 설치된 자동차 검사 시스템 등과 연계하여 자동으로 상기 마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타이어 트레드의 마모도 뿐만 아니라, 타이어의 편마모 등과 같이 타이어의 표면 상태 전반을 측정하여 판단할 수 있는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를 이용한 자동차 검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서 자동차에 대해 속도계 및 제동력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검사기기가 설치된 장소에 제공되어, 상기 자동차 타이어의 트레드 마모도를 측정할 수 있는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상기 검사기기의 롤러 부재에 안착되는 상기 자동차의 전방 및 후방 적어도 한 곳의 바닥벽에 형성한 공동 내에 설치되고, 상기 측정 장치를 수납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그 상벽의 일부가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인 상기 하우징과, 상기 측정 장치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자동차의 좌우 타이어를 향해 좌우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타이어에 대해 레이저를 조사하고 타이어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광하여, 상기 타이어의 트레드 마모도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는 레이저 센서와, 상기 레이저 센서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부 상벽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상벽을 수직으로 이동시켜 그 상벽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승강 기구와, 상기 레이저 센서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를 외부의 자동차 검사 시스템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 부재에 안착된 자동차의 제동력 및/또는 속도 시험 중에,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거나 상기 자동차 검사 시스템의 운영자가 수동으로 명령을 입력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승강 기구가 구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벽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그 상벽을 개방하고, 상기 상벽이 개방됨에 따라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레이저 센서가 상기 회전하는 좌우 타이어에 레이저를 소정 시간 조사하고 또 그 반사된 레이저를 수광하여, 상기 데이터를 취득하며, 상기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승강 기구가 구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벽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벽을 폐쇄한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레이저 센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벨트 구동을 위한 한 쌍의 풀리로서, 풀리 중 하나는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있는 것인 상기 풀리와, 상기 풀리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레이저 센서가 장착 부재를 매개로 부착되며, 상기 풀리가 회전됨에 따라 두 풀리 사이에서 이동하여, 상기 레이저 센서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장착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장착 부재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레이저 센서는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원활히 수평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개폐가능한 하우징 상벽의 내측면에는 상기 좌우 타이어의 형태를 촬영할 수 있는 영상 촬영부와 상기 영상 촬영부의 영상 촬영을 보조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벽이 개방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조명부가 자동으로 점등됨과 아울러 상기 영상 촬영부가 구동되어 상기 좌우 타이어를 촬영하며, 상기 촬영된 좌우 타이어 이미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검사 시스템에 전송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센서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 및 상기 영상 촬영부에 의해 촬상된 촬영 이미지는 상기 검사 시스템에서 연산 처리되어, 그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실시간 표시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데이터는 측정된 타이어 위치 및 촬영된 타이어 이미지를 보여주는 부분, 상기 레이저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각 타이어 트레드의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부분, 상기 측정 결과를 타이어 형상에 맞춰 표시하는 부분 및 상기 측정에 따른 종합 진단 내용을 표시하는 부분으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저 센서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 및 상기 영상 촬영부에 의해 촬상된 촬영 이미지를 연산 처리하여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그 결과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자동차에 대해 속도계 및 제동력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검사기기가 설치된 차량 검사장에 설치되어, 검사 장소에 입고된 차량에 대하여 검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시 및 저장하는 차량 검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자동차 타이어의 트레드 마모도를 측정할 수 있는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검사기기의 롤러 부재에 안착되는 상기 자동차의 전방 및 후방 적어도 한 곳의 바닥벽에 형성한 공동 내에 설치되고, 상기 측정 장치를 수납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그 상벽의 일부가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인 상기 하우징과, 상기 측정 장치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자동차의 좌우 타이어를 향해 좌우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타이어에 대해 레이저를 조사하고 타이어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광하여, 상기 타이어의 트레드 마모도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는 레이저 센서와, 상기 레이저 센서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부 상벽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상벽을 수직으로 이동시켜 그 상벽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승강 기구와, 상기 레이저 센서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를 외부의 자동차 검사 시스템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또한 상기 측정 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를 연산 처리하는 연산 처리부와, 상기 연산 처리부에 의해 연산 처리된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검사 시스템은, 상기 롤러 부재에 안착된 자동차의 제동력 및/또는 속도 시험 중에,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또는 상기 자동차 검사 시스템의 운영자에 의해 수동으로 명령을 상기 측정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측정 장치의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승강 기구가 구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벽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그 상벽을 개방하고, 상기 상벽이 개방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어 상기 레이저 센서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레이저 센서로부터 상기 회전하는 좌우 타이어에 레이저가 소정 시간 조사되고 또 그 반사된 레이저가 수광되어 상기 데이터를 취득하며, 상기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승강 기구가 구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벽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벽을 폐쇄한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검사 시스템은 측정된 타이어 위치 및 촬영된 타이어 이미지를 보여주는 부분, 상기 레이저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각 타이어 트레드의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부분, 상기 측정 결과를 타이어 형상에 맞춰 보여주는 부분 및 상기 측정에 따른 종합 진단 내용을 보여주는 부분으로 구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를 타이어 형상에 맞춰 보여주는 부분에는 2D 이미지화한 타이어 형상과 각 트레드의 깊이 및 편마모도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자동차에 대해 정밀검사 및 정기검사 중 적어도 하나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검사기기가 설치된 장소에 제공되어, 상기 자동차 타이어의 트레드 마모도를 측정할 수 있는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검사기기가 설치된 위치에 정차한 상기 자동차의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한 곳의 바닥벽에 형성한 공동 내에 설치되고, 상기 측정 장치를 수납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그 상벽의 일부가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인 상기 하우징과, 상기 측정 장치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자동차의 좌우 타이어를 향해 좌우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타이어에 대해 레이저를 조사하고 타이어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광하여, 상기 타이어의 트레드 마모도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는 레이저 센서와, 상기 레이저 센서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부 상벽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상벽을 수직으로 이동시켜 그 상벽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승강 기구와, 상기 레이저 센서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를 외부의 자동차 검사 시스템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차의 제동력 시험 및/또는 속도 시험 중에 또는 그 시험 전후에,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거나 상기 자동차 검사 장비의 운영자가 수동으로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검사기기에 설치된 차량의 진입 및 퇴출을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승강 기구가 구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벽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그 상벽을 개방하고, 상기 상벽이 개방됨에 따라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레이저 센서가 회전하거나 정지 상태의 좌우 타이어에 레이저를 소정 시간 조사하고 또 그 반사된 레이저를 수광하여, 상기 데이터를 취득하며, 상기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승강 기구가 구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벽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벽을 폐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는 자동차 검사소의 바닥벽에 설치되어, 검사소에 입고된 차량에 대한 속도계/제동력 시험을 수행하면서 타이어의 트레드의 마모도 및 표면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이어 트레드 마모도를 측정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나 시간을 투여할 필요가 없다. 또한, 측정 장치가 검사 시스템과 연동하여 동작하며, 측정 결과가 검사 시스템으로 유무선 전송되어 실시간 표시됨으로써, 검사자의 주관적 의견에 의존하는 일 없이 타이어 상태에 대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제시할 수 있어, 타이어와 관련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수동 게이지를 이용하여 타이어 트레드 깊이를 측정하는 양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라 자동차 검사소 바닥벽에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를 설치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의 하우징 구조 및 그 하우징에 수납된 구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구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승강 기구에 의해 하우징의 상벽 일부를 개폐시키는 구성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 상벽 내측면에 설치된 영상촬영부 및 조명장치의 설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라,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 및 제동력 검사 시험 중 타이어 트레드 측정 과정 및 그 결과를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도 9는 자동차 검사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타이어 측정 결과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표시되는 타이어 측정 결과를 각 표시 부분마다 구분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당업계에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설명을 생략하더라도, 당업자라면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이나 효과 등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는 자동차 검사소의 바닥에 매립되어 설치된다. 즉, 타이어 트레드만을 별도로 측정하는 작업과 시간을 생략하기 위하여, 자동차는 통상적으로 자동차 검사소에서 제동력 검사 등의 시험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상기 측정 장치를 자동차 검사소의 바닥에 매립하여 설치한다. 이러한 설치의 한 가지 양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국내 자동차 검사제도는 크게 국토해양부 주관 자동차관리법에 따른 자동차 정기검사와 환경부 주관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른 운행차 정밀검사로 크게 구분된다. 최근에는 운행자의 불편 등을 초래한다는 이유로 상기 2개의 검사를 통합하여, "종합검사"라는 명칭으로 법규가 개정되어 실행되고 있다.
자동차의 정기검사시 검사 항목으로는 크게 자동차의 안전에 관련된 항목, 예컨대 사이드 슬립, 제동력, 속도계 시험, 전조등 시험 등을 하고, 또 부수적으로 무부하 상태의 배출가스 검사를 진행한다.
상기 검사를 위한 장비에서, 제동력 시험기와 속도계 시험기는 형태나 구조(롤러, 플레임, 리프터 등)가 유사하여 두 가지 제품을 복합적으로 개발한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즉 제동력 시험기(Brake Tester)와 속도계 시험기(Speed Meter Tester)를 통합한 BS 복합검사기기(차대동력계)가 90년대 이후 활성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2에 부분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검사기기는 차량의 타이어가 올라탈 수 있는 롤러 부재를 포함하며, 이 롤러 부재 상에 타이어가 안착된 상태에서 자동차를 구동하여 타이어를 회전시키면서 제동력이나 속도 시험 등을 수행한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는 이러한 제동력 또는 속도 시험 중에, 즉 타이어가 회전하는 중에 타이어 상태를 측정하여, 트레드의 마모 상태, 편마모와 같은 타이어 표면의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취득하여, 상기 상태를 판단하여 표시한다. 상기 측정된 데이터는 모두 상기 자동차 검사소에 설치된 자동차 검사 시스템으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송신되어, 상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다른 데이터(예컨대, 속도/제동력 시험 결과)와 함께 또는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다. 이에 따라, 타이어 트레드를 측정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나 시간을 투여할 필요 없이, 단순히 자동차의 제동력 또는 속도 시험과 동시에 타이어 트레드의 마모 상태 등을 측정함과 아울러, 저장/표시할 수 있어서,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시험과 관련한 신뢰성/적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A)를 수납하는 하우징(10)의 외관 및 그 하우징에 수납되어 있는 상기 측정 장치의 구동부를 보여준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 생략한 제어부(C)가 상기 하우징의 격실에 수납되어, 자동차 검사 시스템(S)과 연계 동작하여, 상기 측정 장치의 제반 동작을 제어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은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형의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있으며, 그 측벽과 바닥벽이 자동차 검사소의 바닥에 마련한 공동에 설치되어 고정된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은 자동차의 제동력 및 속도를 시험할 수 있는 검사기기에 올라타는 자동차의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한 곳의 바닥벽에 마련한 공동 내에 고정 설치되어,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측정 장치(A)가 제동력/속도 시험 중에 회전하는 타이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타이어 표면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하여, 상기 시스템(S)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상기 하우징은 자동차 검사소의 바닥벽에 매립되어 설치되어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우징을 이동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측정 장치를 자동차 검사소와 같은 특정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하여, 검사 시스템 등의 장비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빠른 자동차 검사 등을 위해 하우징(10)을 검사소의 바닥벽에 매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상벽 중 일부 상벽(12)이 승강기구(90)에 의해 상하 이동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제동력/속도 시험 중에, 미리 정해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또는 검사 시스템의 운영자가 수동으로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C)의 제어 하에 승강 기구(90)가 구동하여, 그 승강 기구의 실린더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일부 상벽(12)이 상측으로 개방된다. 상벽(12)이 개방됨에 따라, 레이저 센서(60)에 의한 타이어 트레드 측정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벽에 설치된 조명 장치(80)가 점등되고 영상 촬영부(70)가 구동되어, 타이어 표면 상태를 촬영하게 된다. 모든 작업이 종료되면, 승강 기구(90)에 의해 실린더가 하강하여 상벽(12)이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하우징(10)은 다시 그 초기 상태, 즉 폐쇄 상태가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 형태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측정장치의 구동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정 장치의 구동부, 즉 좌우측의 타이어에 레이저를 조사하기 위한 레이저 센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는 크게 모터(20), 기어 풀리(pulley)(30), 타이밍 벨트(TB), 가이드 브라켓(40) 및 가이드 부재(50)를 포함한다. 레이저 센서(60)는 센서 브라켓(62)을 매개로 타이밍 벨트(TB)에 부착되어, 타이밍 벨트가 이동함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센서 브라켓(62)을 매개로 타이밍 벨트(TB)에 레이저 센서(60)를 부착하였다 하더라도, 타이밍 벨트 이동시 (흔들림 등으로 인하여) 레이저 센서(60)가 정확히 수평으로 이동하기가 곤란할 수가 있다. 따라서, 레이저 센서(60)의 정확한 수평 이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부재(50)가 제공된다. 즉, 가이드 부재(50)는 가이드 브라켓(40)을 매개로 하여, 하우징(10)의 내벽(도 3에서 도면 안쪽의 하우징 내벽)에 장착된다. 이어서, 도시 생략한 추가의 연결 부재를 센서 브라켓(62)에 연결하고, 상기 연결 부재가 상기 가이드 부재(5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부재(50)에 설치하면, 타이밍 벨트(TB) 이동시 레이저 센서(60)가 상기 가이드 부재(50)를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정확한 수평 이동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레이저 센서(6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벽(12)이 개방된 경우, 타이어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도록 그 위치(각도)가 조절되어 설치된다.
모터(20)는 레이저 센서(6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부재이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정밀한 센서 이동을 위하여 스텝 모터(stepping motor)를 이용한다. 기어 풀리(30)는 타이밍 벨트 구동을 위한 요소로서, 타이밍 벨트(TB)가 기어 풀리(30) 사이에 장착되어, 모터(20)가 구동되면, 그 모터와 연결된 하나의 기어 풀리(30)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타이밍 벨트(TB)가 순환 이동한다. 이에 따라, 센서 브라켓(62)을 매개로 타이밍 벨트(TB)에 부착된 레이저 센서(60)가 그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이동(좌우 이동)함으로써, 제동력/속도 시험 검사기기에 안착되어 회전 구동하는 자동차의 좌우 타이어에 레이저를 조사하고, 타이어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광하여, 타이어 트레드의 마모 정도를 측정한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레이저 센서(60)는 레이저 변위 센서로서, 레이저를 특정 표면에 조사하여 반사된 레이저 광을 수신하여, 거리를 구하는 기술 내지는 원리 자체는 이미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레이저 센서(60)의 동작 원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 트레드 마모 정도 뿐만 아니라, 타이어의 편마모와 같은 타이어 표면 상태를 객관적으로 자동차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수단이 제공된다. 즉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벽(12)의 안쪽에는 영상 촬영부, 즉 카메라(70)와 좌우의 조명장치(8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벽(12)이 개방되면, 자동으로 조명장치(80)가 점등됨과 아울러, 카메라(70)가 구동되어, 자동차의 좌우 타이어를 촬영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레이저 센서(60)에 의해 타이어 트레드가 측정됨과 아울러, 해당 타이어의 이미지가 촬영되어, 타이어 트레드의 결과와 함께 편마모 등이 문제가 된 타이어의 이미지를 함께 자동차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다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2. 실시예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자동차 검사를 위해 자동차 검사소에 입고된 자동차는 제동력/속도 시험 검사장치의 롤러 부재 위에 안착된다. 이후, 사이드 슬립 검사, FA 축중 검사, FA 속도계 검사, FA 제동력 검사 등의 각종 검사를 수행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속도계 검사 및 제동력 검사와 동시에 타이어 트레드 마모도 및 편마모 등의 검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구동축의 경우에는 속도계 검사시 비 구동축의 경우에는 제동력 검사 시 측정을 수행한다(도 2는 구동축 타이어 트레드 측정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동력/속도 시험 검사장치의 롤러 부재 위에 자동차를 안착시킨 후, 엔진을 구동하면, 타이어가 회전된다. 타이어가 회전된 후, 미리 정해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검사 시스템에서는 소정의 명령을 본 발명의 측정 장치로 동작 명령을 전송하게 되고(또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검사원이 상기 시스템을 통해 소정의 명령을 입력하여도 좋다), 이 명령이 통신 인터페이스(IF)를 통해 수신된다. 다음에, 제어부(C)의 제어 하에, 승강기구(90)가 구동되어, 승강기구의 실린더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실린더에 연결되어 있는 하우징 상벽(12)이 개방된다.
상벽이 개방되면, 제어부(C)의 제어 하에 모터(20)가 구동되어, 타이밍 벨트(TB)가 기어 풀리(30)를 매개로 이동하게 된다. 타이밍 벨트가 이동함에 따라, 그에 부착된 레이저 센서(60)가 가이드 부재(50)를 따라 수평 방향(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하고 있는 타이어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고, 그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 광을 수신하여, 타이어 표면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취득된 데이터는 통신 인터페이스(IF)를 통해 자동차 종합 검사 시스템(S)으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송되고, 검사 시스템(S)은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타이어 트레드의 높낮이(마모도)를 연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레이저 변위 센서를 이용하여, 거리(본 발명의 경우, 트레드 높이)를 측정하는 기술 자체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검사 시스템(S)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타이어 트레드의 마모도를 연산하는 방식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과정에 따라, 타이어 마모드를 측정하는 과정 및 완료된 결과는 실시간으로 검사 시스템(S)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확인할 수가 있도록 구성된다(도 8 참조). 도 8의 (a) 및 (b)는 각각 속도계 검사 및 제동력 검사 중 상기 과정에 따라 타이어 마모를 측정하는 동안의 화면을 보여주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a)의 속도계 시험 중 소정 속도(예컨대, 40 km/h)를 9초 정도 유지하면, 타이어 트레드 측정을 진행하고, 도 8(b)의 비 구동축의 경우, 제동력 검사시 예컨대, 제동력 모터를 6 rpm(0.24 km/h)으로 타이어를 회전시키면서, 약 9초간 타이어 트레드 측정을 진행한다. 한편, 도 8의 (c)는 타이어 트레드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화면의 한 가지 예이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타이어 트레드만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객관적인 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각 타이어를 촬영하여 수검자가 타이어 측정 결과를 납득할 수 있도록 해준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상벽(12)이 개방됨에 따라, 제어부(C)의 제어하에, 레이저 센서에 의한 타이어 트레드 데이터 취득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벽이 개방되면, 조명장치(80)가 제어부(C)의 제어하에 자동으로 점등됨과 아울러, 영상촬영부(70)가 구동되어, 좌우 타이어를 촬영한다. 즉 타이어 형상 촬영과 관련하여, 자동차로 인한 음영이 생길 수 있고, 이 경우 트레드의 형상이 보이지 않으므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조명 장치(80)를 설치하여, 이러한 음영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 촬영부(70)에 의해 촬상된 이미지 데이터는 제어부(C)의 제어하에, 통신 인터페이스(IF)를 통해, 자동차 검사 시스템(S)으로 전송되고, 검사 시스템에서는 상기 수신된 타이어 트레드 데이터 및 이미지 데이터를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함과 아울러,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은 검사표도 출력하여, 검사자 및 수검원에게 표시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측정장치(A)를 이용하여 타이어 트레드의 마모 측정을 수행한 결과는 크게 4가지 부분으로 구분되어, 검사자나 수검원(운전자)에게 제공된다. 즉, 타이어 마모 측정 결과는 측정된 타이어 위치 및 타이어 상태를 보여주는 결과표 부분(도 9 및 도 10의 좌측 상단 참조), 각 타이어에 대한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결과표 부분(도 9 및 도 10의 우측 상단 참조), 타이어 형상 표시 결과표 부분(도 9 및 도 10의 좌측 중단 참조), 검사 차량 제원 표시 부분(도 9 및 도 10의 우측 중단 참조), 그리고 종합 진단 내용 표시 부분(도 9 및 도 10의 하단 참조)을 포함한다.
측정 타이어 위치 및 타이어 상태를 보여주는 결과표 부분은 자동차의 타이어 중 측정된 타이어를 나타냄과 아울러, 해당 타이어의 촬영된 이미지를 표시하여 줌으로써, 수검자의 이해를 돕고 아울러 객관적인 데이터를 제공한다.
각 타이어에 대한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결과표 부분은 측정된 각 타이어에 대한 최대/최소 트레드 깊이 및 타이어 폭, 편마모를 mm 및 %로 표시한다.
타이어 형상 표시 결과표 부분은 측정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도시한 것과 같이 타이어 형상을 2D 이미지화하여 나타낸다. 이때, 타이어의 형상 이미지에 각 트레드의 깊이(mm)도 표시하여 주고, 또 편마모를 계산하여 함께 표시하여 준다. 도 10에 도시한 예에서, "좌 1.8%"는 편마모가 좌측으로 1.8% 발생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편마모율은 하기 식에 따라 계산된다.
편마모율 = (우측 면적 - 좌측 면적)/전체 면적 × 100
또한, 검사 차량에 대한 기본적인 연식 및 주행거리, 구동방식에 대한 제원을 표시하여 차량 상태에 대한 기본 내용을 수검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종합 진단 내용이 표시되는데, 이는 검사차량의 타이어 상태에 대한 종합적인 진단 내용을 표시하고 타이어 교환 시기 등에 대한 정보를 수검자에게 제시하여 준다. 이러한 종합 진단 내용에는 운전석 방향 및 종합 진단 시 기준이 되는 마모한계 규제치, 편마모, 좌우 타이어폭 편차 등을 표시하여, 수검자에게 안전기준치를 보여주는 항목, 타이어의 평균 마모상태를 최상(예컨대, 6 mm 이상), 양호(3.2 mm 이상), 최소(1.6 mm 이상), 점검(3.2 mm 이상), 교체(1.6 mm) 미만으로 나타내고, 편마모 상태를 최상(1% 이상), 양호(3% 이상), 최소(10% 이상), 점검(5% 이상), 교체(15% 미만)으로 나타내고 또 좌우 타이어폭 편차를 통해 타이어 공기압 등의 점검 필요여부를 나타내는 항목, 현재 측정된 결과값을 토대로 해당 타이어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운행시 주행 가능한 거리를 예측하여 수검자에게 타이어 교환시기를 예측하여 주는 항목(예컨대, 주행거리는 (측정된 트레드-1.6 mm(마모 한계선))×10,000 km 식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존 검사 방식, 예컨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동 게이지를 이용하여 검사를 진행하는 경우, 각 트레드마다 검사를 하는 것이 아니라 편마모가 심한 부분만 측정하기 때문에, 수검자는 자신의 차량의 타이어에 대한 전반적인 부분을 검사원의 의견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 검사시 타이어의 상태를 동시에 측정하게 되고 또 이러한 데이터를 촬상 이미지와 함께 표시하여 주기 때문에, 보다 객관적인 데이터에 근거하여 타이어 상태를 파악할 수가 있어, 검사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3. 변형예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측정 장치를 자동차 검사소의 속도/제동력 시험 검사기기(예컨대, 차대동력계)의 롤러 부재 전후방의 바닥벽에 설치함과 아울러, 자동차 검사소의 자동차 검사 시스템과 연동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예컨대, 차대동력계가 설치된 장소, 예컨대, 카센터, 타이어 검사소 등의 바닥벽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는 차대동력계뿐만 아니라, ABS 장비, 쇽업쇼바와 같이 정밀검사 장비 외의 정기검사 장비가 설치된 장소에 설치되어 운영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측정 장치의 제어부(C)가 레이저 조사 장치에 의해 취득된 처리를 자체적으로 처리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는 레이저 센서(60)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가 단지 제어부(C)의 제어 하에, 통신 인터페이스(IF)를 통해 검사 시스템(S)으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되고,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검사 시스템에서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여 타이어 트레드를 산출함과 아울러, 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이미지도 수신하여, 상기 타이어 트레드 측정 결과와 함께 표시하고 또 각종 결과를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였다. 그러나, 자동차 검사소가 아닌 카센터 등에서는 상기와 같은 처리를 위한 별도의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자동차 검사소가 아닌 장소에 본 발명의 측정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C)가 검사 시스템의 처리에 해당하는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하여, 단지 카센터 등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각종 결과를 표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통신 인터페이스와 관련하여 RS232를 설명하였지만, 이는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을 지원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도 있고 또는 LAN을 지원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동력 및/또는 속도계 시험 중에 타이어 트레드를 측정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의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는 제동력 검사 중에 또는 그 시험 전후에 타이어 트레드를 측정할 수도 있고, 속도계 시험 중에 또는 그 시험 전후에 타이어 트레드를 측정할 수도 있으며, 또 쇽업 쇼바 시험기 검사 전후에도 타이어 트레드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타이어가 회전하고 있지 않아, 상기 실시예와 달리 타이어 전체가 아니라, 타이어 일부에 대해서만 타이어 트레드 및 표면 상태를 측정 및 촬영할 수 있어서,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데이터가 부족할 수도 있지만, 타이어 트레드 및 표면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미리정해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거나 시스템 운영자가 수동으로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C)의 제어하에 승강 기구가 구동하여, 일련의 절차가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타이어 트레드 측정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에는 그 측정장치뿐만 아니라, 상기한 바와 같이, 차대동력계, ABS 장비 등이 갖추어져 있다. 이때, 차량의 진입 및/또는 퇴출을 검지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그 센서에 의해 차량의 진입 등이 검출되면, 그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부(C)의 제어하에 승강 기구가 구동하여, 상기 일련의 데이터 취득 절차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상기 실시예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으며, 이들 역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A: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
10: 하우징:
12: (개폐 가능한) 일부 상벽
20: 모터
30: 기어 풀리
TB: 타이밍 벨트
50: 가이드 부재
60: 레이저 센서
70: 영상 촬영부(카메라)
80: 조명 장치
90: 승강 기구

Claims (20)

  1. 자동차에 대해 속도계 및 제동력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검사기기가 설치된 장소에 제공되어, 상기 자동차의 좌우 타이어의 트레드 마모도를 측정할 수 있는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로서,
    상기 검사기기의 롤러 부재에 안착되는 상기 자동차의 전방 및 후방 적어도 한 곳의 바닥벽에 형성한 공동 내에 설치되고, 상기 측정 장치를 수납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그 상벽의 일부가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인 상기 하우징과,
    상기 측정 장치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자동차의 좌우 타이어를 향해 좌우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타이어에 대해 레이저를 조사하고 타이어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광하여, 상기 타이어의 트레드 마모도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는 레이저 센서와,
    상기 레이저 센서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부 상벽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상벽을 수직으로 이동시켜 그 상벽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승강 기구와,
    상기 레이저 센서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를 외부의 자동차 검사 시스템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부재에 안착된 자동차의 제동력 및/또는 속도 시험 중에,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거나 상기 자동차 검사 시스템의 운영자가 수동으로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승강 기구가 구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벽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그 상벽을 개방하고, 상기 상벽이 개방됨에 따라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레이저 센서가 회전하는 상기 자동차의 좌우 타이어에 레이저를 소정 시간 조사하고 또 그 반사된 레이저를 수광하여, 상기 데이터를 취득하며, 상기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승강 기구가 구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벽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벽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레이저 센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벨트 구동을 위한 한 쌍의 풀리로서, 풀리 중 하나는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있는 것인 상기 풀리와,
    상기 풀리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레이저 센서가 장착 부재를 매개로 부착되며, 상기 풀리가 회전됨에 따라 두 풀리 사이에서 이동하여, 상기 레이저 센서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벨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장착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장착 부재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레이저 센서는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원활히 수평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가능한 하우징 상벽의 내측면에는 상기 좌우 타이어의 형태를 촬영할 수 있는 영상 촬영부와 상기 영상 촬영부의 영상 촬영을 보조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벽이 개방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조명부가 자동으로 점등됨과 아울러 상기 영상 촬영부가 구동되어 상기 좌우 타이어를 촬영하며, 상기 촬영된 좌우 타이어 이미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자동차 검사 시스템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센서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 및 상기 영상 촬영부에 의해 촬상된 촬영 이미지는 상기 자동차 검사 시스템에서 연산 처리되어, 상기 자동차 검사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실시간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데이터는 측정된 타이어 위치 및 촬영된 타이어 이미지를 보여주는 부분, 상기 레이저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각 타이어 트레드의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부분, 상기 측정 결과를 타이어 형상에 맞춰 표시하는 부분 및 상기 측정에 따른 종합 진단 내용을 표시하는 부분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저 센서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 및 상기 영상 촬영부에 의해 촬상된 촬영 이미지를 연산 처리하여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그 결과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
  8. 자동차에 대해 속도계 및 제동력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검사기기가 설치된 자동차 검사장에 설치되어, 검사 장소에 입고된 차량에 대하여 검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시 및 저장하는 자동차 검사 시스템으로서,
    상기 자동차의 좌우 타이어의 트레드 마모도를 측정할 수 있는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로서, 상기 검사기기의 롤러 부재에 안착되는 상기 자동차의 전방 및 후방 적어도 한 곳의 바닥벽에 형성한 공동 내에 설치되고, 상기 측정 장치를 수납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그 상벽의 일부가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인 상기 하우징과, 상기 측정 장치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자동차의 좌우 타이어를 향해 좌우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타이어에 대해 레이저를 조사하고 타이어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광하여, 상기 타이어의 트레드 마모도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는 레이저 센서와, 상기 레이저 센서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부 상벽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상벽을 수직으로 이동시켜 그 상벽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승강 기구와, 상기 레이저 센서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를 외부의 자동차 검사 시스템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와,
    상기 측정 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를 연산 처리하는 연산 처리부와,
    상기 연산 처리부에 의해 연산 처리된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차 검사 시스템은, 상기 롤러 부재에 안착된 자동차의 제동력 및/또는 속도 시험 중에,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또는 상기 자동차 검사 시스템의 운영자에 의해 수동으로 명령을 상기 측정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측정 장치의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승강 기구가 구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벽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그 상벽을 개방하고, 상기 상벽이 개방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어 상기 레이저 센서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레이저 센서로부터 회전하는 상기 자동차의 좌우 타이어에 레이저가 소정 시간 조사되고 또 그 반사된 레이저가 수광되어 상기 데이터를 취득하며, 상기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승강 기구가 구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벽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벽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검사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레이저 센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벨트 구동을 위한 한 쌍의 풀리로서, 풀리 중 하나는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있는 것인 상기 풀리와,
    상기 풀리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레이저 센서가 장착 부재를 매개로 부착되며, 상기 풀리가 회전됨에 따라 두 풀리 사이에서 이동하여, 상기 레이저 센서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벨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검사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장착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장착 부재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레이저 센서는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원활히 수평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검사 시스템.
  11.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가능한 하우징 상벽의 내측면에는 상기 좌우 타이어의 형태를 촬영할 수 있는 영상 촬영부와 상기 영상 촬영부의 영상 촬영을 보조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벽이 개방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조명부가 자동으로 점등됨과 아울러 상기 영상 촬영부가 구동되어 상기 좌우 타이어를 촬영하며, 상기 촬영된 좌우 타이어 이미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자동차 검사 시스템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검사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검사 시스템은 상기 레이저 센서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 및 상기 영상 촬영부에 의해 촬상된 촬영 이미지를 연산 처리하여, 상기 자동차 검사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실시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검사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검사 시스템은 측정된 타이어 위치 및 촬영된 타이어 이미지를 보여주는 부분, 상기 레이저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각 타이어 트레드의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부분, 상기 측정 결과를 타이어 형상에 맞춰 보여주는 부분 및 상기 측정에 따른 종합 진단 내용을 보여주는 부분으로 구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검사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를 타이어 형상에 맞춰 보여주는 부분에는 2D 이미지화한 타이어 형상과 각 트레드의 깊이 및 편마모도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검사 시스템.
  15. 자동차에 대해 정밀검사 및 정기검사 중 적어도 하나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검사기기가 설치된 장소에 제공되어, 상기 자동차 타이어의 트레드 마모도를 측정할 수 있는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로서,
    상기 검사기기가 설치된 위치에 정차한 상기 자동차의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한 곳의 바닥벽에 형성한 공동 내에 설치되고, 상기 측정 장치를 수납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그 상벽의 일부가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인 상기 하우징과,
    상기 측정 장치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자동차의 좌우 타이어를 향해 좌우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타이어에 대해 레이저를 조사하고 타이어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광하여, 상기 타이어의 트레드 마모도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는 레이저 센서와,
    상기 레이저 센서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부 상벽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상벽을 수직으로 이동시켜 그 상벽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승강 기구와,
    상기 레이저 센서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를 외부의 자동차 검사 시스템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차의 제동력 시험 및/또는 속도 시험 중에 또는 그 시험 전후에,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거나 상기 자동차 검사 장비의 운영자가 수동으로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검사기기에 설치된 자동차의 진입 및 퇴출을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승강 기구가 구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벽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그 상벽을 개방하고, 상기 상벽이 개방됨에 따라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레이저 센서가 회전하거나 정지 상태의 좌우 타이어에 레이저를 소정 시간 조사하고 또 그 반사된 레이저를 수광하여, 상기 데이터를 취득하며, 상기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승강 기구가 구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벽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벽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레이저 센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벨트 구동을 위한 한 쌍의 풀리로서, 풀리 중 하나는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있는 것인 상기 풀리와,
    상기 풀리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레이저 센서가 장착 부재를 매개로 부착되며, 상기 풀리가 회전됨에 따라 두 풀리 사이에서 이동하여, 상기 레이저 센서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벨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장착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장착 부재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레이저 센서는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원활히 수평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
  18.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가능한 하우징 상벽의 내측면에는 상기 좌우 타이어의 형태를 촬영할 수 있는 영상 촬영부와 상기 영상 촬영부의 영상 촬영을 보조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벽이 개방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조명부가 자동으로 점등됨과 아울러 상기 영상 촬영부가 구동되어 상기 좌우 타이어를 촬영하며, 상기 촬영된 좌우 타이어 이미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자동차 검사 시스템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센서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 및 상기 영상 촬영부에 의해 촬상된 촬영 이미지는 상기 자동차 검사 시스템에서 연산 처리되어, 상기 자동차 검사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실시간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저 센서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 및 상기 영상 촬영부에 의해 촬상된 촬영 이미지를 연산 처리하여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그 결과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
KR1020110138912A 2011-12-21 2011-12-21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검사 시스템 KR101325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912A KR101325089B1 (ko) 2011-12-21 2011-12-21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검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912A KR101325089B1 (ko) 2011-12-21 2011-12-21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검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607A KR20130071607A (ko) 2013-07-01
KR101325089B1 true KR101325089B1 (ko) 2013-11-20

Family

ID=48986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8912A KR101325089B1 (ko) 2011-12-21 2011-12-21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검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0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7074A (ko) 2021-09-08 2023-03-16 주식회사 아이엑스 핸디형의 타이어 마모 측정 및 타이어 상태 진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4390A1 (en) * 2017-10-26 2019-05-02 Tire Profiles, Llc BRAKE TESTER COMPRISING A TIRE BEARING PROFILE MEASUREMENT ACCESSOR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9253A (ko) * 1997-12-12 1999-07-05 홍건희 회전하는 타이어의 트레드 프로파일 측정방법
KR20030061496A (ko) * 2002-01-14 2003-07-22 금호산업주식회사 반사판을 이용한 휴대용 트레드웨어 측정장치
KR20080053975A (ko) * 2006-12-12 2008-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타이어마모 및 차량쏠림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77812A (ko) * 2007-02-21 2008-08-26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라인 스캐너를 이용한 타이어 트레드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9253A (ko) * 1997-12-12 1999-07-05 홍건희 회전하는 타이어의 트레드 프로파일 측정방법
KR20030061496A (ko) * 2002-01-14 2003-07-22 금호산업주식회사 반사판을 이용한 휴대용 트레드웨어 측정장치
KR20080053975A (ko) * 2006-12-12 2008-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타이어마모 및 차량쏠림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77812A (ko) * 2007-02-21 2008-08-26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라인 스캐너를 이용한 타이어 트레드 측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7074A (ko) 2021-09-08 2023-03-16 주식회사 아이엑스 핸디형의 타이어 마모 측정 및 타이어 상태 진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607A (ko) 201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8439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distances on a vehicle
CN106864178B (zh) 一种新型轮胎安全监测装置
KR20170075749A (ko) 전술적 모바일 감시 시스템
KR101510338B1 (ko) 차량용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의 검사 장치
CN105092258B (zh) 道路行驶试验装置
US201402888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pneumatic pressure state of vehicle tires
CN106143530B (zh) 用于悬挂式单轨交通系统箱型轨道梁的巡检小车
CN107367228A (zh) 用于分析和检测物体几何特征的设备和方法
KR101325089B1 (ko) 타이어 트레드 측정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검사 시스템
KR20130134394A (ko) 타이어 트레드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20190123431A (ko) 차량 쏠림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JP2013235341A (ja) 疲労確認装置
KR20190088302A (ko) 자동차 타이어 모니터링 장치
JP4162375B2 (ja) 車両安全運行管理装置
KR102335117B1 (ko) 타이어 마모 측정 및 타이어 상태 진단 장치
CN111696088A (zh) 轮胎的安全检测方法、系统及汽车
KR20120082749A (ko) 열화상을 이용한 복합재료 휠의 평가 장치 및 방법
CN104266785B (zh) 踏板力检测仪
JP2009208561A (ja) 運転者撮像システムおよび運転者撮像方法
KR101463797B1 (ko) 철도차량의 주행소음을 이용한 선로 진단 방법 및 장치
CN205468333U (zh) 一种轮胎安全监测装置
KR101513369B1 (ko) 축간거리 자동 조정장치를 구비한 하이브리드형 차량 검사 장치
CN209706944U (zh) 一种行人警示声音警示距离测试装置
KR20230059365A (ko) 다관절로봇형 교량하부 점검장치
CN209257993U (zh) 外后视镜关闭提醒装置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