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582B1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0582B1
KR101320582B1 KR1020070045175A KR20070045175A KR101320582B1 KR 101320582 B1 KR101320582 B1 KR 101320582B1 KR 1020070045175 A KR1020070045175 A KR 1020070045175A KR 20070045175 A KR20070045175 A KR 20070045175A KR 101320582 B1 KR101320582 B1 KR 101320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support
protrusion
foo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9528A (ko
Inventor
김일중
홍진태
안장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5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582B1/ko
Publication of KR20080099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2Casings or frames around the primary casing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against vibrations, collision impact or swe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외력의 작용 또는 양면 테이프의 접착력 저하 시에도 한번 결합한 이후에는 빠지지 않는 결합 구조를 가지는 받침발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어 셀; 상기 베어 셀과 결합하며, 일면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삽입홀을 포함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와 결합하는 받침발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발은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 상에 구비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삽입홀은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입구의 가장자리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어 셀; 상기 베어 셀과 결합하며, 일면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삽입 돌기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와 결합하는 받침발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발은 상기 삽입 돌기에 대응되는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삽입 돌기가 삽입되는 입구의 가장자리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종래보다 견고하게 배터리 팩에 받침발이 부착될 수 있으므로, 외력에 의한 받침발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터리 팩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배터리 팩이 장착되는 전자기기가 작업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터리 팩, 받침발, 돌기부, 삽입홀

Description

배터리 팩{Battery pack}
도1a는 종래의 받침발이 부착되는 배터리 팩의 일부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1b는 도1a의 종래의 받침발이 구비된 배터리 팩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1c는 도1b의 I-I′선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받침발이 부착되는 배터리 팩의 일부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2b는 도2a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받침발이 구비된 배터리 팩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2c 및 도2d는 도2b의 Ⅱ-Ⅱ′선의 투시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2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른 형상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받침발이 부착되는 배터리 팩의 일부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3b는 도3a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받침발이 구비된 배터리 팩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3c는 도3b의 Ⅲ-Ⅲ′선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3d 내지 도3g는 본 발명의 제3 내지 제6 실시예에 따른 받침발이 구비된 배터리 팩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
100, 200, 300, 400, 500, 600 : 배터리 팩
110, 210 : 배터리 팩 케이스
120, 220 : 받침발 수용부 130, 130´: 삽입 돌기
130a, 130a´, 270a, 370a, 470a, 570a, 670a : 몸통부
130b, 270b, 370b, 470b, 570b, 670b : 머리부
131 : 걸림턱 140, 240 : 양면접착테이프
150, 150´, 250, 350, 450, 550, 650 : 받침발
154 : 훅 156 : 돌출부
152, 160 : 삽입홈 165, 235 : 경사면
211 : 단차 230 : 삽입홀
260, 360, 460, 560, 660 : 받침부 270, 370, 470, 570 : 돌기부
371, 571 : 홈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외력의 작용 또는 양면 테이프의 접착력 저하 시에도 한번 결합한 이후에는 빠지지 않는 결합 구조를 가지는 받침발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메라, 휴대형 전화, 휴대형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형 무선기기의 경량화 및 고기능화가 진행됨에 따라, 그 구동전원으로 사용되는 이차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차전지로는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수소 전지, 니켈-아연 전지, 리튬 이차전지 등이 있다.
이들 중, 리튬 이차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고 소형 및 대용량화가 가능한 것으로, 작동 전압이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장점 때문에 최근의 전자기기의 많은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판, 음극판,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캔 및 상기 캔의 상단 개구부를 캡 조립체로 밀봉한 베어 셀에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 서멀 퓨즈(thermal fuse) 및 보호회로모듈 등의 안전장치를 장착한 후, 별도의 외장 케이스에 수납하거나 핫멜트(hot-melt) 수지로 간극을 채우고 얇은 외장재로 튜빙, 라벨링 등의 방법으로 배터리 팩을 형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배터리 팩은 최종 적용시의 외부 형태에 따라, 외부와 전 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단자("외부 단자")가 노출된 상태로 이차전지의 외면에 플라스틱 수지의 하드 케이스가 일체로서 성형되는 하드팩(hard pack) 형태와 외부 단자가 노출된 상태로 이차전지의 외면에 플라스틱 수지의 하드 케이스가 별도로 성형되는 않은 이너팩(inner pack) 형태로 구분된다.
이너팩의 형태로 세트에 삽입되어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터리 팩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외부 케이스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하드팩 형태의 하드 케이스 또는 이너팩 형태의 외부 케이스의 일측에는 받침발(당업계에서는 일반적으로 러버풋(rubber foot)이라 하기도 한다.)이 구비되어, 배터리 팩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배터리 팩이 장착되는 전자기기가 작업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1a는 종래의 받침발이 부착되는 배터리 팩의 일부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1b는 도1a의 종래의 받침발이 구비된 배터리 팩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1c는 도1b의 I-I′선의 단면도이다.
도1a 내지 도1c를 참조하면, 종래의 받침발을 부착하는 배터리 팩(10)은 일면(20)에 받침발(40)이 수용되는 받침발 수용부(30)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받침발(40)은 양면접착테이프(40a)와 받침부(40b)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때, 상기 받침부(40b)는 외부충격으로부터 배터리 팩을 보호하고, 배터리 팩이 장착되는 전자기기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받침발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은 상기 받침부(40b)의 상면에 상기 양면접착테이프(40a)의 일면이 부착되고, 상기 양면접착테이 프(40a)의 다른 면이 상기 받침발 수용부(30)에 부착되어 받침발 수용부(30)에 받침발(40)이 부착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받침발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은 양면접착테이프만으로 상기 받침발이 상기 받침발 수용부에 부착되어 있어, 시간이 경과 할수록 상기 양면접착테이프의 접착력이 약화되거나, 상기 받침발에 강한 외력이 가해짐에 의하여 받침발이 받침발 수용부에서 탈착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받침발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력의 작용 또는 양면 테이프의 접착력 저하 시에도 한번 결합한 이후에는 빠지지 않는 결합 구조를 가지는 받침발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의 케이스에 홀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에 부착되는 받침발에 홀과 대응되는 돌기부를 형성하거나, 배터리 팩의 케이스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에 부착되는 받침발에 돌기부와 대응되는 홀을 형성하여 부착함으로써, 종래보다 견고하게 배터리 팩에 받침발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하여 외력에 의한 받침발의 탈락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베어 셀; 상기 베어 셀과 결합하며, 일면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삽입홀을 포함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와 결합하는 받침발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발은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 상에 구비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삽입홀은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입구의 가장자리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배터리 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베어 셀; 상기 베어 셀과 결합하며, 일면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삽입 돌기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와 결합하는 받침발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발은 상기 삽입 돌기에 대응되는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삽입 돌기가 삽입되는 입구의 가장자리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배터리 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거리,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베어 셀과 상기 베어 셀과 결합하는 케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는 하드팩 타입의 경우에는 하드 케이스가 될 수 있고, 이너팩 타입의 경우에는 외부 케이스가 될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기술인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받침발이 배터리 팩에 구비되는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2b는 도2a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받침발이 구비된 배터 리 팩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2c 및 도2d는 도2b의 Ⅱ-Ⅱ′선의 투시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2a 내지 도2d를 참조하면, 배터리 팩(100)을 형성하는 케이스 일면(110)에는 받침발(150)이 수용될 수 있도록 받침발 수용부(12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받침발 수용부(120)가 받침발 수용부(120)가 형성되는 면(110)보다 둘레가 높게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반대로 면(110)보다 낮게 홈을 형성한 후, 받침발(150)이 면(110)보다 높게 수용되도록 하여 돌출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별도의 받침발 수용부(120)를 형성하지 않고 받침발(150)을 결합할 수도 있다.
배터리 팩(100)을 형성하는 케이스의 일면(110)은 배터리 팩이 하드 케이스 내에 장착되어 출하되는 형태인 하드팩 타입의 경우에는 하드 케이스의 일면일 수 있으며, 배터리 팩 상태로 출하되는 이너팩 타입인 경우에는 배터리 팩을 덮는 별도의 외부 케이스일 수 있다.
이때, 받침발 수용부(120) 내에는 플라스틱과 같은 탄력성, 마찰력이 있는 재질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삽입 돌기(130)가 형성되도록 하여, 삽입 돌기(130)가 삽입되는 받칩발(150)의 삽입홈(160)에 끼워진 후 빠지지 않도록 한다.
삽입 돌기(130)는 케이스의 일면(110)에서 돌출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받침발 수용부(120)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받침발 수용부(120) 내에 형성되는 케이스의 일면(110)에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 돌기(130)는 몸통부(130a)와 머리부(130b)로 이루어지며, 머리부(130b) 는 몸통부(130a)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몸통부(130a)의 형태는 원기둥, 다각기둥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 돌기(130)의 머리부(130b)는 중앙이 "+"로 절개되어, 오그라들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받침발(150)에 위치하며, 머리부(130b)보다 좁게 형성되는 삽입홈(160)의 입구로 들어갈 때는 오그라들고 완전 삽입 후에는 다시 원형을 회복하여 빠지지 않는 구조가 된다.
또한, 삽입 돌기(130)의 머리부(130b)는 중심부에 홈을 형성하여 두 부분으로 분리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형성되는 홈의 형상에 따라 둘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삽입 돌기(130)의 머리부(130b)는 가운데에 홀이 있는 형태, 각뿔, 원뿔 등의 형상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받침발(150)의 삽입홈(160)에 결합된 후 빠지지 않는 구조이면 다양한 수정과 변형이 가능하다.
받침발 수용부(120)와 받침발(150) 사이에는 양면접착테이프(140)가 구비되어, 일면은 받침발 수용부(120)에 부착되고, 일면은 받침발(150)에 부착되어, 받침발 수용부(120)와 받침발(150)을 더욱 긴밀하게 일체화할 수 있으나,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양면접착테이프(140)는 받침발 수용부(120)의 받침발(150)과 부착되는 영역 중 삽입 돌기(130)가 형성되는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받침발 수용부(120)에 일면을 먼저 부착시킨 후 받침발(150)이 삽입하여 다른 일면이 부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반대로 일면을 먼저 받침발(150)에 부착한 후 받침 발(150)을 삽입하여 다른 일면이 받침발 수용부(120)에 부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받침발(150)은 배터리 팩이 장착되는 단말기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받침발 수용부(120)와 부착되는 면에는 받침발 수용부(120)에 형성되는 삽입 돌기(130)와 대응되도록 같은 수의 삽입홈(160)을 형성한다.
삽입홈(160)의 입구는 삽입 돌기(130)의 머리부(130b)보다 좁게 형성하며, 입구면 가장자리에 삽입 돌기(130)의 머리부(130b)가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경사면(16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홈(160)의 내측은 입구보다 넓게 형성되며, 삽입 돌기(130)의 머리부(130b)가 좁은 입구를 통과하기 위해 오그라들었다가 원형을 회복하는 경우에, 원형으로 회복된 삽입 돌기(130)와 같은 형태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삽입 돌기(130)의 머리부(130b)가 빠지지 않는 구조이면 모두 가능하다.
도2e는 제1 실시예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배터리 팩(100)을 형성하는 케이스의 일면(110)에 형성되는 받침발 수용부(120) 내에는 케이스의 일면(110)과 일체로 형성되어 돌출되는 두개의 삽입 돌기(130´)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 돌기(130´)는 몸통부(130a´) 및 몸통부(130a´)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걸림턱(131)으로 이루어지며, 걸림턱(131)은 각각 받침발 수용부(120)의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받침발(150´)은 가운데에 삽입홈(152)을 형성하며, 삽입홈(152)의 가장자리를 이루는 받침발(150´)의 일부분을 내측으로 절곡하여 가장자리 양측을 따라 훅(154)을 형성한다.
상기 받침발(150´)을 케이스(110)에 부착하는 경우, 상기 걸림턱(131)과 상기 훅(154)이 서로 맞물려 체결되도록 하여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 돌기(130´) 및 이에 형성되는 걸림턱(131)은 본 예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케이스에 받침발을 구비하는 경우 그 결합력을 강하게 하기 위해 2개 이상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삽입홈(152)의 중심부에 돌출부(156)를 형성하여, 체결시에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받침발이 배터리 팩에 구비되는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3b는 도3a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받침발이 구비된 배터리 팩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3c는 도3b의 Ⅲ-Ⅲ′선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3a 내지 도3c를 참조하면, 배터리 팩(200)을 형성하는 일면(210)에는 받침발(260)이 수용될 수 있는 받침발 수용부(22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받침발 수용부(220)가 받침발 수용부(220)가 형성되는 면(210)보다 둘레가 높게 형성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반대로 면(210)보다 낮게 홈을 형성한 후, 받침발(250)이 면(210)보다 높게 수용되도록 하여 돌출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별도의 받침발 수용부(220)를 형성하지 않고 받침발(250)을 결합할 수도 있다.
배터리 팩(200)을 형성하는 일면(210)은 배터리 팩이 하드 케이스 내에 장착되어 출하되는 형태인 하드팩 타입의 경우에는 하드 케이스의 일면일 수 있으며, 배터리 팩 상태로 출하되는 이너팩 타입인 경우에는 배터리 팩을 덮는 별도의 외부 케이스일 수 있다.
이때, 받침발 수용부(220) 내에는 후술하는 받침발(250)의 돌기부(270)가 삽입되는 하나 또는 보수개의 삽입홀(230)이 형성된다.
삽입홀(230)은 입구의 가장자리에 돌기부(27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경사면(235)을 형성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받침발(250)의 돌기부(270)의 머리부(270b)보다 좁게 형성하되, 받침발(250)의 돌기부(270)의 머리부(270b)가 삽입이 가능한 크기를 가져야 한다.
받침발 수용부(220)와 받침발(250) 사이에는 양면접착테이프(240)가 구비되어, 일면은 받침발 수용부(220)에 부착되고, 일면은 받침발(250)에 부착되어, 받침발 수용부(220)와 받침발(250)을 더욱 긴밀하게 일체화할 수 있으나,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양면접착테이프(240)는 받침발 수용부(220)의 받침발(250)과 부착되는 영역 중 삽입홀(230)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받침발 수용부(220)에 일면을 먼저 부착시킨 후 받침발(250)이 삽입하여 다른 일면이 부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반대로 일면을 먼저 받침발(250)에 부착한 후 받침발(250)을 삽입하여 다른 일면이 받침발 수용부(220)에 부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받침발(250)은 받침부(260)와 받침부(260) 상에 돌출된 형태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돌기부(270)로 이루어져 있으며, 돌기부(270)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에는 양면접착테이프(240)가 부착될 수 있다.
이때, 받침부(260)의 형상은 받침발 수용부(220)에 수용될 수 있는 형태이면 되나, 받침발 수용부(220)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여 측면이 서로 접촉되게 끔함으로써 부착력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부충격으로부터 배터리 팩을 보호하고, 배터리 팩이 장착되는 단말기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기부(270)는 받침부(26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받침부(260)와 일면을 맞대고 형성되는 기둥 형태의 몸통부(270a)와 몸통부(270a)의 상단에 형성되며 몸통부(270a)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갖는 원뿔 또는 각뿔 형태의 머리부(27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통부(270a)의 형상은 원기둥, 사각기둥 또는 삼각기둥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받침발 수용부(220)에 형성되는 삽입홀(230)의 형태 및 크기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에서 몸통부(270a)의 형상 및 크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머리부(270b)의 형상 역시 반드시 원뿔 또는 각뿔 형태일 필요는 없으나, 머리부(270b)보다 크기가 작은 삽입홀(230)을 통해 삽입되어야 하므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경사면을 갖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발(250)을 삽입하기 위해 받침발(250)을 받침발 수용부(220)에 위치시킨 후 외부 힘을 가함에 따라, 받침발(250)의 돌기부(270)는 받침발 수용부(220)의 삽입홀(230)을 통해 배터리 팩을 형성하는 케이스 내부로 삽입된다.
받침발(250)에 형성되는 돌기부(270)의 머리부(270b)가 케이스 내부로 삽입 됨에 따라, 머리부(270b)의 크기만큼 배터리 팩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팩이 다수의 전지를 포함하는 경우, 전지 간의 간극 상에 돌기부(270)의 머리부(270b)가 위치하도록 하여, 배터리 팩의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d 내지 도3g는 본 발명의 제3 내지 제6 실시예에 따른 받침발이 구비되는 배터리 팩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배터리 팩을 형성하는 일면에 받침발 수용부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받침발 수용부를 형성하여 받침발 수용부 내에 받침발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도3d 내지 도3g을 참조한 이하 설명에서, 도면 부호(210, 230, 235, 240)는 도3a 내지 도3c의 도면 부호(210, 230, 235, 240)와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3d 내지 도3f의 받침발(350, 450, 550, 650) 및 받침발(350, 450, 550, 650)을 이루는 받침부(360, 460, 560, 660) 역시 도3a 내지 도3c의 받침발(250) 및 받침부(260)와 동일한 구성 요소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도 생략하기로 한다.
도3d의 돌기부(370)는 탄성력을 가진 고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머리부(370b)의 중앙에 홈(371)이 형성되는 원뿔 형태로서, 돌기부(370)의 머리부(370b)보다 크기가 작은 삽입홀(230)에 삽입하는 경우에 돌기부(370)의 홈(371)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공간으로 오므라들기 때문에 좀 더 용이하게 삽입이 가능하고, 탄성력을 지닌 재질로 형성되는 머리부(370b)가 삽입홀(230)을 모두 통 과하면 오므라들기 전의 상태로 돌아가므로 빠지지 않게 된다.
이때, 돌기부(370)의 개수는 받침발(350)의 전체 면적에 따라 하나 또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크기 역시 당업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물론, 받침발(350)에 형성되는 돌기부(370)의 개수 및 크기에 대응되도록 배터리 팩을 형성하는 일면(210)에 삽입홀(230)을 구비하여 받침발(350)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도3e의 돌기부(470)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몸통부(470a) 및 머리부(470b)에 걸쳐서 중심부에 형성되는 홈(471)으로 인해 두 부분으로 분리된 형상을 가지며, 형성되는 홈의 형상에 따라 둘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돌기부(470)의 머리부(470b)보다 크기가 작은 삽입홀(230)에 삽입하는 경우에 돌기부(470)의 홈(471)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공간으로 오므라들기 때문에 좀 더 용이하게 삽입이 가능하고, 탄성력을 지닌 재질로 형성되는 머리부(470b)가 삽입홀(230)을 모두 통과하면 오므라들기 전의 상태로 돌아가므로 빠지지 않게 된다.
이때, 돌기부(470)의 개수는 받침발(450)의 전체 면적에 따라 하나 또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크기 역시 당업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물론, 받침발(450)에 형성되는 돌기부(470)의 개수 및 크기에 대응되도록 배터리 팩을 형성하는 일면(210)에 삽입홀(230)을 구비하여 받침발(450)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도3f의 돌기부(570)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통부(570a) 및 머리부(570b)에 걸쳐서 중심부에 홈(571)을 형성하고, 돌기부(570)의 전체 모양은 타원형 또는 땅콩 형상일 수 있다. 홈(571)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머리부(570b)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홈(571)을 형성하면, 돌기부(570)의 머리부(570b)보다 크기가 작은 삽입홀(230)에 삽입하는 경우에 돌기부(570)의 홈(571)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공간으로 오므라들기 때문에 좀 더 용이하게 삽입이 가능하고, 탄성력을 지닌 재질로 형성되는 머리부(570b)가 삽입홀(230)을 모두 통과하면 오므라들기 전의 상태로 돌아가므로 빠지지 않게 된다.
받침발(550)에 형성되는 돌기부(570)의 머리부(570b)가 케이스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머리부(570b)의 크기만큼 배터리 팩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케이스의 일면(210)에 형성되는 삽입홀(230) 내부의 단면에 단차(211)를 형성하여 단차(211)에 머리부(570b)의 시작 부분(572)을 위치시켜서, 배터리 팩의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단차(211)를 형성하는 대신에 홈을 형성하여 머리부(570b)의 시작 부분(572)이 홈에 끼워지도록 하여 배터리 팩의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도3g의 돌기부(670)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통부(670a)와 상기 몸통부(670)의 끝단을 받침발(650)의 외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머리부(670b)로 이루어진다.
케이스의 일면(210)은 받침부(660)가 완전히 안착될 수 있도록 삽입홀(230)을 형성하며, 삽입홀(230)은 받침부(660)가 안착되는 공간이 몸통부(670a)가 삽입되는 공간보다 넓게 형성되도록 단차(211)를 형성한다.
단차(211)가 형성되어 삽입홀(230) 측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되는 면(212)이 받침부(660)와 머리부(670b) 사이에 형성되는 몸통부(670a)에 결합되는 형상이 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배터리 팩의 케이스에 홀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에 부착되는 받침발에 홀과 대응되는 돌기부를 형성하거나, 배터리 팩의 케이스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에 부착되는 받침발에 돌기부와 대응되는 홀을 형성하여 부착함으로써, 종래보다 견고하게 배터리 팩에 받침발이 부착될 수 있으므로, 외력에 의한 받침발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배터리 팩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 호하고, 배터리 팩이 장착되는 전자기기가 작업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1)

  1. 베어 셀;
    상기 베어 셀과 결합하며, 일면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삽입홀을 포함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와 결합하는 받침발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발은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 상에 구비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삽입홀은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입구의 가장자리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받침발 수용부를 형성하여, 상기 받침발 수용부 내에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삽입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고무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 상단에 형성되는 머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중앙에 홈이 형성되거나 형성되지 않는 원뿔 또는 각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머리부 또는 상기 머리부 및 상기 몸통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상기 받침발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단차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홀 측으로 돌출되는 면이 상기 받침부와 상기 머리부 사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0. 베어 셀;
    상기 베어 셀과 결합하며, 일면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삽입 돌기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와 결합하는 받침발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발은 상기 삽입 돌기에 대응되는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삽입 돌기가 삽입되는 입구의 가장자리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받침발 수용부를 형성하여, 상기 받침발 수용부 내에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삽입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돌기는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발은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4. 삭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돌기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보다 큰 머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입구보다 내측이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중앙이 '+' 형태로 절개되어 오그라들 수 있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중앙에 홈이 형성되거나 형성되지 않는 원뿔 또는 각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돌기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로부터 상기 받침발 수용부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20.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발은 삽입홈의 가장자리를 이루는 상기 받침발의 일부분을 내측으로 절곡하여 가장자리 양측을 따라 훅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발은 상기 삽입홈의 중앙에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KR1020070045175A 2007-05-09 2007-05-09 배터리 팩 KR101320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175A KR101320582B1 (ko) 2007-05-09 2007-05-09 배터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175A KR101320582B1 (ko) 2007-05-09 2007-05-09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528A KR20080099528A (ko) 2008-11-13
KR101320582B1 true KR101320582B1 (ko) 2013-10-22

Family

ID=40286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175A KR101320582B1 (ko) 2007-05-09 2007-05-09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05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1551A1 (en) * 2010-01-29 2011-08-04 Thomson Licensing Supporting foo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173U (ja) * 1992-09-07 1994-04-15 アンリツ株式会社 電子機器筐体底部の支持脚取付け構造
JPH09331160A (ja) * 1996-06-12 1997-12-22 Oki Electric Ind Co Ltd 携帯機器用電池カバー
KR0121949Y1 (ko) * 1995-08-19 1998-08-01 김광호 무선통신 기기의 커버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173U (ja) * 1992-09-07 1994-04-15 アンリツ株式会社 電子機器筐体底部の支持脚取付け構造
KR0121949Y1 (ko) * 1995-08-19 1998-08-01 김광호 무선통신 기기의 커버구조
JPH09331160A (ja) * 1996-06-12 1997-12-22 Oki Electric Ind Co Ltd 携帯機器用電池カ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528A (ko) 200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7953B2 (ja) バッテリパック
KR100878285B1 (ko) 배터리 팩
KR100791551B1 (ko) 보호회로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전지 및 상기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전지 제조 방법
JP5174429B2 (ja) 二次電池用ケースおよびこ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KR100928120B1 (ko) 이차 전지
TWI328892B (en) Secondary battery
US7914924B2 (en) Stacked battery pack housing
EP0926748B1 (en) Droppable battery packs
JP5534678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
US20060093902A1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66603B1 (ko) 배터리팩의 받침발,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팩 및 상기배터리팩의 제조방법
KR20090048854A (ko) 이차 전지용 보호회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101650030B1 (ko) 보호회로 모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팩
CN101409333A (zh) 电池组
KR101303396B1 (ko) 몰딩부를 구비한 이차 전지
US7443136B2 (en) Method and device employing heat absorber for limiting battery temperature spikes
KR101320582B1 (ko) 배터리 팩
JP2004327206A (ja) 電池パック
US20110081571A1 (e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170054881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070022888A (ko) 휴대단말기용 배터리팩의 기판조립체 조립장치
KR20130123571A (ko) 이차전지 팩
TW200306029A (en) Battery box
KR100686860B1 (ko) 리튬 이차전지 및 이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전기/전자기기세트
JP2005063824A (ja) 角形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