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115B1 -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 - Google Patents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0115B1
KR101320115B1 KR1020110126111A KR20110126111A KR101320115B1 KR 101320115 B1 KR101320115 B1 KR 101320115B1 KR 1020110126111 A KR1020110126111 A KR 1020110126111A KR 20110126111 A KR20110126111 A KR 20110126111A KR 101320115 B1 KR101320115 B1 KR 101320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flag
temperature
level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9884A (ko
Inventor
박진현
박정곤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6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115B1/ko
Publication of KR20130059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9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0Cooling; Devices therefor
    • C21B7/103Detection of leakages of the cooling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6Tuyé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24Test rods or other check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014Devices for monitoring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2Observation or illumin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4Arrangements of indicators or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고로 풍구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의 누수를 급수유량 및 배수유량과 유량편차, 배수관에서의 온도 및 저수조의 수위변화를 종합하여 풍구의 냉각관 파손에 따른 누수 및 대파 뿐만 아니라 기기의 오작동을 감지하여 경고함으로써 조업자들의 조업판단을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고로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METHOD FOR DETECTING LEAKAGE OF COOLING WATER IN TUYERE}
본 발명은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로 풍구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의 누수를 급수유량 및 배수유량과 유량편차, 배수관에서의 온도 및 저수조의 수위변화를 종합하여 기기 오작동 및 누수상태를 판단하는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정의 하나인 고로작업은 철광석과 코크스(cokes)를 고로 내부에 장입시키고 열풍로에서 생성된 고온의 열풍을 고로 일측에 형성된 풍구를 통하여 고로 내부에 불어넣음으로써 용융환원 과정을 통하여 용선을 생산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공정에서 고온의 열풍을 고로 측으로 전달시켜주는 풍구는 고로의 하부에 원주방향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냉각수가 흐를 수 있는 냉각수 유로가 형성되어 순환하면서 풍구를 냉각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22848호(2004.03.18.) "고로 풍구 냉각수 유량계 세척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고로 풍구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의 누수를 급수유량 및 배수유량과 유량편차, 배수관에서의 온도 및 저수조의 수위변화를 종합하여 기기 오작동 및 누수상태를 판단하는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은 제어부가 고로 풍구에서의 급수유량 및 배수유량과 냉각수의 배수온도 및 저수조의 수위를 입력받는 단계; 급수유량 및 배수유량을 통해 유량편차를 산출한 후 유량편차에 따라 설정되는 유량플래그, 배수온도의 변화에 따라 설정되는 온도플래그, 유량편차 및 유량변화량에 따라 설정되는 대파플래그 및 수위의 변화에 따라 설정되는 레벨플래그를 각각 설정하는 단계; 및 유량플래그, 온도플래그, 대파플래그 및 레벨플래그의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기기 오작동 및 누수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유량플래그를 설정하는 단계는 급수유량과 배수유량을 통해 유량편차를 산출하는 단계; 유량편차와 누수기준범위를 비교하여 유량편차가 누수기준범위를 벗어난 경우 카운트를 증가시키는 단계; 카운트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유량플래그를 설정하고 설정값 미만인 경우 유량편차를 산출하는 단계로 리턴하는 단계; 및 유량편차가 누수기준범위 이내인 경우 카운트를 초기화하고 유량편차를 산출하는 단계로 리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서 유량편차가 누수기준범위를 벗어난 경우 유량편차와 대파기준범위를 비교하여 유량편차가 대파기준범위를 벗어난 경우 대파플래그를 설정하고 리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가 고로 풍구에서의 급수유량 및 배수유량과 냉각수의 배수온도 및 저수조의 수위를 입력받는 단계; 급수유량 및 배수유량을 통해 유량편차를 산출한 후 유량편차에 따라 설정되는 유량플래그, 배수온도의 변화에 따라 설정되는 온도플래그, 유량편차 및 유량변화량에 따라 설정되는 대파플래그 및 수위의 변화에 따라 설정되는 레벨플래그를 각각 설정하는 단계; 및 유량플래그, 온도플래그, 대파플래그 및 레벨플래그의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기기 오작동 및 누수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온도플래그를 설정하는 단계는 유량플래그가 설정된 경우 유량플래그가 설정된 시점 이전의 설정시간 동안의 온도편차를 산출하는 단계; 및 온도편차가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온도플래그를 설정하고 리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가 고로 풍구에서의 급수유량 및 배수유량과 냉각수의 배수온도 및 저수조의 수위를 입력받는 단계; 급수유량 및 배수유량을 통해 유량편차를 산출한 후 유량편차에 따라 설정되는 유량플래그, 배수온도의 변화에 따라 설정되는 온도플래그, 유량편차 및 유량변화량에 따라 설정되는 대파플래그 및 수위의 변화에 따라 설정되는 레벨플래그를 각각 설정하는 단계; 및 유량플래그, 온도플래그, 대파플래그 및 레벨플래그의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기기 오작동 및 누수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대파플래그를 설정하는 단계는 급수유량 및 배수유량 중 어느 하나라도 유량변화가 발생된 경우 유량변화량이 설정비율이상 발생했는가 판단하는 단계; 및 유량변화량이 설정비율 이상 발생한 경우 대파플래그를 설정하고 리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가 고로 풍구에서의 급수유량 및 배수유량과 냉각수의 배수온도 및 저수조의 수위를 입력받는 단계; 급수유량 및 배수유량을 통해 유량편차를 산출한 후 유량편차에 따라 설정되는 유량플래그, 배수온도의 변화에 따라 설정되는 온도플래그, 유량편차 및 유량변화량에 따라 설정되는 대파플래그 및 수위의 변화에 따라 설정되는 레벨플래그를 각각 설정하는 단계; 및 유량플래그, 온도플래그, 대파플래그 및 레벨플래그의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기기 오작동 및 누수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레벨플래그를 설정하는 단계는 유량플래그가 설정된 경우 저수조의 수위가 감소되었는가 판단하는 단계; 수위가 감소된 경우 카운트를 증가시키는 단계; 카운트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레벨플래그를 설정하고 설정값 미만인 경우 수위가 감소되었는가 판단하는 단계로 리턴하는 단계; 및 수위가 감소되지 않은 경우 카운트를 초기화하고 리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가 고로 풍구에서의 급수유량 및 배수유량과 냉각수의 배수온도 및 저수조의 수위를 입력받는 단계; 급수유량 및 배수유량을 통해 유량편차를 산출한 후 유량편차에 따라 설정되는 유량플래그, 배수온도의 변화에 따라 설정되는 온도플래그, 유량편차 및 유량변화량에 따라 설정되는 대파플래그 및 수위의 변화에 따라 설정되는 레벨플래그를 각각 설정하는 단계; 및 유량플래그, 온도플래그, 대파플래그 및 레벨플래그의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기기 오작동 및 누수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레벨플래그를 설정하는 단계는 대파플래그가 설정된 경우 대파플래그가 설정된 시점 이후의 설정시간 동안 수위의 감소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감소량이 설정레벨 이상인 경우 레벨플래그를 설정하고 리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로 풍구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의 누수를 급수유량 및 배수유량과 유량편차, 배수관에서의 온도 및 저수조의 수위변화를 종합하여 풍구의 냉각관 파손에 따른 누수 및 대파 뿐만 아니라 기기의 오작동을 감지하여 경고함으로써 조업자들의 조업판단을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고로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장치의 설치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을 설명하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에 의한 유량플래그 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에 의한 누수범위와 대파범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에 의한 온도플래그 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에 의한 대파플래그 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에 의한 레벨플래그 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에 의한 레벨플래그의 다른 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에 의한 기기 오작동 및 누수상태의 판단예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장치의 설치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장치는 유량감지부(10), 온도감지부(20), 레벨감지부(30) 및 제어부(40)를 비롯하여 경고부(50)를 포함한다.
고로(100)의 풍구(110) 내부에는 냉각수가 흐를 수 있는 냉각수 유로가 형성되어 저수조(140)에서 냉각된 후, 고압의 공급펌프(130)를 이용해 냉각수급수관(120)을 통해 풍구(110)까지 공급되며, 풍구(110)로 유입된 냉각수는 풍구내부에 형성된 냉각수 유로를 지나 풍구(110)로부터 배수되어 냉각수배수관(125)을 통해 냉각수를 저장하는 저수조(140)에 저장된 후 다시 이동하여 반복적으로 풍구냉각에 사용된다.
따라서, 유량감지부(10)는 풍구(110)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급수관(120)에 설치된 급수유량계(10a)와 풍구(110)에서 배수되는 냉각수배수관(125)에 설치된 배수유량계(10b)를 통해 급수유량 및 배수유량을 측정한다.
즉, 이렇게 측정된 급수유량과 배수유량을 통해 유량의 변화를 감지할 뿐만 아니라 급수유량 및 배수유량간의 편차인 유량편차(ΔF)를 기반으로 누수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온도감지부(20)는 풍구(110)를 냉각시키고 배수되는 냉각수배수관(125)에서 냉각수의 배수온도를 측정한다.
온도가 변화할 경우 유량의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어,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수온도에 따른 밀도, 부피, 배수유량 및 유량편차(ΔF)를 기반으로 누수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배수유량은 급수유량이 50m3/h일 때의 배수유량이다.
Figure 112011094855614-pat00001
레벨감지부(30)는 냉각수를 저장하는 저수조(140)의 수위를 측정한다.
저수조(140)는 풍구(110)에서 누수나 대파가 발생할 경우 손실되는 냉각수를 보충하기 위해 수위변화가 발생하게 됨에 따라 이를 기반으로 누수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40)는 급수유량과 배수유량을 입력받아 유량편차(ΔF)를 산출하여 유량편차(ΔF)와 배수온도의 변화 및 수위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기기 오작동 및 누수상태를 판단한다.
따라서, 유량편차, 배수온도 및 수위변화 등 어느 하나만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누수 및 대파인 경우 다른 변수들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기기 오작동과 누수상태를 구분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제어부(40)에서 판단된 기기 오작동 및 누수상태를 경고부(50)를 통해 표시됨으로써 작업자가 풍구(110)의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을 설명하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에 의한 유량플래그 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에 의한 누수범위와 대파범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에 의한 온도플래그 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에 의한 대파플래그 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에 의한 레벨플래그 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에 의한 레벨플래그의 다른 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은 먼저, 제어부(40)가 유량감지부(10)로부터 풍구(110)의 냉각수급수관(120) 및 냉각수배수관(125)에서 측정된 급수유량 및 배수유량을 입력받고, 온도감지부(20)로부터 냉각수배수관(125)에서 측정된 배수온도를 입력받으며, 레벨감지부(30)로부터 저수조(140)의 수위를 입력받는다(S10).
이후 기기 오작동 및 누수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플래그를 설정한다(S20).
즉, 급수유량 및 배수유량을 통해 유량편차(ΔF)를 산출한 후 유량편차(ΔF)에 따라 설정되는 유량플래그, 배수온도의 변화에 따라 설정되는 온도플래그, 유량편차(ΔF) 및 유량변화량에 따라 설정되는 대파플래그 및 수위 변화에 따라 설정되는 레벨플래그를 각각 설정한다.
이하 각각의 플래그설정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플래그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급수유량과 배수유량을 통해 유량편차(ΔF)를 산출한다(S210). 즉, 누수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급수유량과 배수유량과의 편차를 통해 냉각수가 누수될 경우 편차가 발생됨을 파악하게 된다.
이렇게 유량편차(ΔF)를 산출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패턴을 유지하면서 변동하게 된다.
이후 유량편차(ΔF)가 누수기준범위를 벗어났는가 판단한다(S212).
이때 누수기준범위는 현 시점 이전의 주기별 설정시간 동안 유량편차의 평균값(
Figure 112011094855614-pat00002
)을 기준으로 누수상수(k1)를 가감한 범위를 나타낸다.
예를들어 주기별 설정시간을 10분으로 설정할 경우 10분 간격으로 반복하여 유량편차의 평균값(
Figure 112011094855614-pat00003
)을 산출한다. 이렇게 산출된 유량편차의 평균값(
Figure 112011094855614-pat00004
)에 누수상수(k1)로써 본원발명에서는 0.2m3/h를 가감하여 누수기준범위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누수기준범위를 주기별로 재 산출된다.
따라서, 현 시점의 주기에서는 유량편차의 평균값(
Figure 112011094855614-pat00005
)을 산출하기 위해 누적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현 시점 이전의 주기에서 산출된 유량편차의 평균값(
Figure 112011094855614-pat00006
)에 따른 누수기준범위를 기준으로 현재 측정된 유량편차(ΔF)와 비교한다.
이때 유량편차(ΔF)가 누수기준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카운트를 증가한다(S218).
이와 같이 카운트를 증가하면서 반복하여 유량편차(ΔF)가 누수기준범위를 벗어나는가 판단하는 이유는 기기의 오작동으로 인해 일시적인 유량편차(ΔF)가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을 배제하기 위해 적용한다.
또한, 유량편차(ΔF)가 누수기준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유량편차(ΔF)가 대파기준범위를 벗어났는가 판단한다(S216).
이때 대파기준범위는 누수기준범위의 산출방식과 유사하며 누수상수(k1)를 대신하여 대파상수(k2)를 적용하여 설정한다.
대파는 풍구(110)가 파손되어 누수가 심각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으로 급수유량과 배수유량의 편차가 상당히 발생되고 있음을 가리킨다.
따라서, 대파상수(k2)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3m3/h로 설정하여 유량편차(ΔF)가 대파기준범위를 벗어났을 경우에는 카운트의 증가와 무관하게 대파플래그를 설정하게 된다(S224).
위에서 유량편차와 누수기준범위를 비교하여 유량편차가 누수기준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카운트를 증가시키지만, 유량편차가 누수기준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경우에는 카운트를 초기화시킨다(S214).
이렇게 카운트를 증가시켜 카운트가 설정값 이상일 경우 유량플래그를 설정한다(S220)(S222).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플래그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유량플래그의 설정상태를 판단한다(S230).
이때 유량플래그가 설정된 경우 즉, 유량편차가 누수기준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유량플래그가 설정된 시점 이전의 설정시간 동안의 온도편차를 산출한다(S232).
예를들어 유량플래그가 설정된 시점으로부터 5분전의 배수온도와 현재 유량플래그가 설정된 시점에서의 배수온도의 온도편차를 산출한다.
이렇게 산출된 온도편차와 기준온도를 비교한다(S234).
본 실시예에서는 표 1에 나타낸 배수온도에 따른 유량편차(ΔF)의 테이블에서 보는 바와 같이 10℃ 이상의 온도차이가 발생할 경우 유량편차(ΔF)의 변화가 누수상수인 0.2m3/h 이상 발생하고 있어 기준온도로써 10℃를 적용하여 온도편차가 10℃ 이상일 경우 온도플래그를 설정한다(S236).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파플래그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대파플래그는 도 4에서 설명한 유량편차(ΔF)에 의해서도 설정되며 유량의 변화에 의해서도 설정된다.
즉, 급수유량 및 배수유량 중 어느 하나라도 유량변화가 있는가 판단한다(S240).
이때 유량변화가 있으면 유량변화량이 설정비율 이상 급격하게 변할 경우 대파플래그를 설정한다(S242)(S244).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된 급수유량이나 배수유량이 바로 이전 입력된 급수유량이나 배수유량 대비 40% 이상 변할 경우 대파플래그를 설정한다.
이때 40% 이상은 본 실시예에서 적용된 값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비의 상태 및 대파로 인정되는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벨플래그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유량플래그가 설정상태를 판단한다(S250).
이때 유량플래그가 설정된 경우 냉각수를 저장하는 저수조(140)의 수위가 감소되었는가 판단한다(S252).
즉, 냉각수가 누수되거나 풍구(110)가 대파되어 냉각수가 감소함에 따라 저수조(140)의 수위변화가 있는가 판단한다.
이때 저수조(140)의 수위가 감소된 경우 카운트를 증가시킨다(S256).
이와 같이 저수조(140)의 수위가 계속해서 감소될 경우 카운트를 증가시키면서 카운트가 설정값이상인가 판단하여 설정값 이상인 경우 레벨플래그를 설정한다(S258)(S260).
그러나 수위가 감소되지 않을 경우에는 카운트를 초기화하게 된다(S254).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벨플래그를 설정하는 다른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레벨플래그를 설정하기 위한 과정으로 유량플래그가 설정된 경우와 더불어 대파플래그가 설정된 경우 수위의 감소량을 산출한다(S270)(S272).
본 실시예에서 수위의 감소량은 대파플래그가 설정된 시점부터 5분 이내의 감소량을 기준으로 산출한다.
따라서 5분 이내의 감소량이 설정레벨 이상으로 감소한 경우 레벨플래그를 설정한다(S274)(S276).
이때, 설정레벨은 10%로써 수위가 10% 이상 감소한 경우 레벨플래그를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5분의 시간은 냉각수급수관(120)의 길이에 따라 풍구(110)에 대파가 발생된 경우 저수조(140)로부터 이동되는 시간을 기반으로 산출된 값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비의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10%의 설정레벨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비의 상태 및 대파로 인정되는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량플래그, 온도플래그, 대파플래그 및 레벨플래그의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기기 오작동 및 누수상태를 판단한다(S30).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에 의한 기기 오작동 및 누수상태의 판단예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플래그, 온도플래그, 대파플래그 및 레벨플래그의 설정상태에 따라 유량감지부(10), 온도감지부(20) 및 레벨감지부(30)의 기기 오작동을 비롯하여 누수상태인 누수 및 대파 상태를 판단한다.
이후 판단된 기기 오작동 및 누수상태를 경고부(50)를 작동시켜 알린다.
이때 경고부(50)는 각각 기기별 오작동의 상태 및 누수와 대파를 구분하여 경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에 따르면, 고로 풍구(110)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의 누수를 급수유량 및 배수유량과 유량편차, 냉각수배수관(125)에서의 배수온도 및 저수조(140)의 수위변화를 종합하여 풍구의 냉각관 파손에 따른 누수 및 대파 뿐만 아니라 기기의 오작동을 감지하여 경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유량감지부 10a : 급수유량계
10b : 배수유량계 20 : 온도감지부
30 : 레벨감지부 40 : 제어부
50 : 경고부 100 : 고로
110 : 풍구 120 : 냉각수급수관
125 : 냉각수배수관 130 : 공급펌프
140 : 저수조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제어부가 고로 풍구에서의 급수유량 및 배수유량과 냉각수의 배수온도 및 저수조의 수위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급수유량 및 상기 배수유량과 상기 배수온도 및 상기 수위를 통해 유량편차를 산출한 후 상기 유량편차에 따라 설정되는 유량플래그, 상기 배수온도의 변화에 따라 설정되는 온도플래그, 상기 유량편차 및 유량변화량에 따라 설정되는 대파플래그 및 상기 수위의 변화에 따라 설정되는 레벨플래그를 각각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유량플래그, 상기 온도플래그, 상기 대파플래그 및 상기 레벨플래그의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기기 오작동 및 누수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유량플래그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급수유량과 상기 배수유량을 통해 상기 유량편차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유량편차와 누수기준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유량편차가 상기 누수기준범위를 벗어난 경우 카운트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카운트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유량플래그를 설정하고 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유량편차를 산출하는 단계로 리턴하는 단계; 및
    상기 유량편차가 상기 누수기준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카운트를 초기화하고 상기 유량편차를 산출하는 단계로 리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편차가 상기 누수기준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유량편차와 대파기준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유량편차가 상기 대파기준범위를 벗어난 경우 대파플래그를 설정하고 리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
  5. 제어부가 고로 풍구에서의 급수유량 및 배수유량과 냉각수의 배수온도 및 저수조의 수위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급수유량 및 상기 배수유량과 상기 배수온도 및 상기 수위를 통해 유량편차를 산출한 후 상기 유량편차에 따라 설정되는 유량플래그, 상기 배수온도의 변화에 따라 설정되는 온도플래그, 상기 유량편차 및 유량변화량에 따라 설정되는 대파플래그 및 상기 수위의 변화에 따라 설정되는 레벨플래그를 각각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유량플래그, 상기 온도플래그, 상기 대파플래그 및 상기 레벨플래그의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기기 오작동 및 누수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온도플래그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유량플래그가 설정된 경우 상기 유량플래그가 설정된 시점 이전의 설정시간 동안의 온도편차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온도편차가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온도플래그를 설정하고 리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
  6. 제어부가 고로 풍구에서의 급수유량 및 배수유량과 냉각수의 배수온도 및 저수조의 수위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급수유량 및 상기 배수유량과 상기 배수온도 및 상기 수위를 통해 유량편차를 산출한 후 상기 유량편차에 따라 설정되는 유량플래그, 상기 배수온도의 변화에 따라 설정되는 온도플래그, 상기 유량편차 및 유량변화량에 따라 설정되는 대파플래그 및 상기 수위의 변화에 따라 설정되는 레벨플래그를 각각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유량플래그, 상기 온도플래그, 상기 대파플래그 및 상기 레벨플래그의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기기 오작동 및 누수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대파플래그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급수유량 및 상기 배수유량 중 어느 하나라도 유량변화가 발생된 경우 상기 유량변화량이 설정비율이상 발생했는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유량변화량이 상기 설정비율 이상 발생한 경우 상기 대파플래그를 설정하고 리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
  7. 제어부가 고로 풍구에서의 급수유량 및 배수유량과 냉각수의 배수온도 및 저수조의 수위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급수유량 및 상기 배수유량과 상기 배수온도 및 상기 수위를 통해 유량편차를 산출한 후 상기 유량편차에 따라 설정되는 유량플래그, 상기 배수온도의 변화에 따라 설정되는 온도플래그, 상기 유량편차 및 유량변화량에 따라 설정되는 대파플래그 및 상기 수위의 변화에 따라 설정되는 레벨플래그를 각각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유량플래그, 상기 온도플래그, 상기 대파플래그 및 상기 레벨플래그의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기기 오작동 및 누수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레벨플래그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유량플래그가 설정된 경우 상기 수위가 감소되었는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위가 감소된 경우 카운트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카운트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레벨플래그를 설정하고 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수위가 감소되었는가 판단하는 단계로 리턴하는 단계; 및
    상기 수위가 감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카운트를 초기화하고 리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
  8. 제어부가 고로 풍구에서의 급수유량 및 배수유량과 냉각수의 배수온도 및 저수조의 수위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급수유량 및 상기 배수유량과 상기 배수온도 및 상기 수위를 통해 유량편차를 산출한 후 상기 유량편차에 따라 설정되는 유량플래그, 상기 배수온도의 변화에 따라 설정되는 온도플래그, 상기 유량편차 및 유량변화량에 따라 설정되는 대파플래그 및 상기 수위의 변화에 따라 설정되는 레벨플래그를 각각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유량플래그, 상기 온도플래그, 상기 대파플래그 및 상기 레벨플래그의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기기 오작동 및 누수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레벨플래그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대파플래그가 설정된 경우 상기 대파플래그가 설정된 시점 이후의 설정시간 동안 상기 수위의 감소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감소량이 설정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레벨플래그를 설정하고 리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
KR1020110126111A 2011-11-29 2011-11-29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 KR101320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111A KR101320115B1 (ko) 2011-11-29 2011-11-29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111A KR101320115B1 (ko) 2011-11-29 2011-11-29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884A KR20130059884A (ko) 2013-06-07
KR101320115B1 true KR101320115B1 (ko) 2013-10-18

Family

ID=48858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111A KR101320115B1 (ko) 2011-11-29 2011-11-29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01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4150A (zh) * 2019-05-17 2019-08-27 南京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流量自动诊断装置及诊断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92239B (zh) * 2016-02-17 2020-03-06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高炉出铁量推定装置及方法
KR102224886B1 (ko) * 2019-05-24 2021-03-05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로의 풍구 파손 감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4836588B (zh) * 2022-04-25 2023-11-14 江苏沙钢集团有限公司 一种高炉风口漏水的定位方法及监控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9513A (ja) * 1995-03-30 1996-10-15 Nippon Steel Corp 送風羽口の漏水検知方法
KR19980043861U (ko) * 1996-12-26 1998-09-25 김종진 고로 냉각관 파손 검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9513A (ja) * 1995-03-30 1996-10-15 Nippon Steel Corp 送風羽口の漏水検知方法
KR19980043861U (ko) * 1996-12-26 1998-09-25 김종진 고로 냉각관 파손 검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4150A (zh) * 2019-05-17 2019-08-27 南京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流量自动诊断装置及诊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884A (ko) 201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0115B1 (ko) 고로 풍구의 냉각수 누수 감지방법
JP2023145627A (ja) 特に溶融金属用の冶金容器の耐火物ライニングの状態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
CN101749825A (zh) 用于复合型空调器的冷媒追加控制方法
JP2017160498A (ja) 竪型炉における溶融物レベルの推定方法、及びその推定装置
JPWO2018020929A1 (ja) 排滓重量推定方法及び排滓重量推定装置
US11738388B2 (en) Casting mold for die casting, and method for setting decompression path conductance thereof
CN107340102B (zh) 一种换流阀冷却系统漏水检测方法及系统
US20140264990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empering device of a blow-mold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tempering device of a blow-molding machine
US20170217281A1 (en) Device for filling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s with coolant r744
CN104525926B (zh) 钢包下线判定的方法
CN111518975A (zh) 高炉风口小套破损监测方法及系统
KR101504280B1 (ko) 전기로 용융 슬래그 중 산화철 함량 예측방법
KR101312526B1 (ko) 전기로 아크 안정도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로 조업 방법
KR102224886B1 (ko) 고로의 풍구 파손 감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1220719A1 (ja) 成形システム、異常予測装置、異常予測方法、プログラム及び学習済みモデル
KR100705550B1 (ko) 고로 스테이브 냉각 순환수의 누출 조기 예측방법
JP2013181662A (ja) 推定装置、劣化判定装置、推定方法及び劣化判定方法
TWI450969B (zh) 高爐鐵水溫度之估測方法
TWI697561B (zh) 轉爐之底吹孔之熔損的評估方法
CN111060209B (zh) 一种高炉炉缸温度传感器的补增及测算方法
WO2021220718A1 (ja) 成形システム、異常予測装置、異常予測方法、プログラム及び学習済みモデル
KR20060073271A (ko) 고로 풍구 용손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JP5585517B2 (ja) 溶鋼に粉体を吹込む精錬設備、粉体吹込みタンクのリーク検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045584A (ja)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ガス吹込み異常検知装置、連続鋳造設備
JP5920267B2 (ja) 転炉底吹羽口のマッシュルームの検出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底吹羽口の異常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