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061B1 - 회전가능한 개방 및 재밀봉 탭을 갖는 재폐쇄가능한 캔 단부 뚜껑 및 재밀봉가능한 캔 단부 뚜껑이 구비된 음료 캔 - Google Patents

회전가능한 개방 및 재밀봉 탭을 갖는 재폐쇄가능한 캔 단부 뚜껑 및 재밀봉가능한 캔 단부 뚜껑이 구비된 음료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061B1
KR101317061B1 KR1020117002290A KR20117002290A KR101317061B1 KR 101317061 B1 KR101317061 B1 KR 101317061B1 KR 1020117002290 A KR1020117002290 A KR 1020117002290A KR 20117002290 A KR20117002290 A KR 20117002290A KR 101317061 B1 KR101317061 B1 KR 101317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ring
lid plate
cutout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2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6822A (ko
Inventor
안드레 위첼하우스
Original Assignee
이엠파우 이노바시온 마케팅 운트 페어트립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엠파우 이노바시온 마케팅 운트 페어트립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이엠파우 이노바시온 마케팅 운트 페어트립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036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65D17/401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and provided with attached means for reclosing or re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4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ivot tab and push-down tea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31Reclosable openings
    • B65D2517/0032Reclosable openings the tab reclosing the opening
    • B65D2517/0034Reclosable openings the tab reclosing the opening by means of the hand grip alone, e.g. rotating hand grip into ope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47Assembling or joining by applying separate faste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회전가능한 개구와 재밀봉 탭을 갖는 재폐쇄가능한 캔 단부 뚜껑 및 재밀봉가능한 캔 단부 뚜껑이 구비된 음료 캔에 관한 것이며, 뚜껑 판(2)은 탭의 개방 위치에서 개방 탭(20)의 가압부(21)에 의해 뚜껑 판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소정의 절취선(9)에 의해 둘러싸이는 절취부(8)를 구비하고, 따라서 뚜껑 판에는 소정의 절취선(9)의 외부에서 링-벽(22)에 의해 둘러싸이는 개구(10)가 생성된다. 개방 탭(20)의 파지부(22)에는, 개방 탭(20)이 폐쇄 회전 위치로 회전된 후에 링-벽으로 둘러싸인 리세스 내에 끼워지고 그 외주 밀봉 림을 따라서 링-벽(11)의 내면에 밀봉 결합되는 밀봉 부착물(25)이 형성된다.

Description

회전가능한 개방 및 재밀봉 탭을 갖는 재폐쇄가능한 캔 단부 뚜껑 및 재밀봉가능한 캔 단부 뚜껑이 구비된 음료 캔{RE-CLOSABLE CAN END LID WITH A ROTATABLE OPENING AND RE-SEALING TAB AND DRINK CAN EQUIPPED WITH THE RE-SEALABLE CAN END LID}
본 발명은 캔, 특히 음료 캔용의 재밀봉가능한 캔 단부 뚜껑, 및 이러한 캔 단부 뚜껑을 구비한 음료 캔에 관한 것이다. 캔 단부 뚜껑은 소정의 절취선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절취(break-away)부를 갖는 뚜껑 판, 및 가압부와 파지부 사이에 체결 텅(tongue)이 제공되는 개방 탭을 구비한다. 체결 텅은 고정 스터드(stud)에 의해 뚜껑 판 상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체결 텅은 가압부와 파지부 사이의 개방 탭 부분에 배치되며, 그 베이스는 체결 텅이 그 베이스 주위에서 앞뒤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가압부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런 식으로, 개방 탭의 개방 위치로 회전된 가압부는 절취부가 소정의 절취선을 따라서 캔 단부 뚜껑 판으로부터 절취되어 캔 단부 뚜껑 판에 개구를 제공할 때까지 절취부 상에 하향 가압될 수 있다. 파지부는 하측으로 돌출하는 밀봉 부착물(attachment)을 구비한다. 개구는 개방 탭을 고정 스터드 주위에서 폐쇄 회전 위치로 회전시키고 파지부를 밀봉 위치로 하향 가압한 후에 밀봉 부착물의 밀봉 림(rim)에 의해 다시 밀봉될 수 있다.
뚜껑 판 및 개방 탭은 섬유 강화될 수 있는 플라스틱 재료와 같이, 및/또는 사출 성형 등과 같은 성형 기술에 의해서 및/또는 프레싱, 스탬핑, 다이 커팅, 딥-드로잉 및 플랜징(flanging)에 의해서 성형되는 박판(thin sheet)이 바람직할 수 있는 금속 재료와 같이, 가변적으로 얇은 시트 재료, 심지어 상이한 시트 재료의 것일 수 있다. 캔 단부 뚜껑 판 및 개방 탭의 재료 두께는 기본적으로 일정하다. 캔 단부 뚜껑 판 또는 개방 탭의 상면에 있는 융기부는 따라서 캔 단부의 하측인 뚜껑 판과 개방 탭 각각에 있는 유사한 형상의 리세스 또는 오목부와 일치하며, 상면의 오목부 또는 리세스는 하측에 있는 유사한 형상의 돌출 부착물과 일치한다. 바람직하게, 고정 스터드는 캔 단부 뚜껑 판의 재료로부터 압출된 중공 리벳이다. 그러나, 추후 단계에서 캔 단부 뚜껑 판 상에 고정되는 리벳 등이 고정 스터드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뚜껑 판은 뚜껑 판을 캔의 개방측 벽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외주 벽을 뚜껑 판의 상측에 포함한다. 이 외주 벽은 축 주위에 점 대칭적으로 연장되며, 원통형 캔용으로 적어도 대략 원통형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뚜껑 판 또는 뚜껑 판의 상면에 대한 각도를 지칭할 경우, 이는 일반적으로 뚜껑 판의 중심에 있는 뚜껑 판 축으로 이해되기도 하는 특정 대칭 축에 수직한 참조 레벨에 대한 각도를 의미한다.
고정 스터드는 뚜껑 판의 중심에 배치되거나, 편심적으로, 즉 뚜껑 판의 중심에서 일정 거리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캔 단부 뚜껑은 분말 또는 입자상 제품, 예를 들면 커피 또는 코코아 분말, 수프 분말 또는 임의의 인스턴트 분말 또는 가정용 곡물과 같은 임의의 유동성 제품을 위한 용기, 또는 특히 고체를 함유할 수도 있는 액체, 예를 들면 음료, 액상 육수 또는 수프, 오일 등을 위한 용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캔 단부 뚜껑은 또한, 예를 들어 액체, 분말 또는 입자 세척제 또는 처리제 등을 수용하는 다른 액체 또는 분말 용기에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형태의 캔 단부 뚜껑은 널리 알려져 있다. 이들은 개구에 끼워지는 밀봉 부착물이 제공되는 그 하측에 파지부를 구비하며, 이 파지부는 밀봉 부착물을 개구 내로 하향 가압시킴으로써 개구가 다시 폐쇄될 수 있도록 개방 탭을 폐쇄 회전 위치로 회전시킨 후에 절취부를 절취함으로써 생성된다. 그러나, 이 형태의 캔 단부 뚜껑은 두 가지 중요한 문제, 즉 한편으로는 캔 단부 뚜껑을 대량 생산에 적합하게 만드는 설계를 생성하는 문제와, 다른 한편으로는 특히 캔의 여러 번 사용을 위해 개구가 반복해서 개폐되어야 할 경우에 밀봉 부착물의 충분한 기밀성을 달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밀봉 부착물 상의 밀봉 림의 형상은 개구의 에지 및 그로인해 개구 에지를 결정하는 소정의 절취선에 꼭 맞게 형상화되어야 한다. 추가로, 한편으로는 절취부 내의 변형 및 그로인해 절취부를 절취함으로써 초래되는 개구 에지의 위치 및 주행의 전위(dislocation)가 있을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절취부를 절취하기 전과 후에 개방 탭을 상승 및 복귀 선회시킬 때 개방 탭 체결 텅을 전후로 구부림으로써 초래되는 개방 탭 체결 텅의 영구 굽힘 변형에 의한 개구에 대한 밀봉 부착물의 밀봉 림의 전위가 있을 수 있다. 이 모두는 밀봉 부착물 상의 밀봉 림이 더 이상 절취된 개구에 끼워지지 않게 만들 수 있으며, 따라서 개구의 에지가 변형되고 밀봉 부착물의 기밀성이 손상된다.
절취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최신 방법은 절취부 주위의 뚜껑 판 상에 리브형 비드 또는 홈형 플레어를 제공하여 보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 463 866호에 따르면, 절취부를 세 측부에서 둘러싸고 고정 스터드의 양 측부를 지나서 연장되는 보강 비드가 존재한다. 추가로, 사발(bowl) 모양 밀봉 부착물은 파지부가 폐쇄 회전 위치로 선회한 후에 밀봉 부착물이 그 안으로 가압되는 절취 개구의 규정 에지와 협력하는 기밀성을 개선하기 위해 밀봉 림으로서 유효한 그 원주면에서 가요성 재료로 코팅된다. 파지부는 폐쇄 시에 보강 비드 상에 놓이는 돌출 원주 플랜지와 끼워진다. 그러나, 밀봉 부착물 상의 코팅은 밀봉 부착물을 반복 사용할 때 기밀성을 점차 왜곡하는 개구의 날카로운 에지 상에서 단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 442 950호 및 미국 특허 제6 059 137호와 같은 추가 제안에 따르면, 폐쇄 회전 위치에 있는 파지부에 의해 밀봉 부착물이 가압되는 개구의 밀봉은, 파지부의 돌출하는 원주 플랜지와 뚜껑 판 상의 개구 주위의 평면부 사이의 밀봉 링에 의해 추가적으로 개선된다. 그러나, 이 설계에서도, 개구 절입(break in)시에 에지부가 변형될 때 및/또는 개방 탭을 뚜껑 판에 부착시키고 밀봉 부착물과 개구의 정렬을 결정짓는 체결 텅이 캔을 먼저 개방함에 의해 불특정한 방식으로 변형될 경우에 기밀성은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 미국 특허 제6 059 137호에 따른 캔 단부 뚜껑에서, 밀봉 부착물의 원주 플랜지에는 두 개의 캐치 비드가 제공되며, 이들 캐치 비드는 원주 플랜지를 가요성 마찰 접촉에 의해 주위 개구 에지에 타이트하게 가압하기 위해 파지부가 폐쇄 회전 위치에 있을 때 개구의 에지 아래에 설치된다. 미국 특허 제4 442 950호에 따르면, 밀봉 부착물 상의 추가 밀봉 링은 개구 에지의 하측에 끼워지도록 개구를 통해서 가압될 것이다. 개구 에지와 접촉되고 밀봉 부착물을 하향 가압하는 도중에 개구를 통해서 가압할 때 변형되는 이들과 같은 가요성 끼움 재료는 개구를 개폐할 때 개구의 날카로운 에지 상에서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원주 플랜지를 밀봉 링 상에 하향 유지하고 이를 개구의 주위 림 부분에 타이트하게 가압하는 효과가 상실될 것이다.
본 발명은 뚜껑 및 뚜껑이 구비된 캔의 대량 생산에 적합한 간단한 설계-특징에 의해 여러 번 개방 및 밀봉되어도 시일의 효과적인 기밀성을 달성하는 처음에 언급한 형태의 캔 단부 뚜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설계 실시예에서는, 고정 스터드와 뚜껑 판의 외주 벽 사이의 뚜껑 판 구역에 위치하는 내부 윤곽을 가지며 이 구역에서 링-형상 방식으로 자체 내에 폐쇄되는 뚜껑 판의 절취 영역 주위의 링-벽이 설계된다. 바닥을 갖는 리세스가 상기 링-벽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리세스의 바닥에 절취부가 형성된다. 개방 탭의 밀봉 부착물의 밀봉 림의 외부 형상은 링-벽의 내부 형상에 상보적이며, 밀봉 림은 파지부가 밀봉 위치에 있을 때 그 외부 형상을 따라서 링-벽의 내측과 결합한다.
파지부의 밀봉 위치에서 밀봉 부착물의 밀봉 림이 개구 내의 절취부의 규정 에지와 결합하고 따라서 이 규정 에지의 내부 형상과 상보적인 외부 형상을 갖는 최신 기술 이외에, 본 발명의 제 1 설계 실시예에서의 개구의 밀봉은 개구를 둘러싸는 분리된 링-벽의 내표면을 따라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설계 실시예의 밀봉 부착물의 기밀성은 개구의 얇은 규정 에지 상에서의 밀봉 부착물의 밀봉 림의 선형 밀봉에 의존하지 않는다. 오히려 밀봉 림과 링-벽의 내표면 사이에서 면대 면 밀봉이 이루어질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절취 영역 주위에 링-벽의 내주 형상을 형성하는 것과 별도로 소정의 절취선 경로의 형성을 설정하며, 따라서 이를 밀봉 부착물의 밀봉 림의 외주 형상 형성과 분리한다. 따라서, 링-벽과 밀봉 부착물의 형상은 최적 밀봉 특징에 적합하게 제조 설계될 수 있다. 동시에, 개방 탭의 가압부에 의한 절취부의 최적 절취를 위해 소정의 절취선이 설계될 수 있으며, 이 절취선은 그 경로가 링-벽의 내부 윤곽의 경로에서 벗어날 수도 있다.
링-벽은 원형일 수 있지만,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다. 링-벽이란 일반적으로, 링 형상으로 자체 폐쇄되는 벽이며, 예를 들어 특히 링-벽에 의해 둘러싸이는 절취부의 외부에 위치하는, 고정 스터드에 면하는 측에서는 다소 직선적일 수 있는 벽을 의미한다. 대응하여, 밀봉 부착물의 윤곽 상의 밀봉 림도 링-벽의 내벽의 경로를 따르고 자체 폐쇄된다.
뚜껑 판의 상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의 그 높이에 대한 것인 링-벽의 강성으로 인해, 밀봉면은 개방 탭용 고정 스터드의 주위 영역을 포함하는 링-벽 외부의 뚜껑 판 영역에 발휘되는 힘과, 절취부가 절취될 때 링-벽 내의 바닥 영역에 발휘되는 힘으로 인한 변형에 취약하지 않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그 상부 에지 상의 링-벽은 뚜껑 판의 상면에 대해 90도의 각도에 놓이며, 그 표면 라인은 뚜껑 판의 주위 벽의 축에 대해 이상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추가로, 링-벽의 매끄러운 내표면은 또한 개구 내로 하향 가압할 때 밀봉 부착물의 원주 벽에 대한 정렬 효과를 갖는다. 이로 인해, 절취부의 절취 시에 발생할 수 있는, 개방 탭 체결 텅의 불특정 굽힘에 의해 초래되는 밀봉 부착물의 전위 마저도 보상 및 반전될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서와 같이, 밀봉 부착물의 밀봉 림 또는 링-벽의 내표면이 얇은 밀봉제 층으로 코팅될 경우에도 달성될 것이다.
본 발명의 설계에 의하면, 밀봉 부착물은 파지부가 밀봉 위치에 있을 때 링-벽으로 둘러싸인 리세스 내로 침강되며, 그 밀봉 림과 함께 링-벽의 내표면 상에 결합되어 개구를 폐쇄한다. 그러나, 절취부를 둘러싸는 소정의 절취선은 리세스의 바닥에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리세스의 바닥이란 그 차례에서 뚜껑 판의 절취 영역을 특정하는 링-벽 내의 영역의 전체 플로어 영역을 의미한다. 이 플로어 영역 자체 내에 융기물(elevation)이 통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폐쇄-부착 형성 벽의 하측에 대응 리세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리세스에는 밀봉 부착물이 개방 탭 파지부의 밀봉 위치에서 링-벽의 내부 영역에 침강될 때 상기 플로어 영역의 이러한 융기물이 예를 들어 간극을 갖고 돌출할 수 있다. 이러한 융기물은 예를 들어, 개방 탭이 절취부를 절입하기 위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가압부가 이러한 융기물 상에 가압되므로 절취부의 절취 시에 개방 탭의 선회 각도를 적게 유지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취 영역은 링-벽에 대해 일정 거리에서 그 내부 영역이 팽출될 수 있으며, 따라서 링-벽의 내부와 인접하는 외부 영역의 리세스는 원환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으로 링-벽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부 영역의 플로어 영역과 다른 한편으로 밀봉 부착물의 하측의 이러한 상보적이거나 적어도 거의 상보적인 매칭에 의해, 밀봉 부착물은 절취부가 절입되기 전에, 따라서 이 캔 단부 뚜껑과 끼워맞춤된 캔을 개방하기 전에, 플로어 영역의 융기물과 충돌하지 않고 내부 영역에 로크될 수 있다. 특히, 음료 캔에 있어서, 이는 개방 탭을 폐쇄 회전 위치에 배치시킴으로써 및 파지부를 밀봉 부착물과 함께 밀봉 위치로 하향 가압하고 따라서 링-벽으로 둘러싸인 리세스 내로 하향 가압함으로써 뚜껑 판의 절취 영역을 캔의 포장, 하역 및 보관 중에 이미 위생 상의 이유로 보호하기 위한 옵션을 제공한다. 이런 식으로, 캔이 개방된 후 마시기 위해 입술이 닿는 뚜껑 영역은, 특히 개방 탭 파지부가 링-벽 위에 반경방향으로 클램핑하는 원주 플랜지와 끼워맞춤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 오염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될 것이다.
링-벽으로 둘러싸이는 리세스는, 링-벽의 내측의 외부에 있는 뚜껑 판의 외부 영역이 기본적으로 평면이도록 뚜껑 판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리한 설계를 위해서, 링-벽은, 적어도 그 상측 부분에서 그리고 적어도 그 윤곽의 대부분을 따라서, 뚜껑 판 윤곽의 상면에서 돌출하는 링 비드의 내벽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링-벽은, 뚜껑 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고 그 정점 라인이 원형 단면인 링 비드의 급경사 내부 측면(flank)에 의해서만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링 비드의 내부 및 외부 측면의 높이가 동일하다. 그러나, 적어도 고정 스터드로부터 외면되는 절취 영역의 최장 원주 부분을 따라서 링-벽의 내부의 높이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해야 한다. 이런 식으로, 밀봉 부착물을 링-벽의 내부에 정렬하기 위한 밀봉면 및/또는 안내면은 링 비드의 내부 측면보다 깊이 하향 연장되는 링-벽에 의해 확대되고 있다. 링-벽의 이러한 높이 증가에 의해, 개방 탭의 파지부의 밀봉 부착물은 그 밀봉 위치에서 링-벽에 약간 재밍되어 밀봉 부착물을 링-벽 내에 꼭맞게 마찰-끼움 유지시키는 것에 이를 수 있다. 이러한 레이아웃에서, 링 비드는 고정 스터드에 면하는 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중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정 스터드 주위 구역 내에서의 뚜껑 판의 추가 보강을 위해 고정 스터드의 양 쪽에서 비드 아암에 의해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고정 스터드에 면하는 절취부 부분에서의 링 비드는 그 자체로도 폐쇄된다.
링-벽은 그 내부에 직선 표면-라인들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응하여, 그 밀봉 림 내의 밀봉 부착물 상의 표면-라인들도 직선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미 전술했듯이, 뚜껑 판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돌출하는 링-벽은 뚜껑 판의 주위 벽이 배향되는 대칭 축에 평행한 그 표면-라인들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대응하여, 밀봉 부착물의 밀봉 림의 표면-라인들은 상호 평행하고, 기본적으로 개방 탭 파지부의 상면에 대해 수직하다. 파지부가 개방 탭의 폐쇄 회전 위치에서 밀봉 위치로 하향 가압되면, 파지부의 밀봉 부착물은, 그 반경이 가압부 상의 체결 텅의 베이스까지의 거리에 의해 결정될 선회 곡선을 따라서 링-벽으로 둘러싸인 리세스 내로 하향 선회될 것이며, 이는 파지부가 하향 이동할 때 체결 텅이 이 베이스 주위로 구부러질 것이기 때문이다. 체결 텅의 베이스를 따르는 이 편향 라인은 개방 탭이 그 폐쇄 회전 위치에 있을 때 개방 탭의 파지부로부터 외면되는 고정 스터드 측부에 배치된다. 추가로 체결 텅은 굽힘을 위해 완전히 취약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탄성 리셋 힘을 발생시키고 이 힘에 의해 밀봉 부착물은 링-벽으로 둘러싸인 리세스 내의 링-벽에 대해 약간 경사진다. 이로 인해, 밀봉 부착물은 파지부가 밀봉 위치에 있을 때 링-벽 상에 재밍된다. 이는 파지부가 밀봉 위치에 있을 때 밀봉 부착물을 꼭맞게 유지하고 마찰로 인해 강제 끼움 위치에 유지한다.
링-벽을 그 표면 라인이 뚜껑 판의 주위 벽의 대칭 축에 평행하게 정렬하는 대신에, 표면 라인은 평행선에 대해 5도까지, 바람직하게는 3도까지의 각도로 경사질 수 있으며, 따라서 링-벽으로 둘러싸인 리세스의 상부 에지로부터 리세스의 바닥을 향해 바라본 링-벽뿐 아니라 그 바닥으로부터 바라본 밀봉 부착물의 밀봉 림은 3도 내지 5도의 각도로 언더컷된 그 높이를 따라서 연장된다. 이는 그 하단부에서의 리세스가 그 상단부에서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대응해서 밀봉 부착물은 그 하단부에서 그 상단부에서보다 긴 직경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이 설계는 밀봉 부착물을 그 밀봉 위치에 유지시키는 유지 력을 더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설계 옵션은 고정 스터드를 뚜껑 판의 상면에 있는 받침대형 융기물 상에 장착하는 것이다. 이는 한편으로 고정 스터드를 안정시키는 바, 뚜껑 판이 받침대형 융기물에 의해 보강되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 선회 곡선의 정렬은 파지부를 그 밀봉 위치로 하향 가압할 때 링-벽의 정렬에 비해 확실하게 영향받을 수 있는 바, 이는 고정 스터드의 융기 장착으로 인해 파지부의 선회 곡선의 선회 축인 체결 텅 베이스가 융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정 스터드의 높은 위치는 링-벽의 정렬 효과뿐 아니라 밀봉 부착물에 대한 재밍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더욱이, 고정 스터드의 융기된 위치에 의해, 개방 탭의 파지부는 고정 스터드로부터 외면되는 그 단부가 뚜껑 판 상에 얹힌 상태에서 뚜껑 판을 향해 비스듬히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이는 또한 개방 탭이 폐쇄 회전 위치에 있거나 및/또는 개방 회전 위치에 있을 때 파지부가 체결 텅에 의해 뚜껑 판 상에 탄성 가압될 수 있는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체결 텅은 리벳 접합 전에 개방 탭의 상면 위에서 고정 스터드에 대해 상방으로 1 내지 4도의 작은 각도로 정렬될 수 있다. 리벳 접합 이후 파지부는 따라서 체결 텅에 대해 하방으로 경사져 정렬될 것이며, 리벳 접합 중에 체결 텅은 뚜껑 판 위에 놓이는 파지부에 의해 다시 가요적으로 구부러질 것이다.
고정 스터드의 융기 배치는 추가 설계 특징을 허용하는 바, 즉 받침대 융기부의 상면이 절취 영역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대 융기부의 상면의 경사는 1 내지 4도의 각도가 바람직하며, 그 편리한 형태로는 2도 범위 내의 어떤 각도이다. 받침대 융기부의 상면의 경사로 인해, 개방 탭의 파지부는 그 개방 회전 위치로부터 그 폐쇄 회전 위치로 회전될 때 하향 경사로 이동 및 정렬될 것이다. 이런 식으로, 링-벽과 링 비드(존재할 경우)의 정렬 효과뿐 아니라 폐쇄 회전 위치에 있을 때의 밀봉 부착물에 대한 링-벽의 재밍 효과는 파지부를 밀봉 위치로 하향 가압할 때 개선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더욱이, 개방 탭의 가압부는 그 밀봉 위치에서 고정 스터드의 파지부로부터 외면되는 측에서 뚜껑 판 위에 더 높이 배치된다. 이는 가압부를 하향 가압함으로써 밀봉 부착물을 다시 개방할 때 개방 탭의 파지부를 그 밀봉 위치로부터 지렛대 방식으로 이탈시킬 수 있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받침대 융기부 상에의 고정 스터드의 융기 배치는 또한, 절취부를 절입할 때 개방 탭의 가압부를 하향 가압함으로써 체결 텅의 베이스 주위로 구부러진 체결 텅이, 파지부가 개방 탭의 폐쇄 회전 위치로부터 선회되어 나오는 각도가 가능한 한 작아지는 위치로 다시 구부러질 수 있도록 허용한다. 이를 위해, 받침대 융기부의 상면은 체결 텅이 형성되는 개방 탭의 절취부의 간극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체결 텅의 베이스가 고정 스터드와 절취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개방 회전 위치에 있는 체결 텅은, 받침대 융기부의 상측 부분이 절취부를 통해서 끼워지기 때문에, 개방 탭의 파지부를 바람직하게는 체결 텅이 절취 높이 위에 있는 정도로 하향 가압시킴으로써 다시 구부러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받침대 융기부의 폭은 적어도 그 상측 부분에서, 체결 텅의 폭과 일치한다.
바람직하게, 링-벽을 둘러싸는 뚜껑 판의 영역은 받침대 융기부의 상면과 같은 정도로 경사진다. 이런 식으로, 밀봉 부착물이 링-벽으로 둘러싸인 리세스에 진입할 때 링-벽의 정렬 효과에 의해 경사지는 경사 각도 및 따라서 밀봉 부착물 상으로의 링-벽의 재밍 효과가 더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에서는 또한, 뚜껑 판의 주위 벽의 대칭축에 평행한 링-벽의 내부의 표면-라인의 정렬 또는 링-벽의 표면-라인의 평행한 정렬에 대한 작은 각도의 언더컷 정렬이 바람직하게 유지될 것이다.
고정 스터드가 장착되는 받침대 융기부의 형성을 위해서, 링-벽의 유효 높이를 향상시키는 링 비드는 절취 영역으로부터 외면되는 방향으로 불룩해질 수 있다.
절취부가, 적어도 고정 스터드로부터 외면되는 원주 측을 따라서, 뚜껑 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링 비드의 가파른 내면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그리고 고정 스터드가 절취부 위에서 뚜껑 판의 상면의 받침대 융기부 상에 장착되도록 뚜껑 판을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제 2 설계 형태에서, 링-벽이 존재하는 것과 무관하게 사용될 수 있다. 가파른 내면을 갖는 이러한 링 비드의, 전술한 밀봉 부착물 상으로의 정렬 효과는 또한, 절취부를 절입할 때 생성되는 개구의 내부 윤곽에 밀봉 부착물의 밀봉 림이 끼워질 경우 장점이 될 수 있다. 고정 스터드의 융기, 뚜껑 판 상으로의 파지부의 가요적 하향 가압, 받침대 융기부의 상면의 약간 경사진 설계, 링 비드를 둘러싸는 뚜껑 판 표면의 다소 경사진 설계, 링 비드의 불룩한 부분 상으로의 받침대 융기부의 설계, 및 절취부와 고정 스터드 사이의 폐쇄된 링-벽 설계와 연관된 본 발명의 상기 설명 및 설계는 따라서 각각 본 발명의 제 2 설계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의 추가 설계에서, 리세스 바닥의 절취부는, 파지부가 밀봉 위치에 있을 때 파지부의 밀봉 부착부의 링 형상 외부 만곡 에지에 의해 중첩될 링 형상 내부 만곡 에지에 의해 경계지어진다. 내부 만곡 에지 또는 외부 만곡 에지는 밀봉 재료로 코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 경우에, 내부 만곡 에지는 그 내측에서 단면이 오목하게 라운드형이며 외부 만곡 에지는 그 외측에서 단면이 볼록하게 라운드이다. 이 설계에서 절취부를 둘러싸는 소정의 절취선의 윤곽과 링-벽의 내부 윤곽 사이에는 반경방향 간극이 존재한다. 이런 식으로, 링-벽으로 둘러싸이는 리세스의 바닥에는 플랜지형 내부 에지가 생성될 것이다. 폐쇄된 링 형상 내부 만곡 에지는 링-벽의 내면의 바닥 에지와 이러한 내부 에지에 의해 결합 형성된다. 특히 재폐쇄가능한 캔 내의 음료가 탄산같은 추진제를 함유할 수 있는 경우에, 링-벽의 하단부에서 내부 만곡 에지를 코팅하거나 상보적인 외부 만곡 에지를 밀봉 재료로 코팅함으로써 개선된 밀봉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특히 내부 만곡 에지를 갖는 설계에서도, 리세스는 대체로 평면적인 리세스를 둘러싸는 뚜껑 판 영역에 얕은 홈통(trough)으로서 형상화될 수 있다. 리세스의 깊이는 원칙적으로, 내부 만곡 에지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내부 만곡 에지보다 높을 수 있으며, 따라서 대응적으로 높은 링-벽으로 인해, 링-벽의 개선된 정렬 및 재밍 효과를 달성하는 큰 스케일링 표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설계에서는, 고정 스터드로부터 외면되는 절취부 측에 뚜껑 판의 주위 벽으로부터 돌출하는 멈춤쇠(detent)가 형성되며, 이 멈춤쇠는 개방 탭의 파지부의 밀봉 위치에서, 원주 플랜지와 함께 밀봉 부착물을 리세스 내에 하향 로크 유지시킨다. 개방 탭의 밀봉 부착물의 원주 플랜지는 그 외부 에지가 뚜껑 판의 주위 벽에 근접하여 배치되도록 설계되고, 고정 스터드 주위로의 회전 이후에는 뚜껑 판의 주위 벽의 축에 대해 편심 위치될 수도 있도록 설계된다. 멈춤쇠는 벽의 제한된 원주방향 길이를 따라서 주위 벽의 외부로부터 주위 벽에 압입될 수 있다. 그러나, 멈춤쇠를 예를 들어 벽의 전체 원주를 따라서 그 외부로부터 주위 벽에 압입되는 원주 비드의 원주 부분으로서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뚜껑 판의 주위 벽에 이러한 멈춤쇠를 갖는 발명의 설계는 개방 탭의 파지부가 높은 밀봉 효과를 갖고 그 밀봉 위치로 하향 가압 유지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이 설계는 바람직하게 링-벽과 조합하여, 특히 링-벽으로 둘러싸인 리세스의 바닥에 있는 절취부가 전술하듯이 내부 만곡 에지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경계지어지는 설계와도 조합하여 도시된다. 여전히 뚜껑 판의 주위 벽 상의 이러한 멈춤쇠는 밀봉 부착물의 밀봉 림이 절취부의 절입에 의해 생성된 개구에 직접 적합화되면 링-벽의 존재와 무관하게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개방 탭의 파지부의 밀봉 위치에서 밀봉 부착물이 생성된 개구 안으로 침강되는 설계에서, 폐쇄 효과는 개구 내의 절취부의 주위 에지와 밀봉 부착물의 밀봉 림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달성된다. 밀봉 부착물의 원주 플랜지가 개구를 둘러싸는 뚜껑 판 영역과 연합하여 밀봉하는 추가 특징이 있을 수 있으며, 원주 플랜지와 뚜껑 판 사이에는 밀봉 링이 제공될 수 있다.
뚜껑 판의 주위 벽에 멈춤쇠를 갖는 발명의 설계는 또한 특히 고정 스터드 및 따라서 개방 탭의 체결 텅이 뚜껑 판의 상면의 받침대 융기부에 절취 영역과 떨어져서 장착되는 설계를 개선시키고 있다. 개방 탭의 체결 텅의 융기 장착에 의해, 폐쇄 회전 위치에 있는 그 파지부가 밀봉 위치로 경사 가압될 것이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주위 벽 상의 멈춤쇠 또는 로킹 립은 하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받침대 융기부의 상면은 절취 영역을 향해서 하향 경사로 기울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며, 절취 영역을 둘러싸는 뚜껑 판 영역은 대응적으로 멈춤쇠를 갖는 주위 벽 부분을 향해서 경사진다. 후자의 경우에, 링 비드가 존재할 경우 링 비드의 정점 라인의 레벨은, 멈춤쇠를 갖는 주위 벽 부분을 향해서 하향 경사로 기울어지는 받침대 융기부의 상면의 경사와 일치하는 경사진 레벨에 있을 수 있다.
링-벽과 조합되거나 링-벽을 갖지 않는, 뚜껑 판의 주위 벽 상의 이러한 멈춤쇠는, 밀봉 부착물의 밀봉 림이 절취부의 절입에 의해 생성되는 개구 에지의 형상에 바로 적합화될 경우 전술한 설계에 편리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재폐쇄가능한 음료 캔의 개방 탭은 가압부에 의한 절취부 절입 및 밀봉 부착물의 그 밀봉 위치로의 가압 시에 개방 탭의 체결 텅의 베이스를 따라서 여러 번 전후로 구부러지기 때문에,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즉 체결 텅의 블랭크 연장부를 가압부 및 체결 텅의 아래에서 절첩함으로써 가압부 및 그곳에 형성되는 개방 탭의 체결 텅을 강화시키는 것이 제안된다. 이는 특히 체결 텅이 전후로 구부러지는 베이스도 강화시킨다. 이는 체결 텅이 여러 번 전후로 구부러지더라도 그 베이스를 따라서 절취되지 못하게 한다.
추가로, 가압부와 체결 텅을 절곡시킴으로써, 영구 굽힘 변형에 대한 굽힘 강도가 증가될 것이며, 따라서 굽힘 변형의 탄성 성분이 증진될 것이다. 이는 다시 밀봉 부착물을 전술하듯이 링-벽에 대해 재밍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파지부의 밀봉 위치로의 하향 가압을 상쇄시키는 리셋 력을 증가시킨다. 체결 텅의 본 발명에 따른 보강은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링-벽을 포함하지 않는 뚜껑 구조에 대해서도 편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절첩된 블랭크 연장부는 스트립-형상이며, 파지부의 측부 에지에 압착되는 돌출 영역들을 양쪽에 가지며, 체결 텅의 형상과 일치하고 고정 스터드 상에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체결 텅과 함께 연합 고정되는 텅-형상 단부-부분을 갖는다.
이제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캔-단부 뚜껑의 설계 이외에, 다른 특징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뚜껑 판 및/또는 개방 탭은 그 상면의 오목한 보강 홈 및/또는 융기된 보강 비드에 의해 보강될 수 있다.
또한 절취 영역으로부터 외면되는 고정 스터드 측에는 뚜껑 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밀봉 부착물용 수용 리세스가 제공될 수도 있다. 그 개방 회전 위치에 있는 개방 탭의 밀봉 부착물은 이러한 수용 리세스에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개방 탭은 그 개방 회전 위치에서 뚜껑 판 상에 가능한 한 평탄하게 또는 낮게 놓이게 된다. 이 경우에는 파지부의 원주 플랜지와 연합하여 파지부를 수용 리세스 내에 하향 유지시키는 수용 리세스의 구역 내에서 뚜껑 판의 주위 벽에 이러한 멈춤쇠가 제공될 수도 있다.
추가로, 이러한 수용 리세스가 존재하면, 절취부의 절입 이후에 그 개방 회전 위치에 있는 개방 탭을 복귀 선회시킬 수 있는 선회 각도가 커질 것이다. 때문에, 수용 리세스가 존재할 경우, 밀봉 부착물은 이것이 복귀 선회될 때 뚜껑 판의 상면에 설치되기 전에 수용 리세스 안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다 큰 선회 각도에 의해, 체결 텅은 개방 탭의 가압부를 개구로부터 선회 이탈시킴으로써 가능한 한 교정(redressing)되거나 절첩될 수 있으며, 이 교정은 고정 스터드 및 그로인해 체결 텅을 받침대 융기부 상에 융기 장착시킴으로써 증진될 수 있다.
개방 탭의 개방 회전 위치에서 밀봉 부착물을 수용하기 위한 이러한 수용 리세스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 뚜껑 판의 절취부로부터 외면되는 고정 스터드 측에 적어도 아치형 보강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본 발명에 따른 캔 단부 뚜껑을 갖는 음료 캔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음료 캔 상의 개방 탭의 파지부는 개방 탭이 폐쇄 회전 위치에 있을 때 링-벽 위로 돌출하는 원주 플랜지를 구비하며, 여기에서 개방 탭은 소정 절취선이 폐쇄된 상태에서, 즉 절취부가 소정의 절취선을 따라서 절입되고 뚜껑 판으로부터 분리되기 전에는, 링-벽으로 둘러싸인 리세스 내에 침강되는 폐쇄 위치에 있게 된다. 이런 식으로, 절취 영역 및 링-벽 뿐 아니라 링 비드(이것이 존재할 경우)는 파지부와 그 원주 플랜지에 의해 커버될 것이다. 이 경우에는 주위 벽에 멈춤쇠가 제공되고 파지부의 원주 플랜지가 멈춤쇠의 하측에 로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이미 추가 설명되었듯이, 이러한 음료는 사용자가 절취부에 절입하는 부위이면서 소비자의 입술이 마실 때 접촉하는 부위이기도 한 뚜껑 영역이 하역 및 보관 중에 오염에 대해 커버되는 장점을 갖는다. 이는 또한 이 뚜껑 영역으로부터 유출되는 액체에 의한 오염을 상당히 방지한다. 이러한 보호는 특히 파지부가 그 폐쇄 회전 위치에 있을 때 주위 벽과 인접한 구역에서 그 원주 플랜지의 양쪽에 있는 파지부를 확대시킴으로써 추가 증진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캔, 특히 음료 캔용 뚜껑을 제조하고, 이미 충전된 음료 캔 상에 뚜껑을 장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에서, 뚜껑 판과 개방 탭은 바람직하게 프레싱 또는 펀칭에 의해 필요한 형태로 개별 제조되며, 이후에 개방 탭과 그 체결 텅은 회전될 수 있도록 뚜껑 판의 고정 스터드 상에 리벳 접합될 것이다.
체결 텅을 고정 스터드 상에 리벳 접합하는 것은 폐쇄 회전 위치에 있는 개방 탭, 및 링-벽으로 둘러싸인 리세스 내로, 바람직하게는 파지부의 밀봉 위치로 하향 침강된 밀봉 부착물을 수용하는 개방 탭의 위치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파지부의 밀봉 부착물은 그 밀봉 림과 함께 링-벽의 내면 상에 결합된다.
체결 텅을 고정 스터드 상에 부착한 후, 개방 탭은 아직 폐쇄 회전 위치에 있지 않으면 폐쇄 회전 위치로 회전될 것이고, 아직 밀봉 위치로 하강되지 않았으면 밀봉 위치로 하강될 것이다. 파지부가 그 밀봉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링-벽 및 밀봉 부착물의 밀봉 림을 형성하는 원주 벽은 프레스 다이와 프레스 램 사이에서 바람직하게는 쇼크 형태로 함께 압박될 것이다.
이 압박 과정에서, 프레스 램의 약간의 오버사이즈는 플라스틱 재성형의 종류와 유사한 전체 원주 밀봉 윤곽을 따라서 링-벽의 내부와 밀봉 부착물의 재료를 스트레치 다운시킨다. 이는 밀봉 부착물의 밀봉 림과 링-벽의 내면의 연합 밀봉면의 영역 내에서 필요한 성형 품질을 얻기 위해 이전 제조 방법 중에 발생한 재료 불균일성과 치수 불규칙성 및 제조 공차를 보상하며, 상기 밀봉면을 상호 가깝게 정착시킨다. 한편으로는 그 하면을 구비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링-벽으로 둘러싸인 절취 영역 및 링-벽의 내면을 구비하는 밀봉 부착물의 상보적 성형에 의해, 절취부 주위의 소정 절취선이 압박 작업 중에 손상되지 않을 것임을 알 수 있다.
압박의 결과는 완전한 단부 뚜껑이며, 이 뚜껑 상에서 밀봉 부착물은 밀봉 위치에 있고 링-벽에 의해 밀봉 위치에 유지된다. 고정 스터드가 장착되는 받침대 융기부가 제공되고 그 폭이 체결 텅의 폭과 동일하다면, 체결 텅은 개방 탭의 사전 성형 중에 그리고 고정 스터드 상에서 체결 텅이 개방 탭의 상면 위에서 상방 경사진 방식으로 1°내지 3°의 사소한 각도로 돌출하는 위치에 리벳 접합되기 전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식으로, 개방 탭의 파지부는 체결 텅의 리벳 접합 이후에 대응하는 하향 경사로 유지될 것이다. 이 때문에, 체결 텅은 뚜껑 판에 얹혀지는 파지부에 의해 약간 탄성적으로 상향 구부러질 것이며, 체결 텅은 리벳 접합 이후에 파지부 상에 하방으로 탄성력을 발휘한다. 이로 인해, 개방 탭의 파지부는 우발적으로 밀봉 위치를 벗어날 수 없으며, 이하의 제조 과정에서 간섭할 수 없다.
이는 캔을 다시 폐쇄한 후에 밀봉 부착물을 링-벽 내부에 재밍시키기 위해 파지부가 그 밀봉 위치에 있을 때 체결 텅의 특정한 탄성 굽힘 변형이 있어야 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설계에서와 상반되지 않는다. 절취부를 절입할 때 가압부를 하향 가압함으로써, 체결 텅은 밀봉 부착물을 밀봉 위치로 연속하여 하향 가압할 때 체결 텅의 소정의 탄성 변형 성분이 유지되게 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질 것이다.
바람직하게, 압박 단계 이후에, 뚜껑 판의 주위 벽은 예를 들어 플랜징(flanging) 기술에 의해 캔 단부 상에 꼭맞게 고정될 것이며, 캔은 압박 이후에 파지부가 그 밀봉 위치에 있는 위치에 있는 개방 탭으로 이미 충전된다. 이런 식으로, 완성된 캔은 음용 개구가 생성될 뚜껑의 영역이 추가로 설명되듯이 포장, 하역 및 보관 중에 오염으로부터 상당히 보호되는 바람직한 상태에서 추가적인 처리, 포장 및 하역을 위해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뚜껑은 밀봉 부착물이 링-벽으로 둘러싸인 리세스에 침강되는 상태에서 캔 단부에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절취부가 아직 소정의 절취선을 따라서 절입되지 않아도, 폐쇄된 캔은 개방 탭이 뚜껑 판 상에 평탄하게 얹히는 이 밀봉 위치에 밀봉 부착물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추가 처리되고, 포장 및 보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도면에서 명백한 그 특징을 갖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예시될 것이다.
도 1은 제 1 설계에서의 음료 캔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캔 단부 뚜껑의 상측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뚜껑의 평면도로서, 뚜껑의 개방 탭이 그 개방 회전 위치에 있는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뚜껑의 평면도로서, 뚜껑의 개방 탭이 그 폐쇄 회전 위치에 있는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의 A-A 선 단면에서의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5는 개방 탭이 없는 도 1에서의 뚜껑의 뚜껑 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A-A 선 단면을 따른, 개방 탭이 없는 도 5에서의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원으로 둘러싼 C 부위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 8은 도 6의 단면도의 우측 절반부를 각도 값을 기입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1에서의 뚜껑의 개방 탭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의 개방 탭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서의 개방 탭의 저면도이다.
도 12는 도 9에서 D-D 선 단면에서의 개방 탭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서의 개방 탭의 사시 저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원으로 둘러싼 개방 탭의 E 부위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 15는 수정된 설계 버전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뚜껑 상의 도 3에서의 것과 유사한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서의 F-F 선 단면을 따른, 수정된 뚜껑을 통한 도 4에서의 것과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캔 단부 뚜껑 설계를 갖는 음료 캔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수정된 설계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캔 단부 뚜껑을 갖는 음료 캔의 도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에서의 뚜껑의 압박 도중의 상태에서의 압박 공구의 도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4는 캔, 특히 음료 캔용의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설계를 도시하고, 도 1 내지 도 14에 따른 설계는 뚜껑 판(2), 및 이 설계에서 뚜껑 판(2)의 중심에 장착되고 뚜껑 판(2)의 상면(3)에서 돌출하는 중공-리벳 고정 스터드(6) 상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개방 탭(20)을 갖는다. 뚜껑 판(2)은 뚜껑을 캔의 개방 캔 단부에 고정하기 위한 주위 벽(5) 뿐 아니라, 깊은 원주 홈(43)에 의해 상기 주위 벽으로부터 분리되는 중심 판 영역을 갖는다. 주위 벽(5)은 뚜껑 축이기도 한 축(14)(도 8 참조) 주위에 점대칭으로 연장된다.
고정 스터드(6)의 일 측에는 소정의 절취선(9)을 갖는 절취 영역(7)이 존재하며, 이는 절취부(8)를 고정 스터드와 링 홈(43) 사이의 뚜껑 판(2) 상에서 적어도 최대한으로 둘러싸고, 따라서 소정의 절취선(9)은 절취부를 하향 가압함으로써 파괴되고, 그로 인해 뚜껑 판(2)에 개구가 형성된다. 개방 탭(20)은 그 베이스(23a)에 형성된 체결 텅(23)에 의해 가압부(21)와 파지부(22) 사이의 개방 탭(20) 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고정 스터드(6) 상에 고정된다. 이로 인해, 개방 탭(20)은 뚜껑 판(2) 상의 고정 스터드(6) 주위로 회전될 수 있고, 체결 텅(23)의 베이스(23a) 주위로 선회 방식으로 상하로 구부러질 수 있다.
따라서 개방 탭(20)은 도 2에 도시하듯이 개방 회전 위치로 회전될 수 있고, 이후 그 파지부(22)를 들어올림으로써 그 가압부(21)와 함께 절취부(8) 상으로 하향 선회되어 절입될 수 있다. 한편, 파지부(22)에 의해 소정 절취선(9)으로부터 절입된 절취 개구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듯이 개방 탭(20)이 폐쇄 회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파지부(22)를 도 4에 도시된 밀봉 위치로 하향 선회시킴으로써 다시 밀봉될 수 있다.
특히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하듯이, 소정의 절취선(9)을 갖는 절취 영역(7) 주위에는 링-벽(11)이 존재하고, 상기 링-벽은 뚜껑 판(2)의 상면(3)에 리세스(12)를 압하(depress)시켜 뚜껑 판의 하면(4)에서 뚜껑 판(2)에 대해 특정 각도로 돌출시킴으로써 리세스(12)를 형성하는 주위 벽으로서 형성된다. 링-벽(11)은 링-벽(11)의 원주 윤곽 외부에 장착된 고정 스터드(6)와 주위 벽(5) 사이에서 링처럼 자체 폐쇄되는 내부 윤곽을 그 내면을 따라서 갖는다. 절취 영역(7)은 리세스(12)의 바닥(13)에 의해 형성되는 바, 이는 절취부(8)와 소정 절취선(9)이 리세스(12)의 바닥에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도 6에서 유래하듯이, 리세스(12)는 도시된 설계에서 각각의 경우에 그 단면에 대해 기본적으로 장방형이다.
특히 도 9 내지 도 15에서 알 수 있듯이, 개방 탭(20)의 파지부(22)의 하측에는 뚜껑 판(2)의 링-벽(11)으로 둘러싸이는 리세스(12)에 상보적인 형상의 하향 돌출 밀봉 부착물(25)이 형성된다. 도시된 설계 형태의 밀봉 부착물(25)은 그 측면도시에서 장방형이고 밀봉 림(26)을 가지며, 상기 밀봉 림은 밀봉 부착물(25)의 외주 윤곽을 따라서 링처럼 자체 폐쇄적으로 연장되고, 링-벽(11)의 내면의 내주 윤곽에 상보적인 외주 윤곽을 갖는다. 추가로, 밀봉 부착물(25)의 하면(29)은 절취 영역(7)을 형성하는 리세스(12)의 바닥의 상면과 상보적이다.
따라서 개방 탭(20)의 파지부(22)의 밀봉 부착물(25)은 파지부의 밀봉 위치에 있을 때, 예를 들어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매끄러운 밀봉 림(26)이 링-벽(11)의 매끄러운 내면 상에 밀착 끼움되도록 리세스(12)에 끼워진다. 따라서, 절취부(8)를 소정의 절취선(9)으로부터 절입함으로써 생성되는 개구는, 밀봉 부착물의 원주 윤곽이 개구 자체의 원주 윤곽에 적합화될 필요 없이, 밀봉 부착물(25)에 의해 다시 타이트하게 밀봉될 수 있다.
소정의 절취선(9)의 원주 윤곽 형상은 링-벽(11)의 내주 윤곽 형상보다 작다.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이는 소정의 절취선(9)과 링-벽(11)의 하단부 사이에 내부 플랜지 림(31)을 생성하며, 따라서 내부 플랜지 림(31)과 링-벽의 하측 부분의 연합에 의해 오목한 라운드형 내부 만곡 에지(30)를 형성한다. 내부 만곡 에지(30)와 상보적으로, 개방 탭(20)의 파지부(22)의 밀봉 부착물(25)에는 도 19에 도시하듯이 볼록한 라운드형 외부 만곡 에지(28)가 제공되며, 이는 파지부(22)가 그 밀봉 위치에 있을 때 내부 만곡 에지(30)에 상보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밀봉 부착물의 외부 만곡 에지(28)와 연합하는 내부 만곡 에지(30)의 표면 뿐만 아니라, 밀봉 부착물(25)의 매끄러운 밀봉 림(26)과 연합하는 링-벽(11)의 매끄러운 내면은 시일의 효과적인 밀봉을 수행하기 위한 밀봉면으로서 개별적으로 또는 연합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 추가 도시하듯이, 내부 만곡 에지(30)는 바람직한 설계에서 밀봉 재료(34)로 코팅된다. 특히 탄산과 같은 추진제를 함유하는 음료 캔에서, 이는 내부 압력에 대한 시일의 저항을 증진시키는 장점일 수 있다.
특히 도 5 내지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뚜껑 판(2)의 상면(3)에서 돌출하는 링 비드(15)는 절취 영역(7) 주위에 형성되며, 그 외부 측면은 비스듬히 하향 경사지고 그 내부 측면(16)은 수직하며, 따라서 링-벽(11)은 링 비드(15)의 내부 측면(16)에 의해 이를 따라서 그 상측 부분에 형성된다. 도 8에 도시하듯이, 링-벽(11)의 표면 라인들은 뚜껑 축(14)에 평행하거나 또는 3°까지의 각도로 경사진 축(17)에 대해 평행하며, 따라서 링-벽(11)의 내면은 링-벽(11)으로 둘러싸인 리세스(12)의 바닥(13)을 향해서 넓어지며 따라서 그 상부 에지로부터 볼 때 약간 언더컷된다. 개방 탭의 밀봉 부착물(25)의 합치성으로 인해, 밀봉 부착물의 밀봉 림(26)의 표면 라인에도 동일함이 적용되며, 따라서 이는 링-벽(11)의 표면 라인들이 뚜껑 축(14)에 평행할 경우 도 10,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듯이 그 측면도에서 장방형이다.
추가로, 도시된 설계에서, 고정 스터드(6)는 특히 도 4,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듯이 뚜껑 판(2)의 상측에서 받침대 융기부(18) 상에 배치된다. 도 5에 도시하듯이, 받침대 융기부(18)는 링 비드(15)의 팽출부 또는 불룩한 부분(47)에 형성된다. 도 8에 도시하듯이, 받침대 융기부(18)의 상면은 절취 영역(7)을 향해서 0°내지 4°의 각도로 하향 경사져 기울어질 수 있다. 융기부(18)의 상면의 경사에 대응하는 것은 개방 탭(20)이 고정 스터드 주위로 터닝되는 레벨이다. 도 5에 도시하듯이, 받침대 융기부(18)의 폭(B)은 적어도 그 상측 부분에서 체결 텅의 폭과 일치한다.
추가로, 링-벽(11)을 둘러싸는 뚜껑 판(2) 영역은 0°내지 4°의 각도로 경사질 수 있으며, 따라서 도 4, 도 6 및 도 8에도 도시하듯이 링 비드(15)의 정점의 레벨은 축(14)에 수직한 반경방향 레벨에 대하여 융기부(18)의 상면의 경사에 따라 주위 벽(5)의 다음 인접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다. 그 폐쇄 회전 위치에서, 개방 탭(20)은 도 4에 도시하듯이 경사져 있다.
도 5에도 도시하듯이, 절취부(8) 상에서 고정 스터드(6) 근처에는 융기 비드부(4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비드부 상에는 도 2에 따라 절취부(8)를 그 소정의 절취선(9)으로부터 절입하기 위해 개방 탭(20)의 가압부(21)로부터의 힘이 가해질 것이다. 이러한 비드부(41)가 존재하면, 파지부(22)의 상측의 매칭되는 비드부(42)도 제공될 것이며(도 1 내지 도 4 참조), 따라서 밀봉 부착물(25)의 하면에는 개방 탭(20)이 밀봉 위치(도 4 참조)에 있을 때 비드부(41)의 리셉터클로서 리세스가 제공될 것이다. 절취 영역(7)의 반대쪽의 뚜껑 판(2) 영역을 보강하기 위해, 뚜껑 판의 상면에는 두 개의 아치형 보강 리세스(40)(도 1, 도 4 및 도 5 참조)가 형성된다.
개방 탭(20)은 가능한 한 굴곡 저항적인 설계여야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그 전체 형상은 도 1, 도 12 및 도 13에 구체적으로 도시하듯이 접시-형상이다. 판형 파지부(22) 내에는, 상면으로부터 리세스 영역이 압하되며, 이는 도 12 및 도 13에 구체적으로 도시하듯이 파지부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하는 밀봉 부착물(25)을 형성한다. 밀봉 부착물(25)은 그 원주를 따라서 원주 플랜지(27)에 의해 둘러싸이며, 원주 플랜지는 파지부의 밀봉 위치에서는 도 4에 도시하듯이 링 비드(15) 위로 돌출하고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듯이 개방 탭의 전체 원주 길이를 따라서 플랜징되거나 롤링된다. 파지부(22)의 측면에는 이를 밀봉 위치로부터 지렛대 방식으로 이탈시키기 위한 파지 탭(38)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도시된 설계에서, 고정 스터드는 도 1 내지 도 4 및 도 8에 도시하듯이, 뚜껑 판(2)의 주위 벽(15)의 축(14)에 정렬되고, 자유 단부를 갖는 파지부(22)는 주위 벽의 내면 가까이에 도달한다. 절취부(8)를 지나서 고정 스터드(6)로부터 외면되는 주위 벽(5) 부분에는 멈춤쇠(32)가 외부로부터 형성되며, 이 멈춤쇠는 도 4에 도시하듯이 파지부(22)의 밀봉 위치에서 개방 탭(20)의 원주 플랜지(27)의 외부 에지(44)와 캐칭 방식으로 협동한다.
도 1 및 도 2에 구체적으로 도시하듯이, 개방 탭(20)은, 가압부(21)와 파지부(22) 사이의 U형 절취부(24)에 착좌되고 그 베이스(23a)에서는 파지부(22)에 면하는 가압부(21) 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체결 텅(23)에 의해 고정 스터드(6) 상에 장착된다. 개방 탭(20)을 상하로 선회시킬 때 체결 텅은 이 베이스(23a) 주위로 전후로 구부러진다. 파지부(22)가 도 3에 도시하듯이 그 폐쇄 회전 위치에 있고 이후 도 4에 도시하듯이 그 밀봉 부착부에 의해 밀봉 위치로 하향 가압될 때, 밀봉 부착물(25)의 선회 곡선은, 개방 탭의 폐쇄 회전 위치에서 밀봉 부착물(25)로부터 외면되는 고정 스터드(6) 측에 있는 텅 베이스(23a)까지의 그 거리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다른 한편, 밀봉 부착물이 그 안으로 선회되는 리세스(12)를 둘러싸는 링-벽(11)의 내면의 표면 라인들은 선회 곡선에 대응하는 곡선으로 연장되지 않지만, 직선적이고 뚜껑 축(14)(도 8 참조)에 대해 바람직하게 평행하다. 이로 인해, 리세스 내에 침강되는 밀봉 부착물(25)은 밀봉 부착물이 리세스에 완전히 진입할 수 있도록 링-벽(11)의 내면을 따라서 리세스에 정렬될 것이다. 개방 탭(20)의 정렬 이동은 체결 텅(23)의 대응 탄성 굽힘 변형에 의해 보상될 것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듯이, 가압부와 체결 텅은 바람직한 설계에서 보강된 설계의 것이다. 이를 위해, 도 14에 도시하듯이, 개방 탭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트 재료 블랭크의 일 부분(35)이 가압부(21)의 자유 단부로부터 가압부 및 체결 텅(23) 아래로 절첩된다. 이 부분(35)은 전체가 박판상이고, 양측에는 그 자유 단부가 플랜지형 에지(44)에 도달하는 아암(36)을 가지며, 또한 혀 모양의 체결 텅(23)에 합치되는 단부 부분(37)을 갖는다. 단부 부분(37)은 체결 텅(23)의 아래에 합치적으로 배치되며, 단부 부분에는 체결 텅과 같이 이를 고정 스터드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고정 구멍(45)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부분(35)은 가압부(21)의 굽힘 강성 뿐 아니라 체결 텅(23)의 굽힘 강성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킨다. 따라서 굽힘 섀시(23a)를 따른 체결 텅(23)의 탄성 굽힘 변형 성분이 체결 텅의 탄성으로 인해 증진된다. 명세서의 개요 부분에 추가 설명되어 있듯이, 이는 파지부(22)를 링-벽(11)으로 둘러싸인 절취 영역(7)의 리세스 내로 탄성 가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체결 텅(23)의 절첩은 캔 시일을 여러 번 개폐할 때 전후로 여러 번 구부러져도 파괴되지 않는 체결 텅(23-35)을 제공한다.
도 15 및 도 16은 도 3 및 도 4의 뚜껑 설계의 수정예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에서의 아치형 강화 리브(40) 대신에, 도 15 및 도 16에 따르면, 절취 영역(7)으로부터 외면되는 고정 스터드(6) 측에서 뚜껑 판(2)에는 개방 탭(20)의 파지부(22)의 밀봉 부착물(25)용 수용 리세스(46)가 형성된다. 도 15 및 도 16에 그 폐쇄 회전 위치로 도시된 개방 탭(20)이 고정 스터드(6) 주위에서 그 개방 회전 위치로 180°회전하면, 밀봉 부착물(25)은 수용 리세스(46)에 하향 가압될 수 있다. 뚜껑 판(2)과 정반대로, 파지부를 개방 탭의 개방 회전 위치에도 로크시키기 위한 제 2 멈춤쇠(도시되지 않음)가 멈춤쇠(32)와 대향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하듯이, 수용 리세스(46)가 형성되는 뚜껑 영역 또한, 고정 스터드가 장착되는 받침대 융기부(18)로부터 수용 리세스를 지나서 주위 벽(5)의 대향 부분을 향해서 4°까지의 각도로 하향 경사진다.
그렇지 않으면,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설계는 도 3 및 도 4의 설계와 일치하며, 따라서 도 3 및 도 4에서의 설계에 대한 설명이 참조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재밀봉가능한 뚜껑이 끼워지는 음료 캔(50)의 두 가지 설계를 도시한다. 뚜껑(1)은 뚜껑 판(2)의 주위 벽에 의해 충전 캔(50)의 자유 캔-단부(51) 상에 끼워지며, 그 경계부는 자유 캔 단부(51) 상에 내충격(burst-proof) 방식으로 압착된다. 도 17에서의 뚜껑(1)의 설계는 도 1 내지 도 14의 그것과 일치한다. 도 18에서의 뚜껑(1)은 개방 탭의 파지부(22)가 양쪽에 날개형 연장부(39)를 갖도록 수정된다. 도 17 및 도 18에서, 개방 탭(20)은 파지부(22)가 도 4에 도시하듯이 그 밀봉 위치로 하향 가압된 상태에서, 그 폐쇄 회전 위치에 있다. 뚜껑(1)이 아직 개방되어 있지 않아도 개방 탭(20)의 파지부의 밀봉 부착물(25)이 링-벽(11)으로 둘러싸인 리세스(12)에 끼워지므로, 개방 탭은 하역 및 보관 중에도 이 밀봉 위치에 있을 수 있으며, 뚜껑의 마시는 영역을 오염에 대해 실질적으로 보호한다. 이는 도 18에서의 날개(39)에 의한 파지부(22)의 확장에 의해 증진된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1)의 제조 방법의 단계를 도시 및 설명한다. 뚜껑 판(2)과 개방 탭(20)을 개별 제조 단계에서 제조한 후에 및 개방 탭(20)이 그 체결 텅과 함께 고정 스터드(6) 상에 리벳접합된 후에, 뚜껑(1)은 파지부가 도 4에 도시하듯이 폐쇄 회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프레싱 기계의 다이(60) 내에 배치된다. 이후에, 프레스 펀치(61)는 파지부(22)의 밀봉 부착물의 오목한 상면에 삽입된다. 다이(60)와 프레스 펀치(61)를 함께 가압함으로써, 파지부의 밀봉 부착물의 밀봉 림과 링-벽(11)의 내면은 연합하여 그 최종 형상으로 압박된다. 이는 한편으로는 링-벽과 다른 한편으로는 밀봉 부착물(25)의 밀봉 림의 내면에 대한 제조 공차를 보상해준다.

Claims (32)

  1. 캔용 캔 단부 뚜껑에 있어서,
    상기 캔 단부 뚜껑이,
    시트 재료로 제조되는 뚜껑 판(2)으로서, 상면(3)과 하면(4) 및 상기 뚜껑 판의 상면 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상면을 둘러싸는 주위 벽(5)을 구비하고, 상기 주위 벽과 상기 뚜껑 판 상에 배치되는 고정 스터드(6) 사이에는 절취부(8)를 갖는 절취 영역(7)이 형성되며, 상기 절취부는 소정의 절취선(9)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뚜껑 판(2)과,
    시트 재료로 제조되고 가압부(21)와 파지부(22)를 구비하는 개방 탭(20)으로서, 상기 가압부와 상기 파지부 사이의 개방 탭의 절취부(24) 내에서 가압부에 형성되는 체결 텅(23)에 의해 상기 고정 스터드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며, 하향 돌출 밀봉 부착물(25)이 상기 파지부의 상면으로 압하되는 리세스 영역에 의해 상기 파지부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밀봉 부착물은 링과 같이 그 자체가 폐쇄되는 밀봉 림(26)을 포함하며, 상기 밀봉 림은 상기 밀봉 부착물의 외부 원주 윤곽을 따라서 연장되는, 상기 개방 탭(20)을 포함하며,
    그에 따라, 상기 가압부(21)는 절취부(8)를 소정의 절취선(9)을 따라서 뚜껑 판으로부터 분리하고 규정 에지에 의해 형성된 개구(10)를 뚜껑 판에 생성하기 위해 개방 탭의 개방 회전 위치에서 하향 가압될 수 있고, 상기 개구는 개방 탭을 고정 스터드 주위에서 폐쇄 회전 위치로 회전시킨 후에 파지부(22)를 밀봉 위치로 하향 가압함으로써 밀봉 부착물(25)의 밀봉 림(26)에 의해 다시 밀봉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 판(2)의 절취 영역(7) 주위로 링-벽(11)이 연장되며, 상기 링-벽(11)은 바닥을 포함하는 리세스(12)를 둘러싸고 규정하도록 뚜껑 판의 상기 상면에 일정 각도로 연장되는 높이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절취부(8) 및 상기 절취선(9)이 상기 바닥 상에 형성되며, 상기 링-벽(11)은 뚜껑 판의 고정 스터드(6)와 주위 벽(15) 사이에서 그 자체에 폐쇄되는 내주 윤곽을 갖는 내면을 가지며, 상기 절취선(9)의 원주 윤곽의 형상은 상기 링-벽(11)의 상기 내주 윤곽의 형상보다 작으며, 그 결과 내부 플랜지 림(31)은 상기 절취선과 상기 링-벽(11)의 바닥 단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개방 탭(20)의 밀봉 부착물(25)의 밀봉 림(26)은 상기 밀봉 림의 외주 윤곽이 상기 개구(10)의 규정 에지로부터 분리된 상기 링-벽(11)의 상기 내주 윤곽에 상보적이고, 상기 밀봉 부착물이 상기 파지부(22)의 상기 밀봉 위치에서 리세스내에 끼워질 때 상기 밀봉 림은 이 밀봉 림의 상기 외주 윤곽을 따라서 상기 링-벽(11)의 내면상에 결합되고,
    상기 뚜껑 판(2)의 외주 벽(5)은 축(14)에 대해 점대칭이며, 상기 링-벽(11)의 내면이 상기 높이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링-벽(11)의 상측 부분에서 상기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뚜껑.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벽(11)은, 뚜껑 판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링 비드(15)의 내벽(1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뚜껑.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링 비드(15)는 고정 스터드(6)에 면하는 절취 영역(7) 측에서 절취 영역(7)과 고정 스터드(6) 사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뚜껑.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링-벽(11)은 링 비드(15)의 내벽의 내면(16)을 지나서 하향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뚜껑.
  8. 제 1 항 또는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스터드(6) 및 상기 체결 텅(23)은 받침대 융기부(18)상에 배치되며, 상기 받침대 융기부(18)는 뚜껑 판의 하면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뚜껑 판(2)의 상기 상면(3)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뚜껑.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융기부(18)의 상면은 상기 절취 영역(7)을 향하여 일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뚜껑.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판(2)은 상기 받침대 융기부(18)의 상면에 대응하여 경사지는 링-벽(11)을 둘러싸는 영역(1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뚜껑.
  12.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 비드(15)는 고정 스터드(6)의 영역에서 절취 영역(7)으로부터 외면되는 방향으로 불룩해져서 불룩한 부분(47)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 스터드(6) 및 상기 체결 텅(23)은 상기 절취 영역(7) 상에 그리고 상기 뚜껑 판의 상기 상면 상에 상기 뚜껑 판(2)의 상기 상면 상으로 돌출하는 받침대 융기부를 형성하는 상기 불룩한 부분(47)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뚜껑.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12)의 바닥에 있는 절취부(8)는, 개방 탭(20)의 파지부(22)의 밀봉 위치에서 파지부의 밀봉 부착물(25)의 링-형상 외부 환형 에지(28)에 의해 중첩되는 링-형상 내부 만곡 에지(30)에 의해 경계지어지며, 상기 내부 만곡 에지 또는 외부 만곡 에지는 밀봉 재료(34)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뚜껑.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착물(25)의 외면과 하면(29)은 형태 및 치수에 있어서 링-벽(11)의 내면에 의해 그리고 절취 영역(7)의 상면에 의해 형성되는 뚜껑 영역과 상보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뚜껑.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스터드(6)로부터 외면되는 절취 영역(7) 측에는 멈춤쇠(32)가 형성되고, 상기 멈춤쇠(32)는 뚜껑 판(2)의 주위 벽(5)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되며 밀봉 부착물(25)을 리세스(12)내에 유지시키기 위해 파지부(22)의 밀봉 위치에서 링-벽을 지나서 돌출하는 파지부(22)의 원주 플랜지(27)에 래치결합 방식으로 걸림고정되며, 상기 멈춤쇠(32)는 주위 벽의 외측으로부터 주위 벽내로 가압되어, 주위 벽의 원주를 따라 주위 벽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뚜껑.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스터드(6)로부터 외면되는 절취 영역(7) 측에는 멈춤쇠(32)가 형성되고, 상기 멈춤쇠(32)는 뚜껑 판(2)의 주위 벽(5)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되며 밀봉 부착물(25)을 리세스(12)내에 유지시키기 위해 파지부(22)의 밀봉 위치에서 링-벽(11)을 지나서 돌출하는 파지부(22)의 원주 플랜지(27)에 래치결합 방식으로 걸림고정되며, 상기 멈춤쇠(32)는 주위 벽의 외측으로부터 주위 벽내로 가압되어, 주위 벽의 원주를 따라 주위 벽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뚜껑.
  17. 제 1 항 또는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탭(20)의 가압부(21)와 체결 텅(23)은 개방 탭의 블랭크 연장부(35)를 가압부와 체결 텅 아래에서 절첩함으로써 강화되며,
    상기 연장부(35)는 박판상이고, 그 양쪽에서 돌출하고 파지부의 측부 에지에 압착되는 아암(35a)을 가지며, 상기 체결 텅과 형상이 동일하고 체결 텅과 함께 고정 스터드(6)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혀 모양 단부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뚜껑.
  18. 제 12 항에 있어서,
    파지부(22)는 개방 탭(20)의 폐쇄 회전 위치에서 뚜껑 판의 주위 벽(5)으로 연장되며, 그 양쪽에서는 주위 벽(5)에 인접한 영역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뚜껑.
  19. 제 1 항 또는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 영역(7)으로부터 외면되는 고정 스터드(6) 측에서 뚜껑 판(2)에는 적어도 하나의 아치형 보강 리세스(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뚜껑.
  20. 삭제
  21. 캔용 캔 단부 뚜껑에 있어서,
    상기 캔 단부 뚜껑이,
    시트 재료로 제조되는 뚜껑 판(2)으로서, 상면(3)과 하면 및 상기 뚜껑 판의 상면상으로 돌출하고 둘러싸는 주위 벽(5)을 구비하고, 상기 주위 벽과 뚜껑 판 상에 배치되는 고정 스터드(6) 사이에 형성된 절취 영역(7)을 포함하며, 상기 절취 영역(7)은 절취부(8)를 포함하며, 상기 절취부는 소정의 절취선(9)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뚜껑 판과,
    시트 재료로 제조되고, 가압부(21)와 파지부(22)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부와 상기 파지부 사이의 개방 탭의 절취부(24) 내에서 가압부에 그 베이스상에 형성되는 체결 텅(23)에 의해 상기 고정 스터드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개방 탭(20)으로서, 하향 돌출 밀봉 부착물(25)은 상기 파지부의 상면으로부터 가압되는 리세스 영역에 의해 상기 파지부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밀봉 부착물은 밀봉 부착물의 원주 윤곽 주위에 원주 림(26)을 포함하는, 상기 개방 탭(20)을 포함하며,
    따라서, 상기 가압부(21)는 절취부(8)를 소정의 절취선을 따라서 뚜껑 판으로부터 분리하고 뚜껑 판에 개구(10)를 생성하기 위해 개방 탭(20)의 개방 회전 위치에서 절취 영역 상으로 하향 가압될 수 있고, 상기 개구는 개방 탭을 고정 스터드 주위에서 폐쇄 회전 위치로 회전시킨 후에 파지부(22)를 밀봉 위치로 하향 가압함으로써 상기 밀봉 부착물(25)에 의해 다시 밀봉될 수 있으며,
    상기 절취 영역(7)은 뚜껑 판(2)의 상면(3)으로부터 돌출하는 링 비드(15)의 가파른 내벽(16)에 의해, 적어도 고정 스터드(6)로부터 외면되는 원주 부분을 따라서 둘러싸이며, 상기 개방 탭(20)의 상기 고정 스터드(6) 및 상기 고정 텅(23)은 상기 뚜껑 판(2)의 하면상으로 둘출하는 받침대 융기부(18)의 상면 상의 절취 영역(7) 위에 배치되며, 상기 링 비드(15)는 불룩한 부분(47)을 형성하도록 상기 절취 영역(7)으로부터 외면하는 고정 스터드(6)의 영역에서 불룩해져 있으며, 상기 받침대 융기부(18)는 상기 링 비드의 상기 불룩한 부분(47)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뚜껑.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융기부(18)의 상면은 상기 절취 영역(7)을 향하여 일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뚜껑.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링 비드(15)는 상기 받침대 융기부(18)의 상면에 대응하여 경사지는 영역(19)에 의해 절취 영역(7)을 따라서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뚜껑.
  24. 삭제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링 비드(15)는 고정 스터드(6)에 면하는 절취 영역(7) 측에서 절취 영역과 고정 스터드(6) 사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뚜껑.
  26. 삭제
  27. 제 21 항 내지 제 23 항 또는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탭(20)의 파지부(22)는 파지부(22)의 밀봉 위치에서 상기 링 비드(15)를 지나 돌출하는 원주 플랜지(27)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스터드(6)로부터 외면되는 링 비드(15) 측에는 멈춤쇠(32)가 뚜껑 판(2)의 주위 벽(5)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멈춤쇠(32)는 개방 탭의 파지부를 밀봉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원주 플랜지(27)에 래치결합 방식으로 걸림고정되며, 상기 멈춤쇠(32)는 주위 벽의 외측으로부터 주위 벽내로 가압되어, 주위 벽의 원주를 따라 주위 벽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뚜껑.
  28. 캔용 캔 단부 뚜껑에 있어서,
    상기 캔 단부 뚜껑이,
    시트 재료로 제조되는 뚜껑 판(2)으로서, 상면(3)과 하면(4) 및 상기 뚜껑 판의 상면상으로 돌출하고 둘러싸는 주위 벽(5)을 구비하고, 상기 주위 벽과 상기 뚜껑 판 상에 배치되는 고정 스터드(6) 사이에는 절취부(8)를 갖는 절취 영역(7)이 형성되며, 상기 절취부는 소정의 절취선(9)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뚜껑 판과,
    시트 재료로 제조되고 가압부(21)와 파지부(22)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부와 상기 파지부 사이의 개방 탭의 절취부(24) 내에서 가압부에 형성되는 체결 텅(23)에 의해 상기 고정 스터드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개방 탭(20)으로서, 하향 돌출 밀봉 부착물(25)은 상기 파지부의 상면으로부터 가압되는 리세스 영역에 의해 상기 파지부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밀봉 부착물은 밀봉 부착물의 원주 윤곽 주위에 원주 림(26)을 포함하는, 상기 개방 탭(20)을 포함하며,
    따라서, 상기 가압부(21)는 절취부(8)를 소정의 절취선을 따라서 뚜껑 판으로부터 분리하고 뚜껑 판에 개구(10)를 생성하기 위해 개방 탭(20)의 개방 회전 위치에서 절취 영역 상으로 하향 가압될 수 있고, 상기 개구는 개방 탭(20)을 고정 스터드(6) 주위에서 폐쇄 회전 위치로 회전시킨 후에 파지부(22)를 밀봉 위치로 하향 가압함으로써 상기 밀봉 부착물(25)에 의해 다시 폐쇄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 탭(20)의 파지부(22)는 파지부(22)의 밀봉 위치에서 절취 영역(7)을 지나 돌출하고 상기 뚜껑 판(2)의 주위 벽에 근접하는 그 외부 에지와 함께 연장되는 원주 플랜지(27)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스터드로부터 외면되는 절취 영역 측의 외주 벽(5)상에는 멈춤쇠(32)가 주위 벽(5)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멈춤쇠(32)는 주위 벽의 외측으로부터 주위 벽내로 가압되어, 주위 벽의 원주를 따라 주위 벽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멈춤쇠는 파지부를 개방 탭의 파지부의 밀봉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원주 플랜지에 래치결합 방식으로 걸림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뚜껑.
  29. 제 12 항에 따른 캔 단부 뚜껑(1)을 포함하는
    음료 캔(50).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탭(20)의 파지부(22)는 개방 탭의 폐쇄 회전 위치에서 링-벽(11)을 지나 돌출하는 원주 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개방 탭은 폐쇄 회전 위치에 있으며, 상기 절취부(8)가 폐쇄 및 분리되는 동안에 링-벽(11)에 의해 둘러싸인 리세스(12)내로 밀봉 부착물(25)과 함께 침강되며, 상기 개방 탭의 폐쇄 회전 위치에서의 개방 탭은 고정 스터드(6)로부터 외면하고 뚜껑 판(2)의 주위 벽(5)에 근접한 위치에 있는 원주 플랜지의 일부분을 구비하며, 그 결과 상기 절취 영역(7)과 상기 링-벽(11)이 파지부(22)와 개방 탭의 원주 플랜지에 의해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캔.
  31. 제 1 항 또는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설계된 캔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뚜껑 판(2)의 밀봉 부착물(25)은 밀봉 림(26)을 형성하는 원주 벽(33)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 판(2)과 상기 개방 탭(20)은, 각각 뚜껑 판(2)의 링-벽(11)과, 상기 밀봉 부착물(25)의 원주 벽(33)을 형성하는 밀봉 림(26)을 형성하기 위한 별개의 프로세스 단계로 형성되며,
    상기 개방 탭(20)은 뚜껑 판(2)의 고정 스터드(6)에 체결 텅(23)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리벳 접합되며,
    이후 뚜껑 판의 링-벽(11)은 개방 탭(20)의 밀봉 부착물(25)의 원주 벽(33)을 형성하는 밀봉 림(26)과 함께, 개방 탭은 폐쇄 회전 위치에 있고 그리고 파지부(22)는 파지부(22)의 밀봉 부착물(25)이 그 밀봉 림(26)과 함께 링-벽(11)의 내면에 결합되는 밀봉 위치로 하강되는 뚜껑 판과 개방 탭의 상태에서, 프레스 다이(60)와 프레스 램(61) 사이에서 함께 압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제조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압박 작업 이후에, 상기 뚜껑 판(2)의 주위 벽(9)은, 파지부(22)가 그 밀봉 위치에 배치되는 개방 탭(20)의 상태에서, 주위 벽의 자유 플랜지(51)와 함께 캔(50)의 캔 단부(52) 상에 꼭맞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제조 방법.
KR1020117002290A 2008-07-04 2008-09-11 회전가능한 개방 및 재밀봉 탭을 갖는 재폐쇄가능한 캔 단부 뚜껑 및 재밀봉가능한 캔 단부 뚜껑이 구비된 음료 캔 KR1013170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810031667 DE102008031667A1 (de) 2008-07-04 2008-07-04 Wieder verschließbarer Dosendeckel sowie Getränkedose
DE102008031667.9 2008-07-04
PCT/EP2008/062075 WO2010000340A1 (en) 2008-07-04 2008-09-11 Re-closable can end lid with a rotatable opening and re-sealing tab and drink can equipped with the re-sealable can end li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822A KR20110036822A (ko) 2011-04-11
KR101317061B1 true KR101317061B1 (ko) 2013-10-11

Family

ID=40432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2290A KR101317061B1 (ko) 2008-07-04 2008-09-11 회전가능한 개방 및 재밀봉 탭을 갖는 재폐쇄가능한 캔 단부 뚜껑 및 재밀봉가능한 캔 단부 뚜껑이 구비된 음료 캔

Country Status (27)

Country Link
US (1) US8434635B2 (ko)
EP (2) EP2310281B1 (ko)
JP (1) JP5409781B2 (ko)
KR (1) KR101317061B1 (ko)
CN (1) CN102123917B (ko)
AU (1) AU2008358819B2 (ko)
BR (1) BRPI0822918B1 (ko)
CA (1) CA2728443C (ko)
CY (1) CY1117305T1 (ko)
DE (1) DE102008031667A1 (ko)
DK (2) DK3009369T3 (ko)
ES (2) ES2562440T3 (ko)
HR (1) HRP20160149T1 (ko)
HU (2) HUE038164T2 (ko)
IL (1) IL210440A (ko)
MX (1) MX2010014285A (ko)
NZ (1) NZ590021A (ko)
PL (2) PL3009369T3 (ko)
PT (1) PT2310281E (ko)
RS (1) RS54107B1 (ko)
RU (1) RU2464211C1 (ko)
SA (1) SA109300430B1 (ko)
SI (1) SI2310281T1 (ko)
TW (1) TWI439396B (ko)
UA (1) UA101372C2 (ko)
WO (1) WO2010000340A1 (ko)
ZA (1) ZA2011000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36840A1 (en) * 2009-08-14 2011-02-17 Tal Zakai Ring pull can cap
EP2409925B1 (de) * 2010-07-19 2012-12-19 Red Bull GmbH Wiederverschließbarer Gebindedeckel, Gebinde, insbesondere Getränkedosen, enthaltend den wiederverschließbaren Gebindedeckel, Verfahren zur Herstellung solcher Gebinde sowie die Verwendung des erfindungsgemäßen Gebindedeckels
AU2013202423B2 (en) * 2010-07-19 2015-04-09 Red Bull Gmbh Seal for a reclosable container lid and container lid
CN105263812B (zh) 2013-06-13 2018-04-06 昭和铝罐株式会社 罐盖和饮料罐
CN103318510A (zh) * 2013-06-26 2013-09-25 无锡市市北高级中学 防洒溅易拉罐盖
US9333289B1 (en) 2015-01-16 2016-05-10 Plas-Tech Engineering, Inc. Tamper evident closure container
US10337617B2 (en) * 2015-03-10 2019-07-02 Trelleborg Sealing Solutions Us, Inc. Canned seal assembly
CN105416765A (zh) * 2015-11-27 2016-03-23 苏州市职业大学 一种易拉罐罐盖
ITUB20160521A1 (it) * 2016-01-22 2017-07-22 Stefano Emanuelli Dispositivo per l’apertura e la chiusura di una lattina e lattina comprendente tale dispositivo
RS1476U1 (sr) 2016-08-05 2016-11-30 Jovan Jevtić Plastični poklopac za limenke sa otvaračem za otvaranje i ponovno zatvaranje
PT3385185T (pt) * 2017-04-05 2020-08-18 Gregor Anton Piech Tampa de lata metálica
UA121765U (uk) * 2017-07-11 2017-12-11 Іностранноє Проізводствєнноє Унітарноє Прєдпріятіє "Алкопак" Закупорювальний засіб для ємності
EP3741705A1 (de) * 2018-06-19 2020-11-25 Top Cap Holding GmbH Metallischer dosendeckel
ES2874333T3 (es) * 2018-12-17 2021-11-04 Re Lid Eng Ag Sistema de cierre para latas de bebida
US11661233B2 (en) * 2019-06-28 2023-05-30 Florence M Vinger Reclosable can ends
US11299334B2 (en) 2019-09-05 2022-04-12 Sonoco Development, Inc. Membrane lid with integrated two-stage tab system
CN112498903A (zh) * 2020-10-26 2021-03-16 苏州斯莱克精密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可再封的易拉盖
US20240124189A1 (en) * 2021-02-24 2024-04-18 Ball Corporation Can end
WO2023194987A1 (en) * 2022-04-06 2023-10-12 Beverage Container Innovation Ltd. Safety mechanism for containers
USD988126S1 (en) * 2022-06-14 2023-06-06 Meirong Lv Bottle li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5215A (en) * 1987-06-02 1989-09-12 Wells Robert A Reclosable self-opening can end
US5129773A (en) * 1990-08-29 1992-07-14 Shock John P Container and closeable pull tab
FR2826940A1 (fr) * 2001-07-05 2003-01-10 Abdel Nasser Fares Dispositif de fermeture d'un conteneur a auto-ouvertur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20186A (en) * 1937-01-28 1938-06-07 Continental Can Co Easy opening sheet metal container
US3223277A (en) * 1963-02-19 1965-12-14 American Can Co Container closure
US3325043A (en) * 1964-05-06 1967-06-13 Continental Can Co Container closure
US3625392A (en) * 1970-03-16 1971-12-07 Stolle Corp Means for attaching a pull-tab to a can end
US3820681A (en) * 1972-04-06 1974-06-28 Orbital Container Corp Score-line structure
US4018178A (en) * 1975-03-27 1977-04-19 Gerald B. Klein Method of manufacture of a gated can lid with score at upper surface
US4433792A (en) * 1982-09-29 1984-02-28 George Mandel Opening and stopper device
US4442950A (en) 1983-01-24 1984-04-17 Wilson Thomas P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a container top
US4463866A (en) 1983-03-11 1984-08-07 George Mandel Contamination protection member for opening and resealing device
US4877129A (en) * 1988-06-15 1989-10-31 Wells Robert A Reclosable self-opening can end
US6059137A (en) 1997-01-24 2000-05-09 Westwood; Peter L. Reclosable drink can
JPH1191779A (ja) 1997-09-18 1999-04-06 Shizuko Miura 飲料缶
US7004345B2 (en) * 2001-08-16 2006-02-28 Rexam Beverage Can Company Can end
JP2004001782A (ja) 2002-04-09 2004-01-08 Masaharu Matsushita 飲料缶のリキャップ可能な缶蓋構造
DE10261232A1 (de) * 2002-12-20 2004-07-22 Wichelhaus, André Verschluss für einen Behälter
WO2006000020A1 (en) 2004-06-29 2006-01-05 European Nickel Plc Improved leaching of base metals
WO2006009483A2 (en) 2004-07-23 2006-01-26 Willemsen Rinze A resealable flip-top beverage can lid
US20070062946A1 (en) 2005-04-19 2007-03-22 Huffman Todd A Can re-sealing mechanis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5215A (en) * 1987-06-02 1989-09-12 Wells Robert A Reclosable self-opening can end
US5129773A (en) * 1990-08-29 1992-07-14 Shock John P Container and closeable pull tab
FR2826940A1 (fr) * 2001-07-05 2003-01-10 Abdel Nasser Fares Dispositif de fermeture d'un conteneur a auto-ouver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009369T3 (pl) 2018-09-28
JP5409781B2 (ja) 2014-02-05
TWI439396B (zh) 2014-06-01
DE102008031667A1 (de) 2010-01-14
RS20110486A1 (en) 2012-08-31
MX2010014285A (es) 2011-05-23
CY1117305T1 (el) 2017-04-26
ZA201100083B (en) 2011-10-26
IL210440A0 (en) 2011-03-31
HUE038164T2 (hu) 2018-09-28
CA2728443C (en) 2014-02-11
IL210440A (en) 2015-04-30
BRPI0822918A2 (pt) 2015-06-23
AU2008358819A1 (en) 2010-01-07
DK3009369T3 (en) 2018-07-16
US8434635B2 (en) 2013-05-07
US20110163096A1 (en) 2011-07-07
WO2010000340A1 (en) 2010-01-07
CN102123917A (zh) 2011-07-13
EP3009369A1 (en) 2016-04-20
PT2310281E (pt) 2016-03-17
NZ590021A (en) 2012-07-27
UA101372C2 (uk) 2013-03-25
EP3009369B1 (en) 2018-04-11
EP2310281A1 (en) 2011-04-20
BRPI0822918B1 (pt) 2019-01-02
RS54107B1 (en) 2015-10-30
SI2310281T1 (sl) 2016-03-31
CN102123917B (zh) 2014-04-30
HUE026167T2 (en) 2016-05-30
DK2310281T3 (da) 2016-02-15
KR20110036822A (ko) 2011-04-11
SA109300430B1 (ar) 2014-06-17
ES2562440T3 (es) 2016-03-04
JP2011526230A (ja) 2011-10-06
RU2464211C1 (ru) 2012-10-20
HRP20160149T1 (hr) 2016-03-11
EP2310281B1 (en) 2015-11-11
PL2310281T3 (pl) 2016-05-31
TW201028341A (en) 2010-08-01
ES2675015T3 (es) 2018-07-05
AU2008358819B2 (en) 2012-12-13
RU2011102838A (ru) 2012-08-10
CA2728443A1 (en) 201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061B1 (ko) 회전가능한 개방 및 재밀봉 탭을 갖는 재폐쇄가능한 캔 단부 뚜껑 및 재밀봉가능한 캔 단부 뚜껑이 구비된 음료 캔
KR102077497B1 (ko) 재밀폐가능한 캔 뚜껑
CN113573984B (zh) 罐盖、罐以及用于制造罐盖的方法
JPS643750B2 (ko)
JPS61273354A (ja) 容器密封キヤツプ
CN110650894B (zh) 用于产品、特别是食品的不透气密封储藏的容器
EP2084077B1 (en) Can closure arrangement
US20080073365A1 (en) Reclosable Foil Lid
CN114341009A (zh) 可再封闭的易拉罐端部
CN210734995U (zh) 粉末容器的密封盖
US20140209556A1 (en) Closure Arrangement for Cans
CN115768695A (zh) 罐盖
WO2003076289A1 (en) Closure arrangement for cans and pots
JP2005119664A (ja) 容器用栓およびこの容器用栓の製造方法
CA2401292A1 (en) Pail and lid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