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038B1 - CDMA Callback용 mVoIP 단말의 통화 착신시 배터리 절약을 위한 어플 구동시스템 및 어플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CDMA Callback용 mVoIP 단말의 통화 착신시 배터리 절약을 위한 어플 구동시스템 및 어플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0038B1
KR101320038B1 KR1020120074369A KR20120074369A KR101320038B1 KR 101320038 B1 KR101320038 B1 KR 101320038B1 KR 1020120074369 A KR1020120074369 A KR 1020120074369A KR 20120074369 A KR20120074369 A KR 20120074369A KR 101320038 B1 KR101320038 B1 KR 101320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dma
mvoip
terminal
oci
vo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호
Original Assignee
(주)뉴온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온시스 filed Critical (주)뉴온시스
Priority to KR1020120074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0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no transmission is received, e.g. out of range of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04M7/0081Network 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DMA Callback용 mVoIP 단말의 통화 착신시 배터리 절약을 위한 어플 구동시스템 및 어플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CDMA Callback용 mVoIP 단말이 계속적으로 VoIP 교환기와 OCI 접속을 유지하지 않도록 하는 제 1 단계; CDMA 착신 요구시 상기 VoIP 교환기로 OCI 등록을 하여 그 응답으로 OCI 응답 메시지를 확인하여 착신 요구가 VoIP 교환기를 거쳐서 왔는지 아니면 CDMA 망을 통해 바로 왔는지 확인하는 제 2 단계; 및 CDMA 착신 요구가 상기 VoIP 교환기를 거쳐서 왔을 경우 mVoIP 어플을 구동하고 상기 CDMA 착신 요구가 VoIP 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바로 CDMA 망으로부터 왔을 경우 상기 mVoIP 어플을 구동하지 않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CDMA Callback용 mVoIP 단말에서 통화 착신 방법을 개선하여 어플이 대기 상태에서 VoIP 교환기와 접속을 유지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CDMA Callback용 mVoIP 단말의 통화 착신시 배터리 절약을 위한 어플 구동시스템 및 어플 구동방법{App Activating System and Method in Call Termination and Battery Economizing for CDMA Callback mVoIP}
발명은 배터리 절약을 위한 CDMA Callback용 mVoIP 단말의 통화 착신시 배터리 절약을 위한 어플 구동시스템 및 어플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CDMA Callback용 mVoIP 단말에서 통화 착신 방법을 개선하여 어플이 대기 상태에서 VoIP 교환기와 접속을 유지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CDMA Callback용 mVoIP 단말의 통화 착신시 배터리 절약을 위한 어플 구동시스템 및 어플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mVoIP 단말은 통신사업자의 데이터 망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 서비스를 구현하고 있는데 이 경우 음성의 품질을 CDMA 만큼 보장할 수 없다. 또한 mVoIP는 그 특성상 통화 중에 단말이 이동할 수가 있는데 이 경우 기지국을 이동하거나 무선 와이파이 서비스 지역을 벗어나게 되면 통화가 끊어지거나 통화 품질이 급격히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통화 품질의 불안정성은 mVoIP 서비스의 가장 큰 단점으로 여겨진다.
CDMA Callback 서비스는 mVoIP의 통화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전화발신과 착신 및 서비스제어 시에만 데이터망을 이용하여 시그널을 주고받고 실제 통화는 품질이 검증된 CDMA 망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 서비스를 실제로 행하는 주체는 VoIP 교환기이고 mVoIP 단말은 VoIP 교환기와 상호간에 정의된 제어 시그널을 이용한다. 그러나 CDMA Callback 서비스를 이용하여 mVoIP 기능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통화 착신을 위해 단말은 항상 VoIP 교환기의 착신요청 시그널을 대기하고 있어야 한다.
이 경우 mVoIP 단말의 어플은 슬립모드에서도 계속 VoIP 교환기와 접속을 유지하고 있어야 하며 또한 단말의 이동 시에 VoIP 교환기와 접속이 끊어질 수가 있기 때문에 항상 접속상태를 감시하고 있어야 한다. 이 경우 단말의 배터리 소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기술문헌]
1. 콜백 전화기 및 이를 이용한 콜백 시스템(TELEPHONE AND SYSTEM FOR CALL BACK SERVICE)(특허출원번호 제10-2007-0004738호)
2. 이동통신망에서의 선불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E-PAID CALL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특허출원번호 제10-2007-0067071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CDMA Callback용 mVoIP 단말에서 통화 착신 방법을 개선하여 어플이 대기 상태에서 VoIP 교환기와 접속을 유지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CDMA Callback용 mVoIP 단말의 통화 착신시 배터리 절약을 위한 어플 구동시스템 및 어플 구동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CDMA Callback용 어플에 있어 전화 착신 시에 어플을 구동하는 방법을 새롭게 제안하여 어플이 슬립모드에 있을 경우 배터리를 소모하지 않게 하여 단말의 배터리 소모량을 줄이고 또한 슬립모드에 있는 어플이 안정적으로 구동하게 하여 서비스의 품질을 높여 통신 서비스 사업자로 하여금 사업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CDMA Callback용 mVoIP 단말의 통화 착신시 배터리 절약을 위한 어플 구동시스템 및 어플 구동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DMA Callback용 mVoIP 단말의 통화 착신시 배터리 절약을 위한 어플 구동시스템은, 계속적으로 OCI 접속을 유지하지 않는 VoIP 교환기; 및 CDMA 착신 요구시 상기 VoIP 교환기로 OCI 등록을 하여 그 응답으로 OCI 응답 메시지를 확인하여 착신 요구가 VoIP 교환기를 거쳐서 왔는지 아니면 CDMA 망을 통해 바로 왔는지 확인한 뒤, CDMA 착신 요구가 상기 VoIP 교환기를 거쳐서 왔을 경우 mVoIP 어플을 구동하고 상기 CDMA 착신 요구가 VoIP 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바로 CDMA망으로부터 왔을 경우 상기 mVoIP 어플을 구동하지 않는 CDMA Callback용 mVoIP 단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mVoIP 어플은, 슬립모드로 갔을 때 상기 OCI 접속을 끊어 상기 VoIP 단말의 배터리 소모를 줄여 배터리를 절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IP 전화기 또는 일반전화기가 상기 mVoIP 단말로 상기 CDMA망을 통해 발신에 따라, 상기 CDMA망을 거쳐 착신 호 요청(CDMA)이 상기 VoIP 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상기 mVoIP 단말로 전송되어 링이 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mVoIP 단말은, 상기 VoIP 교환기로 서버 접속(OCI REGISTER)을 요청함으로써, 서버 접속 결과(OCI SUCCESS)를 반환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VoIP 교환기는, 단말 상태 통보(OCI Call Update - IDLE)를 상기 mVoIP 단말로 전송에 따라, 상기 mVoIP 단말 어플이 구동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DMA Callback용 mVoIP 단말의 통화 착신시 배터리 절약을 위한 어플 구동방법은, CDMA Callback용 mVoIP 단말이 계속적으로 VoIP 교환기와 OCI 접속을 유지하지 않도록 하는 제 1 단계; CDMA 착신 요구시 상기 VoIP 교환기로 OCI 등록을 하여 그 응답으로 OCI 응답 메시지를 확인하여 착신 요구가 VoIP 교환기를 거쳐서 왔는지 아니면 CDMA 망을 통해 바로 왔는지 확인하는 제 2 단계; 및 CDMA 착신 요구가 상기 VoIP 교환기를 거쳐서 왔을 경우 mVoIP 어플을 구동하고 상기 CDMA 착신 요구가 VoIP 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바로 CDMA 망으로부터 왔을 경우 상기 mVoIP 어플을 구동하지 않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3 단계 이후, 상기 mVoIP 어플이 슬립모드로 갔을 때 상기 OCI 접속을 끊어 상기 VoIP 단말의 배터리 소모를 줄여 배터리를 절약하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단계는, IP 전화기 또는 일반전화기가 상기 mVoIP 단말로 상기 CDMA망을 통해 발신에 따라, 상기 CDMA망을 거쳐 착신 호 요청(CDMA)이 상기 VoIP 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상기 mVoIP 단말로 전송되어 링이 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mVoIP 단말이 상기 VoIP 교환기로 서버 접속(OCI REGISTER)을 요청함으로써, 서버 접속 결과(OCI SUCCESS)를 반환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VoIP 교환기가 단말 상태 통보(OCI Call Update - IDLE)를 상기 mVoIP 단말로 전송에 따라, 상기 mVoIP 단말 어플은 구동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DMA Callback용 mVoIP 단말의 통화 착신시 배터리 절약을 위한 어플 구동시스템 및 어플 구동방법은, CDMA Callback용 mVoIP 단말에서 통화 착신 방법을 개선하여 어플이 대기 상태에서 VoIP 교환기와 접속을 유지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DMA Callback용 mVoIP 단말의 통화 착신시 배터리 절약을 위한 어플 구동시스템 및 어플 구동방법은, CDMA Callback용 어플에 있어 전화 착신 시에 어플을 구동하는 방법을 새롭게 제안하여 어플이 슬립모드에 있을 경우 배터리를 소모하지 않게 하여 단말의 배터리 소모량을 줄이고 또한 슬립모드에 있는 어플이 안정적으로 구동하게 하여 서비스의 품질을 높여 통신 서비스 사업자로 하여금 사업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SIP을 이용한 기존의 mVoIP 단말의 착신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CDMA Callback을 이용한 종래의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을 사용하는 mVoIP 단말의 착신방법의 문제점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CDMA Callback용 mVoIP 단말의 통화 착신시 배터리 절약을 위한 어플 구동방법 중 VoIP 교환기를 경유한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CDMA Callback용 mVoIP 단말의 통화 착신시 배터리 절약을 위한 어플 구동방법 중 VoIP 교환기를 경유한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CDMA Callback용 mVoIP 단말의 통화 착신시 배터리 절약을 위한 어플 구동방법 중 VoIP 교환기를 경유하지 않은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DMA Callback용 mVoIP 단말의 통화 착신시 배터리 절약을 위한 어플 구동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CDMA Callback용 mVoIP 단말의 통화 착신시 배터리 절약을 위한 어플 구동시스템은 무선 VoIP 단말(3: mVoIP 단말), IP 전화기(4), VoIP 교환기(5), 게이트웨이(6), CDMA망(7), 기지국(8) 및 일반 무선 단말(9)을 포함한다.
mVoIP 단말(3)은 VoIP 교환기(5)로 서버 접속(OCI REGISTER)을 요청함으로써, 서버 접속 결과(OCI SUCCESS)를 반환 받는다(S64). 즉, mVoIP 단말(3)은 단계(S62)에 따른 착신호 요청(CDMA)에 따라 즉시 VoIP 교환기(5)로 OCI 접속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mVoIP 단말(3)은 VoIP 교환기(5)로 계속적으로 접속을 유지하지 않아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착신 단말인 mVoIP 단말(3)은 평소에는 VoIP 교환기(5)와 OCI 접속을 하고 있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CDMA망(7)으로부터 착신 호 요청이 오면 mVoIP 단말(3)은 즉시 VoIP 교환기(5)로 OCI 등록을 한다.
IP 전화기(4)는 mVoIP 단말(3)로 CDMA망(7)을 통해 발신에 따라, CDMA망(7)을 거쳐 착신 호 요청(CDMA)이 mVoIP 단말(3)로 전송되어 링이 울리도록 한다. 즉, IP 전화기(4)는 CDMA망(7)을 거쳐 mVoIP 단말(3)과 음성 통화가 가능하여 음성은 CDMA 망을 통하여 송수신한다.
VoIP 교환기(5)는 단말 상태 통보(OCI Call Update - IDLE)를 mVoIP 단말(3)로 전송한다(S64). 이 경우 mVoIP 단말(3)의 어플은 구동되지 않는다. VoIP 교환기(5)는 OCI 등록에 대한 응답과 함께 OCI Call Update 메시지를 통해 등록 된 착신 단말의 현재 상태를 보내 주는 것이다. 착신 단말은 받은 OCI Call Update 메시지를 분석하여 현재 상태가 ALERT가 아니므로 어플을 구동하진 않는다. 즉, 발신이 VoIP 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CDMA망에서 바로 왔을 경우는 Call Update의 현재 상태가 IDLE로 오게 되고 이때에는 착신 단말은 어플을 구동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CDMA Callback용 mVoIP 단말의 착신 처리 방법을 새롭게 제안함으로써 단말의 어플의 기능을 개선하였고 아울러 단말의 배터리 소모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mVoIP 단말(3)은 착신 응답(CDMA)을 CDMA망(7)으로 전송하면(, CDMA망(7)을 거친 착신 응답이 IP 전화기(4) 또는 일반전화기로 전달되도록 한다.
게이트웨이(6)는 프로토콜 변환기의 하나이며, CDMAakd(7)을 통해 무선으로 접속하는 무선단말과 IP망을 통해 유선으로 접속하는 프록시서버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게이트웨이(6)는 왑게이트웨이(Wap Gateway)로서, 무선단말이 프록시서버에 액세스(Aceess)하기 위한 프로토콜 스택을 포함할 수 있다.
CDMA망(7)은 동기식 이동 통신망을 예로 들었으나,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동통신망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및 비동기식 MSC(Mobile Switching Cen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이동통신망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도 2는 CDMA Callback을 이용한 종래의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을 사용하는 mVoIP 단말의 착신방법의 문제점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CDMA Callback을 이용한 종래의 mVoIP 단말의 착신방법도 도 1의 어플 구동시스템과 시스템적으론 동일한 구성요소를 갖는다. 도 2를 참조하면, mVoIP 단말(30)은 주기적으로 VoIP 교환기(5)로 위치등록 신고(REGISTER)를 전송함으로써(S10), VoIP 교환기(5)로부터 위치등록 결과(200 OK)를 수신한다(S11).
단계(S10) 및 단계(S11)에 따라 mVoIP 단말(30)은 주기적으로 VoIP 교환기(5)에 위치등록을 하여야 하므로, 자체적인 배터리 소모량이 심각하게 소비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S1). 보다 구체적으로, mVoIP 단말(30)은 실질적으로 어플이 구동 중이지 않더라도 주기적으로 위치등록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배터리가 소모되는 것이다.
한편, IP 전화기(4) 또는 일반전화기로부터 VoIP 교환기(5)를 통해 mVoIP 단말(3)로 발신이 있는 경우(S13), VoIP 교환기(5)는 착신 호 요청(INVITE)을 mVoIP 단말(3)로 전송하여(S14) 착신 호 응답(200 OK)을 반환받은 뒤(S15), IP 전화기(4) 또는 일반전화기로 착신 응답을 전송한다(S16). 이에 따라 IP 전화기(4) 또는 일반전화기와 mVoIP 단말(3)는 VoIP 교환기(5)를 통해 음성 통화가 가능하다(S17).
이 경우 실제 통화 음성은 무선 데이터망을 이용하여 전송되므로 망의 대역폭 제한 및 단말의 이동에 의한 무선환경 변화에 의해 통화품질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S2). 즉, 음성은 무선 데이터 망을 사용하기 때문에 음성의 대역폭이 제한되며 와아파이 망을 이용한다 하더라도 서비스 지역을 벗어나게 되면 통화가 끊어지거나 불가능하게 된다. 위와 같은 mVoIP의 통화 품질 불안정을 극복하기 위해 SIP이 아닌 OCI (Open Client Interface)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CDMA Callback 서비스가 있다.
CDMA Callback 서비스는 통화 발신 및 착신에 대해서만 무선 데이터망을 통해 시그널을 전달하고 실제 통화는 CDMA 망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서 통화 품질을 보장받게 된다. CDMA Callback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mVoIP 단말은 전화번호를 2개를 가지게 된다. 하나는 기존의 CDMA 전화번호이고 또 다른 하나는 mVoIP 교환기에서 부여하는 VoIP 용 전화번호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CDMA Callback용 mVoIP 단말의 통화 착신시 배터리 절약을 위한 어플 구동방법 중 VoIP 교환기(5)를 경유한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mVoIP 단말(3)은 VoIP 교환기(5)로 서버 접속(OCI REGISTER)을 요청함으로써(S21), 서버 접속 결과(OCI SUCCESS)를 반환 받는다(S22).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착신 단말인 mVoIP 단말(3)은 VoIP 교환기(5)에 OCI 등록을 함으로써, 이 등록은 SIP에서의 REGISTER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지만 한 가지 다른 점은 OCI 등록은 UDP가 아닌 TCP를 쓴다는 점이다. 따라서 OCI 등록은 주기적으로 할 필요가 없고 한번 등록하면 계속 연결을 유지 하고 있어야 한다.
단계(S22) 이후, VoIP 교환기(5)는 단말 상태 통보(OCI Call Update - IDLE)를 mVoIP 단말(3)로 전송한다(S23). 즉 OCI 등록이 성공하면 VoIP 교환기(5)는 OCI 메시지인 Call Update 메시지를 보내 현재 단말의 상태를 보내 준다. 도 3에서 현재 단말의 상태는 IDLE 상태이다.
이후, IP 전화기(4) 또는 일반전화기가 VoIP 교환기(5)를 통해 mVoIP 단말(3)로 발신시(S24), VoIP 교환기(5)는 발신(IP)을 게이트웨이(6)로 전송한다(S25). 이에 따라, 게이트웨이(6)는 발신(PSTN)을 CDMA망(7)으로 전송하면, CDMA망(7)을 거친 착신 호 요청(CDMA)가 mVoIP 단말(3)로 전송되어 링이 울린다(S27). 보다 구체적으로, IP 전화기(4) 또는 일반전화기가 CDMA Callback 서비스를 구비한 mVoIP 단말(3)로 VoIP 용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면, VoIP 교환기(5)에서 mVoIP 단말(3)로 바로 전화를 착신시키지 않고 CDMA 전화번호로 바꾸어서 게이트웨이(6)을 거쳐 CDMA 망(7)으로 전화를 재발신하는 것이다.
단계(S27) 이후, VoIP 교환기(5)는 단말 상태 통보(OCI Call Update - ALERT)를 mVoIP 단말(3)로 전송함으로써(S28), mVoIP 단말(3)의 어플이 구동되도록 한다. 즉, VoIP 교환기(5)는 OCI 메시지인 Call Update를 통해 전화가 가고 있음을 착신 단말인 mVoIP 단말(3)에게 알려준다. 이 경우 VoIP 단말(3)의 상태는 ALERT이다.
단계(S28) 이후, mVoIP 단말(3)은 착신 응답(CDMA)을 CDMA망(7)으로 전송하면(S29), CDMA망(7)을 거친 착신 응답(PSTN)이 게이트웨이(6)로 전달된다(S30).
단계(S30) 이후, 게이트웨이(6)는 착신 응답(IP)를 VoIP 교환기(5)로 전송함으로써(S31), VoIP 교환기(5)가 IP 전화기(4) 또는 일반전화기로 착신 응답을 전달한다(S32). 최종적으로 착신 단말인 mVoIP 단말(3)이 전화를 받으면 응답이 CDMA망(7)을 거쳐 게이트웨이(6)을 통해 발신 단말(4)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IP 전화기(4) 또는 일반전화기는 VoIP 교환기(5), 게이트웨이(6), CDMA망(7)을 거쳐 mVoIP 단말(3)과 음성 통화가 가능하다(S33). 즉, 음성은 CDMA 망을 통하여 전달된다. 즉, 음성은 CDMA망(7)을 거쳐 게이트웨이(6)를 통해서 전달됨으로써, 일단 CDMA Callback용 어플이 구동된 뒤에는 통화추가를 통한 제 3자 호출 및 돌려주기 및 삼자통화가 OCI 메시지를 통해 VoIP 교환기(5)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CDMA Callback용 어플이 구동하기 위해서는 CDMA 호 가 왔을 경우 어플을 구동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발신자가 VoIP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지 않고 직접 CDMA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는 전화가 VoIP 교환기(5)를 거쳐서 오지 않았기 때문에 착신 단말에서 OCI 메시지로 VoIP 교환기로 서비스 제어를 요청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발신자가 VoIP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든, CDMA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든 착신 단말은 모두 CDMA 망을 통한 CDMA 착신을 받게 된다. 이 것은 CDMA Callback 서비스의 기능이며 이 경우 착신 단말은 어플을 구동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해야 한다.
판단을 하는 한 가지 방법은 착신 단말이 항상 VoIP 교환기(5)로 OCI 접속을 하고 있는 것이다. 즉 전화가 VoIP 교환기(5)를 통해서 오게 되면 VoIP 교환기(5)에서 OCI 메시지로 이를 통보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착신 단말은 어플을 구동하여야 한다. 또한 후술할 도 5와 같이, 전화가 VoIP 교환기(5)를 통하지 않고 바로 CDMA망(7)을 거쳐서 오면 VoIP 교환기(5)는 OCI 메시지를 줄 수 없게 되고 이 경우 착신 단말은 어플을 구동해서는 안 된다.
그러나 이 방법의 문제는 어플이 슬립모드로 들어갔을 경우 VoIP 교환기(5)와 항상 OCI 접속을 하고 있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 경우 단말의 배터리 소모뿐만 아니라 이동 중에 OCI 접속이 끊어지거나 망의 상태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OCI 등록을 재연결해야 할 필요가 생긴다. 이러한 점은 어플의 불안전성을 가져온다.
따라서 본 발명은 CDMA Callback용 어플에 있어, 슬립모드에서도 항시 OCI 접속을 유지할 필요가 없이 VoIP 교환기(5)를 통하여 온 전화인지 CDMA망(7)을 통해 바로 온 전화인지를 감지하는 방법을 새롭게 제안하여 단말의 배터리 절약 및 안정적인 어플의 동작을 실현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CDMA Callback용 mVoIP 단말의 통화 착신시 배터리 절약을 위한 어플 구동방법 중 VoIP 교환기(5)를 경유한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IP 전화기(4) 또는 일반전화기가 VoIP 교환기(5)를 통해 mVoIP 단말(3)로 발신시(S41), VoIP 교환기(5)는 발신(IP)을 게이트웨이(6)로 전송한다(S42). 이에 따라, 게이트웨이(6)는 발신(PSTN)을 CDMA망(7)으로 전송하면(S43), CDMA망(7)을 거친 착신 호 요청(CDMA)가 mVoIP 단말(3)로 전송되어 링이 울린다(S44).
단계(S44) 이후, mVoIP 단말(3)은 VoIP 교환기(5)로 서버 접속(OCI REGISTER)을 요청함으로써(S45), 서버 접속 결과(OCI SUCCESS)를 반환 받는다(S46). 즉, mVoIP 단말(3)은 즉시 VoIP 교환기(5)에 OCI 접속을 함으로써, 이 경우 접속을 계속 유지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즉, 착신 단말인 mVoIP 단말(3)에 CDMA 전화가 왔을 경우 mVoIP 단말(3) 전화를 감지하여 즉시 VoIP 교환기(5)로 OCI 등록요구를 한다. 그러면 후술할 단계(S47)과 같이, VoIP 교환기(5)는 접속 경과와 함께 현재 단말의 상태를 OCI Call Update 메시지를 통해 알려준다.
즉, 단계(S46) 이후, VoIP 교환기(5)는 단말 상태 통보(OCI Call Update - ALERT)를 mVoIP 단말(3)로 전송함으로써(S47), mVoIP 단말(3)의 어플이 구동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OCI Call Update를 받은 mVoIP 단말(3)은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태가 IDLE 인지 ALERT인지 보고 IDLE이면 어플을 구동하지 않고 ALERT이면 어플을 구동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항상 OCI 접속을 하고 있을 필요가 없고 전화가 왔을 경우에만 일시적으로 접속을 하여 걸려온 전화의 종류를 판단한다.
단계(S47) 이후, mVoIP 단말(3)은 착신 응답(CDMA)을 CDMA망(7)으로 전송하면(S48), CDMA망(7)을 거친 착신 응답(PSTN)이 게이트웨이(6)로 전달된다(S49).
단계(S49) 이후, 게이트웨이(6)는 착신 응답(IP)를 VoIP 교환기(5)로 전송함으로써(S50), VoIP 교환기(5)가 IP 전화기(4) 또는 일반전화기로 착신 응답을 전달한다(S51).
이에 따라, IP 전화기(4) 또는 일반전화기는 VoIP 교환기(5), 게이트웨이(6), CDMA망(7)을 거쳐 mVoIP 단말(3)과 음성 통화가 가능하다(S52). 즉, 음성은 CDMA 망을 통하여 전달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CDMA Callback용 mVoIP 단말의 통화 착신시 배터리 절약을 위한 어플 구동방법 중 VoIP 교환기(5)를 경유하지 않은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IP 전화기(4) 또는 일반전화기가 mVoIP 단말(3)로 CDMA망(7)을 통해 발신에 따라(S61), CDMA망(7)을 거쳐 착신 호 요청(CDMA)이 mVoIP 단말(3)로 전송되어 링이 울린다(S62).
이에 따라, mVoIP 단말(3)은 VoIP 교환기(5)로 서버 접속(OCI REGISTER)을 요청함으로써(S63), 서버 접속 결과(OCI SUCCESS)를 반환 받는다(S64). 즉, mVoIP 단말(3)은 단계(S62)에 따른 착신호 요청(CDMA)에 따라 즉시 VoIP 교환기(5)로 OCI 접속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mVoIP 단말(3)은 VoIP 교환기(5)로 계속적으로 접속을 유지하지 않아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착신 단말인 mVoIP 단말(3)은 평소에는 VoIP 교환기(5)와 OCI 접속을 하고 있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CDMA망(7)으로부터 착신 호 요청이 오면 mVoIP 단말(3)은 즉시 VoIP 교환기(5)로 OCI 등록을 한다.
단계(S64) 이후, VoIP 교환기(5)는 단말 상태 통보(OCI Call Update - IDLE)를 mVoIP 단말(3)로 전송한다(S64). 이 경우 mVoIP 단말(3)의 어플은 구동되지 않는다. VoIP 교환기(5)는 OCI 등록에 대한 응답과 함께 OCI Call Update 메시지를 통해 등록 된 착신 단말의 현재 상태를 보내 주는 것이다.
착신 단말은 받은 OCI Call Update 메시지를 분석하여 현재 상태가 ALERT가 아니므로 어플을 구동하진 않는다. 즉, 도 4와 다르게 도 5에서는 발신이 VoIP 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CDMA망에서 바로 왔을 경우는 Call Update의 현재 상태가 IDLE로 오게 되고 이때에는 착신 단말은 어플을 구동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CDMA Callback용 mVoIP 단말의 착신 처리 방법을 새롭게 제안함으로써 단말의 어플의 기능을 개선하였고 아울러 단말의 배터리 소모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단계(S64) 이후, mVoIP 단말(3)은 착신 응답(CDMA)을 CDMA망(7)으로 전송하면(S65), CDMA망(7)을 거친 착신 응답이 IP 전화기(4) 또는 일반전화기로 전달된다(S65).
이에 따라, IP 전화기(4) 또는 일반전화기는 CDMA망(7)을 거쳐 mVoIP 단말(3)과 음성 통화가 가능하다(S66). 즉, 음성은 CDMA 망을 통하여 전달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3: mVoIP 단말
4: IP 전화기
5: VoIP 교환기
6: 게이트웨이
7: CDMA망
8: 기지국
9: 일반 무선 단말

Claims (8)

  1. 계속적으로 OCI 접속을 유지하지 않는 VoIP 교환기; 및
    CDMA 착신 요구시 상기 VoIP 교환기로 OCI 등록을 하여 그 응답으로 OCI 응답 메시지를 확인하여 착신 요구가 VoIP 교환기를 거쳐서 왔는지 아니면 CDMA 망을 통해 바로 왔는지 확인한 뒤, CDMA 착신 요구가 상기 VoIP 교환기를 거쳐서 왔을 경우 mVoIP 어플을 구동하고 상기 CDMA 착신 요구가 VoIP 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바로 CDMA망으로부터 왔을 경우 상기 mVoIP 어플을 구동하지 않는 CDMA 콜백(Callback)용 mVoIP 단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콜백(Callback)용 mVoIP 단말의 통화 착신시 배터리 절약을 위한 어플 구동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VoIP 어플은,
    슬립모드로 갔을 때 상기 OCI 접속을 끊어 상기 VoIP 단말의 배터리 소모를 줄여 배터리를 절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콜백(Callback)용 mVoIP 단말의 통화 착신시 배터리 절약을 위한 어플 구동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IP 전화기 또는 일반전화기가 상기 mVoIP 단말로 상기 CDMA망을 통해 발신에 따라, 상기 CDMA망을 거쳐 착신 호 요청(CDMA)이 상기 VoIP 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상기 mVoIP 단말로 전송되어 링이 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콜백(Callback)용 mVoIP 단말의 통화 착신시 배터리 절약을 위한 어플 구동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VoIP 교환기는,
    단말 상태 통보(OCI Call Update - IDLE)를 상기 mVoIP 단말로 전송에 따라, mVoIP 어플이 구동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콜백(Callback)용 mVoIP 단말의 통화 착신시 배터리 절약을 위한 어플 구동시스템.
  5. CDMA 콜백(Callback)용 mVoIP 단말이 계속적으로 VoIP 교환기와 OCI 접속을 유지하지 않도록 하는 제 1 단계;
    CDMA 착신 요구시 상기 VoIP 교환기로 OCI 등록을 하여 그 응답으로 OCI 응답 메시지를 확인하여 착신 요구가 VoIP 교환기를 거쳐서 왔는지 아니면 CDMA 망을 통해 바로 왔는지 확인하는 제 2 단계;
    CDMA 착신 요구가 상기 VoIP 교환기를 거쳐서 왔을 경우 mVoIP 어플을 구동하고 상기 CDMA 착신 요구가 VoIP 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바로 CDMA 망으로부터 왔을 경우 상기 mVoIP 어플을 구동하지 않는 제 3 단계; 및
    상기 mVoIP 어플이 슬립모드로 갔을 때 상기 OCI 접속을 끊어 VoIP 단말의 배터리 소모를 줄여 배터리를 절약하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콜백(Callback)용 mVoIP 단말의 통화 착신시 배터리 절약을 위한 어플 구동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IP 전화기 또는 일반전화기가 상기 mVoIP 단말로 상기 CDMA망을 통해 발신에 따라, 상기 CDMA망을 거쳐 착신 호 요청(CDMA)이 상기 VoIP 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상기 mVoIP 단말로 전송되어 링이 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콜백(Callback)용 mVoIP 단말의 통화 착신시 배터리 절약을 위한 어플 구동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mVoIP 단말이 상기 VoIP 교환기로 서버 접속(OCI REGISTER)을 요청함으로써, 서버 접속 결과(OCI SUCCESS)를 반환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콜백(Callback)용 mVoIP 단말의 통화 착신시 배터리 절약을 위한 어플 구동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VoIP 교환기가 단말 상태 통보(OCI Call Update - IDLE)를 상기 mVoIP 단말로 전송에 따라, 상기 mVoIP 어플은 구동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콜백(Callback)용 mVoIP 단말의 통화 착신시 배터리 절약을 위한 어플 구동방법.
KR1020120074369A 2012-07-09 2012-07-09 CDMA Callback용 mVoIP 단말의 통화 착신시 배터리 절약을 위한 어플 구동시스템 및 어플 구동방법 KR101320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369A KR101320038B1 (ko) 2012-07-09 2012-07-09 CDMA Callback용 mVoIP 단말의 통화 착신시 배터리 절약을 위한 어플 구동시스템 및 어플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369A KR101320038B1 (ko) 2012-07-09 2012-07-09 CDMA Callback용 mVoIP 단말의 통화 착신시 배터리 절약을 위한 어플 구동시스템 및 어플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0038B1 true KR101320038B1 (ko) 2013-10-18

Family

ID=49638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369A KR101320038B1 (ko) 2012-07-09 2012-07-09 CDMA Callback용 mVoIP 단말의 통화 착신시 배터리 절약을 위한 어플 구동시스템 및 어플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00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928A (ko) * 2004-02-17 2005-08-22 주식회사데이콤 VoIP 기반의 전국대표번호 서비스에서의 근거리라우팅 장치 및 서비스 방법
KR101130808B1 (ko) 2010-11-22 2012-03-29 김중일 가입자 전화번호를 이용한 브이오아이피-공중망 통화 연결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928A (ko) * 2004-02-17 2005-08-22 주식회사데이콤 VoIP 기반의 전국대표번호 서비스에서의 근거리라우팅 장치 및 서비스 방법
KR101130808B1 (ko) 2010-11-22 2012-03-29 김중일 가입자 전화번호를 이용한 브이오아이피-공중망 통화 연결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3144B2 (en) Handset transitions in a dual-mode environment
AU20043066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ransparency in delivering private network features
US8825108B2 (en) Call handling on dual-mode wireless handsets
US7162236B2 (en) Fast call set-up for multi-mode communication
KR100875594B1 (ko) 호 핸드오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호의 라우팅
US7515934B2 (en) Mobile terminal, program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program for call-management server, and call management process
US20090092093A1 (en) Handoff of dual mode mobile device between an IP network and a PLMN
US9307466B2 (en) In-call handoff between cellular and packet switched networks
US20060229101A1 (en) Systems for delivering calls on dual-mode wireless handsets
US20060183476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apparatus
US9363370B2 (en) Methods of delivering calls on dual-mode wireless handsets
WO2007043201A1 (ja) 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選択方法
WO2009046600A1 (en) Handoff of dual mode mobile device between an ip network and a plmn
JP2007142610A (ja) 移動通信システム、呼制御サーバ及び呼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EP3783953B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resuming call after network handover
KR101320038B1 (ko) CDMA Callback용 mVoIP 단말의 통화 착신시 배터리 절약을 위한 어플 구동시스템 및 어플 구동방법
KR102288944B1 (ko) Mqtt 기능을 활용한 유무선 음성통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0450298C (zh) 漫游切换的方法及装置
JP5020677B2 (ja) サーバおよび無線通信端末
JP2016092802A (ja) 移動局および移動通信方法
KR101268010B1 (ko) 무선 VoIP 단말에서 리모트 콜백을 이용한 통화품질을 보장하는 호 제어 방법
JP5508374B2 (ja) 携帯電話端末および電話制御方法
JP2011166369A (ja) 内線通話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20110093314A (ko)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듀얼 모드 단말기 및 VoIP 호 착신 방법
KR20120029049A (ko) 이기종망환경에서 최소과금기능을 실행하는 vcc서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