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366B1 -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366B1
KR101315366B1 KR1020110096473A KR20110096473A KR101315366B1 KR 101315366 B1 KR101315366 B1 KR 101315366B1 KR 1020110096473 A KR1020110096473 A KR 1020110096473A KR 20110096473 A KR20110096473 A KR 20110096473A KR 101315366 B1 KR101315366 B1 KR 101315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unit
input
coord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2714A (ko
Inventor
강종섭
Original Assignee
강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종섭 filed Critical 강종섭
Priority to KR1020110096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366B1/ko
Publication of KR20130032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 시스템은, 차량의 핸들에 마련되며 좌표값을 입력받고 상기 좌표값에 대응하는 좌표 정보신호를 전송하는 좌표 입력부와; 상기 좌표 입력부에서 전송된 좌표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좌표 제어신호 및 기준 좌표 정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장착하고,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부에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좌표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위치로 터치부를 구동하여 터치 입력하고, 상기 입력부가 터치됨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정보를 촬영하여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부로부터 전송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정보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기준 좌표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투사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에서 투사된 디스플레이 화면 정보와 상기 기준 좌표 정보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차량의 전면창에 마련된 영사막을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장치 및 그 방법{The apparatus of multi in-output with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in automobile inside option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부에 장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부의 정보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면 이를 차량 전면창에 디스플레이시키고, 디스플레이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부를 주시하면서 좌표 입력부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원하는 정보를 터치 입력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슬라이드 형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 형 이동통신 단말기 등으로 일상 생활의 필수품과 같이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우리 일상생활에서 필수품처럼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차량 주행시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폰 또는 블루투스 기능이 있는 무선 이어폰을 사용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되어 통화할 수 있는 핸즈프리를 이용하여 차량을 운전하면서 통화를 할 수 있다.
차량을 운전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는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의 핫 키, 핸즈프리의 통화수신 버튼 또는 통화 종료 버튼, 무선 이어폰의 핫 키를 이용하여 단순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수신 또는 통화 종료를 수행한다.
그러나, 운전자가 차량을 주행하면서 상대방과 통화를 요하는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를 이용하여 통화를 시도하는데, 이때, 핸들로부터 운전자의 손이 떨어지고 차량의 전방 대신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주시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조작하기 때문에 교통사고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핸즈프리, 무선 이어폰 등을 이용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하기 어렵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조작에 따라 차량의 전방을 주시하지 않아 교통사고에 노출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 주행 중에 차량의 전방을 주시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화를 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장치는, 차량의 핸들에 마련되며 좌표값을 입력받고 상기 좌표값에 대응하는 좌표 정보신호를 전송하는 좌표 입력부와; 상기 좌표 입력부에서 전송된 좌표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좌표 제어신호 및 기준 좌표 정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장착하고,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부에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좌표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위치로 터치부를 구동하여 터치 입력하고, 상기 입력부가 터치됨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정보를 촬영하여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부로부터 전송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정보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기준 좌표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투사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에서 투사된 디스플레이 화면 정보와 상기 기준 좌표 정보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차량의 전면창에 마련된 영사막을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과 주변 운행 다른 차량과의 차간 거리를 센싱하는 거리감지센서와; 상기 영사막에 장착되어 주변 밝기를 센싱하여 전송하는 광량 센서부와; 상기 좌표 정보와 주변 밝기에 대응하는 광량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량 센서부에서 센싱한 주변 밝기에 대응하는 광량 정보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의 휘도를 제어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안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안착부; 및 상기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부에 좌표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위치로 터치부를 구동하여 터치 입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터치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부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터치 구동부는, 상기 좌표제어 신호에 따라 X-Y축으로 이동하는 이동 모듈과; 상기 이동 모듈을 장착하여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이동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좌표제어 신호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입력부를 터치하는 터치부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부는 압력식 또는 정전용량식을 적용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는 광학 프로젝터 또는 OLED 디스플레이가 사용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영사막은 차량 전면창에 광반응 변색 필름 또는 포토 폴리머 필름이 적용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좌표 입력부는 상기 차량의 핸들에 장착되어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상기 제어부에 좌표값을 전송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좌표 입력부는 터치 패드 방식으로 구성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부 또는 표시부의 영상 정보는 상기 제어부에 NTSC 또는 HDMI 출력을 통해 전송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오디오 신호를 입출력하는 오디오 입/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 방법은, 차량의 내부 옵션 장치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부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장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부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상기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부 또는 표시부의 영상 신호를 차량의 영사막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보면서 상기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부에 입력을 원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차량의 핸들에 위치한 좌표 입력부에 좌표값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좌표값에 대응하는 좌표 제어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좌표 제어신호에 대응하도록 터치부를 구동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부를 터치하여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부 또는 표시부의 영상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 전송된 영상 신호와 기준 좌표 정보신호를 디스플레이 구동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에 전송된 영상 신호 및 기준 좌표 정보신호를 차량의 전면창에 마련된 영사막에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영상 신호는 NTSC 또는 HDMI 출력을 통해 전송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는 광학 프로젝터 또는 OLED 디스플레이가 사용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영사막은 차량 전면창에 장착되는 광반응 변색 필름 또는 포토 폴리머 필름이 사용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부를 터치 입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터치부 구동은 상기 좌표제어 신호에 따라 X-Y축으로 이동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부를 터치 입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부를 터치하는 터치부는 압력식 또는 정전 용량식을 적용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의 핸들에 위치한 좌표 입력부에 좌표값을 입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입력된 좌표값은 상기 제어부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에 거리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과 주변에 주행 중인 다른 차량과의 차간 거리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에 감지 정보를 전송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 중에 전방을 주시하면서, 디스플레이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터치 수단의 위치에 대응되는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입력수단이 터치되도록 좌표 입력부로 좌표정보를 입력하고, 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터치 수단이 이동되어 입력수단을 터치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화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조작에 따라 차량의 전방을 주시하지 않아 발생하는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구동부에 의해 영사막에 투사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부에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장치는 데이터베이스(100), 좌표 입력부(102), 광량 센서부(104), 디스플레이 구동부(106), 영사막(107), 오디오 입/출력부(108), 거리감지센서(109),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부(110) 및 제어부(118)로 이루어진다.
먼저, 데이터베이스(100)는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부(110)의 X축의 최소 좌표부터 X축의 최대 좌표까지 대응되는 X 좌표 정보, Y축의 최소 좌표부터 Y축의 최대 좌표까지 대응되는 Y 좌표 정보{예컨대 (0.0)}를 저장하는 좌표 저장 수단(미도시)과, 광량 정보를 테이블화로 저장하는 광량 저장수단(미도시)으로 이루어진다.
좌표 입력부(102)는 사용자로부터 좌표를 입력받고 그에 대응되는 좌표정보를 제어부(118)로 전송한다.
이러한, 좌표 입력부(102)는 사용자로부터 좌표를 입력받는 터치 패드로 형성될 수 있고, 자동차의 핸들에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장착되거나 핸들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표 입력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입력된 좌표값을 상기 제어부에 전송한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는 블루투스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량 센서부(104)는 자동차의 전면창의 영사막의 주변 밝기를 센싱한 밝기 정보를 제어부(118)로 전송한다.
거리 감지 센서(109)는 차량과 주변에 주행 중이거나 정차 중이 차량들에 대한 차간 거리를 감지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는 이에 대한 경고 표시 등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구동부에 의해 영사막에 투사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 구동부(106)는 제어부(118)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 또는 좌표 입력부(102)의 좌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07)에 투사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 구동부(106)는 제어부(118)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수단 또는 표시 수단을 촬영한 영상 정보 또는 입력부(102)의 좌표 정보를 수신하여 투사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 구동부(106)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수단 또는 표시 수단을 촬영한 영상정보,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 또는 좌표 입력부(102)의 좌표 정보를 제어부(118)로부터 전송받아 투사하면 영사막(107)에 투사된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정보 및 좌표 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킨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활성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키 패드 영역 또는 터치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수단에 해당되는 텍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디스플레이 정보는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정보(예컨대,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고유정보에 대응되는 상대방 이름정보 등도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구동부(106)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HUD:Head Up Display)인 윈드실드(windshield)로 구현되는 것으로 광학 프로젝터 또는 OLED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사막(107)은 차량 전면창에 광반응 변색 필름 또는 포토 폴리머 필름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구동부(106)는 광량 저장 수단의 광량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부(118)의 광량 제어 신호에 따라 밝기가 차등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구동부(106)는 제어부(118)의 광량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7)의 밝기를 차등 조절하는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하는 할 수도 있다.
여기서, 광량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구동부(106)의 밝기가 차등조절되는 것에 대해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면, 햇빛량이 많은 한낮의 경우에, 햇빛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조도로 조절되고, 햇빛량이 적은 때(예컨대, 구름이 많거나 또는 터널안) 햇빛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조도로 조절되는 것이다.
즉, 햇빛량이 많을 때에는 디스플레이 구동부(106)의 조도를 낮춤에 따라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정보 또는 좌표정보가 선명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햇빛량이 적을 때에는 디스플레이 구동부(106)의 조도를 높임에 따라 영상정보, 디스플레이 정보 또는 좌표정보가 선명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오디오 입/출력부(108)는 제어부(118)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신호 또는 오디오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오디오 입/출력부(108)는 사용자의 목소리를 입력받아 제어부(118)로 전송하는 마이크(108a) 및 제어부(118)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를 전송받아 출력하는 스피커(108b)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부에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부(11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안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안착부(114) 및 상기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부에 좌표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위치로 구동하여 터치 입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터치 구동부(116)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부(110)는 제어부(118)에 의해 오디오 입/출력부(108)의 오디오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와 송수신하고, 통화/종료 신호를 전송받아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며, 좌표 입력부(102)에 입력되는 좌표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부(118)의 좌표 제어 신호 또는 연속/좌표 제어신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수단 또는 표시 수단을 터치 또는 연속으로 선택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터치 구동부(116)는, 제어부(118)의 좌표 제어신호 또는 연속/좌표 제어신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부에서 X-Y축으로 이동하는 이동 모듈(116a)과, 상기 이동 모듈을 장착하여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116b)과, 상기 이동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좌표제어 신호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입력부를 터치하는 터치부(116c)를 포함한다.
이동 모듈(116a)은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기준좌표 정보 예컨대,{(0,0)}에 대응되는 기준 좌표 위치에서 좌표 입력부(102)에 입력되는 좌표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부(118)의 좌표 제어 신호에 따라 X-Y축으로 이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수단 또는 표시 수단을 터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116b)은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부(1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 모듈이 X축 또는 Y축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터치부는 연속/좌표 제어 신호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수단 또는 표시 수단을 터치 또는 연속으로 선택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 터치 구동부(116)는 Z좌표를 설정하지 아니하고 X축 또는 Y축 좌표로 이동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수단 또는 표시 수단을 터치 또는 연속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이때, 좌표 입력부(102)는 제어부(118)에 의해 이동모듈(116c)이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부(110)의 내부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좌표 정보 의 X축, Y축의 미리 설정된 최소 좌표보다 작은 좌표와 X축, Y축의 미리 설정된 최대 좌표보다 큰 좌표에 해당하는 좌표정보를 입력받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 안착부(114)에 장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부 즉, 키 패드 수단 또는 표시 수단을 촬영한 영상정보를 제어부(118)로 전송하는 촬영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가 스마트 폰이 아닌 일반적인 휴대폰인 경우 상기 휴대폰에 표시되는 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한다.
그러나, 장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스마트 폰인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영상 정보는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또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방식으로 제어부(118)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 안착부(114)와 이동통신 단말기 터치 구동부(116)가 형성되어 있는 바디(Body)와 이동통신 단말기 안착부(114)와 이동통신 단말기 터치 패드(116d)를 보호하기 위한 캡(Ca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8)는 이동통신 단말기 안착부(114)에 안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착신호를 수신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되는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 안착부(114)를 통해 오디오 입/출력부(108) 또는 디스플레부 구동부(106)로 전송하며, 오디오 입/출력부(108)와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착신정보는 착신 오디오 신호,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 정보(예컨대 전화번호),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 정보에 대응되는 상대방 이름정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8)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 또는 촬영부(112)에서 촬영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수단 또는 표시 수단의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 구동부(106)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118)는 기준좌표 정보 또는 입력되는 좌표에 대응되는 좌표 정보를 디스플레이 구동부(106)로 전송하며 아울러, 좌표 정보에 대응되는 좌표 제어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 터치 구동부(116)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118)는 광량 센서부(104)가 센싱한 주변 밝기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광량 정보와 비교하여 그에 따른 광량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구동부(106)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118)는 좌표 입력부(102)에 입력되는 좌표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수단 또는 표시 수단을 예컨대 "Z"자 또는 "ㄱ"자 모양과 같이 끊김 없이 연속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연속/좌표 제어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 터치 구동부(116)로 전송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 터치 구동부(116)는 제어부(118)의 연속/좌표 제어 신호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수단 또는 표시 수단을 끊김 없이 연속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암호가 설정되어 있는데, 예컨대, "Z"자 또는 "ㄱ"자 모양으로 설정된 암호에 대해서 키 패드 수단 또는 표시 수단을 예컨대, "Z"자 또는 "ㄱ"자 모양으로 끊김 없이 연속 선택할 수 있어 특수문자 형식으로 암호가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서 암호를 해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 단말기 안착부(114)에 안착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부를 활성화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401). 이에 따라, 제어부(118)는 이동통신 단말기 안착 수단(114)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착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 안착부(114)는 제어부(118)와 연결되어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부 또는 표시부의 영상 신호를 차량의 전면창 영사막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402).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부 또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 신호를 NTSC 또는 HDMI 출력을 통해 제어부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 전송된 영상 신호와 기준 좌표 정보신호를 디스플레이 구동부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에 전송된 영상 신호 및 기준 좌표 정보신호를 차량의 전면창에 마련된 영사막에 투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는 HUD(HEAD UP DISPLAY)의 윈드 실드 형태의 광학 프로젝터 또는 OLED 디스플레이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에서 투사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사막은 광반응 변색 필름 또는 포토 폴리머 필름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광량 센서부(104)는 실시간으로 주변 밝기를 센싱하여 제어부(118)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어부(118)는 광량 센서부(104)가 센싱한 주변 밝기 데이터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광량 정보와 비교하여 그에 따른 광량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구동부(106)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구동부(106)는 광량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부(118)의 광량 제어 신호에 따라 밝기가 차등적으로 제어된다.
즉, 디스플레이 구동부(106)는 제어부(118)의 광량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밝기를 차등 조절하는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하는 할 수 있다.
여기서, 광량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구동부(106)의 밝기가 차등조절되는 것에 대해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면, 햇빛량이 많은 한낮의 경우에, 햇빛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조도로 조절되고, 햇빛량이 적은 때(예컨대, 구름이 많거나 또는 터널안) 햇빛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조도로 조절되는 것이다.
즉, 햇빛량이 많을 때에는 디스플레이 구동부(106)의 조도를 낮춤에 따라 디스플레이 정보 또는 좌표정보가 선명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햇빛량이 적을 때에는 디스플레이 구동부(106)의 조도를 높임에 따라 디스플레이 정보 또는 좌표정보가 선명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보면서 상기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부에 입력을 원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차량의 핸들에 마련된 좌표 입력부에 좌표 지정을 입력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403).
이어, 상기 입력된 좌표 지정에 대응하는 좌표 제어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부로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404). 즉, 제어부(118)는 좌표 입력부(102)의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좌표 제어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 터치 구동부(116)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입력된 좌표값은 상기 제어부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게 되며,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는 블루투스 등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통신 단말기 터치 구동부(116)의 이동 모듈(116a)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기준좌표 정보 예컨대,{(0,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표 입력부(102)에 입력되는 좌표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부(118)의 좌표 제어 신호에 따라 X축, Y축으로 이동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수단 또는 표시 수단을 터치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된 좌표 제어신호에 대응하도록 터치 암을 구동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부를 터치 입력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405). 여기서, 상기 터치 암의 구동은 상기 좌표제어 신호에 따라 X축, Y축으로 이동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부를 터치하는 터치 암은 압력식 또는 정전용량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운전자는 차량의 전방을 주시하면서 자동차의 영사막에 디스플레이되는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안착부(114)에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수단 또는 표시 수단을 터치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8)는 연속 선택 신호와 좌표 입력부에 입력되는 좌표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수단 또는 표시 수단을 예컨대 "Z"자 또는 "ㄱ"자 모양과 같이 연속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연속/좌표 제어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 터치 구동부(116)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스마트 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암호가 설정되어 있는데, 예컨대, "Z"자 또는 "ㄱ"자 모양으로 설정된 암호에 대해서 키 패드 수단 또는 표시 수단을 예컨대, "Z"자 또는 "ㄱ"자 모양으로 연속 선택할 수 있어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서 암호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8)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오디오 입/출력부(108)의 스피커(108b)로 전송하여 출력하고, 오디오 입/출력부(108)의 마이크(108a)를 통해 사용자의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 터치 구동부(116)의 이동 모듈(116a)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부에 이동시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컨대 "010 1234 5678"에 대응되는 키 패드 수단을 터치한 후에 통화 키 키패드 수단을 터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화를 수행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수단 또는 표시 수단의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부(107)를 통해 확인할 수 있고 아울러, 좌표 정보도 확인할 수 있어 좌표 입력부(102)에서 좌표를 입력받아 이동 모듈(116a)을 이동시켜 터치를 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수단을 터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에 거리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과 주변에 주행 중인 다른 차량과의 차간 거리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에 감지 정보를 전송하여 운전자에게 경고 표시를 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데이터베이스 102 --- 좌표 입력부
104 --- 광량 센서부 106 --- 디스플레이 구동부
107 --- 영사막 108 --- 오디오 입/출력부
109 --- 거리 감지 센서
110 ---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부 112 --- 촬영부
113 --- 이동통신 단말기 114 : 이동통신 단말기 안착부 116 --- 이동통신 단말기 터치 구동부 118 : 제어부

Claims (22)

  1. 차량의 핸들에 마련되며 좌표값을 입력받고 상기 좌표값에 대응하는 좌표 정보신호를 전송하는 좌표 입력부와;
    상기 좌표 입력부에서 전송된 좌표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좌표 제어신호 및 기준 좌표 정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장착하고,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부에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좌표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위치로 터치부를 구동하여 터치 입력하고, 상기 입력부가 터치됨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정보를 촬영하여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부로부터 전송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정보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기준 좌표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투사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에서 투사된 디스플레이 화면 정보와 상기 기준 좌표 정보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차량의 전면창에 마련된 영사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과 주변 운행 다른 차량과의 차간 거리를 센싱하는 거리감지센서와;
    상기 영사막에 장착되어 주변 밝기를 센싱하여 전송하는 광량 센서부와;
    상기 좌표 정보와 주변 밝기에 대응하는 광량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량 센서부에서 센싱한 주변 밝기에 대응하는 광량 정보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의 휘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안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안착부; 및
    상기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부에 좌표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위치로 터치부를 구동하여 터치 입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터치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부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터치 구동부는,
    상기 좌표제어 신호에 따라 X-Y축으로 이동하는 이동 모듈과;
    상기 이동 모듈을 장착하여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이동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좌표제어 신호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입력부를 터치하는 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는 압력식 또는 정전용량식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는 광학 프로젝터 또는 OLED 디스플레이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사막은 차량 전면창에 광반응 변색 필름 또는 포토 폴리머 필름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입력부는
    상기 차량의 핸들에 장착되어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상기 제어부에 좌표값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입력부는 터치 패드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부 또는 표시부의 영상 정보는 상기 제어부에 NTSC 또는 HDMI 출력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를 입출력하는 오디오 입/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장치.
  14. 차량의 내부 옵션 장치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부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장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부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상기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부 또는 표시부의 영상 신호를 차량의 영사막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보면서 상기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부에 입력을 원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차량의 핸들에 위치한 좌표 입력부에 좌표값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좌표값에 대응하는 좌표 제어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좌표 제어신호에 대응하도록 터치부를 구동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부를 터치하여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부 또는 표시부의 영상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 전송된 영상 신호와 기준 좌표 정보신호를 디스플레이 구동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에 전송된 영상 신호 및 기준 좌표 정보신호를 차량의 전면창에 마련된 영사막에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영상 신호는 NTSC 또는 HDMI 출력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는 광학 프로젝터 또는 OLED 디스플레이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 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영사막은 차량 전면창에 장착되는 광반응 변색 필름 또는 포토 폴리머 필름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 방법.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부를 터치 입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터치부 구동은 상기 좌표제어 신호에 따라 X-Y축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 방법.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부를 터치 입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부를 터치하는 터치부는 압력식 또는 정전 용량식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 방법.
  21.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핸들에 위치한 좌표 입력부에 좌표값을 입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입력된 좌표값은 제어부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 방법.
  22.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거리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과 주변에 주행 중인 다른 차량과의 차간 거리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에 감지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 방법.
KR1020110096473A 2011-09-23 2011-09-23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장치 및 그 방법 KR101315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473A KR101315366B1 (ko) 2011-09-23 2011-09-23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473A KR101315366B1 (ko) 2011-09-23 2011-09-23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714A KR20130032714A (ko) 2013-04-02
KR101315366B1 true KR101315366B1 (ko) 2013-10-07

Family

ID=48435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473A KR101315366B1 (ko) 2011-09-23 2011-09-23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3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817U (ko) * 2008-07-16 2010-01-26 주식회사 모비딕 내비게이션용 크레들에 일체화된 하이패스 단말기
KR20100062707A (ko) * 2008-12-02 2010-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JP2011501312A (ja) 2007-10-27 2011-01-06 ザコッド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通信端末機の文字、数字入力装置及び入力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1312A (ja) 2007-10-27 2011-01-06 ザコッド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通信端末機の文字、数字入力装置及び入力方法
KR20100000817U (ko) * 2008-07-16 2010-01-26 주식회사 모비딕 내비게이션용 크레들에 일체화된 하이패스 단말기
KR20100062707A (ko) * 2008-12-02 2010-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714A (ko) 2013-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08026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计算机程序
JP6743691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70091083A (ko) 컴팩트한 헤드 업 디스플레이 시스템
JP6077214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2003512244A (ja) 車両情報の表示装置
KR101965881B1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US20130250141A1 (en) Terminal device, image displaying method and image displaying program executed by terminal device
CN102897091A (zh) 车载图像显示器、手机车载显示装置及监测装置
KR20160027117A (ko)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 및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US9870048B2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 program
US9851566B2 (en) Electronic apparatus,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apparatus
US11077793B2 (en) Rearview display device, rearview display method, and program
US11537354B2 (en) Head-up display system
KR101976106B1 (ko) 정보제공을 위한 차량용 통합 헤드업디스플레이장치
CN111252074B (zh) 多模态控制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车辆
US20100156782A1 (en) Hand Control Image For Replication
KR101974918B1 (ko) 스마트 hud 블랙박스가 구비된 헬멧
US2017015574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with vehicle display and headgear device pairing
US10234860B2 (en) Method and device for safety driving
KR2017003369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315366B1 (ko) 자동차 내부 옵션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입출력장치 및 그 방법
KR20090106944A (ko) 휴대 단말기
CN104965241B (zh) 一种变色投影镜片及具有该镜片的抬头显示器
JP2015049498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頭部装着型表示装置を制御する方法、画像表示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
CN105530365A (zh) 一种车载电话系统及包含该系统的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