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8433B1 - 쓰레기봉투 거치 장치 - Google Patents

쓰레기봉투 거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8433B1
KR101318433B1 KR1020110109119A KR20110109119A KR101318433B1 KR 101318433 B1 KR101318433 B1 KR 101318433B1 KR 1020110109119 A KR1020110109119 A KR 1020110109119A KR 20110109119 A KR20110109119 A KR 20110109119A KR 101318433 B1 KR101318433 B1 KR 101318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bage bag
main housing
main
garbag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4833A (ko
Inventor
김은규
Original Assignee
김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규 filed Critical 김은규
Priority to KR1020110109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8433B1/ko
Publication of KR20130044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Suspen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1Ventilating means, e.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 봉투 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쓰레기 봉투가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게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면에 상기 쓰레기 봉투 하부 양측 모서리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게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제1 및 제2 모서리 배출구가 형성된 내부공간을 갖는 메인 하우징과, 쓰레기 봉투의 내부가 확장된 상태로 메인 하우징에 거치될 수 있도록 메인 하우징에 삽입된 쓰레기 봉투 내에 삽입될 수 있게 상하가 개방되고 메인 하우징의 상면에 지지되어 메인 하우징내로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된 확장 가이드 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쓰레기 봉투 거치 장치에 의하면, 종량제 쓰레기 봉투를 거치시켜 쓰레기를 바로 수집할 수 있으면서도 쓰레기의 압축 및 쓰레기 봉투의 분리가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쓰레기봉투 거치 장치{garbage bag supporter}
본 발명은 쓰레기봉투 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공간이 확장된 상태로 종량제 쓰레기 봉투를 지지시켜 쓰레기의 투입 및 쓰레기 봉투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쓰레기봉투 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발생되는 쓰레기는 각 지자체에서 판매하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에 담아 버려진다.
그런데, 종량제 쓰레기 봉투는 비닐로 되어 있어서 직립하여 있기가 매우 어려워 대부분 별도의 쓰레기통에 수시로 발생하는 쓰레기를 수집하고, 쓰레기통이 가득 차면 쓰레기통을 일일이 수거하여 한 꺼번에 종량제 쓰레기 봉투에 담아 배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또 다르게는 쓰레기통 안쪽에 일반적인 비닐 봉투를 끼워 넣은 후 비닐 봉투에 쓰레기가 가득 차면 비닐 봉투를 모아서 종량제 쓰레기 봉투에 넣은 후 배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쓰레기 수거방법은 발생된 쓰레기를 바로 종량제 쓰레기 봉투에 담지않고 비닐봉투 또는 쓰레기통에 임시 수거한 후 버려야하기 때문에 종량제 쓰레기 봉투로 배출하기 까지의 과정이 복잡하고, 쓰레기통을 이용하는 경우 쓰레기통을 주기적으로 세척해 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쓰레기통의 안쪽에 비닐 봉투를 끼워 사용한 후 비닐봉투를 그대로 종량제 쓰레기 봉투에 버리는 경우 불필요한 자원 낭비가 발생하고,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경우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분해되어 친환경적이지만 일반 비닐 봉투는 분해시간이 길어서 환경오염을 유발시킨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량제 쓰레기 봉투에 쓰레기를 직접 담을 경우 한 손으로는 쓰레기 봉투를 벌리고 나머지 한 손으로 쓰레기를 담으면서 압축하여야 하기 때문에 쓰레기의 압축이 용이하지 않고 압축을 무리하게 하는 경우 쓰레기 봉투 자체의 지지력에만 의존해야하기 때문에 봉투가 쉽게 찢어지는 파손이 자주 발생함으로써 쓰레기 봉투에 쓰레기를 많이 담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종량제 쓰레기 봉투를 지지하여 쓰레기를 바로 담을 수 있으면서도 담겨진 쓰레기를 용이하게 압축하여 쓰레기 봉투에 많은 양의 쓰레기를 담아 배출할 수 있는 쓰레기 봉투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 장치는 쓰레기 봉투가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게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면에 상기 쓰레기 봉투 하부 양측 모서리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게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제1 및 제2 모서리 배출구가 형성된 내부공간을 갖는 메인 하우징과; 쓰레기 봉투의 내부가 확장된 상태로 상기 메인 하우징에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하우징에 삽입된 상기 쓰레기 봉투 내에 삽입될 수 있게 상하가 개방되고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면에 지지되어 상기 메인 하우징내로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된 확장 가이드 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하우징은 쓰레기 봉투가 삽입되는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쓰레기가 채워진 쓰레기 봉투의 인출시 쓰레기봉투 모서리부분이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모서리 배출구를 상호 연결하는 방향의 제1내부 폭이 상기 제1 및 제2모서리 배출구를 상호 가로질러 이분하는 방향의 제2내부폭 보다 길게 형성된 메인 바디와; 상기 제2 내부폭 방향으로 상기 메인 바디의 저면에서 상기 메인 바디보다 확장되게 연장되어 작업자가 발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 바디의 유동을 억제하기 위한 발판체;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의 바닥면에서 상기 발판 지지부의 저면을 관통하여 외기가 유통될 수 있는 외기 유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차폐시킬 수 있게 상기 확장 가이드 부재 상부에 안착되며 중앙에 자석이 장착된 덮개와; 상기 덮개를 자력에 의해 상기 덮개와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덮개 조작기;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덮개 조작기는 손잡이부재와; 상기 손잡이 부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진퇴용 홈이 형성되어 있된 메인 관체와; 상기 메인 관체내에 삽입되되 종단에 상기 자석에 감응하는 금속편이 장착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메인 관체의 하방으로 탄성바이어스 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손잡이부재 사이에 삽입된 탄성부재와; 상기 메인관체에 길이방향을 따라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슬릿을 통해 승하강될 수 있게 상기 슬라이더로부터 상기 메인 관체 외부로 확장되게 연장된 방아쇠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메인 관체의 저면은 상기 손잡이부재 방향으로 인입되게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링형으로 형성된 테이프를 걸수 있는 걸이구;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 장치에 의하면, 종량제 쓰레기 봉투를 거치시켜 쓰레기를 바로 수집할 수 있으면서도 쓰레기의 압축 및 쓰레기 봉투의 분리가 용이하고 위생적이며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쓰레기봉투 거치 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 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쓰레기봉투 거치 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봉투 거치장치(100)는 메인 하우징(110)과, 확장 가이드 부재(140), 덮개(160) 및 덮개 조작기(180)를 구비한다.
메인 하우징(110)은 쓰레기 봉투(200)가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게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면에 쓰레기 봉투(200) 하부 양측 모서리(210)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게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제1 및 제2 모서리 배출구(112)(114)가 형성된 내부공간(115)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모서리 배출구(112)(114)는 쓰레기 봉투(200)를 메인 하우징(110) 내에 삽입되게 장착시 제1 및 제2 모서리 배출구(112)(114)를 통해 노출되는 쓰레기 봉투(200)의 양측 모서리(210)를 잡아 당겨 쓰레기 봉투(200)가 잘 펼쳐진 상태로 안착시킬 수 있게 해준다.
여기서, 쓰레기 봉투(200)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를 적용하며, 일반 비닐 봉투에 대해서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메인 하우징(11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하면, 내부공간(115)을 형성하는 메인 바디(121)와, 발판 역할을 하는 발판체(125)로 되어 있다.
메인 바디(121)는 쓰레기 봉투(200)가 삽입될 수 있게 상부가 열린 내부공간(115)을 형성하며 쓰레기가 채워진 쓰레기 봉투(200)의 인출시 쓰레기봉투(200)의 하단 양측 모서리부분이 용이하게 상방으로 인출되도록 제1 및 제2 모서리 배출구(112)(114)를 상호 연결하는 방향의 제1내부 폭(D1)이 제1 및 제2모서리 배출구(112)(114)를 상호 가로질러 이분하는 방향의 제2내부폭(D2) 보다 길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메인 바디(110)는 쓰레기 봉투(200)의 내부에 쓰레기가 채워진 상태의 외형에 대응되게 내부공간(115)의 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된 타원형 부분(116)과 타원형 부분의 장축방향 즉, D1방향에 해당하는 양단은 내부공간이 더 확장되게 즉, 내경이 더욱 커지게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 부분(117)을 갖게 형성된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타원형 부분(116)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바디(110)의 제1 및 제2 모서리 배출구(112)(114)는 돌출부분(117)의 하방에서 메인바디(110)의 측면과 바닥면을 함께 모따기한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쓰레기 봉투(200)의 내부에 쓰레기가 채워질 때 쓰레기 봉투(200)의 바닥면의 길이는 크게 감소하지 않으나 쓰레기 봉투(200)의 외주면 부분은 타원형으로 형성되면서 바닥면 길이보다 외경이 좁아지게 변형되는데 이 경우 제1 및 제2 모서리 배출구(112)(114)를 통해 쓰레기 봉투(200)의 하단 모서리부분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쓰레기 봉투(200)의 외주면은 타원부분(116)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팽창상태를 유지하면서 쓰레기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메인 하우징(110) 내에서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돌출부분(117)은 메인하우징(110) 내에 장착되어 쓰레기가 다 채워진 쓰레기 봉투(200)를 메인 하우징(110) 외부로 인출시 제1 및 제2 모서리 배출구(112)(114)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쓰레기 봉투(200)의 모서리 부분이 상방으로 간섭없이 인출될 수 있는 인출 가이드 경로를 형성해준다.
메인 바디(121)의 바닥면(122)은 중앙부분이 가장자리부분보다 높게 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발판체(125)는 제2 내부폭(D2) 방향으로 메인 바디(121)의 저면에서 메인 바디(121)보다 확장되게 일체로 연장되어 쓰레기 봉투(200)를 메인 바디(121)로부터 분리시키고자 상방으로 인출시 작업자가 발을 이용하여 메인 바디(121)를 지면에 밀착상태로 지지시킬 수 있도록 메인 바디(121)의 유동을 억제하는데 이용할 수 있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메인바디(121)의 바닥면(122) 중앙에서 발판체(125)의 저면을 관통하여 외기가 유통될 수 있는 외기 유통홀(128)이 형성되어 있다.
외기 유통홀(128)은 메인 하우징(110)으로부터 쓰레기가 채워진 쓰레기봉투(200)를 인출시 지면과 메인 하우징(110)과의 공기 유통에 의해 쓰레기 봉투(200)가 쉽게 인출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메인바디(121)의 외주면에는 링형으로 형성된 테이프를 걸수 있게 'U'자 형태의 걸이구(129)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걸이구(129)는 메인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된 쓰레기 봉투(200)의 상부를 묶는데 테이프를 사용하고자 할 때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확장 가이드 부재(140)는 쓰레기 봉투(200)의 내부가 확장된 상태로 메인 하우징(110)에 거치될 수 있도록 메인 하우징(110)에 삽입된 쓰레기 봉투(200) 내에 삽입될 수 있게 상하가 개방되고 메인 하우징(110)의 상면에 지지되어 메인 하우징(110)내로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확장 가이드 부재(140)는 중공을 갖는 원통형태로 형성된 통형부분(141)과, 통형부분(141)의 상단에서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메인 바디(121)의 상면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플랜지부분(143)으로 되어 있다.
통형 부분(141)의 하단은 쓰레기 봉투(200) 내부로의 진입시 접촉 선단영역이 줄어들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인입되어 물결형태로 굴곡진 굴곡부(145)를 갖게 형성되어 있다.
덮개(160)는 메인 하우징(110)의 내부공간(115)을 차폐시킬 수 있게 메인 하우징(110)의 상부에서 확장 가이드 부재(140)를 통해 안착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덮개(160)는 원판형태로 형성되되 중앙부분이 상방으로 돌출된 파지부분(162)과, 파지부분(162)과 가장자리부분 사이에 하방으로 인입된 인입홈(164)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파지부분(162)은 덮개(160)를 직접 손으로 잡고 들어올릴 때 이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느나, 후술되는 덮개 조작기(180)를 이용시에는 덮개를 직접 손으로 파지할 필요는 없다.
덮개(160)의 파지부분(162) 내측에는 영구자석(168)이 장착되어 있다.
덮개 조작기(180)는 덮개(160)를 자력에 의해 덮개(160)와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덮개 조작기(180)는 손잡이부재(182), 메인 관체(184), 슬라이더(186), 스프링(188) 및 방아쇠부재(190)를 구비한다.
손잡이 부재(182)는 손으로 파지가 용이하게 날개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된 날개부분(182a)과, 날개부분(182a)의 중앙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후술되는 메인관체(184)를 수용하여 결합하기 위한 결합관부(183)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메인 관체(184)는 손잡이 부재(182)의 날개 중앙부분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결합관부(183) 내에 삽입되어 결합용 나사에 의해 결합되어 손잡이 부재(18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진퇴용 홈(184a)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서 하방으로 후술되는 방아쇠부재(190)의 승하강 가이드용 슬릿(184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메인 관체(184)의 하부에는 메인 관체(184)의 승하강 가이드용 슬릿(184b)이 형성된 몸통부분보다 외경이 확장되게 일체로 형성되되 손잡이 부재 방향으로 인입되게 오목홈(185)이 형성된 확장부(184c)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확장부(184c)의 오목홈(185)은 덮개(160)의 파지부분(162)이 내부로 수용될 수 있게 형성하면 된다.
확장부(184c)는 덮개(160)의 파지부분(162)과의 안착성을 높이면서 쓰레기 봉투(200)에 담긴 쓰레기를 가압하는데도 이용된다.
슬라이더(186)는 외경이 메인 관체(184)의 진퇴홈(184a)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로 길게 연장되어 메인 관체(184)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되 종단에 덮개(160)의 영구자석(168)에 감응하는 금속편(187)이 장착되어 있다.
탄성부재로 적용된 스프링(188)은 슬라이더(186)를 메인 관체(184)의 하방으로 탄성바이어스 하도록 슬라이더(186)와 손잡이부재(182)의 결합관부(183) 사이에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방아쇠부재(190)는 메인관체(184)에 길이방향을 따라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슬릿(184b)을 통해 승하강될 수 있게 슬라이더(186)로부터 메인 관체(184) 외부로 확장되게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덮개 조작기(180)는 메인 관체(184)의 저면이 덮개(160)의 파지부분(162)에 안착되게 세워 놓으면 덮개(160)의 영구자석(168)에 감응하는 금속편(187)에 의해 덮개(160)에 덮개 조작기(180)가 자력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방아쇠부재(190)를 손잡이부재(182)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금속편(187)이 영구자석(168)으로부터 멀어짐으로서 영구자석(168)과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이 약화되고 이 상태에서 덮개 조작기(18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덮개(160)로부터 덮개조작기(180)가 분리된다.
한편, 이러한 쓰레기 봉투 거치 장치(100)는 메인 하우징(110)에 쓰레기 봉투(200)를 하단 모서리(210)가 제1 및 제2모서리 배출구(112)(114)에 노출되게 삽입한 다음 확장 가이드 부재(140)를 쓰레기 봉투(200) 내부에 삽입하되 쓰레기 봉투(200)의 상단은 메인 하우징(111)의 상단과 확장 가이드 부재(140) 상단 사이에서 외부로 일부 노출되게 장착하면 된다.
이러한 쓰레기봉투(200) 장착 상태에서 쓰레기를 넣으면 되고, 쓰레기를 중간중간 압축하고자 할 경우 덮개(160)가 자력에 의해 덮개 조작기(180)에 결합된 상태로 덮개 조작기(180)를 이동시켜 덮개(160)를 메인 하우징(110)으로 분리한 후, 방아쇠부재(190)를 잡아당겨 덮개조작기(180)를 덮개(16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덮개 조작기(180)의 저면을 이용하여 쓰레기를 가압하면 된다.
한편, 쓰레기가 채워지는 과정에서 확장가이드부재(140)는 상방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후, 쓰레기가 충분히 채워져 쓰레기 봉투(200)를 메인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는 덮개(160)가 자력에 의해 덮개 조작기(180)에 결합된 상태로 덮개 조작기(180)를 이동시켜 덮개(160)를 메인 하우징(110)으로 분리한 후, 발판체(125)를 발로 밟고 쓰레기 봉투(200)를 상방으로 인출하면 되고, 이 과정에서 쓰레기 봉투(200)의 하단 모서리(210)는 돌출부분(117)을 통해 간섭없이 용이하게 상방으로 인출된다.
110: 메인 하우징 140: 확장 가이드 부재
160: 덮개 180: 덮개 조작기

Claims (5)

  1. 삭제
  2. 쓰레기 봉투가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게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면에 상기 쓰레기 봉투 하부 양측 모서리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게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제1 및 제2 모서리 배출구가 형성된 내부공간을 갖는 메인 하우징과;
    쓰레기 봉투의 내부가 확장된 상태로 상기 메인 하우징에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하우징에 삽입된 상기 쓰레기 봉투 내에 삽입될 수 있게 상하가 개방되고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면에 지지되어 상기 메인 하우징내로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된 확장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하우징은
    쓰레기 봉투가 삽입되는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쓰레기가 채워진 쓰레기 봉투의 인출시 쓰레기봉투 모서리부분이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모서리 배출구를 상호 연결하는 방향의 제1내부 폭이 상기 제1 및 제2모서리 배출구를 상호 가로질러 이분하는 방향의 제2내부폭 보다 길게 형성된 메인 바디와;
    상기 제2 내부폭 방향으로 상기 메인 바디의 저면에서 상기 메인 바디보다 확장되게 연장되어 작업자가 발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 바디의 유동을 억제하기 위한 발판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봉투 거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의 바닥면에서 상기 발판 지지부의 저면을 관통하여 외기가 유통될 수 있는 외기 유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봉투 거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차폐시킬 수 있게 상기 확장 가이드 부재 상부에 안착되며 중앙에 자석이 장착된 덮개와;
    상기 덮개를 자력에 의해 상기 덮개와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덮개 조작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봉투 거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조작기는
    손잡이부재와;
    상기 손잡이 부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진퇴용 홈이 형성되어 있된 메인 관체와;
    상기 메인 관체내에 삽입되되 종단에 상기 자석에 감응하는 금속편이 장착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메인 관체의 하방으로 탄성바이어스 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손잡이부재 사이에 삽입된 탄성부재와;
    상기 메인관체에 길이방향을 따라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슬릿을 통해 승하강될 수 있게 상기 슬라이더로부터 상기 메인 관체 외부로 확장되게 연장된 방아쇠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관체의 저면은 상기 손잡이부재 방향으로 인입되게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링형으로 형성된 테이프를 걸수 있는 걸이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봉투 거치 장치.




KR1020110109119A 2011-10-25 2011-10-25 쓰레기봉투 거치 장치 KR101318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119A KR101318433B1 (ko) 2011-10-25 2011-10-25 쓰레기봉투 거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119A KR101318433B1 (ko) 2011-10-25 2011-10-25 쓰레기봉투 거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833A KR20130044833A (ko) 2013-05-03
KR101318433B1 true KR101318433B1 (ko) 2013-10-15

Family

ID=48657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119A KR101318433B1 (ko) 2011-10-25 2011-10-25 쓰레기봉투 거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84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400B1 (ko) * 2013-06-11 2015-02-23 김은규 쓰레기봉투 거치 장치
KR200489478Y1 (ko) * 2018-04-26 2019-06-27 (주)지알디컴퍼니 봉투 고정링이 형성된 쓰레기통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404A (ja) * 1994-07-11 1996-01-30 Masato Nakatani 内筒を持つごみ箱
KR200250988Y1 (ko) * 1998-02-24 2002-11-27 곽상호 탈수용수거봉투삽탈식수거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404A (ja) * 1994-07-11 1996-01-30 Masato Nakatani 内筒を持つごみ箱
KR200250988Y1 (ko) * 1998-02-24 2002-11-27 곽상호 탈수용수거봉투삽탈식수거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833A (ko) 201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52793A1 (en) Waste paper basket
KR200490961Y1 (ko) 보강수단이 구비된 쓰레기봉투 거치용 쓰레기통
KR101318433B1 (ko) 쓰레기봉투 거치 장치
KR200448293Y1 (ko) 쓰레기 수거대
CN110356739A (zh) 一种自动开袋垃圾桶
CN103303620B (zh) 一种装有拉帘的连续性垃圾收集装置
KR102015461B1 (ko) 쓰레기종량제 봉투를 사용하는 쓰레기통
CN208326306U (zh) 一种便于使用的家用垃圾桶
JP3202631U (ja) ゴミ箱
JP4569890B2 (ja) コップ回収ボックス
KR100462463B1 (ko) 휴지통의 수거용 봉투 배출 장치 및 그 장치에 사용 가능한 수거용 봉투
CN214778274U (zh) 一种便于套垃圾袋的垃圾桶
KR20110003363U (ko) 원뿔형 종이컵 수거용구
KR100463680B1 (ko) 포대 걸이대
CN206063049U (zh) 一种马桶刷座
CN209834628U (zh) 结构稳定且易清理的家用垃圾桶
KR200488814Y1 (ko) 종량제 쓰레기 봉투 형상의 용기를 포함하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 거치형 쓰레기통
CN203461380U (zh) 一种装有拉帘的连续性垃圾收集装置
CN210871710U (zh) 一种可直立取精杯
CN209711520U (zh) 一种改良式烟灰缸
CN208150192U (zh) 垃圾桶
CN210169916U (zh) 一种新型厨房用刀架
CN207497393U (zh) 一种垃圾分类一体桶
KR20200145075A (ko) 쓰레기 봉투 걸이대
KR20080003533A (ko) 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