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6345B1 - 우수한 강도 및 단열성능을 갖는 불소성 팽창질석계 세라믹스 - Google Patents

우수한 강도 및 단열성능을 갖는 불소성 팽창질석계 세라믹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6345B1
KR101316345B1 KR1020110118860A KR20110118860A KR101316345B1 KR 101316345 B1 KR101316345 B1 KR 101316345B1 KR 1020110118860 A KR1020110118860 A KR 1020110118860A KR 20110118860 A KR20110118860 A KR 20110118860A KR 101316345 B1 KR101316345 B1 KR 101316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ded vermiculite
thermal insulation
insulation performance
based ceramics
fluor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3213A (ko
Inventor
이승석
엄정혜
김영욱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18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6345B1/ko
Publication of KR20130053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1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silicates other than c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28B1/1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and applying pressure otherwise than by the use of pr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605Treating the starting powders individually or as mixtures
    • C04B35/62645Thermal treatment of powders or mixtures thereof other than sintering
    • C04B35/62655Drying, e.g. freeze-drying, spray-drying, microwave or supercritical dr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3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using additiv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the products, e.g.. binder binders
    • C04B35/6303In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3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using additiv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the products, e.g.. binder binders
    • C04B35/632Organic additives
    • C04B35/634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0Aspects relating to sintered or melt-casted ceramic products
    • C04B2235/96Properties of ceramic products, e.g.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toughness, wea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강도 및 단열성능을 갖는 불소성 팽창질석계 세라믹스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태양은 중량%로, 팽창질석: 75~97%, 유기결합제: 1~12%, 무기결합제: 2~13%를 포함하며, 상기 유기결합제는 페놀수지이고, 상기 무기결합제는 붕산 및 붕산소다 중 1종 이상인 것을 포함하는 우수한 강도 및 단열성능을 갖는 불소성 팽창질석계 세라믹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강도와 단열 성능이 우수하여 다양한 분야의 각종 가열 장치의 단열재로 사용이 가능하고, 특히 철강산업에서 사용되는 래들, 혼선차, 전로 등의 단열재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며, 에너지 절감 및 작업성 향상 효과가 우수한 불소성 팽창질석계 세라믹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우수한 강도 및 단열성능을 갖는 불소성 팽창질석계 세라믹스{UNBURNED EXPANDED VERMICULITE-BASED CERAMICS HAVING EXCELLENT STRENGTH AND THERMAL INSULATION}
본 발명은 우수한 강도 및 단열성능을 갖는 불소성 팽창질석계 세라믹스에 관한 것이다.
팽창질석이란 질석을 소정의 입경을 갖도록 파쇄한 뒤, 소성해서 팽창시킨 인공 골재로서, 밀도가 0.07~0.30g/㎤로 매우 낮아서 경량성이 우수하며, 열전도율이 0.06~0.09W/m·K로 단열성이 매우 우수하고, 1400℃까지 내화성을 가지므로 단열재로 사용하기에 매우 우수한 재료이다.
이러한 팽창질석을 주원료로 사용하여 단열재를 제조하는 종래 기술에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695910호가 있다. 상기 기술은 팽창질석과 에폭시수지 및 페놀수지로 이루어진 유기바인더 및 점토를 함유하는 고강도 질석 보드에 관한 것인데, 과량의 유기바인더를 사용하기 때문에 고온에서는 유기바인더의 열화 또는 분해에 의해 사용이 불가능하고, 상온에서만 사용가능한 건축재, 바닥재 및 가구의 자재 등의 단열재에만 적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다른 종래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707301호와 0895213호가 있다. 제0707301호는 질석 또는 진주암을 규산염과 같은 무기물 결합제와 함께 혼합하여 가압성형하는 공정과 건조공정을 거쳐 단열재를 제조하는 기술이며, 제0895213호는 팽창질석에 액상 규산소다를 분사하여 가압성형함으로써, 단열재를 제조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기술들에서 사용된 규산염 또는 규산소다는 단열재의 강도를 충분히 향상시키기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상기 물질들을 사용하여 제조된 단열재의 경우 압축강도가 60Kg/㎠에 불과하여, 비중이 무거운 철강의 연속 주조에 사용되는 래들 및 혼선차, 전로 등의 단열재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당히 높은 온도에서 진행되는 철강 프로세스 등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고강도를 가짐과 동시에 우수한 단열 성능을 갖는 단열 재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상온뿐만 아니라 고온의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우수한 강도와 단열 성능을 갖는 불소성 팽창질석계 세라믹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태양은 중량%로, 팽창질석: 75~97%, 유기결합제: 1~12%, 무기결합제: 2~13%를 포함하며, 상기 유기결합제는 페놀수지이고, 상기 무기결합제는 붕산 및 붕산소다 중 1종 이상인 것을 포함하는 우수한 강도 및 단열성능을 갖는 불소성 팽창질석계 세라믹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태양은 중량%로, 팽창질석: 75~97%, 유기결합제: 1~12%, 무기결합제: 2~13%를 포함하는 원료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성형하여 성형체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성형체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기결합제는 페놀수지이고, 상기 무기결합제는 붕산 및 붕산소다 중 1종 이상인 것을 포함하는 우수한 강도 및 단열성능을 갖는 불소성 팽창질석계 세라믹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강도와 단열 성능이 우수하여 다양한 분야의 각종 가열 장치의 단열재로 사용이 가능하고, 특히 철강산업에서 사용되는 래들, 혼선차, 전로 등의 단열재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며, 에너지 절감 및 작업성 향상 효과가 우수한 불소성 팽창질석계 세라믹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태양에 따른 불소성 팽창질석계 세라믹스의 미세조직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온뿐만 아니라 고온의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특히 철강 프로세스 등에 적용될 수 경우, 노체 외부로의 열방산 저감 효과가 뛰어난 세라믹스를 제조하기 위하여, 심도있게 연구한 결과, 세라믹스의 원료 물질들의 종류와 그 양을 제어함으로써, 우수한 강도와 더불어 단열 성능 또한 우수한 세라믹스를 제조할 수 있다는 식견을 얻게 되었고, 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불소성 팽창질석계 세라믹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태양은 중량%로, 팽창질석: 75~97%, 유기결합제: 1~12%, 무기결합제: 2~13%를 포함하며, 상기 유기결합제는 페놀수지이고, 상기 무기결합제는 붕산 및 붕산소다 중 1종 이상인 불소성 팽창질석계 세라믹스를 제공한다.
팽창질석은 밀도와 열전도율이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고온에서도 우수한 내화성을 가지므로, 단열재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원료이다. 따라서,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팽창질석은 75%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97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유기결합제 또는 무기결합제의 함량이 적어져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팽창질석은 75~97중량%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태양에 따른 팽창질석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입도에 대해서도 특별히 구애받지 않으므로, 상기 팽창질석의 입도 범위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세라믹스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기결합제와 무기결합제를 사용하는데, 상기 유기결합제는 400℃이하의 온도에서 강도 발현에 주요한 기여를 하고, 상기 무기결합제는 400~1200℃의 온도범위에서 강도 발현에 주요한 기여를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유기결합제와 무기결합제를 복합적이면서도 적정 범위의 양으로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팽창질석의 입자와 입자간 결합을 향상시켜 세라믹스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유기결합제와 무기결합제는 각각 1중량%와 2중량% 이상으로 첨가될 필요가 있다. 다만, 그 양이 과다하게 많을 경우, 강도는 상당히 증가하나 상대적으로 단열 성능이 저하되므로, 각각 12중량% 및 13중량% 이하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기결합제로는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높은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페놀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페놀수지의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노볼락(novolak)계 페놀수지와 레졸(resol)계 페놀수지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무기결합제 또한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붕산 및 붕산소다 중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강도 확보에 매우 유리하다.
상기 세라믹스의 미세조직은 층상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층상구조로 이루어지는 세라믹스는 이 세라믹스를 이루는 각 층마다 통과하는 열에 대하여 단열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조성을 만족하는 세라믹스는 230~500Kg/㎠의 압축강도와 0.09~0.40W/m·K의 열전도도를 갖는데, 이와 같이 강도와 단열 특성이 모두 우수하여, 상온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분야의 제품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온의 환경 특히,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래들, 혼선차, 전로 등의 단열재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불소성 팽창질석계 세라믹스는 기존의 단열재 제조에 사용하는 환경오염의 우려가 있는 무기섬유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중 하나는 불소성 팽창질석계 세라믹스의 제조 시 소성공정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소성공정을 거치지 않으므로 친환경적이면서도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태양은 중량%로, 팽창질석: 75~97%, 유기결합제: 1~12%, 무기결합제: 2~13%를 포함하는 원료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성형하여 성형체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성형체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기결합제는 페놀수지이고, 상기 무기결합제는 붕산 및 붕산소다 중 1종 이상인 것을 포함하는 불소성 팽창질석계 세라믹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우선, 전술한 바와 같은 조성을 갖는 팽창질석, 유기결합제 및 무기결합제를 포함하는 원료를 준비한 뒤, 상기 원료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다. 이 때, 상기 원료는 페놀수지를 용해시키기 위한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원료들의 혼합을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본 발명의 유기결합제 즉, 페놀수지를 용해시키기 위한 것이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에탄올 또는 메탄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휘발되어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세라믹스에는 거의 남지 않게 된다.
상기 혼합 방법으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예로는 상기 원료를 교반기에 모두 투입한 뒤, 동시에 교반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한편으로는, 상기 원료 중 팽창질석과 무기결합제를 교반하면서 동시에 유기결합제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 방법은 유기결합제가 액상일 경우 보다 바람직한 교반 방법이며, 이러한 액상 유기결합제를 팽창질석과 무기결합제에 분무하여 교반시킴으로써,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경제성 향상을 위하여 상기 원료를 볼밀링하여 혼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 방법은 원료의 혼합과 분쇄를 동시에 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때, 상기 교반에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교반기를 사용할 수 있고, 볼밀링은 폴리프로필렌 볼밀 또는 고무가 라이닝된 철제 볼밀과 세라믹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방법들은 상기 원료들의 균일한 혼합을 위해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혼합은 3~24시간 동안 행하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 시간이 3시간 미만이면 균일한 혼합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며, 24시간을 초과하게 되면, 원료의 혼합 효과 대비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후, 원료의 혼합을 통해 얻어진 혼합물을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형 방법 및 조건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일축가압 성형 방법을 사용하여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정의 형상의 금형에 상기 원료 혼합물을 투입하여 50~3000Kg/㎠의 압력을 가해 성형체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압력이 50Kg/㎠미만일 경우에는 성형체의 강도를 확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성형 자체가 완젼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3000Kg/㎠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성형체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부서질 수 있다. 한편, 대형 기물 또는 복잡한 형상의 경우에는 에머해머를 사용하여 성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성형이 완료된 후에는 성형체를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건조는 50~200℃의 온도 범위에서 행하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50℃미만일 경우에는 유기결합제의 경화가 충분하지 못하여 압축강도를 충분히 향상시키지 못할 수 있으며, 건조시간이 지나치게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고, 2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강도 증가 없이 에너지가 많이 소요되므로 제조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는 유기결합제의 충분한 경화를 통해 강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0.5시간 이상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건조 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지는 경우, 강도증가 또는 열전도도의 저하의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24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건조 시간은 0.5~24시간 동안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를 위한 분위기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특히 본 발명에는 대기 중에서 상기 건조를 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에는 건조를 위하여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거나 특별한 장치 혹은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지만, 본 발명의 세라믹스는 일반적인 대기 분위기에서도 제조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의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라믹스 제조를 위한 원료를 준비한 뒤, 상기 조성물에 대하여 15중량%의 에탄올을 용매로 첨가하여 교반기를 통해 3시간 동안 교반하여 균일한 혼합물을 얻었다. 상기 혼합물을 가압할 수 있는 금형몰드를 사용하여 200Kg/㎠의 압력으로 200×200×20mm의 크기를 갖는 성형체를 제조한 뒤, 이를 하기 표 1에 나타난 건조조건으로 공기 중에서 건조하여 불소성 고강도 팽창질석계 세라믹스를 제조하였다. 이 때, 페놀수지는 노볼락계 페놀수지를 사용하였다.
이후, 상기와 같이 제조된 세라믹스에 대하여 10×10×10mm의 크기로 절단 및 연마하여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압축 강도는 만능시험기를 사용하여 크로스헤드(cross-head) 속도 0.5mm/min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각 시편을 10×10×2mm로 절단하여 열전도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렇게 측정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팽창질석 페놀수지 붕산소다 붕산 건조조건 압축강도
(Kg/㎠)
열전도도
(W/m·K)
온도
(℃)
시간
(Hour)
비교예1 88 0 5 7 200 3 48 0.67
비교예2 88 12 0 0 180 3 56 0.55
발명예1 90 4 6 0 180 2 250 0.29
발명예2 85 5 10 0 160 6 451 0.27
발명예3 86 9 5 0 100 12 250 0.24
발명예4 85 10 0 5 200 1 391 0.19
발명예5 93 5 0 2 120 12 265 0.17
발명예6 80 10 0 10 140 10 396 0.29
발명예7 94 3 0 3 90 22 270 0.11
발명예8 97 1 1 1 180 4 239 0.09
발명예9 80 8 6 6 200 3 385 0.30
발명예10 75 12 10 3 140 10 255 0.35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유기결합제와 무기결합제를 모두 사용한 발명예 1 내지 10의 경우에는 239Kg/㎠이상의 압축강도와 0.35W/m·K이하의 열전도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단열재로 사용되기에 매우 적합한 높은 수준의 압축강도와 낮은 열전도도를 갖는 세라믹스가 제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이 제안하는 유기결합제인 페놀수지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이나, 무기결합제인 붕산소다 또는 붕산이 첨가되지 않은 비교예 2의 경우에는 압축강도가 각각 48Kg/㎠, 56Kg/㎠로서,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고, 열전도도 또한 0.67W/m·K, 0.55W/m·K 수준으로서 본 발명의 세라믹스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열전도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은 발명예 1의 불소성 팽창질석계 세라믹스의 미세조직을 나타내는 사진인데,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태양에 따른 세라믹스는 그 미세조직이 층상구조를 가지고 있고, 이를 통해, 단열 성능이 우수할 것이라는 것을 어렵지 않게 유추할 수 있다.

Claims (11)

  1. 중량%로, 팽창질석: 75~97%, 유기결합제: 1~12%, 무기결합제: 2~13%를 포함하며,
    상기 유기결합제는 페놀수지이고, 상기 무기결합제는 붕산 및 붕산소다 중 1종 이상인 것을 포함하는 우수한 강도 및 단열성능을 갖는 불소성 팽창질석계 세라믹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스는 미세조직이 층상구조를 갖는 것을 포함하는 우수한 강도 및 단열성능을 갖는 불소성 팽창질석계 세라믹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스는 230~500Kg/㎠의 압축강도와 0.09~0.40W/m·K의 열전도도를 갖는 우수한 강도 및 단열성능을 갖는 불소성 팽창질석계 세라믹스.
  4. 중량%로, 팽창질석: 75~97%, 유기결합제: 1~12%, 무기결합제: 2~13%를 포함하는 원료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성형하여 성형체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성형체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기결합제는 페놀수지이고, 상기 무기결합제는 붕산 및 붕산소다 중 1종 이상인 것을 포함하는 우수한 강도 및 단열성능을 갖는 불소성 팽창질석계 세라믹스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는 페놀수지를 용해시키기 위한 용매를 더 포함하는 우수한 강도 및 단열성능을 갖는 불소성 팽창질석계 세라믹스의 제조방법.
  6. 제4에 있어서,
    상기 혼합은 상기 원료를 동시에 교반하는 방법, 상기 원료 중 팽창질석과 무기결합제를 교반하면서 동시에 유기결합제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방법 및 상기 원료를 볼밀링하여 혼합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우수한 강도 및 단열성능을 갖는 불소성 팽창질석계 세라믹스의 제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은 3~24시간동안 행하여지는 것을 포함하는 우수한 강도 및 단열성능을 갖는 불소성 팽창질석계 세라믹스의 제조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성형 시 50~3000Kg/㎠의 압력을 가해 성형체를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우수한 강도 및 단열성능을 갖는 불소성 팽창질석계 세라믹스의 제조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50~200℃의 온도 범위에서 행하여지는 것을 포함하는 우수한 강도 및 단열성능을 갖는 불소성 팽창질석계 세라믹스의 제조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0.5~24시간동안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강도 및 단열성능을 갖는 불소성 팽창질석계 세라믹스의 제조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대기 중에서 행하여지는 것을 포함하는 우수한 강도 및 단열성능을 갖는 불소성 팽창질석계 세라믹스의 제조방법.
KR1020110118860A 2011-11-15 2011-11-15 우수한 강도 및 단열성능을 갖는 불소성 팽창질석계 세라믹스 KR101316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860A KR101316345B1 (ko) 2011-11-15 2011-11-15 우수한 강도 및 단열성능을 갖는 불소성 팽창질석계 세라믹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860A KR101316345B1 (ko) 2011-11-15 2011-11-15 우수한 강도 및 단열성능을 갖는 불소성 팽창질석계 세라믹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213A KR20130053213A (ko) 2013-05-23
KR101316345B1 true KR101316345B1 (ko) 2013-10-18

Family

ID=48662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860A KR101316345B1 (ko) 2011-11-15 2011-11-15 우수한 강도 및 단열성능을 갖는 불소성 팽창질석계 세라믹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63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51428A1 (en) 2000-01-13 2001-07-19 Balmoral Technologies (Proprietary) Limited Method of making a product from an expanded mineral
JP2002500107A (ja) * 1998-01-12 2002-01-08 アシュランド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断熱スリーブ及びそれらの使用
JP2002285037A (ja) 2001-03-23 2002-10-03 Mitsubishi Shoji Construction Materials Corp 塗装用組成物
KR100695910B1 (ko) * 2006-12-11 2007-03-20 (주)정진브이앤피 고강도 질석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0107A (ja) * 1998-01-12 2002-01-08 アシュランド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断熱スリーブ及びそれらの使用
WO2001051428A1 (en) 2000-01-13 2001-07-19 Balmoral Technologies (Proprietary) Limited Method of making a product from an expanded mineral
JP2002285037A (ja) 2001-03-23 2002-10-03 Mitsubishi Shoji Construction Materials Corp 塗装用組成物
KR100695910B1 (ko) * 2006-12-11 2007-03-20 (주)정진브이앤피 고강도 질석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213A (ko)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82840B2 (ja) 低温急速焼成による軽質セラミック保温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673678B (zh) 一种莫来石轻质隔热砖及其制备方法
JP4395626B2 (ja) 非加熱硬化型バインダー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体の製造方法
CN107098651A (zh) 一种环保建筑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383875B1 (ko) 무기질 다공성 단열재 조성물 제조방법
CN102976710A (zh) 纳米微孔保温材料
CN106478077A (zh) 一种建筑用多孔保温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518115A (zh) 一种耐火材料及其制备方法
CN108975949B (zh) 一种基于原位发泡AlON-AlN多孔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499406B1 (ko) 사형 주조용 주물사, 그를 포함하는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CN105541371B (zh) 一种利用油井土和废玻璃制备的泡沫陶瓷及其方法
CN108609990A (zh) 一种耐冲击抗压防断裂保温材料
CN110814273B (zh) 一种呋喃树脂负载纳米陶瓷改性型砂
JP2013520392A (ja) 強化複合材料、それを調製する方法、製造物を調製するのにそれを使用する方法、ならびにこのような方法で形成した製造物およびその製造物の使用方法
KR101316345B1 (ko) 우수한 강도 및 단열성능을 갖는 불소성 팽창질석계 세라믹스
KR20140096756A (ko) 단열효과가 우수한 경량 콘크리트 조성물
CN111807808B (zh) 一种耐高温隔热复合材料的制备方法
JP2017057105A (ja) 調湿用セメント質硬化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硬化体
CN101955372A (zh) 一种莫来石纤维增强多孔陶瓷制品及利用废陶瓷制备该制品的方法
CN110194617A (zh) 一种绿色节能复合保温砌块及其制备方法
CN107848888B (zh) 低硼到无硼无机粘结剂体系
CN115521144B (zh) 一种以酚醛树脂为粘接剂的预焙阳极及其制造方法
CN115849883B (zh) 一种易于成型的抗腐蚀刚玉耐磨浇注料及其制备方法
KR101123906B1 (ko) 단열 세라믹스 및 그의 제조방법
CN104926305A (zh) 一种叉车发动机排气管用复合改性蒙脱土-炭化发泡酚醛树脂基隔热材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