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928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928B1
KR101313928B1 KR1020070014993A KR20070014993A KR101313928B1 KR 101313928 B1 KR101313928 B1 KR 101313928B1 KR 1020070014993 A KR1020070014993 A KR 1020070014993A KR 20070014993 A KR20070014993 A KR 20070014993A KR 101313928 B1 KR101313928 B1 KR 101313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air conditioner
guide
unit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4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5712A (ko
Inventor
김지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4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928B1/ko
Priority to CNB2007101441656A priority patent/CN100549541C/zh
Publication of KR20080075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튼 터치(touch)에 의해 해당 버튼의 전면이 발광되고 작동 조작이 이루어지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2)와, 인체의 근접에 의해 스위치 작용이 가능한 다수의 버튼조립체(170)가 설치되는 버튼부(114)를 가지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버튼조립체(170)는, 표면에 전기적 회로가 인쇄된 회로기판(190)에 내부 공간이 다수의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가이드(192); 상기 지지가이드의 각 격자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인체의 근접에 따라 전류의 이동을 발생시키는 도전체(172); 상기 도전체의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빛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격자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버튼엘이디(LED,174); 및 상기 버튼엘이디와 상기 격자 형태의 공간을 공간적으로 구획하면서 상기 버튼엘이디에서 발생하는 불빛의 산란을 방지하면서 일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가이드(176);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전면 외관이 수려해지고 사용이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실내기, 전면, 스위치, 버튼, 터치

Description

공기조화기 {Air conditioner}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글라스판넬유니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튼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버튼부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실내기 100. 글라스판넬유니트
110. 디스플레이유니트 120. 강화유리판
122. 전면무늬 124. 후면무늬
130. 인쇄필름 134. 버튼인쇄부
150. 글라스지지판 170. 버튼조립체
172. 도전체 174. 버튼엘이디
176. 안내가이드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튼 터치(touch)에 의해 해당 버튼의 전면이 발광되고 작동 조작이 이루어지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무실 또는 가정 등과 같은 실내의 한 공간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냉/난방기기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기기이다.
특히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실외측' 또는 '방열측'이라 칭하기도 함)와, 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실내측' 또는 '흡열측'이라 칭하기도 함)로 나뉘어지는데, 상기 실외기에는 응축기(실외열교환기)와 압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에는 증발기(실내열교환기)가 설치된다.
그리고 주지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외관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10)와 실외기(도시되지 않음)로 분리되고, 이러한 실내기(10)와 실외기(도시되지 않음) 사이에는 냉매배관(도시되지 않음)이 연통되게 설치된다.
상기 실내기(1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캐비넷(20)에 의해 측면과 후면 외관 이 형성된다. 상기 캐비넷(20)의 하부에는 베이스(22)가 구비되고, 이러한 베이스(22)의 선단 상부에는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24)이 설치된다.
상기 전면판넬(24)의 중앙부에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30)가 구비되고, 이러한 디스플레이부(30)의 측면에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위한 각종 버튼이 형성되는 버튼부(32)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일반적으로 엘이디(LED)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의 작동과 함께 온(on)되어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리고 공기조화기가 오프(off)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30)도 오프(off)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위해 사용되는 상기 버튼부(32)가 기계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전면판넬(24)의 전방으로 돌출되므로 전면판넬(24)의 외관이 수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32)가 터치(touch)식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각 버튼 표면부에 불빛이 나오지 않으므로, 실내가 어두운 경우에는 버튼 인식이 어려워, 공기조화기의 조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체의 근접에 의해 작동이 가능한 터치버튼이 구비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체의 터치(touch)에 의해 해당 버튼 부분이 발광 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또 다른 목적은, 인체의 터치(touch)에 의해 발광되는 불빛이 외측으로 발산되지 않고 전방으로만 비추어지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인체의 근접에 의해 스위치 작용이 가능한 다수의 버튼조립체가 설치되는 버튼부를 가지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버튼조립체는, 표면에 전기적 회로가 인쇄된 회로기판에 내부 공간이 다수의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가이드; 상기 지지가이드의 각 격자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인체의 근접에 따라 전류의 이동을 발생시키는 도전체; 상기 도전체의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빛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격자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버튼엘이디(LED); 및 상기 버튼엘이디와 상기 격자 형태의 공간을 공간적으로 구획하면서 상기 버튼엘이디에서 발생하는 불빛의 산란을 방지하면서 일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가이드;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상기 안내가이드는, 상기 버튼엘이디가 설치되는 회로기판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불빛을 전방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버튼엘이디는 하나의 상기 격자 공간에 다수가 구비된다..
상기 도전체와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는 상기 도전체를 지지하면서 상기 도전체의 신호를 상기 회로기판으로 전달하는 도전체지지부가 위치한다.
상기 안내가이드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전면 외관이 수려해지고 사용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 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에는 실내기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공기조화기는 도시된 바와 같은 실내기(50)와 실외기(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은 실내기(50)의 전면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글라스판넬유니트(100)가 구비된다.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의 후방에는 외부케이스(200)가 구비된다. 상기 외부케이스(200)는 실내기(50)의 후면과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외부케이스(200)의 내부에는 공기조화를 위한 다수의 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실내기(50)의 하단에는 베이스어셈블리(210)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어셈블리(210)는 상기 실내기(50)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상기 실내기(50)의 하부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는 상기 실내기(5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의 좌측 상하단에는 판넬힌지(102)가 구비된다. 즉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판넬힌지(102)에 의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의 우측단에는 디스플레이유니트(11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110)는 공기조화기의 작동 상태나 기타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부분이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110)의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의 전면에는 다수의 무늬가 구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의 전면에는 꽃무늬와 같은 다양한 이미지가 화려하게 구현되는 구성을 가진다.
도 3에는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는, 투명하게 형성되는 강화유리판(120)과, 상기 강화유리판(120) 후면에 부착되는 인쇄필름(130)과,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후측에 구비되는 장식천(140)과, 상기 강화유리판(120)을 지지하는 글라스지지판(15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강화유리판(120)은 상하로 긴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투명한 유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강화유리판(120)을 통해 상기 인쇄필름(130)과 장식천(140)의 디자인이 전방 외부로 투시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강화유리판(120)에는, 장식무늬가 전사되어 강화유리판(120)에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장식무늬(122,124)는,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전사되어, 다양한 이미지를 형성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장식무늬(122,124)는,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전면에 전사되는 전면무늬(122)와,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후면에 전사되는 후면무늬(124)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전면무늬(122)나 후면무늬(124)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장식무늬(122,124)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은 꽃무늬 형상은 물론, 별모양이나 기타 다른 사물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 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장식무늬(122,124)의 전사를 다양한 방법에 의해 가능하다. 즉,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일면에 스프레이 도장을 하는 방법이나 실크스크린 인쇄법 등에 의해 다양한 무늬 형성이 가능할 것이며, 또한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전면이나 후면에 금속코팅을 하여 상기 전면무늬(122)나 후면무늬(124)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인쇄필름(130)은, 상기 강화유리판(120) 후면에 부착되는 인쇄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강화유리판(120)과 대응되는 길이를 가진다. 즉, 상기 인쇄필름(130)은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후면 우측단 부근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쇄필름(130)에는 디스플레이공(13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공(132)은 아래에서 설명할 디스플레이부(112)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12)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이러한 디스플레이공(132)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12)에 표시되는 다양한 이미지가 외부로 투시 가능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공(132)의 하측에는 다수의 버튼인쇄부(134)가 인쇄된다. 상기 버튼인쇄부(134)는 아래에서 설명할 버튼조립체(170)의 각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부분으로, 여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문자나 기호 등이 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버튼인쇄부(134)에는 원형의 테두리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테두리 내부에는 문자나 기호가 인쇄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러한 버튼인쇄부(134)에 표시된 문자 또는 기호에 의해 필요한 조작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장식천(140)은 상기 인쇄필름(130)의 좌측에 구비된다. 상기 장식천(140)은 실로 짠 옷이나 이부자리 따위의 감이 되는 '천'으로,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후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장식천(140)과 인쇄필름(130)의 크기 합이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크기와 대응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장식천(140)이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크기와 같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장식천(140)이 상기 강화유리판(120) 및 인쇄필름(130)의 후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장식천(140)의 우측부분은 상기 인쇄필름(130)에 가려져서 전방으로 투시되지 않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장식천(140)은 단색으로 이루어지는 외에도, 다양한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장식천(140) 자체에 다양한 무늬가 수놓여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글라스지지판(150)은 상기 강화유리판(12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강화유리판(120)과 같이 상하로 긴 직사각 형상을 가진다. 상기 글라스지지판(150)은 소정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플라스틱과 같이 일정 강도를 가지면서도 경량인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글라스지지판(150)의 우측 부분에는 판넬공(152)이 형성된다. 즉, 상기 글라스지지판(150)의 상반부에는 상하로 긴 직사각 형상의 판넬공(152)이 관통 형 성되는데, 이러한 판넬공(152)은 아래에서 설명할 디스플레이부(112)와 버튼부(114)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110)는 상기 글라스지지판(150)의 상반부 우측단 부근에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110)는, 상기 글라스지지판(150)의 판넬공(152)에 삽입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112) 및 버튼부(114)와, 상기 글라스지지판(150)의 후면에 부착 고정되는 제어부(11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2)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나 기타 정보가 직접적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외부로 표시되는 부분이며, 상기 제어부(116)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2)를 통해 다양한 이미지와 문자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한편,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부분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2) 및 상기 버튼부(114)는, 상기 제어부(116)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판넬공(152)을 통해 상기 글라스지지판(150)의 전방으로 보여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버튼부(114)에는 다수의 버튼조립체(170)가 구비된다. 상기 버튼조립체(170)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직접적으로 제어하거나, 작동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버튼조립체(170) 상측에는 리모컨(도시되지 않음)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수신부(180)가 구비된다.
상기 글라스지지판(150)의 테두리에는 다수의 브라켓(160,162,164,166)이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160,162,164,166)은 상기 강화유리판(120) 등이 상기 글라스지지판(15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글라스지지판(150)과 강화유리 판(120)의 좌측 및 우측을 고정하기 위한 좌측브라켓(160) 및 우측브라켓(162) 그리고, 상기 글라스지지판(150)과 강화유리판(120)의 상단 및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상측브라켓(164) 및 하측브라켓(166)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4와 도 5에는 상기 버튼부(114)의 구성이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즉, 도 4에는 상기 버튼부(114)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버튼부(114)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부(114)에는 터치(touch)스위치(switch) 기능을 가지는 다수의 버튼조립체(170)가 구비된다.
상기 버튼조립체(170)는, 전기를 띠는 도전체(172)와, 선택적으로 발광되는 버튼엘이디(LED)(174)와, 상기 버튼엘이디(174)에서 발생되는 불빛의 발산을 방지하는 안내가이드(176) 등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버튼조립체(170)는 다수의 전기적 회로가 형성된 회로기판(190)에 형성된다. 상기 회로기판(190)의 전면에는 격자 형태의 지지가이드(192)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러한 지지가이드(192)의 내부에는 다수의 안내가이드(176)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가이드(176)는, 상기 회로기판(19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일정 부분 돌출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안내가이드(176)는 상기 버튼인쇄부(134)의 후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안내가이드(176)는 다수가 구비된다. 즉, 격자 형태의 상기 지지가이 드(192) 내부에 다수(6개) 형성되며, 이러한 안내가이드(176)는 상기 버튼엘이디(174)에서 발산되는 불빛이 외측(도 5에서는 상하좌우)으로 분산되지 않고, 전방으로만 비추어지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버튼엘이디(174)는 상기 회로기판(190)의 전면에 부착 설치된다. 상기 버튼엘이디(174)는 통상 발광다이오드(luminescent diode)라 불리는 것으로, 발광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버튼엘이디(174)는 다수(3개)가 사용된다. 즉, 3개의 버튼엘이디(174)가 정삼각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안내가이드(176) 내측 부분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도전체(172)는 상기 안내가이드(176)의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도전체(172)는 박막(薄膜, thin film)형태의 금속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도전체(172)에 의해 인체의 전류를 감지하게 된다. 즉, 상기 버튼인쇄부(134)에 인체가 닿게 되면, 상기 버튼인쇄부(134)와 도전체(172) 사이에는 정전용량에 의한 전류흐름이 형성되어 신호입력이 수행되는 것이다.
상기 도전체(172)는 상기 회로기판(19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이러한 도전체(172)와 회로기판(190) 사이에는 도전체지지부(178)가 형성된다. 상기 도전체지지부(178)는 상기 도전체(17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한편, 신호처리 기능을 가지기도 한다. 즉, 상기 버튼인쇄부(134)에 인체가 접촉하여 상기 버튼인쇄부(134)와 도전체(172) 사이에는 정전용량에 의한 전류흐름이 형성되면, 이러한 전류를 상기 제어부(116)에서 인식 가능한 형태로 신호를 처리한다.
한편, 상기 버튼엘이디(174)는 선택적으로 발광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가 상기 버튼인쇄부(134)에 닿게 되면, 상기 버튼엘이디(174)는 발광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는 일정 시간동안 계속된다. 물론, 이러한 버튼엘이디(174)의 발광이 리모컨(도시되지 않음)의 조작이나,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와 연동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기본적인 작용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작용과 동일하므로 전반적인 작동 상태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도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와 같이 냉방 또는 난방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기본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실내기(50)의 하반부 좌우를 통해서는 실내공간의 공기가 흡입되고, 열교환기(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열교환이 일어난 다음, 실내공간으로 다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는 상기 판넬힌지(102)를 축으로 시계방향(상방에서 볼 때)으로 회전하여 개방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110)를 통해서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나 기타 정보가 외부로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2)를 통해 외부로 표시되는 정보는 상기 제어부(116)의 명령에 따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버튼기능은 터치스위치로 이루어져 있다. 즉, 인체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의 전면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버튼인쇄부(134)에 손가락과 같은 인체를 접촉시키면, 이러한 인체의 접촉에 의해 동작신호가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116)에서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인쇄부(134)의 전면에 인체를 접촉시키면, 해당 버튼인쇄부(134)는 밝게 빛난다. 즉, 상기 버튼인쇄부(134)에 손가락 등이 닿게 되면, 이러한 인체의 전류에 의해 상기 도전체(172)가 대전되어 스위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엘이디(174)에 전원이 공급되어 발광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버튼엘이디(174)에서 생성되는 불빛은 전방으로만 조사된다. 즉, 상기 다수의 버튼엘이디(174)는 상기 안내가이드(176)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므로, 이러한 버튼엘이디(174)에서 발생되는 불빛은 외측으로 분산되지 않고, 전방으로만 비추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주변의 다른 버튼으로는 불빛이 비추어지지 않고, 인체와 접촉되는 해당 버튼 전면만 밝게 빛나므로, 사용자가 작동 버튼을 용이하게 인식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는, 다양한 모양의 장식무늬가 전사된 글라스판넬유니트에 의해 전면외관이 형성되고, 이러한 글라스판넬유니 트에는 터치스위치 기능을 가지는 버튼이 구비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공기조화기의 외관이 수려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는, 버튼조립체에 빛을 발하는 엘이디(LED)가 구비되며, 이러한 엘이디(LED)에서 발광되는 빛은 외측으로 분산되지 않고 전방으로만 조사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어두운 환경에서도 버튼 조작이 보다 용이하게 되며, 불빛이 외측으로 분산되지 않으므로 해당 버튼의 인식이 보다 명확하게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의 외관이 수려해짐은 물론,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인체의 근접에 의해 스위치 작용이 가능한 다수의 버튼조립체가 설치되는 버튼부를 가지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버튼조립체는,
    표면에 전기적 회로가 인쇄된 회로기판에 내부 공간이 다수의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가이드;
    상기 지지가이드의 각 격자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인체의 근접에 따라 전류의 이동을 발생시키는 도전체;
    상기 도전체의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빛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격자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버튼엘이디(LED); 및
    상기 버튼엘이디와 상기 격자 형태의 공간을 공간적으로 구획하면서 상기 버튼엘이디에서 발생하는 불빛의 산란을 방지하면서 일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가이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가이드는,
    상기 버튼엘이디가 설치되는 회로기판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불빛을 전방으로 안내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엘이디는 하나의 상기 격자 공간에 다수가 구비되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와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는 상기 도전체를 지지하면서 상기 도전체의 신호를 상기 회로기판으로 전달하는 도전체지지부가 위치하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가이드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공기조화기.
KR1020070014993A 2007-02-13 2007-02-13 공기조화기 KR101313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993A KR101313928B1 (ko) 2007-02-13 2007-02-13 공기조화기
CNB2007101441656A CN100549541C (zh) 2007-02-13 2007-12-13 空调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993A KR101313928B1 (ko) 2007-02-13 2007-02-13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712A KR20080075712A (ko) 2008-08-19
KR101313928B1 true KR101313928B1 (ko) 2013-10-01

Family

ID=39879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993A KR101313928B1 (ko) 2007-02-13 2007-02-13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13928B1 (ko)
CN (1) CN10054954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993B1 (ko) * 2008-09-11 2012-02-2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하우징 판넬어셈블리
KR101503282B1 (ko) * 2008-11-14 2015-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533315B1 (ko) * 2008-11-17 2015-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563484B1 (ko) 2009-01-06 2015-10-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20100084380A (ko) * 2009-01-16 2010-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104596082B (zh) * 2015-01-21 2017-10-1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分体落地式空调器以及玻璃面板组件
KR102334744B1 (ko) * 2017-03-06 2021-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욕실관리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622U (ko) * 1997-08-29 1999-03-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조립구조
KR20030043051A (ko) * 2001-11-26 2003-06-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 조화기의 운전 조작부 구조
KR20030053862A (ko) * 2001-12-24 2003-07-02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에어컨의 일체형 버튼 구조
KR20060087213A (ko) * 2005-01-28 200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622U (ko) * 1997-08-29 1999-03-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조립구조
KR20030043051A (ko) * 2001-11-26 2003-06-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 조화기의 운전 조작부 구조
KR20030053862A (ko) * 2001-12-24 2003-07-02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에어컨의 일체형 버튼 구조
KR20060087213A (ko) * 2005-01-28 200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45934A (zh) 2008-08-20
KR20080075712A (ko) 2008-08-19
CN100549541C (zh) 200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3928B1 (ko) 공기조화기
CN109564053B (zh) 冰箱
US8203091B2 (en) Switch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US9080785B2 (en) Display device for an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US20190287743A1 (en) Wall mounted control device with interchangeable buttons
KR101466296B1 (ko) 공기조화기
KR101533315B1 (ko) 공기조화기
KR2013014248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N105258299A (zh) 空调器操作面板组件、空调柜机、遥控器及空调控制方法
KR10147629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03223125A (ja) 表示装置
KR100805418B1 (ko) 공기조화기의 글라스판넬유니트
JP5335535B2 (ja) 電飾パネルを有する電気器具
US20230152504A1 (en) Home appliance
CN219083003U (zh) 台灯
KR200422709Y1 (ko) 자동차용 전자버튼의 구조
CN209524639U (zh) 控制面板、显示面板、热水器以及家用电器
KR101339518B1 (ko) 공기조화기
KR200165756Y1 (ko)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부 구조
KR20240026762A (ko) 냉장고, 가전 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JP6000209B2 (ja) 空気調和機
KR20240012263A (ko) 냉장고
KR20240026746A (ko) 냉장고, 가전 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80020209A (ko)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세탁장치
KR20090125542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