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857B1 - 변형률 측정 모듈 및 이를 결합한 변형률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변형률 측정 모듈 및 이를 결합한 변형률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4857B1
KR101314857B1 KR1020120077413A KR20120077413A KR101314857B1 KR 101314857 B1 KR101314857 B1 KR 101314857B1 KR 1020120077413 A KR1020120077413 A KR 1020120077413A KR 20120077413 A KR20120077413 A KR 20120077413A KR 101314857 B1 KR101314857 B1 KR 101314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base plate
strain
strain measuring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훈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77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01B11/167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by projecting a pattern on the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of optical properties of material when it is stressed, e.g. by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using infrared, visible light, ultraviolet
    • G01L1/24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of optical properties of material when it is stressed, e.g. by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using infrared, visible light, ultraviolet the material being an optical fibre
    • G01L1/246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of optical properties of material when it is stressed, e.g. by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using infrared, visible light, ultraviolet the material being an optical fibre using integrated gratings, e.g. Bragg gr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형률 및 온도를 동시에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 FBG센서를 이용한 변형률 측정 모듈 및 이를 결합한 변형률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며, 측면에 입력단을 구비하는 제 1 연결단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타측에 형성되며, 측면에 출력단을 구비하는 제 2 연결단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되며, 일단이 상기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 1 광섬유, 일부에 제 1 브래그 격자를 구비하며, 끝단은 상기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 2 광섬유, 일부에 제 2 브래그 격자를 구비하며, 끝단은 절단되어 있는 제 3 광섬유, 상기 제 1 광섬유를 상기 제 2 광섬유 및 상기 제 3 광섬유로 분배하는 광커플러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광섬유 및 제 3 광섬유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률 측정 모듈 및 이를 결합한 변형률 측정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변형률 측정 모듈 및 이를 결합한 변형률 측정 장치{Deformation measuring module and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변형률 측정 모듈 및 이를 결합한 변형률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교량, 댐, 빌딩과 같은 산업기간 구조물의 장기계측 시 FBG(Fiber Bragg Grating) 광섬유센서를 적용하는 사례가 점점 늘어가고 있다.
FBG 광섬유센서는 광섬유에 특정파장을 반사시키는 브래그 격자를 생성시켜 인장-압축 또는 온도변화에 따라서 반사되는 파장이 달라지기 때문에, 초기 파장에서 변화된 반사파장의 변화량을 인장-압축 또는 온도로 환산함으로써 센서로서 활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섬유에 파장이 다른 여러 개의 센서를 동시에 설치할 수 있어 멀티플레싱이 가능하고, 빛이 소스이기 때문에 섬유 길이가 길어진다 하더라도 신호에 노이즈 및 왜곡이 발생하지 않으며, 수십 km까지 증폭기 없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자기파에 영향이 거의 없으며, 유리재질이기 때문에 습기 등에 의한 부식의 영향이 거의 없어 장기적인 내구성이 매우 뛰어난 센서이다.
여기서, 구조물은 온도에 의존하여 변형률이 변하므로, 구조물의 변형률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온도 변화에 따라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구조물의 변형률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추가로 온도 센서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변형률 및 온도를 동시에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 FBG센서를 이용한 변형률 측정 모듈 및 이를 결합한 변형률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형률 측정 모듈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며, 측면에 입력단을 구비하는 제 1 연결단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타측에 형성되며, 측면에 출력단을 구비하는 제 2 연결단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되며, 일단이 상기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 1 광섬유; 일부에 제 1 브래그 격자를 구비하며, 끝단은 상기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 2 광섬유; 일부에 제 2 브래그 격자를 구비하며, 끝단은 절단되어 있는 제 3 광섬유; 상기 제 1 광섬유를 상기 제 2 광섬유 및 상기 제 3 광섬유로 분배하는 광커플러;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광섬유 및 제 3 광섬유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 2 광섬유 및 제 3 광섬유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동시에 고정하는 제 1 고정부재 및 상기 제 1 고정부재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 2 광섬유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제 2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제 1 연결단자 및 제 2 연결단자의 상부를 모두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단자 및 상기 제 2 연결단자는 체결수단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하면에 구조물과 결합 가능한 결합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형률 측정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변형률 측정 모듈을 직렬 결합하여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변형률 측정 모듈은 제 1 변형률 측정 모듈 및 제 2 변형률 측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변형률 측정 모듈 및 제 2 변형률 측정 모듈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 상면에 형성되며 체결수단 및 입력단을 구비하는 제 1 연결단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수단 및 출력단을 구비하는 제 2 연결단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에 위치되며, 끝단은 상기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 1 광섬유; 일부에 제 1 브래그 격자를 구비하며, 끝단은 상기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 2 광섬유;
일부에 제 2 브래그 격자를 구비하며, 끝단은 절단되어 있는 제 3 광섬유; 상기 제 1 광섬유를 상기 제 2 광섬유 및 상기 제 3 광섬유로 분배하는 광커플러;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광섬유 및 제 3 광섬유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 1 변형률 측정 모듈의 제 2 연결단자의 체결수단은 제 2 변형률 측정 모듈의 제 1 연결단자의 체결수단과 결합하며, 상기 제 1 변형률 측정 모듈의 상기 제 2 광섬유는 제 2 변형률 측정 모듈의 제 1 광섬유와 연결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 2 광섬유 및 제 3 광섬유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동시에 고정하는 제 1 고정부재 및 상기 제 1 고정부재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 2 광섬유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제 2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제 1 연결단자 및 제 2 연결단자의 상부를 모두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하면에 구조물과 체결 가능한 제 2 체결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변형률과 온도를 동시에 측정 가능한 FBG 센서와 가격이 저렴하고 크기가 작은 광커플러를 활용함으로써 경제적이면서, 정확한 온도보상이 가능한 변형률 측정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변형률 측정 모듈을 다중화하여 연결할 수 있어 다수 개의 FBG 센서를 일렬로 복수 개 구성하는 변형률 측정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률 측정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률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률 측정 장치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률 측정 장치에서 반사되는 특정 파장대의 강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률 측정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률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률 측정 장치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률 측정 장치에서 반사되는 특정 파장대의 강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변형률 측정 장치(1000)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변형률 측정 모듈(100), 제 2 변형률 측정 모듈(200) 및 제 3 변형률 측정 모둘(300)을 포함한다. 실제로는 셋 이상의 모듈이 연결 가능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3 변형률 측정 모듈(300)까지의 연결 관계만 설명한다.
상기 제 1 변형률 측정 모듈(100), 제 2 변형률 측정 모듈(200) 및 제 3 변형률 측정 모듈(300)은,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110, 210, 310), 제 1 연결단자(120, 220, 320), 제 2 연결단자(130, 230, 330), 제 1 광섬유(140, 240, 340), 광커플러(150, 250, 350), 제 2 광섬유(160, 260, 360), 제 3 광섬유(170, 270, 370), 고정부재(180, 280, 380) 및 커버(190, 290, 39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변형률 측정 모듈(100), 제 2 변형률 측정 모듈(200) 및 제 3 변형률 측정 모듈(300)은 모두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아래에서는 제 1 변형률 측정 모듈(100)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상면 및 하면이 평평한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제 1 연결단자(120), 제 2 연결단자(130), 제 1 광섬유(140), 광커플러(150), 제 2 광섬유(160), 제 3 광섬유(170) 및 고정부재(180)가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하면은 구조물에 결합하기 위해 결합 부재(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 부재는 바람직하게 볼트 및 너트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도 있으며,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 결합 부재(미도시)는 구조물에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수단이든 상관없다.
상기 제 1 연결단자(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연결단자(120)는 외측면에 체결수단(121, 121')을 구비하고, 중심을 관통하는 입력단(122)을 구비한다.
상기 체결수단(121, 121')은 다른 변형률 측정 모듈과의 체결을 위해 제 1 연결단자(120)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볼트 및 너트의 조합으로 형성되지만, 상기 결합 부재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서 체결수단(121, 121')은 다른 측정 모듈에 용이하게 체결되기 위해서는 어떠한 수단이든 상관없다.
상기 입력단(122)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광섬유(140)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입력단(122)의 외측에는 광 스위치(미도시)와 측정 시스템(미도시)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광섬유(140)는 상기 입력단(122)을 통해 상기 광 스위치(미도시)와 측정 시스템(미도시)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광 스위치(미도시)는 제 1 광섬유(140)에 광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측정 시스템(미도시)은 제 1 광섬유(140)를 통해 반사되어 돌아오는 특정 파장을 검출하여, 구조물의 온도변화 및 온도보상에 따른 변형률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시스템에서 구조물의 온도변화 및 온도보상에 따른 변형률을 측정하는 방법은 다음의 수학식 1을 따른다.
수학식 1)
Figure 112012056768166-pat00001
여기서, Dl: 파장 이동량, lß: 초기 파장 값(브래그 파장), P e: 광탄성 상수, a: 열팽창 계수, x: 열광학 계수, e: 변형률, DT: 온도 변화이다.
이와 같이 초기 파장 값, 광탄성 상수, 열팽창 계수, 열광학 계수는 모두 상수 값이므로, 파장 이동량은 변형률 값과 온도 변화의 함수이다.
따라서, 변형률이 0인 자유 조건을 만들면, 온도변화의 값은 다음의 수학식 2에 따라 구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2056768166-pat00002
상기 수학식 2에 따른 온도변화를 적용하여 온도보상을 하면 상기 측정 시스템에서는 구조물의 순수 변형률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단자(13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 타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연결단자(130)는 외측면에 체결수단(131, 131')을 구비하고, 중심을 관통하는 출력단(132)을 구비한다.
상기 체결수단(131, 131')은 다른 변형률 측정 모듈과의 체결을 위해 제 2 연결단자(130)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볼트 및 너트의 조합으로 형성되지만, 상기 결합 부재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서 체결수단(131, 131')은 제 2 변형률 측정 모듈(200)의 체결수단(231, 231')에 용이하게 체결되기 위해서는 어떠한 수단이든 상관없다.
상기 출력단(132)의 내측에는 상기 제 2 광섬유(160)의 끝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출력단(132)의 외측은 제 2 변형률 측정 모듈(200)의 입력단(222)과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변형률 측정 모듈(200)의 입력단(222)에는 제 1 광섬유(240)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제 1 변형률 측정 모듈(100)의 제 2 광섬유(160)의 끝단은 상기 출력단(132) 및 입력단(222)을 통해 제 2 변형률 측정 모듈(200)의 제 1 광섬유(240)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광섬유(140)는 일단이 상기 입력단(122)에 연결되어 상기 광 스위치(미도시)에서 출력되는 광원이 진행하는 경로를 제공하며, 끝단은 상기 광커플러(15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광커플러(150)를 통해 제 2 광섬유(160) 및 제 3 광섬유(170)로 분기 된다.
상기 광커플러(150)는 상기 제 1 광섬유(140)에서 출력되는 빛을 제 2 광섬유(160) 및 제 3 광섬유(170)로 분기시킨다. 상기 광커플러(150)는 50%:50%, 80%:20% 또는 90%:10%과 같이 설정한 값에 따라 다양하게 분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 2 광섬유(160)와 제 3 광섬유(170)로 분기 되는 빛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해서는, 제 1 광섬유(140)에서 출력되는 빛은 광커플러(150)를 통해 90%:10%로 분기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광섬유(160)는 일단이 상기 광커플러(150)에 연결되어 있으며, 끝단은 상기 출력단(13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2 광섬유(160)는 소정 부위에 제 1 브래그 격자(161)가 새겨져 내부에서 전반사로 진행하는 빛 중 브래그 파장대 빛을 반사시킨다. 상기 제 1 브래그 격자(161)에 의해 반사된 특정 파장대의 빛은 측정 시스템(미도시)에 수신되어, 구조물의 변형률을 측정하는 데 있어, 상기 수학식 1 및 2에 사용된다.
상기 제 3 광섬유(170)는 일단이 상기 광커플러(150)에 연결되어 있으며, 끝단은 절단되어 있다. 상기 제 3 광섬유(170)는 소정 부위에 제 2 브래그 격자(171)가 새겨져 내부에서 전반사로 진행하는 빛 중 브래그 파장대 빛을 반사시킨다. 상기 제 2 브래그 격자(171)에 의해 반사된 특정 파장대의 빛은 측정 시스템(미도시)에서 측정되며, 구조물의 변형률을 측정하는 데 있어, 상기 수학식 1 및 2에 사용된다. 여기서, 반사되지 않은 빛은 제 3 광섬유(170)를 그대로 통과한다.
여기서, 제 1 변형률 측정 모듈(100)의 제 1 브래그 격자(161) 및 제 2 브래그 격자(171)에서 반사되는 특정 파장대는 서로 다르며, 제 2 변형률 측정 모듈(200)의 제 1 브래그 격자(261)와 제 2 브래그 격자(271) 및 제 3 변형률 측정 모듈(300)의 제 1 브래그 격자(361)와 제 2 브래그 격자(371)에서 반사되는 특정 파장대는 모두 다르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4를 참조하면, 측정 영역별 변형률을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부재(18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설치되며, 제 1 고정부재(181) 및 제 2 고정부재(18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고정부재(181)는 상기 광커플러(150)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 2 광섬유(160) 및 상기 제 3 광섬유(170)를 동시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고정한다.
상기 제 2 고정부재(182)는 상기 제 1 고정부재(181)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 2 광섬유(160)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고정부재(182)가 제 3 광섬유(170)를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고정하지 않는 것은 상기 제 3 광섬유(170)에 변형률이 0인 자유 조건을 만들어 주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제 3 광섬유(170)는 제 2 광섬유(160)에서 측정되는 구조물의 변형률에 온도 보상을 할 수 있는 온도 센서로 사용된다.
상기 커버(19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을 덮는 내부가 비어있는 상자의 형태로써 딱딱한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제 1 변형률 측정 모듈(100)의 내부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밀봉하여 변형률 측정의 신뢰성을 높인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률 측정 장치(1000)를 이용해 구조물의 변형률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변형률 측정 모듈(100)의 제 2 광섬유(160)는 제 2 변형률 측정 모듈(200)의 제 1 광섬유(240)에 연결되어 있고, 제 2 변형률 측정 모듈(200)의 제 2 광섬유(260)는 제 3 변형률 측정 모듈(300)의 제 1 광섬유(340)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1 변형률 측정 모듈(100) 내지 제 3 변형률 측정 모듈(300)의 제 1 광섬유(140, 240, 340)에서 진행되는 빛은 광커플러(150, 250, 350)를 통해, 제 2 광섬유(160, 260, 360)에 90%, 제 3 광섬유(170, 270, 370)에 10%로 분기 된다. 결과적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변형률 측정 모듈(100)의 제 2 광섬유(160)에는 90%의 빛이 통과하고, 제 3 광섬유(170)에는 10%의 빛이 통과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광섬유(160)는 l1파장대의 빛을 반사하며, 제 3 광섬유(170)는 l2파장대의 빛을 반사한다. 이값은 상기 측정 시스템(미도시)에서 측정된다.
또한, 제 2 변형률 측정 모듈(200)의 제 1 광섬유(240)에는 90%의 빛이 진행된다. 이 빛은 다시 광커플러(250)를 통해 제 2 광섬유(260)에는 81%의 빛이 통과하고, 제 3 광섬유(270)에는 9%의 빛이 통과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광섬유(260)는 l3파장대의 빛을 반사하며, 제 3 광섬유(270)는 l4파장대의 빛을 반사한다. 이값은 상기 측정 시스템(미도시)에서 측정된다.
또한, 제 3 변형률 측정 모듈(300)의 제 1 광섬유(340)에는 81%의 빛이 진행된다. 이 빛은 다시 광커플러(350)를 통해 제 2 광섬유(360)에는 72.9%의 빛이 통과하고, 제 3 광섬유(370)에는 8.1%의 빛이 통과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광섬유(360)는 l5파장대의 빛을 반사하며, 제 3 광섬유(370)는 l6파장대의 빛을 반사한다. 이값은 상기 측정 시스템(미도시)에서 측정된다.
이로써, 제 1 변형률 측정 모듈(100) 내지 제 3 변형률 측정 모듈(300)이 부착된 구조물에서 변형이나 온도 변화가 발생하면, 특정 파장대의 파장변화가 발생하고, 상기 측정 시스템(미도시)에서는 이를 측정하여 상기 수학식 1 및 2를 이용해 구조물의 변형률을 측정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제 1 변형률 측정 모듈
110: 베이스 플레이트 120: 자가발전 장치
110: 프레임 120: 제 1 연결단자
130: 제 2 연결단자 140: 제 1 광섬유
150: 광커플러 160: 제 2 광섬유
170: 제 3 광섬유 180: 고정부재
190: 커버
1000: 변형률 측정 장치

Claims (9)

  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며, 측면에 입력단을 구비하는 제 1 연결단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타측에 형성되며, 측면에 출력단을 구비하는 제 2 연결단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되며, 일단이 상기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 1 광섬유;
    일부에 제 1 브래그 격자를 구비하며, 끝단은 상기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 2 광섬유;
    일부에 제 2 브래그 격자를 구비하며, 끝단은 절단되어 있는 제 3 광섬유;
    상기 제 1 광섬유를 상기 제 2 광섬유 및 상기 제 3 광섬유로 분배하는 광커플러;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광섬유 및 제 3 광섬유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률 측정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 2 광섬유 및 제 3 광섬유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동시에 고정하는 제 1 고정부재 및
    상기 제 1 고정부재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 2 광섬유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제 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률 측정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제 1 연결단자 및 제 2 연결단자의 상부를 모두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률 측정 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단자 및 상기 제 2 연결단자는 체결수단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률 측정 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하면에 구조물과 결합 가능한 결합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률 측정 모듈.
  6. 적어도 두 개의 변형률 측정 모듈을 직렬 결합하여 형성되는 변형률 측정 장치로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변형률 측정 모듈은
    제 1 변형률 측정 모듈 및 제 2 변형률 측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변형률 측정 모듈 및 제 2 변형률 측정 모듈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 상면에 형성되며 체결수단 및 입력단을 구비하는 제 1 연결단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수단 및 출력단을 구비하는 제 2 연결단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에 위치되며, 끝단은 상기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 1 광섬유;
    일부에 제 1 브래그 격자를 구비하며, 끝단은 상기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 2 광섬유;
    일부에 제 2 브래그 격자를 구비하며, 끝단은 절단되어 있는 제 3 광섬유;
    상기 제 1 광섬유를 상기 제 2 광섬유 및 상기 제 3 광섬유로 분배하는 광커플러;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광섬유 및 제 3 광섬유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 1 변형률 측정 모듈의 제 2 연결단자의 체결수단은 제 2 변형률 측정 모듈의 제 1 연결단자의 체결수단과 결합하며,
    상기 제 1 변형률 측정 모듈의 상기 제 2 광섬유는 제 2 변형률 측정 모듈의 제 1 광섬유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률 측정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 2 광섬유 및 제 3 광섬유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동시에 고정하는 제 1 고정부재 및
    상기 제 1 고정부재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 2 광섬유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제 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률 측정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제 1 연결단자 및 제 2 연결단자의 상부를 모두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률 측정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하면에 구조물과 체결 가능한 제 2 체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률 측정 장치.
KR1020120077413A 2012-07-16 2012-07-16 변형률 측정 모듈 및 이를 결합한 변형률 측정 장치 KR101314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413A KR101314857B1 (ko) 2012-07-16 2012-07-16 변형률 측정 모듈 및 이를 결합한 변형률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413A KR101314857B1 (ko) 2012-07-16 2012-07-16 변형률 측정 모듈 및 이를 결합한 변형률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4857B1 true KR101314857B1 (ko) 2013-10-04

Family

ID=49637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413A KR101314857B1 (ko) 2012-07-16 2012-07-16 변형률 측정 모듈 및 이를 결합한 변형률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485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897B1 (ko) 2017-08-03 2019-02-07 (주)에프비지코리아 관입 깊이 측정장치 및 그가 적용된 파일
WO2020059899A1 (ko) * 2018-09-18 2020-03-26 (주)에프비지코리아 관입 깊이 측정장치 및 그가 적용된 파일
KR20210099725A (ko) * 2020-02-05 2021-08-13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변형감지가 가능한 복합콘크리트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116592782A (zh) * 2023-05-16 2023-08-15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东莞供电局 一种变压器内置分布式光纤形变传感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1319A (ja) 1998-09-30 2000-04-18 Ntt Advanced Technology Corp 光ファイバセンサ
KR20080004785U (ko) * 2007-04-17 2008-10-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광섬유 변형률 센서 장치
JP2010054366A (ja) 2008-08-28 2010-03-11 Fujikura Ltd 光ファイバ位置特定のための光学マーキング部を備えた光ファイバセンサおよび光ファイバセンサの計測方法と光ファイバセンサ装置
KR20110039018A (ko) * 2009-10-09 2011-04-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인쇄회로기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1319A (ja) 1998-09-30 2000-04-18 Ntt Advanced Technology Corp 光ファイバセンサ
KR20080004785U (ko) * 2007-04-17 2008-10-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광섬유 변형률 센서 장치
JP2010054366A (ja) 2008-08-28 2010-03-11 Fujikura Ltd 光ファイバ位置特定のための光学マーキング部を備えた光ファイバセンサおよび光ファイバセンサの計測方法と光ファイバセンサ装置
KR20110039018A (ko) * 2009-10-09 2011-04-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인쇄회로기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897B1 (ko) 2017-08-03 2019-02-07 (주)에프비지코리아 관입 깊이 측정장치 및 그가 적용된 파일
WO2020059899A1 (ko) * 2018-09-18 2020-03-26 (주)에프비지코리아 관입 깊이 측정장치 및 그가 적용된 파일
KR20210099725A (ko) * 2020-02-05 2021-08-13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변형감지가 가능한 복합콘크리트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346396B1 (ko) 2020-02-05 2021-12-31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변형감지가 가능한 복합콘크리트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116592782A (zh) * 2023-05-16 2023-08-15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东莞供电局 一种变压器内置分布式光纤形变传感器
CN116592782B (zh) * 2023-05-16 2024-05-10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东莞供电局 一种变压器内置分布式光纤形变传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6297A (en) Multiplexed Bragg grating sensors
KR101314857B1 (ko) 변형률 측정 모듈 및 이를 결합한 변형률 측정 장치
CA2695587A1 (en) Physical quantity measuring apparatus utilizing optical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and method for temperature and strain measurement using the apparatus
NO20072911L (no) Anordning for overvaking av pakjenningen av en skjot i et byggesystem
MY158827A (en) A novel sensor array configuration for extending useful sensing length of a swept-wavelength interferometry based system
NL2015448B1 (en) Fiber Bragg grating interrogator assembly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209627B1 (ko) 분광기를 기반으로 하는 광섬유센서 시스템
US9857250B2 (en) Strain sensor and method for installing strain sensor
KR101203700B1 (ko) 광섬유격자센서 및 이를 이용한 온도/스트레인 측정 시스템
CN2605705Y (zh) 高速光纤光栅传感复用解调装置
KR101113778B1 (ko) 브래그 격자 및 패브리 패로 간섭을 이용한 광섬유 센서 탐촉자, 광섬유 센서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센싱방법
JP3711905B2 (ja) 光ファイバグレーティング歪センサ及び歪計測方法
US2022029908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measuring a braking force of a braking system for vehicle, by means of photonic sensors incorporated in a brake pad
WO2017183455A1 (ja) 光ファイバセンシングシステム及びライザー管
KR100666379B1 (ko) 광섬유격자 구조체 및 이를 적용한 구조물 변형 측정 장치 및 방법
CN102200430B (zh) 利用fbg传感器测量皮革弹性形变量的方法
JP3925202B2 (ja) 高速波長検出装置
JP2005351663A (ja) Fbg湿度センサ及びfbg湿度センサを用いた湿度測定方法
JP2001108416A (ja) 光ファイバ歪み計測装置
WO2007043716A1 (en) Optical fiber bragg grating unit and apparatus and method of measuring deformation of structure having the same
KR101388163B1 (ko) 변형률 측정 장치
JP3544861B2 (ja) 計測対象区間識別方法
KR20140016088A (ko) 광섬유 밴딩센서를 이용한 건물 안전진단시스템
KR20240037769A (ko) 광학 엔진을 적용한 가공송전선로 진동 및 구부림 센서
Murayama et al. Application of distributed sensing with long length FBG to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