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634B1 - 자동차 검사실용 공기조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 검사실용 공기조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634B1
KR101323634B1 KR1020130013008A KR20130013008A KR101323634B1 KR 101323634 B1 KR101323634 B1 KR 101323634B1 KR 1020130013008 A KR1020130013008 A KR 1020130013008A KR 20130013008 A KR20130013008 A KR 20130013008A KR 101323634 B1 KR101323634 B1 KR 101323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air
heat exchange
inlet pipe
exchange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광래
Original Assignee
제일시스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시스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시스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3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6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3Exclusively-flui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7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using more than one jet or band in the air curt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관에 분기관의 열을 제1열교환수단을 통하여 오염된 공기가 유입하면서 촉매필터가 내장되는 정화라인의 유입관로상에 전달하여 오염공기를 고온으로 가열하고, 정화라인의 배출관로를 유입관로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열교환수단을 통과한 후 외부로 배출토록 하는 구성으로 에너지의 낭비없이 정화가 가능토록 하는 자동차 검사실용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검사실용 공기조화 시스템{an air-s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inspection chamber}
본 발명은 검사를 위하여 챔버에 입고되는 자동차섀시 또는 자동차엔진이 위치한 선택적인 영역에서만 챔버와 차단되어 일정한 환경조건을 신속하게 형성하도록 하는 자동차 검사실용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엔진에서 배출되는 열을 제1열교환수단을 통하여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면서 촉매필터가 내장되는 정화라인의 유입관로상에 전달하여 오염공기를 고온으로 가열하고, 정화라인의 배출관로를 유입관로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열교환수단을 통과한 후 외부로 배출토록 하는 구성으로 에너지의 낭비없이 온도조절 및 공기조화가 가능토록 하는 자동차 검사실용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기기들, 즉 예로서 보일러, 소각로, 발전용 및 선박 등 엔진을 포함한 각종 산업기기에는 배기가스가 방출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배기가스 중에는 NOx와 같은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배출되며, 이러한 유해 배기가스의 억제를 위한 배기정화장치의 설비가 필수적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배기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산업용 배기정화장치로는 2차연소에 의한 연소방법과, 필터를 이용한 여과방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종래의 특허공개 제1998-039184호에 산업용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배기가스를 송출하는 배기유입관(10)과, 이 배기배출관(40) 중간부에 접속되며 그 내부로 촉매부재(21)를 갖는 촉매 반응조(20)와, 상기 촉매반응조(20)의 입구측에 상기 배기배출관(40)으로 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와 혼합되도록 디젤오일을 펌프(31)의 송출압으로 공급시키는 디젤오일탱크(30)와, 상기 촉매반응조(20)에서 탄소족 입자로 된 디젤오일이 배기가스와 혼합되어 산화성 탄화수소(HCO)로 생성되어 NOx와 선택적으로 화학반응을 일으켜 N2와 H2O로 환원시킨 상태로 대기로 방출토록 하는 배기배출관(40)이 구비되고, 상기 촉매반응조(20)의 내측에 배기가스 유입구측에는 메탈필터(60)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배기유입관(10)에는 배기가스를 소정의 압력으로 송풍하기 위한 브로워(11)가 구비되면서 그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12)가 설치되고, 상기 배기유입관(10)에는 촉매반응조(20)에서 촉매반응이 이루어지게 적합한 온도로 배기가스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히터(13)가 설치되며, 상기 촉매반응조(20)의 전, 후에 배기유입관(10)과 배기배출관(40)에는 자동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콘트롤러(50)(51)가 설치되고, 상기 디젤오일파이프(32)에는 오일이송 압력과 유량을 측정, 제어하는 디젤오일콘트롤러(52)가 설치되어 밸브(33)의 개폐량을 자동 제어토록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산업용 배기가스 정화장치는, 촉매반응조(20)의 촉매반응이 가능토록 별도의 히터(13)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유지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촉매반응조에 의한 정화시 배출되는 공기를 냉각시켜 배출하는 구성으로 별도의 쿨러를 필요로 하게되어 장비의 추가설치 및 이의 유지보수를 위한 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선택적인 영역에서 원하는 환경조건의 구현이 신속하게 수행되도록 하며, 촉매필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에너지를 연소열로 부터 얻도록 하여 에너지의 낭비없이 배기가스의 정화가 가능토록 하고, 열전달에 의한 온도저하를 통하여 배기가스의 냉각에 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 하도록 하며, 신속한 열전달을 통하여 정화장치의 사용이 가능토록 하고, 실내 공기의 적절한 온도조절이 가능토록 하는 자동차 검사실용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검사를 위하여 챔버에 입고되는 자동차섀시 또는 자동차엔진이 위치한 선택적인 영역에서만 챔버와 차단되어 일정한 환경조건을 신속하게 형성하도록 하는 자동차 검사실용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고온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관에 분기관의 열을 제1열교환수단을 통하여 오염된 공기가 유입하면서 촉매필터가 내장되는 정화라인의 유입관로상에 전달하여 오염공기를 고온으로 가열하고, 정화라인의 배출관로를 유입관로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열교환수단을 통과한 후 외부로 배출토록 하는 구성으로 에너지의 낭비없이 정화가 가능토록 하는 자동차 검사실용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열교환수단은, 배기관의 일부가 분기되어 유입관로에 접촉되는 제1열전달코일로서 이루어진 자동차 검사실용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제2열교환수단은, 정화라인의 출구측에 연결되는 배출관이 연장되어 유입관로의 외경측에 접촉되는 제2열전달코일로서 이루어진 자동차 검사실용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열교환수단은, 유입관로가 복수개로 분할설치되면서 그 입구 및 출구측에 전자밸브를 갖는 제2열전달코일이 각각 설치되는 자동차 검사실용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제2열전달코일의 단부에는 배기노즐이 더 연결되면서 그 일측에 냉각기가 구비되는 자동차 검사실용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열교환수단은, 유입관로를 복수개로 분할설치한 후 그 입구 및 출구측에 전자밸브를 갖으면서 배기관에 연결되는 제1열전달코일이 각각 설치하는 자동차 검사실용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선택적인 영역에서 원하는 환경조건의 구현이 신속하게 수행되며, 촉매필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에너지를 연소열로 부터 얻어 에너지의 낭비 없이 배기가스의 정화가 가능하고, 열전달에 의한 온도저하를 통하여 배기가스의 냉각에 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며, 신속한 열전달로 정화장치의 동작이 신속하고, 실내 공기의 적절한 온도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산업용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검사실용 공조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의 설치상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6 및 도7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의 설치상태도이다.
도9 및 도10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검사실용 공조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의 설치상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6 및 도7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의 설치상태도이며, 도9 및 도10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검사를 위하여 챔버에 입고되는 자동차섀시나 자동차엔진이 위치한 선택적인 영역(S)에서만 환경형성수단(250)을 통하여 챔버(105)와 차단되어 일정한 환경조건을 신속하게 형성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환경형성수단(250)은, 자동차섀시 또는 자동차엔진의 외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면서 챔버(105)의 천정 또는 바닥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에어커튼형성노즐(255)과 상기 에어커튼 형성노즐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건조 또는 습증기 상태의 냉기를 토출토록 챔버의 천정 또는 바닥에 설치되는 냉각노즐(251)로서 이루어져 자동차섀시 또는 엔진의 외측에 챔버와 분리되는 영역(S)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환경형성수단(250)은, 자동차섀시 또는 자동차엔진을 덮도록 설치되는 커버부재(200)와 상기 커버부재(200)의 단부에 설치되어 에어커튼을 형성토록 하는 에어커튼형성노즐(255)과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에 설치되면서 건조 또는 습증기 상태의 냉기를 토출토록 챔버의 천정 또는 바닥에 설치되는 냉각노즐(251)로서 이루어져 커버부재의 내측에 챔버와 분리되는 환경의 영역(S)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냉각노즐(251)에는 건조한 냉각공기 또는 습한 냉각공기를 공급토록 펌프 또는 냉각유니트 등이 연결되는 액튜에이터(253)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200)에 구비되는 공기유동베인은 닫히게 되어 분리되는 영역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유동베인은, 일측에 모터(미도시)가 연결되어 제어신호의 공급시 자동으로 개폐토록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100)등에 연결되어 고온의 배기가스가 공급되도록 엔진 등에 연결되면서 열원포집부를 이루는 배기관(110) 일측이 분기되어 그 열을 제1열교환수단(130)을 통하여 오염된 공기가 유입하면서 촉매필터(151)가 내장되는 정화라인(150)의 유입관로(153)상에 전달하여 오염공기를 고온으로 가열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정화라인(150)은, 챔버(105)에 설치되는 정화기(101)의 내측에 일체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정화라인(150)에는 배출관로(155)와 유입관로(153)가 일체로 구비되면서 촉매필터(151)가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로(155)를 유입관로(153)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열교환수단(170)을 통과한 후 외부로 배출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열교환수단(130)은, 배기관(110)의 일부가 분기되어 유입관로(153)에 접촉되는 제1열전달코일(133)로서 이루어진다.
더하여, 상기 제2열교환수단(170)은, 정화라인(150)의 출구측에 연결되는 배출관로(155)가 연장되어 유입관로의 외경측에 접촉되는 제2열전달코일(173)로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열교환수단(170)은, 유입관로가 복수개로 분할설치되면서 그 입구 및 출구측에 제1전자밸브(171)를 갖는 제2열전달코일(173)이 각각 설치된다.
계속하여, 상기 제2열전달코일(170)의 단부에는 배기노즐(177)이 더 연결되면서 그 일측에 냉각기(17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배출관로(155)에는 배풍을 위한 팬(179)이 더 설치되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제1열교환수단(130)은, 유입관로를 복수개로 분할설치한 후 그 입구 및 출구측에 제2전자밸브(135)를 갖으면서 배기관에 연결되는 제1열전달코일(133)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배기노즐(177)은 챔버(105)의 외측에 노출토록 설치되고, 상기 유입관로는 외부와 연결되는 외부배출관(172)이 더 연결되고, 상기 유입관로 역시 실외공기를 유입토록 외기유입관(174)이 더 연결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은 엔진(100)에서 발생되는 열을 포집토록 엔진의 외측에 열원포집부를 형성하는 커버부재(2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200)는, 승하강수단(210)이 연결되면서 외부에 상향경사지는 복수의 공기유동베인(230)이 일체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수단(210)은, 가이드(211)와 상기 커버부재에 연결되는 리프터(213)로서 이루어진다.
더하여, 상기 커버부재(200)의 상단에는 열포집관(230)이 연결되어 그 일측이 상기 제1열교환수단(130)의 제1열전달코일(133)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10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검사를 위하여 챔버에 입고되는 자동차섀시나 자동차엔진이 위치한 선택적인 영역(S)에서만 환경형성수단(250)을 통하여 챔버(105)와 차단되어 일정한 환경조건을 신속하게 형성함으로써 자동차의 검사시 엔진을 신속하게 냉각시키거나 습한 상태 등을 유지토록 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검사를 신속하게 수행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환경형성수단(250)은, 자동차섀시 또는 자동차엔진의 외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면서 챔버(105)의 천정 또는 바닥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에어커튼형성노즐(255)과 상기 에어커튼 형성노즐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건조 또는 습증기 상태의 냉기를 토출토록 챔버의 천정 또는 바닥에 설치되는 냉각노즐(251)로서 이루어져 자동차섀시 또는 엔진의 외측에 챔버와 분리되는 냉각공기 또는 습증기 상태의 냉각공기 영역(S)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환경형성수단(250)은, 자동차섀시 또는 자동차엔진을 덮도록 설치되는 커버부재(200)의 단부에 설치되어 에어커튼을 형성토록 하는 에어커튼형성노즐(255)과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에 설치되면서 건조 또는 습증기 상태의 냉기를 토출토록 챔버의 천정 또는 바닥에 설치되는 냉각노즐(251)로서 이루어져 커버부재의 내측에 챔버와 분리되는 환경의 영역(S)을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은 섀시 다이나모의 챔버(105)에 적용되는 정화장치로서 섀시 다이나모는 시험 차 전체를 롤러(Roller)위에 올려놓고 자동차가 실제 도로를 주행하는 것과 같은 상태로 재현하는 것으로서 해당 차의 성능을 종합적으로 파악한다.
이때, 시험 대상 자동차의 엔진(100) 열을 재활용하여 정화장치를 구동토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자동차의 검사시 챔버(105) 또는 영역(S)의 내측으로 배출되는 오염공기를 정화하면서도 엔진(100)의 열을 활용하여 정화라인(150)의 촉매필터(151)를 동작시킴으로써 촉매필터(151)에 공급되는 공기의 가열을 위한 별도의 열원공급없이 실내 공기의 정화가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엔진(100)에서 발생되는 열은 머플러에 연결되는 배기관(110)을 통하여 챔버(105)에 설치되는 정화기(101)의 열원으로 사용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배기관(101)은 정화기(101)에 연결될 때 제1열교환수단(130)의 제1열전달코일(133)을 통하여 정화라인(150)에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토록 함으로써 정화라인(150)의 촉매필터(151)가 최적의 상태에서 오염공기를 포집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촉매필터(151)를 통과한 공기는 고온으로 실내 또는 실외에 배출하기 위해서는 저온으로 냉각하여야 하나 본 발명에서는 유입관로(153)에 유입되는 실내 또는 실외 공기와 제2열교환수단(170)을 통하여 열교환함으로써 적정한 온도로 냉각하여 배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열교환수단(130) 및 제2열교환수단(170)은, 그 설치조건에 따라 유입관로(153)의 내경측에 관통되거나 외경측에 접촉되는 코일상태로 배치되어 최대의 접촉면적을 갖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열전달이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로(155)에는 정화되는 공기를 배기하는 팬(179)이 설치되어 실내 또는 실외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 팬(179)의 일측에는 냉각기(178)가 더 구비되어 원하는 온도로 냉각이 안될 경우 또는 신속한 냉각을 원할 경우 냉각기를 구동하여 원하는 배기온도를 구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열교환수단(170)은, 유입관로가 복수개로 분할설치되면서 각각 설치되는 밸브로서 개폐가 가능토록 되고 그 외측에 입구 및 출구측에 제1전자밸브(171)를 갖는 제2열전달코일(173)이 각각 설치되는 구성으로 냉각상태에 따라 분할되는 각각의 유입관로를 통과할 때 원하는 온도의 구현이 가능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제1열교환수단(130)은, 유입관로가 복수개로 분할설치되면서 각각 설치되는 밸브로서 개폐가 가능토록 되고 그 외측에 입구 및 출구측에 제2전자밸브(135)를 갖는 제1열전달코일(133)이 각각 설치되는 구성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각각의 제1열전달코일(133) 열을 신속하게 전달받아 초기 동작시 신속한 온도상승이 가능토록 된다.
한편, 상기 배출관로(155)는 챔버(105)의 내측 또는 외측에 노출토록 외부배출관(172)이 더 연결되어 정화된 공기를 챔버의 내측 또는 외부에 배출토록 되고, 상기 유입관로(153) 역시 실내 또는 실외공기를 유입토록 외기유입관(174)이 더 연결되는 구성으로 챔버(105) 내부의 공기 상태에 따라 실내공기만을 유동하거나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켜 정화토록 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은 시험 대상 엔진(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부재(200)를 통하여 열원이 공급토록 된다.
즉, 엔진 다이나모를 통한 검사시 엔진의 동작으로 엔진외부로 발생되는 열을 엔진의 외측에 설치되는 커버부재(200)에 의해 포집된 후 챔버(105)에 설치되는 정화기케이싱(101)의 열원으로 사용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커버부재(200)의 상단에 연결되는 정화기(101)의 설치위치에 상관없이 열포집관(230)이 주름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이 용이하며, 상기 열포집관(230)을 정화기에 연결시 제1열교환수단(130)의 제1열전달코일(133)을 통하여 정화라인(150)에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토록 함으로써 정화라인(150)의 촉매필터(151)가 최적의 상태에서 오염공기를 포집토록 한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200)는, 승하강수단(210)이 연결되면서 외부에 상향경사지는 복수의 공기유동베인(230)이 일체로 관통되는 구성으로 미 사용시에는 상승되어 엔진(100)의 장착 및 분리가 가능토록 되면서 사용시에는 하강되어 열의 포집과 소음등의 확산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200)는, 그 측면에 형성되는 공기유동베인(230)을 통하여 대류에 의한 커버부재 내측의 공기가 유동할 때 외부 공기가 신속하게 유입토록 하면서 소음의 외부 누출을 최소화 하게 되는 것이다.
100...엔진 110...배기관
151...촉매필터 153...유입관로
155...배출관로 177...배기노즐
178...냉각기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자동차 또는 엔진에서 발생되는 열을 열원포집부에 의해 포집하고,
    상기 열원포집부에 의해 포집되는 열의 일부를 제1열교환수단을 통하여 오염된 공기가 유입하면서 촉매필터가 내장되는 정화라인 입구측의 유입관로상에 열을 전달하여 촉매필터에 유입되는 오염공기를 고온으로 가열하고,
    상기 정화라인의 출구측에 연결되는 배출관로를 유입관로의 일측에 설치되면서 유입되는 공기와 접촉토록 연결되는 제2열교환수단에 통과시켜 냉각한 후 외부로 배출토록 설치되는 자동차 검사실용 공기조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포집부는, 자동차의 머플러에 연결되는 배기관으로 이루어져 배기관의 열을 제1열교환수단에 공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검사실용 공기조화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포집부는, 엔진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열을 전달토록 설치되는 열포집관으로 이루어져 열포집관의 열을 제1열교환수단에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검사실용 공기조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커버부재는, 승하강수단이 연결되면서 외부에 상향경사지는 복수의 공기유동베인이 일체로 관통되어 대류에 의한 공기순환이 원활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수단은, 가이드와 상기 커버부재에 연결되는 리프터로서 이루어져 승하강이 가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검사실용 공기조화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교환수단은, 배기관의 일부가 분기되어 유입관로의 내경에 위치하거나 외경에 접촉토록 설치되는 제1열전달코일로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열교환수단은, 정화라인의 출구측에 연결되는 배출관로가 연장되어 유입관로의 외경측에 접촉되거나 내경측에 노출토록 설치되는 제2열전달코일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검사실용 공기조화 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교환수단은, 유입관로가 복수개로 분할설치되면서 개폐가 조절토록 되고, 분할되는 유입관로의 외측에 입구 및 출구측에 제1전자밸브를 갖는 제2열전달코일이 순차로 연결되어 다단 냉각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검사실용 공기조화 시스템.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교환수단은, 유입관로를 복수개로 분할설치하면서 각각 개폐가능토록 설치한 후 그 외측에 입구 및 출구측에 제2전자밸브를 갖는 제1열전달코일을 순차로 연결하여 분할되는 공기를 동시에 가열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검사실용 공기조화 시스템.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교환수단의 단부에는 챔버의 내측으로 공기를 토출토록 배기노즐이 더 연결되고,
    상기 배기노즐의 공기를 외부에 토출토록 배기노즐의 일부가 분기되어 챔버의 외부와 외부배출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유입관로는 실내공기를 유입하면서 그 일부가 실외공기를 유입토록 외기유입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검사실용 공기조화 시스템.
KR1020130013008A 2013-02-05 2013-02-05 자동차 검사실용 공기조화 시스템 KR101323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008A KR101323634B1 (ko) 2013-02-05 2013-02-05 자동차 검사실용 공기조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008A KR101323634B1 (ko) 2013-02-05 2013-02-05 자동차 검사실용 공기조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3634B1 true KR101323634B1 (ko) 2013-11-05

Family

ID=49856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008A KR101323634B1 (ko) 2013-02-05 2013-02-05 자동차 검사실용 공기조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6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07494B3 (de) 2020-03-18 2021-08-2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Prüfstand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184A (ko) * 1996-11-27 1998-08-17 송길홍 산업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JP2004162928A (ja) * 2002-11-08 2004-06-10 Azusa Sekkei:Kk 空調換気設備及び空調換気方法
KR100942014B1 (ko) 2008-11-06 2010-02-12 삼우시스템 (주) 공기조화장치
KR101057276B1 (ko) 2009-04-03 2011-08-16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보일러 배기열 회수형 환기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184A (ko) * 1996-11-27 1998-08-17 송길홍 산업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JP2004162928A (ja) * 2002-11-08 2004-06-10 Azusa Sekkei:Kk 空調換気設備及び空調換気方法
KR100942014B1 (ko) 2008-11-06 2010-02-12 삼우시스템 (주) 공기조화장치
KR101057276B1 (ko) 2009-04-03 2011-08-16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보일러 배기열 회수형 환기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07494B3 (de) 2020-03-18 2021-08-2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Prüfstand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746912U (zh) 一种VOCs有机废气处理设备
JP4812706B2 (ja) ガスタービン吸気装置
KR20140098453A (ko) 촉매 재생 기능이 강화된 비상 발전기의 배기가스 정화장치
US20160250908A1 (en) Vehicle heating device
US20120079814A1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CN104213967A (zh) 具有集成的碳氢化合物吸收器的废热回收系统及其方法
KR101539594B1 (ko) 송풍 에너지 절약형 외기 냉방 시스템
CN106247355A (zh) 一种高浓度恶臭气体催化氧化除臭设备及其除臭方法
CN111963279A (zh) 一种dpf管道式热风循环加热装置
KR101323634B1 (ko) 자동차 검사실용 공기조화 시스템
KR200410837Y1 (ko) 히팅수단을 갖는 선박용 엔진룸 통기장치
KR102314452B1 (ko) 스마트 공조장치
CN212882485U (zh) 一种车载式活性炭原位再生移动脱附装置
KR101776255B1 (ko) 내부에 열교환 유로를 구비한 배기가스 저감장치
CN105327589A (zh) 废气处理系统
KR102269521B1 (ko) 스마트 공조장치
JP4010807B2 (ja) 空気調和装置
CN211586022U (zh) 一种节能型废气催化氧化装置
CN106196104B (zh) 蓄热式催化分解床热能回收系统
EP2159389B1 (en) Ventilation system for after-treatment compartment
US8312714B1 (en) Heat recovery silencer
KR100553193B1 (ko) 재생식 매연 포집기
CN219412751U (zh) 一种具有旁通阀的egr冷却器总成
CN203879581U (zh) 排烟净化设备
CN216240959U (zh) 发电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