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547B1 -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안내방법 - Google Patents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안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547B1
KR101322547B1 KR1020120062512A KR20120062512A KR101322547B1 KR 101322547 B1 KR101322547 B1 KR 101322547B1 KR 1020120062512 A KR1020120062512 A KR 1020120062512A KR 20120062512 A KR20120062512 A KR 20120062512A KR 101322547 B1 KR101322547 B1 KR 101322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ment
distance
travel
destination
utiliza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복훈
Original Assignee
한국옐로우페이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옐로우페이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옐로우페이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2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25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Abstract

본 발명은 이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로 이동 시 여분의 시간을 운동시간으로 할애하고, 그 할애된 여분의 시간을 이용자의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이동경로로 변환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표시하여 주는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안내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운동경로 안내서버에 접속하는 단계(S100)와; 상기 운동경로 안내서버에 접속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용자가 가고자 하는 목적지로 이동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시간에 해당하는 운동경로 안내를 요청하기 위해 목적지-이동활용시간 입력화면을 출력하는 단계(S200)와; 상기 목적지-이동활용시간 입력화면를 통해 입력된 정보인 출발지와 도착지로 이루어진 목적지 및 이동활용시간 정보를 상기 운동경로 안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300)와; 상기 운동경로 안내서버에서 상기 전송된 목적지 및 이동활용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를 생성하는 단계(S400)와; 상기 운동경로 안내서버에서 이용자가 선정한 목적지가 표시되는 지도에 상기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를 중첩시켜 이동활용시간별 운동안내용 지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500)와; 상기 운동경로 안내서버에서 그 생성된 이동활용시간별 운동안내용 지도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6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안내방법{Exercise guide method based on the user's migration pathway}
본 발명은 이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로 이동 시 여분의 시간을 운동시간으로 할애하고, 그 할애된 여분의 시간을 이용자의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이동경로로 환산하여 이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이동통신단말기에 표시하되, 그 표시되는 이동경로는 이용자가 할애한 시간의 많고 적음에 따라 이동경로가 길어지거나 작아지게 연산되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통해 이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로 이동 시 여분의 시간을 운동시간으로 할애하여 다양한 이동경로로 이동하면서 운동도 겸용함과 더불어 이용자가 운동을 하면서 목적지 주변에 산재되어 있는 관공서, 음식점, 병원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 업종 및 상점 등의 위치도 알고자 할 경우 이를 안내받음으로써 목적지로 지정된 거리의 서비스 업종 및 상점 등의 위치도 인지가 가능한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안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가 점차 서구화 및 산업화됨에 따라 영양 과다 및 운동부족으로 비만율이 높아지고 있고 이에 따른 비만관련 질병 등도 증가하고 있어,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이에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과체중이나 비만을 해결하기 위한 다이어트 관련 프로그램이 제안되고 있다.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공개번호; 10-2001-0074277호)인 휴대용 다이어트 제어기 및 다이어트 제어기를 이용한 다이어트제어방법에서는 전용단말기, PDA, 무선인터넷 단말기 등 데이터 저장장치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작동하여, 이용자의 운동량 및 음식물 섭취량에 대한 입력사항을 기초로 이용자의 체중변화 상태를 평가하고, 그 평가 결과를 이용자의 현재 상태를 닮은 적절한 아바타(avatar)로 표현하여 이용자에게 출력함으로써, 이용자의 체중감량목표를 실현하여 주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다이어트 제어기 및 다이어트 제어기를 이용한 다이어트제어방법은 이용자가 자신이 운동한 운동량을 인지해서 직접 입력해야만 다이어트 구현이 가능하고, 이용자가 다이어트를 수행하기 위해 별도로 운동시간 및 운동장소를 할애(割愛)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로 이동 시 여분의 시간을 운동시간으로 할애하고, 그 할애된 여분의 시간을 이용자의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이동경로로 환산하여 이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이동통신단말기에 표시하되, 그 표시되는 이동경로는 이용자가 할애한 시간의 많고 적음에 따라 이동경로가 길어지거나 작아지게 연산되도록 제어하는 수단이 구비된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다이어트 안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안내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운동경로 안내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운동경로 안내서버에 접속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용자가 가고자 하는 목적지로 이동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시간에 해당하는 운동경로 안내를 요청하기 위해 목적지-이동활용시간 입력화면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목적지-이동활용시간 입력화면를 통해 입력된 정보인 출발지와 도착지로 이루어진 목적지 및 이동활용시간 정보를 상기 운동경로 안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운동경로 안내서버에서 상기 전송된 목적지 및 이동활용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운동경로 안내서버에서 이용자가 선정한 목적지가 표시되는 지도에 상기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를 중첩시켜 이동활용시간별 운동안내용 지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운동경로 안내서버에서 그 생성된 이동활용시간별 운동안내용 지도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운동경로 안내서버에서 상기 전송된 목적지 및 이동활용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된 목적지 및 이동활용시간 정보 중 이동활용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를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연산된 이동거리를 상기 전송된 정보 중 목적지인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에서 그 연산된 이동거리만큼 이동하는 경로인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다.
상기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의 선정은, 출발지에서 사방의 거리진행방향 중 첫 번째 진행방향인 임의의 하나의 진행방향까지 이동한 거리에 해당하는 진행방향지점을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으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단거리 및 상기 출발지에서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까지의 거리를 합산한 거리가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인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보다 작은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에서 도착지까지의 최단거리 및 상기 출발지에서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까지의 거리를 합산한 거리가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인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보다 작은 경우 상기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에서 다음 번째 진행방향인 임의의 하나의 진행방향지점을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다음 번째 진행방향지점에서 도착지까지의 최단거리 및 상기 출발지에서 지금까지 생성된 각 진행방향지점을 경유한 거리를 합산한 거리가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인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보다 작은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다음 번째 진행방향지점에서 도착지까지의 최단거리 및 상기 출발지에서 지금까지 생성된 각 진행방향지점을 경유한 거리를 합산한 거리가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인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보다 작은 경우 상기 다음 번째 진행방향지점에서 그 다음 번째 진행방향인 임의의 하나의 진행방향지점을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그 다음 번째 진행방향지점에서 도착지까지의 최단거리 및 상기 출발지에서 지금까지 생성된 각 진행방향지점을 경유한 거리를 합산한 거리가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인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보다 작은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그 다음 번째 진행방향지점에서 도착지까지의 최단거리 및 상기 출발지에서 지금까지 생성된 각 진행방향지점을 경유한 거리를 합산한 거리가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인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보다 큰 경우 그 다음 번째 진행방향인 임의의 하나의 진행방향지점 선정을 취소하고, 이전 진행방향인 상기 다음 번째 진행방향지점에서 도착지까지 최단거리를 통해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진행방향지점은 이용자가 경유하기를 희망하는 경유장소인 이용자 경유희망 진행방향지점이고, 상기 이용자 경유희망 진행방향지점은 이용자가 선택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로 이동 시 여분의 시간을 운동시간으로 할애하고, 그 할애된 여분의 시간을 이용자의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이동경로로 환산하여 이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이동통신단말기에 표시하되, 그 표시되는 이동경로는 이용자가 할애한 시간의 많고 적음에 따라 이동경로가 길어지거나 작아지게 연산되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통해 이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로 이동 시 여분의 시간을 운동시간으로 할애하여 다양한 이동경로로 이동하면서 운동도 겸용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용자가 운동을 하면서 목적지 주변에 산재되어 있는 관공서, 음식점, 병원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 업종 및 상점 등의 위치도 알고자 할 경우 이를 안내받음으로써 목적지로 지정된 거리의 서비스 업종 및 상점 등의 위치도 인지가 가능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안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안내방법 중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를 생성하는 S400단계를 세세하게 구분하여 각각 나타낸 상세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안내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안내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구성 중 이동통신단말기 부분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안내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구성 중 운동경로 안내서버 부분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안내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구성 중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것으로, 이용자가 활용할 수 있는 시간에 해당하는 운동경로를 안내받는데 필요한 일련의 정보인 UI형태의 각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안내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구성 중 운동경로 안내서버에 탑재되는 운동경로 생성모듈에서,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안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안내방법 중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를 생성하는 S400단계를 세세하게 구분하여 각각 나타낸 상세순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안내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안내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구성 중 이동통신단말기 부분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안내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구성 중 운동경로 안내서버 부분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안내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구성 중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것으로, 이용자가 활용할 수 있는 시간에 해당하는 운동경로를 안내받는데 필요한 일련의 정보인 UI형태의 각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안내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구성 중 운동경로 안내서버에 탑재되는 운동경로 생성모듈에서,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안내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전자도서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시스템이 요구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안내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스템의 구성은 크게 이동통신단말기(100) 및 운동경로 안내서버(200) 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이용자가 가고자 하는 목적지로 이동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시간에 해당하는 운동경로 안내를 후술되는 운동경로 안내서버(200)에 요청하고, 그 요청에 의해 운동경로 안내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이동활용시간별 운동안내용 지도정보를 출력하여 이용자가 열람할 수 있게 제공하는 단말로서, 휴대전화 기능에 인터넷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이 부가된 지능형 단말기이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주요구성은 가고자 하는 목적지로 이동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시간에 해당하는 운동경로를 안내받는데 필요한 일련의 정보가 소리, 문자, 정지화상, 동화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정보로 출력되는 정보표시부(110)와, 그 정보표시부(110)를 통해 출력된 일련의 정보를 참조하여 원하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정보입력부(120)와, 가고자 하는 목적지로 이동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시간에 해당하는 운동경로 안내받는데 필요한 일련의 정보가 UI형태로 저장되는 정보저장부(130)와,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운동경로 안내서버(200)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140)와, 가고자 하는 목적지로 이동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시간에 해당하는 운동경로 안내받기 위해 앞에서 언급한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정보입력부(120)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정보표시부(11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스크린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정보저장부(130)에 저장된 가고자 하는 목적지로 이동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시간에 해당하는 운동경로를 안내받는데 필요한 일련의 정보인 UI형태의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되는 이용자 정보로서, 다음과 같은 UI형태의 화면정보들이 저장되어진다.
즉, 이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정보표시부(110) 상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아이콘을 정보입력부(120)를 통해 조작하면 출력되는 UI인 목적지-이동활용시간 입력화면(310), 운동경로설정 불가안내용 화면(320) 및 경유지 선택화면(330) 등을 포함하며, 도 7 내지 도 11을 주로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은 목적지-이동활용시간 입력화면(310)으로서, 이용자가 목적지를 가기 위해 출발하는 위치인 출발지를 입력하는 난이 구비된 출발지 입력부(311), 이용자가 목적지를 가기 위해 도착하는 위치인 도착지를 입력하는 난이 구비된 도착지 입력부(312), 이용자가 출발지부터 도착지인 목적지까지로 이동하는데 활용가능한 시간을 입력하는 난이 구비된 활용이동시간 입력부(313) 및 출발지 입력부(311), 도착지 입력부(312), 활용이동시간 입력부(313)에 입력된 정보인 출발지 및 도착지로 이루어진 목적지 및 이동활용시간 정보를 운동경로 안내서버(200)로 등록을 요청하는 등록메뉴(314), 후술되는 경유지 선택화면(330)의 출력을 요청하는 경유지 선택메뉴(315)로 이루어진다.
도 8은 운동경로설정 불가안내용 화면(320)으로서, 목적지-이동활용시간 입력화면(310)에서 입력된 정보를 토대로 이동활용시간 정도가 소요되는 이동거리가 출발지 및 도착지까지 최단이동경로에 해당하는 거리인 목적지 최단이동경로의 거리보다 단거리인 경우 이를 이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메시지가 표시된 메시지 표시부(321) 및 목적지-이동활용시간 입력화면(310)을 포함하는 각종 화면의 출력을 요청하는 화면이동메뉴(322)로 이루어진다.
도 9는 경유지 선택화면(330)으로서, 목적지-이동활용시간 입력화면(310)의 경유지 선택메뉴(315)를 클릭 시 출력되는 화면으로, 이용자가 목적지인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의 거리에 위치되어 있는 관공서, 음식점, 병원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 업종 및 상점 등도 어느 곳에 위치되어 있는지 인지할 수 있게 이용자가 위치를 알고자 하는 서비스 업종 및 상점 등을 선택하는 화면이다.
이를 위해, 경유지 선택화면(330)에는 서비스업종 및 상점 등이 분야별로 구분제공되어 이를 선택요청하는 분야별 서비스업종/상점 선택메뉴(331), 선택된 분야에 속하는 각 서비스업종 또는 상점을 선택할 수 있게 표시되는 서비스업종/상점 목록부(332) 및 등록메뉴(333)가 구비되며, 이용자가 경유지 선택화면(330)을 통해 선택한 정보인 서비스업종/상점에 해당하는 경유지 선택정보가 목적지 및 이동활용시간 정보에 취합되어 후술되는 운동경로 안내서버(200)로 전송된다.
여기서, 분야별 서비스업종/상점 선택메뉴(331)에 표시되는 분야별 서비스업종 및 상점에는 운동지역 의류분야, 운동지역 의료분야, 운동지역 식당분야, 운동지역 학원분야, 운동지역 전자상점분야 및 운동지역 관공서분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선택에 따라 각 분야는 가감 조절되어 표시되어진다.
또한, 이용자는 2분야 이상의 서비스업종 또는 상점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0은 복수경로 선택화면(340)으로, 이용자가 선정한 목적지인 출발지(s)부터 도착지(a)까지에 활용할 수 있는 이동활용시간 정도가 소요되는 이동거리를 다양한 이동경로로 표시하여 이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안내하는 복수경로 안내부(341) 및 그 복수경로 안내부(341)에 표시된 복수의 경로 중 임의의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는 난이 구비된 운동경로 선택부(342)로 이루어진다.
도 11은 동일 목적지 내에서 이용자가 지정한 이동활용시간의 많고 적음에 따라 소요되는 이동거리의 장단을 나타내주는 이동활용시간당 운동경로 안내화면으로, 도 11a는 적은 시간에 해당하는 이동활용시간에 따라 이동거리가 짧게 표시되게 안내되는 운동경로 안내부(351)를 갖는 소(少) 이동활용시간 운동경로 안내화면(350)이고, 도 11b는 많은 시간에 해당하는 이동활용시간에 따라 이동거리가 길게 표시되게 안내되는 운동경로 안내부(361)를 갖는 다(多) 이동활용시간 운동경로 안내화면(360)이다.
여기서, 이동활용시간당 운동경로 안내화면은 후술되는 운동경로 안내서버(200)에서 생성되는 이동활용시간별 운동안내용 지도정보가 UI형태로 출력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1의 각 운동경로 안내부(350,360)에는 이용자가 경유지 선택화면(330)에서 서비스업종 및 상점 중 선택한 서비스업종/상점 선택이미지(352,362)가 일예로, 음식점 및 도서관이 표시되고, 상기 이동활용시간별 운동안내용 지도정보 상에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안내하는 실시간 위치안내 이미지(353,363)도 표시된다.
여기서, 이동활용시간 운동경로 안내화면에 이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표시되게 안내하는 방식은 여러 방식이 있다.
일예로, 이동통신단말기(100)에 GPS수신부가 탑재되고, GPS위성을 통해 GPS 전파 신호를 수신하여 GPS 전파 신호에 포함된 항법 데이터(Navigation Data)를 추출하여 운동경로 안내서버(200)에 전송하면, 운동경로 안내서버(200)에서 그 전송된 항법 데이터를 참조하여 이동활용시간별 운동안내용 지도정보 상에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안내하는 실시간 위치안내 이미지(353,363)를 삽입하여 안내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운동경로 안내서버(200)는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항법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의 경도 및 위도 좌표를 연산하는 위치결정서버(도시하지 않음) 및 위치결정서버에서 획득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경도 및 위도 좌표를 운동경로 안내서버(200)로 중계전송하는 위치 센터(도시하지 않음)과 연동하는 구조를 갖는다.
다른 일예로,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안내하는 방식은 공지기술이기 때문에 자세한 언급은 제외하기로 한다.
상기 무선통신부(140)는 운동경로 안내서버(200)와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무선통신부(140)는 방송 수신모듈, 이동통신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망은 BTS, BSC, 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HLR(Home Location Register) 등의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동통신단말기(100)에 대한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등의 기본적인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망이다.
상기 제어부(150)는 이동통신단말기(100)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신호가 발생하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제어하고, 그 실행제어에 의해 정보저장부(130)에서 목적지-이동활용시간 입력화면(310)을 추출하여 정보표시부(110)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정보저장부(130)에서 운동경로설정 불가안내용 화면(320) 또는 경유지 선택화면(330)을 추출하여 정보표시부(110)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각 화면에서 입력된 정보인 출발지 및 도착지로 이루어진 목적지 및 이동활용시간 정보와 경유지 선택정보를 무선통신부(140)를 통해 후술되는 운동경로 안내서버(2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부재다.
이때, 제어부(150)는 목적지 및 이동활용시간 정보와 경유지 선택정보에 이용자의 인증정보도 포함시켜 전송한다.
여기서, 인증정보는 회원 ID정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인증정보 이용되는 회원 ID정보는 운동경로 안내서버에서 운영하는 다이어트관련 웹사이트에 회원으로 가입 시 등록한 정보일 수 있으며, 정보저장부(130)에 저장한 상태로 필요시마다 제어부(150)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추출하여 첨부하여 사용한다.
단, 인증정보가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전화번호이면 이미 운동경로 안내서버(200) 접속시에 운동경로 안내서버(200)에서 취득한 정보이기 때문에 별도로 첨부되지 않는다.
상기 운동경로 안내서버(200)는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인 출발지 및 도착지로 이루어진 목적지 및 이동활용시간 정보와 경유지 선택정보를 참조하여 이용자가 가고자 하는 목적지로 이동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시간에 해당하는 운동경로가 표시된 이동활용시간별 운동안내용 지도정보를 생성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서버이다.
이를 위해, 운동경로 안내서버(200)에는 DB부(210) 및 운동경로 생성모듈(220)이 구비되어진다.
먼저, DB부(210)에는 회원정보 DB(211), 지도정보 DB(212), 분야별 아이콘정보 DB(213) 및 행정구역별 서비스업종/상점 주소정보 DB(214)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회원정보 DB(211)에는 회원의 신상정보, 인증정보, 회원이 요청한 출발지 및 도착지로 이루어진 목적지 및 이동활용시간 정보와 경유지 선택정보가 저장되어진다.
지도정보 DB(212)에는 지도정보가 저장되어진다.
여기서, 지도정보 DB(212)는 운동경로 안내서버(200)에서 자체적으로 구비되어지거나 또는 기존에 구비된 지도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제공서버와 연동하여 제공할 수 있다.
분야별 아이콘정보 DB(213)에는 분야별로 구분된 서비스업종 및 상점을 이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이미지화 된 분야별 아이콘 정보가 저장되어진다.
행정구역별 서비스업종/상점 주소정보 DB(214)에는 분야별로 구분된 서비스업종 및 상점의 주소 정보가 행정구역별로 구분되어 저장되어진다.
상기 운동경로 생성모듈(220)은 목적지 및 이동활용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입력된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를 연산하고, 그 연산된 이동거리를 상기 전송된 정보 중 목적지인 출발지(s)와 도착지 사이에서 그 연산된 이동거리만큼 이동하는 경로인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를 생성하며, 지도정보 DB(212)에서 출발지와 도착지를 포함하는 지도정보를 추출한 후 그 추출된 지도정보에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를 중첩시켜 이동활용시간별 운동안내용 지도정보를 생성하는 모듈이다.
이때, 운동경로 생성모듈(220)은 목적지 및 이동활용시간 정보 중 이동활용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입력된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를 연산한 후 전송된 목적지 및 이동활용시간 정보 중 목적지 정보를 참조하여 출발지 및 도착지 사이의 최단이동경로인 목적지 최단이동경로를 생성한 상태에서 그 연산된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와 목적지 최단이동경로의 거리 중 어느 거리가 단거리(短距離)인지 확인하여 이동활용시간 정도가 소요되는 이동거리가 출발지 및 도착지까지 최단이동경로에 해당하는 거리인 목적지 최단이동경로의 거리보다 단거리인 경우 운동경로설정 불가안내용 화면(320)의 출력을 요청하는 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제어부(150)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운동경로 안내서버(200)로부터 운동경로설정 불가안내용 화면(320)의 출력을 요청하는 신호가 전송되면 정보저장부(130)에서 운동경로설정 불가안내용 화면(320)을 추출하여 정보표시부(110)를 통해 출력한다.
이용자는 출력된 운동경로설정 불가안내용 화면(320)을 열람한 후 재차 이동활용시간을 입력하고자 한다면 화면이동메뉴(322)를 선택하여 목적지-이동활용시간 입력화면(310)의 출력을 요청함으로써, 앞에서 언급한 과정을 반복수행한다.
그리고 운동경로 생성모듈(220)은 목적지 최단이동경로의 거리가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보다 단거리인 경우 연산된 이동거리를 전송된 정보 중 목적지인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에서 그 연산된 이동거리만큼 이동하는 경로인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를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운동경로 생성모듈(220)에서 이동활용시간별 운동안내용 지도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전처리 과정인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 생성과정을 도 1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동경로 생성모듈(220)은 입력된 정보인 목적지 중 출발지(S)에서 사방의 거리진행방향 중 첫 번째 진행방향인 임의의 하나의 진행방향까지 이동한 거리에 해당하는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M1)을 선정한 후 그 선정된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M1)으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단거리 및 출발지에서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M1)까지의 거리를 합산한 거리가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인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보다 작은지 확인한다.
즉, 출발지(S)인 (A1,B3) 좌표지역에서 사방인 (A2,B3) 좌표지역, (A0,B3) 좌표지역, (A1,B2) 좌표지역 및 (A1,B4) 좌표지역 중 어느 한 방향의 좌표지역을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으로 선정한다 하더라도 목적지까지의 최단거리 및 출발지(s)에서 그 선정된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M1)까지의 거리를 합산한 거리가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인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보다 작기 때문에 운동경로 생성모듈(220)은 출발지(S)인 (A1,B3) 좌표지역을 중심으로 제한 없이 앞에서 언급한 사방의 좌표지역 중 어느 좌표지역도 모두 선정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A1,B2) 좌표지역을 선정하는 것으로 한다.
혹시라도 운동경로 생성모듈(220)에서 임의선정되는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으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단거리 및 출발지에서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까지의 거리를 합산한 거리가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인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보다 길 경우에는 그 선정된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의 선정을 취소하고, 다른 좌표지역을 재차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으로 재선정하여 재선정된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으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단거리 및 출발지에서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까지의 거리를 합산한 거리가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인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보다 작은지 재차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이후, 운동경로 생성모듈(220)은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M1)에서 임의의 다음 번째 진행방향인 두 번째 진행방향지점(M2)을 선정하고, 그 선정된 다음 번째 진행방향인 두 번째 진행방향지점(M2)에서 도착지까지의 최단거리 및 출발지(s)에서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M1)을 경유한 거리를 합산한 거리가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인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보다 작은지 확인한다.
이때에도,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M1)인 (A1,B2) 좌표지역에서 사방인 (A2,B2) 좌표지역, (A0,B2) 좌표지역, (A1,B1) 좌표지역 및 (A1,B3) 좌표지역 중 어느 한 방향의 좌표지역을 두 번째 진행방향지점으로 선정한다 하더라도 목적지까지의 최단거리 및 출발지(s)에서 경유한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M1) 및 4방향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두 번째 진행방향지점까지의 거리를 합산한 거리가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인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보다 작기 때문에 운동경로 생성모듈(220)은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M1)인 (A1,B2) 좌표지역을 중심으로 제한 없이 앞에서 언급한 사방의 좌표지역 중 어느 좌표지역도 모두 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동경로 생성모듈(220)은 계속 다음번째 진행방향지점을 선택한다. 이때, 계속 선정되는 다음번째 진행방향지점의 경우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세 번째 진행방향지점(M3)에서 일곱 번째 진행방향지점(M7)까지의 경우 그 선정되는 각 진행방향지점(M3~M7)의 좌표지역 중 어느 한 방향의 좌표지역을 진행방향지점으로 선정한다 하더라도 목적지까지의 최단거리 및 출발지(s)에서 경유한 각 진행방향지점 및 4방향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선정되는 각 진행방향지점까지의 거리를 합산한 거리가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인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보다 작기 때문에 운동경로 생성모듈(220)은 선정되는 각 진행방향지점(M3~M7)인 좌표지역을 중심으로 제한 없이 어느 좌표지역도 모두 선정할 수 있다.
그런데 여덟 번째 진행방향지점(M8)부터는 그 여덟 번째 진행방향지점(M8)인 (A2,B4) 좌표지역에서 사방인 (A3,B4) 좌표지역, (A1,B4) 좌표지역, (A2,B3) 좌표지역 및 (A2,B5) 좌표지역 중 (A2,B3) 좌표지역 및 (A1,B4) 좌표지역을 아홉 번째 진행방향지점으로 선정할 경우 그 아홉 번째 진행방향지점에서 목적지까지의 최단거리 및 출발지(s)에서 경유한 각 진행방향지점(M1~M8)의 합산거리가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인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보다 길어지기 때문에 (A3,B4) 좌표지역 또는 (A2,B5) 좌표지역만 아홉 번째 진행방향지점(M9)으로 선정이 가능하다.
이를 토대로, 운동경로 생성모듈(220)은 마지막 진행방향지점(M9 및 M10)까지 선정하는데 가능한 진행방향지점(M9 및 M10)만 선정하여 도착지(a)까지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를 생성함으로써, 이를 토대로 이동활용시간별 운동안내용 지도정보를 제작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또한, 운동경로 생성모듈(220)은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전송된 정보에 경유지 선택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서비스업종/상점에 해당하는 경유지 선택정보를 이용자가 경유하기를 희망하는 경유장소인 이용자 경유희망 진행방향지점으로 설정함으로써, 선정하고자 하는 진행방향지점을 이용자 경유희망 진행방향지점으로 대체하여 선정되도록 프로그래밍화되어진다.
이와 같은, 시스템을 통해 본 발명의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안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용자는 자신이 소유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정보표시부(130)를 통해 표시되는 실행 아이콘(도시하지 않음)을 클릭하여 본 발명을 서비스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제어부(150)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운동경로 안내서버(200)에 접속(S100)함과 동시에 정보저장부(130)에 저장된 목적지-이동활용시간 입력화면(310)을 추출한 후 이를 정보표시부(130)를 통해 출력(S200)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이용자는 출력된 목적지-이동활용시간 입력화면(310)에서 정보입력부(120)를 조작하여 출발지 입력부(311)에는 이용자가 목적지를 가기 위해 출발하는 위치인 출발지를 입력하고, 도착지 입력부(312)에는 이용자가 목적지를 가기 위해 도착하는 위치인 도착지를 입력하며, 활용이동시간 입력부(313)에는 이용자가 출발지부터 도착지인 목적지까지로 이동하는데 활용가능한 시간을 입력하면, 입력된 정보인 출발지 및 도착지로 이루어진 목적지 및 이동활용시간 정보는 임시저장된다.
이때, 이용자가 운동을 하면서 목적지인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의 거리에 위치되어 있는 관공서, 음식점, 병원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 업종 및 상점 등의 위치를 인지하고자 할 경우 목적지-이동활용시간 입력화면(310)에 구비된 경유지 선택메뉴(315)를 클릭한다.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제어부(150)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은 경유지 선택메뉴(315)의 클릭에 의해 경유지 선택화면(330)의 출력이 요청되면, 정보저장부(130)에서 경유지 선택화면(330)을 추출한 후 이를 정보표시부(1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이용자는 출력된 경유지 선택화면(330)에서 분야별 서비스업종/상점 선택메뉴(331)를 열람한 후 운동 중 위치를 알고자 하는 해당 분야별 서비스업종/상점 선택메뉴(331)를 선택한다.
이후, 이용자는 경유지 선택화면(330)에 표시된 서비스업종(여기서는 의료분야)의 세부항목에서 원하는 항목을 선택한 후 등록메뉴(333)를 클릭하면, 제어부(150)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은입력된 경유지 선택정보와 임시저장된 출발지 및 도착지로 이루어진 목적지 및 이동활용시간 정보를 취합하여 무선통신부(140)를 통해 운동경로 안내서버(200)로 전송(S300)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전송되는 출발지 및 도착지로 이루어진 목적지 및 이동활용시간 정보와 경유지 선택정보에는 이용자의 인증정보가 취합되어 전송되어진다.
운동경로 안내서버(20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전송되는 출발지 및 도착지로 이루어진 목적지, 이동활용시간 정보, 경유지 선택정보 및 인증정보 중 인증정보를 참조하여 회원정보 DB(211)에 그 전송된 정보를 저장한 후 운동경로 생성모듈(220)을 운영하여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를 생성(S400)한다.
운동경로 생성모듈(220)에서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의 세부생성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동경로 생성모듈(220)은 전송된 목적지 및 이동활용시간 정보 중 이동활용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를 연산(S410)한다.
이후, 운동경로 생성모듈(220)은 전송된 목적지 및 이동활용시간 정보 중 목적지 정보를 참조하여 출발지 및 도착지 사이의 최단이동경로인 목적지 최단이동경로를 생성(S420)한 상태에서 그 연산된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와 목적지 최단이동경로의 거리 중 어느 거리가 단거리(短距離)인지 확인(S430)하여 이동활용시간 정도가 소요되는 이동거리가 출발지 및 도착지까지 최단이동경로에 해당하는 거리인 목적지 최단이동경로의 거리보다 단거리인 경우 운동경로설정 불가안내용 화면(320)의 출력을 요청하는 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제어부(150)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운동경로 안내서버(200)로부터 운동경로설정 불가안내용 화면(320)의 출력을 요청하는 신호가 전송되면 정보저장부(130)에서 운동경로설정 불가안내용 화면(320)을 추출하여 정보표시부(110)를 통해 출력(S450)한다.
이용자는 출력된 운동경로설정 불가안내용 화면(320)을 열람한 후 재차 이동활용시간을 입력하고자 한다면 화면이동메뉴(322)를 선택하여 목적지-이동활용시간 입력화면(310)의 출력을 요청함으로써, 앞에서 언급한 과정을 반복수행한다.
또한, 운동경로 생성모듈(220)은 목적지 최단이동경로의 거리가 상기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보다 단거리인 경우에는 연산된 이동거리를 전송된 정보 중 목적지인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에서 그 연산된 이동거리만큼 이동하는 경로인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를 생성(S440)하는데, 그 세부과정은 다음과 같다.
운동경로 생성모듈(220)은 출발지(s)에서 사방의 거리진행방향 중 첫 번째 진행방향인 임의의 하나의 진행방향까지 이동한 거리에 해당하는 진행방향지점을 선정(S441)하고, 그 선정된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으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단거리 및 출발지에서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까지의 거리를 합산한 거리가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인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보다 작은지 확인(S442)한다.
먼저, 운동경로 생성모듈(220)에서 임의선정되는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으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단거리 및 출발지에서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까지의 거리를 합산한 거리가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인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보다 길 경우에는 그 선정된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의 선정을 취소하고, 다른 좌표지역을 재차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으로 재선정(S448)하여 재선정된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으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단거리 및 출발지에서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까지의 거리를 합산한 거리가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인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보다 작은지 재차 확인(S442)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그리고 운동경로 생성모듈(220)은 선정된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에서 도착지까지의 최단거리 및 출발지에서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까지의 거리를 합산한 거리가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인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보다 작은 경우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에서 다음 번째 진행방향인 임의의 하나의 진행방향지점을 선정(S443)하고, 그 선정된 다음 번째 진행방향지점에서 도착지까지의 최단거리 및 상기 출발지에서 지금까지 생성된 각 진행방향지점을 경유한 거리를 합산한 거리가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인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보다 작은지 확인(S444)한다.
여기서, 운동경로 생성모듈(220)은 선정된 다음 번째 진행방향지점에서 도착지까지의 최단거리 및 상기 출발지에서 지금까지 생성된 각 진행방향지점을 경유한 거리를 합산한 거리가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인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보다 큰 경우 다음 번째 진행방향인 임의의 하나의 진행방향지점 선정을 취소하고, 이전 진행방향인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에서 도착지까지 최단거리를 통해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를 생성(S449)한다.
또한, 운동경로 생성모듈(220)은 선정된 다음 번째 진행방향지점에서 도착지까지의 최단거리 및 상기 출발지에서 지금까지 생성된 각 진행방향지점을 경유한 거리를 합산한 거리가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인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보다 작은 경우 다음 번째 진행방향지점에서 그 다음 번째 진행방향인 임의의 하나의 진행방향지점을 선정(S445)하고, 그 선정된 그 다음 번째 진행방향지점에서 도착지까지의 최단거리 및 출발지에서 지금까지 생성된 각 진행방향지점을 경유한 거리를 합산한 거리가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인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보다 작은지 확인(S446)한다.
이후, 운동경로 생성모듈(220)은 선정된 그 다음 번째 진행방향지점에서 도착지까지의 최단거리 및 상기 출발지에서 지금까지 생성된 각 진행방향지점을 경유한 거리를 합산한 거리가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인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보다 작은 경우 추가로 임의의 진행방향지점을 계속 선정하고, 그 선정된 그 다음 번째 진행방향지점에서 도착지까지의 최단거리 및 상기 출발지에서 지금까지 생성된 각 진행방향지점을 경유한 거리를 합산한 거리가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인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보다 큰 경우 그 다음 번째 진행방향인 임의의 하나의 진행방향지점 선정을 취소하고, 이전 진행방향인 상기 다음 번째 진행방향지점에서 도착지까지 최단거리를 통해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를 생성(S447)한다.
이때, 운동경로 생성모듈(220)은 선정되는 이용자가 인지하고자 하는 경유지 선택정보를 진행방향지점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운동경로 생성모듈(220)은 회원정보 DB(211)에 저장된 정보 중 경유지 선택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경유지 선택정보(도면상에서 의료업종 중 안과병원)인 안과병원을 행정구역별 서비스업종/상점 주소정보 DB(214)와 매칭하여 매칭되는 안과병원 관련 주소정보들인 행정구역별 서비스업종/상점 주소정보들을 추출하되, 목적지 주변, 출발지 주변 및 목적지와 출발지 사이에 위치하는 행정구역별 서비스업종/상점 주소정보들만 추출한 상태에서 이를 진행방향지점 즉, 이용자가 경유하기를 희망하는 경유장소인 이용자 경유희망 진행방향지점으로 선정하며, 그 선정되는 이용자 경유희망 진행방향지점을 이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분야별 아이콘정보 DB(213)에서 해당 서비스업종인 안과병원 관련 분야별 아이콘을 추출하여 이를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 상에 중첩시켜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를 생성한다.
또한, 운동경로 생성모듈(220)은 이용자가 선정한 목적지인 출발지(s)부터 도착지(a)까지에 활용할 수 있는 이동활용시간 정도가 소요되는 이동거리를 다양한 이동경로 즉, 다수개의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를 생성하여 하나의 화면인 복수경로 선택화면(340)으로 가공하여 제공함으로써, 이용자가 동일한 목적지를 여러 차례 이동한다 하더라도 이동할 때마다 다른 이동경로로 이동할 수 있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후, 운동경로 생성모듈(220)은 지도정보 DB(212)에서 이용자가 선정한 목적지로 이루어진 출발지 및 도착지를 포함하는 지도정보를 추출한 후 그 추출된 지도정보에 생성된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를 중첩시켜 이동활용시간별 운동안내용 지도정보를 생성(S500)한다.
이후, 운동경로 생성모듈(220)은 생성된 이동활용시간별 운동안내용 지도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S600)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이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100)를 통해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로 이동 시 여분의 시간을 운동시간으로 할애하여 다양한 이동경로로 이동하면서 운동을 수행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100 : 이동통신단말기 110 : 정보표시부
120 : 정보입력부 130 : 정보저장부
140 : 무선통신부 150 : 제어부
200 : 운동경로 안내서버 210 : DB부
211 : 회원정보 DB 212 : 지도정보 DB
2123 : 분야별 아이콘정보 DB
214 : 행정구역별 서비스업종/상점 주소정보 DB
220 : 운동경로 생성모듈
310 : 목적지-이동활용시간 입력화면 311 : 출발지 입력부
312 : 도착지 입력부 313 : 활용이동시간 입력부
314,333 : 등록메뉴 315 : 경유지 선택메뉴
320 : 운동경로설정 불가안내용 화면 321 : 메시지 표시부
322 : 화면이동메뉴 330 : 경유지 선택화면
331 : 분야별 서비스업종/상점 선택메뉴
332 : 서비스업종/상점 목록부 340 : 복수경로 선택화면
341 : 복수경로 안내부 342 : 운동경로 선택부
350 : 소 이동활용시간 운동경로 안내화면
351,361 : 운동경로 안내부
360 : 다 이동활용시간 운동경로 안내화면
352,362 : 서비스업종/상점 선택이미지
353,363 : 실시간 위치안내 이미지

Claims (8)

  1.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운동경로 안내서버에 접속하는 단계(S100)와;
    상기 운동경로 안내서버에 접속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용자가 가고자 하는 목적지로 이동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시간에 해당하는 운동경로 안내를 요청하기 위해 목적지-이동활용시간 입력화면을 출력하는 단계(S200)와;
    상기 목적지-이동활용시간 입력화면를 통해 입력된 정보인 출발지와 도착지로 이루어진 목적지 및 이동활용시간 정보를 상기 운동경로 안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300)와;
    상기 운동경로 안내서버에서 상기 전송된 목적지 및 이동활용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를 생성하는 단계(S400)와;
    상기 운동경로 안내서버에서 이용자가 선정한 목적지가 표시되는 지도에 상기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를 중첩시켜 이동활용시간별 운동안내용 지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500)와;
    상기 운동경로 안내서버에서 그 생성된 이동활용시간별 운동안내용 지도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600);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경로 안내서버에서 상기 전송된 목적지 및 이동활용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를 생성하는 S400단계는, 상기 전송된 목적지 및 이동활용시간 정보 중 이동활용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를 연산하는 단계(S410)와; 상기 연산된 이동거리를 상기 전송된 정보 중 목적지인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에서 그 연산된 이동거리만큼 이동하는 경로인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를 생성하는 단계(S440);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산된 이동거리를 상기 전송된 정보 중 목적지인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에서 그 연산된 이동거리만큼 이동하는 경로인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를 생성하는 S440단계는, 출발지에서 사방의 거리진행방향 중 첫 번째 진행방향인 임의의 하나의 진행방향까지 이동한 거리에 해당하는 진행방향지점을 선정하는 단계(S441)와; 상기 선정된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으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단거리 및 상기 출발지에서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까지의 거리를 합산한 거리가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인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보다 작은지 확인하는 단계(S442)와; 상기 선정된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에서 도착지까지의 최단거리 및 상기 출발지에서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까지의 거리를 합산한 거리가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인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보다 작은 경우 상기 첫 번째 진행방향지점에서 다음 번째 진행방향인 임의의 하나의 진행방향지점을 선정하는 단계(S443)와; 상기 선정된 다음 번째 진행방향지점에서 도착지까지의 최단거리 및 상기 출발지에서 지금까지 생성된 각 진행방향지점을 경유한 거리를 합산한 거리가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인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보다 작은지 확인하는 단계(S444)와; 상기 선정된 다음 번째 진행방향지점에서 도착지까지의 최단거리 및 상기 출발지에서 지금까지 생성된 각 진행방향지점을 경유한 거리를 합산한 거리가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인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보다 작은 경우 상기 다음 번째 진행방향지점에서 그 다음 번째 진행방향인 임의의 하나의 진행방향지점을 선정하는 단계(S445)와; 상기 선정된 그 다음 번째 진행방향지점에서 도착지까지의 최단거리 및 상기 출발지에서 지금까지 생성된 각 진행방향지점을 경유한 거리를 합산한 거리가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인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보다 작은지 확인하는 단계(S446)와; 상기 선정된 그 다음 번째 진행방향지점에서 도착지까지의 최단거리 및 상기 출발지에서 지금까지 생성된 각 진행방향지점을 경유한 거리를 합산한 거리가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인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보다 작은 경우 그 다음 번째 진행방향인 임의의 하나의 진행방향지점을 선정하는 S445단계로 진입하여 임의의 진행방향지점을 계속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그 다음 번째 진행방향지점에서 도착지까지의 최단거리 및 상기 출발지에서 지금까지 생성된 각 진행방향지점을 경유한 거리를 합산한 거리가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인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보다 큰 경우 그 다음 번째 진행방향인 임의의 하나의 진행방향지점 선정을 취소하고, 이전 진행방향인 상기 다음 번째 진행방향지점에서 도착지까지 최단거리를 통해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를 생성하는 단계(S44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안내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목적지 및 이동활용시간 정보 중 이동활용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를 연산하는 S410단계 이후,
    상기 전송된 목적지 및 이동활용시간 정보 중 목적지 정보를 참조하여 출발지 및 도착지 사이의 최단이동경로인 목적지 최단이동경로를 생성하는 단계(S420)와;
    상기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와 상기 목적지 최단이동경로의 거리 중 어느 거리가 단거리(短距離)인지 확인하는 단계(S4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목적지 최단이동경로의 거리가 상기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보다 단거리인 경우 상기 연산된 이동거리를 상기 전송된 정보 중 목적지인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에서 그 연산된 이동거리만큼 이동하는 경로인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를 생성하는 S440단계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안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와 상기 목적지 최단이동경로의 거리 중 어느 거리가 단거리(短距離)인지 확인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가 상기 목적지 최단이동경로의 거리보다 단거리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동활용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이동거리가 목적지까지 최단으로 도달하는 거리보다 단거리임을 안내하는 단계(S4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안내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방향지점은 이용자가 경유하기를 희망하는 경유장소인 이용자 경유희망 진행방향지점이고, 상기 이용자 경유희망 진행방향지점은 이용자가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안내방법.
  7.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는 적어도 2개이고, 그 적어도 2개의 이동활용시간별 이동안내경로 중 어느 하나를 이용자가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안내방법.
  8.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활용시간별 운동안내용 지도정보 상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가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안내방법.
KR1020120062512A 2012-06-12 2012-06-12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안내방법 KR101322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512A KR101322547B1 (ko) 2012-06-12 2012-06-12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안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512A KR101322547B1 (ko) 2012-06-12 2012-06-12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안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2547B1 true KR101322547B1 (ko) 2013-10-28

Family

ID=49639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512A KR101322547B1 (ko) 2012-06-12 2012-06-12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안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25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080A (ko) * 2017-07-03 2019-01-11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이용한 걷기운동 종합관리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9100A (ja) * 2002-09-18 2004-04-08 Fumio Mizoguchi 健康管理のため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20100091539A (ko) * 2009-02-10 2010-08-19 주식회사 맵퍼스 운동 트레이닝 장치 및 방법
JP2012047508A (ja) * 2010-08-25 2012-03-08 Toyota Motor Corp 経路案内方法、経路案内システム、センタ及び経路案内情報を表示する表示装置を備える車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9100A (ja) * 2002-09-18 2004-04-08 Fumio Mizoguchi 健康管理のため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20100091539A (ko) * 2009-02-10 2010-08-19 주식회사 맵퍼스 운동 트레이닝 장치 및 방법
JP2012047508A (ja) * 2010-08-25 2012-03-08 Toyota Motor Corp 経路案内方法、経路案内システム、センタ及び経路案内情報を表示する表示装置を備える車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080A (ko) * 2017-07-03 2019-01-11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이용한 걷기운동 종합관리 방법
KR101978038B1 (ko) 2017-07-03 2019-05-13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이용한 걷기운동 종합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9371B1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약속 장소 설정 방법 및시스템
US8301371B2 (en) Point of interest spatial rating search method and system
EP1792141B1 (en) Displaying a map having a close known location
EP2154482A1 (en) Navigation system, method and database using mobile devices
US20130232169A1 (en) Context Enabled Address Selection
WO2016036622A1 (en) Providing in-navigation search results that reduce route disruption
EP3712562B1 (en) Real-time path suggestion for a location-enabled mobile device
JP5560229B2 (ja) 経路探索システム及び経路探索方法
EP2454688B1 (en) Presentation of a digital map
JP2003157206A (ja) 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配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US6559872B1 (en) 1D selection of 2D objects in head-worn displays
US9086296B2 (en) Path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method of providing path information, and terminal
KR101680266B1 (ko) 지역 서비스 정보를 이용한 상황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JP2009093384A (ja) Poi検索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poi検索方法
JP2006242948A (ja) 個人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個人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における経路案内方法
KR101322547B1 (ko) 이용자의 필요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안내방법
JP3511980B2 (ja)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情報表示方法及びシステム
JP6235184B1 (ja) 移動案内装置、移動案内システム、移動案内方法及び移動案内プログラム
JP5930862B2 (ja) 経路案内装置、経路案内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40117112A1 (en) Point service utilizing system, method of utilizing point service, and navigation apparatus
KR101617399B1 (ko) 지도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와 시스템 및 방법
JP6694781B2 (ja) 経路案内装置、経路案内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764735B2 (ja) 経路案内装置、経路案内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110594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サーバ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15052B1 (ko) Poi 정보 제공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