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669B1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객체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객체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669B1
KR101315669B1 KR1020120070424A KR20120070424A KR101315669B1 KR 101315669 B1 KR101315669 B1 KR 101315669B1 KR 1020120070424 A KR1020120070424 A KR 1020120070424A KR 20120070424 A KR20120070424 A KR 20120070424A KR 101315669 B1 KR101315669 B1 KR 101315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server
sn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김용진
정종일
Original Assignee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0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6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for support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2M 네트워크상의 객체가 측정하거나 수집한 정보를 SNS/IM 시스템상의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SNS/IM 시스템상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어신호를 통해 M2M 네트워크상의 객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M2M 네트워크상의 객체를 SNS/IM 시스템상에서 의인화함으로써, 사용자가 SNS 또는 IM를 통하여 M2M 객체가 수집한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가 SNS 또는 IM을 통하여 용이하게 M2M 네트워크상의 객체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객체의 관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2M Entity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and Instant Messenger}
본 실시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객체의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지능통신(Machine-to-Machine: M2M)측의 객체가 측정하거나 수집한 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및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IM)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사용자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하여 사물지능통신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M2M 객체의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사물지능통신(Machine-to-Machine: 이하 'M2M'이라고 약칭함)은 방송통신망을 이용하여 사람이나 지능화된 기기에게 사물정보를 제공하거나, 사람이나 지능화된 기기가 사물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을 말한다. 광의로는 전자 장치 간의 유선 혹은 무선 통신이나 사람이 제어하는 장치와 기계간의 통신을 의미하지만, 최근에는 전자장치와 전자 장치 간, 다시 말해 기기 간 무선 통신을 지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재 다수의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사물지능통신과 관련하여 M2M과 유사한 개념의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ETSI는 M2M을 키워드로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3Gpp의 경우 MTC(Machine-Type Communication)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반해 ITU-T의 경우 IoT(Internet of Things) 혹은 MOC(Machine-Oriented Communication) 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나 대부분 유사한 개념을 적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물지능통신을 통칭하여 M2M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M2M은 특히 판매 관리 시스템과 보안 관련 응용 시장에서 물류 관리, 기계 및 설비의 원격 모니터링, 건설 기계 설비 상의 작동시간 측정 및 열이나 전기 사용량을 자동 측정하는 지능 검침(Smart Meter)등의 분야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M2M 네트워크상에서 수집된 정보를 다른 사물 또는 사람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서버나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인터넷 기술의 발전 및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라고 약칭함) 및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이하 'IM'이라고 약칭함)에 대한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SNS는 인터넷상에서 이용자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로, 웹상에서 개인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트위터(Tweetter), 페이스북(Facebook)이다. IM은 인터넷 같은 네트워크를 이용한, 두 명 이상의 실시간 텍스트 통신에 이용되는 클라이언트이다. 간단하게 메신저라고도 하며, 인터넷을 통한 메신저라는 의미에서 인터넷 메신저라고 하며, MSN 메신저, 스카이프(skype), 카카오톡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IM은 상대방의 메신저가 꺼져 있는지 켜져 있는지, 현재 상태가 온라인(On-line)상태인지 자리비움(Busy)상태인지를 실시간으로 알 수가 있기 때문에 이메일을 사용했을 때보다 응답시간이 훨씬 짧다. 이러한 즉시성이 인스턴트 메신저의 가장 큰 장점이다. 특히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을 통한 SNS/IM의 이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본 실시예는, M2M 네트워크상의 객체가 측정하거나 수집한 정보를 SNS/IM 시스템상의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SNS/IM 시스템상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어신호를 통해 M2M 네트워크상의 객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수집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정보 수집부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M2M 단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M2M 단말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자신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라고 칭함) 계정을 구독(Subscription)하는 사용자의 SNS 계정에 쪽지 방식 및 게시글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센싱 정보를 전송하는 M2M 서버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M2M 정보의 통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M2M 서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M2M 단말 중 센싱 정보를 통보받고자 하는 M2M 단말에 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센싱 정보를 통보받을 사용자 목록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M2M 서버는 상기 사용자마다 각 사용자의 선호단말 정보에 대응되는 M2M 단말의 센싱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수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정보 수집부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M2M 단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M2M 단말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자신의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이하 'IM'라고 칭함) 계정과 친구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IM 계정에 상기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를 전송하는 M2M 서버를 포함하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정보의 통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또다른 측면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정보 수집부, 하나 이상의 M2M 단말, M2M 서버 및 중계 서버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M2M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수집부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과정, 상기 하나 이상의 M2M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정보 수집부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M2M 서버에 전달하는 정보전달과정 및 상기 M2M 서버가 자신의 SNS 계정을 구독하는 사용자의 SNS 계정에 쪽지 방식 및 게시글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센싱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통보과정을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M2M 정보의 통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또다른 측면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정보 수집부, 하나 이상의 M2M 단말 및 M2M 서버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M2M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수집부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과정, 상기 하나 이상의 M2M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정보 수집부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M2M 서버에 전달하는 정보전달과정 및 상기 M2M 서버가 자신의 IM 계정과 친구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IM 계정에 상기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정보통보과정을 포함하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정보의 통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쪽지 및 상기 게시글에 포함된 센싱 정보는 해당하는 M2M 단말의 SNS ID로 표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에 포함된 센싱 정보는 해당하는 M2M 단말의 IM ID로 표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SNS 및 IM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어 사항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 사항을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M2M 서버 및 상기 M2M 서버로부터 상기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 사항을 수행하는 M2M 단말을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단말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M2M 서버가 SNS 및 IM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어사항을 수신하는 제어사항 수신 과정, 상기 M2M 서버가 수신한 제어사항을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 메시지 생성 과정 및 상기 M2M 서버가 상기 제어 메시지를 M2M 단말에 전달하는 제어 메시지 전달 과정을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단말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SNS 방식은 상기 사용자의 SNS 계정으로부터 상기 M2M 서버의 SNS 계정에 상기 제어 사항이 포함된 쪽지를 수신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NS 방식은 상기 사용자의 SNS 계정에 게시된 상기 제어사항이 포함된 게시글을 상기 M2M 서버의 SNS 계정의 타임라인을 통해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IM 방식은 상기 사용자의 IM 계정으로부터 상기 M2M 서버의 IM 계정에 상기 제어 사항이 포함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사항은 상기 M2M 단말의 SNS ID 또는 IM ID로 표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M2M 네트워크상의 객체를 SNS/IM 시스템상에서 의인화함으로써, 사용자가 SNS 또는 IM를 통하여 M2M 객체가 수집한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가 SNS 또는 IM을 통하여 용이하게 M2M 네트워크상의 객체를 제어할 수 있는 M2M과 SNS/IM 간의 연동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2M 네트워크와 SNS/IM 시스템이 연동하는 전체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M2M 네트워크상의 객체들에게 SNS/IM 시스템상의 ID를 부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2M 네트워크 측의 정보 및 이벤트를 SNS/IM 시스템 측에 통보하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2M 네트워크 측의 정보 및 이벤트를 SNS/IM측에 통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의 경우에 사용자의 IM 애플리케이션에서 표시되는 인스턴트 메시지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M2M 네트워크 측의 정보 및 이벤트를 SNS/IM 시스템 측에 통보하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의 시스템에 있어서 M2M 네트워크 측의 정보 및 이벤트를 SNS/IM 시스템 측에 통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6 및 도 7의 경우에 사용자의 IM 애플리케이션에서 표시되는 인스턴트 메시지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M2M 네트워크 측의 정보 및 이벤트를 SNS/IM 시스템 측에 통보하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시스템에 있어서 M2M 네트워크 측의 정보 및 이벤트를 SNS/IM 시스템 측에 통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9 및 도 10의 경우에 사용자의 IM 애플리케이션에서 표시되는 인스턴트 메시지의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M2M 네트워크 측의 정보 및 이벤트를 SNS/IM 시스템 측에 통보하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시스템에 있어서 M2M 네트워크 측의 정보 및 이벤트를 SNS/IM 시스템 측에 통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도 12 및 도 13의 경우에 사용자의 IM 애플리케이션에서 표시되는 인스턴트 메시지의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IM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IM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7은 도 15 및 도 16의 경우에 IM 애플리케이션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스턴트 메시지의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NS/IM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NS/IM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0은 도 18 및 도 20의 경우에 IM 애플리케이션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스턴트 메시지의 예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SNS/IM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SNS/IM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3은 도 21 및 도 22의 경우에 IM 애플리케이션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스턴트 메시지의 예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SNS/IM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5는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SNS/IM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6은 도 24 및 도 25의 경우에 IM 애플리케이션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스턴트 메시지의 예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SNS/IM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SNS/IM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9는 도 27 및 도 28의 경우에 링크 주소가 포함된 인스턴트 메시지 및 링크 주소에 연결된 제어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SNS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1은 M2M 네트워크상의 정보가 SNS/IM 상의 정보로 변환되는 방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센서 장치의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M2M 객체'는 단말(Device)을 포함하는 하드웨어는 물론 센싱 정보를 취득하는 M2M 애플리케이션 및 SNS/IM에 정보를 전달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를 포괄하는 용어이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사용자'는 M2M 객체로부터 센싱 정보 등을 수신하는 한편 M2M 객체를 제어하고자 하는 M2M 서비스의 엔드-유저(End-user)로서, SNS/IM 시스템상에 자신의 계정을 가지고 있는 자를 말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타임라인(Timeline)'이라는 용어는 SNS 상에서 유저 자신의 게시글 및 구독자들의 게시글을 취합하여 보여주는 페이지로서, 대표적인 SNS 중의 하나인 트위터(Twiter)의 '타임라인'과 페이스북(Facebook)의 '뉴스피드'가 이에 해당한다.
한편, SNS 및 IM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내용을 기술함에 있어서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SNS/IM'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M2M 네트워크와 SNS 시스템이 연동하는 경우 및 M2M 네트워크와 IM 시스템이 연동하는 경우로 구분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객체의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2M 네트워크와 SNS/IM 시스템이 연동하는 전체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M2M 네트워크상에는 기본적으로 하나 이상의 정보 수집부(110, 111, 112), 하나 이상의 M2M 단말(122, 124, 126), M2M 애플리케이션(121, 125, 171) 및 M2M 서버(140)가 존재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110, 111, 112)는 사물의 물리적인 상태 정보와 주변 환경 정보 등을 수집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M2M 네트워크에서 요구되는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를 M2M 단말(122, 124, 126)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경우 활동량감지센서, 화재감지센서, 가스감지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고, 환경관리 시스템의 경우 기상센서, 대기질센서, 수질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안전관리/재난관리 시스템의 경우 온도센서, 압력센서, 습도센서, 가속도센서, 지진강도센서, 음향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M2M 단말(122, 124, 126)은 정보 수집부(110, 111, 112)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여 M2M 서버(140)로 정보 메시지를 전송한다. M2M 서버(140)에 전송되는 정보 메시지에는 해당 M2M 단말(122, 124, 126)의 M2M 네트워크상의 식별자(Identifier) 정보 및 전달하고자 하는 컨텐츠(정보, 데이터, 이벤트, 시간, 위치, URL 등)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M2M 단말(122, 124, 126)은 M2M 서버(140)로부터 제어 메시지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사항을 수행하기 위해 해당 기기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M2M 단말(122, 124, 126)은 M2M 서버(140)와의 통신 및 수집된 센싱 정보의 처리를 위한 모듈이 내장되어 있으며,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M2M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M2M 단말 1(122)은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M2M 애플리케이션을 내장하지 않은 M2M 단말을 예시한 것으로서,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M2M 애플리케이션(121)을 포함하는 별도의 단말(120)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한다. M2M 단말 2(124)는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M2M 애플리케이션을 내장하고 있는 M2M 단말을 예시한 것으로서, 내장된 M2M 애플리케이션(125)을 통해 센싱 정보를 수집한다. M2M 단말 3(126)은 M2M 애플리케이션을 내장하지 않지만, 내장된 모듈을 통해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M2M 단말을 예시한 것이다. M2M 단말들(122, 124, 126)은 M2M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M2M 네트워크에 연결된 M2M 객체일 수도 있고, M2M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M2M 네트워크에 연결된 M2M 객체일 수도 있다. 각 M2M 단말들(122, 124, 126)은 M2M 서버(140)에 등록되면서 M2M 네트워크상의 식별자(Identifier)를 할당받게 되고, 할당된 식별자를 통해 M2M 네트워크상에서 식별된다.
M2M 서버(140)는 각각의 M2M 단말(122, 124, 126)이 수집한 센싱 정보를 취합 또는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M2M 서버(140)에는 M2M 단말(122, 124, 126)과의 통신 및 수신하는 센싱 정보의 처리를 위한 모듈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M2M 네트워크상에는 실시예에 따라 중계 서버(150) 및 제어 서버(190)가 존재할 수 있다. 중계 서버(150)는 M2M 단말(122, 124, 126)로부터 수집한 정보 등을 M2M 서버(140)에서 수신하여, 이를 토대로 특정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중계 서버(150)의 운용자는 M2M 서비스 제공자일 수도 있고, M2M 서비스 제공자와 별개의 서비스 제공자일 수도 있다. 제어 서버(190)는 M2M 서비스 제공자 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사항을 입력받아 M2M 서버(14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이다. 제어 서버(190)는 사용자로부터 제어사항을 입력받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SNS/IM 시스템에는 SNS 서버/IM 서버(160), SNS/IM 애플리케이션(171)이 포함된 사용자 단말(170)이 존재할 수 있다.
SNS 서버/IM 서버(160)는 SNS/IM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SNS/IM 시스템에서 어느 한 SNS/IM 객체가 생성한 SNS/IM 메시지는 SNS 서버/IM 서버(160)를 거쳐 다른 SNS/IM 객체에 전달된다.
사용자 단말(170)은 SNS/IM 서비스를 제공하는 SNS/IM 애플리케이션(171)을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M2M 서비스를 제공하는 M2M 애플리케이션(172)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70)은 모바일 단말기, 태블릿, 노트북 등 다양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 간의 통신 및 SNS/IM 시스템상의 객체 간의 통신에는 유무선의 공중통신망 또는 사설 통신망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정의 통신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M2M 서버(140)가 복수개의 M2M 단말로부터 정보를 수집한 후 해당 정보를 SNS/IM상의 복수의 사용자 또는 특정 사용자(개인 사용자)에게 통보하고, 사용자로부터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M2M 단말에 제어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우선 M2M 네트워크상의 객체들에게 SNS/IM 시스템상의 ID(또는 계정; 이하 동일하다)를 각각 부여함으로써 M2M 네트워크상의 객체를 SNS/IM 시스템상의 객체로 의인화한다. 즉, SNS/IM 시스템상에서 M2M 네트워크상의 객체들은 자신에게 부여된 SNS_ID/IM_ID를 통해 식별된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M2M 네트워크상의 객체들에게 SNS/IM 시스템상의 ID를 부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M2M 객체는 SNS/IM 시스템상의 SNS_ID/IM_ID를 할당받아 SNS/IM 시스템상에서 의인화된다. 할당된 SNS_ID/IM_ID는 M2M 서버(140)에 등록된다. M2M 서버(140)는 각각의 M2M 객체의 M2M 네트워크상의 식별자(Identifier) 정보 및 SNS/IM 시스템상의 SNS_ID/IM_ID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M2M 객체의 SNS/IM 시스템상의 SNS_ID/IM_ID는 M2M 객체의 제조자가 제품 생성시 미리 생성할 수 있고, M2M 서비스 제공자(M2M Service Provider: M2M SP)가 M2M 객체를 M2M 서버(140)등에 등록하면서 각각의 SNS_ID/IM_ID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M2M 네트워크에 추가적으로 연결시키는 M2M 단말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해당 M2M 단말 또는 M2M 단말에 내장된 M2M 애플리케이션의 SNS_ID/IM_ID를 생성하여 SNS/IM에 등록하거나, M2M 객체의 제조자에 의해 이미 생성된 SNS_ID/IM_ID를 변경하여 SNS/IM 시스템상에 M2M 객체를 등록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만, 사용자 개개인에게 종속적인 M2M 객체에 한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SNS/IM 시스템상의 ID를 생성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뿐이며, 다수의 사용자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M2M 객체(예를 들어 M2M 서버(140), 중계 서버(150))의 경우에는 하나의 SNS_ID/IM_ID가 모든 사용자에게 일률적으로 사용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연동 모듈(180)을 통해 M2M 네트워크와 SNS/IM 시스템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즉, M2M 상의 객체는 연동 모듈(180)을 통해 게시글 생성, 쪽지, 인스턴트 메시지 전송 등의 작업을 SNS 서버/IM 서버(160)에게 요청하고, SNS 서버/IM 서버(160)를 통해 전송된 사용자의 제어 메시지를 M2M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다. 연동 모듈(180)은 기본적으로 해당 SNS/IM에서 제공하는 공개 API를 활용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M2M 서버(140), 중계 서버(150) 또는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M2M 애플리케이션(17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M2M 네트워크상에서 정보를 수집하는 M2M 객체는 해당 M2M 객체의 M2M 네트워크상의 식별자(M2M Device_ID 혹은 M2M Application_ID)로 식별할 수 있는데 반해, SNS/IM 시스템상에서 사용자는 M2M 네트워크상의 M2M 객체를 그 객체의 SNS_ID/IM_ID로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M2M 네트워크상의 정보가 SNS/IM 시스템상의 사용자에게 통보되기에 앞서 우선 SNS/IM 시스템상의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도 31을 참조하면, 도 31은 M2M 네트워크상의 정보가 SNS/IM 상의 정보로 변환되는 방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1에 예시된 바와 같이, M2M 네트워크에서 {M2M Device_ID (Application_ID), Contents} 형식으로 표현되는 정보가 SNS/IM 시스템상의 사용자에게 통보되기에 앞서 {SNS_ID/IM_ID, Contents} 형식의 표현으로 변환되어야 한다.
이러한 변환의 필요성은 SNS/IM 시스템상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 메시지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즉,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메시지에는 제어하고자 하는 M2M 객체가 해당 M2M 객체의 SNS_ID/IM_ID로 표현되어 있으므로, 해당 M2M 객체에게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기에 앞서, {SNS_ID/IM_ID, Contents} 형식으로 표현된 제어 메시지가 {M2M Device_ID/Application_ID, Contents} 형식의 표현으로 변환될 필요가 있다.
위와 같은 정보의 변환은 M2M 객체의 M2M 네트워크 식별자 정보 및 SNS_ID/IM_ID 정보를 가지고 있는 M2M 서버(140)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연동 모듈(180)을 가지고 있는 중계 서버(150)나 M2M 애플리케이션 3(172)에서 M2M 객체의 SNS_ID/IM_ID 정보를 M2M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위와 같은 정보의 변환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M2M 네트워크 측의 정보 및 이벤트를 SNS / IM 시스템 측에 통보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M2M 네트워크 측의 정보 및 이벤트를 SNS/IM 시스템 측에 통보하는 메커니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2M 네트워크 측의 정보 및 이벤트를 SNS/IM 시스템 측에 통보하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중계 서버 및 사용자 단말 내의 M2M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거나, 정보 통보 과정에 관여하지 않는 상황을 가정한다. 또한 M2M 서버(140)가 사용자에게 통보할 M2M 정보를 SNS/IM 정보로 변환하며, 연동 모듈(180) 또한 M2M 서버(140)상에 위치한다.
위와 같은 시스템 하에서, 정보 수집부(110, 111, 112)에서 수집된 정보는 M2M 단말(122, 124, 126)로 전달되고, M2M 단말(122, 124, 126)은 액세스 네트워크(Access Network)를 통해 해당 정보를 M2M 서버(140)에 전달한다. M2M 서버(140)는 각 M2M 단말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SNS/IM상의 정보로 변환한 후 연동 모듈(180)을 통해 게시글 생성, 쪽지 또는 인스턴트 메시지 전송 등의 작업을 SNS 서버/IM 서버(160)에 요청한다. SNS 서버/IM 서버(160)가 M2M 서버(140)로부터 요청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70)에 포함된 SNS/IM 애플리케이션(171) 상에서 M2M 서버(140)에 의해 생성된 게시글, 쪽지 등을 통해 M2M 네트워크에서 통보된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2M 네트워크 측의 정보 및 이벤트를 SNS/IM측에 통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2M 네트워크 측의 정보 및 이벤트를 SNS/IM 시스템 측에 통보하는 방법은 서비스 등록 과정(S410), M2M 단말 등록 과정(S420), 정보 수집 및 전달 과정(S430), 데이터 변환 과정(S440), 사용자의 SNS/IM 계정으로의 전송 과정(S450) 및 사용자의 SNS/IM에 표시 과정(S460)을 포함한다.
서비스 등록 과정(S410)에서, 사용자는 M2M 서비스에 가입(Subscription)하면서 자신의 SNS/IM 계정 정보를 M2M 서버(140)에 등록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자신의 SNS/IM 계정 정보의 등록과 함께 M2M 네트워크상의 M2M 단말들 중에서 정보를 통보받고자 하는 M2M 단말에 관한 선택 정보를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비스 등록 과정(S410)에서 사용자는 M2M 서버(140)의 SNS 계정을 구독(Subscription) 신청하거나, M2M 서버(140)의 IM 계정을 대화상대로 등록한다. 한편, M2M 네트워크 측에서 측정된 정보는 주기적으로 사용자에게 통보되거나 측정된 수치가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혹은 측정된 수치가 직전에 사용자에게 통보된 수치로부터 일정 값 이상으로 변경된 경우에 SNS/IM 시스템 측에 통보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정보 통보 주기 또는 조건을 입력받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정보 통보 방식과 관련하여, SNS 시스템의 경우 사용자 계정의 게시판에 게시물 형식으로 통보한다면 사용자의 모든 구독자(Subscriber)들이 해당 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므로, 기본적으로 쪽지(Direct Message) 형식으로 통보하거나, 사용자의 사전선택에 의해 쪽지 또는 게시물 중 어느 하나의 형식으로 통보할 수 있다. IM 시스템의 경우 데이터 전달방식은 쪽지 또는 대화방을 생성하여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 전송하는 방식으로 통보할 수 있다. 여기서 쪽지는 발신자과 수신인만 볼 수 있는 비공개 메시지를 의미한다.
M2M 단말 등록 과정(S420)에서, M2M 단말(122, 124, 126)이 M2M 서버(140)에 등록된다. 즉, M2M 단말(122, 124, 126)의 M2M 네트워크상의 식별자(Identifier) 및 SNS/IM 시스템상에서 사용자에게 표시될 M2M 단말들(122, 124, 126)의 SNS_ID/IM_ID가 M2M 서버(140)에 등록된다. 이때 SNS/IM상에서 사용자에게 표시될 M2M 단말(122, 124, 126)의 식별자는 해당 M2M 단말(122, 124, 126)의 제조과정에서 제조자에 의해 부여된 SNS_ID/IM_ID, M2M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부여된 SNS_ID/IM_ID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선택된 SNS_ID/IM_ID일 수 있다. 등록된 M2M 단말들(122, 124, 126)의 SNS_ID/IM_ID는 데이터 변환 과정(S440)에서 M2M 정보를 SNS/IM 상의 정보로 변환하는 작업에 사용된다. 한편, 여기서 M2M 서버(140)에 등록되는 M2M 단말의 SNS_ID/IM_ID는 SNS/IM상에서 사용자가 M2M 단말을 식별하는 식별자로서 사용될 뿐이므로, 반드시 SNS 서버/IM 서버에 등록된 계정의 ID일 필요는 없다.
정보 수집 및 전달 과정(S430)에서, M2M 단말(122, 124, 126)은 정보 수집부(110, 111, 112)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 등의 정보가공을 거친 후 M2M 서버(140)로 센싱 정보 또는 이벤트 발생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메시지를 M2M 서버(140)에 전달한다. M2M 서버(140)에 전달되는 정보 메시지에는 해당 M2M 단말(122, 124, 126)의 M2M 네트워크상의 식별자 정보(M2M Device_ID, Application_ID) 및 전달하고자 하는 컨텐츠가 포함된다.
데이터 변환 과정(S440)에서, M2M 서버(140)는 M2M 단말(122, 124, 126)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SNS/IM 상의 정보로 변환한다. 즉 {M2M Device_ID/ Application_ID, Contents} 형식으로 표현된 정보를 {SNS_ID/M2M_ID, Contents} 형식의 표현으로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사용자의 SNS/IM 계정으로의 전송 과정(S450)에서, M2M 서버(140)는 연동 모듈을 이용하여 위 변환된 정보를 기초로 SNS 서버/IM 서버(160)에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것을 요청한다. 여기서 소정의 작업은 위 변환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방식, 즉 정보 통보 방식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SNS 계정의 게시판에 게시글로서 위 변환된 정보를 통보하는 경우에는, M2M 서버(140)는 사용자의 SNS 계정의 게시판에 위 변환된 정보를 포함하는 게시글을 저장 또는 게시(Post)할 것을 SNS 서버(160)에게 요청한다. 사용자의 SNS 계정에 쪽지(Direct Message: DM)를 통해 통보하는 경우에는, M2M 서버(140)는 사용자의 SNS 계정에 위 변환된 정보를 포함하는 쪽지를 전송할 것을 SNS 서버(160)에게 요청한다. IM 시스템상의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경우에는, M2M 서버(140)는 자신의 IM 계정과 사용자의 IM 계정 사이에 대화방을 생성하고 생성된 대화방에 위 변환된 정보를 포함하는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를 생성할 것을 요청하거나, 사용자의 IM 계정에 위 변환된 정보를 포함하는 쪽지를 전송할 것을 IM 서버(160)에 요청한다.
여기서, 정보를 통보받을 사용자는 서비스 등록 과정(S410)에서 M2M 서버(140)에 등록된 사용자의 SNS/IM 계정 정보, M2M 단말 선택 정보 등을 참조하여 결정된다. 정보를 통보하는 발신자 또는 게시자의 SNS/IM 계정은 연동 모듈을 가진 M2M 서버(140)의 SNS_ID/IM_ID이다.
이후, SNS/IM 서버(160)는 M2M 서버(140)로부터 요청받은 작업을 수행한다.
사용자의 SNS/IM에 표시 과정(S460)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70)에 포함된 SNS/IM 애플리케이션(171) 상에서 M2M 서버(140)에 의해 생성된 게시글, 쪽지 등을 통해 M2M 네트워크에서 통보된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도 5는 도 3 및 도 4의 경우에 사용자의 IM 애플리케이션에서 표시되는 인스턴트 메시지의 예시도이다.
인스턴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턴트 메시지의 발신자는 M2M 서버(140)의 IM_ID로 표시된다. 또한 M2M 네트워크상의 M2M 객체는 IM 시스템상에서 해당 객체의 IM_ID로 식별되므로, 인스턴트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메시지는 해당 정보를 수집한 M2M 객체의 IM_ID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M2M 단말 2(124)에 내장된 M2M 애플리케이션(125)이 수집한 정보가 온도(23도), 습도(70%)라는 정보인 경우에,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IM 애플리케이션(171)에서는 M2M 서버(140)의 IM 계정인 IM_ID 5로부터 "IM_ID 1 님의 현재 온도는 23도, 습도는 70%입니다."라는 인스턴트 메시지가 수신된 것으로 표시된다.
한편, 이와 같은 정보의 기재방식은 게시글, 쪽지 형식으로 통보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M2M 네트워크 측의 정보 및 이벤트를 SNS/IM 시스템 측에 통보하는 메커니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M2M 네트워크 측의 정보 및 이벤트를 SNS/IM 시스템 측에 통보하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 내의 M2M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반면, 중계 서버가 존재하지 않거나 정보 통보 과정에 관여하지 않는 상황을 가정한다. 또한 M2M 서버(140)가 사용자에게 통보할 M2M 정보를 SNS/IM 정보로 변환하며, 연동 모듈(180)이 M2M 애플리케이션 3(172)상에 위치한다.
위와 같은 시스템 하에서, 정보 수집부(110, 111, 112)에서 수집된 정보는 M2M 단말(122, 124, 126)로 전달되고, M2M 단말(122, 124, 126)은 액세스 네트워크(Access Network)를 통해 해당 정보를 M2M 서버(140)에 전달한다. M2M 서버(140)는 각 M2M 단말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SNS/IM상의 정보로 변환한 후, 사용자 단말(170)에 포함되어 있는 M2M 애플리케이션 3(172)에 변환된 정보를 전달한다. M2M 애플리케이션 3(172)은 연동 모듈(180)을 통해 게시글 생성, 쪽지, 인스턴트 메시지 전송 등의 작업을 SNS 서버/IM 서버(160)에 요청한다. SNS 서버/IM 서버(160)가 M2M 애플리케이션 3(172)으로부터 요청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70)에 포함된 SNS/IM 애플리케이션(171) 상에서 M2M 애플리케이션 3(172)에 의해 생성된 게시글, 쪽지 등을 통해 M2M 네트워크에서 통보된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여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6의 시스템에 있어서 M2M 네트워크 측의 정보 및 이벤트를 SNS/IM 시스템 측에 통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M2M 네트워크 측의 정보 및 이벤트를 SNS/IM 시스템 측에 통보하는 방법은 서비스 등록 과정(S710), M2M 단말 등록 과정(S720), 정보 수집 및 전달 과정(S730), 데이터 변환 과정(S740), 사용자의 단말에 포함된 M2M 애플리케이션으로의 전달 과정(S750), 사용자의 SNS/IM 계정으로의 전송 과정(S760) 및 사용자의 SNS/IM에 표시 과정(S770)을 포함한다.
서비스 등록 과정(S710)에서 사용자는 M2M 서비스에 가입(Subscription)하면서 자신의 SNS/IM 계정 정보 및 사용자 단말(170)의 M2M 애플리케이션을 M2M 서버(140)에 등록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자신의 SNS/IM 계정 정보의 등록과 함께 M2M 네트워크상의 M2M 단말들 중에서 정보를 통보받고자 하는 M2M 단말에 관한 선택 정보를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비스 등록 과정(S410)에서 사용자는 M2M 서버(140)의 SNS 계정을 구독(Subscription) 신청하거나, M2M 서버(140)의 IM 계정을 대화상대로 등록한다. 한편, M2M 네트워크 측에서 측정된 정보는 주기적으로 사용자에게 통보되거나 측정된 수치가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혹은 측정된 수치가 직전에 사용자에게 통보된 수치로부터 일정 값 이상으로 변경된 경우에 SNS/IM 시스템 측에 통보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정보 통보 주기 또는 조건을 입력받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정보 통보 방식과 관련하여, SNS 시스템의 경우 사용자 계정의 게시판에 게시물(Tweet) 형식으로 통보한다면 사용자의 모든 구독자(Subscriber)들이 해당 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므로, 기본적으로 쪽지(Direct Message) 형식으로 통보하거나, 사용자의 사전선택에 의해 쪽지 또는 게시물 중 어느 하나의 형식으로 통보할 수 있다. IM 시스템의 경우 데이터 전달방식은 쪽지 또는 대화방을 생성하여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 전송하는 방식으로 통보할 수 있다. 여기서 쪽지는 발신자과 수신인만 볼 수 있는 비공개 메시지를 의미한다.
M2M 단말 등록 과정(S720)에서 M2M 단말(122, 124, 126)이 M2M 서버(140)에 등록된다. 즉, M2M 단말(122, 124, 126)의 M2M 네트워크상의 식별자(Identifier) 및 SNS/IM 시스템상에서 사용자에게 표시될 M2M 단말들(122, 124, 126)의 SNS_ID/IM_ID가 M2M 서버(140)에 등록된다. 이때 SNS/IM상에서 사용자에게 표시될 M2M 단말(122, 124, 126)의 식별자는 해당 M2M 단말(122, 124, 126)의 제조과정에서 제조자에 의해 부여된 SNS_ID/IM_ID, M2M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부여된 SNS_ID/IM_ID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선택된 SNS_ID/IM_ID일 수 있다. 등록된 M2M 단말들(122, 124, 126)의 SNS_ID/IM_ID는 데이터 변환 과정(S440)에서 M2M 정보를 SNS/IM 상의 정보로 변환하는 작업에 사용된다. 한편, 여기서 M2M 서버(140)에 등록되는 M2M 단말의 SNS_ID/IM_ID는 SNS/IM상에서 사용자가 M2M 단말을 식별하는 식별자로서 사용될 뿐이므로, 반드시 SNS 서버/IM 서버에 등록된 계정의 ID일 필요는 없다.
정보 수집 및 전달 과정(S730)에서 M2M 단말(122, 124, 126)은 정보 수집부(110, 111, 112)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 등의 정보가공을 거친 후 M2M 서버(140)로 센싱 정보 또는 이벤트 발생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메시지를 M2M 서버(140)에 전달한다. M2M 서버(140)에 전달되는 정보 메시지에는 해당 M2M 단말(122, 124, 126)의 M2M 네트워크상의 식별자 정보(M2M Device_ID, Application_ID) 및 전달하고자 하는 컨텐츠가 포함된다.
데이터 변환 과정(S740)에서, M2M 서버(140)는 M2M 단말(122, 124, 126)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SNS/IM 상의 정보로 변환한다. 즉 {M2M Device_ID/ Application_ID, Contents} 형식으로 표현된 정보를 {SNS_ID/M2M_ID, Contents} 형식의 표현으로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M2M 애플리케이션으로의 전달 과정(S750)에서, M2M 서버(140)는 서비스 등록 과정(S410)에서 등록된 사용자의 SNS/IM 계정 정보, M2M 단말 선택 정보 등을 참조하여 정보를 통보받을 사용자를 결정한다. 결정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사용자가 등록한 사용자 단말(170)에 포함된 M2M 애플리케이션 3(172)에게 위 변환된 정보를 전송한다.
사용자의 SNS/IM 계정으로의 전송 과정(S760)에서, M2M 애플리케이션 3(172)은 연동 모듈을 이용하여 M2M 서버(140)로부터 전달받은 위 변환된 정보를 기초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것을 SNS 서버/IM 서버(160)에게 요청한다. 여기서 소정의 작업은 위 변환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방식, 즉 정보 통보 방식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SNS 계정의 게시판에 게시글로서 위 변환된 정보를 통보하는 경우에는, M2M 애플리케이션 3(172)은 사용자의 SNS 계정의 게시판에 위 변환된 정보를 포함하는 게시글을 저장 또는 게시(Post)할 것을 SNS 서버(160)에게 요청한다. 사용자의 SNS 계정에 쪽지(Direct Message: DM)를 통해 통보하는 경우에는, M2M 애플리케이션 3(172)은 사용자의 SNS 계정에 위 변환된 정보를 포함하는 쪽지를 전송할 것을 SNS 서버(160)에게 요청한다. IM 시스템상의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경우에는, M2M 애플리케이션 3(172)은 자신의 IM 계정과 사용자의 IM 계정 사이에 대화방을 생성하고 생성된 대화방에 위 변환된 정보를 포함하는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를 생성할 것을 요청하거나, 사용자의 IM 계정에 위 변환된 정보를 포함하는 쪽지를 전송할 것을 IM 서버(160)에 요청한다.
여기서, M2M 애플리케이션 3(172)은 자신이 포함된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미리 사용자의 SNS_ID/IM_ID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정보를 통보받을 수신자로 판단하거나, M2M 서버(140)로부터 위 변환 정보를 전달받을 때 수신자 정보를 함께 전달 받아 수신자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정보를 통보하는 발신자 또는 게시자의 SNS/IM 계정은 연동 모듈을 가진 M2M 애플리케이션 3(172)의 SNS_ID/IM_ID이다.
이후, SNS/IM 서버는 M2M 서버로부터 요청받은 작업을 수행한다.
사용자의 SNS/IM에 표시 과정(S770)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70)에 포함된 SNS/IM 애플리케이션(171) 상에서 M2M 애플리케이션 3(172)에 의해 생성된 게시글, 쪽지 등을 통해 M2M 네트워크에서 통보된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도 8은 도 6 및 도 7의 경우에 사용자의 IM 애플리케이션에서 표시되는 인스턴트 메시지의 예시도이다.
인스턴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턴트 메시지의 발신자는 M2M 애플리케이션 3(172)의 IM_ID로 표시된다. 또한 M2M 네트워크상의 M2M 객체는 IM 시스템상에서 해당 객체의 IM_ID로 식별되므로, 인스턴트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메시지는 해당 정보를 수집한 M2M 객체의 IM_ID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M2M 단말 2(124)에 내장된 M2M 애플리케이션 2(IM 시스템에서 할당된 ID가 'IM_ID 1'이다; 125)가 수집한 정보가 온도(23도), 습도(70%)라는 정보인 경우에,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IM 애플리케이션(171)에서는 M2M 애플리케이션 3(172)의 계정인 IM_ID 5로부터 "IM_ID 1 님의 현재 온도는 23도, 습도는 70%입니다."라는 인스턴트 메시지가 수신된 것으로 표시된다.
한편, 이와 같은 정보의 기재방식은 게시글, 쪽지 형식으로 통보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M2M 네트워크 측의 정보 및 이벤트를 SNS / IM 시스템 측에 통보하는 메커니즘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M2M 네트워크 측의 정보 및 이벤트를 SNS/IM 시스템 측에 통보하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중계 서버(150) 및 사용자 단말 내의 M2M 애플리케이션(172)이 정보 통보 과정에 관여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또한 M2M 서버(140)가 사용자에게 통보할 M2M 정보를 SNS/IM 정보로 변환하며, 연동 모듈(180)이 M2M 애플리케이션 3(172)상에 위치한다.
위와 같은 시스템 하에서, 정보 수집부(110, 111, 112)에서 수집된 정보는 M2M 단말(122, 124, 126)로 전달되고, M2M 단말(122, 124, 126)은 액세스 네트워크(Access Network)를 통해 해당 정보를 M2M 서버(140)에 전달한다. M2M 서버(140)는 각 M2M 단말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SNS/IM상의 정보로 변환한 후 중계 서버(150)에 전달한다. 중계 서버(150)는 사용자 단말(170)에 포함되어 있는 M2M 애플리케이션 3(172)에 변환된 정보를 전송한다. M2M 애플리케이션 3(172)은 연동 모듈(180)을 통해 게시글 생성, 쪽지 또는 인스턴트 메시지 전송 등의 작업을 SNS 서버/IM 서버(160)에 요청한다. SNS 서버/IM 서버(160)가 M2M 애플리케이션 3(172)으로부터 요청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70)에 포함된 SNS/IM 애플리케이션(171) 상에서 M2M 애플리케이션3(172)에 의해 생성된 게시글, 쪽지 등을 통해 M2M 네트워크에서 통보된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도 6과의 차이점은 M2M 서버(140)로부터 M2M 애플리케이션 3(172)으로의 변환된 정보의 전송이 중계 서버(150)를 거치게 된다는 데 있을 뿐, 도 9의 시스템에서도 M2M 애플리케이션 3(172)에서 게시글 생성, 쪽지 또는 인스턴트 메시지 전송 등의 작업을 SNS 서버/IM 서버(160)에 요청한다. 도 10을 참조하여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도 9의 시스템에 있어서 M2M 네트워크 측의 정보 및 이벤트를 SNS/IM 시스템 측에 통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M2M 네트워크 측의 정보 및 이벤트를 SNS/IM 시스템 측에 통보하는 방법은 서비스 등록 과정(S1010), M2M 단말 등록 과정(S1020), 정보 수집 및 전달 과정(S1030), 데이터 변환 과정(S1040), 중계 서버로의 전달 과정(S1050),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M2M 애플리케이션으로의 전달 과정(S1060), 사용자의 SNS/IM 계정으로의 정보 및 이벤트 전송 과정(S1070) 및 사용자의 SNS/IM에 표시 과정(S1080)을 포함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10의 흐름도는 도 7의 흐름도에 중계 서버로의 전달 과정(S1050)이 추가되는 점 이외에는 차이점이 없다. 즉, 중계 서버로의 전달 과정(S1050)에서 M2M 서버(140)는 중계 서버(150)로 변환된 정보를 전달하고,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M2M 애플리케이션으로의 전달 과정(S1060)에서 중계 서버(150)가 M2M 서버(140)로부터 수신한 변환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170)에 위치한 M2M 애플리케이션 3(172)에게 전송한다. 이외에 각 과정의 구체적인 내용은 도 7의 해당 과정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도 9 및 도 10의 경우에 사용자의 IM 애플리케이션에서 표시되는 인스턴트 메시지의 예시도이다.
인스턴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턴트 메시지의 발신자는 M2M 애플리케이션 3(172)의 IM_ID로 표시된다. 또한 M2M 네트워크상의 M2M 객체는 IM 시스템상에서 해당 객체의 IM_ID로 식별되므로, 인스턴트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메시지는 해당 정보를 수집한 M2M 객체의 IM_ID로 표현된다. 즉, 도 9의 시스템에 있어서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IM 애플리케이션(171)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인스턴트 메시지는 도 6의 시스템과 동일하다(도 9 참조).
한편, 이와 같은 정보의 기재방식은 게시글, 쪽지 형식으로 통보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M2M 네트워크 측의 정보 및 이벤트를 SNS / IM 시스템 측에 통보하는 메커니즘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M2M 네트워크 측의 정보 및 이벤트를 SNS/IM 시스템 측에 통보하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중계 서버(150)가 존재하는 반면, 사용자 단말 내의 M2M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거나 정보 통보 과정에 관여하지 않는 상황을 가정한다. 또한 M2M 서버(140)가 사용자에게 통보할 M2M 정보를 SNS/IM 정보로 변환하며, 연동 모듈(180)이 중계 서버(150)상에 위치한다.
위와 같은 시스템 하에서, 정보 수집부(110, 111, 112)에서 수집된 정보는 M2M 단말(122, 124, 126)로 전달되고, M2M 단말(122, 124, 126)은 액세스 네트워크(Access Network)를 통해 해당 정보를 M2M 서버(140)에 전달한다. M2M 서버(140)는 각 M2M 단말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SNS/IM상의 정보로 변환한 후, 중계 서버(150)에 변환된 정보를 전달한다. 중계 서버(150)는 연동 모듈(180)을 통해 게시글 생성, 쪽지 또는 인스턴트 메시지 전송 등의 작업을 SNS 서버/IM 서버(160)에 요청한다. SNS 서버/IM 서버(160)가 중계 서버(150)로부터 요청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70)에 포함된 SNS/IM 애플리케이션(171) 상에서 중계 서버(150)에 의해 생성된 게시글, 쪽지 등을 통해 M2M 네트워크에서 통보된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도 13을 참조하여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도 12의 시스템에 있어서 M2M 네트워크 측의 정보 및 이벤트를 SNS/IM 시스템 측에 통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2M 네트워크 측의 정보 및 이벤트를 SNS/IM 시스템 측에 통보하는 방법은 서비스 등록 과정(S1310), M2M 단말 등록 과정(S1320), 정보 수집 및 전달 과정(S1330), 데이터 변환 과정(S1340), 중계 서버(150)로의 전달 과정(S1350), 사용자의 SNS/IM 계정으로의 전송 과정(S1360) 및 사용자의 SNS/IM에 표시 과정(S1370)을 포함한다.
도 13에서 서비스 등록 과정(S1310), M2M 단말 등록 과정(S1320), 정보 수집 및 전달 과정(S1330), 데이터 변환 과정(S1340) 및 사용자의 SNS/IM에 표시 과정(S1370)은 각각 도 4의 해당 과정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중계 서버로의 전달 과정(S1350) 및 사용자의 SNS/IM 계정으로의 전송 과정(S1360)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중계 서버(150)로의 전달 과정(S1340)에서 M2M 서버(140)는 서비스 등록 과정(S410)에서 등록된 사용자의 SNS/IM 계정 정보, M2M 단말 선택 정보 등을 참조하여 정보를 통보받을 사용자를 결정한다. 결정된 사용자 정보와 함께 위 변환된 정보를 중계 서버(150)에게 전송한다.
사용자의 SNS/IM 계정으로의 전송 과정(S1350)에서, 중계 서버(150)는 연동 모듈을 이용하여 위 변환된 정보를 기초로 SNS 서버/IM 서버(160)에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것을 요청한다. 여기서 소정의 작업은 위 변환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방식, 즉 정보 통보 방식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SNS 계정의 게시판에 게시글로서 위 변환된 정보를 통보하는 경우에는, 중계 서버(150)는 사용자의 SNS 계정의 게시판에 위 변환된 정보를 포함하는 게시글을 저장 또는 게시(Post)할 것을 SNS 서버(160)에게 요청한다. 사용자의 SNS 계정에 쪽지(Direct Message: DM)를 통해 통보하는 경우에는, 중계 서버(150)는 사용자의 SNS 계정에 위 변환된 정보를 포함하는 쪽지를 전송할 것을 SNS 서버(160)에게 요청한다. IM 시스템상의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경우에는, 중계 서버(150)는 자신의 IM 계정과 사용자의 IM 계정 사이에 대화방을 생성하고 생성된 대화방에 위 변환된 정보를 포함하는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를 생성할 것을 요청하거나, 사용자의 IM 계정에 위 변환된 정보를 포함하는 쪽지를 전송할 것을 IM 서버(160)에 요청한다.
여기서, 정보를 통보받을 사용자는 M2M 서버(140)로부터 변환된 정보와 함께 전송받은 사용자 정보를 참조한다. 정보를 통보하는 발신자 또는 게시자의 SNS/IM 계정은 연동 모듈을 가진 중계 서버(150)의 SNS/IM_ID이다.
이후, SNS/IM 서버(160)는 중계 서버(150)로부터 요청받은 작업을 수행한다.
사용자의 SNS/IM에 표시 과정(S460)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70)에 포함된 SNS/IM 애플리케이션(171) 상에서 중계 서버(150)에 의해 생성된 게시글, 쪽지 등을 통해 M2M 네트워크에서 통보된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도 14는 도 12 및 도 13의 경우에 사용자의 IM 애플리케이션에서 표시되는 인스턴트 메시지의 예시도이다.
인스턴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턴트 메시지의 발신자는 중계 서버(150)의 IM_ID로 표시된다. 또한 M2M 네트워크상의 M2M 객체는 IM 시스템상에서 해당 객체의 IM_ID로 식별되므로, 인스턴트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메시지는 해당 정보를 수집한 M2M 객체의 IM_ID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M2M 단말 2(124)에 내장된 M2M 애플리케이션 2(IM 시스템에서 할당된 ID가 'IM_ID 1'이다; 125)가 수집한 정보가 온도(23도), 습도(70%)라는 정보인 경우에,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IM 애플리케이션(171)에서는 중계 서버(150)의 계정인 IM_ID 6으로부터 "IM_ID 1 님의 현재 온도는 23도, 습도는 70%입니다."라는 인스턴트 메시지가 수신된 것으로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이와 같은 정보의 기재방식은 게시글, 쪽지 형식으로 통보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SNS / IM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SNS / IM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메커니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IM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중계 서버 및 사용자 단말 내의 M2M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거나, 제어 메시지 전달 과정에 관여하지 않는 상황을 가정한다. 또한, M2M 서버(140)가 연동 모듈(180)을 가지고 있다.
위와 같은 시스템 하에서, 사용자가 SNS/IM 애플리케이션(171)을 이용해 생성한 제어 메시지는 SNS 서버/IM 서버(160)를 통해 M2M 서버(140)의 SNS/IM 계정에 전달되고, M2M 서버(140)는 자신의 SNS/IM 계정에 전달된 제어 메시지를 연동 모듈(180)을 통해 M2M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M2M 단말(122, 124, 126)에 전송한다. 도 16을 참조하여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IM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SNS/IM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방법은 서비스 등록 과정(S1610), M2M 단말 등록 과정(S1620), 사용자의 제어 메시지 입력 과정(S1630), M2M 서버로의 제어 메시지 전송 과정(S1640), 데이터 변환 과정(S1650), M2M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 과정(S1660), 각 기기로의 제어 신호 전송 과정(S1670)을 포함한다.
서비스 등록 과정(S1610)에서 사용자는 M2M 서비스에 가입(Subscription)하면서 자신의 SNS 계정을 M2M 서버(140)에 등록하고, SNS/IM 시스템을 통해 제어할 수 있는 M2M 네트워크상의 M2M 단말(122, 124, 126)의 SNS_ID/IM_ID 정보를 얻게 된다. 또한, 서비스 등록 과정(S1610)에서 사용자는 M2M 서버(140)의 SNS 계정을 구독(Subscription) 신청하거나, M2M 서버(140)의 IM 계정을 대화상대로 등록한다.
한편, 제어 메시지 전달 방식과 관련하여, SNS 시스템의 경우 쪽지(Direct Message) 형식으로 통보할 수 있고, IM 시스템의 경우 데이터 전달방식은 쪽지 또는 대화방을 생성하여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 전송하는 방식으로 통보할 수 있을 것이다.
M2M 단말 등록 과정(S1620)에서 M2M 단말(122, 124, 126)이 M2M 서버(140)에 등록된다. 등록과정에서 M2M 단말(122, 124, 126)의 M2M 네트워크상의 식별자(Identifier) 및 사용자가 제어 메시지에 제어대상으로 표시할 M2M 단말(122, 124, 126)의 SNS_ID/IM_ID를 등록하게 된다. 이때 M2M 단말(122, 124, 126)의 SNS_ID/IM_ID는 해당 M2M 단말(122, 124, 126)의 제조과정에서 제조자에 의해 부여된 SNS_ID/IM_ID, M2M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부여된 SNS_ID/IM_ID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선택된 SNS_ID/IM_ID일 수 있다.
사용자의 제어 메시지 입력 과정(S1630)에서 사용자는 SNS/IM 애플리케이션(171)을 이용하여 SNS 서버/IM 서버(160)에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것을 요청한다. 여기서 소정의 작업은 제어 메시지를 어떠한 방식으로 M2M 네트워크에 전달하느냐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M2M 서버(140)의 SNS 계정에 쪽지를 통해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M2M 서버(140)의 SNS 계정에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쪽지를 전송할 것을 SNS 서버(160)에게 요청한다. IM을 통해 M2M 서버에게 전송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자신의 IM 계정과 M2M 서버(140)의 SNS 계정 사이에 대화방을 생성하고 생성된 대화방에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생성할 것을 요청하거나, M2M 서버(140)의 IM 계정에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쪽지를 전송할 것을 IM 서버(160)에 요청한다.
M2M 서버(140)로의 제어 메시지 전송 과정(S1640)에서, SNS 서버/IM 서버(160)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받은 작업을 수행한다.
데이터 변환 과정(S1650)에서, M2M 서버(140)는 자신의 SNS/IM 계정에 전송된 쪽지 또는 인스턴트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메시지를 연동 모듈(180)을 통해 M2M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다. 변환된 제어 메시지로부터 M2M 서버(140)는 제어 대상 및 제어사항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M2M 단말에 전송할 M2M 메시지를 생성한다.
M2M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 과정(S1660)에서, M2M 서버(140)는 생성한 M2M 메시지를 해당되는 M2M 단말에 전송한다. 즉, M2M 서버(140)는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제어 메시지에 제어대상으로 표시된 SNS_ID/IM_ID에 대응하는 M2M 단말을 식별하여 해당 M2M 단말에게 생성한 M2M 메시지를 전송한다.
각 기기로의 제어 신호 전송 과정(S1670)에서 M2M 서버(140)로부터 M2M 메시지를 수신한 M2M 단말(122, 124, 126)은 수신한 M2M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사항을 수행하기 위해 해당 기기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도 17은 도 15 및 도 16의 경우에 IM 애플리케이션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스턴트 메시지의 예시도이다.
인스턴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M2M 서버(140)에게(더 정확히는 M2M 서버(140)의 IM 계정에) M2M 네트워크상의 M2M 객체에 요청하는 제어 사항이 기재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한다. M2M 네트워크상의 M2M 객체는 IM 시스템상에서 해당 객체의 IM_ID로 식별되므로, 사용자는 제어하고자 하는 M2M 객체를 해당 객체의 IM_ID로 표현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M2M 단말 2(124)에 내장된 M2M 애플리케이션 2(IM 시스템에서 할당된 ID가 'IM_ID 1'이다; 125)가 수집하는 온도가 23도, 습도가 70%로 제어되기를 원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IM 애플리케이션(171)에서 M2M 서버(140)를 수신자로 하여, "IM_ID 1 님의 현재 온도는 23도, 습도는 70%로 설정!"이라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생성한다. 다만, 예시한 정보의 기재방식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M2M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문법에 따라 기재되거나, 자연어 처리 등의 알고리즘 또는 링크 주소를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정보의 기재방식은 쪽지 형식으로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하에서는 도 18 내지 도 20를 참조하여 SNS / IM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메커니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NS/IM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 내의 M2M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반면, 중계 서버가 존재하지 않거나 제어 메시지 전달 과정에 관여하지 않는 상황을 가정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M2M 애플리케이션(172)이 연동 모듈(180)을 가지고 있다.
위와 같은 시스템 하에서, 사용자가 SNS/IM 애플리케이션(171)을 이용해 생성한 제어 메시지는 SNS 서버/IM 서버(160)를 통해 사용자 단말(170)에 포함된 M2M 애플리케이션 3(172)의 SNS/IM 계정에 전달되고, M2M 애플리케이션 3(172)은 자신의 SNS/IM 계정에 전달된 제어 메시지를 연동 모듈(180)을 통해 M2M 메시지로 변환한 후 M2M 서버(140)에 전달한다. M2M 메시지를 수신한 M2M 서버(140)는 수신한 M2M 메시지를 해당 M2M 단말(122, 124, 126)에 전송한다. 도 19를 참조하여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NS/IM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SNS/IM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방법은 서비스 등록 과정(S1910), M2M 단말 등록 과정(S1920), 사용자의 제어 메시지 입력 과정(S1930), SNS/IM에 동일한 공간에 있는 애플리케이션으로의 제어 메시지 전송 과정(S1940), 데이터 변환 과정(S1950), M2M 서버로의 제어 메시지 전송 과정(S1960), M2M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 과정(S1970), 각 기기로의 제어 신호 전송 과정(S1980)을 포함한다.
도 19에서 서비스 등록 과정(S1910), M2M 단말 등록 과정(S1920) 및 각 기기로의 제어 신호 전송 과정(S1980)은 도 18의 각 과정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사용자의 제어 메시지 입력 과정(S1930),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M2M 애플리케이션으로의 제어 메시지 전송 과정(S1940), 데이터 변환 과정(S1950), M2M 서버(140)로의 제어 메시지 전송 과정(S1960) 및 M2M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 과정(S1970)을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의 제어 메시지 입력 과정(S1930)에서 사용자는 SNS/IM 애플리케이션(171)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70)에 포함된 M2M 애플리케이션 3(171)에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것을 요청한다. 여기서 소정의 작업은 제어 메시지를 어떠한 방식으로 M2M 네트워크에 전달하느냐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M2M 서버(140)의 SNS 계정에 쪽지를 통해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M2M 서버(140)의 SNS 계정에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쪽지를 전송할 것을 SNS 서버(160)에게 요청한다. IM을 통해 M2M 서버에게 전송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자신의 IM 계정과 M2M 애플리케이션 3(171)의 SNS 계정 사이에 대화방을 생성하고 생성된 대화방에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생성할 것을 요청하거나, M2M 애플리케이션 3(171)의 IM 계정에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쪽지를 전송할 것을 IM 서버(160)에 요청한다.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M2M 애플리케이션으로의 제어 메시지 전송 과정(S1940)에서 SNS 서버/IM 서버(160)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받은 작업을 수행한다.
데이터 변환 과정(S1950)에서 M2M 애플리케이션 3(172)은 자신의 SNS/IM 계정에 전송된 쪽지 또는 인스턴트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메시지를 연동 모듈(180)을 통해 M2M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다.
M2M 서버(140)로의 제어 메시지 전송 과정(S1960)에서 M2M 애플리케이션 3(172)은 M2M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된 제어 메시지를 M2M 서버(140)에 전송한다.
M2M 단말로의 제어 신호 전송 과정(S1970)에서 M2M 서버(140)는 M2M 애플리케이션 3(172)으로부터 전달받은 변환된 제어 메시지로부터 제어대상 및 제어사항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M2M 단말에 전송할 M2M 메시지를 생성하고, 제어 메시지에 제어대상으로 표시된 SNS_ID/IM_ID에 대응하는 M2M 단말을 판단하여 해당 M2M 단말에게 위 생성한 M2M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20은 도 18 및 도 20의 경우에 IM 애플리케이션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스턴트 메시지의 예시도이다.
인스턴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우,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M2M 애플리케이션 3(172)에게(더 정확히는 M2M 애플리케이션 3(172)의 IM 계정에) M2M 네트워크상의 M2M 객체에 요청하는 제어 사항이 기재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한다. M2M 네트워크상의 M2M 객체는 IM 시스템상에서 해당 객체의 IM_ID로 식별되므로, 사용자는 제어하고자 하는 M2M 객체를 해당 객체의 IM_ID로 표현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M2M 단말 2(124)에 내장된 M2M 애플리케이션 2(IM 시스템에서 할당된 ID가 'IM_ID 1'이다; 125)가 수집하는 온도가 23도, 습도가 70%로 제어되기를 원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IM 애플리케이션(171)에서 M2M 애플리케이션 3(172)을 수신자로 하여, "IM_ID 1 님의 현재 온도는 23도, 습도는 70%로 설정!"이라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입력한다. 다만, 예시한 정보의 기재방식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M2M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문법에 따라 기재되거나, 자연어 처리 등의 알고리즘 또는 링크 주소를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정보의 기재방식은 쪽지 형식으로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하에서는 도 21 내지 도 23를 참조하여 SNS / IM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메커니즘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SNS/IM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중계 서버(150) 및 사용자 단말 내의 M2M 애플리케이션(172)이 정보 통보 과정에 관여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70) 내의 M2M 애플리케이션(172)이 연동 모듈(180)을 가지고 있다.
위와 같은 시스템 하에서, 사용자가 SNS/IM 애플리케이션(171)을 이용해 생성한 제어 메시지는 SNS 서버/IM 서버(160)를 통해 사용자 단말(170)상에 위치한 M2M 애플리케이션 3(172)의 SNS/IM 계정에 전달되고, M2M 애플리케이션 3(172)은 자신의 SNS/IM 계정에 전달된 제어 메시지를 연동 모듈(180)을 통해 M2M 메시지로 변환한 후 중계 서버(150)에 전송한다. M2M 메시지를 수신한 중계 서버(150)는 수신한 M2M 메시지를 M2M 서버(140)에 전달하고, M2M 메시지를 전달받은 M2M 서버(140)는 수신한 M2M 메시지를 해당 M2M 단말(122, 124, 126)에 전송한다.
도 18과의 차이점은 M2M 애플리케이션 3(172)으로부터 M2M 서버(140)로의 M2M 메시지 전송이 중계 서버(150)를 거치게 된다는 데 있을 뿐, 도 21의 시스템에서도 M2M 애플리케이션 3(172)에서 SNS/IM 메시지가 M2M 메시지로 변환된다. 도 22를 참조하여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SNS/IM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SNS/IM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방법은 서비스 등록 과정(S2210), M2M 단말 등록 과정(S2220), 사용자의 제어 메시지 입력 과정(S2230),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M2M 애플리케이션으로의 제어 메시지 전송 과정(S2240), 데이터 변환 과정(S2250), 중계 서버로의 제어 메시지 전송 과정(S2260), M2M 서버로의 제어 메시지 전송 과정(S2270), M2M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 과정(S2280), 각 기기로의 제어 신호 전송 과정(S2290)을 포함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22의 흐름도는 도 19의 흐름도에 중계 서버로의 제어 메시지 전송 과정(S2260)이 추가되는 점 이외에는 차이가 없다.
중계 서버로의 제어 메시지 전달 과정(S2260)에서, M2M 애플리케이션 3(172)은 M2M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된 제어 메시지를 중계 서버(150)에 전달한다.
M2M 서버로의 제어 메시지 전송 과정(S2270)에서, 중계 서버(150)가 M2M 애플리케이션 3(172)으로부터 수신한 제어 메시지를 M2M 서버(140)에 전달한다.
이외에 각 과정의 구체적인 내용은 도 19의 해당 과정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3은 도 21 및 도 22의 경우에 IM 애플리케이션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스턴트 메시지의 예시도이다.
인스턴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우,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M2M 애플리케이션 3(172)에게(더 정확히는 M2M 애플리케이션 3(172)의 IM 계정에) M2M 네트워크상의 M2M 객체에 요청하는 제어 사항이 기재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한다. M2M 네트워크상의 M2M 객체는 IM 시스템상에서 해당 객체의 IM_ID로 식별되므로, 사용자는 제어하고자 하는 M2M 객체를 해당 객체의 IM_ID로 표현한다. 이와 같이, 도 21의 시스템에 있어서 인스턴트 메시지의 수신자 및 제어대상의 표시방식은 도 18의 시스템과 동일하다(도 20 참조).
한편, 이와 같은 정보의 기재방식은 쪽지 형식으로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하에서는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SNS / IM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메커니즘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SNS/IM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중계 서버(150)가 존재하는 반면, 사용자 단말 내의 M2M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거나 정보 통보 과정에 관여하지 않는 상황을 가정한다. 또한, 중계 서버(150)가 연동 모듈(180)을 가지고 있다.
위와 같은 시스템 하에서, 사용자가 SNS/IM 애플리케이션(171)을 이용하여 생성한 제어 메시지는 SNS 서버/IM 서버(160)를 통해 중계 서버(150)의 SNS/IM 계정에 전달되고, 중계 서버(150)는 자신의 SNS/IM 계정에 전달된 제어 메시지를 연동 모듈(180)을 통해 M2M 메시지로 변환한 후 M2M 서버(140)에 전송한다. M2M 메시지를 수신한 M2M 서버(140)는 수신한 M2M 메시지를 해당 M2M 단말(122, 124, 126)에 전송한다. 도 25를 참조하여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5는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SNS/IM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SNS/IM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방법은 서비스 등록 과정(S2510), M2M 단말 등록 과정(S2520), 사용자의 제어 메시지 입력 과정(S2530), 중계 서버로의 제어 메시지 전송 과정(S2540), 데이터 변환 과정(S2550), M2M 서버로의 제어 메시지 전송 과정(S2560), M2M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 과정(S2570), 각 기기로의 제어 신호 전송 과정(S2580)을 포함한다.
도 25에서 서비스 등록 과정(S2510), M2M 단말 등록 과정(S2520) 및 각 기기로의 제어 신호 전송 과정(S2580)은 각각 도 18의 해당 과정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사용자의 제어 메시지 입력 과정(S2530), 중계 서버로의 전달 과정(S2540), 데이터 변환 과정(S2550), M2M 서버로의 제어 메시지 전송 과정(S2560) 및 M2M 단말로의 제어 신호 전송 과정(S2570)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의 제어 메시지 입력 과정(S2530)에서, 사용자는 SNS/IM 애플리케이션(171)을 이용하여 SNS 서버/IM 서버(160)에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것을 요청한다. 여기서 소정의 작업은 제어 메시지를 어떠한 방식으로 M2M 네트워크에 전달하느냐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중계 서버(150)의 SNS 계정에 쪽지를 통해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중계 서버(150)의 SNS 계정에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쪽지를 전송할 것을 SNS 서버(160)에게 요청한다. IM을 통해 중계 서버(150)에게 전송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자신의 IM 계정과 중계 서버(150)의 IM 계정 사이에 대화방을 생성하고 생성된 대화방에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생성할 것을 요청하거나, 중계 서버(150)의 IM 계정에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쪽지를 전송할 것을 IM 서버(160)에 요청한다.
중계 서버로의 전달 과정(S2540)에서, SNS 서버/IM 서버(160)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받은 작업을 수행한다.
데이터 변환 과정(S2550)에서, 중계 서버(150)는 자신의 SNS/IM 계정에 전송된 쪽지 또는 인스턴트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메시지를 연동 모듈(180)을 통해 M2M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다.
M2M 서버로의 제어 메시지 전송 과정(S2560)에서, 중계 서버(150)는 M2M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된 제어 메시지를 M2M 서버(140)에 전달한다.
M2M 단말로의 제어 신호 전송 과정(S2570)에서, M2M 서버(140)는 전달받은 변환된 제어 메시지로부터 제어대상 및 제어사항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M2M 단말에 전송할 M2M 메시지를 생성하고, 제어 메시지에 제어대상으로 표시된 SNS_ID/IM_ID에 대응하는 M2M 단말을 판단하여 해당 M2M 단말에게 위 생성한 M2M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26은 도 24 및 도 25의 경우에 IM 애플리케이션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스턴트 메시지의 예시도이다.
인스턴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우,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중계 서버(150)에게(더 정확히는 중계 서버(150)의 IM 계정에) M2M 네트워크상의 M2M 객체에 요청하는 제어 사항이 기재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한다. M2M 네트워크상의 M2M 객체는 IM 시스템상에서 해당 객체의 IM_ID로 식별되므로, 사용자는 제어하고자 하는 M2M 객체를 해당 객체의 IM_ID로 표현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M2M 단말 2(124)에 내장된 M2M 애플리케이션 2(IM 시스템에서 할당된 ID가 'IM_ID 1'이다; 125)가 수집하는 온도가 23도, 습도가 70%로 제어되기를 원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IM 애플리케이션(171)에서 중계 서버(150)의 IM 계정과의 대화창에, "IM_ID 1 님의 현재 온도는 23도, 습도는 70%로 설정!"이라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입력한다. 다만, 예시한 정보의 기재방식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M2M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문법에 따라 기재되거나, 자연어 처리 등의 알고리즘 또는 링크 주소를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정보의 기재방식은 쪽지 형식으로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하에서는 도 27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SNS / IM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메커니즘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SNS/IM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어 서버가 존재한다. 또한 사용자의 SNS/IM 계정에 전송된 정보 메시지의 내용에 제어 서버(190)에서 제공하는 제어 인터페이스에 접속할 수 있는 주소가 링크된 상황을 가정한다.
위와 같은 시스템 하에서, 사용자가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주소를 클릭하여 제어 인터페이스에 접속하고, 접속한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대상 및 제어사항을 설정한다. 제어 서버(190)는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제어대상 및 제어사항을 포함하는 M2M 메시지를 M2M 서버(140)로 전송한다. M2M 서버(140)는 M2M 메시지를 해당 M2M 단말(122, 124, 126)에 전송하고, M2M 단말(122, 124, 126)은 M2M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사항을 수행하기 위해 해당 기기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도 27의 시스템에서는 제어 서버(190)에서 제공하는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직접 M2M 네트워크에 제어사항 등이 입력되므로, 연동 모듈(180)이 사용되지 않는다. 도 28을 참조하여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SNS/IM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SNS/IM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방법은 제어 인터페이스 접속 과정(S2810), 제어사항 입력 과정(S2820), M2M 서버로의 제어 메시지 전송 과정(S2830), M2M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 과정(S2840) 및 각 기기로의 제어 신호 전송 과정(S2850)을 포함한다.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SNS/IM 계정에 전송된 M2M 네트워크 측의 정보 메시지의 내용에 제어 서버(190)에서 제공하는 제어 인터페이스에 접속할 수 있는 주소가 링크되어 있는 상황이 전제된다.
제어 인터페이스 접속 과정(S2810)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SNS/IM 계정에 기 전송된 정보 메시지 중에 포함된 링크 주소를 클릭한다. 링크 주소를 클릭하면 제어 서버(190)에서 제공하는 제어 인터페이스에 접속된다.
제어사항 입력 과정(S2820)에서, 사용자는 접속된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대상 및 제어사항 등을 설정한다.
M2M 서버(140)로의 제어 메시지 전송 과정(S2830)에서, 제어 서버(190)는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M2M 서버(140)에 전송한다.
M2M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 과정(S2840)에서, M2M 서버(140)는 제어 서버(19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메시지를 제어대상으로 설정된 M2M 단말(122, 124, 126)에 전송한다.
각 기기로의 제어 신호 전송 과정(S2850)에서, M2M 서버(140)로부터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M2M 단말(122, 124, 126)은 수신한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사항을 수행하기 위해 해당 기기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도 29는 도 27 및 도 28의 경우에 링크 주소가 포함된 인스턴트 메시지 및 링크 주소에 연결된 제어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IM 계정에 전송된 M2M 네트워크 측의 정보 메시지의 내용에 제어 서버(190)에서 제공하는 제어 인터페이스에 접속할 수 있는 주소가 링크되어 있다. 해당 링크를 클릭할 경우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가 포워딩 되고, 연결된 웹 페이지는 제어대상 및 제어사항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다만, 예시한 제어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예시에 불과하고, 제어 인터페이스의 구성이나 형식은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0을 참조하여 SNS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메커니즘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예시하는 SNS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방법의 또다른 실시예는 사용자가 자신의 SNS 계정상의 게시판에 제어 메시지를 게시하고 M2M 네트워크측의 객체가 위 제어 메시지를 확인하여 해당 M2M 단말에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는 도 15, 도 18, 도 21 및 도 24의 시스템에서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SNS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SNS 시스템 측에서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를 제어하는 방법의 또다른 실시예는 사용자의 제어 메시지 입력 과정(S3010), 사용자의 타임라인 메시지 감시 과정(S3020), 타임라인 메시지 파싱 과정(S3030), M2M 서버로의 제어 메시지 전송 과정(S3040), M2M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 과정(S3050) 및 각 기기로의 제어 신호 전송 과정(S306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SNS상에 계정을 가진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가 사용자의 SNS 계정을 구독(Subscription)하고 있는 상황을 가정한다. 여기서 '구독'이라는 용어는 각 SNS 시스템에서 팔로우(Follow), 이웃 맺기, 일촌 맺기 등의 용어로 사용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자신의 SNS 계정에 글을 게시(Post)할 경우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는 자신의 SNS 계정상에서 해당 게시글을 타임라인(Timeline) 형식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제어 메시지 입력 과정(S3010)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SNS 계정에 제어 메시지를 게시한다. 제어 메시지에는 제어대상 및 제어사항 등이 포함된다.
사용자의 타임라인 메시지 감시 과정(S3020)에서, SNS상에 계정이 있는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는 자신의 SNS 계정을 통해 사용자의 타임라인 메시지를 감시한다. 여기서 SNS상에 계정을 가진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는 M2M 서버(140), 중계 서버(150), 사용자 단말(170)상에 위치한 M2M 애플리케이션 3(172) 중의 어느 하나의 객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SNS상에 계정이 있는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는 도 15의 시스템에서는 M2M 서버(140)이며, 도 18의 시스템에서는 M2M 애플리케이션 3(172), 도 21의 시스템에서는 M2M 애플리케이션 3(172), 도 24의 시스템에서는 중계 서버(150)에 해당한다.
타임라인 메시지 파싱 과정(S3030)에서, SNS상에 계정이 있는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는 타임라인 메시지가 감지되면 해당 타임라인 메시지를 파싱하여 제어 내용이 포함된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감지된 사용자의 게시글이 일반적인 게시글인지 M2M 네트워크상의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포함된 게시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데이터 변환 과정(S3040)에서, SNS상에 계정이 있는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는 파싱된 타임라인 메시지에 제어 내용이 포함된 경우 해당 메시지를 변환하여 M2M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M2M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 과정(S3050)에서, SNS상에 계정이 있는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에서 생성된 M2M 제어 메시지가 해당 M2M 단말(122, 124, 126)로 전송된다. SNS상에 계정이 있는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가 M2M 서버(140)인 경우에는 자신이 생성한 M2M 제어 메시지를 곧바로 해당하는 M2M 단말(122, 124, 126)에 전송하는데, 이때 M2M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대상의 SNS_ID과 매칭되는 M2M 네트워크상의 객체에게 M2M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다. 만일 SNS상에 계정이 있는 M2M 네트워크 측의 객체가 M2M 서버(140)가 아닌 경우에는 생성한 M2M 제어 메시지를 M2M 서버(140)에 전달하고, M2M 서버(140)는 전달받은 M2M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대상의 SNS_ID과 매칭되는 M2M 네트워크상의 객체에게 M2M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각 기기로의 제어 신호 전송 과정(S3060)에서, M2M 서버(140)로부터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M2M 단말(122, 124, 126)은 수신한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사항을 수행하기 위해 해당 기기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도 4, 도 7, 도 10, 도 13, 도 16, 도 19, 도 22, 도 25, 도 28 및 도 30의 순서도 및 해당되는 설명 등에서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4, 도 7, 도 10, 도 13, 도 16, 도 19, 도 22, 도 25, 도 28 및 도 30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각 단계들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가능할 것이므로, 도 4, 도 7, 도 10, 도 13, 도 16, 도 19, 도 22, 도 25, 도 28 및 도 30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정보 수집부
111: 정보 수집부
112: 정보 수집부
120: M2M 단말 4
121: M2M 애플리케이션 1
122: M2M 단말 1
124: M2M 단말 2
125: M2M 애플리케이션 2
126: M2M 단말 3
140: M2M 서버
150: 중계 서버
160: SNS 서버/IM 서버
170: 사용자 단말
171: 사용자 SNS/IM 애플리케이션
172: M2M 애플리케이션 3
180: 연동 모듈
190: 제어 서버

Claims (49)

  1.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수집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정보 수집부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M2M 단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M2M 단말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자신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라고 칭함) 계정을 구독(Subscription)하는 사용자의 SNS 계정에 쪽지 방식 및 게시글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센싱 정보를 전송하는 M2M 서버
    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M2M 정보의 통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2M 서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M2M 단말 중 센싱 정보를 통보받고자 하는 M2M 단말에 관한 선택 정보'(이하 '선호단말 정보'라고 칭함)를 입력받아 상기 센싱 정보를 통보받을 사용자 목록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M2M 정보의 통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M2M 서버는,
    상기 사용자마다 각 사용자의 선호단말 정보에 대응되는 M2M 단말의 센싱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M2M 정보의 통보 시스템.
  4.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수집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정보 수집부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M2M 단말;
    상기 하나 이상의 M2M 단말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M2M 서버; 및
    상기 M2M 서버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M2M 서버의 SNS 계정을 구독하는 사용자의 SNS 계정에 쪽지 방식 및 게시글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중계 서버
    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M2M 정보의 통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M2M 서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호단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센싱 정보를 통보받을 사용자 목록을 관리하고,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M2M 서버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 및 상기 센싱 정보를 통보받을 사용자 목록을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의 SNS 계정에 쪽지 방식 및 게시글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M2M 정보의 통보 시스템.
  6.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수집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정보 수집부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M2M 단말;
    상기 하나 이상의 M2M 단말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M2M 서버; 및
    상기 M2M 서버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M2M 서버의 SNS 계정을 구독하는 사용자의 SNS 계정에 쪽지 방식 및 게시글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M2M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M2M 정보의 통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M2M 서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호단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센싱 정보를 통보받을 사용자 목록을 관리하고,
    상기 M2M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M2M 서버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 및 상기 센싱 정보를 통보받을 사용자 목록을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의 SNS 계정에 쪽지 방식 및 게시글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M2M 정보의 통보 시스템.
  8.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수집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정보 수집부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M2M 단말;
    상기 하나 이상의 M2M 단말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센싱 정보를 통보받을 사용자 목록을 관리하는 M2M 서버;
    상기 M2M 서버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중계 서버; 및
    상기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M2M 서버의 SNS 계정을 구독하는 사용자의 SNS 계정에 쪽지 방식 및 게시글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M2M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M2M 정보의 통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M2M 서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호단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센싱 정보를 통보받을 사용자 목록을 관리하고,
    상기 M2M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중계 서버를 통해 상기 M2M 서버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 및 상기 센싱 정보를 통보받을 사용자 목록을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의 SNS 계정에 쪽지 방식 및 게시글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M2M 정보의 통보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쪽지 및 상기 게시글에 포함된 센싱 정보는 해당하는 M2M 단말의 SNS ID로 표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M2M 정보의 통보 시스템.
  11.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수집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정보 수집부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M2M 단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M2M 단말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자신의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이하 'IM'라고 칭함) 계정과 친구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IM 계정에 상기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를 전송하는 M2M 서버
    를 포함하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정보의 통보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M2M 서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호단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센싱 정보를 통보받을 사용자 목록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정보의 통보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M2M 서버는,
    상기 사용자마다 각 사용자의 선호단말 정보에 대응되는 M2M 단말의 센싱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정보의 통보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는,
    쪽지 방식 또는 대화방 방식을 통해 전송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정보의 통보 시스템.
  15.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수집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정보 수집부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M2M 단말;
    상기 하나 이상의 M2M 단말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M2M 서버; 및
    상기 M2M 서버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M2M 서버의 IM 계정에 친구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IM 계정에 상기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중계 서버
    를 포함하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정보의 통보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M2M 서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호단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센싱 정보를 통보받을 사용자 목록을 관리하고,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M2M 서버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 및 상기 센싱 정보를 통보받을 사용자 목록을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의 IM 계정에 상기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정보의 통보 시스템.
  17.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수집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정보 수집부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M2M 단말;
    상기 하나 이상의 M2M 단말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M2M 서버; 및
    상기 M2M 서버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M2M 서버의 IM 계정에 친구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IM 계정에 상기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M2M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된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정보의 통보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M2M 서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호단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센싱 정보를 통보받을 사용자 목록을 관리하고,
    상기 M2M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M2M 서버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 및 상기 센싱 정보를 통보받을 사용자 목록을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의 IM 계정에 친구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IM 계정에 인스턴트 메시지 방식으로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정보의 통보 시스템.
  19.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수집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정보 수집부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M2M 단말;
    상기 하나 이상의 M2M 단말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M2M 서버;
    상기 M2M 서버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중계 서버; 및
    상기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M2M 서버의 IM 계정에 친구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IM 계정에 상기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M2M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정보의 통보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M2M 서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호단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센싱 정보를 통보받을 사용자 목록을 관리하고,
    상기 M2M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중계 서버를 통해 상기 M2M 서버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 및 상기 센싱 정보를 통보받을 사용자 목록을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의 IM 계정에 상기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정보의 통보 시스템.
  21. 제1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에 포함된 센싱 정보는 해당하는 M2M 단말의 IM ID로 표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정보의 통보 시스템.
  22. 복수의 M2M 단말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M2M 단말로부터 각 M2M 단말이 생성 또는 취합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집 과정;
    수신한 상기 정보 및 상기 정보를 생성 또는 취합한 M2M 단말의 정보(이하 '생성자 정보'라고 칭함)를 포함하는 통보데이터를 생성하는 통보데이터 생성 과정;
    자신의 SNS 계정을 구독하는 사용자의 SNS 계정 목록을 참조하여 상기 통보데이터를 수신할 수신자를 결정하는 수신자 결정 과정; 및
    상기 수신자의 SNS 계정에 상기 생성된 통보데이터를 직접 전송하거나, 대신 전송할 것을 중계 서버 및 상기 수신자의 단말에 포함된 M2M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에 요청하는 정보 통보 과정
    을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M2M 정보의 통보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통보 과정은,
    상기 수신자의 SNS 계정에 상기 생성된 통보데이터를 포함하는 SNS 쪽지를 발신하는 방식 및 상기 생성된 통보데이터를 포함하는 SNS 게시글을 게시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상기 생성된 통보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M2M 정보의 통보 방법.
  24. 제22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자 정보는,
    상기 복수의 M2M 단말 각각에 기 할당된 SNS상의 ID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M2M 정보의 통보 방법.
  25. 제22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 결정 과정은,
    상기 자신의 SNS 계정을 구독하는 사용자로부터 기 입력받은 '각 단말이 수집 또는 취합한 정보를 통보받고자 하는 M2M 단말에 관한 선택 정보'(이하 '선호단말 정보'라고 칭함)를 기초로 상기 통보데이터를 수신할 수신자를 결정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M2M 정보의 통보 방법.
  26. M2M 서버가 복수의 M2M 단말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보함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M2M 단말로부터 각 M2M 단말이 생성 또는 취합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집 과정;
    수신한 상기 정보 및 생성자 정보를 포함하는 통보데이터를 생성하는 통보데이터 생성 과정;
    자신의 IM 계정과 친구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IM 계정 목록을 참조하여 상기 통보데이터를 수신할 수신자를 결정하는 수신자 결정 과정; 및
    상기 수신자의 IM 계정에 상기 생성된 통보데이터를 직접 전송하거나, 대신 전송할 것을 중계 서버 및 상기 수신자의 단말에 포함된 M2M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에 요청하는 정보 통보 과정
    을 포함하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정보의 통보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통보 과정은,
    상기 수신자의 IM 계정에 상기 생성된 통보데이터를 포함하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발신하는 방식을 통해 상기 생성된 통보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정보의 통보 방법.
  28. 제26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자 정보는,
    상기 복수의 M2M 단말 각각에 기 할당된 IM상의 ID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정보의 통보 방법.
  29. 제26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 결정 과정은,
    상기 자신의 IM 계정을 구독하는 사용자로부터 기 입력받은 선호단말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보데이터를 수신할 수신자를 결정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정보의 통보 방법.
  30. SNS 및 IM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어 사항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 사항을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M2M 서버; 및
    상기 M2M 서버로부터 상기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 사항을 수행하는 M2M 단말
    을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단말의 제어 시스템.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M2M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SNS 계정을 구독하고 있고,
    상기 SNS 방식은 상기 사용자의 SNS 계정으로부터 상기 M2M 서버의 SNS 계정에 상기 제어 사항이 포함된 쪽지를 수신하는 방식 및 상기 사용자의 SNS 계정에 게시된 상기 제어사항이 포함된 게시글을 상기 M2M 서버의 SNS 계정의 타임라인을 통해 확인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단말의 제어 시스템.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SNS 계정을 구독하는 SNS 계정을 가진 중계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SNS 방식은 상기 사용자의 SNS 계정으로부터 상기 중계 서버의 SNS 계정에 수신된 상기 제어 사항이 포함된 쪽지를 상기 중계 서버로부터 전달받는 방식 및 상기 중계 서버의 SNS 계정의 타임라인을 통해 확인된 상기 사용자의 SNS 계정에 게시된 상기 제어사항이 포함된 게시글을 상기 중계 서버로부터 전달받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단말의 제어 시스템.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SNS 계정을 구독하는 SNS 계정을 가진 M2M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된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SNS 방식은 상기 사용자의 SNS 계정으로부터 상기 M2M 애플리케이션의 SNS 계정에 수신된 상기 제어 사항이 포함된 쪽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받는 방식 및 상기 M2M 애플리케이션의 SNS 계정의 타임라인을 통해 확인된 상기 사용자의 SNS 계정에 게시된 상기 제어사항이 포함된 게시글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받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단말의 제어 시스템.
  34. 제30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사항은,
    상기 M2M 단말의 SNS ID로 표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단말의 제어 시스템.
  3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M2M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IM 계정과 친구등록되어 있고;
    상기 IM 방식은 상기 사용자의 IM 계정으로부터 상기 M2M 서버의 IM 계정에 상기 제어 사항이 포함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단말의 제어 시스템.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IM 계정과 친구등록되어 있는 IM 계정을 가진 중계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IM 방식은 상기 사용자의 IM 계정으로부터 상기 중계 서버의 IM 계정에 수신된 상기 제어 사항이 포함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상기 중계 서버로부터 전달받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단말의 제어 시스템.
  37.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IM 계정과 친구등록되어 있는 IM 계정을 가진 M2M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된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IM 방식은 상기 사용자의 IM 계정으로부터 상기 M2M 애플리케이션의 IM 계정에 수신된 상기 제어 사항이 포함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받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단말의 제어 시스템.
  38. 제30항 및 제35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사항은,
    상기 M2M 단말의 IM ID로 표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단말의 제어 시스템.
  39. M2M 서버가 SNS 및 IM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어사항을 수신하는 제어사항 수신 과정;
    상기 M2M 서버가 수신한 제어사항을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 메시지 생성 과정; 및
    상기 M2M 서버가 상기 제어 메시지를 M2M 단말에 전달하는 제어 메시지 전달 과정;
    을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단말의 제어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사항 수신 과정에서 SNS 방식은,
    자신의 SNS 계정을 통해 상기 제어 사항이 포함된 쪽지를 수신하는 방식 또는 자신의 SNS 계정의 타임라인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SNS 계정에 게시된 상기 제어사항이 포함된 게시글을 확인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단말의 제어 방법.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사항 수신 과정에서 SNS 방식은,
    상기 사용자의 SNS 계정을 구독하는 SNS 계정을 가진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중계 서버의 SNS 계정에 수신된 상기 제어 사항이 포함된 쪽지를 수신하는 방식 및 상기 중계 서버의 SNS 계정의 타임라인을 통해 확인된 상기 사용자의 SNS 계정에 게시된 상기 제어사항이 포함된 게시글을 수신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단말의 제어 방법.
  42.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사항 수신 과정에서 SNS 방식은,
    상기 사용자의 SNS 계정을 구독하는 SNS 계정을 가진 M2M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M2M 애플리케이션의 SNS 계정에 수신된 상기 제어 사항이 포함된 쪽지를 수신하는 방식 및 상기 M2M 애플리케이션의 SNS 계정의 타임라인을 통해 확인된 상기 사용자의 SNS 계정에 게시된 상기 제어사항이 포함된 게시글을 수신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단말의 제어 방법.
  43. 제39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사항은,
    상기 M2M 단말의 SNS ID로 표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단말의 제어 방법.
  44.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사항 수신 과정에서 IM 방식은,
    상기 사용자의 IM 계정으로부터 자신의 IM 계정에 상기 제어 사항이 포함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식, 상기 사용자의 IM 계정과 친구등록되어 있는 IM 계정을 가진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중계 서버의 IM 계정에 수신된 상기 제어 사항이 포함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달받는 방식 및 상기 사용자의 IM 계정과 친구등록되어 있는 IM 계정을 가진 M2M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M2M 애플리케이션의 IM 계정에 수신된 상기 제어 사항이 포함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달받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단말의 제어 방법.
  45. 제39항 또는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사항은,
    상기 M2M 단말의 IM ID로 표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단말의 제어 방법.
  46. 하나 이상의 정보 수집부, 하나 이상의 M2M 단말, M2M 서버 및 제어 서버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M2M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M2M 서버가 자신의 SNS 계정을 구독하는 사용자의 SNS 계정 또는 자신의 IM 계정과 친구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IM 계정에 상기 제어 서버에서 제공하는 제어 인터페이스에 접속할 수 있는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어 인터페이스 제공 과정;
    상기 제어 서버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어사항을 입력받는 제어사항 수신 과정;
    상기 M2M 서버가 상기 제어사항을 상기 제어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M2M 단말 중에서 상기 제어사항에 대응하는 M2M 단말에 상기 제어사항을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한 M2M 단말의 제어 방법.
  47.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 상에서 M2M 네트워크상의 M2M 객체를 의인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M2M 객체들 각각에 'SNS 및 IM 시스템상에서 식별자로 기능하는 ID'(이하 'SNS/IM 식별자'라고 칭함)를 할당하는 과정;
    M2M 서버에 상기 M2M 객체들의 M2M 네트워크상의 식별자 정보 및 SNS/IM 식별자 정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M2M 객체들의 SNS/IM 식별자 정보를 SNS 및 IM 상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 상에서 M2M 네트워크상의 M2M 객체를 의인화하는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M2M 객체들의 SNS/IM 식별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M2M 객체들의 SNS 계정 또는 IM 계정을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 상에서 M2M 네트워크상의 M2M 객체를 의인화하는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M2M 객체들의 SNS 계정을 상기 사용자의 SNS 계정의 구독자로 등록하거나, 상기 M2M 객체들의 IM 계정에 상기 사용자의 IM 계정을 친구등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 상에서 M2M 네트워크상의 M2M 객체를 의인화하는 방법.
KR1020120070424A 2012-06-29 2012-06-29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객체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315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424A KR101315669B1 (ko) 2012-06-29 2012-06-29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객체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424A KR101315669B1 (ko) 2012-06-29 2012-06-29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객체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5669B1 true KR101315669B1 (ko) 2013-10-08

Family

ID=49637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424A KR101315669B1 (ko) 2012-06-29 2012-06-29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객체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6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576A (ko) * 2013-11-29 2015-06-08 전자부품연구원 개방형 m2m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oid 부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응용 시스템
CN105745954A (zh) * 2014-10-24 2016-07-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m2m终端控制方法及相关设备
KR101730101B1 (ko) * 2013-12-23 2017-04-27 (주)엔텔스 M2m 네트워크 시스템 및 m2m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6718A (ko) * 2002-12-24 2004-07-01 주식회사 수로텍 웹기반 하수관거 통합 유지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7243478A (ja) * 2006-03-07 2007-09-20 Hitachi Ltd センサネットシステム、基地局及びセンシングデータの中継方法
JP2009176204A (ja) * 2008-01-28 2009-08-06 Shimizu Corp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US20110074596A1 (en) * 2009-09-25 2011-03-31 Eric Frohlick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Smart Senso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6718A (ko) * 2002-12-24 2004-07-01 주식회사 수로텍 웹기반 하수관거 통합 유지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7243478A (ja) * 2006-03-07 2007-09-20 Hitachi Ltd センサネットシステム、基地局及びセンシングデータの中継方法
JP2009176204A (ja) * 2008-01-28 2009-08-06 Shimizu Corp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US20110074596A1 (en) * 2009-09-25 2011-03-31 Eric Frohlick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Smart Sensor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576A (ko) * 2013-11-29 2015-06-08 전자부품연구원 개방형 m2m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oid 부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응용 시스템
KR101986853B1 (ko) * 2013-11-29 2019-06-07 전자부품연구원 개방형 m2m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oid 부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응용 시스템
KR101730101B1 (ko) * 2013-12-23 2017-04-27 (주)엔텔스 M2m 네트워크 시스템 및 m2m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CN105745954A (zh) * 2014-10-24 2016-07-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m2m终端控制方法及相关设备
CN105745954B (zh) * 2014-10-24 2019-11-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m2m终端控制方法及相关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1578B2 (en)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network analysis
KR101504182B1 (ko) 소셜 미디어 연동을 기반으로 m2m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5847539B (zh) 使用者电子装置、使用者界面的生成方法
CN106464665B (zh) 与消息路由结合的规则引擎
JP5458744B2 (ja) プレゼンス情報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WO2019072197A1 (zh) 一种红包发放方法、设备以及介质
Fazio et al. The need of a hybrid storage approach for iot in paas cloud federation
CN104601445B (zh) 一种消息处理方法、装置、终端及服务器
KR20190131114A (ko)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
CN103840950A (zh) 一种消息推送方法及系统
CN112073398B (zh) 消息队列的处理方法、装置和系统、存储介质和电子装置
US10592865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managing social interaction histories
JPWO2008102447A1 (ja) 監視装置、監視方法、監視プログラム
KR101315669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m2m 객체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04301201B (zh) 进行微博信息提醒的方法、系统、微博服务器及客户端
WO2015076683A1 (en) A versatile queu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2130003B1 (ko) 원격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US89433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taining users' anonymity
KR20130067088A (ko) 복합 상황 정보 이벤트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JP2013235321A (ja) 障害情報共有システム
CN108023760A (zh) 集群服务器监控系统及方法
CN102256222B (zh) 下发通知消息的方法及装置
JP6215174B2 (ja) 情報送受信システム、スマートメータ、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送受信方法
CN111197789A (zh) 分布式取暖系统以及分布式取暖系统控制方法和装置
KR20150000810A (ko) Sns를 이용한 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