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287B1 - 박스처리 파봉기가 구비된 압축장치 - Google Patents

박스처리 파봉기가 구비된 압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287B1
KR101317287B1 KR1020120024536A KR20120024536A KR101317287B1 KR 101317287 B1 KR101317287 B1 KR 101317287B1 KR 1020120024536 A KR1020120024536 A KR 1020120024536A KR 20120024536 A KR20120024536 A KR 20120024536A KR 101317287 B1 KR101317287 B1 KR 101317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
box
drums
drum
compress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4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3138A (ko
Inventor
김대식
Original Assignee
광림 컴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림 컴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광림 컴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4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7287B1/ko
Publication of KR20130103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07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07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 B02C2018/0038Motor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07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 B02C2018/0061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with compacting devices for the disintegrated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퍼로 투입되는 빈 박스의 적체현상을 해소하여 장치의 원활한 압축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된 박스처리 파봉기가 구비된 압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실 내에 가압수단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실 내로 빈 종이박스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되, 빈 종이박스가 투입되는 투입구(13)와 이 투입구(13)에 비해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압축실에 연통되는 배출구(16)가 형성된 호퍼(12)를 포함하는 압축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퍼(12)의 배출구(14) 측에 위치되어 빈 종이박스를 일부 훼손시켜 상기 압축실로 유도하도록 된 파봉기(20)가 구비되되; 상기 파봉기(20)는 상하로 개방된 바디(21)와; 상기 바디(21) 내에 나란하게 배치되되, 각각의 외주면에 선단이 첨예한 삼각형상의 파봉날(24,25)이 다수개 형성된 원통형의 제1 파봉드럼(22) 및 제2 파봉드럼(23)과; 상기 각 파봉드럼(22,23)을 개별적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상기 바디(21)의 일측에 결합된 제1 구동모터(26) 및 제2 구동모터(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각 파봉드럼(22,23)은 상기 각 구동모터(26,27)에 의해 상호 회전수를 달리하여 구동되되, 상기 제1 파봉드럼(22)은 제2 파봉드럼(23)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회전되는 박스처리 파봉기가 구비된 압축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박스처리 파봉기가 구비된 압축장치{Compressing apparatus with a box treatment unit}
본 발명은 박스처리 파봉기가 구비된 압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퍼로 투입되는 빈 박스의 적체현상을 해소하여 장치의 원활한 압축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된 박스처리 파봉기가 구비된 압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빈 종이박스와 같은 재활용품을 압축하는 장치는 박스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이 상하방향으로 작동되는 수직형 압축장치와 가압수단이 수평방향으로 작동되는 수평형 압축장치로 대별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수평형 압축장치의 일례를 도시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수평형 압축장치는 압축실이 형성된 본체(11) 내에 수평방향으로 작동되는 가압판과 이를 구동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압축수단이 내장되고, 상기 압축실의 상부측에 빈 종이박스를 투입하도록 된 호퍼(12)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11)의 하부에는 상기 압축수단에 의해 압축된 박스더미(B)가 이동되도록 다이(15)가 형성되고, 본체(11)의 일측에는 박스더미(B)를 배출 가능하도록 배출구(1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호퍼(12)는 투입구(13)에 비해 배출구(14)가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는 역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종래에는 전술된 바와 같은 호퍼(12)의 형상으로 인해 다수의 빈 박스가 호퍼(12)의 배출구(14) 측에 적체될 우려가 클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그 하부에 위치된 압축실로 박스의 투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호퍼(12) 자체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여 상기 배출구(14)의 규격을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는 경우에 장치의 전체적인 크기 또는 상기 호퍼(12)의 크기가 커짐에 따른 컴팩트한 구성을 실현하는 데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협소한 설치장소에 용이하게 사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제20-0417645호) 2006. 05. 24.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호퍼로 투입되는 빈 박스를 용이하게 파쇄 낙하시키도록 된 장치를 제공하고, 이에 의해 박스의 적체현상을 해소하여 장치의 원활한 압축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된 박스처리 파봉기가 구비된 압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압축실 내에 가압수단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실 내로 빈 종이박스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되, 빈 종이박스가 투입되는 투입구(13)와 이 투입구(13)에 비해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압축실에 연통되는 배출구(16)가 형성된 호퍼(12)를 포함하는 압축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퍼(12)의 배출구(14) 측에 위치되어 빈 종이박스를 일부 훼손시켜 상기 압축실로 유도하도록 된 파봉기(20)가 구비되되;
상기 파봉기(20)는 상하로 개방된 바디(21)와;
상기 바디(21) 내에 나란하게 배치되되, 각각의 외주면에 선단이 첨예한 삼각형상의 파봉날(24,25)이 다수개 형성된 원통형의 제1 파봉드럼(22) 및 제2 파봉드럼(23)과;
상기 각 파봉드럼(22,23)을 개별적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상기 바디(21)의 일측에 결합된 제1 구동모터(26) 및 제2 구동모터(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각 파봉드럼(22,23)은 상기 각 구동모터(26,27)에 의해 상호 회전수를 달리하여 구동되되, 상기 제1 파봉드럼(22)은 제2 파봉드럼(23)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처리 파봉기가 구비된 압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파봉날(24,25)은 상기 각 파봉드럼(22,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제1 파봉날(24)과 제2 파봉날(2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파봉날(24)은 상기 제2 파봉날(25)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2 파봉날(25)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처리 파봉기가 구비된 압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각 파봉드럼(23,24)은 정회전에 의해 빈 종이박스를 상기 압축실로 공급하거나 또는 역회전에 의해 빈 종이박스를 상기 호퍼(12) 내에 머물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처리 파봉기가 구비된 압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바디(21)에는 내부의 양측벽에 상기 각 파봉드럼(22,23)의 외주면 곡률에 대응된 오목면(29)이 형성된 가이드편(28)이 구비되고;
이 가이드편(28)은 상기 각 파봉날(24,25)이 통과되도록 다수개가 간격을 두고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처리 파봉기가 구비된 압축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호퍼(12)의 배출구(16) 측에 빈 종이박스를 일부 훼손시켜 압축실로 유도하도록 된 파봉기(20)가 구비됨으로써, 호퍼(12)의 배출구(16)에서 박스가 적체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에 의한 원활한 압축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수작업 등에 의해 적체된 박스를 정리하여 압축실로 투하시키는 별도의 작업이 불필요하여 작업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봉날(24,25)이 형성된 각 파봉드럼(22,23)을 구동모터(26,27)에 의해 상호 회전수를 달리하여 회전 구동됨으로써, 상기 파봉드럼(22,23)의 회전력에 의해 박스가 일부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속도차에 따른 각 파봉드럼(22,23)에 의해 박스를 용이하게 통과시켜 압축실로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속도가 빠른 제1 파봉드럼(22)에 구비되는 제1 파봉날(24)의 개수가 회전속도가 느린 제2 파봉드럼(23)의 제2 파봉날(25)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파봉드럼(23)의 제2 파봉날(25)에 의해 유도되는 박스를 제1 파봉날(24)에 의해 신속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낙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파봉드럼(23,24)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압축실 내의 공간이 여유가 있을 때에는 정회전 작동에 의해 압축실 내로 박스를 용이하게 배출하고, 상기 압축실 내에 박스가 가득찬 경우에는 역회전 작동에 의해 박스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중단함으로 인해 장치의 고장이나 부하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파봉드럼(22,23)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오목면(29)이 형성된 가이드편(28)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파봉드럼(22,23)에 의해 낙하되는 박스가 회전력에 의해 바디(21)와 파봉드럼(22,23) 사이에 끼이거나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압축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압축실 내에 가압수단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본체(21)의 상부에 빈 종이박스를 투입하도록 된 호퍼(12)가 구비되는데, 이 호퍼(12)는 대략 역삼각형 형태로 구비되어 상부측에 빈 종이박스를 투입하는 투입구(13)가 형성되고, 하부측에 박스가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11)의 압축실에 연통되는 배출구(16)가 형성된 것으로, 이는 종래에 유사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호퍼(12)의 배출구(14) 측에 위치되어 빈 종이박스를 일부 훼손시켜 상기 압축실로 유도하도록 된 파봉기(20)가 구비되는데, 이를 도 3 내지 도 5를 더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파봉기(20)는 상하로 개방된 바디(21)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11) 상에 결합되도록 상기 호퍼(12)의 배출구(14) 측에 결합되고, 상기 바디(21) 내에는 원통형으로 구비된 제1 파봉드럼(22)과 제2 파봉드럼(23)이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바디(21)의 일측 외부에는 상기 각 파봉드럼(22,23)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모터(26)와 제2 구동모터(27)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각 파봉드럼(22,23)에는 외주면에 선단이 첨예한 삼각형상의 파봉날(24,25)이 다수개 구비되는데, 이 파봉날(24,25)은 상기 각 파봉드럼(22,23)의 외주면 둘레로 동일 단면상에 원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파봉드럼(22,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배치되는 제1 파봉날(24) 및 제2 파봉날(25)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파봉날(24,25)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봉드럼(22,23)에 구비되는 제1 파봉날(24)은 상기 제2 파봉드럼(23)에 구비되는 제2 파봉날(25)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수가 많을 뿐만 아니라 배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을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파봉날(24,25)은 선단이 첨예한 삼각형상으로 구비됨에 따라 빈 종이박스를 관통하여 하부로 끌어 내리는 데에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각 파봉드럼(22,23)을 각 구동모터(26,27)에 의해 개별적으로 회전 구동하는 것은 각 파봉드럼(22,23)이 상호 회전수를 달리하여 구동됨으로 인해 박스를 하부의 압축실로 용이하게 공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파봉드럼(22)은 제2 파봉드럼(23)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회전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이는 상기 각 파봉드럼(22,23)이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 구동될 때에 파봉드럼(22,23)이 둘 다 회전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회전력에 의해 빈 종이박스가 튕겨져 나갈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파봉드럼(22,23)이 둘 다 회전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박스를 끌어 내리는 힘이 약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회전속도가 느린 제2 파봉드럼(23)에 의해 박스를 유도하여 회전속도가 빠른 제1 파봉드럼(22)에 의해 신속하게 박스를 압축실로 낙하시킬 수 있으며, 이때에 상기 제1 파봉드럼(22)의 제1 파봉날(24)은 제2 파봉날(25)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로 구비됨에 따라 박스를 더 효과적으로 끌어 내림과 동시에 박스가 훼손되거나 파쇄되는 입자의 크기 등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디(21)의 내부 양측벽에 상기 각 파봉드럼(22,23)의 외주면 곡률에 대응된 오목면(29)이 형성된 가이드편(28)이 구비되는데, 이 가이드편(28)은 상기 각 파봉날(24,25)이 통과되도록 다수개가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것으로, 이는 상기 파봉드럼(22,23)에 의해 낙하되는 박스가 회전력에 의해 바디(21)와 파봉드럼(22,23) 사이에 끼이거나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작동시에는 상기 제1 파봉드럼(22)와 제2 파봉드럼(23)이 각각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정회전됨으로 인해 각 파봉드럼(22,23) 사이로 박스를 끌어 들임으로 인해 박스를 압축실로 공급하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실 내에 박스가 가득찬 경우와 같은 대기시간에는 상기 제1 파봉드럼(22)과 제2 파봉드럼(23)이 각각 반시계방향과 시계방향으로 역회전되면서 상기 호퍼(12) 내에 있는 박스가 압축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때에 상기 가이드편(28)에 의해 상기 호퍼(12) 내의 박스가 역회전에 의해 본체(21)와의 틈새로 끼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각 파봉드럼(22,23)의 정/역회전 동작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컨트롤패널(17)에 연결되는 로드센서나 타이머 등에 의해 상기 각 구동모터(26,27)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상시에 상기 타이머에 의해 정회전과 역회전 작동을 반복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압축실의 내부가 가득찬 경우에 상기 파봉드럼(22,23)에 작용하는 부하를 로드센서에 의해 감지하여 파봉드럼(22,23)을 일시적으로 역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4)

  1. 압축실 내에 가압수단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실 내로 빈 종이박스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되, 빈 종이박스가 투입되는 투입구(13)와 이 투입구(13)에 비해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압축실에 연통되는 배출구(16)가 형성된 호퍼(12)를 포함하는 압축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퍼(12)의 배출구(14) 측에 위치되어 빈 종이박스를 일부 훼손시켜 상기 압축실로 유도하도록 된 파봉기(20)가 구비되되;
    상기 파봉기(20)는 상하로 개방된 바디(21)와;
    상기 바디(21) 내에 나란하게 배치되되, 각각의 외주면에 선단이 첨예한 삼각형상의 날로 이루어진 파봉날(24,25)이 다수개 형성된 원통형의 제1 파봉드럼(22) 및 제2 파봉드럼(23)과;
    상기 각 파봉드럼(22,23)을 개별적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상기 바디(21)의 일측에 결합된 제1 구동모터(26) 및 제2 구동모터(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각 파봉드럼(22,23)은 상기 각 구동모터(26,27)에 의해 상호 회전수를 달리하여 구동되되, 상기 제1 파봉드럼(22)은 제2 파봉드럼(23)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파봉날(24,25)은 상기 제1 파봉드럼(22)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구비되는 제1 파봉날(24)과, 상기 제2 파봉드럼(23) 상에 길이방향으로 따라 다수로 구비되는 제2 파봉날(2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파봉날(24)은 상기 제1 파봉드럼(22)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개수가 상기 제2 파봉드럼(23)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배열된 상기 제2 파봉날(25)의 개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처리 파봉기가 구비된 압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파봉드럼(23,24)은 정회전에 의해 빈 종이박스를 상기 압축실로 공급하거나 또는 역회전에 의해 빈 종이박스를 상기 호퍼(12) 내에 머물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처리 파봉기가 구비된 압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21)에는 내부의 양측벽에 상기 각 파봉드럼(22,23)의 외주면 곡률에 대응된 오목면(29)이 형성된 가이드편(28)이 구비되고;
    이 가이드편(28)은 상기 각 파봉날(24,25)이 통과되도록 다수개가 간격을 두고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처리 파봉기가 구비된 압축장치.
KR1020120024536A 2012-03-09 2012-03-09 박스처리 파봉기가 구비된 압축장치 KR101317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536A KR101317287B1 (ko) 2012-03-09 2012-03-09 박스처리 파봉기가 구비된 압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536A KR101317287B1 (ko) 2012-03-09 2012-03-09 박스처리 파봉기가 구비된 압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138A KR20130103138A (ko) 2013-09-23
KR101317287B1 true KR101317287B1 (ko) 2013-10-10

Family

ID=49452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536A KR101317287B1 (ko) 2012-03-09 2012-03-09 박스처리 파봉기가 구비된 압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72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7684A (ko) 2020-05-11 2021-11-18 광림 컴팩 주식회사 컨테이너 직결형 폐기물 처리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379A (ja) * 1997-07-08 1999-02-02 Fuji Seiki Mach Works Ltd ダンボール箱入り書類等を細断する装置
JP2002263513A (ja) * 2001-03-09 2002-09-17 Shigumaa Giken Kk 紙片類圧縮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文書細断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379A (ja) * 1997-07-08 1999-02-02 Fuji Seiki Mach Works Ltd ダンボール箱入り書類等を細断する装置
JP2002263513A (ja) * 2001-03-09 2002-09-17 Shigumaa Giken Kk 紙片類圧縮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文書細断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7684A (ko) 2020-05-11 2021-11-18 광림 컴팩 주식회사 컨테이너 직결형 폐기물 처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138A (ko) 201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6793B2 (en) Waste sorting device having an improved rotary screen
KR102482717B1 (ko) 폐기물 관리 및 재생 시스템
CN205392695U (zh) 一种饲料用破碎机
CN205518148U (zh) 一种生物医药生产用高效粉碎机
CN207169912U (zh) 会计用碎纸机
CN103566796A (zh) 一种碎料机
KR101317287B1 (ko) 박스처리 파봉기가 구비된 압축장치
CN109590093B (zh) 一种绞肉机
CN105970363A (zh) 一种精清棉机
CN106417550A (zh) 一种工业化肉类切割粉碎设备
JP5424378B2 (ja) 破袋機
CN106824439A (zh) 一种循环式塑料粉碎机
CN203198216U (zh) 一种具有强制下料装置的料斗
CN207275062U (zh) 一种挂面整齐装置
CN206604593U (zh) 废纸收集装置
CN104943025A (zh) 塑料垃圾撕碎机
CN206525529U (zh) 一种果味米馃压粉装置
CN204685500U (zh) 一种芝麻祛壳装置
CN105691780B (zh) 用于打包织物、柔性纤维的切碎设备及切碎方法
CN204448189U (zh) 一种改进型轮胎破碎机
CN210705527U (zh) 一种废弃塑料编织袋粉碎装置
CN207483928U (zh) 一种松棉机
CN206926034U (zh) 一种竹木材料加工机械
CN206064561U (zh) 一种食品加工用齿柱式碾压机构
CN205328070U (zh) 一种甜玉米物料上料加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