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8106B1 - 리시버 드라이어 - Google Patents

리시버 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8106B1
KR101318106B1 KR1020100099573A KR20100099573A KR101318106B1 KR 101318106 B1 KR101318106 B1 KR 101318106B1 KR 1020100099573 A KR1020100099573 A KR 1020100099573A KR 20100099573 A KR20100099573 A KR 20100099573A KR 101318106 B1 KR101318106 B1 KR 101318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r dryer
side surfaces
header tank
edges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8049A (ko
Inventor
최준영
김병주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9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8106B1/ko
Publication of KR20120038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0/00Subcoolers, desuperheaters or superheaters
    • F25B40/02Subcoo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6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시버 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면이 사각 형태인 몸체를 가짐으로써 엔진 룸 내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리시버 드라이어는, 복수 개의 튜브(120); 한 쌍의 헤더탱크(110); 및 핀(1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일측 헤더탱크(110)에 냉매가 유통되는 유입구 및 배출구가 구비되는 응축기(100)의 타측 헤더탱크(110)에 구비되는 리시버 드라이어(150)에 있어서, 하나의 판재가 벤딩 및 브레이징되어 형성되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수직면 방향으로의 단면 외곽이 사각형을 형성하도록, 일측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의 판재로서, 긴 쪽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 할 때, 하부 위치에 나사산 홈(152)이 곡면으로 함몰 형성되고, 각각의 긴 쪽 모서리들이 서로 만나도록 나란히 배치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4개의 측면(151); 사각형 형태의 판재로서, 하측 모서리가 하나의 상기 측면(151)의 상측 모서리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상면(153);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측면(151)들의 서로 연결된 모서리들은 상기 나사산 홈(152)이 내측을 향하도록 벤딩되고, 상기 측면(151) 및 상기 상면(153)이 연결된 모서리가 벤딩되며, 벤딩되어 만나는 상기 측면(151)들 및 상기 상면(153)의 모서리들은 서로 브레이징되고, 4개의 상기 나사산 홈(152)들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홀(161)에 캡(160)이 나사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시버 드라이어 {Receiver Drier}
본 발명은 리시버 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를 개선하여 부피를 줄임으로써 엔진 룸의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하는 리시버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는 온도차가 있는 두 환경 사이에서 한쪽의 열을 흡수하여 다른쪽으로 열을 방출시키는 장치로서, 실내의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할 경우에는 냉방 시스템으로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여 실내로 방출할 경우에는 난방 시스템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열교환기는 주변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는 응축기,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로 구성된다. 냉각장치에서는, 액체 상태의 냉매가 주변에서 기화열만큼의 열량을 흡수하여 기화되는 증발기에 의해 실제 냉각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상기 증발기로부터 압축기로 유입되는 기체 상태의 냉매는 압축기에서 고온 및 고압으로 압축되고, 상기 압축된 기체 상태의 냉매가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액화되는 과정에서 주변으로 액화열이 방출되며, 상기 액화된 냉매가 다시 터빈(또는 팽창밸브)를 통과함으로써 저온 및 저압의 습포화 증기 상태가 된 후 다시 증발기로 유입되어 기화하게 되어 사이클을 이루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응축기에서는 고온ㆍ고압의 기체 상태인 냉매가 유입되어 열교환에 의해 액화열을 방출하면서 액체 상태로 응축된 후 배출되는데, 이렇게 냉매가 기상에서 액상으로 바뀌는 과정에 있기 때문에 응축기 내부에는 기상의 냉매와 액상의 냉매가 혼합되어 있게 된다. 그런데,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가 혼합되어 있게 되면 온도ㆍ압력에 있어 평형적인 조건밖에는 얻을 수가 없게 되기 때문에, 보다 응축기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미 응축된 액상 냉매와 아직 응축되지 못한 기상 냉매를 분리하여 재응축을 함으로써 과냉각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과냉각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응축기에는 리시버 드라이어가 구비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리시버 드라이어가 구비된 응축기를 도시하고 있다. 종래의 리시버 드라이어(15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냉매를 수용하는 몸체(151')와, 냉매가 유통가능하도록 상기 응축기(100)의 일측 헤더탱크(110)와 연통되는 다수 개의 유로 파이프(1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시버 드라이어의 역할은, 한 번 응축된 액상 냉매를 다시 한 번 응축시켜 과냉각을 시킴으로써 응축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따라서 리시버 드라이어에는, 액상 냉매에 포함된 수분이나 기포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필터 및 건조제 등이 삽입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 리시버 드라이어 단품의 조립이 완료된 후에도 이러한 필터 및 건조제가 교체 또는 보충될 수 있도록, 리시버 드라이어에는 일반적으로 개폐 가능한 캡(153')이 구비된다.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50')에서 액상 냉매는 (기상 냉매와의 밀도차에 의하여) 하부로 모이기 때문에, 이러한 필터나 건조제는 상기 몸체(15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수용되어야 하며, 따라서 필터나 건조제를 수용하는 구조물이 하부 캡(153a')에 일체형으로 제작되기도 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하부 캡(153a')은 개폐 시의 용이함 및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50') 몸체(151')와 나사 결합되게 된다. 도 2는 이러한 종래의 하부 캡(153a')의 일반적인 형태 중 하나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현재 차량 부품의 컴팩트화 경향이 점차 커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사고 발생 시 보행자 보호 등과 같은 다양한 이유에 의하여, 차량에 구비되는 쿨링 모듈의 높이 규격이 점점 낮아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또한, 최근에는 RCAR 시험에 의하여 보험료를 산출하도록 정책이 개편됨에 따라, 차량 전면측에 구비되는 쿨링 모듈 패키지를 축소해야 할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도 1(B)의 단면도에 잘 드러나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상기 응축기(100)의 헤더탱크(110)에 비해 종래의 리시버 드라이어(150') 몸체(151')의 단면적 및 지름이 크게 형성되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리시버 드라이어(150') 몸체(151')의 부피를 확보하기 위해서, 쿨링 모듈 패키지의 축소에 한계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특허공개 제2000-0020713호(이하 선행기술)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리시버 드라이어 구조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 제시된 리시버 드라이어의 경우, 필터 및 건조제의 교체 또는 보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종래의 하부 캡 구조와는 전혀 호환될 수 없는 형태인 바, 상기 구조를 채용하기 위해서는 생산 라인을 변경시켜야만 하여, 경제적으로도 큰 손실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 또한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면이 사각 형태인 몸체를 가짐으로써 엔진 룸 내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제공함에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각 단면 형태로 개선된 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종래에 사용되던 하부 캡과의 호환성이 뛰어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구조를 채용할 경우 발생되는 생산 비용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시버 드라이어는,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며, 공기 송풍 방향에 나란하게 일정 간격으로 병렬 배치된 복수 개의 튜브(120); 상기 튜브(120)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10); 및 상기 튜브(120)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튜브(120) 사이를 흐르는 공기와의 전열면적을 증가시키는 핀(1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일측 헤더탱크(110)에 냉매가 유통되는 유입구 및 배출구가 구비되는 응축기(100)의 타측 헤더탱크(110)에 구비되는 리시버 드라이어(150)에 있어서, 하나의 판재가 벤딩 및 브레이징되어 형성되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수직면 방향으로의 단면 외곽이 사각형을 형성하도록, 일측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의 판재로서, 긴 쪽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 할 때, 하부 위치에 나사산 홈(152)이 곡면으로 함몰 형성되고, 각각의 긴 쪽 모서리들이 서로 만나도록 나란히 배치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4개의 측면(151); 사각형 형태의 판재로서, 하측 모서리가 하나의 상기 측면(151)의 상측 모서리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상면(153);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측면(151)들의 서로 연결된 모서리들은 상기 나사산 홈(152)이 내측을 향하도록 벤딩되고, 상기 측면(151) 및 상기 상면(153)이 연결된 모서리가 벤딩되며, 벤딩되어 만나는 상기 측면(151)들 및 상기 상면(153)의 모서리들은 서로 브레이징되고, 4개의 상기 나사산 홈(152)들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홀(161)에 캡(160)이 나사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50)는 상기 헤더탱크(110)와 결합되는 쪽의 상기 측면(151)의 외측면에 상기 헤더탱크(110)의 외곽과 동일한 형상의 안착홈(15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50)는 상기 헤더탱크(110)와 냉매가 연통 가능하도록, 상기 안착홈(154) 영역 내에 통공 형태의 유입공(155) 및 배출공(15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때,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50)는 상기 배출공(156)은 상기 나사산 홈(152) 영역 내 나사산(152a) 상측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공(155)은 상기 나사산 홈(152) 상측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시버 드라이어가 사각 단면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종래에 원기둥 형상(즉 원형 단면 형태)의 리시버 드라이어와 비교하였을 때, 리시버 드라이어가 배치될 공간 확보 중 발생되는 공간의 낭비를 훨씬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에 사용되던 필터 및 건조제 일체형 하부 캡을 본 발명의 리시버 드라이어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높은 호환성을 가진다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이러한 장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구조를 적용한 리시버 드라이어 생산 시 생산 라인 또는 부품의 변동 사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물론 이에 따른 큰 경제적 효과 또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리시버 드라이어의 경우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2개의 캡이 필요했던 것과는 달리, 구조적으로 상부가 밀폐된 상태로 제작될 수 있기 때문에 상부 캡을 생략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해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 또한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응축기 및 리시버 드라이어.
도 2는 일반적인 리시버 드라이어 하부 캡 형태.
도 3은 종래의 리시버 드라이어 구조의 개선 실시예.
도 4는 응축기 및 본 발명의 리시버 드라이어.
도 5는 본 발명의 리시버 드라이어의 전개도.
도 6은 본 발명의 리시버 드라이어의 일부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리시버 드라이어의 일부 단면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리시버 드라이어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응축기 및 본 발명의 리시버 드라이어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리시버 드라이어(150)도 물론 기존의 리시버 드라이어와 마찬가지로 응축기(100)에 결합된다. 상기 응축기(100)는 일반적인 응축기로서, 즉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며, 공기 송풍 방향에 나란하게 일정 간격으로 병렬 배치된 복수 개의 튜브(120); 상기 튜브(120)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10); 및 상기 튜브(120)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튜브(120) 사이를 흐르는 공기와의 전열면적을 증가시키는 핀(1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응축기(100)의 일측 헤더탱크(110)에는 도 4의 좌측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냉매가 유통되는 유입구 및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응축기(100)의 타측 헤더탱크(110)에는 도 4의 우측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50)가 구비되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의 리시버 드라이어(150)는 하나의 판재가 벤딩 및 브레이징되어 형성되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잘랐을 때의 단면 외곽이 사각형을 형성하는, 즉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길쭉한 직육면체 형태를 가진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시버 드라이어(150)는 도 5와 같은 전개도를 가지는 판재를 벤딩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5를 통해 본 발명의 리시버 드라이어(150)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리시버 드라이어(150)를 전개하면 도 5와 같은 형상이 이루어지는데, 기본적으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50)는, 4개의 측면(151) 및 상면(15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151)들은 각각이 일측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의 판재로서, 긴 쪽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 할 때, 하부 위치에 나사산 홈(152)이 곡면으로 함몰 형성되고, 각각의 긴 쪽 모서리들이 서로 만나도록 나란히 배치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면(153)은 사각형 형태의 판재로서, 하측 모서리가 하나의 상기 측면(151)의 상측 모서리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판재를, 상기 측면(151)들의 서로 연결된 모서리들은 상기 나사산 홈(152)이 내측을 향하도록 벤딩되도록 하면,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리시버 드라이어(150)와 같은 형태, 즉 (연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면으로 잘랐을 때의) 단면 외곽 형태가 사각형 형상을 이루게 할 수 있다. 또한, 사각형 형태의 판재로 이루어진 상기 상면(153) 역시, 상기 측면(151)과 상기 상면(153)이 연결된 모서리가 벤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50)의 상단부를 완전히 메꿀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면(153)에 의하여 상단부의 밀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리시버 드라이어(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부 캡을 필요로 하지 않아, 종래에 비하여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와 같이 각 모서리들을 벤딩한 후, 벤딩되어 만나는 상기 측면(151)들 및 상기 상면(153)의 모서리들을 서로 브레이징하면,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리시버 드라이어(150)와 같은 형태가 만들어지게 된다. 이 때,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50)는 일측 최외측의 상기 측면(151) 일측 모서리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결합면(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면이 더 연장 구비될 경우, 먼저 상기 결합면이 벤딩되어 타측 최외측의 상기 측면(151)과 겹쳐지도록 한 후, 서로 겹쳐진 상기 결합면과 타측 최외측의 상기 측면(151)이 서로 리벳 결합되도록 한다. 이처럼 리벳 결합이 일단 한 번 이루어진 상기 결합면 및 상기 측면(151)이 한 번 더 브레이징됨으로써 측면들 간의 결합력이 극대화되며, 이에 따라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50)의 구조적 안정성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판재 형태는,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쉽게 제작 가능하며, 즉 본 발명의 리시버 드라이어(150)는 프레싱, 벤딩, 브레이징과 같은 간단한 가공을 통하여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어, 높은 생산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단면이 사각 형태를 이루게 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50)는, 상기 헤더탱크(110)와 결합된 후 엔진 룸 내에 배치될 때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50) 배치를 위해 확보된 부피 내에서 쓸모없이 낭비되는 공간이 거의 없게 되는 바, 엔진 룸 내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리시버 드라이어(150) 구조를 도입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쿨링 모듈 패키지의 크기를 보다 컴팩트화할 수 있다.
이 때, 특히 본 발명의 리시버 드라이어(150)는, 상기 측면(151)들의 하부 위치에 나사산 홈(152)이 곡면으로 함몰 형성되어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판재를 벤딩하여 조립하면, 상기 나사산 홈(152)들이 서로 조합되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나사산(152a)이 형성된 홀(16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4개의 상기 나사산 홈(152)들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홀(161)은 원형을 이루도록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기존의 하부 캡과 동일한 사양의 캡(160)을 상기 홀(161)에 용이하게 나사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캡(160)은 물론 (기존의 하부 캡과 마찬가지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필터 또는 건조제 수용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160)의 형태 및 구조는 기존의 하부 캡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더불어, 상기 나사산 홈(152)은 상기 측면(151) 전체에 형성되지 않고,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정도까지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나사산 홈(152)이 형성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의 경계에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층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규제부(152b)가 형성되게 되는데, 상기 규제부(152b)는 상기 캡(160)이 상기 홀(161) 내로 얼마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규제하고, 상기 필터 또는 건조제 수용부의 상부를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리시버 드라이어(150)는 기존의 하부 캡, 즉 원형 단면을 가지는 형태로서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형태를 가지는 캡(160)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높은 호환성을 가진다. 종래에도 사각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리시버 드라이어의 구조가 개시된 적이 있으나, 종래에는 상기 캡(160)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전혀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캡 역시 새로 구조가 설계되고 제작되어야 했던 문제가 있었으며, 필터 및 건조제의 배치가 난해해지는 문제 또한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기존 사양의 하부 캡과 동일한 캡(160)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캡(160) 구조 설계 등의 과정이 전혀 필요하지 않으며, 물론 필터 및 건조제의 배치에서도 기존의 방법을 그대로 쓰면 되는 바 전혀 어려움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큰 장점을 얻게 된다.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50)는 또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헤더탱크(110)와 결합되는 쪽의 상기 측면(151)의 외측면에 상기 헤더탱크(110)의 외곽과 동일한 형상의 안착홈(154)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안착홈(154)이 형성되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50)는 상기 헤더탱크(110)와의 연결을 위한 부가적인 브라켓 등과 같은 부품을 전혀 필요로 하지 않고, 직접 상기 헤더탱크(110)에 밀착된 채 브레이징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50)의 안착홈(154)와 상기 헤더탱크(110)가 밀착 배치됨으로써,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50)가 차지하는 공간의 부피가 더욱 극소화되게 된다.
상기 안착홈(154)의 형성으로 인하여 상기 헤더탱크(110)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50)가 밀착 결합될 경우, 상기 헤더탱크(110)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50) 간에 냉매를 유통시키기 위해서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안착홈(154) 내에 통공 형태의 유입공(155) 및 배출공(156)을 형성하기만 하면 된다. 즉 이러한 구조를 채용할 경우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구성에서 응축기 - 리시버 드라이어 간 냉매 유통을 위해 구비되던 유로 파이프(152')와 같은) 별도의 파이프 등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부품 수를 더욱 줄일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배출공(156)은 상기 나사산 홈(152) 영역 내 나사산(152a) 상측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공(155)은 상기 나사산 홈(152) 상측 영역에 배치되도록 한다. 도 7에는 이와 같이 상기 유입공(155) 및 상기 배출공(156)이 배치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됨으로써 냉매가 상기 캡(160)의 상부에 구비된 필터 및 건조제를 통과하면서 안정화 및 제습된 후 상기 배출공(156)을 통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응축기 110: 헤더탱크
120: 튜브 130: 핀
150: (본 발명의) 리시버 드라이어
151: 측면 152: 나사산 홈
152a: 나사산 152b: 규제부
153: 상면 154: 안착홈
155: 유입공 156: 배출공
160: 캡 161: 홀

Claims (4)

  1.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며, 공기 송풍 방향에 나란하게 일정 간격으로 병렬 배치된 복수 개의 튜브(120); 상기 튜브(120)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10); 및 상기 튜브(120)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튜브(120) 사이를 흐르는 공기와의 전열면적을 증가시키는 핀(1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일측 헤더탱크(110)에 냉매가 유통되는 유입구 및 배출구가 구비되는 응축기(100)의 타측 헤더탱크(110)에 구비되는 리시버 드라이어(150)에 있어서,
    하나의 판재가 벤딩 및 브레이징되어 형성되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수직면 방향으로의 단면 외곽이 사각형을 형성하도록,
    일측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의 판재로서, 긴 쪽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 할 때, 하부 위치에 나사산 홈(152)이 곡면으로 함몰 형성되고, 각각의 긴 쪽 모서리들이 서로 만나도록 나란히 배치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4개의 측면(151);
    사각형 형태의 판재로서, 하측 모서리가 하나의 상기 측면(151)의 상측 모서리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상면(153);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측면(151)들의 서로 연결된 모서리들은 상기 나사산 홈(152)이 내측을 향하도록 벤딩되고, 상기 측면(151) 및 상기 상면(153)이 연결된 모서리가 벤딩되며, 벤딩되어 만나는 상기 측면(151)들 및 상기 상면(153)의 모서리들은 서로 브레이징되고,
    4개의 상기 측면(151)들이 벤딩 및 브레이징되어 사각 단면을 이루도록 조합 시 4개의 상기 나사산 홈(152)은 조합되어 원형 단면을 이루며, 4개의 상기 나사산 홈(152)들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홀(161)에 캡(160)이 나사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 드라이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50)는
    상기 헤더탱크(110)와 결합되는 쪽의 상기 측면(151)의 외측면에 상기 헤더탱크(110)의 외곽과 동일한 형상의 안착홈(15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 드라이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50)는
    상기 헤더탱크(110)와 냉매가 연통 가능하도록, 상기 안착홈(154) 영역 내에 통공 형태의 유입공(155) 및 배출공(15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 드라이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50)는
    상기 배출공(156)은 상기 나사산 홈(152) 영역 내 나사산(152a) 상측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공(155)은 상기 나사산 홈(152) 상측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 드라이어.
KR1020100099573A 2010-10-13 2010-10-13 리시버 드라이어 KR101318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573A KR101318106B1 (ko) 2010-10-13 2010-10-13 리시버 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573A KR101318106B1 (ko) 2010-10-13 2010-10-13 리시버 드라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049A KR20120038049A (ko) 2012-04-23
KR101318106B1 true KR101318106B1 (ko) 2013-10-16

Family

ID=46138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573A KR101318106B1 (ko) 2010-10-13 2010-10-13 리시버 드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81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428B1 (ko) * 2020-02-04 2022-04-04 (주)휘일 고내식성 알루미늄 합금을 이용한 자동차용 리시버드라이어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713A (ko) * 1998-09-23 2000-04-15 이형도 건조기 일체형 응축기
KR20040037757A (ko) * 2002-10-30 2004-05-0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수액기 일체형 열교환기
JP2004148866A (ja) * 2002-10-28 2004-05-27 Denso Corp 車両用レシーバタンク付属コンデンサ
KR20050009368A (ko) * 2003-07-16 2005-01-25 한라공조주식회사 리시버 드라이어를 구비한 열교환기 및, 그것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713A (ko) * 1998-09-23 2000-04-15 이형도 건조기 일체형 응축기
JP2004148866A (ja) * 2002-10-28 2004-05-27 Denso Corp 車両用レシーバタンク付属コンデンサ
KR20040037757A (ko) * 2002-10-30 2004-05-0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수액기 일체형 열교환기
KR20050009368A (ko) * 2003-07-16 2005-01-25 한라공조주식회사 리시버 드라이어를 구비한 열교환기 및, 그것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049A (ko) 2012-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028525A (ja) アキュムレ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
CN106931686A (zh) 过冷式冷凝器和工程车辆
CN201203307Y (zh) 储液器的接口单元及其装配组件
CN201203309Y (zh) 汽车空调用平行流过冷式冷凝器
KR101318106B1 (ko) 리시버 드라이어
KR101230259B1 (ko) 리시버 드라이어
KR101248786B1 (ko) 응축기
KR101674030B1 (ko) 응축기
JP2806379B2 (ja) 冷媒凝縮器
KR101590194B1 (ko)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KR20120031634A (ko) 과냉각 응축기
KR102011278B1 (ko) 응축기
KR20170047050A (ko) 응축기
KR20110113810A (ko) 응축기
KR101771152B1 (ko) 응축기
KR20160123117A (ko) 차량용 응축기
KR101222609B1 (ko) 열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JP2009119950A (ja) 熱交換器
KR102210246B1 (ko) 응축기 및 쿨링모듈
KR20130057548A (ko) 응축기
KR102140223B1 (ko) 응축기
KR101291035B1 (ko) 다중 기액분리기를 구비한 응축기
KR101674118B1 (ko) 과냉각 응축기
KR20170037188A (ko) 응축기
KR101773014B1 (ko) 응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