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184B1 - 콘크리트 구조물과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 그 제작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과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 그 제작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184B1
KR101322184B1 KR1020130083499A KR20130083499A KR101322184B1 KR 101322184 B1 KR101322184 B1 KR 101322184B1 KR 1020130083499 A KR1020130083499 A KR 1020130083499A KR 20130083499 A KR20130083499 A KR 20130083499A KR 101322184 B1 KR101322184 B1 KR 101322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concrete structure
steel
steel bea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대성
Original Assignee
비코비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코비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코비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3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21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85Connections not covered by E04B1/21 and E04B1/2403, e.g. connections between structural parts of differen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콘크리트 구조물 저면에 강재빔을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에 있어서 강재빔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콘크리트 구조물과 강재빔의 접합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 그 제작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윙플레이트는 상부 및 하부플레이트 및 수직복부를 포함하여 ㄷ자형 가공부재로 형성되고 수직복부의 내측면에 일측면이 접하도록 개스킷이 설치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과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 그 제작 및 시공방법{WING PLATE FOR CONCRETE AND STEEL STRUCTURE AND CONSTRUTION METHOD THEREWITH}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과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 그 제작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 저면에 강재빔을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에 있어서 강재빔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콘크리트 구조물과 강재빔의 접합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 그 제작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콘크리트 구조물(10)과 강재빔(20)을 서로 앵커볼트(30)에 의하여 접합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강재빔(20)은 H형강과 같은 상부플랜지(21), 복부(22) 및 하부플랜지(23)로 구성된 빔 부재이고, 콘크리트 구조물(10)은 먼저 시공된 것으로서 강재빔(20)을 콘크리트 구조물(10) 저면에 별도로 고정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열화에 의하여 보강이 필요할 때 강재빔(20)을 콘크리트 구조물(10)과 고정시켜 일체로 거동시킬 필요가 있을 때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기본적으로 접착제이다. 하지만 콘크리트 구조물과 강재빔을 서로 접착제로만 고정시키는 것은 접합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지라도 접착제의 성능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저하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통상 기계적 고정수단 즉 앵커볼트(30)가 함께 이용된다.
이러한 앵커볼트(30)는 강재빔(20)의 플랜지(21)를 관통하여 볼트부가 콘크리트 구조물(10)에 형성시킨 앵커홀(11)에 삽입 고정(앵커홀 내부에 볼트부가 물려져 고정될 수 있도록 슬리브 이용)되도록 하고, 상기 앵커홀에 그라우팅재를 충진시켜 결국 앵커볼트(30)가 강재빔(20)을 콘크리트 구조물(10)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하게 된다.
하지만 앵커볼트(30)의 전체 길이(L)는 필요한 접합성능을 가질 수 있도록 정해지게 되는데 만약 강재빔(20)의 높이(H)가 작을 경우 앵커볼트(30)를 양 복부(22)의 상하공간에서 상방으로 앵커홀에 설치하는 것이 어려울 때가 있고,
앵커볼트를 콘크리트 구조물(10)의 하방에서 수직도를 가지고 설치해야 하는데 강재빔(20)의 상,하부 플랜지 사이의 공간(S1)이 충분치 않아 앵커볼트 수직도를 확보하기 어려워 설계대로 앵커볼트의 접합성능을 확보하기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앵커볼트(30)를 설치할 때, 플랜지에 수직으로 앵커볼트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경사지게 앵커볼트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되도록 하기는 하지만 이럴 경우 앵커홀도 대응하여 경사지게 형성시켜야 하고, 강재빔의 플랜지에도 경사지게 설치되는 앵커볼트가 삽입되도록 천공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앵커볼트(30)가 강재빔(20)을 관통하도록 설치하기 때문에 강재빔의 단면손실이 커질 수밖에 없으며 특히 앵커볼트(30)의 설치 개수가 많아지게 되면 이는 강재빔의 내하성능에 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에 종래에는 앵커볼트를 경사지게 설치하되 지그재그로 서로 설치하여 앵커볼트의 설채개수를 줄이기도 하지만 역시 앵커볼트를 강재빔의 양 복부에 형성된 공간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달라지는 것은 아니므로 근본적이 해결책이 될 수 없었다.
또한 특히 강재빔(20)을 콘크리트 구조물(10) 하부에 위치를 세팅할 때 콘크리트 구조물(10) 저면과 강재빔(20) 상면 사이의 이격공간(S2)이 어느 정도 확보되어야 에폭시수지와 같은 접작체(40)의 충진이 가능한데 시공오차 등으로 인하여 강재빔과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이격공간이 일정치 않을 경우 접착제(40)의 충진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충진 자체도 어려울 때가 많아 현장관리 및 품질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앵커홀에 최종 무수축몰탈과 같은 그라우팅재(50)를 주입할 때, 하방에서 상방으로 그라우팅재를 앵커홀에 주입할 때, 그라우팅재가 앵커홀로부터 누출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매우 떨어질 수밖에 없는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효과적인 수단이 마땅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앵커홀을 미리 형성시키고 이러한 앵커홀에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강재빔을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시킴에 있어서, 앵커볼트의 수직도를 확보할 수 있고, 작업공간이 협소하여 작업성이 떨어지지 않으며, 강재빔의 단면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콘크리트 구조물과 강재빔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확보할 수 있어 접착제의 충진이 용이하고, 앵커홀에 하부에서 상방으로 그라우팅재를 충진하여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 그 제작 및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첫째, 강재빔의 플랜지 수직부와 복부 양 측방의 협소한 공간에서 앵커볼트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 플랜지의 양 측면 단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예컨대 ㄷ 자형의 가공된 윙플레이트를 장착하고, 상기 윙 플레이트만을 관통하여 앵커볼트가 앵커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게 된다.
즉, 앵커볼트의 세팅위치가 강재빔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서 강재빔의 플랜지를 관통하지 않도록 하여 앵커볼트 설치작업의 공간협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상기 윙플레이트는 양 플레이트 및 수직복부로 구성되도록 하여 ㄷ 자형의 가공부재로 형성되도록 하고 앵커볼트가 관통될 수 있도록 양 플레이트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관통홀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형성된 앵커홀에 연통되도록 배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윙플레이트는 강재빔의 상부플랜지에 끼워져 고정되므로 윙플레이트의 두께 만큼 강재빔의 상부플랜지와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접착제의 충진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상기 양 플레이트 및 수직복부로 구성되도록 하여 ㄷ 자형의 가공부재로 형성된 윙플레이트에 있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앵커홀에 대응한 앵커홀이 형성된 개스킷을 윙플레이트의 가공단부에 설치하여 앵커홀에 충진된 그라우팅재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였다.
즉, 앵커볼트는 개스킷의 앵커홀에 삽입되어 앵커홀에 볼트부가 삽입되므로 볼트부가 개스킷의 홀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앵커홀로부터 하방으로 누출되는 그라우팅재의 누출을 막아줄 수 있고 그라우팅재는 경화속도가 빠르므로 초기 작업시간동안 그라우팅재의 누출을 막을 수 있기에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직면에 단면높이가 크지 않은 강재빔의 고정 설치에 있어 매우 효과적으로 강재빔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체화 거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앵커볼트의 설치 공간 협소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작업성, 시공성이 뛰어나 앵커볼트 시공관리, 품질관리에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강재빔과 콘크리트 구조물 사이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확보할 수 있어 접착제의 접착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앵커홀에 충전되는 그라우팅재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어 앵커홀에 앵커볼트를 고정이 매우 용이하고 그라우팅재 충전에 대한 품질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윙플레이트의 설치 및 설치개수 조정이 매우 용이하고 탈착이 매우 용이하므로 비숙련자라도 쉽게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콘크리트 구조물과 강재빔을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서로 고정시키는 시공도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 분해 및 설치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과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의 작용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과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의 제작 및 시공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과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
도 2a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과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콘크리트 구조물과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를 간단하게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라 지칭하기로 한다.
상기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는 양 플레이트(110,130), 수직복부(120), 하부플레이트(130) 및 개스킷(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ㄷ자형으로 강판을 이용하여 제작하면 된다.
즉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가진 강판을 가공하여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양 플레이트(110,130)는 수평판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설명을 위하여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30)로 지칭하기로 한다.
상기 수직복부(120)는 양 플레이트(110,130)의 양 일측단부에 일체로 일정한 높이(H1)를 가지도록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30)의 전면과 상면 사이에는 일정한 이격공간(S3)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격공간(S3)을 이용하여 개스킷(140)이 설치된다. 즉 상기 개스킷은 고무재로서 사각블록 형태로 제작되도록 하여 상기 이격공간(S3)에 끼워져 설치되도록 하되 수직복부(120)의 내측면에 일측면이 접하도록 배치하게 된다.
이에 개스킷(140)의 상면과 저면은 상부플레이트(110)의 저면과 하부플레이트(130)의 상면에 접하여 누출방지가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개스킷(140)의 형상, 크기는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의 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을 것이며 반드시 블록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 아니다.
이때 개스킷(140)에는 중앙부에 앵커홀(141)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앵커홀(141)에 대응하여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30)에도 앵커홀(111,131)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부플레이트, 개스킷, 하부플레이트의 앵커홀들(111,131,141)은 도 2b와 같이 상하로 연통되어 앵커볼트(200)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도 2b에 의하면 상기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가 강재빔(300)에 설치되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강재빔(300)은 H형강과 같이 상부플랜지(310), 복부(320) 및 하부플랜지(330)를 포함하여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즉 ㄷ자형 가공부재 형태로서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는 강재빔(300)의 상부플랜지(310)의 양 측면에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고정됨을 알 수 있다.
이에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의 상부플레이트(110) 저면은 강재빔의 상부플랜지(310)의 상면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하부플레이트(130)의 상면은 강재빔의 상부플랜지(310) 저면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개스킷(140)의 타측면은 상부플랜지의 양 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는 강재빔의 상부플랜지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따로 볼트,용접 등을 이용하지 않고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가 상부플랜지에 끼워져 고정(삽입)될 수도 있도록 하게 된다.
즉,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는 강판으로 제작되고 상부,하부플레이트의 상하 높이를 상부플랜지의 두께보다 약간 작게 형성시키면 마찰력에 의하여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를 강재빔의 상부플랜지에 끼워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에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가 강재빔(300)의 상부플랜지(310)에 끼워진 상태에서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의 상부플레이트, 개스킷, 하부플레이트의 앵커홀들이 노출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400)과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의 작용]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의 작용사시도 및 a-a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400)은 저면 하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공간을 이용하여 강재빔(300)이 이격거리(S2)를 가지도록 세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강재빔(300)의 세팅은 가설벤트 등을 이용하여 초기 세팅해 높은 상태에서 콘크리트 구조물(400)과 강재빔(200)이 앵커볼트(200)에 의하여 서로 일체화되면 가설벤트를 해체하여 제거하게 될 것이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저면과 강재빔(300)의 상부플랜지에는 본 발명의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가 개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를 상부플랜지(310)에 먼저 설치한 상태에서 강재빔을 초기 세팅시키게 되면 상기 이격거리는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의 상부플레이트의 두께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일정하게 확보됨을 알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접착체(500)를 강재빔(300)과 콘크리트 구조물(400) 사이의 이격공간(S2)에 일정하게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나아가 천공장치(미도시,드릴머쉰)를 이용하여 강재빔(300)을 초기 세팅되면 본 발명의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가 설치되는 부위를 고려하여 콘크리트 구조물(400)에 천공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앵커홀(410)이 강재빔(300)의 상부플랜지(330) 측방에 위치하도록 형성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 앵커홀(410)을 강재빔의 초기 세팅위치를 기준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앵커홀(410)의 형성작업의 효율성이 매우 뛰어나게 된다.
그 이유는 종래 앵커홀 형성은 강재빔의 상부플랜지 상부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앵커홀을 먼저 형성시키게 되면 강재빔의 상부플랜지의 앵커홀과 연통되도록 하는 것이 시공오차 및 제작오차에 의하여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앵커홀(410)을 콘크리트 구조물(400)에 먼저 형성시키고 이러한 앵커홀의 형성위치에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에 형성된 앵커홀들(131,141,111)이 대응하여 위치시키게 되는데,
본 발명의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는 강재빔의 상부플랜지에 탈착도 가능하여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의 설치위치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시공 및 제작오차를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로서 강재빔의 초기 세팅 및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일체화 작업은 그 작업성 및 시공성이 매우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이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앵커홀(410)과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의 앵커홀들이 서로 연통되도록 세팅되면, 앵커볼트(200)의 볼트부(220)가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의 앵커홀들(111,141,111)을 관통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앵커홀(410)에 삽입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앵커볼트의 머리부(230)는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의 하부플레이트 저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나아가 상기 앵커홀(410)에 무수축몰탈과 같은 그라우팅재(420)를 주입하게 된다. 이러한 주입은 앵커볼트(200)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주입홀(210)들을 이용하면 되는데 이러한 그라우팅재(420)는 경화되기 전에는 앵커홀(410)에 주입되더라도 누출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에는 개스킷(14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앵커볼트(200)를 따라 그라우팅재(420)가 하방으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말하자면 개스킷(140)은 고무재질로 탄성을 가지고 있어 앵커볼트(200)가 개스킷을 관통할 때 개스킷(140)의 앵커홀(141)에 압착되어 그라우팅재가 앵커홀주위의 상부 플레이트(110)의 저면을 통해 누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시간이 경과되면 그라우팅재(420)는 경화되므로 앵커볼트(200)를 확실하게 콘크리트 구조물(400)에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의 상부 플레이트(110)에 의하여 강재빔(300)은 이격공간(S2)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으므로 접착제(500)를 상기 이격공간에 주입하여 접착제(500)에 의한 강재빔(300)과 콘크리트 구조물(200)의 일체화 거동을 또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로서 앵커볼트(200)는 강재빔(300)의 양 측방공간을 이용하여 수직도를 얼마든지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강재빔(300)의 간섭없이 앵커볼트를 설치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어 종래와 같이 앵커볼트 설치를 위한 강재빔의 단면손실도 없을 뿐 아니라, 앵커볼트의 수직도를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어 그 시공 및 품질관리가 매우 용이하고, 그라우팅재의 누출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400)과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의 제작 및 시공방법]
도 4a 및 도 4b는 콘크리트 구조물(400)과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의 제작 및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콘크리트 구조물(400)은 이미 기 시공된 구조물로 전제하고, 강재빔(300)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400)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살펴보면,
즉, 도 4a와 같이 강재빔(300)은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상부플랜지(310), 복부(320) 및 하부플랜지(330)를 포함하는 H형 빔 형태로 제작된 것을 준비하게 된다.
이러한 강재빔(300)에는 미리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를 장착하게 되는데 이는 강재빔의 상부플랜지 양 측면에 위치하도록 하되 상부플랜지를 따라 복수개가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가설벤트(미도시)를 콘크리트 구조물 하부에 설치하고 강재빔(300)을 초기 세팅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강재빔(300)의 초기 세팅 위치에서 강재빔의 상부플랜지 측방에 앵커홀(410)을 강재빔의 상부플랜지를 따라 복수개를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형성시키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4b와 같이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에 형성된 앵커홀들이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앵커홀(410)에 연통되도록 하고, 앵커볼트(200)를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를 관통하도록 하게 된다.
이에 상기 볼트부는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의 하부플레이트, 개스킷, 상부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하게 된다.
이로서 앵커볼트의 볼트부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앵커홀(410)에 삽입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상기 앵커볼트(200)의 주입홀(210)에 그라우팅재(500)가 상방으로 앵커볼트를 거쳐 앵커홀(410)에 주입시키게 되는데 본 발명의 개스킷(140)에 의하여 경화전이라도 앵커홀로부터 누출되지 않게 된다.
최종 그라우팅재가 경화되면 콘크리트 구조물(400)과 강재빔(300)의 상부플랜지(310)의 이격공간(S2)에 접착제를 주입하게 되며 접착제가 역시 경화되면 강재빔(300)은 콘크리트 구조물(400)에 완전히 고정되어 일체화 거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서 본 발명은 앵커볼트(200)를 공간 협소와 상관없이 용이하게 수직도를 확보하면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강재빔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되며, 접착제의 일정한 주입이 가능하여 시공성 및 작업성이 크게 증진되어 품질관리가 보다 용이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
110: 상부플레이트 111: 앵커홀
120: 수직복부 130: 하부플레이트
131: 앵커홀 140: 개스킷
141: 앵커홀 200: 앵커볼트
210: 주입홀 220: 볼트부
230: 머리부 300: 강재빔
310: 상부플랜지 320: 복부
330: 하부플랜지 400: 콘크리트 구조물
410: 앵커홀 420: 그라우팅재
500: 접착제

Claims (3)

  1. 강판을 가공하여 ㄷ자형 부재로 형성된 것으로서
    수평판 형태로서 앵커홀(111,131)이 각각 형성된 양 플레이트(110,130);
    상기 양 플레이트(110,130)의 양 일측단부에 일체로 일정한 높이(H1)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양 플레이트의 전면과 상면 사이에 일정한 이격공간(S3)이 형성된 수직복부(120); 및
    상기 이격공간(S3)에 끼워져 설치되도록 하되 수직복부(120)의 내측면에 일측면이 접하도록 배치되며 앵커홀(141)이 형성된 개스킷(140);을 포함하며,
    상기 앵커홀(111,131,141)들이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되며 강재빔의 플랜지 측방에 끼워져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개스킷(140)이 플랜지 측면에 접하도록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홀(111,131,141)들의 콘크리트면과 수직으로 앵커볼트(200)가 배치되어 앵커볼트의 볼트부가 앵커홀들을 관통하도록 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앵커홀(410)에 상기 볼트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
  3. 수평판 형태로서 앵커홀(111,131)이 각각 형성된 양 플레이트(110,130); 상기 양 플레이트(110,130)의 양 일측단부에 일체로 일정한 높이(H1)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양 플레이트(110,130)의 전면과 상면 사이에 일정한 이격공간(S3)이 형성된 수직복부(120); 및 상기 이격공간(S3)에 끼워져 설치되도록 하되 수직복부(120)의 내측면에 일측면이 접하도록 배치되며 앵커홀(141)이 형성된 개스킷(140);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를 제작하여 구비하고,
    콘크리트 구조물(400)에 초기 세팅된 강재빔의 플랜지 측방에 앵커홀(410)을 형성시키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과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100)의 앵커홀들(111,131,141)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앵커홀(410)과 연통되도록 하고,
    강재빔(300)의 양 측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앵커볼트(300)가 상기 앵커홀들에 수직으로 삽입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앵커홀(410)에 그라우팅재(420)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 제작 및 시공방법.
KR1020130083499A 2013-07-16 2013-07-16 콘크리트 구조물과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 그 제작 및 시공방법 KR101322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499A KR101322184B1 (ko) 2013-07-16 2013-07-16 콘크리트 구조물과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 그 제작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499A KR101322184B1 (ko) 2013-07-16 2013-07-16 콘크리트 구조물과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 그 제작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2184B1 true KR101322184B1 (ko) 2013-10-28

Family

ID=49639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499A KR101322184B1 (ko) 2013-07-16 2013-07-16 콘크리트 구조물과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 그 제작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21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25686A (zh) * 2015-11-26 2016-04-27 沈阳建筑大学 采用螺栓的预制混凝土叠合楼板与h型钢梁的连接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354Y1 (ko) 2002-05-23 2002-08-13 주식회사 한국피엔알건설 콘크리트 보수/보강용 탄성판 연결부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354Y1 (ko) 2002-05-23 2002-08-13 주식회사 한국피엔알건설 콘크리트 보수/보강용 탄성판 연결부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25686A (zh) * 2015-11-26 2016-04-27 沈阳建筑大学 采用螺栓的预制混凝土叠合楼板与h型钢梁的连接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139B1 (ko) 클램프를 이용한 단면증설 내진보강구조 및 단면증설 내진보강공법
KR101060708B1 (ko) 내진 보강용 철골 구조물 접합구조 및 접합공법
KR20170005991A (ko) Phc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956879B1 (ko) 응력분산형 마이크로파일
JP2012180721A (ja) 既設構造物の耐震補強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168876B1 (ko) Src 접합 구조 및 접합 공법
KR200409056Y1 (ko) 토목용 토류판의 보강구조
KR102099207B1 (ko)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내진보강공법
KR20180137268A (ko)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101322184B1 (ko) 콘크리트 구조물과 강재 접합용 윙플레이트, 그 제작 및 시공방법
KR101814904B1 (ko) 멀티 조인트형 가새 구조물, 멀티 조인트형 가새 구조물을 이용한 개구부 보강구조 및 멀티 조인트형 가새 구조물을 이용한 개구부 보강방법
KR100975033B1 (ko) 피에이치씨 말뚝을 이용한 흙막이 벽의 시공방법
KR101845717B1 (ko) 힌지형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20110029454A (ko) 역타공법에 사용되는 기둥 하부 기초의 보강 구조
KR101323945B1 (ko) 가변형 프리스트레스 구조를 갖는 흙막이 공법용 띠장재
KR20150010421A (ko) 캡빔 구조체
KR101845078B1 (ko) 유동식 연결부재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101908356B1 (ko) 내진보강용 이중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20110049064A (ko)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내진 보강공법
KR101352884B1 (ko) 강재조립체 고정용 기초구조물 시공방법
KR20180135656A (ko) 앵커플레이트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101553865B1 (ko) 전단보강플레이트가 장착된 phc 파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KR101414053B1 (ko) Phc 말뚝의 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phc 말뚝의 두부 보강방법
JP2017180075A (ja) 鋼矢板の補修工法および補修構造ならびに同補修工法に用いる充填材漏れ防止部材
JP6083001B1 (ja) 建造物の補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