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209B1 - 투모터 호이스트 크레인 - Google Patents

투모터 호이스트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209B1
KR101317209B1 KR1020120011751A KR20120011751A KR101317209B1 KR 101317209 B1 KR101317209 B1 KR 101317209B1 KR 1020120011751 A KR1020120011751 A KR 1020120011751A KR 20120011751 A KR20120011751 A KR 20120011751A KR 101317209 B1 KR101317209 B1 KR 101317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output shaft
traveling
motor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0537A (ko
Inventor
조덕래
이정훈
Original Assignee
한국고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고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고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1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7209B1/ko
Publication of KR20130090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6Rope, cable, or chain drives for trolleys; Combinations of such drives with hoisting gear
    • B66C11/20Arrangements, e.g. comprising differential gears, enabling simultaneous or selective operation of travelling and hoisting gear; Arrangements using the same rope or cable for both travelling and hoisting, e.g. in Temperley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모터 호이스트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주행모터, 횡행모터, 권상모터에는, 제1브레이크가 설치되고 제1모터축이 구비된 제1모터와, 제2브레이크가 설치되고 제2모터축이 구비된 제2모터가 구비되고; 제1모터축 및 제2모터축은 하나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있으며; 평상시에는 제1모터의 회전동력이 출력축에 전달되고 제2모터는 정지된 상태에 있다가, 제1모터에 고장이 발생되면 제1모터는 정지되고 제2모터가 구동되어서 제2모터축의 회전동력이 출력축에 전달되도록, 제1모터축, 제2모터축, 출력축에는 동력전달부가 연결된다.
따라서, 주행모터, 횡행모터, 권상모터에 각각 구비된 제1모터, 제2모터 중 제1모터에 고장이 발생되어서 정지되어도 제2모터가 구동되어서 출력축을 회전시키므로 크레인의 주행, 횡행, 권상 구동을 계속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투모터 호이스트 크레인은 유지 보수가 어려운 폐기물 운반작업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Description

투모터 호이스트 크레인{two motor hoist crane}
본 발명은 투모터 호이스트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주행모터, 횡행모터, 권상모터 중 어느 하나의 모터에 고장이 발생되어도 계속 사용할 수 있고, 원격 조종으로 주행모터를 크레인의 거더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착탈시킬 수 있는 투모터 호이스트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크레인(crane)은 동력을 사용하여 중량물을 달아 올려 수평으로 운반하는 기계나 기계장치를 말하고, 중량물을 들어올리고 내리는 권상, 권하 동작과 들어올린 중량물을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주행, 횡행, 선회 등의 동작을 하며, 이러한 동작이 서로 조합되어 3차원 공간에서 중량물을 취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크레인에는 한쌍의 주행레일과, 이 주행레일 상에 설치되어 이를 따라 이송되는 거더와, 이 거더에 설치되어서 이를 따라 이송되는 호이스트가 구비된다.
거더의 양단에는 주행레일에 안착되도록 주행휠이 설치되어 있고, 이 주행휠에는 주행모터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주행모터가 구동되면 주행휠이 회전되면서 거더를 주행레일을 따라 이송시킨다.
거더에 설치된 호이스트는 호이스트 전체를 거더에 지지하는 호이스트프레임과, 이 호이스트프레임에 설치되고 거더에 안착되어서 거더를 따라 호이스트프레임을 이송시키는 횡행모터와, 이 호이스트프레임에 회전되도록 설치되어서 와이어로프가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드럼과, 이 와이어드럼에 연결되어서 이를 구동시키는 권상모터와, 와이어로프의 하단에 연결되고 와이어로프가 와이어드럼에 감기거나 풀릴시 이를 따라 승강되는 후크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일반적인 크레인에 중량물을 매달려면 먼저 주행모터를 구동시켜서 거더를 인양물의 X축 또는 Y축 상으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횡행모터를 구동시켜서 거더에 설치된 호이스트를 중량물의 Y축 또는 X축 상으로 이송시킨다. 이와같이 하여 중량물과 호이스트의 X좌표 및 Y좌표를 일치시킨다. 마지막으로 호이스트의 권상모터를 구동시켜서 후크를 하측으로 내리고 이를 중량물에 메달아서 중량물을 이송시킬 준비를 완료한다. 이러한 중량물은 상술한 작동 순서의 역으로 지정된 장소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호이스트 크레인에는 3개의 모터가 설치되는 바, 거더의 양단에 설치되어서 거더가 주행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주행모터와, 호이스트프레임에 설치되어서 호이스트가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횡행되도록 하는 횡행모터와, 와이어드럼에 설치되어서 후크를 승강시키는 권상모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호이스트 크레인은 주행모터, 횡행모터, 권상모터 중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될 시, 작업자가 직접 크레인의 상부에 올라가서 해당 모터를 수리하거나 교체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호이스트 크레인이 작업자가 접근할 수 없는 장소에 설치된 경우, 예를 들어 호이스트 크레인이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운반하는 장소에 설치된 경우, 작업자는 밀폐된 폐기물 처리공간 밖에서 원격 조종으로 호이스트 크레인의 주행모터, 횡행모터, 권상모터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접근 불가능한 특수한 장소에 설치된 호이스트 크레인은 보통 수십년 동안 작업자의 접근 없이도 원격 조종하여 사용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나, 예기치 않은 상황으로 인해 주행모터, 횡행모터, 권상모터 중 어느 하나의 모터에 고장이 발생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작업자가 쉽게 접근하여 수리할 수 없기 때문에 호이스트 크레인은 그대로 폐기되거나, 매우 복잡하고 위험한 작업을 통해서 수리되기도 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투모터 호이스트 크레인은, 주행모터, 횡행모터, 권상모터 중 어느 하나의 모터에 고장이 발생되어도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투모터 호이스트 크레인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격 조종으로 주행모터를 크레인의 거더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한 투모터 호이스트 크레인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투모터 호이스트 크레인은, 한쌍의 주행레일과, 양단이 주행레일의 상부에 안착되고 주행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거더와, 거더에 설치되어서 거더를 주행레일을 따라 주행시키는 주행모터와, 거더에 안착되어서 거더를 따라 횡행하도록 횡행모터가 설치되고 폐기물을 훅에 걸어서 승강시키도록 권상모터가 설치된 호이스트로 이루어진 크레인에 있어서, 주행모터, 횡행모터, 권상모터에는, 제1브레이크가 설치되고 제1모터축이 구비된 제1모터와, 제2브레이크가 설치되고 제2모터축이 구비된 제2모터가 구비되고; 제1모터축 및 제2모터축은 하나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있으며; 평상시에는 제1모터의 회전동력이 출력축에 전달되고 제2모터는 정지된 상태에 있다가, 제1모터에 고장이 발생되면 제1모터는 정지되고 제2모터가 구동되어서 제2모터축의 회전동력이 출력축에 전달되도록, 제1모터축, 제2모터축, 출력축에는 동력전달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투모터 호이스트 크레인의 다른 특징은, 동력전달부는, 제1모터의 제1모터축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는 선기어와, 선기어의 둘레에 치합되는 유성기어들과, 유성기어들에 치합되어 있는 링기어와, 일측이 유성기어들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출력축에 고정되어서 유성기어의 구동시 연동되면서 출력축을 회전시키는 캐리어와, 제2모터의 제2모터축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고 링기어에 치합되어서 제2모터축의 회전시 링기어를 회전시키고 제2모터축이 정지된 상태이면 링기어를 고정시키는 제2선기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투모터 호이스트 크레인의 또 다른 특징은, 동력전달부의 둘레에는, 동력전달부의 둘레를 감싸고 출력축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케이스가 설치되되, 이 케이스는, 제1모터 및 제2모터에 고정되어 있는 모터결합판과, 일측이 모터결합판에 결합되어 있고 동력전달부를 감싸는 측판과, 측판의 타측에 결합되어 있고 출력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출력축지지판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투모터 호이스트 크레인의 또 다른 특징은, 주행모터의 출력축에는, 출력축의 회전동력을 주행휠에 전달하도록 기어박스가 결합되어 있고, 이 기어박스의 일측에는 기어박스가 케이스에 결합되도록 세팅구멍이 형성된 고정판이 구비되어 있으며, 케이스의 출력축지지판에는 주행모터를 기어박스의 고정판에 안착시키면 주행모터와 기어박스가 결합되고 주행모터를 들어 올리면 기어박스로부터 분리되도록 착탈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투모터 호이스트 크레인의 또 다른 특징은, 착탈부는, 케이스의 출력축지지판에 고정되는 결합판과, 상단이 결합판에 고정되어 있고 하단이 고정판의 세팅구멍에 착탈되는 콘과, 기어박스의 고정판에 결합되어 있고 착탈부의 결합판이 착탈되는 마그네트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주행모터, 횡행모터, 권상모터에는, 각각 제1모터 및 제2모터가 설치되어 있고, 제1모터 및 제2모터는 하나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1모터 및 제2모터는 동력전달부에 의해 출력축에 연결되어 있다. 이 동력전달부는, 평상시에 제1모터의 회전동력이 출력축에 전달되고 제2모터는 정지된 상태에 있다가, 제1모터에 고장이 발생되면 제1모터는 정지되고 제2모터가 구동되어서 제2모터의 회전동력이 출력축에 전달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주행모터, 횡행모터, 권상모터에 각각 구비된 제1모터, 제2모터 중 제1모터에 고장이 발생되어서 정지되어도 제2모터가 구동되어서 출력축을 회전시키므로 크레인의 주행, 횡행, 권상 구동을 계속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투모터 호이스트 크레인은 유지 보수가 어려운 폐기물 운반작업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투모터 호이스트 크레인은, 기어박스의 고정판에 착탈부의 마그네트가 구비되어 있고 세팅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의 출력축지지판에는 콘이 구비된 결합판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주행모터의 제1모터 및 제2모터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콘들이 세팅구멍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주행모터가 기어박스로부터 분리되고, 콘들을 세팅구멍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내리면 콘들이 세팅구멍에 세팅되면서 결합판이 마그네트에 부착되고 출력축이 기어박스의 연결축에 결합되면서 주행모터가 기어박스에 결합된다. 그러므로 주행모터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으로 주행모터의 출력축을 거더에 설치된 주행휠에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주행모터를 거더에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투모터 호이스트 크레인을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행모터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
도 3은 주행모터의 부분 분리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호이스트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
도 5는 도 4의 개략적 평면도
도 6은 횡행모터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
도 7은 횡행모터의 제1모터가 고장시 제2모터가 구동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
도 8은 권상모터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투모터 호이스트 크레인을 보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주행모터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3은 주행모터의 부분 분리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호이스트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개략적 평면도이며, 도 6은 횡행모터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7은 횡행모터의 제1모터가 고장시 제2모터가 구동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8은 권상모터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투모터 호이스트 크레인은, 한쌍의 주행레일(10)과, 양단이 주행레일(10)의 상부에 안착되고 주행레일(10)을 따라 주행하는 거더(20)와, 거더(20)에 설치되어서 거더(20)를 주행레일(10)을 따라 주행시키는 주행모터(100)와, 거더(20)에 안착되어서 거더(20)를 따라 횡행하도록 횡행모터(200)가 설치되고 폐기물을 훅에 걸어서 승강시키도록 권상모터(300)가 설치된 호이스트(30)로 이루어진다.
거더(20)에는 주행휠(21)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주행휠(21)이 주행레일(10)에 안착되어서 거더(20)를 주행레일(10)을 따라 주행시키게 된다.
또한 거더(20)에는 후술할 주행모터(100)의 동력을 주행휠(21)에 전달하도록 기어박스(1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어박스(150)에는 주행모터(100)의 회전동력이 전달되도록 연결축(152)이 구비되어 있고, 연결축(152)의 회전동력이 주행휠(21)에 전달되도록 주행축(151)이 구비되어 있으며, 연결축(152)과 주행축(151)에는 연결축(152)에 전달된 회전동력이 주행축(151)에 전달되도록 동력전달기어(미도시)들이 내장되어 있다. 기어박스(150)의 상부면에는 주행모터(100)가 착탈되도록 세팅구멍(154)이 형성된 고정판(153)이 구비되어 있다.
주행모터(100)에는, 제1브레이크(111)가 설치되고 제1모터축(112)이 구비된 제1모터(110)와, 제2브레이크(121)가 설치되고 제2모터축(122)이 구비된 제2모터(120)가 구비된다. 제1모터축(112) 및 제2모터축(122)은 하나의 출력축(130)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주행모터(100)는 평상시에는 제1모터(110)의 회전동력이 출력축(130)에 전달되고 제2모터(120)는 정지된 상태에 있다가, 제1모터(110)에 고장이 발생되면 제1모터(110)는 정지되고 제2모터(120)가 구동되어서 제2모터축(122)의 회전동력이 출력축(130)에 전달되도록, 제1모터축(112), 제2모터축(122), 출력축(130)에는 동력전달부(140)가 연결된다.
동력전달부(140)는, 제1모터(110)의 제1모터축(112)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는 선기어(145)와, 선기어(145)의 둘레에 치합되는 유성기어(146)들과, 유성기어(146)들에 치합되어 있는 링기어(147)와, 일측이 유성기어(146)들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출력축(130)에 고정되어서 유성기어(146)의 구동시 연동되면서 출력축(130)을 회전시키는 캐리어(148)와, 제2모터(120)의 제2모터축(122)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고 링기어(147)에 치합되어서 제2모터축(122)의 회전시 링기어(147)를 회전시키고 제2모터축(122)이 정지된 상태이면 링기어(147)를 고정시키는 제2선기어(149)로 이루어진다.
동력전달부(140)의 둘레에는, 동력전달부(140)의 둘레를 감싸고 출력축(130)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케이스(141)가 설치된다. 이 케이스(141)는, 제1모터(110) 및 제2모터(120)에 고정되어 있는 모터결합판(142)과, 일측이 모터결합판(142)에 결합되어 있고 동력전달부(140)를 감싸는 측판(144)과, 측판(144)의 타측에 결합되어 있고 출력축(130)의 회전을 지지하는 출력축지지판(143)으로 이루어진다.
주행모터(100)에는, 출력축(130)의 회전동력을 주행휠(21)에 전달하도록 기어박스(150)가 결합되어 있고, 주행모터(100)의 출력축(130)에 기어박스(150)의 연결축(152)이 착탈된다.
한편, 케이스(141)의 출력축지지판(143)에는 주행모터(100)를 기어박스(150)의 고정판(153)에 안착시키면 주행모터(100)와 기어박스(150)가 결합되고 주행모터(100)를 들어 올리면 기어박스(150)로부터 분리되도록 착탈부(160)가 구비된다.
이 착탈부(160)는, 케이스(141)의 출력축지지판(143)에 고정되는 결합판(161)과, 상단이 결합판(161)에 고정되어 있고 하단이 고정판(153)의 세팅구멍(154)에 착탈되는 콘(162)과, 기어박스(150)의 고정판(153)에 결합되어 있고 착탈부(160)의 결합판(161)이 착탈되는 마그네트(16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주행모터(100)의 제1모터(110) 및 제2모터(120)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콘(162)들이 세팅구멍(154)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주행모터(100)가 기어박스(150)로부터 분리되고, 콘(162)들을 세팅구멍(154)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내리면 콘(162)들이 세팅구멍(154)에 세팅되면서 결합판(161)이 마그네트(163)에 부착되고 출력축(130)이 기어박스(150)의 연결축(152)에 결합되면서 주행모터(100)가 기어박스(150)에 결합된다.
주행모터(100)에는 주행모터(100)를 걸어서 들어올릴 수 있도록 고리(미도시)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서 주행모터(100)의 고리에 장비의 훅을 연결하여서 주행모터(100)를 들어올리거나 기어박스(150)의 고정판(153)에 안착시킬 수 있다.
호이스트(30)는, 다수의 부품들이 설치되고 거더(20)의 상부에 슬라이드되도록 안착되는 메인프레임(31)과, 메인프레임(31)에 설치되고 거더(20)에 안착되어서 거더(20)를 따라 횡행하는 횡행휠(32)과, 횡행휠(32)에 연결되어서 횡행휠(32)을 회전시키는 횡행모터(200)와, 메인프레임에 설치되고 와이어로프가 권취되는 권취드럼(33)과, 권취드럼(33)에 연결되어서 권취드럼(33)을 회전시키는 권상모터(300)와, 와이어로프(36)에 연결되어서 와이어로프(36)를 따라 승강되는 로드블록(34)과, 로드블록(34)에 연결되는 훅(35)으로 이루어진다.
횡행모터(200)는 주행모터(10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제1브레이크(211)가 설치되고 제1모터축(212)이 구비된 제1모터(210)와, 제2브레이크(221)가 설치되고 제2모터축(222)이 구비된 제2모터(220)가 구비된다. 제1모터축(212) 및 제2모터축(222)은 하나의 출력축(230)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횡행모터(200)는, 평상시에 제1모터(210)의 회전동력이 출력축(230)에 전달되고 제2모터(220)는 정지된 상태에 있다가, 제1모터(210)에 고장이 발생되면 제1모터(210)는 정지되고 제2모터(220)가 구동되어서 제2모터축(222)의 회전동력이 출력축(230)에 전달되도록, 제1모터축(212), 제2모터축(222), 출력축(230)에는 동력전달부(240)가 연결된다.
이 동력전달부(240)는, 제1모터(210)의 제1모터축(212)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는 선기어(245)와, 선기어(245)의 둘레에 치합되는 유성기어(246)들과, 유성기어(246)들에 치합되어 있는 링기어(247)와, 일측이 유성기어(246)들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출력축(230)에 고정되어서 유성기어(246)의 구동시 연동되면서 출력축(230)을 회전시키는 캐리어(248)와, 제2모터(220)의 제2모터축(222)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고 링기어(247)에 치합되어서 제2모터축(222)의 회전시 링기어(247)를 회전시키고 제2모터축(222)이 정지된 상태이면 링기어(247)를 고정시키는 제2선기어(249)로 이루어진다.
동력전달부(240)의 둘레에는, 동력전달부(240)의 둘레를 감싸고 출력축(230)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케이스(24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케이스(241)는, 제1모터(210) 및 제2모터(220)에 고정되어 있는 모터결합판(242)과, 일측이 모터결합판(242)에 결합되어 있고 동력전달부(240)를 감싸는 측판(244)과, 측판(244)의 타측에 결합되어 있고 출력축(230)의 회전을 지지하는 출력축지지판(243)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호이스트(30)의 횡행모터(200)는, 평상시에 제1모터(210)의 회전동력이 출력축(230)에 전달되고 제2모터(220)는 정지된 상태에 있다가, 제1모터(210)에 고장이 발생되면 제1모터(210)는 정지되고 제2모터(220)가 구동되어서 제2모터(220)의 회전동력이 출력축(230)에 전달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횡행모터(200)에 각각 구비된 제1모터(210), 제2모터(220) 중 제1모터(210)에 고장이 발생되어서 정지되어도 제2모터(220)가 구동되어서 출력축(230)을 회전시키므로 크레인의 횡행 구동을 계속할 수 있다.
권상모터(300)는, 주행모터(10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제1브레이크(311)가 설치되고 제1모터축(312)이 구비된 제1모터(310)와, 제2브레이크(321)가 설치되고 제2모터축(322)이 구비된 제2모터(320)가 구비된다. 제1모터축(312) 및 제2모터축(322)은 하나의 출력축(330)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권상모터(300)는, 평상시에 제1모터(310)의 회전동력이 출력축(330)에 전달되고 제2모터(320)는 정지된 상태에 있다가, 제1모터(310)에 고장이 발생되면 제1모터(310)는 정지되고 제2모터(320)가 구동되어서 제2모터축(322)의 회전동력이 출력축(330)에 전달되도록, 제1모터축(312), 제2모터축(322), 출력축(330)에는 동력전달부(340)가 연결된다.
이 동력전달부(340)는, 제1모터(310)의 제1모터축(312)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는 선기어(345)와, 선기어(345)의 둘레에 치합되는 유성기어(346)들과, 유성기어(346)들에 치합되어 있는 링기어(347)와, 일측이 유성기어(346)들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출력축(330)에 고정되어서 유성기어(346)의 구동시 연동되면서 출력축(330)을 회전시키는 캐리어(348)와, 제2모터(320)의 제2모터축(322)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고 링기어(347)에 치합되어서 제2모터축(322)의 회전시 링기어(347)를 회전시키고 제2모터축(322)이 정지된 상태이면 링기어(347)를 고정시키는 제2선기어(349)로 이루어진다.
동력전달부(340)의 둘레에는, 동력전달부(340)의 둘레를 감싸고 출력축(330)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케이스(34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케이스(341)는, 제1모터(310) 및 제2모터(320)에 고정되어 있는 모터결합판(342)과, 일측이 모터결합판(342)에 결합되어 있고 동력전달부(340)를 감싸는 측판(344)과, 측판(344)의 타측에 결합되어 있고 출력축(330)의 회전을 지지하는 출력축지지판(343)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호이스트(30)의 권상모터(300)는, 평상시에 제1모터(310)의 회전동력이 출력축(330)에 전달되고 제2모터(320)는 정지된 상태에 있다가, 제1모터(310)에 고장이 발생되면 제1모터(310)는 정지되고 제2모터(320)가 구동되어서 제2모터(320)의 회전동력이 출력축(330)에 전달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권상모터(300)에 각각 구비된 제1모터(310), 제2모터(320) 중 제1모터(310)에 고장이 발생되어서 정지되어도 제2모터(320)가 구동되어서 출력축(330)을 회전시키므로 크레인의 권상 구동을 계속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투모터 호이스트 크레인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주행모터(100), 횡행모터(200), 권상모터(300)에는, 각각 제1모터(110)(210)(310) 및 제2모터(120)(220)(320)가 설치되어 있고, 제1모터(110)(210)(310) 및 제2모터(120)(220)(320)는 하나의 출력축(130)(230)(330)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1모터(110)(210)(310) 및 제2모터(120)(220)(320)는 동력전달부(140)(240)(340)에 의해 출력축(130)(230)(330)에 연결되어 있다.
이 동력전달부(140)(240)(340)는, 평상시에 제1모터(110)(210)(310)의 회전동력이 출력축(130)(230)(330)에 전달되고 제2모터(120)(220)(320)는 정지된 상태에 있다가, 제1모터(110)(210)(310)에 고장이 발생되면 제1모터(110)(210)(310)는 정지되고 제2모터(120)(220)(320)가 구동되어서 제2모터(120)(220)(320)의 회전동력이 출력축(130)(230)(330)에 전달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주행모터(100), 횡행모터(200), 권상모터(300)에 각각 구비된 제1모터(110)(210)(310), 제2모터(120)(220)(320) 중 제1모터(110)(210)(310)에 고장이 발생되어서 정지되어도 제2모터(120)(220)(320)가 구동되어서 출력축(130)(230)(330)을 회전시키므로 크레인의 주행, 횡행, 권상 구동을 계속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투모터 호이스트 크레인은 유지 보수가 어려운 폐기물 운반작업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투모터 호이스트 크레인은 기어박스(150)의 고정판(153)에 착탈부(160)의 마그네트(163)가 구비되어 있고 세팅구멍(154)이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141)의 출력축지지판(143)에는 콘(162)이 구비된 결합판(161)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주행모터(100)의 제1모터(110) 및 제2모터(120)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콘(162)들이 세팅구멍(154)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주행모터(100)가 기어박스(150)로부터 분리되고, 콘(162)들을 세팅구멍(154)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내리면 콘(162)들이 세팅구멍(154)에 세팅되면서 결합판(161)이 마그네트(163)에 부착되고 출력축(130)이 기어박스(150)의 연결축(152)에 결합되면서 주행모터(100)가 기어박스(150)에 결합된다.
그러므로 주행모터(100)를 상측으로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으로 주행모터(100)의 출력축(130)을 거더(20)에 설치된 주행휠(21)에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주행모터(100)를 거더(20)에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다.
10 : 주행레일 20 : 거더
21 : 주행휠 30 : 호이스트
31 : 메인프레임 32 : 횡행휠
33 : 권취드럼 34 : 로드블록
35 : 훅 36 : 와이어로프
100 : 주행모터 110,210,310 : 제1모터
111,211,311 : 제1브레이크 112,212,312 : 제1모터축
120,220,320 : 제2모터 121,221,321 : 제2브레이크
122,222,322 : 제2모터축 130,230,330 : 출력축
140,240,340 : 동력전달부 141,241,341 : 케이스
142,242,342 : 모터결합판 143,243,343 : 출력축지지판
144,244,344 : 측판 145,245,345 : 선기어
146,246,346 : 유성기어 147,247,347 : 링기어
148,248,348 : 캐리어 149,249,349 : 제2선기어
150 : 기어박스 151 : 주행축
152 : 연결축 153 : 고정판
154 : 세팅구멍 160 : 착탈부
161 : 결합판 162 : 콘
163 : 마그네트 200 : 횡행모터
300 : 권상모터

Claims (5)

  1. 한쌍의 주행레일과, 양단이 주행레일의 상부에 안착되고 주행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거더와, 거더에 설치되어서 거더를 주행레일을 따라 주행시키는 주행모터와, 거더에 안착되어서 거더를 따라 횡행하도록 횡행모터가 설치되고 폐기물을 훅에 걸어서 승강시키도록 권상모터가 설치된 호이스트로 이루어진 크레인에 있어서,
    주행모터(100), 횡행모터(200), 권상모터(300)에는,
    제1브레이크(111)(211)(311)가 설치되고 제1모터축(112)(212)(312)이 구비된 제1모터(110)(210)(310)와, 제2브레이크(121)(221)(321)가 설치되고 제2모터축(122)(222)(322)이 구비된 제2모터(120)(220)(320)가 구비되고;
    제1모터축(112)(212)(312) 및 제2모터축(122)(222)(322)은 하나의 출력축(130)(230)(330)에 연결되어 있으며;
    평상시에는 제1모터(110)(210)(310)의 회전동력이 출력축(130)(230)(330)에 전달되고 제2모터(120)(220)(320)는 정지된 상태에 있다가, 제1모터(110)(210)(310)에 고장이 발생되면 제1모터(110)(210)(310)는 정지되고 제2모터(120)(220)(320)가 구동되어서 제2모터축(122)(222)(322)의 회전동력이 출력축(130)(230)(330)에 전달되도록, 제1모터축(112)(212)(312), 제2모터축(122)(222)(322), 출력축(130)(230)(330)에는 동력전달부(140)(240)(340)가 연결되고;
    동력전달부(140)(240)(340)는,
    제1모터(110)(210)(310)의 제1모터축(112)(212)(312)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는 선기어(145)(245)(345)와, 선기어(145)(245)(345)의 둘레에 치합되는 유성기어(146)(246)(346)들과, 유성기어(146)(246)(346)들에 치합되어 있는 링기어(147)(247)(347)와, 일측이 유성기어(146)(246)(346)들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출력축(130)(230)(330)에 고정되어서 유성기어(146)(246)(346)의 구동시 연동되면서 출력축(130)(230)(330)을 회전시키는 캐리어(148)(248)(348)와, 제2모터(120)(220)(320)의 제2모터축(122)(222)(322)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고 링기어(147)(247)(347)에 치합되어서 제2모터축(122)(222)(322)의 회전시 링기어(147)(247)(347)를 회전시키고 제2모터축(122)(222)(322)이 정지된 상태이면 링기어(147)(247)(347)를 고정시키는 제2선기어(149)(249)(349)로 이루어지며;
    동력전달부(140)(240)(340)의 둘레에는, 동력전달부(140)(240)(340)의 둘레를 감싸고 출력축(130)(230)(330)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케이스(141)(241)(341)가 설치되되,
    이 케이스(141)(241)(341)는, 제1모터(110)(210)(310) 및 제2모터(120)(220)(320)에 고정되어 있는 모터결합판(142)(242)(342)과, 일측이 모터결합판(142)(242)(342)에 결합되어 있고 동력전달부(140)(240)(340)를 감싸는 측판(144)(244)(344)과, 측판(144)(244)(344)의 타측에 결합되어 있고 출력축(130)(230)(330)의 회전을 지지하는 출력축지지판(143)(243)(343)으로 이루어지며;
    주행모터(100)의 출력축(130)에는,
    출력축(130)의 회전동력을 주행휠(21)에 전달하도록 기어박스(150)가 결합되어 있고, 이 기어박스(150)의 일측에는 기어박스(150)가 케이스(141)에 결합되도록 세팅구멍(154)이 형성된 고정판(153)이 구비되어 있으며, 케이스(141)의 출력축지지판(143)에는 주행모터(100)를 기어박스(150)의 고정판(153)에 안착시키면 주행모터(100)와 기어박스(150)가 결합되고 주행모터(100)를 들어 올리면 기어박스(150)로부터 분리되도록 착탈부(160)가 구비되고;
    착탈부(160)는,
    케이스(141)의 출력축지지판(143)에 고정되는 결합판(161)과, 상단이 결합판(161)에 고정되어 있고 하단이 고정판(153)의 세팅구멍(154)에 착탈되는 콘(162)과, 기어박스(150)의 고정판(153)에 결합되어 있고 착탈부(160)의 결합판(161)이 착탈되는 마그네트(16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모터 호이스트 크레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011751A 2012-02-06 2012-02-06 투모터 호이스트 크레인 KR101317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751A KR101317209B1 (ko) 2012-02-06 2012-02-06 투모터 호이스트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751A KR101317209B1 (ko) 2012-02-06 2012-02-06 투모터 호이스트 크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537A KR20130090537A (ko) 2013-08-14
KR101317209B1 true KR101317209B1 (ko) 2013-10-15

Family

ID=49216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751A KR101317209B1 (ko) 2012-02-06 2012-02-06 투모터 호이스트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72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1983A (en) * 1971-09-20 1979-05-01 Stock Equipment Company Crane grab apparatus
KR200388173Y1 (ko) * 2005-03-24 2005-06-30 허정순 호이스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소형 호이스트 크레인
JP2006061877A (ja) * 2004-08-30 2006-03-09 Atom Medical Corp 洗浄装置
KR20070094734A (ko) * 2004-11-25 2007-09-21 엠.아.테.말메디 안트리브스테크니크 게엠베하 부하의 리프팅을 위한 컨테이너 크레인용 리프팅 장치의시스템 어레인지먼트 및 시스템 어레인지먼트 동작을 위한구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1983A (en) * 1971-09-20 1979-05-01 Stock Equipment Company Crane grab apparatus
JP2006061877A (ja) * 2004-08-30 2006-03-09 Atom Medical Corp 洗浄装置
KR20070094734A (ko) * 2004-11-25 2007-09-21 엠.아.테.말메디 안트리브스테크니크 게엠베하 부하의 리프팅을 위한 컨테이너 크레인용 리프팅 장치의시스템 어레인지먼트 및 시스템 어레인지먼트 동작을 위한구동
KR200388173Y1 (ko) * 2005-03-24 2005-06-30 허정순 호이스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소형 호이스트 크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537A (ko) 201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828276U (zh) 一种建筑施工用带有高层滑落保护的吊篮
CN203269442U (zh) 一种电动葫芦起重机辅助吊挂装置
KR100953401B1 (ko) 두 개의 권상모터를 갖는 호이스트
CN104291223A (zh) 支腿可调节吊钩式升降双锁止变电所机电设备安装机构
US1428887A (en) Portable crane
KR101231862B1 (ko) 천장이동장치용 z축 이중화 동력전달장치
CN104291224B (zh) 升降双锁止吊钩式转动型变电所机电设备安装机构
KR20130053486A (ko) 체인 호이스트 승강장치
CN107662885A (zh) 一种行走吊装航车
KR101317209B1 (ko) 투모터 호이스트 크레인
CN105735629A (zh) 建筑附着升降脚手架提升装置
CN202175978U (zh) 车载式清污机
CN114835025A (zh) 载人载物竖井提升机
CN105151999A (zh) 便携式铁芯翻转机构
JP5694095B2 (ja) 天井クレーン
CN107777602A (zh) 一种起重运输机械及其作业方法
CN101863419B (zh) 多用途起重机小车
CN214359835U (zh) 一种钢构件翻转装置
CN206645739U (zh) 一种具有固定功能的起重机
CN211110724U (zh) 一种电缆卷盘吊装运输装置
CN107344698A (zh) 一种特种高空起重机
CN105905804A (zh) 一种控制起重机起升和小车横移的混合差动驱动机构
KR101251948B1 (ko) 액체로켓엔진 회전 장치
CN217708631U (zh) 载人载物竖井提升机
KR102402447B1 (ko) 전동식 호이스트 선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