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020B1 - 염수제조시스템 - Google Patents

염수제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020B1
KR101315020B1 KR1020130086668A KR20130086668A KR101315020B1 KR 101315020 B1 KR101315020 B1 KR 101315020B1 KR 1020130086668 A KR1020130086668 A KR 1020130086668A KR 20130086668 A KR20130086668 A KR 20130086668A KR 101315020 B1 KR101315020 B1 KR 101315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ne
pulley
tank
calcium chlorid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6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실
Original Assignee
장현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실 filed Critical 장현실
Priority to KR1020130086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0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8Preparation by working up natural or industrial salt mixtures or siliceous miner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18Stationary reactors having moving elements inside

Abstract

본 발명은 염수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염화칼슘이 저장된 포대를 들어 올려 이동시키는 호이스트와;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안내벽과, 상기 안내벽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상기 호이스트에 의하여 들어 올려진 포대의 밑부분에 구멍을 형성시키는 첨두부와, 상기 안내벽의 내측면 하부에 설치되는 격자망으로 이루어진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단에 설치되어 염화칼슘을 수용하는 수용함과, 상기 수용함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염화칼슘을 안내하는 이송스크류로 이루어진 안내수단과; 상기 호퍼의 안내벽 하단이 고정되고 내부 상측에 상기 안내수단의 수용함이 고정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음과 아울러 상기 이송스크류로부터 염화칼슘을 공급받는 수용탱크와, 상기 수용탱크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됨으로써 물과 염화칼슘을 교반하는 교반날개로 이루어진 교반부와; 물과 염화칼슘이 교반되어 생성된 염수를 상기 수용탱크로부터 공급받아 저장하는 염수저장조와; 상기 염수저장조에 연결되어 염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배관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펌프가 내장된 펌프실;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인력 투입을 최소화하면서 자동으로 균일한 염수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염수제조시스템{Manufacturing System of calcium chloride solution}
본 발명은 염수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로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로에 분사하는 염수를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는 염수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에 도로에 눈이 내리면 결빙되기 쉽고, 이렇게 결빙이 되는 경우에는 차량 사고와 보행자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도로에 쌓인 눈을 신속히 융설하여 도로가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톨게이트나 터널의 전방 또는 후방과 같은 곳에는 도로면 양측에 도로면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하여 염화칼슘과 같은 결빙방지액(이하, '염수')을 분사하는 도로결빙 방지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최근들어 기상의 급변으로 인하여 폭설이나 강추위가 계속 되고 있는 상황에서는 염수의 신속한 제조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염화칼슘과 물로부터 염수를 안정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시되어야 하는데, 현재까지는 이러한 시스템이 거의 제시되고 있지 않다.
출원번호:10-2007-0046490, 등록번호:10-0744950, 발명명칭:염수 제조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력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자동으로 염수를 제조하고, 염수가 제조되는 양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염수제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염수제조시스템은 염화칼슘이 저장된 포대를 들어 올려 이동시키는 호이스트와;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안내벽과, 상기 안내벽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상기 호이스트에 의하여 들어 올려진 포대의 밑부분에 구멍을 형성시키는 첨두부와, 상기 안내벽의 내측면 하부에 설치되는 격자망으로 이루어진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단에 설치되어 염화칼슘을 수용하는 수용함과, 상기 수용함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염화칼슘을 안내하는 이송스크류로 이루어진 안내수단과; 상기 호퍼의 안내벽 하단이 고정되고 내부 상측에 상기 안내수단의 수용함이 고정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음과 아울러 상기 이송스크류로부터 염화칼슘을 공급받는 수용탱크와, 상기 수용탱크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됨으로써 물과 염화칼슘을 교반하는 교반날개로 이루어진 교반부와; 물과 염화칼슘이 교반되어 생성된 염수를 상기 수용탱크로부터 공급받아 저장하는 염수저장조와; 상기 염수저장조에 연결되어 염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배관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펌프가 내장된 펌프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교반부의 수용탱크와 염수저장조 사이에는 필터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부에는 상기 수용탱크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여 확인하는 수위측정 및 확인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수위측정 및 확인수단은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눈금이 그려진 투명창과; 상기 수용탱크에 설치되어 수용탱크 내부의 액체에 부유하는 부유추와; 상기 수용탱크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도르래와; 상기 캐비닛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제2도르래와; 상기 캐비닛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2도르래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제3도르래 및 제4도르래와; 상기 캐비닛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제5도르래와; 일단이 상기 부유추의 상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1도르래와 제2도르래의 상측에 지지된 후 하측으로 연장되어 제5도르래의 하측면을 둘러싸고 상측으로 연장되어 제3도르래와 제4도르래의 상측에 지지된 후 하측으로 연장되는 스트링과; 상기 스트링의 타단에 상면이 연결되는 무게추와; 상기 제3도르래와 제5도르래 사이의 스트링에 설치되어 상기 투명창의 눈금을 가리키는 지시침;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배관은 도로 옆에 설치되는 염수분사설비에 연결되되, 상기 염수분사설비는 상기 염수저장조로부터 염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배출배관에 연결되는 유입배관이 구비된 염수유입조와; 상기 염수유입조에 연결되고, 도로를 따라 설치되며, 일정간격으로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도로를 향해 염수를 분사하는 분사배관과; 상기 분사배관의 분사노즐을 통하여 염수가 분출되는 것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염수제조시스템은 인력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일련의 과정을 거쳐 자동으로 염수를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호퍼의 격자망에 의하여 염화칼슘 덩어리가 수용탱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균일한 염수를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위측정 및 확인수단에 의하여 수용탱크 내부에 저장된 염수의 양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염수분사설비와 연결시켜 염수저장조에 저장된 염수를 도로에 분사할 수 있으므로, 탱크로리와 같은 별도의 운반수단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염수제조시스템을 보인 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염수제조시스템에 의하여 제조된 염수를 탱크로리에 저장하는 모습을 보인 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염수제조시스템의 염수저장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염수제조시스템의 수위측정 및 확인수단을 보인 도.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염수제조시스템의 수위탱크에 수위가 내려갈 때 수위측정 및 확인수단을 보인 도.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염수제조시스템의 수위탱크에 수위가 올라갈 때 수위측정 및 확인수단을 보인 도.
도 6은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염수제조시스템의 염수분사설비의 모습을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염수제조시스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염수제조시스템을 보인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염수제조시스템에 의하여 제조된 염수를 탱크로리에 저장하는 모습을 보인 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염수제조시스템의 염수저장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염수제조시스템의 수위측정 및 확인수단을 보인 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염수제조시스템의 수위탱크에 수위가 내려갈 때 수위측정 및 확인수단을 보인 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염수제조시스템의 수위탱크에 수위가 올라갈 때 수위측정 및 확인수단을 보인 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염수제조시스템의 염수분사설비의 모습을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염수제조시스템은 도로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한 염수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염화칼슘이 저장된 포대(S)를 운반하는 호이스트(10)와, 상기 포대(S)로부터 염화칼슘을 공급받는 호퍼(20)와, 상기 염화칼슘을 안내하는 안내수단(30)과, 상기 염화칼슘과 물을 교반하는 교반부(40)와, 상기 교반부(40)에 설치되는 수위측정 및 확인수단(50)과, 상기 염화칼슘과 물이 교반되어 생성된 염수를 저장하는 염수저장조(60)와, 상기 염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배관(62)의 관로상에 설치된 펌프(P2)를 둘러싸는 펌프실(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호이스트(10)는 무거운 물체를 들어 올려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키는 장치로, 본 발명에서는 2톤 가량의 염화칼슘이 저장된 포대(S)를 들어 올려 이동시킨다.
상기 호퍼(20)는 안내벽(21)과, 상기 안내벽(21)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첨두부(22)와, 상기 안내벽(21)의 내측면 하부에 설치되는 격자망(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안내벽(21)은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태를 갖는다. 이 안내벽(21)의 상측으로 상기 호이스트(10)가 염화칼슘이 저장된 포대(S)를 운반한다.
상기 첨두부(22)는 4개의 철재앵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4개의 철재앵글 일단이 상기 안내벽(21)의 내측면에 각각 일정거리 이격되게 고정되고 타단이 결합된다. 4개의 철재앵글이 만나는 타단 부분은 뾰족하게 형성되어, 상기 호이스트(10)에 의하여 들어 올려진 포대(S)의 밑부분에 구멍을 형성시킨다. 이렇게 첨두부(22)에 의하여 포대(S)에 구멍이 뚫리면 포대(S) 내부의 염화칼슘이 안내벽(21) 내부로 낙하한다.
상기 격자망(23)은 상기 안내벽(21)의 내측면 하부, 좀 더 자세히는 상기 첨두부(22)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포대(S)에서 낙하된 염화칼슘 중 큰 덩어리로 뭉쳐진 것을 걸려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내수단(30)은 수용함(31)과, 상기 수용함(31) 내부에 설치되는 이송스크류(32)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함(31)은 상기 호퍼(20)의 하단에 설치되어 안내벽(21) 내부로 유입되어 격자망(23)을 통과한 염화칼슘을 전달받아 수용한다. 이러한 수용함(31)은 일측 하단이 개방되어 후술할 교반부(40)의 수용탱크(42)와 연통된다.
상기 이송스크류(32)는 전동모터에 의하여 상기 수용함(31)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 이송스크류(32)의 회전에 의하여 염화칼슘이 안내되고, 안내된 염화칼슘은 수용함의 개방된 일측 하단을 통하여 수용함(31)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교반부(40)는 캐비닛(41)과, 상기 캐비닛(41) 내부에 배치되는 수용탱크(42)와, 상기 수용탱크(42) 내부에 설치되는 교반날개(43)로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41)의 상면에는 상기 호퍼(20)의 안내벽(21) 하단이 고정되고, 내부 상측에 상기 안내수단(30)의 수용함(31)이 고정된다.
상기 수용탱크(42)는 외부에 설치된 물탱크로부터 3톤 가량의 물을 공급받고, 상기 이송스크류(32)에 의하여 이송된 2톤 가량의 염화칼슘을 공급받는다.
상기 교반날개(43)는 전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용탱크(42)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됨으로써 수용탱크(42) 내부에 투입된 물과 염화칼슘을 교반한다. 이러한 교반날개(43)에 의하여 염화칼슘이 골고루 용해된 염수가 생성된다.
상기 수위측정 및 확인수단(50)은 상기 수용탱크(42)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여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투명창(51)과, 부유추(52)와, 제1 내지 제6도르래(53a,53b,53c,53d,53e,53f)와, 스트링(54)과, 무게추(55) 및 지시침(56)으로 구성된다.
상기 투명창(51)은 상기 캐비닛(41)의 전방 일측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이 투명창(51)에는 상기 수용탱크(42)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수위를 나타낼 수 있도록 눈금이 그려져 있다.
상기 부유추(52)는 상기 수용탱크(42)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수용탱크(42) 내부의 액체, 즉 물과 염화칼슘이 혼합되어 형성된 염수에 부유(浮游)한다.
상기 제1도르래(53a)는 상기 수용탱크(42)의 상면에 설치된다.
상기 제2도르래(53b)는 상기 캐비닛(41)의 내부 상측에 설치된다. 제1도르래(53a)와 제2도르래(53b)는 거의 동일한 높이로 설치한다.
상기 제3도르래(53c)는 상기 캐비닛(41)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2도르래(53b)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4도르래(53d)는 상기 캐비닛(41)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2도르래(53b)의 하부 타측에 설치된다. 제3도르래(53c)와 제4도르래(53d)는 거의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고, 측면에서 봤을 때 제2도르래(53b)의 하부 양측에 제3도르래(53c)와 제4도르래(53d)가 위치된다.
상기 제5도르래(53e)는 상기 캐비닛(41)의 내부 하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6도르래(53f)는 상기 캐비닛(41)의 내부, 좀 더 자세히는 상기 제4도르래(53d)의 하측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스트링(54)의 일측을 가압한다.
상기 스트링(54)은 일단이 상기 부유추(52)의 상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무게추(55)에 연결된다. 이러한 스트링(54)은 상기 부유추(52)의 상면에서 연장된 후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도르래(53a)와 제2도르래(53b)의 상측에 지지되고, 그 다음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5도르래(53e)의 하측면을 둘러싸고 상측으로 연장된 후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제3도르래(53c)와 제4도르래(53d)의 상측에 지지된 후 하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무게추(55)는 상기 스트링(54)의 타단에 상면이 연결된다.
상기 지시침(56)은 상기 제3도르래(53c)와 제5도르래(53e) 사이의 스트링(54)에 설치되어 상기 투명창(51)의 눈금을 가리킨다.
상기와 같이 수위측정 및 확인수단(50)이 구성됨으로써 수용탱크(42) 내부에 수용되는 염수의 수위가 낮아지면 부유추(52)가 하측으로 내려가고, 무게추(55)는 상측으로 올라가며, 상기 제3도르래(53c)와 제5도르래(53e) 사이의 스트링(54)에 설치된 지시침(56)은 하측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 지시침(56)이 가르키는 투명창(51)의 눈금을 읽음으로써 수용탱크(42) 내부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다.
반대로 수용탱크(42) 내부에 수용되는 염수의 수위가 높아지면 부유추(52)가 상측으로 올라가고, 무게추(55)는 하측으로 내려가며, 상기 제3도르래(53c)와 제5도르래(53e) 사이의 스트링(54)에 설치된 지시침(56)은 상측으로 올라가게 된다.
상기 염수저장조(60)는 상기 교반부(40)에서 물과 염화칼슘이 교반되어 생성된 염수를 수용탱크(42)로부터 공급받아 저장한다. 부연하면, 상기 수용탱크(42)와 염수저장조(60)를 연결하는 관로상에는 펌프(P1)가 설치되는데, 이 펌프(P1)는 상기 캐비닛(41) 내부에 설치되고, 이 펌프(P1)의 작동에 의하여 수용탱크(42) 내부의 염수가 염수저장조(60)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부(40)의 수용탱크(42)와 염수저장조(60)를 연결하는 관로상에는 필터(F)가 설치되어 혹시라도 용해되지 않고 남아 있는 염화칼슘 덩어리가 염수저장조(60)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염수저장조(60)의 외부 일측에는 염수저장조(60) 내부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관(61)이 설치된다.
상기 펌프실(70)은 상기 염수저장조(60)의 옆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 펌프실(70) 내부에는 펌프(P2)가 설치된다. 펌프실(70) 내부에 설치되는 펌프(P2)는 상기 염수저장조(60)에 연결되어 염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배관(62)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펌프(P2)가 외부로 노출되면 시각적으로 보기에 좋지 않으므로 펌프실(70)을 따로 마련한다.
펌프실(70)에 설치된 펌프(P2)가 작동되면 배출배관(62)을 통하여 염수가 외부로 배출되고, 이 염수를 탱크로리에 저장하여 특정 장소로 운반한다.
여기서 부연하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호이스트(10)나 안내수단(30), 교반부(40), 펌프실(70) 등을 조작할 수 있는 컨트롤패널을 구비하여 염수의 제조와 배출을 최소한의 인력으로 자동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염수저장조(60)의 배출배관(62)은 도로 옆에 설치되는 염수분사설비(80)에 연결되어, 제조된 염수를 탱크로리로 운반하지 않고 염수분사설비(80)에 직접적으로 배관을 통해 제공하여 도로에 염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염수분사설비(80)는 염수유입조(81)와, 상기 염수유입조(81)에 연결되는 분사배관(82)과, 염수의 분출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8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염수유입조(81)의 일측에는 상기 염수저장조(60)로부터 염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배출배관(62)에 연결되는 유입배관(81a)이 설치된다.
상기 분사배관(82)은 상기 염수유입조(81)의 타측에 연결되고, 도로를 따라 길게 설치된다. 이 분사배관(82)에는 도로를 향해 염수는 분사하는 분사노즐(82a)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패널(83)은 상기 분사배관(82)의 분사노즐(82a)을 제어하여 분사노즐(82a)을 통하여 염수가 분출되는 것을 제어한다.
염수분사설비(80)는 도로 일측에 설치된 중계기(8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중계기(84)는 휴대폰(H)과 신호를 주고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패널(8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휴대폰(H)으로 염수의 분출을 명령하는 신호를 보내면 이 신호는 중계기(84)를 거쳐 컨트롤패널(83)에 전송되고, 컨트롤패널(83)은 염수분사설비(80)를 가동시켜 분사배관(82)의 분사노즐(82a)을 통해 염수가 도로면에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10: 호이스트 20: 호퍼
21: 안내벽 22: 첨두부
23: 격자망 30: 안내수단
31: 수용함 32: 이송스크류
40: 교반부 41: 캐비닛
42: 수용탱크 43: 교반날개
50: 수위측정 및 확인수단 51: 투명창
52: 부유추 53a: 제1도르래
53b: 제2도르래 53c: 제3도르래
53d: 제3도르래 53e: 제5도르래
53f: 제6도르래 54: 스트링
55: 무게추 56: 지시침
60: 염수저장조 61: 투명관
62: 배출배관 70: 펌프실
80: 염수분사설비 81: 염수유입조
81a: 유입배관 82: 분사배관
82a: 분사노즐 83: 컨트롤패널
84: 중계기 F: 필터
H: 휴대폰 P1: 펌프
P2: 펌프 S: 포대

Claims (5)

  1. 염화칼슘이 저장된 포대(S)를 들어 올려 이동시키는 호이스트(10)와;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안내벽(21)과, 상기 안내벽(21)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상기 호이스트(10)에 의하여 들어 올려진 포대(S)의 밑부분에 구멍을 형성시키는 첨두부(22)와, 상기 안내벽(21)의 내측면 하부에 설치되는 격자망(23)으로 이루어진 호퍼(20)와;
    상기 호퍼(20)의 하단에 설치되어 염화칼슘을 수용하는 수용함(31)과, 상기 수용함(31)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염화칼슘을 안내하는 이송스크류(32)로 이루어진 안내수단(30)과;
    상기 호퍼(20)의 안내벽(21) 하단이 고정되고 내부 상측에 상기 안내수단(30)의 수용함(31)이 고정되는 캐비닛(41)과, 상기 캐비닛(41)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음과 아울러 상기 이송스크류(32)로부터 염화칼슘을 공급받는 수용탱크(42)와, 상기 수용탱크(42)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됨으로써 물과 염화칼슘을 교반하는 교반날개(43)로 이루어진 교반부(40)와;
    물과 염화칼슘이 교반되어 생성된 염수를 상기 수용탱크(42)로부터 공급받아 저장하는 염수저장조(60)와;
    상기 염수저장조(60)에 연결되어 염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배관(62)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펌프(P2)가 내장된 펌프실(7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제조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40)의 수용탱크(42)와 염수저장조(60) 사이에는 필터(F)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제조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40)에는 상기 수용탱크(42)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여 확인하는 수위측정 및 확인수단(50)이 설치되되,
    상기 수위측정 및 확인수단(50)은 상기 캐비닛(41)의 일측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눈금이 그려진 투명창(51)과;
    상기 수용탱크(42)에 설치되어 수용탱크(42) 내부의 액체에 부유하는 부유추(52)와;
    상기 수용탱크(42)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도르래(53a)와;
    상기 캐비닛(41)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제2도르래(53b)와;
    상기 캐비닛(41)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2도르래(53b)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제3도르래(53c) 및 제4도르래(53d)와;
    상기 캐비닛(41)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제5도르래(53e)와;
    일단이 상기 부유추(52)의 상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1도르래(53a)와 제2도르래(53b)의 상측에 지지된 후 하측으로 연장되어 제5도르래(53e)의 하측면을 둘러싸고 상측으로 연장되어 제3도르래(53c)와 제4도르래(53d)의 상측에 지지된 후 하측으로 연장되는 스트링(54)과;
    상기 스트링(54)의 타단에 상면이 연결되는 무게추(55)와;
    상기 제3도르래(53c)와 제5도르래(53e) 사이의 스트링(54)에 설치되어 상기 투명창(51)의 눈금을 가리키는 지시침(5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제조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41)에는 제6도르래(53f)가 설치되어 상기 스트링(54)의 일측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제조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배관(62)은 도로 옆에 설치되는 염수분사설비(80)에 연결되되,
    상기 염수분사설비(80)는 상기 염수저장조(60)로부터 염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배출배관(62)에 연결되는 유입배관(81a)이 구비된 염수유입조(81)와;
    상기 염수유입조(81)에 연결되고, 도로를 따라 설치되며, 일정간격으로 분사노즐(82a)이 설치되어 도로를 향해 염수를 분사하는 분사배관(82)과;
    상기 분사배관(82)의 분사노즐(82a)을 통하여 염수가 분출되는 것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8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제조시스템.
KR1020130086668A 2013-07-23 2013-07-23 염수제조시스템 KR101315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668A KR101315020B1 (ko) 2013-07-23 2013-07-23 염수제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668A KR101315020B1 (ko) 2013-07-23 2013-07-23 염수제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5020B1 true KR101315020B1 (ko) 2013-10-08

Family

ID=49637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668A KR101315020B1 (ko) 2013-07-23 2013-07-23 염수제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02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472B1 (ko) * 2018-05-31 2019-03-22 박남신 압축공기 잔존여부의 육안 확인이 가능한 수계소화설비의 압력챔버
KR101963377B1 (ko) 2018-08-14 2019-03-28 창원시 고온수를 이용한 제설 방법 및 장치
KR20200015116A (ko) 2018-08-02 2020-02-12 주식회사 지투비코리아 도로 결빙 방지시스템
KR102350477B1 (ko) 2021-05-07 2022-01-12 경상북도 영천시 제설용 염수용액 제조장치
KR102351797B1 (ko) 2021-05-07 2022-01-14 이운재 제설용 염수용액 제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269Y1 (ko) * 2002-06-14 2002-09-09 주식회사 자동기 도로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
KR200318871Y1 (ko) * 2003-04-14 2003-07-04 이텍산업 주식회사 도로제설용 염화물용액 제조장치
KR20120008319A (ko) * 2010-07-16 2012-01-30 주식회사 자동기 도로 제설용 염화용액의 제조장치
KR101200806B1 (ko) * 2012-05-18 2012-11-13 주식회사 자동기 멀티 라인 믹싱 기술을 이용한 제설용 염화 칼슘 용액제조 및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269Y1 (ko) * 2002-06-14 2002-09-09 주식회사 자동기 도로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
KR200318871Y1 (ko) * 2003-04-14 2003-07-04 이텍산업 주식회사 도로제설용 염화물용액 제조장치
KR20120008319A (ko) * 2010-07-16 2012-01-30 주식회사 자동기 도로 제설용 염화용액의 제조장치
KR101200806B1 (ko) * 2012-05-18 2012-11-13 주식회사 자동기 멀티 라인 믹싱 기술을 이용한 제설용 염화 칼슘 용액제조 및 공급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472B1 (ko) * 2018-05-31 2019-03-22 박남신 압축공기 잔존여부의 육안 확인이 가능한 수계소화설비의 압력챔버
KR20200015116A (ko) 2018-08-02 2020-02-12 주식회사 지투비코리아 도로 결빙 방지시스템
KR101963377B1 (ko) 2018-08-14 2019-03-28 창원시 고온수를 이용한 제설 방법 및 장치
KR102350477B1 (ko) 2021-05-07 2022-01-12 경상북도 영천시 제설용 염수용액 제조장치
KR102351797B1 (ko) 2021-05-07 2022-01-14 이운재 제설용 염수용액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020B1 (ko) 염수제조시스템
CN106460495A (zh) 转移用于压裂的支撑剂的方法和系统
US10544340B2 (en) Brine generation system
KR101231554B1 (ko) 콘크리트 재활용수 농도 측정 및 보정용 계량장치
SA516380276B1 (ar) توصيل متكامل للعملية عند موقع بئر
CN108051340A (zh) 一种泥石流浆体动态屈服应力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CN107211988B (zh) 一种茭白种植用自动喷药装置及方法
CN205948756U (zh) 一种绿色环保全自动多彩涂料灌装搅拌系统
CN107711031B (zh) 灌溉水肥制备系统及方法
CN106732049B (zh) 石油钻井液助剂自动添加搅拌装置
CN110155533A (zh) 一种用于输送颗粒物料的多级送料设备
CN104371911A (zh) 一种沼气发酵池淤积物清理装置系统和清理施工工艺
CN205115266U (zh) 港口沉积淤泥固化配比实验装置
CN204777748U (zh) 一种原料配料系统
KR101503870B1 (ko) 취약지역에 상시 배치하여 운영하는 반자동 액상 제설함
CN210202585U (zh) 水肥一体化研究试验田
RU2233821C2 (ru) Комплекс для добычи и переработки сапропеля
KR101391954B1 (ko) 유화아스팔트 공급장치
CN109298195B (zh) 一种自动化模袋充灌试验系统与试验方法
CN207774647U (zh) 一种烧制石灰的加料装置
CN206978018U (zh) 导轨可调带毛刷式水肥机
CN215105732U (zh) 一种轨道机械固定点水鹤式智能上水装置
CN105171925B (zh) 搅拌设备
CN218949577U (zh) 一种可上下移动沥青涂料放料装置
CN112326000B (zh) 用于深海矿物输送系统的试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