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9450B1 -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 및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구비하는 차량용 기어 조립체 - Google Patents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 및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구비하는 차량용 기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9450B1
KR101319450B1 KR1020130050522A KR20130050522A KR101319450B1 KR 101319450 B1 KR101319450 B1 KR 101319450B1 KR 1020130050522 A KR1020130050522 A KR 1020130050522A KR 20130050522 A KR20130050522 A KR 20130050522A KR 101319450 B1 KR101319450 B1 KR 101319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m gear
rattle
axial force
body portion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팩
Priority to KR1020130050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9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2Toothed members; Worms for transmissions with crossing shafts, especially worms, worm-gears
    • F16H55/24Special devices for taking up backla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08Profiling
    • F16H55/084Non-circular rigid toothed member, e.g. elliptic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14Construction providing resilience or vibration-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베어링을 대체하여 단부가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용홈과 변형 유도 슬릿이 형성된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적용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베어링 조립부 부품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으며, 웜기어의 축방향 움직임 및 래틀 현상의 효과적인 흡수를 통해 동력손실을 최소화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 및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구비하는 차량용 기어 조립체가 소개된다. 이러한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구비하는 차량용 기어 조립체는 일측은 회전 동력원과 연결되고, 타측(110)은 하우징(4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웜기어(100)와, 상기 웜기어(100)와 기어 결합하고, 상기 웜기어(100)의 회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웜휠(200)과, 상기 하우징(400)에 설치되고, 상기 웜기어(100)의 타측(110)에 결합되어 상기 웜기어(100)에 발생하는 축방향 움직임 및 래틀 현상을 흡수하는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 및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구비하는 차량용 기어 조립체{BUSH FOR ABSORBING RATTLE AND AXIAL FORCE AND GEAR ASSEMBLY FOR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 및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구비하는 차량용 기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웜기어와 웜휠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차량용 기어 조립체에 적용되어 웜기어에 발생하는 축방향 움직임 및 래틀 현상을 흡수하는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 및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구비하는 차량용 기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부품으로 사용되는 액추에이터 등에는 웜기어와 웜휠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경우가 있다.
도 1에는 이러한 웜기어와 웜휠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종래의 기어 조립체의 일례가 도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윔기어(10)는 모터 등의 회전 동력원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웜휠(20)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기어 결합된다.
한편, 윔기어(10)가 회전 동력원에 의해 구동되고, 윔기어(10)의 구동에 따라 웜휠(20)이 피동되는 경우, 기어 구조 특성상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웜기어(10)에 대해 웜기어(10)의 축방향[화살표(A)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축력이 발생하여 웜기어(10)가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기어 구조 특성상 웜기어(10)가 상하/좌우 방향[화살표(B) 방향]으로 흔들리는 래틀 현상이 발생한다.
한편, 위와 같이 웜기어(10)가 축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래틀 현상에 따라 상하/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경우, 기어 효율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고, 기어의 내구성도 저하되어 전반적인 기어 조립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부품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웜기어(10)의 축방향 움직임 및 상하/좌우 방향의 흔들림을 방지하고자 웜기어(10)의 일측에 축방향 움직임 및 흔들림 방지를 위한 베어링(30)을 설치하고, 이 베어링(30)을 기어 조립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부품의 하우징(미도시)의 내측에 고정하였다.
그런데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웜기어(10)의 일측에 베어링(30) 예컨대, 스러스트 베어링 또는 틸팅 베어링을 적용하여 웜기어(10)의 축방향 움직임 및 상하/좌우 방향 흔들림을 보완하고자 할 경우 제조 비용의 상승은 물론 베어링 조립부의 치수의 한계로 인해 베어링 조립부 부품의 설계 자유도가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베어링을 대체하여 단부가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용홈과 변형 유도 슬릿이 형성된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적용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베어링 조립부 부품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으며, 웜기어의 축방향 움직임 및 래틀 현상의 효과적인 흡수를 통해 동력손실을 최소화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 및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구비하는 차량용 기어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구비하는 차량용 기어 조립체는, 일측은 회전 동력원과 연결되고, 타측은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와 기어 결합하고, 상기 웜기어의 회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웜휠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웜기어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웜기어에 발생하는 축방향 움직임 및 래틀 현상을 흡수하는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는 상기 웜기어의 타측에 일정 크기 이상의 축력이 작용할 때, 상기 웜기어의 타측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수용하는 몸체부와, 상기 하우징에 삽임되어 고정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웜기어의 타측에 일정 크기 이상의 축력이 작용할 때, 상기 웜기어가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그 내면이 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된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홈은 그 내측 단부의 형상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수용홈의 내측 단부의 형상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점부터 내측으로 일정 깊이에 해당하는 지점까지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에는 래틀 현상이 흡수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의 내면의 확장 변형을 유도하는 변형 유도 슬릿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형 유도 슬릿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됨에 있어서,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되되, 방사상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과 상기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의 몸체부 사이에는, 상기 몸체부의 수용홈이 변형함에 따라 상기 몸체부의 외면도 변형할 수 있도록 하는 일정 간격의 갭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는, 일측이 회전 동력원에 연결되는 웜기어의 타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웜기어의 타측에 일정 크기 이상의 축력이 작용할 때, 상기 웜기어의 타측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수용하는 몸체부와, 하우징에 삽임되어 고정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웜기어의 타측에 일정 크기 이상의 축력이 작용할 때, 상기 웜기어가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그 내면이 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된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홈은 그 내측 단부의 형상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수용홈의 내측 단부의 형상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점부터 내측으로 일정 깊이에 해당하는 지점까지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에는 래틀 현상이 흡수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의 내면의 확장 변형을 유도하는 변형 유도 슬릿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형 유도 슬릿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됨에 있어서,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되되, 방사상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 및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구비하는 차량용 기어 조립체에 따르면, 베어링을 대체하여 단부가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용홈과 변형 유도 슬릿이 형성된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적용함으로써,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게 되고, 베어링 조립부 부품의 설계 자유도가 높아질 수 있게 되며, 웜기어의 축방향 움직임 및 래틀 현상의 효과적인 흡수를 통해 동력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되고, 내구성도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웜기어와 웜휠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종래의 기어 조립체의 일부 구성에 대한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웜기어와 웜휠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종래의 기어 조립체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웜기어의 일측에 베어링이 적용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구비하는 차량용 기어 조립체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구비하는 차량용 기어 조립체에 적용된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구비하는 차량용 기어 조립체에 적용된 부쉬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도 5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구비하는 차량용 기어 조립체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웜기어에 일정 크기 이상의 축력이 작용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구비하는 차량용 기어 조립체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웜기어에 일정 크기 이상의 축력이 작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구비하는 차량용 기어 조립체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구비하는 차량용 기어 조립체에 적용된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구비하는 차량용 기어 조립체에 적용된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구비하는 차량용 기어 조립체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웜기어에 일정 크기 이상의 축력이 작용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구비하는 차량용 기어 조립체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웜기어에 일정 크기 이상의 축력이 작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구비하는 차량용 기어 조립체는 웜기어(100)와, 웜휠(200)과,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300)를 포함한다.
상기 웜기어(100)는 동력 전달 부재로서, 그 일측은 모터와 같은 회전 동력원과 연결되고, 그 타측(110)은 기어 조립체의 하우징(4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웜휠(200)은 상기 웜기어(100)의 회전력을 목적하는 대상체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부재로서, 상기 웜기어(100)와 기어 결합하되, 상기 웜기어(100)의 회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기어 결합한다.
상기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300)는 종래의 베어링을 대체하여 상기 웜기어(100)의 축방향 움직임 및 래틀 현상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동력손실을 최소화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서, 상기 하우징(400)에 설치되고, 상기 웜기어(100)의 타측(110)에 결합되어 상기 웜기어(100)의 타측(110)이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300)는 몸체부(310)와, 이 몸체부(31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40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부(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310)는 한쪽만 개구된 대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320)는 도시된 것처럼, 상기 몸체부(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대략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310) 보다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400)에는 상기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300)가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설치홈(500)이 형성되며, 이 설치홈(500)은 상기 결합부(320)가 삽입되는 제1 홈부(510)와 상기 몸체부(310)가 삽입되는 제2 홈부(520)를 포함하여 단이 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310)는 상기 웜기어(100)의 타측(110)에 일정 크기 이상의 축력이 작용할 때, 상기 웜기어(100)의 타측(110)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웜기어(100)의 타측(110)을 수용하며, 상기 웜기어(100)의 타측(110)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310)에는 수용홈(31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수용홈(311)은 상기 웜기어(100)의 타측(110)에 일정 크기 이상의 축력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화살표(F) 방향의 축력이 작용할 때, 상기 웜기어(100)가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그 내면(311a)이 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된 다. 이를 위해 상기 수용홈(311) 주위의 몸체부(310)를 탄성 변형 가능한 연질의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수용홈(311) 주위의 몸체부(310)에 변형 유도 슬릿(312)을 형성하여 수용홈(311)의 내경이 확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변형 유도 슬릿(312)은 상기 수용홈(311)의 내경 확장을 위한 필요적 구성은 아니다. 즉, 상기 변형 유도 슬릿(312)은 웜기어(100)에 래틀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흡수하기 위한 구성이기도 하다. 따라서 상기 변형 유도 슬릿(312)은 래틀 현상이 흡수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311)의 내면(311a)의 확장 변형을 유도한다.
또한, 상기 변형 유도 슬릿(312)은 상기 몸체부(310)에 형성됨에 있어서,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방사상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다수의 변형 유도 슬릿(312)이 방사상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때, 상기 수용홈(311)의 내면(311a)의 확장 변형이 모든 원주 방향에서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용홈(311)은 그 내측 단부의 형상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상기 수용홈(311)의 내측 단부의 형상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웜기어(100)가 축력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화살표(F) 방향으로 이동할 때 웜기어(110)의 타측(110)이 수용홈(311)의 내면(311a) 중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부분에 부드럽게 밀착하게 되며, 이를 통해 충격이 완화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부(310)는 재질의 특성을 고려하여 내측부(310a)와 외측부(310b)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홈(311)의 내측 단부의 형상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점부터 내측으로 일정 깊이에 해당하는 지점[도 6에 해칭된 부분이 시작하는 지점]까지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이외의 부분은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외측부(310b)를 경질의 재질로 형성하여도 무방하지만 충격이 좀더 완화될 수 있도록 하면서 웜기어(100)의 축방향 이동 및 래틀 현상이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라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부(310a)를 연질의 재질로 형성하여도 무방하지만 상기 웜기어(100)의 타측(110)이 화살표(F) 방향으로 너무 많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경질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하우징(400)과 상기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300)의 몸체부(310) 사이에는, 상기 몸체부(310)의 수용홈(311)이 변형함에 따라 상기 몸체부(310)의 외면도 변형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의 갭(G)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갭(G)은 상기 하우징(400)에 형성된 설치홈(500)의 제2 홈부(520)와 상기 몸체부(310)의 외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구비하는 차량용 기어 조립체에 있어서, 웜기어(100)가 축력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화살표(F) 방향으로 이동할 때 웜기어(110)의 타측(110)이 수용홈(311)의 내면(311a) 중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부분에 부드럽게 밀착하면서 이동함으로써, 축방향 충격이 완화될 수 있게 되고, 이때, 상기 변형 유도 슬릿(312) 및 갭(G)의 존재로 인해 상기 몸체부(310)에 형성된 수용홈(311)의 내면(311a)이 화살표(L) 방향으로 확장 변형되면 상기 몸체부(310)도 화살표(L) 방향으로 변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수용홈(311) 및 몸체부(310)의 확장 변형 과정을 통해 웜기어(100)의 축방향 움직임 및 래틀 현상이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동력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되며, 내구성도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 및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구비하는 차량용 기어 조립체에 따르면, 베어링을 대체하여 단부가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용홈과 변형 유도 슬릿이 형성된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적용함으로써,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게 되고, 베어링 조립부 부품의 설계 자유도가 높아질 수 있게 되며, 웜기어의 축방향 움직임 및 래틀 현상의 효과적인 흡수를 통해 동력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되고, 내구성도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100 : 웜기어 200 : 웜휠
300 : 부쉬 310 : 몸체부
311 : 수용홈 312 : 변형 유도 슬릿
400 : 하우징 G : 갭

Claims (14)

  1. 일측은 회전 동력원과 연결되고, 타측(110)은 하우징(4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웜기어(100);
    상기 웜기어(100)와 기어 결합하고, 상기 웜기어(100)의 회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웜휠(200); 및
    상기 하우징(400)에 설치되고, 상기 웜기어(100)의 타측(110)에 결합되어 상기 웜기어(100)에 발생하는 축방향 움직임 및 래틀 현상을 흡수하는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300);를 포함하며,
    상기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300)는 상기 웜기어(100)의 타측(110)에 일정 크기 이상의 축력이 작용할 때, 상기 웜기어(100)의 타측(110)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수용하는 몸체부(310)와, 상기 하우징(400)에 삽임되어 고정되는 결합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310)에는 상기 웜기어(100)의 타측(110)에 일정 크기 이상의 축력이 작용할 때, 상기 웜기어(100)가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그 내면(311a)이 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된 수용홈(311)이 형성되고, 이 수용홈(311)은 그 내측 단부의 형상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310)는 상기 수용홈(311)의 내측 단부의 형상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점부터 내측으로 일정 깊이에 해당하는 지점까지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어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10)에는 래틀 현상이 흡수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311)의 내면(311a)의 확장 변형을 유도하는 변형 유도 슬릿(3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어 조립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변형 유도 슬릿(312)은 상기 몸체부(310)에 형성됨에 있어서,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되되, 방사상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어 조립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00)과 상기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300)의 몸체부(310) 사이에는, 상기 몸체부(310)의 수용홈(311)이 변형함에 따라 상기 몸체부(310)의 외면도 변형할 수 있도록 하는 일정 간격의 갭(G)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어 조립체.
  9. 일측이 회전 동력원에 연결되는 웜기어(100)의 타측(1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웜기어(100)의 타측(110)에 일정 크기 이상의 축력이 작용할 때, 상기 웜기어(100)의 타측(110)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수용하는 몸체부(310)와, 하우징(400)에 삽임되어 고정되는 결합부(32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310)에는 상기 웜기어(100)의 타측(110)에 일정 크기 이상의 축력이 작용할 때, 상기 웜기어(100)가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그 내면(311a)이 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된 수용홈(31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311)은 그 내측 단부의 형상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310)는 상기 수용홈(311)의 내측 단부의 형상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점부터 내측으로 일정 깊이에 해당하는 지점까지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10)에는 래틀 현상이 흡수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311)의 내면(311a)의 확장 변형을 유도하는 변형 유도 슬릿(3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변형 유도 슬릿(312)은 상기 몸체부(310)에 형성됨에 있어서,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되되, 방사상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
KR1020130050522A 2013-05-06 2013-05-06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 및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구비하는 차량용 기어 조립체 KR101319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522A KR101319450B1 (ko) 2013-05-06 2013-05-06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 및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구비하는 차량용 기어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522A KR101319450B1 (ko) 2013-05-06 2013-05-06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 및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구비하는 차량용 기어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9450B1 true KR101319450B1 (ko) 2013-10-16

Family

ID=49638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522A KR101319450B1 (ko) 2013-05-06 2013-05-06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 및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구비하는 차량용 기어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94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1601A (ja) 2000-09-26 2002-04-05 Jidosha Denki Kogyo Co Ltd モータ及びモータの製造方法
JP2007247734A (ja) 2006-03-15 2007-09-27 Nsk Ltd ウォーム式減速機及び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9097664A (ja) 2007-10-18 2009-05-07 Oiles Ind Co Ltd ブッシュ軸受
KR20110060573A (ko) * 2009-11-30 2011-06-08 주식회사 만도 감속기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1601A (ja) 2000-09-26 2002-04-05 Jidosha Denki Kogyo Co Ltd モータ及びモータの製造方法
JP2007247734A (ja) 2006-03-15 2007-09-27 Nsk Ltd ウォーム式減速機及び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9097664A (ja) 2007-10-18 2009-05-07 Oiles Ind Co Ltd ブッシュ軸受
KR20110060573A (ko) * 2009-11-30 2011-06-08 주식회사 만도 감속기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1681B1 (ko) 자동차의 감속기
JP2018048737A (ja) スピンドル駆動装置
US9539873B2 (en) Rotary damper
CN104154111A (zh) 用于转向柱的滚动轴承
KR101930763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액추에이터
US20150040707A1 (en) Reducer for vehicle
KR101319450B1 (ko)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 및 래틀 및 축력 흡수용 부쉬를 구비하는 차량용 기어 조립체
KR100707285B1 (ko) 텔레스 부시를 구비한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US10844946B2 (en) Gear assembly, reduction gear and cleaning robot
JP6976031B2 (ja) ロータリーダンパを含むスライドレール
JP2008259364A (ja) 可変界磁モータ
CN113561857A (zh) 推进机构和车辆座椅
KR20080065365A (ko) 차량용 변속장치
KR200361418Y1 (ko) 프로펠러 샤프트의 센터베어링 고정구조
KR102041632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2145200B1 (ko) 전동식 조향장치
KR102540925B1 (ko) 랙바의 지지구조
US20220379952A1 (en) Driving unit of steering apparatus
JP5859379B2 (ja) 等速自在継手
BR102012006803A2 (pt) montagem de um rolamento de liberação de embreagem sobre um eixo de uma caixa de transmissão de um veículo motorizado
JP2013107505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188932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20220062924A (ko) 등속조인트의 틈새 저감기구
JP6390830B2 (ja) ディテントスプリング
KR101876040B1 (ko) 위치조정 가능한 베어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