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842B1 -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폴리우레탄 범퍼 러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폴리우레탄 범퍼 러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842B1
KR101317842B1 KR1020120033380A KR20120033380A KR101317842B1 KR 101317842 B1 KR101317842 B1 KR 101317842B1 KR 1020120033380 A KR1020120033380 A KR 1020120033380A KR 20120033380 A KR20120033380 A KR 20120033380A KR 101317842 B1 KR101317842 B1 KR 101317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olyol
polyurethane
polyurethane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3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0984A (ko
Inventor
문경명
성승호
이재현
김윤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포리텍
강남화성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포리텍, 강남화성 (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포리텍
Priority to KR1020120033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7842B1/ko
Publication of KR20130110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18Catalysts containing secondary or tertiary amines or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66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prepar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and/or lactones
    • C08G18/4286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prepar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and/or lactones prepared from a combination of hydroxycarboxylic acids and/or lactones with polycarboxylic acids or ester forming derivatives thereof and poly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25Water, e.g. hydrated sal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개시된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은, 분산도가 3 이하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이 1,300 내지 1,700인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진 프리폴리머 10 내지 35 중량부, 발포제 0.1 내지 5 중량부, 정포제 0.1 내지 5 중량부 및 촉매 0.05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은 우수한 동력학적 특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폼 조성물은 개선된 저장성 및 경제성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폴리우레탄 범퍼 러버의 제조 방법{COMPOSITION FOR POLYURETHANE FOA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YURETHANE BUMPER RUBBER}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범퍼 등에 사용될 수 있는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폴리우레탄 범퍼 러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현가장치는 노면으로부터 차량 등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통상 차체와 차축 사이에 제공되어, 차체의 손상을 억제하고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등의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차량 현가장치는 노면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현가 스프링과, 상기 현가 스프링의 진동을 감쇠하는 쇽업소버(shock absorber) 등을 포함한다.
상기 쇽업소버는 실린더와, 실린더에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 로드를 포함하며, 피스톤 로드의 상부에는 범퍼 러버가 설치되어,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범퍼 러버용 소재로는 폴리우레탄 수지가 사용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이소시아네이트로 naphthylene-1.5-diisocyanate(NDI)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을 반응시켜 얻어진 것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는 NDI의 원료 특성으로 인하여 매우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가지며 특히 고탄성, 내피로도의 탁월한 성능으로 동력학적 우수성이 인정되어 자동차용 범퍼와 동력학적 특성이 요구되는 산업용 부품에 광범위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는 NDI의 특성으로 인하여 저장 안정성이 3시간 이하여서 현장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며 원료인 NDI의 가격이 높아 경제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우수한 동력학적 특성을 가지면서도 개선된 저장성 및 경제성을 갖는 범퍼 러버(충격완화 부재)용 폴리우레탄 수지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우수한 동력학적 특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을 형성할 수 있으면서, 개선된 저장성 및 경제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범퍼 러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은, 분산도가 3 이하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이 1,300 내지 1,700인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진 프리폴리머 10 내지 35 중량부, 발포제 0.1 내지 5 중량부, 정포제 0.1 내지 5 중량부 및 촉매 0.05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올은 아디프산과 에틸렌글리콜을 반응시켜 얻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르르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포제는 물을 포함하며, 상기 정포제는 실리콘계 정포제를 포함하며, 상기 촉매는 3급 아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범퍼 러버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분산도가 3 이하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이 1,300 내지 1,700인 폴리올을 합성하고, 상기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프리폴리머를 합성한다. 상기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프리폴리머 10 내지 35 중량부, 발포제 0.1 내지 5 중량부, 정포제 0.1 내지 5 중량부 및 촉매 0.05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을 발포성형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올은, 진공 감압법을 이용하고, 테트라아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를 촉매로 이용하여 아디프산과 에틸렌글리콜을 반응시켜 얻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우레탄 범퍼 러버는 양단의 두께가 중심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모래시계 형상 또는 중앙부가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폴리우레탄 범퍼 러버의 제조방법은 우수한 동력학적 특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범퍼 러버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폼 조성물은 개선된 저장성 및 경제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범퍼 러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a 및 도 2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폴리우레탄 범퍼 러버의 형상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폴리우레탄 범퍼 러버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은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프리폴리머 10 내지 35 중량부, 발포제 0.1 내지 5 중량부, 정포제 0.1 내지 5 중량부 및 촉매 0.05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올의 예로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 및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게,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이 사용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은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에 비하여, 기계적 강도, 가공성, 내열성, 내마모성 및 경제성 등에서 유리한 장점을 갖는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은 다관능 카르복실산 화합물과 다관능 알코올 화합물의 중합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관능 카르복실산 화합물로는 바람직하게 아디프산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다관능 알코올 화합물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1,2-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1,3 또는 1,4-부틸렌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데카메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관능의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3관능 이상의 알코올 화합물을 이용하는 경우, 이소시아네이트 등과의 반응이 급격하게 일어나거나, 상분리가 저해되어 탄성 등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다관능 알코올 화합물로 다른 종류의 화합물이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분산도가 작은 폴리올을 얻기 위하여 단일의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폴리올의 분자량이 감소하면, 상기 폴리올을 이용하여 얻어진 폴리우레탄의 강성이 증가하고, 폴리올의 분자량이 클 경우, 폴리우레탄의 탄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목적하는 제품의 용도 등을 고려하여 적정 분자량을 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동차 범퍼용 폴리우레탄 제품을 얻기 위하여, 상기 폴리올의 바람직한 중량평균분자량은 약 200 내지 약 2,000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0 내지 1,700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작은 분산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약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도가 클 경우, 강성 분절과 유연쇄 분절의 길이가 다른 폴리올들이 서로 혼합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분리를 저해하고, 유리 전이 온도의 영역이 넓어지게 되며, 탄성이 감소되어 피로도가 증가하게 된다.
상기 폴리올의 분산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폴리올의 합성시 비교적 저온에서 활성화되는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테트라아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TIPT), 주석계 촉매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TIPT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다관능 카르복실산 화합물 및 상기 다관능 알코올 화합물을 혼합하고 가열하면, 상기 관능 카르복실산 화합물 및 상기 다관능 알코올 화합물의 축합 반응이 진행된다. 상기 촉매는 축합 반응 진행 전에 투입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반응 도중에 투입한다. 또한, 상기 폴리올의 분산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진공 감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의 합성 반응의 진척을 확인하기 위하여, 산가를 측정할 수 있으며, 반응이 적정하게 진행된 경우, 예를 들어, 1 이하의 산가를 갖게되면 반응을 종결한다.
상기 프리폴리머는 상기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을 통하여 얻어진다. 상기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가 반응함으로써, 우레탄 결합이 형성된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로는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p-페닐렌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한다.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는 프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에 비하여 가격이 경제적이며, 저장성이 우수하다. 보다 바람직하게, 아래의 화학식 1로 나타내지는 4,4-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가 사용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25880044-pat00001
상기 폴리올과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양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NCO)를 갖는 프리폴리머를 얻는다.
상기 발포제, 정포제 및 촉매는 종래의 폴리우레탄 폼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포제로는 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정포제는 실록산-옥시알킬렌 블록 공중합체 등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정포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촉매로는 3급 아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은 우수한 동력학적 특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을 형성할 수 있으며, 개선된 저장성 및 경제성을 가질 수 있다.
폴리우레탄 범퍼 러버의 제조방법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범퍼 러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폴리올을 합성한다(S 10). 상기 폴리올의 예로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 및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게, 다관능 카르복실산 화합물과 다관능 알코올 화합물의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을 사용한다.
다음으로, 상기 폴리올을 이용하여 프리폴리머를 합성한다(S 20). 상기 프리폴리머는 상기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을 통하여 얻어진다. 상기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가 반응함으로써, 우레탄 결합이 형성된다. 상기 폴리올, 상기 프리폴리머 및 그 제조방법은 기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의 폴리올 및 프리폴리머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폴리올과 상기 프리폴리머를 이용하여 폴리우레탄 범퍼 러버를 형성한다(S 30). 상기 폴리우레탄 범퍼 러버는 발포체이며, 상기 폴리우레탄 범퍼 러버를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상기 폴리올 및 상기 프리폴리머 외에도 발포제 및 정포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 범퍼 러버를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포제, 정포제 및 촉매는 종래의 폴리우레탄 폼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기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의 발포제, 정포제 및 촉매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폴리우레탄 범퍼 러버를 얻기 위하여, 상기 폴리우레탄 범퍼 러버용 조성물을 주형에 투입하고, 가열 성형하여,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진 범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범퍼의 형상은 용도 및 상기 범퍼가 채용될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폴리우레탄 범퍼 러버의 형상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폴리우레탄 범퍼 러버는 양단의 두께가 중심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모래시계 형상 (10) 또는 중앙부가 절곡된 형상(20)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 및 실험을 통하여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범퍼 러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폴리올의 합성
합성예 1
온도계, 냉각관, 교반기를 장착한 5L 플라스크에 아디프산 약 3,000 중량부와 에틸린글리콜 약 2,000 중량부를 넣고 서서히 약 100℃까지 승온하여 아디프산을 용해시키고 축합 반응을 진행하였다. 상기 축합 반응에서 발생되는 물이 상대적으로 감소되는 시점을 확인하고 약 120℃까지 승온하였다. 이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남아있는 아디프산과 에틸렌글리콜의 반응을 촉진시키고, 촉매(TIPT)를 가하여 쇄 연장 반응을 유도하였다. 반응이 진행되어 물 발생 반응이 감소된 것을 확인한 후, 감압 진공 펌프를 이용하여 진공 감압을 실시하였다. 진공 감압이 진행되는 동안에 반응물의 산가를 측정하여, 1이하의 산가를 가지는 경우 반응을 종결하여 폴리올을 얻었다.
합성예 2
촉매로서 TIPT 대신 주석계 촉매를 이용하고, 진공 감압을 실시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합성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올을 얻었다.
합성예 3
아디프산 약 3,000 중량부 대신에, 아디프산 약 1,500 중량부 및 프탈릭산 약 1,500 중량부를 반응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합성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올을 얻었다.
합성예 4
아디프산 약 3,000 중량부 대신에, 아디프산 약 1,500 중량부 및 프탈릭산 약 1,500 중량부를 반응시키고, 촉매로서 TIPT 대신 주석계 촉매를 이용하고, 진공 감압을 실시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합성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올을 얻었다.
합성예 5
아디프산 약 3,000 중량부 대신에, 트리메틸올프로판(TMP) 약 3,000 중량부를 반응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합성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올을 얻었다.
합성예 6
아디프산 약 3,000 중량부 대신에, 트리메틸올프로판(TMP) 약 3,000 중량부를 반응시키고, 촉매로서 TIPT 대신 주석계 촉매를 이용하고, 진공 감압을 실시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합성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올을 얻었다.
프리폴리머의 합성
상기 합성예 1의 폴리올 약 3,700부와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약 1,200부를 5L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를 충진하였다. 다음으로, 서서히 교반을 실시하면서 약 80℃까지 승온시켰다. 상기 온도를 약 3시간동안 유지한 후, NCO%를 측정하여, 측정된 NCO%가 유사하게 지속되는 경우 수지를 필터링을 실시하여 프리폴리머를 취출하였다.
상기 합성예 2 내지 6의 폴리올을 이용하여 유사한 방법으로 프리폴리머를 합성하였다.
폴리우레탄 폼 형성
상기 합성예 1의 폴리올 약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발포제) 약 1 중량부, 실리콘계 정포제 약 1 중량부, 3급 아민 약 0.3 중량부 및 합성예 1의 폴리올을 이용하여 얻어진 프리폴리머 약 24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을 이용하여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합성예 2 내지 6의 폴리올 및 이를 이용하여 얻어진 프리폴리머를 이용하여 유사한 방법으로,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합성예 1 내지 6의 폴리올의 분산도(polydispersity) 및 상기 발포체들의 피로도(hysteresis)를 측정하여, 아래와 같이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피로도는 상기 발포체들을 각각 40%, 80%, 120% 연신하여 측정하였으며, 상기 피로도(%)는 (로딩 에너지 - 언로딩 에너지)/로딩 에너지에 100을 곱한 값으로 정의된다. 로딩 에너지는 상기 발포체를 연신하기 위한 에너지이며, 언로딩 에너지는 연신된 발포체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제거되었을 때 복원에 사용될 수 있는 에너지이다.
표 1
Figure 112012025880044-pat00002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다관능성 알코올 화합물을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한 합성예 3 및 합성예 4의 폴리올 및, 3관능성 알코올 화합물인 트리메틸올프로판을 이용하여 합성된 합성예 5 및 합성예 6의 폴리올에 비하여, 이관능성 알코올 화합물을 이용하여 합성된 합성예 1 및 합성예 2의 폴리올에 비하여 높은 분산도를 가진 것을 확인할 수 가 있으며, 또한, TIPT를 사용하여 합성된 합성예 1, 합성예 3 및 합성예 5의 폴리올에 비하여, 주석계 촉매를 사용하여 합성된 합성예 2, 합성예 4 및 합성예 6의 폴리올이 높은 분산도를 가진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 낮은 분산도를 갖는 폴리올을 이용하여 제조된 발포체가 낮은 피로도, 즉 더 우수한 물성을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단일의 이관능성 알코올 화합물을 이용하고, TIPT 촉매를 이용하고, 진공 감압법을 이용하여 합성된 폴리올을 이용하여 제조된 발포체가 우수한 물성을 가질 수 있음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폴리우레탄 범퍼 러버의 제조방법은 차량, 선박, 항공기, 건축 구조물 등의 구성 부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분산도가 3 이하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이 1,300 내지 1,700인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진 프리폴리머 10 내지 35 중량부;
    발포제 0.1 내지 5 중량부;
    정포제 0.1 내지 5 중량부; 및
    촉매 0.05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아디프산과 에틸렌글리콜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물을 포함하며, 상기 정포제는 실리콘계 정포제를 포함하며, 상기 촉매는 3급 아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5. 분산도가 3 이하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이 1,300 내지 1,700인 폴리올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프리폴리머를 합성하는 단계;
    상기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프리폴리머 10 내지 35 중량부, 발포제 0.1 내지 5 중량부, 정포제 0.1 내지 5 중량부 및 촉매 0.05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을 발포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범퍼 러버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진공감압법을 이용하고, 테트라아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를 촉매로 이용하여 아디프산과 에틸렌글리콜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범퍼 러버의 제조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범퍼 러버의 제조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범퍼 러버는 양단의 두께가 중심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모래시계 형상 또는 중앙부가 절곡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범퍼 러버의 제조 방법.
KR1020120033380A 2012-03-30 2012-03-30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폴리우레탄 범퍼 러버의 제조 방법 KR101317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380A KR101317842B1 (ko) 2012-03-30 2012-03-30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폴리우레탄 범퍼 러버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380A KR101317842B1 (ko) 2012-03-30 2012-03-30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폴리우레탄 범퍼 러버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984A KR20130110984A (ko) 2013-10-10
KR101317842B1 true KR101317842B1 (ko) 2013-10-15

Family

ID=49632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3380A KR101317842B1 (ko) 2012-03-30 2012-03-30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폴리우레탄 범퍼 러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78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577B1 (ko) * 2015-01-30 2017-01-06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 폴리우레탄 폼, 및 이를 포함하는 자운스 범퍼
CN111499831A (zh) * 2020-05-25 2020-08-07 安徽禾臣新材料有限公司 聚氨脂橡胶锦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2057A (ja) * 1993-05-12 1994-11-22 Dow Chem Japan Ltd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成形品
KR100598625B1 (ko) * 2004-06-23 2006-07-07 강남화성 (주) 인라인 스케이트 휠용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94133B1 (ko) * 2006-06-02 2008-01-10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탄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난황변 연질 폴리우레탄 폼의제조방법
JP2008274231A (ja) * 2006-07-12 2008-11-13 Mitsubishi Chemicals Corp ポリウレタンの製造方法及びそれから得られたポリウレタンの用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2057A (ja) * 1993-05-12 1994-11-22 Dow Chem Japan Ltd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成形品
KR100598625B1 (ko) * 2004-06-23 2006-07-07 강남화성 (주) 인라인 스케이트 휠용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94133B1 (ko) * 2006-06-02 2008-01-10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탄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난황변 연질 폴리우레탄 폼의제조방법
JP2008274231A (ja) * 2006-07-12 2008-11-13 Mitsubishi Chemicals Corp ポリウレタンの製造方法及びそれから得られたポリウレタンの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984A (ko)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432B1 (ko) 초미세 발포 폴리우레탄 탄성체의 제조방법
KR101465486B1 (ko) 발포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의 제조 방법
JPH05214091A (ja) 高反応性のポリオキシアルキレン−ポリオール、その製造法および使用方法
JP2011506697A (ja) 粘弾性ポリウレタン発泡体
JP2008514792A (ja) 低減された可燃性および優れた耐久性を有する成形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JP5634399B2 (ja) 高温でのクリープ傾向がほとんどない発泡エラストマー
US20040102536A1 (en) Cellular polyisocyanate polyaddition products
CN107266656B (zh) 用于制造聚氨酯泡沫及其模塑制品的组合物
JP2002525396A (ja) 低レジリエンスで低振動数の成形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KR101317842B1 (ko)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폴리우레탄 범퍼 러버의 제조 방법
US20080258328A1 (en) Process for Producing Cylindrical Mouldings Based on Cellular Polyurethane Elastomers
US8906976B2 (en) Polyurethane compositions for an automotive seat
JP2616055B2 (ja) ポリウレタン弾性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2002322235A (ja)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CN106608960B (zh) 聚氨酯微孔弹性体的制备方法
JPH03244620A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US20080164112A1 (en) Cylindrical Mouldings Based On Cellular Polyurethane Elastomers
KR20130025161A (ko) 미세기공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및 그 제조 방법
KR101895981B1 (ko) 자운스 범퍼용 초미세 발포 폴리우레탄 탄성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H03128915A (ja) ポリウレタン弾性フォームの製造方法
KR101288295B1 (ko) 피로저항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폴리우레탄
KR101364550B1 (ko) 초미세 발포 폴리우레탄 탄성체 제조용 유화제
CN105377934A (zh) 由增强的聚氨酯脲弹性体制成的模制件及其用途
JP3504789B2 (ja) 軟質高弾性ポリウレタン発泡体
WO2017094701A1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製造用触媒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