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807B1 - 바운싱 크래들 - Google Patents

바운싱 크래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0807B1
KR101320807B1 KR1020097000173A KR20097000173A KR101320807B1 KR 101320807 B1 KR101320807 B1 KR 101320807B1 KR 1020097000173 A KR1020097000173 A KR 1020097000173A KR 20097000173 A KR20097000173 A KR 20097000173A KR 101320807 B1 KR101320807 B1 KR 101320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bar
backrest
base frame
piv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0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1549A (ko
Inventor
호칸 베리크비스트
Original Assignee
베이비비욘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11034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2080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베이비비욘 에이비 filed Critical 베이비비욘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90031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1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10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 A47D13/107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resiliently suspended or supported, e.g. baby bounc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2Children's chair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11Baby bouncer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베이스 프레임 (10), 등받이 (20), 이 등받이 (20) 를 위하여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 (10) 에 의해 지탱되는 제 1 피벗 장착부 (12), 상기 등받이 (20) 에 고정식으로 연결되며 등받이 (20) 아래쪽에 상기 제 1 피벗 장착부 (12) 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하는 아암 (22) 을 포함하며, 상기 아암은 제 2 피벗 장착부 (22, 23) 를 통해 조정 장치 (40) 에 연결되며, 이 조정 장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10) 에 대한 상기 등받이 (20) 의 상이한 경사각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적어도 2개의 리세스 (51, 52) 를 가지며, 상기 리세스는 제 2 피벗 장착부 (22, 23) 로부터 상이한 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 (10) 에 의해 지탱되는 바 (14) 를 수용할 수 있으며, 이 바 (14) 는 상기 제 1 피벗 장착부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바 (14), 상기 아암 (22) 및 상기 제 1 및 제 2 장착부 (12, 22) 는 축선이 평행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 (10) 은 실질적으로 수평인 바닥에 세워지도록 되어 있는 바운싱 크래들. 상기 조정 장치 (40) 는 측부 (61) 를 갖는 기다란 관통 개구 (60) 를 가지며, 이 측부는 하방으로 비스듬하게 회전되어 상기 제 1 피벗 장착부 (12) 와 대향하며, 리세스 (51, 52, 53) 가 이 측부에 위치한다. 상기 각각의 리세스 (51, 52, 53) 는 상기 바 (14) 를 지지하면서 수용하는 바닥부 (62), 및 하방으로 기울어져 상기 제 1 피벗 장착부를 향하면서 상기 개구 (60) 에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 (63) 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97000173
안락의자, 어린이, 크래들

Description

바운싱 크래들{A BOUNCING CRADLE}
본 발명은 독립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기재된 종류의 바운싱 크래들 (bouncing cradle), 또는 바운시 체어 (bouncy chair) 에 관한 것이다.
요컨대, 본 발명은 평평한 바닥면에 놓이는 베이스 프레임, 등받이를 위하여 배치되며 베이스 프레임에 의해 지탱되는 제 1 피벗 장착부를 위한 등받이, 등받이에 고정식으로 연결되며 등받이 아래쪽에 제 1 피벗 장착부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하는 아암을 포함하는 종류의 바운싱 크래들 (어린이용 안락의자) 에 관한 것으로, 아암은 제 2 피벗 장착부를 통해 조정 장치 (40) 에 연결되며, 이 조정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등받이의 상이한 경사각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적어도 2개의 리세스를 가지며, 이 리세스는 피벗 장착부로부터 상이한 거리에 위치하며 베이스 프레임에 의해 지탱되는 바를 수용할 수 있으며, 바, 아암 및 피벗 장착부들은 축선이 평행하다. 상이한 리세스에 바를 맞물림으로써, 등받이에 대한 다수의 미리선택된 경사 위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예컨대 놀이, 휴식, 취침 등의 어린이가 하는 다수의 상이한 것들에 적합한 경사 위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경사 위치들 사이에서 쉽고 또한 높은 안전성을 가지고 재조정될 수 있는 바운싱 크래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적인 목적은, 등받이의 상승시에도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등받이의 설정된 경사 위치를 유지하는 바운싱 크래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적인 목적은, 등받이가 베이스 프레임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접혀 운반 위치를 만들 수 있으며, 운반 위치에서 등받이 및 베이스 프레임을 분리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적인 목적은, 운반 위치로부터 사용 상태로의 전환 후, 로딩시에 자동적으로 등받이의 안정적인 경사 위치를 취하는 바운싱 크래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적인 목적은 잠금 장치를 갖는 바운싱 크래들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 잠금 장치는 작동시에 이송 상태 및 사용 상태 사이에서 바운싱 크래들의 전환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 및 이점은 이하의 명세서에 직간접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은 독립항인 제 1 항에 규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후속 종속항에 규정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바운싱 크래들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는 경사 조정 장치를 포함하는 도 1 에 따른 바운싱 크래들의 상세 확 대도이다.
도 3 ~ 도 5 는 도 2 에 대응하는 것으로, 바운싱 크래들의 경사 결정 위치로부터 운반 위치로의 변환시에 조정 장치의 상이한 회전 위치를 나타낸다.
도 6 은 조정 장치의 파단된 측면도이다.
도 7 은 베이스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지지판의 평면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VIII-VIII 라인을 따라 취한 모습이다.
도 9 는 도 8 의 A-A 라인을 따라 취한 부분도이다.
도 1 에는 유아가 기대는 지지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천 주머니 (cloth bag) 가 당겨지는 일반적으로 U-형 프레임부 (25) 로 형성된 등받이 (20) 를 포함하는 바운싱 크래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에서, 명료성을 이유로 천 주머니는 완전히 당겨지지 않은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천 주머니에는 어린이가 들어갈 수 있는 천으로 된 바지 (cloth trousers) 한 벌이 도시되어 있다.)
등받이 프레임 (25) 에는 직선형이며 축선방향으로 정렬된 두 개의 프레임 부재 (24) 및 이 프레임 부재들 사이에 일체형으로 부착되어 있는 일반적으로 U-형인 요크가 구비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 (24) 는 베이스 프레임 (10) 에 속하는 지지판 (16) 의 직선형 가장자리 (13) 를 따라서 피벗 장착부 (12) 에 수용되어 있는데, 이 베이스 프레임은 수평한 바닥에서 안정적으로 놓이게 된다. 일반적으로 삼각형이며 본질적으로 평평한 요크는, 지지판과 평행하게 그 지지판에 부착되어 있는 자유 단부 (66) 를 갖는다. 자유 단부 (66) 로부터 멀어지면서 요크가 넓어져, 두 개의 지지점을 형성하는데, 이 지지점들은 등받이 (20) 에 대하여 옆으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두 개의 지지점은 웨브 및 브랜치 사이의 요크의 코너 영역에서 요크의 저면에 제공된 마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 (16) 에는, 저면의 둘레방향 경계를 따라서, 미끄럼방지 프로텍션과 같은 마찰 소재 (예컨대, 고무) 로 이루어진 스트랜드가 제공될 수도 있다.
바 (14) 가 요크의 단부 (66)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바 (16) 는 요크 단부의 개별적인 구멍에 수용된다.
조정 장치 (40) 는 등받이 프레임의 U-형부의 웨브부 (22) 를 위한 피벗 장착부 (23) 를 갖는다.
도 2 및 도 6 에서, 바 (14) 및 아암 (22) 은 피벗 장착부 (12) 로부터 거의 동일한 거리에 있으며, 조정 장치 (40) 는 측부 (60) 를 갖는 기다란 개구 (60) 를 가지며, 이 측부는 하방으로 비스듬하게 되여 제 1 피벗 장착부 (12) 와 대향하며, 리세스 (51, 52, 53) 가 이 측부에 위치한다. 각각의 리세스는 바 (14) 를 지지하는 바닥부 (62), 및 하방으로 기울어져 제 1 피벗 장착부를 향하면서 개구 (60) 에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 (63) 를 포함한다. 바 (14), 아암 (22) 및 피벗 장착부 (12, 23) 는 축선이 평행하다.
기다란 개구 (60) 는 잠금 아암 (70) 에 의해 그 개구의 상단부를 향해 경계가 규정되는데, 잠금 아암 (70) 은 피벗 장착부 (23) 부근의 스핀들 (71) 주위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되며, 스프링 (72) 에 의해 도시된 끝 위치로 편향된다.
상기 경사에 의하여, 등받이가 수직으로 로딩될 때, 바 (14) 는 항상 수직부에 대해 기울어진 표면에서 활주하여 개구 (60) 로부터 리세스의 바닥부 (62)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도 6 에서, 리세스의 개방부 (63) 는 바 (14) 의 직경보다 더 큰 폭을 가지며, 바 (14) 가 어떤 리세스에 수용되어 있는지와 무관하게, 등받이가 수직으로 로딩되어 있을 때, 바 (14) 를 안정적으로 수용하고 바 (14) 가 리세스 밖으로 미끄러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세스의 바닥부 (62) 는 그의 상부에서 언더컷되어 있다.
도 6 에서, 잠금 아암 (70) 은 도시된 끝 위치에서, 개구 (60) 와 대향하는 측부로, 리세스 (51) 의 상부 개방부 벽과 교차하여, 바 (14) 를 개구 (60) 로부터 리세스 (51) 의 개방부 안으로 도입하기 위한 안내면을 형성한다.
편향 스프링 (73) 에 의해, 잠금 아암 (70) 은 스토퍼 (74) 에 대하여 편향된다. 아암 (70) 은 스프링 (73) 의 작용에 반하여 수동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개구 (60) 가 장치 (40) 의 추가적인 기다란 개구 (80) 와 소통하게 되며, 개구 (80) 는 피벗 장착부 (23) 의 영역까지 연장된다.
나아가, 장치 (40) 는 그 외부에 그립용 이어 (90)(gripping ear) 를 갖는데, 이 그립용 이어는 장착부 (22, 23) 주위로 장치 (40) 의 수동 회전을 용이하게 해준다. 도 3 에서, 바 (14) 는 리세스 (52) 에 수용되어 있는데, 이는 바운싱 크래들을 운반 위치로 전환하는데 바람직한 것이며, 운반 위치에서는 등받이가 베이스 프레임 (10) 과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그 옆에 위치한다. 이렇게 할 때, 잠금 아암 (70) 은 스프링 (73) 작용에 반하여 도 3 에 지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역 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바 (14) 가 리세스 (52) 를 빠져나와, 개구 (60) 를 따라서 개구 (80) 를 향해 내측으로 진행하도록 장치 (40) 가 도 4 에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할 수 있다. 장착부 (22, 23) 주위로 장치 (40) 가 계속 회전할 때, 장치 (40) 의 회전 운동은 도 5 에 도시된 위치까지 도 4 에 따라서 계속되며, 도 5 에 도시된 위치에서는 피벗 장착부 (23) 가 바 (14) 부근 (미도시) 에 위치하며, 바운싱 크래들은 운반 위치에 있게 된다. 운반 위치에서, U-요크부 (37) 는 베이스 프레임 (10) 의 평면 아래에서 각도를 가지고 연장되며, 요크부의 웨브 (22) 는 바 (14) 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도 7 에서, 지지판 (16) 은 한 쌍의 일체형 슬리브 (85) 를 갖는데, 이 슬리브는 요크 (84) 의 단부 (66) 를 수용한다. 나아가, 슬리브 (85) 및 요크 단부 (66) 는 수직방향으로 정렬된 관통구멍을 가지며, 이 관통구멍을 통해 볼트 조인트가 연장된다. 도시된 볼트 조인트는 상부에 너트를 가지며, 하부에는 스크류 헤드를 갖는다. 지지판의 직선형 전방 가장자리 (13) 는 직선형 프레임 부재 (24) 를 수용하는 홈을 갖는다. 바닥 웨브가 아암 (22) 을 형성하는 U-요크부 (37) 는 한 쌍의 아암 (21) 을 통해 프레임 부재 (24) 에 의해 지탱된다.
볼트 조인트의 스크류 헤드 (86) 는 지지판 (16) 의 홈에서 직선형 프레임 부재 (24) 를 제한한다. 일체형 슬리브 (85) 는 지지판 (16) 에 대한 안정적인 고강도 연결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볼트 조인트에 의해 지지판 (16) 에 대한 요크 (84) 의 단순한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 에서, 지지판은 일체형 버튼 (28) 을 가지며, 이 버튼은 프레임 부재 (24) 를 제한하는 것 이외에, 등받이 (20) 를 형성하기 위하여 프레임부 (25) 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주머니의 하측 경계부를 고정할 수도 있다. 그와 관련하여, 주머니의 전방부는 버튼 (28) 과 함께 정렬되어 있는 버튼홀 개구를 가지며, 이로인해 스트래칭된 상태에서 주머니의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진다.
도 7 및 도 8 에서, 지지판 (16) 은 돌출형 U-거더 (110) 를 갖는데, 이 거더는 슬리브 (85) 들 사이에 위치하며 사출성형된 지지판 (16) 과 일체형이다. 거더 (110) 의 하부 웨브 (111) 는 지지판의 상측에 위치하며, 거더의 브랜치 (112) 는 거더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브랜치 외측의 사이 간격은 U-요크 (37) 의 브랜치 아암 (21) 사이의 자유 간격보다 다소 작다. 이렇게 해서, U-요크 (37) 가 U-거더를 넘어 하방으로 회전할 때, U-요크 (37) 가 중심맞춤되고, 이에 의해 등받이 (20) 가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중심맞춤된다. 거더 (110) 의 자유 브랜치 단부가 적어도 거더의 자유 단부에서 일반적으로 쐐기형 돌기 (115) 를 가짐으로써, 상기 돌기 (114) 와 아암 (21) 사이의 간섭이 가능해지며, 아암 (21) 이 상기 돌기 (114) 를 통과해 지나가면 아암 (21) 은 상기 돌기 (114) 아래에서 분리가능하게 잠금된다. 브랜치 (112) 는 탄성적으로 원상회복하며, 쐐기 (113) 덕분에 운반 위치에서 멀어지는 U-요크 (37) 의 회전 복귀시에 브랜치가 서로를 향해 전진하도록 아암 (21) 을 지나간 U-요크 부재 (37) 를 회전 복귀시킬 수 있다. 즉, 쐐기 (113, 114) 를 갖는 브랜치 단부는 운반 위치에서 등받이를 베이스 프레임과 가깝게 유지하기 위하여 분리가능한 걸쇠 (catch) 를 형성한다.
최종적으로, 도 6 에서, 리세스의 상부벽에서 리세스의 바닥부 (62) 와 개방부 (63) 사이의 천이부에 배치될 수 있는 소형 꺽쇠 (64) 를 제외하고, 리세스 (51, 52, 53) 는 바닥부 (62) 로의 또한 그로부터의 바 (14) 의 자유 통과를 허용한다. 상기 꺽쇠 (64) 는 반대측 리세스 벽과 함께 바 (14) 의 직경보다 다소 작은 허리부를 형성한다. 상기 꺽쇠 (64) 부근에서 리세스 반대측 벽의 탄성적 원상회복 덕분에, 바 (14) 가 뜻하지 않게 리세스의 바닥부 (62) 를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스냅-잠금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하부에 있는 리세스의 상측벽의 언더컷은, 베이스 프레임 방향으로 등받이를 로딩할 때, 바 (14) 가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리세스의 상측벽은 아암부 (22) 와 바 (14) 의 중심을 잇는 라인 (29) 에 대하여 각도 (β< 90°) 를 가지고 기울어진다. 도 6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세스의 하측벽은 라인 (29) 에 대하여 각도 (α> 90°) 를 가지고 기울어진다.
기다란 개구 (60) 의 상부벽이, 그 개구 (60) 를 따르는 바 (14) 의 위치와 상관없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등받이가 로딩되면 바 (14) 는 상부 매끄러운 개구벽을 따라 활주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바 (14) 가 리세스 (52, 53) 안으로 도입되면, 바 (14) 는 리세스의 상부 매끄러운 개구벽을 따라서 쉽게 활주하여, 리세스의 바닥부 (62) 안으로 들어갈 것인데, 이 상부 매끄러운 개구벽도 수평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바 (14) 는 등받이의 로딩시에 자동적으로 리세스 (51 ~ 52) 중의 하나를 향하게 된다.
도 7 ~ 도 9 로부터, 각각의 슬리브 (85) 는 너트 소켓 (87) 을 갖는데, 이 소켓은 관통 스크류를 수용하는 잠금 너트를 회전식으로 고정하며, 관통 스크류의 헤드는 슬리브의 직경방향 반대측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하여, 직선형 프레임 부재 (24) 를 그 안에 국부적으로 가둬두기 위하여 홈을 막게 된다. 직선형 프레임 부재의 타단부에서, 직선형 프레임 부재 (24) 는 개별적인 꺽쇠 (64) 에 의해 홈에 가두어 진다. 스크류는 Allen형 스크류가 적절하며, 너트 (87) 는 마찰 인서트를 구비한 잠금 너트가 적절하다.

Claims (5)

  1. 베이스 프레임 (10), 등받이 (20), 이 등받이 (20) 를 위하여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 (10) 에 의해 지탱되는 제 1 피벗 장착부 (12), 상기 등받이 (20) 에 고정식으로 연결되며 등받이 (20) 아래쪽에 상기 제 1 피벗 장착부 (12) 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하는 아암 (22) 을 포함하며, 상기 아암은 제 2 피벗 장착부 (22, 23) 를 통해 조정 장치 (40) 에 연결되며, 이 조정 장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10) 에 대한 상기 등받이 (20) 의 상이한 경사각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적어도 2개의 리세스 (51, 52) 를 가지며, 상기 리세스는 제 2 피벗 장착부 (22, 23) 로부터 상이한 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 (10) 에 의해 지탱되는 바 (14) 를 수용할 수 있으며, 이 바 (14) 는 상기 제 1 피벗 장착부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바 (14), 상기 아암 (22) 및 상기 제 1 및 제 2 장착부 (12, 22) 는 축선이 평행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 (10) 은 실질적으로 수평인 바닥에 세워지도록 되어 있는 바운싱 크래들에 있어서,
    상기 조정 장치 (40) 는 측부 (61) 를 갖는 기다란 관통 개구 (60) 를 가지며, 이 측부는 하방으로 비스듬하게 회전되어 상기 제 1 피벗 장착부 (12) 와 대향하며, 리세스 (51, 52, 53) 가 이 측부에 위치하며, 상기 각각의 리세스 (51, 52, 53) 는 상기 바 (14) 를 지지하면서 수용하는 바닥부 (62), 및 하방으로 기울어져 상기 제 1 피벗 장착부를 향하면서 상기 개구 (60) 에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 (6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운싱 크래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벗 장착부와 대향하는 리세스 개방부의 각각의 벽은 상기 바 (14) 의 축선과 상기 제 2 피벗 장착부 (22, 23) 의 축선을 잇는 라인에 대해 90°미만의 각도로 형성되며, 상기 리세스의 반대측 벽에서 바닥부가 언더컷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운싱 크래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60) 는 상기 조정 장치 (40) 에 회전형으로 장착되어 있는 잠금 아암 (70) 에 의해 한계가 정해지고, 상기 잠금 아암은 상기 제 2 피벗 장착부 (22, 23) 쪽으로 개구 (60) 의 한계를 정하는 끝위치에 대하여 스프링 편향되며, 상기 잠금 아암은 이 스프링의 편향 작용에 반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여 상기 개구 (60) 가 상기 제 2 피벗 장착부 (22, 23) 의 영역까지 연장하는 추가적인 기다란 개구 (80) 와 소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운싱 크래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아암 (70) 은 상기 개구 (60) 와 대향하는 그의 측부에서 상기 개구로부터 인접 리세스 (60) 안으로 상기 바 (14) 의 섕크를 안내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운싱 크래들.
  5. 제 3 항에 있어서,
    회전시에, 상기 잠금 아암이 회전하여 상기 바가 상기 추가적인 개구 (80) 안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잠금 아암 (70) 은 상기 개구 (60) 영역 안으로 회전하여 인접 리세스 (51) 를 차단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바 (14) 를 다른 리세스 (52, 53) 중 하나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운싱 크래들.
KR1020097000173A 2006-07-07 2007-07-06 바운싱 크래들 KR101320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601501-0 2006-07-07
SE0601501A SE530118C2 (sv) 2006-07-07 2006-07-07 Babysitter
SE0601502A SE530117C2 (sv) 2006-07-07 2006-07-07 Babysitter med bottenram
PCT/SE2007/000676 WO2008004959A1 (en) 2006-07-07 2007-07-06 A bouncing crad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549A KR20090031549A (ko) 2009-03-26
KR101320807B1 true KR101320807B1 (ko) 2013-10-23

Family

ID=421103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0173A KR101320807B1 (ko) 2006-07-07 2007-07-06 바운싱 크래들
KR1020097000174A KR101320181B1 (ko) 2006-07-07 2007-07-06 베이스 프레임을 구비한 바운싱 크래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0174A KR101320181B1 (ko) 2006-07-07 2007-07-06 베이스 프레임을 구비한 바운싱 크래들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7780236B2 (ko)
EP (2) EP2037777B1 (ko)
JP (2) JP5123298B2 (ko)
KR (2) KR101320807B1 (ko)
CN (2) CN101489446B (ko)
AT (1) ATE462330T1 (ko)
AU (2) AU2007270099B2 (ko)
CA (2) CA2654691C (ko)
DE (1) DE602007005645D1 (ko)
ES (1) ES2343215T3 (ko)
IL (2) IL196219A (ko)
SE (2) SE530118C2 (ko)
WO (2) WO20080049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9930B1 (en) 2022-12-05 2024-02-06 Monahan Products, LLC Foldable child sea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9639B2 (en) * 2008-05-16 2011-12-20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Bouncer
CN102038377B (zh) 2009-10-21 2013-08-21 伍轮实业有限公司 调整机构及可调倾角的座椅
CN102781392B (zh) * 2010-01-13 2016-11-16 费诺-华盛顿公司 电动滚轮滑床
JP5624426B2 (ja) * 2010-10-20 2014-11-12 株式会社バンダイ 乳幼児用シート
NO335935B1 (no) 2012-03-22 2015-03-30 Stokke As Bouncer
CN203314544U (zh) * 2013-06-13 2013-12-04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可缩窄宽度的婴童摇椅骨架
US9848715B2 (en) 2013-07-12 2017-12-26 Kids Ii, Inc. Rocker
US9918561B2 (en) 2013-08-09 2018-03-20 Kids Ii, Inc. Access optimized child support device
US9756962B2 (en) 2013-08-09 2017-09-12 Kids Ii, Inc. Access-optimized mobile infant support
JP6363427B2 (ja) * 2014-08-18 2018-07-25 株式会社シーエー産商 バウンサー
USD737061S1 (en) * 2014-08-29 2015-08-25 Thorley Industries Llc Bouncer seat
CN105146964B (zh) * 2015-09-08 2017-11-07 广东乐美达集团有限公司 一种方便升降折叠的多用途婴儿座椅
US10278515B2 (en) 2015-09-09 2019-05-07 Kids Ii, Inc. Adjustable bouncing frame
USD763610S1 (en) * 2015-11-18 2016-08-16 Mattel, Inc. Supports for an infant receiving device
US10327566B2 (en) * 2016-06-27 2019-06-25 Wonderland Switzerland Ag Infant carrier and swing device therewith
AU201712944S (en) * 2016-12-12 2017-06-01 BABYBJAƒA¶RN AB Baby bouncer
CN108045425A (zh) * 2017-12-11 2018-05-18 合肥美青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新型安全减震婴儿车
CN110074598A (zh) * 2018-01-25 2019-08-02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支撑装置及具有该支撑装置的幼儿载具
US11364167B2 (en) * 2019-02-12 2022-06-21 GE Precision Healthcare LLC Neonatal care system with sling sleep device
USD977865S1 (en) 2020-09-17 2023-02-14 Kids2, Inc. Modular cradle
AU2022200715A1 (en) * 2021-02-05 2022-08-25 Graham Reid Children's exercise and activity apparatus
US20230129979A1 (en) * 2021-10-27 2023-04-27 Rocking Inc. Portable rebounding device with adjustable and collapsible features
CN116963644A (zh) 2021-12-21 2023-10-27 爱歌宝宝背带有限公司 可调节型婴儿摇椅
USD1018143S1 (en) 2022-09-30 2024-03-19 The Ergo Baby Carrier, Inc. Baby bouncer seat insert
USD1017282S1 (en) 2022-09-30 2024-03-12 The Ergo Baby Carrier, Inc. Baby bouncer seat inser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1095A (en) * 1993-10-01 1995-09-19 Sassy, Inc. Juvenile cradle bouncer apparatus
US5507564A (en) * 1995-06-19 1996-04-16 Huang; Li-Chu C. Baby deck chair having an adjustable back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112A (en) * 1915-05-11 1916-01-11 John W Rockwell Holder for box-lids, sashes, and the like.
US2281209A (en) * 1938-07-29 1942-04-28 Smith Orville Dale Combination bed and carriage
US3096963A (en) * 1961-02-15 1963-07-09 Matilda D Welsh Baby jumper
GB1018888A (en) * 1964-02-03 1966-02-02 Victor Alexander Chernivsky Baby chair
GB1591749A (en) * 1976-11-24 1981-06-24 Rawolle K C Attachment for a bouncing baby cradle
US4081869A (en) * 1977-02-01 1978-04-04 Richard Graham Ash Infant's cradle holder
SE500401C2 (sv) * 1990-02-12 1994-06-20 Baby Bjoern Ab Barnstol
US5207478A (en) * 1991-02-28 1993-05-04 Gerry Baby Products Company Collapsible infant seat
US5203611A (en) * 1991-10-21 1993-04-20 Children On The Go, Inc. Infant bounce and rocking chair
US5509721A (en) * 1994-10-27 1996-04-23 Huang; Li-Chu C. Foldable recliner structure for an infant
CN2243831Y (zh) * 1996-01-25 1997-01-01 上海长江数控设备厂 便携式婴儿弹性躺椅
US6594840B2 (en) * 2000-06-28 2003-07-22 Cosco Management, Inc. Baby bouncer/bassinet
GB2380663A (en) * 2001-10-10 2003-04-16 Jenx Ltd Premature baby support and positioning arrangement in which the support is hinged to the base
CN2512335Y (zh) * 2001-12-17 2002-09-25 中山隆顺日用制品有限公司 婴儿摇椅之分度收合结构
US6877802B2 (en) * 2003-04-15 2005-04-12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Foldable infant seat
JP5008890B2 (ja) * 2006-04-18 2012-08-22 株式会社リッチェル 乳幼児用シートのフレーム体及び乳幼児用シート
JP2007307299A (ja) * 2006-05-22 2007-11-29 Aprica Kassai Inc 子供用椅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1095A (en) * 1993-10-01 1995-09-19 Sassy, Inc. Juvenile cradle bouncer apparatus
US5507564A (en) * 1995-06-19 1996-04-16 Huang; Li-Chu C. Baby deck chair having an adjustable ba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9930B1 (en) 2022-12-05 2024-02-06 Monahan Products, LLC Foldable child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89445B (zh) 2011-03-30
IL196219A (en) 2012-08-30
KR20090031549A (ko) 2009-03-26
IL196219A0 (en) 2009-09-22
SE530117C2 (sv) 2008-03-04
JP2009542314A (ja) 2009-12-03
CN101489445A (zh) 2009-07-22
KR101320181B1 (ko) 2013-10-23
SE0601502L (sv) 2008-01-08
AU2007270099B2 (en) 2010-09-16
ATE462330T1 (de) 2010-04-15
AU2007270099A1 (en) 2008-01-10
CN101489446B (zh) 2011-06-15
IL196218A0 (en) 2009-09-22
SE530118C2 (sv) 2008-03-04
WO2008004958A1 (en) 2008-01-10
JP5113167B2 (ja) 2013-01-09
US20090256408A1 (en) 2009-10-15
CA2654690C (en) 2014-05-06
JP2009542315A (ja) 2009-12-03
CA2654691C (en) 2014-05-20
EP2037778B1 (en) 2010-03-31
AU2007270098A1 (en) 2008-01-10
US7779490B2 (en) 2010-08-24
EP2037777A1 (en) 2009-03-25
DE602007005645D1 (de) 2010-05-12
EP2037777A4 (en) 2012-10-10
CN101489446A (zh) 2009-07-22
EP2037778A1 (en) 2009-03-25
JP5123298B2 (ja) 2013-01-23
ES2343215T3 (es) 2010-07-26
KR20090031550A (ko) 2009-03-26
CA2654690A1 (en) 2008-01-10
SE0601501L (sv) 2008-01-08
US20090165209A1 (en) 2009-07-02
CA2654691A1 (en) 2008-01-10
AU2007270098B2 (en) 2011-02-17
WO2008004959A1 (en) 2008-01-10
US7780236B2 (en) 2010-08-24
EP2037777B1 (en) 201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0807B1 (ko) 바운싱 크래들
US5626271A (en) Child carrier with kickstand
CN201516816U (zh) 一种用于儿童安全支撑物的基座
US6402233B1 (en) Swing assembly with adjustable canopy
CA2028200A1 (en) Multi-function infant car seat including glider assembly
US6877805B1 (en) Seating apparatus
JP2001186954A (ja) 椅 子
US6325455B1 (en) Reclining chair
KR101396237B1 (ko) 각도 조절 가능한 계단형 사다리 잠금장치
CN208863884U (zh) 一种托架及其椅子
CN220403618U (zh) 一种婴儿摇椅
RU2415631C2 (ru) Упругая колыбель
KR102205600B1 (ko) 다목적 가구
JP2012075713A (ja) 幼児用椅子
KR20010001083U (ko) 겨드랑이 받침대가 부설된 의자
KR200473390Y1 (ko) 독서대가 구비된 의자용 가슴받이 구조
JP2013162950A (ja) リクライニング式ロッキングチェ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