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537B1 - 창문 개방용 지지구 - Google Patents

창문 개방용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537B1
KR101324537B1 KR1020130097898A KR20130097898A KR101324537B1 KR 101324537 B1 KR101324537 B1 KR 101324537B1 KR 1020130097898 A KR1020130097898 A KR 1020130097898A KR 20130097898 A KR20130097898 A KR 20130097898A KR 101324537 B1 KR101324537 B1 KR 101324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upport
support bar
frame
suppor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7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근
Original Assignee
박병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근 filed Critical 박병근
Priority to KR1020130097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5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54Portable devices, e.g. wedges; wedges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6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부 개방된 창문이 열려진 폭을 계속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창문의 열려진 폭을 조절하여 실내 공간으로의 침입이 불가능하도록 방범 기능이 구비된 창문 개방용 지지구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창문 개방용 지지구는 창틀과 창틀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창 및 외측창으로 구성된 창문에서 내측창을 일정 폭 개방되게 유지하는 창문 개방용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창문 개방용 지지구는, 양측이 개방된 관 형상으로 일측 단부가 외측창 측의 창틀 수직프레임 내측을 지지하는 지지구 본체; 상기 지지구 본체의 타측 단부로 후단이 삽입되고 전단이 지지구 본체 외측으로 돌출되어 내측창 수직프레임 외측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바; 상기 지지구 본체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지지구 본체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형성된 원통 형상의 위치조절관; 및 상기 위치조절관 후방 측면에 돌출 형성된 것으로 위치조절관의 회전에 따라 외측창 수직프레임 내측을 지지하는 걸림판; 으로 구성되되, 상기 위치조절관에는 위치조절관의 회전에 따라 제1지지바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문 개방용 지지구{Window support for door opening}
본 발명은 일부 개방된 창문이 열려진 폭을 계속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창문의 열려진 폭을 조절하여 실내 공간으로의 침입이 불가능하도록 방범 기능이 구비된 창문 개방용 지지구에 대한 것이다.
창문은 건축물의 벽면 또는 지붕에 설치되는 개구부로, 채광, 환기, 실내 냉난방 조절 등 다양한 목적으로 건축물에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특히, 여름철 더위 또는 실내 공기 환기를 위하여 베란다 창문을 비롯한 주거용 또는 사무용 공간 등의 창문을 일부 개방하여 두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창문의 열린 틈새를 통하여 외부인이 실내 공간으로 침입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바, 종래에는 창틀과 일측 창문 프레임 사이에 소정 길이의 막대를 걸쳐놓아 외부에서 창문이 열린 너비를 확장하려는 시도를 방지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타측 창문 프레임에 잠금장치가 걸려있지 않은 경우 오히려 타측 창문을 개방하여 실내 공간으로 외부인이 침입할 염려가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창틀 및 창문에 대하여 막대기의 길이를 일일이 조절하는 작업은 번거로운 일이었다.
또한, 종래 특허 제10-0919233호에서는 안심하고 창문을 열어놓을 수 있도록 개폐정도 유지 및 방범기능을 갖는 미서기용 창문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선행기술은 구성 및 작동이 복잡하여 이용하기 불편하고, 종래 설치된 창문에 일괄적으로 적용하기에 무리가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내측창의 개방 정도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외측창이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창문 개방용 지지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창틀 프레임 또는 창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 가능한 창문 개방용 지지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쉽게 생산 및 작동이 가능하며, 기존에 시공이 완료된 창문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는 창문 개방용 지지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창틀과 창틀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창 및 외측창으로 구성된 창문에서 내측창을 일정 폭 개방되게 유지하는 창문 개방용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창문 개방용 지지구는, 양측이 개방된 관 형상으로 일측 단부가 외측창 측의 창틀 수직프레임 내측을 지지하는 지지구 본체; 상기 지지구 본체의 타측 단부로 후단이 삽입되고 전단이 지지구 본체 외측으로 돌출되어 내측창 수직프레임 외측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바; 상기 지지구 본체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지지구 본체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형성된 원통 형상의 위치조절관; 및 상기 위치조절관 후방 측면에 돌출 형성된 것으로 위치조절관의 회전에 따라 외측창 수직프레임 내측을 지지하는 걸림판; 으로 구성되되, 상기 위치조절관에는 위치조절관의 회전에 따라 제1지지바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방용 지지구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스토퍼는 스프링에 의해 위치조절관 내측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제1지지바의 상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의 걸림홈이 외주면을 따라 일정 길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구 본체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위치조절관의 회전에 따라 스토퍼가 지지구 본체의 관통홀 내로 삽입되어 상기 제1지지바의 걸림홈 중 어느 하나에 걸림으로써 제1지지바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방용 지지구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지지구 본체 일측 단부에는 외측창 측의 창틀 수직프레임의 내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바가 삽입되되, 상기 제2지지바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지지구 본체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에 나사 결합되어 제2지지바의 전진 또는 후진에 의하여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방용 지지구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지지구 본체 내부의 제1지지바와 제2지지바 사이에는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방용 지지구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제1지지바 또는 제2지지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외측 단부에는 지지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방용 지지구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창문 개방용 지지구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조절관 하부와 창틀 상면 사이에는 받침구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방용 지지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창문 개방용 지지구의 양단이 외측창 측의 창틀 수직프레임 내측 및 내측창 수직프레임의 외측면을 지지하기 때문에 내측창의 개방 정도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외측창 수직프레임 내측을 지지하는 걸림판에 의하여 외측창이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창문 개방용 지지구의 양단에 위치하는 제1지지바와 제2지지바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여, 창틀 프레임 또는 창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본 발명 창문 개방용 지지구를 사용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창문 개방용 지지구는 간단한 구조로 쉽게 생산 및 작동이 가능하며, 기존에 시공이 완료된 창문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넷째, 여름철 실내 환기 또는 더위를 피하려는 목적으로 창문을 일부 개방하여 둘 때, 열려진 창문 틈새를 확장하여 실내 공간으로 외부인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창문 개방용 지지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창문 개방용 지지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창문 개방용 지지구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창문 개방용 지지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창문 개방용 지지구의 절개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 창문 개방용 지지구가 설치된 창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창문 개방용 지지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창문 개방용 지지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창문 개방용 지지구의 횡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 창문 개방용 지지구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창문 개방용 지지구의 절개사시도이다.
본 발명 창문 개방용 지지구(10)는 창틀(1)과 창틀(1)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창(2) 및 외측창(3)으로 구성된 창문에서 내측창(2)을 일정 폭 개방되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방범 기능상 여름철 실내 환기 또는 냉난방 조절 등을 위하여 실내 거주자가 개방하는 내측창(2)의 폭은 사람이 침입할 수 없을 정도의 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창문 개방용 지지구(10)는 양측이 개방된 관 형상으로 일측 단부가 외측창(3) 측의 창틀 수직프레임(1a) 내측을 지지하는 지지구 본체(11); 상기 지지구 본체(11)의 타측 단부로 후단이 삽입되고 전단이 지지구 본체(11) 외측으로 돌출되어 내측창 수직프레임(2a) 외측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바(12); 상기 지지구 본체(11)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지지구 본체(11)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형성된 원통 형상의 위치조절관(13); 및 상기 위치조절관(13) 후방 측면에 돌출 형성된 것으로 위치조절관(13)의 회전에 따라 외측창 수직프레임(3a) 내측을 지지하는 걸림판(14); 으로 구성되며, 상기 위치조절관(13)에는 위치조절관(13)의 회전에 따라 제1지지바(12)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스토퍼(13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창문이 폐쇄된 상태에서 내측창(2)을 일부 개방한 후, 본 발명의 창문 개방용 지지구(10)를 외측창(3) 측의 창틀 수직프레임(1a)과 내측창(2) 사이에 설치한다. 이때, 창문 개방용 지지구(10)의 지지구 본체(11) 일측 단부가 외측창(3) 측의 창틀 수직프레임(1a)을, 지지구 본체(11)의 타측 단부로 돌출된 제1지지바(12) 또는 제1지지바(12)에 결합된 지지플레이트(P)가 내측창(2)을 지지하도록 한다.
그 후 도 3의 (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위치조절관(13)을 외측창(3) 측으로 회전시켜 걸림판(14)이 외측창 수직프레임(3a) 내측에 걸리게 함과 동시에, 위치조절관(13)의 스토퍼 수납부(133) 내의 스토퍼(131)가 지지구 본체(11)에 형성된 관통홀(111)의 위치와 일치하게 되어 스토퍼(131)를 가압하는 스프링(132)에 의하여 관통홀(111)을 통과한 후 제1지지바(12)의 걸림홈(121)에 걸려 제1지지바(12)의 돌출 길이가 고정된다.
상기 걸림판(14)은 외측창(3)을 외부에서 개방할 수 없도록 외측창 수직프레임(3a) 내측에 걸려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2,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조절관(13)이 지지구 본체(11) 외주면에서 회전 운동을 하도록 위치조절관(13) 내측 일부는 내측으로 두께가 두꺼운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지지구 본체(11)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회전 이동한다.
이때,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조절관(13)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가이드홈과 가이드부는 단턱부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조절관(13)의 회전 이동시 지지구 본체(11)가 같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구 본체(11) 내측에는 가이드레일(112)을 형성하고, 제1지지바(12)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레일홈(122)을 형성하여 가이드레일(112)이 레일홈(122)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지지구 본체(11)가 외측창(3) 측의 창틀 수직프레임(1a)을, 제1지지바(12)가 내측창 수직프레임(2a)의 외측면을, 걸림판(14)이 외측창 수직프레임(3a)을 동시에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내측창(2)이 열린 정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외측창(3)에 별도의 잠금장치가 시건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외측창(3)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들 지지구 본체(11), 제1지지바(12), 위치조절관(13) 및 걸림판(14)은 빗물 등으로 인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 스테인리스 등 내식성이 있는 경량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상기 스토퍼(131)는 스프링(132)에 의해 위치조절관(13) 내측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제1지지바(12)의 상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의 걸림홈(121)이 외주면을 따라 일정 길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구 본체(11)에는 관통홀(111)이 형성되어, 상기 위치조절관(13)의 회전에 따라 스토퍼(131)가 지지구 본체(11)의 관통홀(111) 내로 삽입되어 상기 제1지지바(12)의 걸림홈(121) 중 어느 하나에 걸림으로써 제1지지바(12)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제1지지바(12)의 돌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본 발명 창문 개방용 지지구(10)를 창문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창문 개방용 지지구(10)는 양측이 개방된 관 형상의 지지구 본체(11); 상기 지지구 본체(11)의 타측 단부로 후단이 삽입되고 전단이 지지구 본체(11) 외측으로 돌출되어 내측창 수직프레임(2a) 외측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바(12); 상기 지지구 본체(11)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지지구 본체(11)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형성된 원통 형상의 위치조절관(13); 상기 위치조절관(13) 후방 측면에 돌출 형성된 것으로 위치조절관(13)의 회전에 따라 외측창 수직프레임(3a) 내측을 지지하는 걸림판(14); 및 상기 지지구 본체(11) 일측 단부에 외측창(3) 측의 창틀 수직프레임(1a)의 내측을 지지하도록 삽입되는 제2지지바(15);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바(15)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지지구 본체(11)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에 나사 결합되어 제2지지바(15)의 전진 또는 후진에 의하여 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위치조절관(13)에는 위치조절관(13)의 회전에 따라 제1지지바(12)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스토퍼(13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지지바(12)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여 창문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본 발명을 다양한 규격을 가진 창문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지지바(15)의 전진 또는 후진 정도를 조절하여 창틀(1)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구 본체(11) 내부의 제1지지바(12)와 제2지지바(15) 사이에는 스프링(1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132)에 의하여 본 발명 창문 개방용 지지구(10)의 양단인 제1, 2지지바(12, 15)의 단부가 내측창 수직프레임(2a) 외측면과 외측창(3) 측의 창틀 수직프레임(1a)의 내측을 가밀착할 수 있다.
이후, 위치조절관(13)의 회전에 따라 제1지지바(12)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는 한편, 제2지지바(15)의 전진 또는 후진을 조절하여 창문 개방용 지지구(10)를 고정한다.
상기 스프링(132)은 내측창(2)이 움직이지 않을 정도의 탄력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지지바(12) 또는 제2지지바(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외측 단부에는 지지플레이트(P)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플레이트(P)는 내측창 수직프레임(2a) 외측면과 외측창(3) 측의 창틀 수직프레임(1a)의 내측을 각각 지지하는 제1, 2지지바(12, 15)가 이들 프레임을 가압하는 지압 면적을 확대함으로써, 프레임을 가압하는 힘을 골고루 분산시킨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 창문 개방용 지지구(10)가 설치된 창틀(1)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에서는 일부 개방된 내측창 수직프레임(2a) 외측면과 외측창(3) 측의 창틀 수직프레임(1a) 내측 사이에 본 발명 창문 개방용 지지구(10)가 삽입되었다.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위치조절관(13)의 회전에 따라 제1지지바(12)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고 이를 스토퍼(131)가 고정하도록 창문 개방용 지지구(10)를 작동시킨다.
이때,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창문 개방용 지지구(10)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조절관(13) 하부와 창틀(1) 상면 사이에는 받침구(20)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문 개방용 지지구(10)의 설치가 완료되어 창틀(1)과 내측창(2) 사이에 고정된 창문 개방용 지지구(10)가 내측창(2)의 개방 정도를 고정하고 있다 하더라도, 외부에서 내측창(2)을 폐쇄하면 창틀(1)과 내측창(2) 사이의 거리가 벌어져 창문 개방용 지지구(10)가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창문 개방용 지지구(10)의 설치가 해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창문 개방용 지지구(10)의 하부를 받침구(20)로 지지하여, 외부에서 내측창(2)을 폐쇄하더라도 창문 개방용 지지구(10)의 위치를 고정하여 창문의 개방 정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창틀 1a: 창틀 수직프레임
2: 내측창 2a: 내측창 수직프레임
3: 외측창 3a: 외측창 수직프레임
10: 창문 개방용 지지구 11: 지지구 본체
111: 관통홀 112: 가이드레일
12: 제1지지바 121: 걸림홈
122: 레일홈 13: 위치조절관
131: 스토퍼 132: 스프링
133: 스토퍼 수납부 14: 걸림판
15: 제2지지바 16: 스프링
20: 받침구 P: 지지플레이트

Claims (6)

  1. 창틀(1)과 창틀(1)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창(2) 및 외측창(3)으로 구성된 창문에서 내측창(2)을 일정 폭 개방되게 유지하는 창문 개방용 지지구(1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창문 개방용 지지구(10)는,
    양측이 개방된 관 형상으로 일측 단부가 외측창(3) 측의 창틀 수직프레임(1a) 내측을 지지하는 지지구 본체(11);
    상기 지지구 본체(11)의 타측 단부로 후단이 삽입되고 전단이 지지구 본체(11) 외측으로 돌출되어 내측창 수직프레임(2a) 외측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바(12);
    상기 지지구 본체(11)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지지구 본체(11)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형성된 원통 형상의 위치조절관(13); 및
    상기 위치조절관(13) 후방 측면에 돌출 형성된 것으로 위치조절관(13)의 회전에 따라 외측창 수직프레임(3a) 내측을 지지하는 걸림판(14); 으로 구성되되,
    상기 위치조절관(13)에는 위치조절관(13)의 회전에 따라 제1지지바(12)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스토퍼(13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방용 지지구.
  2. 창틀(1)과 창틀(1)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창(2) 및 외측창(3)으로 구성된 창문에서 내측창(2)을 일정 폭 개방되게 유지하는 창문 개방용 지지구(1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창문 개방용 지지구(10)는,
    양측이 개방된 관 형상의 지지구 본체(11);
    상기 지지구 본체(11)의 타측 단부로 후단이 삽입되고 전단이 지지구 본체(11) 외측으로 돌출되어 내측창 수직프레임(2a) 외측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바(12);
    상기 지지구 본체(11)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지지구 본체(11)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형성된 원통 형상의 위치조절관(13);
    상기 위치조절관(13) 후방 측면에 돌출 형성된 것으로 위치조절관(13)의 회전에 따라 외측창 수직프레임(3a) 내측을 지지하는 걸림판(14); 및
    상기 지지구 본체(11) 일측 단부에 외측창(3) 측의 창틀 수직프레임(1a)의 내측을 지지하도록 삽입되는 제2지지바(15); 로 구성되되,
    상기 제2지지바(15)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지지구 본체(11)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에 나사 결합되어 제2지지바(15)의 전진 또는 후진에 의하여 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위치조절관(13)에는 위치조절관(13)의 회전에 따라 제1지지바(12)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스토퍼(13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방용 지지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31)는 스프링(132)에 의해 위치조절관(13) 내측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제1지지바(12)의 상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의 걸림홈(121)이 외주면을 따라 일정 길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구 본체(11)에는 관통홀(111)이 형성되어, 상기 위치조절관(13)의 회전에 따라 스토퍼(131)가 지지구 본체(11)의 관통홀(111) 내로 삽입되어 상기 제1지지바(12)의 걸림홈(121) 중 어느 하나에 걸림으로써 제1지지바(12)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방용 지지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 본체(11) 내부의 제1지지바(12)와 제2지지바(15) 사이에는 스프링(1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방용 지지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바(12) 또는 제2지지바(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외측 단부에는 지지플레이트(P)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방용 지지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 개방용 지지구(10)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조절관(13) 하부와 창틀(1) 상면 사이에는 받침구(20)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방용 지지구.
KR1020130097898A 2013-08-19 2013-08-19 창문 개방용 지지구 KR101324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898A KR101324537B1 (ko) 2013-08-19 2013-08-19 창문 개방용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898A KR101324537B1 (ko) 2013-08-19 2013-08-19 창문 개방용 지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4537B1 true KR101324537B1 (ko) 2013-11-08

Family

ID=49856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7898A KR101324537B1 (ko) 2013-08-19 2013-08-19 창문 개방용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5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192B1 (ko) * 2014-10-24 2015-03-25 경동정공 주식회사 길이 조절형 가스스프링
CN108643747A (zh) * 2018-07-16 2018-10-12 内蒙古东亚鸿基铝业有限公司 一种螺杆式开窗器
US20220034131A1 (en) * 2020-07-29 2022-02-03 Yao-Kun Yang Door stop rod with warning fun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1588A (ja) * 1996-11-02 1998-05-19 Toyoji Mikashima 引違いサッシ窓用開閉ストッパー
KR20000006104U (ko) * 1998-09-09 2000-04-06 임재만 방범을 위한 미닫이창의 열림방지장치
KR20000006105U (ko) * 1998-09-09 2000-04-06 임재만 방범을 위한 미닫이창의 잠금장치
JP2013067998A (ja) 2011-09-22 2013-04-18 Koji Tsuge 網戸ロッ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1588A (ja) * 1996-11-02 1998-05-19 Toyoji Mikashima 引違いサッシ窓用開閉ストッパー
KR20000006104U (ko) * 1998-09-09 2000-04-06 임재만 방범을 위한 미닫이창의 열림방지장치
KR20000006105U (ko) * 1998-09-09 2000-04-06 임재만 방범을 위한 미닫이창의 잠금장치
JP2013067998A (ja) 2011-09-22 2013-04-18 Koji Tsuge 網戸ロック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192B1 (ko) * 2014-10-24 2015-03-25 경동정공 주식회사 길이 조절형 가스스프링
CN108643747A (zh) * 2018-07-16 2018-10-12 内蒙古东亚鸿基铝业有限公司 一种螺杆式开窗器
US20220034131A1 (en) * 2020-07-29 2022-02-03 Yao-Kun Yang Door stop rod with warning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4537B1 (ko) 창문 개방용 지지구
KR101492050B1 (ko) 기밀성 블라인드 장치
KR101517098B1 (ko) 공동주택 창호용 방범 방충 시설물
KR101138151B1 (ko) 방충 및 방범 일체형 창틀 구조
RU181120U1 (ru)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кон
US3429070A (en) Awning shutter
US8769888B2 (en) Protective assembly for doors, windows and the like
KR101612412B1 (ko) 창호의 유리창 단열 마감장치
JP2018105103A (ja) 戸車及び建具
KR101883454B1 (ko) 복합기능을 갖는 창호
KR200345838Y1 (ko) 전동 스크린
US11976514B2 (en) Child window safety system
KR101916378B1 (ko) 문틀과 방범방충망의 결속구조
KR101837751B1 (ko) 빨래 건조 장치
KR100755514B1 (ko)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
RU195828U1 (ru) Вантовое ограждение створчатых проемов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выпадений из окон
US20170328101A1 (en) Portable Door Lock
JP2018105105A (ja) 建具
TWI666378B (zh) 防墜紗窗
KR200465247Y1 (ko) 창호용 배수장치
KR101296602B1 (ko)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창호가 구비된 건축물의 베란다 구조
KR101017267B1 (ko) 위치 고정이 가능한 건축물의 창문 구조
KR100416435B1 (ko) 공동주택의 방범설비시스템
KR101574511B1 (ko) 건축물 외벽의 채광 환기 겸용 벽체 구조
JP6810560B2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