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881B1 - 다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용 온돌형 마루 - Google Patents
다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용 온돌형 마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3881B1 KR101323881B1 KR1020130081463A KR20130081463A KR101323881B1 KR 101323881 B1 KR101323881 B1 KR 101323881B1 KR 1020130081463 A KR1020130081463 A KR 1020130081463A KR 20130081463 A KR20130081463 A KR 20130081463A KR 101323881 B1 KR101323881 B1 KR 1013238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or
- groove
- support
- pipe
- pedest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8—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receiving utility lines, e.g. cables, pip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용 온돌형 마루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바닥면에 격자형으로 배열 설치되며,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는 받침판(11)과, 상기 받침판(11)의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크루축(11A)과, 상기 스크루축(11A)의 상단에 설치되어 높이 조절되며, 중앙에 각목(20)이 안착되는 안착홈(12A)이 형성된 고정블록(12)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받침대(10)와; 상기 받침대(10)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받침대(10)의 상면에 안착되며, 배관 지지홈(31)이 형성된 금속재의 지지판(30, 30')과; 상기 배관 지지홈(31)에 안착 설치되어 내부에 열매체가 순환 공급되는 난방배관(40)과; 상기 복수 개의 받침대(10)와 지지판(30, 3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각목(20)과 결합 고정되며 상기 각목(20)의 설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마루(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선물의 바닥에 난방배관을 쉽게 설치할 수 있는 동시에 균일한 난방을 이룰 수 있으며, 또한 층간 소음의 전달을 대폭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선물의 바닥에 난방배관을 쉽게 설치할 수 있는 동시에 균일한 난방을 이룰 수 있으며, 또한 층간 소음의 전달을 대폭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용 온돌형 마루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공동 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다층 건물의 바닥에 설치되어 실내 바닥을 난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층간 소음을 대폭 줄일 수 있는 다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용 온돌형 마루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동주택이나 아파트의 층간 소음전달로 인한 분쟁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이러한 이유로 층간 소음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바닥 시공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는데, 그 하나의 예로서 건물의 바닥에 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진 흡음 매트를 설치한 다음, 그 상부에 난방용 배관을 설치함으로써 바닥을 난방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 시공방법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시공방법은 매트에 의해 충간 소음의 전달이 약간 방지되기는 하지만 여전히 만족할만한 효과를 내고 있지 못하다.
이러한 이유로 실내 바닥을 이루는 슬래브의 상부 일정 높이에 마루를 설치하여 층간 소음이 소산되도록 하는 공간을 형성한 다음, 이 공간의 내부에 난방용 배관 등을 설치하여 바닥을 난방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 시공방법이 시도되고 있는데, 이 시공방법은 슬래브층의 상면에 난방 배관을 설치한 다음, 그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마루를 설치하기 때문에 마루 바닥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이 하부에 직접 전달되지 않아 소음 차단에 효과가 있기는 하지만 난방배관으로부터 발산되는 난방에너지가 마루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난방 효과가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더욱이 마루를 지지하기 위한 조립 구조가 복잡하여 시공의 난이도가 높다는 단점도 있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마루 시공방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특허를 출원하여 등록(특허 제1250357호, 다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용 온돌형 마루) 받은 바 있는데, 이 문헌에서 제안하고 있는 온돌형 마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 상면에 안착되는 받침판의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높이 조절용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여 높이 조절용 볼트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상판으로 구성된 형태를 갖고 슬래브의 상면에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받침대(100)와; 가로 또는 세로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나열된 상기 받침대들의 상판에 형성된 각목 수납홈 내에 안착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마루들이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각목(110)과; 각목에 의해 가로 또는 세로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연결된 받침대들 중 서로 인접한 다른 열에 설치된 받침판의 상판을 상호 연결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각목과 직각을 이루는 형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연결대(120)와; 각목(110)과 평행을 이루도록 하여 받침대(100)들의 상판에 형성된 배관 지지바 수납홈에 고정수단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난방배관을 지지해 주는 복수의 배관 지지바(130)와; 배관 지지바(130)들을 따라 지그재그식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마루들의 저면에 밀착되어 마루들에 열기를 전달하는 난방배관(140)과; 받침대(130)들의 상판 상부에서 각목(110) 및 배관 지지바(130)들과 직각방향으로 연이어 배치된 후 고정수단을 통해 각목(110)에 각각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마루(15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에서 제안하고 있는 온돌형 마루는 배관 지지바(130)가 받침대(100)의 상면 양측에 설치되어 지지되어 때문에 난방배관(140)을 전체 바닥에 걸쳐 균일한 간격을 두고 설치하기가 쉽지 않고, 또한 바닥 난방이 난방배관(140)이 설치된 부분 주위에 한정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균일한 난방을 달성하기가 쉽지 않다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또한 각각의 받침대(100)가 연결대(120)에 의해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이들의 연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온돌형 마루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난방용 배관의 설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층간 소음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아울러 열에너지의 손실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다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용 온돌형 마루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바닥에 설치되는 온돌형 마루를, 선물의 바닥면에 격자형으로 배열 설치되며,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크루축과, 상기 스크루축의 상단에 설치되어 높이 조절되며, 중앙에 각목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고정블록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를 연결하도록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 안착되며, 배관 지지홈이 형성된 금속재의 지지판과; 상기 배관 지지홈에 안착 설치되어 내부에 열매체가 순환 공급되는 난방배관과; 상기 복수 개의 받침대와 지지판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각목과 결합 고정되며 상기 각목의 설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마루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홈에는 단면의 형상이 상면이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서 양단에 상기 고정블록의 상면에 안착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지지브래킷이 더 설치되고, 상기 각목은 상기 지지브래킷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관 지지홈은 "U"자 형을 이루면서, 상부는 잘록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 지지홈의 측면에는 상기 배관 지지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유동방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저면에는 원주방향과 직경방향으로 각각 복수 개의 요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지지판의 저면에는 면 또는 우레탄이 코팅된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블록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판이 각각 안착되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의 깊이는 상기 지지판의 두께와 동일한 깊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마루가 실내 바닥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기 때문에 층간 소음이 이격된 공간을 통해 소산되어 층간 소음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난방배관이 지지판에 형성된 배관 지지홈에 삽입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설치가 간편하며, 또한 지지판이 금판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조적 건전성이 확보되는 동시에 난방배관으로부터 방사된 열을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어 쾌적한 난방을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난방배관이 지지판의 배관 지지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난방배관을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구 등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대가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받침대의 저면에 원주방향과 직경방향으로 각각 복수 개의 요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층간 소음이나 충격등이 흡수되어 층간 소음의 전달이 대폭 감소된다.
도 1은 종래의 다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용 온돌형 마루의 시공 예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용 온돌형 마루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리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받침판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블록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판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판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판에 난방배관이 설치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용 온돌형 마루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리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받침판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블록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판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판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판에 난방배관이 설치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과 같이 복층 구조를 갖는 건물의 바닥에 설치되어 바닥을 난방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돌 마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온돌형 마루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0), 각목(20), 지지판(30, 30'), 난방배관(40) 및 마루(50)로 이루어진다.
받침대(10)는 실내의 슬래브 바닥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마루(50)를 지지하여 마루(50)가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두고 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그 구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11)과, 받침판(11)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크루축(11A)과, 스크루축(11A)의 상단에 설치되어 높이 조절되며 그 상부에 각목(20)이 안착되는 안착홈(12A)이 형성된 고정블록(12)과, 안착홈(12A)에 삽입 설치되어 각목(20)을 지지하는 지지브래킷(13) 및 조절된 고정블록(12)의 높이를 고정 유지하는 고정부재(14)를 포함한다.
바닥에 설치되어 그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블록(12)을 지지하는 받침판(11)은 바닥으로부터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저면에 원주방향과 직경방향으로 각각 복수 개의 요홈(11B)이 형성되어 이들 요홈(11B)에 의해 그 상부로부터 스크루축(11A)을 통해 전달되는 소음이나 진동이 대폭 감소된다.
받침판(11)의 수직으로 설치된 스크루축(11A)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블록(12)은 알루미늄 등의 가벼운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 중앙에는 각목(20)이 안착되는 안착홈(12A)이 형성되며, 이에 의해 단면 형상이 상부가 개방된 "ㄷ"자 형상의 구조물로서, 안착홈(12A)의 중앙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체결공(12B)이 형성되며, 이 체결공(12B)에 스크루축(11A)의 일단이 체결된다. 이를 위해 체결공(12B)의 내주면에는 스크루축(11A)이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가 형성되며, 이에 의해 고정블록(12)의 설치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따라서 슬래브 바닥 높이가 일정하지 아니하여 수평을 이루지 못하더라도 고정블록(12)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블록(12)의 상부에 설치되는 마루(50)의 수평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블록(12)의 상면 양측에는 안착홈(12A)을 기준으로 후술하는 지지판(30, 30')의 모서리 부분이 안착될 수 있도록 설치홈(12C)이 형성되는데, 이 설치홈(12C)에 의해 지지판(30, 30')이 안착될 위치가 정해지고, 지지판(30, 30')을 설치할 때에는 설치홈(12C)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체결공(12C')을 통해 나사(도면부호 없음)가 체결됨으로서 지지판(30, 30')이 유동되지 않고 강건하게 설치 고정된다. 이때 설치홈(12C)의 깊이는 지지판(30, 30')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이에 의해 지지판(30, 30')이 그 상부에 설치되었을 때 돌출되지 않고 평면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고정블록(12)의 저면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홈(12D)이 형성되며, 이에 의해 고정블록(12)의 무게가 대폭 감소되며, 이때 고정블록(12)의 저면에 복수 개의 보강대(12E)를 방사상으로 형성하여 그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 구조적 건전성이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정블록(12)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안착홈(12A)에는 각목(20)이 안착 설치되는데, 이때 각목(20)이 안착홈(12A)의 바닥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경우 그 하부에 설치되는 스크루축(11A)의 상단이 더 이상 상승되지 못하여 고정블록(12)의 높이 조절이 어려울 수 있으며, 따라서 안착홈(12A)에 설치되는 각목(20)은 안착홈(12A)의 바닥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안착홈(12A)에는 단면의 형상이 상면이 개방된 "ㄷ"자 형상을 가지는 지지브래킷(13)이 더 구비되어, 이 지지브래킷(13)의 내부에 각목(20)이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브래킷(13)의 양단은 90°로 절곡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13A)이 형성되는데, 이 걸림턱(13A)이 고정블록(12)의 상면에 안착되어 걸림 고정됨으로써 지지브래킷(13)의 저면이 안착홈(12A)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채 유지되며, 이 지지브래킷(13)에 각목(20)의 외주면이 감싸지도록 삽입됨으로써 각목(20)이 일렬로 배치된 복수 개의 받침대(10)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12A)을 따라 설치되며, 그 결과 복수 개의 받침대(10)가 각목(20)에 의해 일직선이 되도록 간단하게 그 설치위치가 고정된다. 이때 지지브래킷(13)의 내부에 설치된 각목(20)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길이를 가지면서 지지브래킷(13)의 측면을 관통하는 태커(tacker) 작업에 의해 지지브래킷(13)에 견고하게 결합되며, 그 결과 각목(20)이 지지브래킷(13)의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고 그 위치가 그대로 유지되며, 따라서 각목(20)의 상부에 결합되는 마루(50)도 그 결합상태 및 위치가 그대로 유지된다.
받침판(11)에 수직으로 설치된 스크루축(11A)에 설치되는 고정부재(14)는 고정블록(12)의 높이가 적절히 조절되고 나면 고정블록(12)의 조절된 높이가 변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고정부재(14)는 스크루축(11A)을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나사 결합되며, 이에 의해 고정블록(12)의 높이가 결정되고 나면 고정부재(14)를 회전시켜 고정블록(12)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부재(14)의 회전이 방지되어 조절된 높이가 그대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받침대는 실내 바닥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격자 형태로 배열되는데, 이때 받침대(10)와 받침대(10)간의 간격은 이들 연결하는 판 형상의 지지판(30, 30')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러한 지지판(30, 3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변의 길이가 약 50cm 정도의 정사각형의 금속판으로서 그 상면에는 후술하는 난방배관(40)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면의 형상이 "U"자 형상을 가지는 배관 지지홈(31)이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되며, 이때 배관 지지홈(31)의 형성간격은 난방배관(40)의 설치 간격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지지판(30, 30')의 4개의 모서리에는 각각 고정블록(12)에 형성된 나사체결공(12C')을 통해 체결 나사가 쉽게 체결될 수 있도록 관통공(32)이 형성되며, 이에 의해 지지판(30, 30')이 각각 고정블록(12)의 상면에 결합된다.
위에서는 지지판(30, 30')에 별도의 관통공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지지판(30, 30')에 별도의 관통공을 형성하지 않고, 그 대신 나사를 지지판(30, 30')에 직접 관통시켜 나사체결공(12C')에 체결되도록 하는 구조로도 실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지지판(30, 30')이 각각 고정블록(12)의 상면에 결합되고 나면, 지지판(30, 30')에 형성된 "U"자 형의 배관 지지홈(31)에는 난방배관(40)이 삽입 설치되는데, 이때 난방배관(40)이 배관 지지홈(31)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었을 때 배관 지지홈(31)의 상부쪽으로 돌출되지 않고 그 위치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U"자 형의 배관 지지홈(31)의 상부는 잘록한 모양을 이룸으로써 난방배관(40)을 설치할 때 작업자가 난방배관(40)을 배관 지지홈(31)에 위치시킨 다음, 난방배관(40)을 가압하는 것만으로도 쉽게 난방배관(40)이 배관 지지홈(31)의 내부에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U"자 형의 배관 지지홈(31)의 상부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잘록한 모양으로 형성하더라도 난방배관(40)에 온수 등이 유입되는 경우 열팽창에 의해 난방배관(40)이 배관 지지홈(31)의 내부에 머무르지 않고 유동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난방배관(40)이 그 상부에 위치하는 마루(50)에 접촉되어 국부 응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배관 지지홈(31)의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유동방지돌기(31A)를 형성함으로써 이들 유동방지돌기(31A)에 난방배관(40)의 측면이 걸려 난방배관(40)의 유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난방배관(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선 형태의 배관 지지홈(31)이 형성된 복수 개의 지지판(30)에 삽입 설치된 다음, 그 끝단에서는 곡선 형태의 배관 지지홈(31)이 형성된 지지판(30')에 삽입 설치됨으로써 사행상으로 연결되며, 그 내부에는 보일러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열매체가 순환되는데 이때 난방배관(40)의 재질은 열전달이 용이하며 쉽게 부식되지 않는 금속재질의 관체 또는 자유롭게 변형 가능하여 설치가 용이한 플렉시블한 재질의 합성수지관으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난방배관(40)은 일반적으로 널리 실시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난방배관(40)이 받침대(10)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판(30, 30')의 지지홈(31)에 삽입하기만 하면 설치가 완료되기 때문에 설치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지지판(30, 30')이 받침대(1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종래에서와 같이 각각의 받침대(1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대를 굳이 구비하지 않더라도 구조적 건전성이 확보되기 때문에 그 구조가 간단하며, 또한 지지판(30, 30')이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난방배관(40)으로부터 방사된 열에너지가 지지판(30, 30')에 의해 균일하게 전달되기 때문에 온도 분포가 균일하여 쾌적한 난방이 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판(30, 30')이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난방배관(40)으로부터 방사된 열에너지가 지지판(30, 30')의 저면을 통해 아래쪽으로 방사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열에너지가 지지판(30, 30')의 저면을 통해 아래쪽으로 방사되더라도 지지판(30, 30')과 실내 바닥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저면으로부터 방사된 열은 결국 상부쪽으로 상승하므로 열에너지의 손실은 그리 크지 않지만, 열에너지의 효과적인 이용을 달성하는 동시에 층간 소음의 전달을 더욱 줄일 수 있도록 지지판(30, 30')의 저면에는 면(綿) 또는 우레탄 재질의 코팅층(C)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대(10)와 지지판(30, 30')의 상부에는 지지판(30, 30')의 설치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마루(5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마루(50)는 천연 목재 또는 합성목재 등으로 이루어지고, 일정 길이를 가지며 서로 조립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이때 마루(50)는 도 2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등의 체결부재가 마루(50)를 관통하여 각목(20)과 결합됨으로써 받침대(10)에 설치 고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지판(30, 30')의 배관 지지홈(31)에 난방배관(40)이 삽입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난방배관(40)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구가 요구되지 않아 시공이 간편하며, 또한 난방배관(40)으로부터 방사된 열에너지가 금속재의 지지판(30, 30')을 통해 고르게 전달되기 때문에 쾌적한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10: 받침대 11: 받침판
11A: 스크루축 11B: 요홈
12: 고정블록 12A: 안착홈
12B: 체결공 12C: 설치홈
12C': 나사체결공 12D: 홈
12E: 보강대 13: 지지브래킷
13A: 걸림턱 14: 고정부재
20: 각목 30, 30': 지지판
31: 배관 지지홈 31A: 유동방지돌기
32: 관통공 40: 난방배관
50: 마루 C: 코팅층
11A: 스크루축 11B: 요홈
12: 고정블록 12A: 안착홈
12B: 체결공 12C: 설치홈
12C': 나사체결공 12D: 홈
12E: 보강대 13: 지지브래킷
13A: 걸림턱 14: 고정부재
20: 각목 30, 30': 지지판
31: 배관 지지홈 31A: 유동방지돌기
32: 관통공 40: 난방배관
50: 마루 C: 코팅층
Claims (7)
- 건물의 실내 바닥면 상부에 이격 설치되는 온돌형 마루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 격자형으로 배열 설치되며,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는 받침판(11)과, 상기 받침판(11)의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크루축(11A)과, 상기 스크루축(11A)의 상단에 설치되어 높이 조절되며, 중앙에 각목(20)이 안착되는 안착홈(12A)이 형성된 고정블록(12)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받침대(10)와;
상기 받침대(10)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받침대(10)의 상면에 안착되며, 배관 지지홈(31)이 형성된 금속재의 지지판(30, 30')과;
상기 배관 지지홈(31)에 안착 설치되어 내부에 열매체가 순환 공급되는 난방배관(40) 및;
상기 복수 개의 받침대(10)와 지지판(30, 3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각목(20)과 결합 고정되며 상기 각목(20)의 설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마루(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용 온돌형 마루.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12A)에는 단면의 형상이 상면이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서 양단에 상기 고정블록(12)의 상면에 안착되는 걸림턱(13A)이 형성된 지지브래킷(13)이 더 설치되고, 상기 각목(20)은 상기 지지브래킷(13)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용 온돌형 마루.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관 지지홈(31)은 "U"자 형을 이루면서, 상부는 잘록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용 온돌형 마루.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관 지지홈(31)의 측면에는 상기 배관 지지홈(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유동방지돌기(31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용 온돌형 마루.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1)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저면에는 원주방향과 직경방향으로 각각 복수 개의 요홈(11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용 온돌형 마루.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30, 30')의 저면에는 면 또는 우레탄이 코팅된 코팅층(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용 온돌형 마루.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12)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판(30, 30')이 각각 안착되는 설치홈(12C)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12C)의 깊이는 상기 지지판(30, 30')의 두께와 동일한 깊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용 온돌형 마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1463A KR101323881B1 (ko) | 2013-07-11 | 2013-07-11 | 다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용 온돌형 마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1463A KR101323881B1 (ko) | 2013-07-11 | 2013-07-11 | 다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용 온돌형 마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23881B1 true KR101323881B1 (ko) | 2013-10-30 |
Family
ID=49639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81463A KR101323881B1 (ko) | 2013-07-11 | 2013-07-11 | 다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용 온돌형 마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23881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723196A (zh) * | 2019-01-10 | 2019-05-07 | 汇克涂料(湖南)有限公司 | 一种便于组装的保温一体化板 |
KR20220108416A (ko) | 2021-01-27 | 2022-08-03 | 이하영 | 층간 소음 방지 구조체 |
KR102565491B1 (ko) | 2022-11-02 | 2023-08-14 | (주)보광팩 | 층간 소음 방지 구조체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76537A (ko) * | 2004-01-20 | 2005-07-26 | 오상철 | 다층 건축물의 층간소음방지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조립식마루 바닥재 |
KR100741003B1 (ko) | 2005-07-07 | 2007-07-19 | 이문수 | 열전달 수단이 구비된 소음방지부재 |
KR100770615B1 (ko) | 2006-08-12 | 2007-10-26 |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 건축물 층간 소음 방지 구조 |
KR101250357B1 (ko) | 2012-10-19 | 2013-04-05 | 조원철 | 다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용 온돌형 마루 |
-
2013
- 2013-07-11 KR KR1020130081463A patent/KR10132388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76537A (ko) * | 2004-01-20 | 2005-07-26 | 오상철 | 다층 건축물의 층간소음방지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조립식마루 바닥재 |
KR100741003B1 (ko) | 2005-07-07 | 2007-07-19 | 이문수 | 열전달 수단이 구비된 소음방지부재 |
KR100770615B1 (ko) | 2006-08-12 | 2007-10-26 |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 건축물 층간 소음 방지 구조 |
KR101250357B1 (ko) | 2012-10-19 | 2013-04-05 | 조원철 | 다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용 온돌형 마루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723196A (zh) * | 2019-01-10 | 2019-05-07 | 汇克涂料(湖南)有限公司 | 一种便于组装的保温一体化板 |
KR20220108416A (ko) | 2021-01-27 | 2022-08-03 | 이하영 | 층간 소음 방지 구조체 |
KR102565491B1 (ko) | 2022-11-02 | 2023-08-14 | (주)보광팩 | 층간 소음 방지 구조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23881B1 (ko) | 다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용 온돌형 마루 | |
US20170227239A1 (en) | Heating system | |
KR20100041014A (ko) | 조립식 온돌 | |
KR101830681B1 (ko) | 조립식 온수판넬 | |
KR100571671B1 (ko) | 온돌패널용 방열보드 | |
KR20200034557A (ko) | 난방배관용 패널조립체 | |
KR101078605B1 (ko) | 복사 냉난방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
KR101654126B1 (ko) | 건축물 및 공동주택의 난방 바닥재 시공 방법 | |
US10345002B2 (en) | Adjustable concealed heating and cooling system | |
KR101250357B1 (ko) | 다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용 온돌형 마루 | |
KR200443777Y1 (ko) | 온수분배기를 이용한 개수대 배관연결구 | |
KR100684637B1 (ko) | 히트파이프를 내장하는 방열패널 및 이의 받침대 | |
KR101170016B1 (ko) | 크랙 발생을 방지하는 반건식 욕실 난방 패널 | |
KR101106730B1 (ko) | 냉난방겸용 배관용 패널 및 이를 적용한 배관 시스템 | |
JP6805439B2 (ja) | 冷暖房パネルヒータシステム | |
JP4886003B2 (ja) | 建物内室の乾式温水暖房構造物及びその施工方法 | |
KR20170108356A (ko) | 축열식 온수난방패널을 이용한 바닥온수난방시스템 | |
KR20230000574A (ko) | 온돌 파이프용 가이드 프레임 | |
JP6505471B2 (ja) | 床下温調システム及び建物 | |
CN113405150A (zh) | 一种新型卧式暖气装置 | |
JP6046176B2 (ja) | 床置き型室内空調機接続用床下チャンバ | |
KR102474422B1 (ko) | 방열관의 이탈을 막아주는 건식 복합 난방 시스템용 방열관 고정부재 | |
JP3238573U (ja) | 戸建住宅の床暖房装置 | |
CN218523629U (zh) | 一种辐射供热供冷用地面加热供冷管均热固定架 | |
KR20100007759U (ko) | 바닥 복사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