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762B1 - 진공 습윤을 이용한 연료전지 스택 활성화 방법 - Google Patents

진공 습윤을 이용한 연료전지 스택 활성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762B1
KR101315762B1 KR1020110012107A KR20110012107A KR101315762B1 KR 101315762 B1 KR101315762 B1 KR 101315762B1 KR 1020110012107 A KR1020110012107 A KR 1020110012107A KR 20110012107 A KR20110012107 A KR 20110012107A KR 101315762 B1 KR101315762 B1 KR 101315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ck
vacuum
activation
fuel cell
minu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2215A (ko
Inventor
추현석
신환수
이재혁
이성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2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762B1/ko
Publication of KR20120092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2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23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during start-up or shut-down; Depolarisation or activation, e.g. purging; Means for short-circuiting defective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applied during specific peri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applied during specific periods
    • H01M8/0430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applied during specific periods applied during shut-dow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습윤을 이용한 연료전지 스택 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전지 스택의 활성화 공정중 셧 다운 단계에서, 진공 습윤 방법을 도입하여 활성화에 소요되는 시간 및 수소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진공 습윤을 이용한 연료전지 스택 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연료전지 스택의 활성화 공정중 셧 다운 단계에서, 진공 습윤 방법을 적용하여 스택 내부에 진공을 유도함으로써, 스택 내부의 물이 고분자 전해질 막의 서브마이크로 기공으로 쉽게 확산되어 막의 이온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스택 활성화에 소요되는 시간 및 수소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진공 습윤을 이용한 연료전지 스택 활성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 습윤을 이용한 연료전지 스택 활성화 방법{Method for fuel cell activation using vacuum wetting}
본 발명은 진공 습윤을 이용한 연료전지 스택 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전지 스택의 활성화 공정중 셧 다운 단계에서, 진공 습윤 방법을 도입하여 활성화에 소요되는 시간 및 수소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진공 습윤을 이용한 연료전지 스택 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 스택의 조립 제작 후, 초기 운전시에는 전기 화학 반응에서 그 활성도가 떨어지므로, 정상적인 초기 성능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서 반드시 스택 활성화(Activation)라는 공정을 진행해야 한다.
프리-컨디셔닝(Pre-conditioning) 또는, 브레이크 인(break-in)으로 불리기도 하는 연료전지 활성화의 목적은 반응에 참여하지 못하는 촉매를 활성화시키고, 전해질 막 및 전극내 포함된 전해질을 충분히 수화시켜 수소이온 통로를 확보하는데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연료전지 스택의 조립 후, 정상 상태의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3상의 전극반응 면적 확보, 고분자 전해질 막 또는 전극의 불순물 제거, 고분자 전해질 막의 이온전도성 향상을 목적으로 스택 활성화 공정이 진행된다.
종래의 스택 활성화 방법에 대한 일례로서, 첨부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류 밀도 방전과 셧다운(shut-down) 상태로 구성된 펄스 방전을 수회 내지 수십회 반복 실시하고 있으며, 220셀 서브모듈 기준으로 약 1시간 30분에서 2시간 정도 공정 시간이 소요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종래의 스택 활성화 방법은 고전류밀도(1.2 또는 1.4A/㎠)를 3분 동안 방전하는 과정과, 셧다운 상태에서 5분 동안 펄스 방전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11회 정도 반복 실시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펄스 방전을 통한 활성화 공정에서는 그 공정시간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수소량도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즉, 셧다운(Shut-Down) 상태에서 펄스 방전을 이용하는 기존의 스택 활성화 방법은 연료전지의 내부 물 유동에 변화를 주어 활성화 속도가 증가하는 잇점이 있는 반면, 220셀 서브모듈 기준으로 활성화에 소요되는 시간은 약 105분, 수소사용량은 약 2.9kg가 소요되어, 공정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고, 수소 소모량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연료전지 스택의 활성화 공정중 셧 다운 단계에서, 진공 습윤 방법을 적용하여 스택 내부에 진공을 유도함으로써, 스택 내부의 물이 고분자 전해질 막의 서브마이크로 기공으로 쉽게 확산되어 막의 이온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스택 활성화에 소요되는 시간 및 수소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진공 습윤을 이용한 연료전지 스택 활성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전류밀도 방전 과정과, 셧다운 상태에서 스택의 내부를 진공분위기로 만들어주는 진공습윤 과정을 교번으로 수회 내지 수십회 반복 실시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습윤을 이용한 연료전지 스택 활성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스택 활성화 시간의 최적화를 위하여, 고전류 밀도 방전 과정 및 진공습윤 과정의 진행 시작 시점부터 스택 활성화 종료 시점까지의 진행 시간을 점차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고전류 밀도 방전 과정은 초기에 5분 동안 진행하고, 점차 3분, 2분까지 시간을 단계적으로 줄여서 진행하며, 상기 진공습윤 과정은 초기에 8분 동안 진행하고, 점차 7분, 6분, 4분, 3분까지 시간을 단계적으로 줄여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진공 습윤 과정은 스택의 셧다운(Shut-down)중 스택 내부에 진공을 유도하는 과정으로서, 스택의 공기 입출구를 막은 후, 스택 내 잔여 반응가스를 소모시키는 과정으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택의 셧다운(Shut-down)중 스택 내부를 진공분위기로 만들어줌에 따라, 고분자 전해질 막의 이온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스택 내부의 물이 고분자 전해질 막의 서브마이크로 기공내로 확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전지 스택의 활성화 공정중 셧 다운 단계에서, 진공 습윤 방법을 적용하여 스택 내부의 물이 고분자 전해질 막의 서브마이크로 기공으로 쉽게 확산되도록 함으로써, 고분자 전해질 막의 이온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택 활성화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스택 활성화를 위한 수소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연료전지 스택 활성화 방법을 설명하는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 활성화 방법을 설명하는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택 활성화 방법과 기존 방법간의 활성화 시간을 측정하여 비교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택 활성화 방법과 기존 방법간의 수소소모량을 측정하여 비교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택 활성화 과정중 전해질 고분자 막내의 구조 변화를 설명하는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활성화 공정의 셧다운(shut-down) 단계에서 공기 입출구를 막은 후, 스택내 잔여 반응가스를 소진하는 방법으로 스택 내 진공을 유도하고, 이러한 진공 분위기에서는 고분자 전해질 막 내부의 서브마이크로 기공 안으로 물이 쉽게 확산되어 습윤(wetting)되도록 함으로써, 고분자 전해질 막의 표면 구조를 효과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이렇게 고분자 전해질 막의 수분 흡수(water uptake) 능력을 향상시킴에 따라, 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스택 활성화를 가속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고전류밀도(1.2 또는 1.4A/㎠) 방전 과정과, 셧다운 상태에서 스택의 내부를 진공분위기로 만들어주어 이루어지는 진공습윤 과정을 교번으로 수회 내지 수십회 반복 실시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택 활성화 공정 시간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활성화 초기 단계에서는 고전류 밀도 방전 과정 및 진공습윤 과정을 위한 시간을 증가시키고, 반면에 스택 활성화가 어느 정도 진행되면 고전류 밀도 방전 과정 및 진공습윤 과정을 위한 시간을 점차적으로 줄이는 방식을 채택하여, 스택 활성화 시간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2에서 보듯이 고전류 밀도 방전 과정은, 첫번째 및 두번째 방전 주기를 5분 동안 진행하고, 그 다음의 세번째 및 네번째 방전 주기를 3분 동안 진행하며, 다섯번째 내지 여덟번째 방전 주기를 2분 동안 진행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각 고전류 밀도 방전 주기 사이에 실시되는 진공습윤 과정은 스택의 공기입출구를 막은 상태에서 스택내의 반응가스(수소 및 공기)를 소모시킴으로써, 스택의 내부를 진공분위기로 만들어주는 과정으로서, 도 1에서 보듯이 첫번째 진공습윤 주기는 8분 동안 진행하고, 점차적으로 7분, 6분, 4분, 3분까지 시간을 줄여서 진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진공 습윤 과정은 스택의 휴지기 즉, 셧다운(Shut-down)중 스택 내부에 진공을 유도하는 과정으로서, 셧다운 중 스택내 진공을 유지하기 위하여 공기 입출구를 막은 후, 약 5A의 전류를 인가하여 스택 내 잔여 반응가스가 조기에 소모되도록 한다.
이렇게 셧다운(Shut-down)중 스택 내부를 진공분위기로 만들어줌에 따라, 스택 내부의 물이 고분자 전해질 막의 서브마이크로 기공내로 쉽게 확산되어, 고분자 전해질 막은 이온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셧다운(Shut-down)중 스택 내부를 진공분위기로 만들어주는 진공 습윤 공정을 통하여 고분자 전해질 막은 쉽게 스웰링(팽창: swelling)될 수 있고, 이러한 고분자 전해질 막의 팽창은 막의 기공 내에 물의 흡수가 유리하게 이루어지도록 막의 표면 구조를 변화시키되, 물 이동에 적합한 SO3- 고분자 구조가 막 표면으로 용이하게 배열하는 구조로 변화시킴에 따라, 고분자 전해질 막의 수분 흡수(water uptake) 능력이 향상될 수 있고, 결국 고분자 전해질 막의 이온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첨부한 도 5를 참조하면, 고분자 전해질 막의 나노 크기 미세 기공으로 액적(Liquid water) 확산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고분자 전해질 막이 스웰링됨과 더불어, 막 표면의 작용기(SO3-H+)가 증대되어, 결국 고분자 전해질 막의 수분 흡수(water uptake) 능력이 향상될 수 있고, 결국 고분자 전해질 막의 이온전도도(S/cm)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스택 활성화 공정에서는 고분자 전해질 막내 물의 흐름이 제한적이지만, 상기와 같이 진공 습윤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고분자 전해질 막에서 물이 보다 여러 방향으로 자유롭게 확산되면서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막의 기공내에 침윤(wetting)되어, 결국 수소이온(proton)의 이동이 보다 용이해져 전극막 활성화 가속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실시되는 본 발명의 스택 활성화 공정에 걸리는 시간 및 수소 소모량을 측정하여, 기존의 스택 활성화 공정에 걸리는 시간 및 수소 소모량과 대비하였는 바, 그 결과는 첨부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3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스택 활성화 공정은 기존과 달리 고전류 밀도 방전 과정 및 진공습윤 과정을 교번으로 반복시켜 진행함으로써, 초기 활성화 시간을 증가시키고, 점차 고전류 밀도 방전 과정 및 진공습윤 시간을 줄임에 따라, 활성화 종료시간(활성화도 100% 도달 시간)을 약 29.5분 단축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도 4에서 보듯이 수소 소모량도 활성화 시간 단축에 따라 약 1Kg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5)

  1. 고전류 밀도(1.2 또는 1.4A/㎠) 방전 과정과, 셧다운 상태에서 스택의 내부를 진공분위기로 만들어주는 진공 습윤 과정을 교번으로 수회 내지 수십회 반복 실시하고,
    상기 진공 습윤 과정은 스택의 셧다운(Shut-down)중 스택 내부에 진공을 유도하는 과정으로서, 스택의 공기 입출구를 막은 후, 스택 내 잔여 반응가스를 소모시키는 과정으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습윤을 이용한 연료전지 스택 활성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택 활성화 시간의 최적화를 위하여, 고전류 밀도 방전 과정 및 진공 습윤 과정의 주기별 시간을 점차적으로 줄여서 활성화 종료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습윤을 이용한 연료전지 스택 활성화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전류 밀도 방전 과정은 초기에 5분 동안 진행하고, 점차 3분, 2분까지 시간을 단계적으로 줄여서 진행하며, 상기 진공습윤 과정은 초기에 8분 동안 진행하고, 점차 7분, 6분, 4분, 3분까지 시간을 단계적으로 줄여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습윤을 이용한 연료전지 스택 활성화 방법.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택의 셧다운(Shut-down)중 스택 내부를 진공분위기로 만들어줌에 따라, 고분자 전해질 막의 이온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스택 내부의 물이 고분자 전해질 막의 서브마이크로 기공내로 확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습윤을 이용한 연료전지 스택 활성화 방법.
KR1020110012107A 2011-02-11 2011-02-11 진공 습윤을 이용한 연료전지 스택 활성화 방법 KR101315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107A KR101315762B1 (ko) 2011-02-11 2011-02-11 진공 습윤을 이용한 연료전지 스택 활성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107A KR101315762B1 (ko) 2011-02-11 2011-02-11 진공 습윤을 이용한 연료전지 스택 활성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215A KR20120092215A (ko) 2012-08-21
KR101315762B1 true KR101315762B1 (ko) 2013-10-10

Family

ID=46884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107A KR101315762B1 (ko) 2011-02-11 2011-02-11 진공 습윤을 이용한 연료전지 스택 활성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76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33922A (ja) * 2015-08-05 2017-02-09 現代自動車株式会社Hyundai Motor Company 燃料電池スタック活性化工法
US10270111B2 (en) 2015-05-15 2019-04-23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accelerating activation of fuel cell stack
KR20210109806A (ko) 2020-02-28 2021-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의 가속 활성화 방법
KR20220135431A (ko) 2021-03-30 2022-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의 가속 활성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625B1 (ko) 2014-12-03 2017-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부하를 사용하지 않는 연료전지 스택 활성화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8863A (ko) * 2008-11-25 2010-06-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활성화 장치 및 방법
JP2010272362A (ja) 2009-05-21 2010-12-02 Aquafairy Kk 燃料電池の活性化方法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
KR20110060035A (ko) * 2009-11-30 2011-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가속 활성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8863A (ko) * 2008-11-25 2010-06-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활성화 장치 및 방법
JP2010272362A (ja) 2009-05-21 2010-12-02 Aquafairy Kk 燃料電池の活性化方法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
KR20110060035A (ko) * 2009-11-30 2011-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가속 활성화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0111B2 (en) 2015-05-15 2019-04-23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accelerating activation of fuel cell stack
JP2017033922A (ja) * 2015-08-05 2017-02-09 現代自動車株式会社Hyundai Motor Company 燃料電池スタック活性化工法
KR20170017113A (ko) 2015-08-05 2017-0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 활성화 공법
US9831512B2 (en) 2015-08-05 2017-11-28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activating stack of fuel cell
KR20210109806A (ko) 2020-02-28 2021-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의 가속 활성화 방법
KR20220135431A (ko) 2021-03-30 2022-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의 가속 활성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215A (ko) 2012-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762B1 (ko) 진공 습윤을 이용한 연료전지 스택 활성화 방법
KR20130010414A (ko) 연료전지 스택의 활성화 장치 및 방법
JP3880898B2 (ja) 水素パージ制御装置
Kong et al. Experimental study on the self-humidification effect in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containing double gas diffusion backing layer
US20100190078A1 (en) Shutdown strategy for enhanced water management
KR101519667B1 (ko) 연료전지 가속 활성화 방법
CN106159305B (zh) 用于加速燃料电池堆的活化的方法
CN101262068A (zh) 用于自适应性氢排放策略的电池堆穿越率的在线检测
KR101923764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연료 전지 탑재 차량
JP5521909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該燃料電池システムを搭載する移動体
JP2017511249A (ja) 中空繊維膜モジュール
US6596429B2 (en) Fuel cell system
Wang et al. Degradation study of Membrane Electrode Assembly with PTFE/Nafion composite membrane utilizing accelerated stress technique
CN104148071A (zh) 一种多孔高活性非贵金属催化剂的制备及其应用
CN107039668A (zh) 一种质子交换膜燃料电池气体扩散层耐久性加速测试方法
JP6237424B2 (ja) 燃料電池の検査方法
KR101586569B1 (ko) 성능 회복을 위한 연료전지 스택의 활성화 방법
Aziz et al. Modeling and Experimental investigation for PEMFC to achieve high Fuel Cell performance
JPH08138715A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とその製造方法
JP2009170388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12004101A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の始動方法
JP2009059477A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Sim et al. Impacts of characteristics of carbon black comprising microporous layer on performance and durability of gas diffusion layer under newly developed accelerated stress tests
CN112763392B (zh) 一种加速评估燃料电池用质子交换膜耐久性的方法
Linse et al. Influence of operating parameters on start/stop induced degradation in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