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8078B1 - 인휠모터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인휠모터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8078B1
KR101318078B1 KR1020120062220A KR20120062220A KR101318078B1 KR 101318078 B1 KR101318078 B1 KR 101318078B1 KR 1020120062220 A KR1020120062220 A KR 1020120062220A KR 20120062220 A KR20120062220 A KR 20120062220A KR 101318078 B1 KR101318078 B1 KR 101318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cooling
vehicle
duct
cooling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영
김현찬
Original Assignee
삼보모터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보모터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보모터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2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80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5/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2205/09Machines characterised by drain passages or by venting, breathing or pressure compens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1)의 전방부로부터 주행풍을 유입하여 각 휠에 설치된 인휠모터(20,40)로 강제 주입함으로써, 별도의 전기 소모 없이 인휠모터(20,40)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고, 인휠모터(20,40)가 고속으로 회전할 경우 인휠모터(20,40)로 배출되는 주행풍을 미리 냉각함으로써, 고속 주행시에도 인휠모터(20,40)에 대한 충분한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인휠모터 냉각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인휠모터 냉각장치는 차량(1)의 주행시 발생하는 주행풍을 유입하여 차량의 전륜 휠(10)에 설치된 인휠모터(20)로 배출하는 전륜 냉각용 덕트(100)와, 차량(1)의 주행시 발생하는 주행풍을 유입하여 차량의 후륜 휠(30)에 설치된 인휠모터(40)로 배출하는 후륜 냉각용 덕트(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휠모터 냉각장치{APPARATUS FOR COOLING IN-WHEEL MOTOR}
본 발명은 인휠모터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시 발생하는 주행풍을 이용하여 차량에 설치된 인휠모터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인휠모터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나 연료전지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이 전기 동력을 이용하여 주행하도록 개발된 차량 중에는 차량의 휠에 인휠모터(In-wheel motor)가 설치되는 차량이 있다.
차량에 인휠모터를 설치할 경우 종래의 차량에 있어서 필수 구성이었던 파워 트레인 요소들의 생략이 가능해져 차량의 무게가 가벼워지고 동력 전달 과정이 단순화될 수 있게 됨으로써, 에너지 손실이 저감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종래의 엔진 및 변속기 등이 차지하던 공간이 축소될 수 있게 됨으로써, 그만큼 차량의 실내 공간을 더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공개특허 10-2010-0085647(2010. 07. 09), 공개특허 10-2010-0083521(2010. 07. 22), 공개특허 10-2013-0043744(2013. 05. 02) 등에 개시된 것처럼 인휠모터와 관련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인휠모터의 경우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할 경우 부품이 쉽게 발열되고, 이러한 발열은 인휠모터의 성능 및 수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에 인휠모터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냉각하느냐가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한편, 인휠모터의 냉각을 위해 수냉식 냉각장치를 고려할 수 있으나, 수냉식 냉각장치를 적용할 경우 냉각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들이 필요하게 되고, 이러한 구성들을 추가할 경우 차량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차량의 무게가 증가하게 되는 등 다른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수냉식 냉각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당량의 전기가 소모되기 때문에 차량의 에너지 소비 효율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공냉식 냉각장치를 적용하고자 할 경우에 있어서도 차량의 주행 속도가 일정 한도 이상이 되어 인휠모터가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 인휠모터의 발열량이 급격이 증가하여 주행풍만으로 충분한 냉각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차량의 전방부로부터 주행풍을 유입하여 각 휠에 설치된 인휠모터로 강제 주입함으로써, 별도의 전기 소모 없이 인휠모터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고, 인휠모터가 고속으로 회전할 경우 인휠모터로 배출되는 주행풍을 미리 냉각함으로써, 고속 주행시에도 인휠모터에 대한 충분한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인휠모터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휠모터 냉각장치는 차량의 주행시 발생하는 주행풍을 유입하여 차량의 전륜 휠에 설치된 인휠모터로 배출하는 전륜 냉각용 덕트와, 차량의 주행시 발생하는 주행풍을 유입하여 차량의 후륜 휠에 설치된 인휠모터로 배출하는 후륜 냉각용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륜 냉각용 덕트는 상기 후륜 냉각용 덕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후륜 냉각용 덕트로부터 분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륜 냉각용 덕트와 후륜 냉각용 덕트는 그 전방부가 차량의 전방 범퍼에 설치되고, 상기 전방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흡입구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향하여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륜 냉각용 덕트는 그 전방부가 차량의 전방 범퍼에 설치되고, 상기 전방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흡입구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향하여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륜 냉각용 덕트의 후방부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차량 주행시 발생하는 주행풍을 차량의 측방으로부터 유입하여 차량의 후륜 휠에 설치된 인휠모터로 배출하는 후륜 냉각용 보조 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륜 냉각용 덕트로부터 분기되고, 차량 주행시 발생하는 주행풍을 차량의 측방으로부터 유입하는 측방 주행풍 유입 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륜 냉각용 덕트 또는 후륜 냉각용 덕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에는 주행풍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 매체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륜 냉각용 덕트 또는 후륜 냉각용 덕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분기되는 분기 덕트가 더 설치되고, 이 분기 덕트에는 주행풍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여 상기 냉각 매체로 공급하는 발전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기 덕트의 입구에는 상기 전륜 냉각용 덕트 또는 후륜 냉각용 덕트로부터 상기 분기 덕트로의 주행풍의 유입을 단속하는 개폐 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 부재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하되, 차량의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일 경우 상기 개폐 부재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 매체는 펠티어 소자(Peltier device)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륜 냉각용 덕트가 상기 후륜 냉각용 덕트로부터 분기되는 분기지점에는 주행풍의 유동 체적을 일정 비율로 분할할 수 있는 분기판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인휠모터 냉각장치에 따르면, 차량의 전방부로부터 주행풍을 유입하여 각 휠에 설치된 인휠모터로 강제 주입함으로써, 별도의 전기 소모 없이 인휠모터가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게 되고, 인휠모터가 고속으로 회전할 경우 인휠모터로 배출되는 주행풍을 미리 냉각함으로써, 고속 주행시에도 인휠모터에 대한 충분한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휠모터 냉각장치의 기본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휠모터 냉각장치에 후륜 냉각용 보조 덕트가 추가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휠모터 냉각장치에 냉각 매체 및 발전기가 적용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휠모터 냉각장치의 기본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휠모터 냉각장치에 측방 주행풍 유입 덕트가 추가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휠모터 냉각장치에 냉각 매체 및 발전기가 적용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된 냉각 매체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휠모터 냉각장치의 기본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휠모터 냉각장치에 후륜 냉각용 보조 덕트가 추가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휠모터 냉각장치에 냉각 매체 및 발전기가 적용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휠모터 냉각장치의 기본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휠모터 냉각장치에 측방 주행풍 유입 덕트가 추가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휠모터 냉각장치에 냉각 매체 및 발전기가 적용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된 냉각 매체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휠모터 냉각장치는 기본적으로는 전륜 냉각용 덕트(100)와, 후륜 냉각용 덕트(200)를 포함하며, 후륜 냉각용 보조 덕트(300)와, 분기 덕트(400)와, 발전기(500)와, 개폐 부재(600)와, 제어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륜 냉각용 덕트(100)는 차량(1)의 주행시 발생하는 주행풍을 유입한 뒤 차량의 전륜 휠(10)에 설치된 인휠모터(20)로 배출하여 상기 전륜 휠(10)에 설치된 인휠모터(20)를 냉각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차량의 하부 좌우측에 한 쌍이 설치되며, 그 전방부(110)는 차량의 전방 범퍼(B)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전륜 냉각용 덕트(100)의 전방부(110)의 단부에 형성되는 흡입구(111)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향하여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후방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배출구는 상기 인휠모터(20)를 향하여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륜 냉각용 덕트(200)는 차량(1)의 주행시 발생하는 주행풍을 유입한 뒤 차량의 후륜 휠(30)에 설치된 인휠모터(40)로 배출하여 상기 후륜 휠(30)에 설치된 인휠모터(40)를 냉각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차량의 하부 좌우측에 한 쌍이 설치되며, 그 전방부(210)는 차량의 전방 범퍼(B)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후륜 냉각용 덕트(200)의 전방부(210)의 단부에 형성되는 흡입구(211)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향하여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후방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배출구는 상기 인휠모터(20)를 향하여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후륜 냉각용 덕트(200)의 경우 상기 전륜 냉각용 덕트(100)보다 그 길이가 길고, 전륜 휠(10)에 설치된 인휠모터(20)의 주변을 지나도록 배치되기에 후륜 냉각용 덕트(200)에서 분출되는 주행풍의 온도는 상기 전륜 냉각용 덕트(100)에서 분출되는 주행풍의 온도보다 높아진다. 또한, 상기 전륜 휠(10)에 설치된 인휠모터(20)를 냉각시킨 뒤 온도가 상승한 주행풍의 일부는 후륜 휠(30)에 설치된 인휠모터(40)에 도달하기에 후륜 휠(30)에 설치된 인휠모터(40)의 온도는 상기 전륜 휠(10)에 설치된 인휠모터(20)보다 더 높아진다.
따라서 상기 후륜 휠(30)에 설치된 인휠모터(40)에 대한 충분한 냉각이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기에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후륜 휠(30)에 설치된 인휠모터(40)에 대한 충분한 냉각을 보조하기 위한 후륜 냉각용 보조 덕트(300)를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후륜 냉각용 보조 덕트(300)는 관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후륜 냉각용 덕트(200)의 후방부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차량(1)의 주행시 발생하는 주행풍을 차량의 측방으로부터 유입한 뒤 차량의 후륜 휠(30)에 설치된 인휠모터(40)로 배출하여 후륜 휠(30)에 설치된 인휠모터(40)에 대한 냉각이 더욱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한다.
한편, 차량의 주행 속도가 일정 한도 이상이 되어 인휠모터가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 인휠모터의 발열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주행풍만으로 충분한 냉각효과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전륜 냉각용 덕트(100)와, 후륜 냉각용 덕트(200)의 내측에 주행풍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 매체(C)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냉각 매체(C)로는 펠티어 소자(Peltier devic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펠티어 소자는 N형, P형 반도체를 사이에 두고 두 개의 금속판이 전기적으로는 직렬로 연결되고 열적으로는 병렬로 연결된 소자로서, 직류 전류를 인가하였을 때 펠티어 효과에 의해서 두 개의 금속판 사이에 온도차가 발생하여 냉각과 가열 현상이 동시에 나타나고, 전류의 극성을 변환하면 두 개의 금속판의 온도 구배가 반대로 형성되는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펠티어 소자를 상기 전륜 냉각용 덕트(100) 또는 후륜 냉각용 덕트(200)의 내측에 설치할 경우,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일정 극성의 전류를 인가할 때 온도가 내려가는 금속판(M1)을 전륜 냉각용 덕트(100) 또는 후륜 냉각용 덕트(200)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배치하고, 이 온도가 내려가는 금속판(M1)에는 다수의 냉열핀(P1)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온도가 올라가는 금속판(M2)은 전륜 냉각용 덕트(100) 또는 후륜 냉각용 덕트(200)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전륜 냉각용 덕트(100) 또는 후륜 냉각용 덕트(200)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방열핀(P2)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펠티어 소자를 냉각 매체(C)로서 설치할 경우, 상기 전륜 냉각용 덕트(100) 또는 후륜 냉각용 덕트(200)로 유동하는 주행풍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전륜 냉각용 덕트(100) 또는 후륜 냉각용 덕트(200)에 펠티어 소자를 다수 개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펠티어 소자에 인가되는 전류는 차량의 메인 전력부로부터 조달될 수 있으나, 차량의 에너지 소비 효율을 고려할 때, 상기 전륜 냉각용 덕트(100) 또는 후륜 냉각용 덕트(200)로 유동하는 주행풍의 일부를 이용한 발전을 통해 조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주행풍을 이용한 발전을 위해 상기 전륜 냉각용 덕트(100) 또는 후륜 냉각용 덕트(200)로부터 분기되는 분기 덕트(400)를 더 설치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분기 덕트(400)에는 주행풍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여 상기 냉각 매체(C)로 공급하는 발전기(5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분기 덕트(400)를 통해 분출되는 주행풍에 의해서도 상기 전륜 휠(10)에 설치된 인휠모터(20) 또는 후륜 휠(30)에 설치된 인휠모터(40)가 냉각될 수 있도록 상기 분기 덕트(400)는 상기 전륜 휠(10)에 설치된 인휠모터(20) 또는 후륜 휠(30)에 설치된 인휠모터(40) 부근까지 도달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분기 덕트(400)의 배출구는 상기 인휠모터(20,40)를 향하여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전기(500)는 주행풍의 유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축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발전기(500)의 구성은 공지된 사항으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어 생략한다.
한편, 펠티어 소자를 이용한 주행풍에 대한 냉각은 차량(1)이 일정 속도 이상의 고속으로 주행할 경우 필요하므로 차량(1)의 저속 주행시에는 상기 분기 덕트(400)로 주행풍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차량(1)이 일정 속도 이상의 고속으로 주행할 경우에 상기 분기 덕트(400)로 주행풍이 유입되어 발전기(500)가 가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분기 덕트(400)의 입구에는 상기 전륜 냉각용 덕트(100) 또는 후륜 냉각용 덕트(200)로부터 상기 분기 덕트(400)로의 주행풍의 유입을 단속하는 개폐 부재(60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상기 개폐 부재(600)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하되, 차량(1)의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일 경우 상기 개폐 부재(600)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7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700)는 차량의 메인 제어부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펠티어 소자에 인가되는 전류가 차량(1)의 메인 전력부로부터 조달되도록 구성할 경우 차량(1)이 일정 속도 이상의 고속으로 주행할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상기 필테어 소자로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또 다른 제어부가 설치될 필요가 있다으며, 이러한 제어부는 차량의 메인 제어부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휠모터 냉각장치의 기본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휠모터 냉각장치에 측방 주행풍 유입 덕트가 추가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휠모터 냉각장치에 냉각 매체 및 발전기가 적용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휠모터 냉각장치는 기본적으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전륜 냉각용 덕트(100)와, 후륜 냉각용 덕트(200)를 포함하며, 분기 덕트(400)와, 발전기(500)와, 개폐 부재(600)와, 제어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전륜 냉각용 덕트(100)가 상기 후륜 냉각용 덕트(2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후륜 냉각용 덕트(200)로부터 분기 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상기 분기 덕트(400)가 후륜 냉각용 덕트(200)에만 설치된다는 점에 차이가 있으며, 차량 주행시 발생하는 주행풍을 차량의 측방으로부터 유입하는 측방 주행풍 유입 덕트(250)가 후륜 냉각용 덕트(200)로부터 분기 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여기서, 상기 측방 주행풍 유입 덕트(25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후륜 냉각용 보조 덕트(300)와 동일한 목적 및 필요성에 의해 추가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후륜 냉각용 보조 덕트(300)를 대체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휠모터 냉각장치의 경우, 상기 전륜 냉각용 덕트(100)가 상기 후륜 냉각용 덕트(200)로부터 분기되는 구조로 일체형으로 형성되기에, 상기 후륜 냉각용 덕트(200)의 전방부(210)로 유입된 주행풍이 분기지점에서 일정한 비율로 분할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체가 설치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분기지점에는 주행풍의 유동 체적을 일정 비율로 분할할 수 있는 분기판(D)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분기판(D)은 분기지점에서 주행풍의 유동 체적이 균등하게 분할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처럼 주행풍을 균등하게 분할하고자 할 경우,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역V자"형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휠모터 냉각장치에 따르면, 차량의 전방부로부터 주행풍을 유입하여 각 휠에 설치된 인휠모터로 강제 주입함으로써, 별도의 전기 소모 없이 인휠모터가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게 되고, 또한 인휠모터가 고속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인휠모터로 배출되는 주행풍을 미리 냉각함으로써, 고속 주행 시에도 인휠모터에 대한 충분한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20 : 전륜 휠에 설치된 인휠모터 40 : 후륜 휠에 설치된 인휠모터
100 : 전륜 냉각용 덕트 200 : 후륜 냉각용 덕트
250 : 측방 주행풍 유입 덕트 300 : 후륜 냉각용 보조 덕트
400 : 분기 덕트 500 : 발전기
600 : 개폐 부재 700 : 제어부
C : 냉각 매체 D : 분기판

Claims (12)

  1. 차량(1)의 주행시 발생하는 주행풍을 유입하여 차량의 전륜 휠(10)에 설치된 인휠모터(20)로 배출하는 전륜 냉각용 덕트(100);
    차량(1)의 주행시 발생하는 주행풍을 유입하여 차량의 후륜 휠(30)에 설치된 인휠모터(40)로 배출하는 후륜 냉각용 덕트(200); 및
    상기 후륜 냉각용 덕트(200)의 후방부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차량 주행시 발생하는 주행풍을 차량의 측방으로부터 유입하여 차량의 후륜 휠(30)에 설치된 인휠모터(40)로 배출하는 후륜 냉각용 보조 덕트(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휠모터 냉각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륜 냉각용 덕트(100)는 상기 후륜 냉각용 덕트(2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후륜 냉각용 덕트(200)로부터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휠모터 냉각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륜 냉각용 덕트(100)와 후륜 냉각용 덕트(200)는 그 전방부(110,210)가 차량의 전방 범퍼(B)에 설치되고, 상기 전방부(110,210)의 단부에 형성되는 흡입구(111,211)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향하여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휠모터 냉각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륜 냉각용 덕트(200)는 그 전방부(210)가 차량의 전방 범퍼(B)에 설치되고, 상기 전방부(210)의 단부에 형성되는 흡입구(211)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향하여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휠모터 냉각장치.
  5. 차량(1)의 주행시 발생하는 주행풍을 유입하여 차량의 전륜 휠(10)에 설치된 인휠모터(20)로 배출하는 전륜 냉각용 덕트(100);
    차량(1)의 주행시 발생하는 주행풍을 유입하여 차량의 후륜 휠(30)에 설치된 인휠모터(40)로 배출하는 후륜 냉각용 덕트(200); 및
    상기 후륜 냉각용 덕트(200)로부터 분기되고, 차량 주행시 발생하는 주행풍을 차량의 측방으로부터 유입하는 측방 주행풍 유입 덕트(2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휠모터 냉각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륜 냉각용 덕트(100)는 상기 후륜 냉각용 덕트(2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후륜 냉각용 덕트(200)로부터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휠모터 냉각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 냉각용 덕트(100) 또는 후륜 냉각용 덕트(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에는 주행풍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 매체(C)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휠모터 냉각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륜 냉각용 덕트(100) 또는 후륜 냉각용 덕트(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분기되는 분기 덕트(400)가 더 설치되고, 이 분기 덕트(400)에는 주행풍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여 상기 냉각 매체(C)로 공급하는 발전기(5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휠모터 냉각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분기 덕트(400)의 입구에는 상기 전륜 냉각용 덕트(100) 또는 후륜 냉각용 덕트(200)로부터 상기 분기 덕트(400)로의 주행풍의 유입을 단속하는 개폐 부재(60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휠모터 냉각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600)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하되, 차량의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일 경우 상기 개폐 부재(600)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70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휠모터 냉각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냉각 매체(C)는 펠티어 소자(Peltier devic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휠모터 냉각장치.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륜 냉각용 덕트(100)가 상기 후륜 냉각용 덕트(200)로부터 분기되는 분기지점에는 주행풍의 유동 체적을 일정 비율로 분할할 수 있는 분기판(D)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휠모터 냉각장치.
KR1020120062220A 2012-06-11 2012-06-11 인휠모터 냉각장치 KR101318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220A KR101318078B1 (ko) 2012-06-11 2012-06-11 인휠모터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220A KR101318078B1 (ko) 2012-06-11 2012-06-11 인휠모터 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8078B1 true KR101318078B1 (ko) 2013-10-18

Family

ID=49638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220A KR101318078B1 (ko) 2012-06-11 2012-06-11 인휠모터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80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497B1 (ko) 2021-09-27 2022-02-25 주식회사 도모코리아 냉각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휠 허브 모터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9828A (ja) * 2004-01-14 2005-07-28 Toyota Motor Corp インホイールモータの冷却装置
JP2011131669A (ja) 2009-12-24 2011-07-07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ホイールハウス内構造
KR20110095667A (ko) * 2010-02-19 2011-08-25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용 인휠 모터
KR101079171B1 (ko) * 2010-10-13 2011-11-02 자동차부품연구원 인휠 모터의 냉각 및 폐열 이용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9828A (ja) * 2004-01-14 2005-07-28 Toyota Motor Corp インホイールモータの冷却装置
JP2011131669A (ja) 2009-12-24 2011-07-07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ホイールハウス内構造
KR20110095667A (ko) * 2010-02-19 2011-08-25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용 인휠 모터
KR101079171B1 (ko) * 2010-10-13 2011-11-02 자동차부품연구원 인휠 모터의 냉각 및 폐열 이용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497B1 (ko) 2021-09-27 2022-02-25 주식회사 도모코리아 냉각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휠 허브 모터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1872B2 (ja) ハイブリッド車の冷却装置
KR102399618B1 (ko) 차량의 공조시스템
US10938278B2 (en) Vehicle
CN102029892B (zh) 混合动力车的冷却装置
KR101275186B1 (ko) 인버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기차량
US10403868B2 (en) Battery
KR20120136923A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냉각구조
JP2013107420A (ja) 車両用電池の冷却装置
JP2013057309A (ja) 燃料電池車両用冷却装置
JP6074840B2 (ja) 車輌
CN104044444B (zh) 电动汽车整车集成热管理系统及工作方法
CN107234958A (zh) 电机热管理
JP2017105290A (ja) 駆動用バッテリの温度調整装置
KR20210010121A (ko) 통합 열관리용 칠러 및 이를 포함한 통합 열관리 모듈
KR20090091942A (ko) 배터리 냉각ㆍ가온 장치
WO2014178112A1 (ja) 冷却水制御装置
KR101318078B1 (ko) 인휠모터 냉각장치
CN204451998U (zh) 混合动力电动汽车冷却系统
JP2014196078A (ja) 電動車両の冷却システム
JP2012236493A (ja) 車両用冷却装置
JP5947071B2 (ja) バッテリ冷却装置
CN109572387A (zh) 汽车及冷却系统
KR101818917B1 (ko) 배터리팩 냉각장치용 공기덕트
CN104578594B (zh) 在列车上使用的液冷电机
JP2015105088A (ja) 車両用制御装置の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