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5418B1 - 공기조화기의 글라스판넬유니트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글라스판넬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5418B1
KR100805418B1 KR1020070009905A KR20070009905A KR100805418B1 KR 100805418 B1 KR100805418 B1 KR 100805418B1 KR 1020070009905 A KR1020070009905 A KR 1020070009905A KR 20070009905 A KR20070009905 A KR 20070009905A KR 100805418 B1 KR100805418 B1 KR 100805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air conditioner
tempered glass
panel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9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9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5418B1/ko
Priority to CN2008100002980A priority patent/CN101235979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5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5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무늬가 전사된 강화유리판과 다양한 색상의 천으로 이루어지는 장식천이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의 글라스판넬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글라스판넬유니트는, 투명하게 형성되는 강화유리판(120)과,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일측에 구비되는 장식천(140)과, 상기 강화유리판(120) 일면에 부착되는 인쇄필름(130)과, 상기 강화유리판(120)을 지지하는 글라스지지판(15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강화유리판(120)에는, 장식무늬(122,124)가 전사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전면 외관이 수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공기조화기, 실내기, 전면, 글라스, 인쇄, 장식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글라스판넬유니트 {Glass-panel unit for air conditioner}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구성하는 글라스판넬유니트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글라스판넬유니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실내기 100. 글라스판넬유니트
110. 디스플레이유니트 120. 강화유리판
122. 전면무늬 124. 후면무늬
130. 인쇄필름 140. 장식천
150. 글라스지지판 200. 외부케이스
210. 베이스어셈블리 220. 전면판넬어셈블리
230. 공기정화어셈블리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식무늬가 전사된 강화유리판과 다양한 색상의 천으로 이루어지는 장식천이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의 글라스판넬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무실 또는 가정 등과 같은 실내의 한 공간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냉/난방기기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기기이다.
특히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실외측' 또는 '방열측'이라 칭하기도 함)와, 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실내측' 또는 '흡열측'이라 칭하기도 함)로 나뉘어지는데, 상기 실외기에는 응축기(실외열교환기)와 압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에는 증발기(실내열교환기)가 설치된다.
그리고 주지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외관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10)와 실외기(도시되지 않음)로 분리되고, 이러한 실내기(10)와 실외기(도시되지 않음) 사이에는 냉매배관(도시되지 않음)이 연통되게 설치된다.
상기 실내기(1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캐비넷(20)에 의해 측면과 후면 외관 이 형성된다. 상기 캐비넷(20)의 하부에는 베이스(22)가 구비되고, 이러한 베이스(22)의 선단 상부에는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24)이 설치된다.
상기 전면판넬(24)의 중앙부에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30)가 구비되고, 이러한 디스플레이부(30)의 측면에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위한 각종 버튼이 형성되는 버튼부(32)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일반적으로 엘이디(LED)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의 작동과 함께 온(on)되어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리고 공기조화기가 오프(off)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30)도 오프(off)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 전면이 무미건조한 이미지를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전면판넬(24)의 전면에는 무늬와 같은 이미지가 구현되지 않으므로, 실내공간의 전체 미관이 수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장식을 위한 장식천이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의 글라스판넬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글라스판넬유니트를 구성하는 강화유리판의 적어도 일면에는 다양한 장식무늬가 전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글라스판넬유니트는, 투명하게 형성되는 강화유리판과, 상기 강화유리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장식천과, 상기 강화유리판 일면에 부착되는 인쇄필름과, 상기 강화유리판을 지지하는 글라스지지판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화유리판에는, 장식무늬가 전사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식무늬는, 상기 강화유리판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전사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식무늬는, 상기 강화유리판의 전면에 전사되는 전면무늬와, 상기 강화유리판의 후면에 전사되는 후면무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글라스판넬유니트는, 투명하게 형성되는 강화유리판과, 상기 강화유리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장식천과, 상기 강화유리판을 지지하는 글라스지지판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강화유리판에는 장식무늬가 전사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글라스판넬유니트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전면 외관이 수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글라스판넬유니트가 채용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에는 실내기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실내기의 글라스판넬유니트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 다.
공기조화기는 도시된 바와 같은 실내기(50)와 실외기(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은 실내기(50)의 전면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글라스판넬유니트(100)가 구비된다.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의 후방에는 외부케이스(200)가 구비된다. 상기 외부케이스(200)는 실내기(50)의 후면과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외부케이스(200)의 내부에는 공기조화를 위한 다수의 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실내기(50)의 하단에는 베이스어셈블리(210)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어셈블리(210)는 상기 실내기(50)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상기 실내기(50)의 하부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외부케이스(200)의 전방 상측 부분에는 전면판넬어셈블리(220)가 설치된다. 상기 전면판넬어셈블리(220)는 상기 실내기(50)의 전반부 골격을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전면판넬어셈블리(220)의 상면과 양 측면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다수의 토출구(222)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넬어셈블리(220)의 하측에는 공기정화어셈블리(230)가 구비된다. 상기 공기정화어셈블리(230)는 외부로부터 상기 실내기(5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상기 실내기(50)의 내부로 유입되는 실내공간의 공기는 상기 공기정화어셈블리(230)를 거치면서 정화되고, 열교환일 일어난 다음 상기 토출구(222)를 통해 외부(실내공간)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는 상기 실내기(5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 치된다. 따라서,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의 좌측 상하단에는 판넬힌지(102)가 구비된다. 즉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의 상단과 하단은 상기 전면판넬어셈블리(220) 및 상기 베이스어셈블리(210)에 각각 판넬힌지(10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의 중앙부분과 상기 전면판넬어셈블리(220)의 하단 사이에는 개방제어구(104)가 설치된다. 상기 개방제어구(104)는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의 개폐를 안내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의 개방 정도를 제어하는 스토퍼(stopper) 역할도 하게 된다.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의 우측단에는 디스플레이유니트(11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110)는 공기조화기의 작동 상태나 기타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부분이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110)의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의 전면에는 다수의 무늬가 구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의 전면에는 꽃무늬와 같은 다양한 이미지가 화려하게 구현되는 구성을 가진다.
도 4에는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는, 투명하게 형성되는 강화유리판(120)과, 상기 강화유리판(120) 후면에 부착되는 인쇄필름(130)과,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후측에 구비되는 장식천(140)과, 상기 강화유리판(120)을 지지하는 글라스지지판(15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강화유리판(120)은 상하로 긴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투명한 유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강화유리판(120)을 통해 상기 인쇄필름(130)과 장식천(140)이 디자인이 전방 외부로 투시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강화유리판(120)에는, 장식무늬가 전사되어 강화유리판(120)에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장식무늬(122,124)는,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전사되어, 다양한 이미지를 형성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장식무늬(122,124)는,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전면에 전사되는 전면무늬(122)와,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후면에 전사되는 후면무늬(124)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전면무늬(122)나 후면무늬(124)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장식무늬(122,124)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은 꽃무늬 형상은 물론, 별모양이나 기타 다른 사물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장식무늬(122,124)의 전사를 다양한 방법에 의해 가능하다. 즉,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일면에 스프레이 도장을 하는 방법이나 실크스크린 인쇄법 등에 의해 다양한 무늬 형성이 가능할 것이며, 또한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전면이나 후면에 금속코팅을 하여 상기 전면무늬(122)나 후면무늬(124)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우측단 중앙부근에는 다수의 버튼홀(126)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버튼홀(126)은 아래에서 설명할 버튼(114')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 분이다.
상기 인쇄필름(130)은, 상기 강화유리판(120) 후면에 부착되는 인쇄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강화유리판(120)과 대응되는 길이를 가진다. 즉, 상기 인쇄필름(130)은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후면 우측단 부근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쇄필름(130)에는, 디스플레이공(132)과 버튼공(134)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공(132)은 아래에서 설명할 디스플레이부(112)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이러한 디스플레이공(132)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12)에 표시되는 다양한 이미지가 외부로 투시 가능하게 된다.
상기 버튼공(134)은 상기 강화유리판(120)에 형성되는 버튼홀(126)과 대응되는 크기 및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버튼(114')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관통되는 부분이다.
상기 장식천(140)은 상기 인쇄필름(130)의 좌측에 구비된다. 상기 장식천(140)은 실로 짠 옷이나 이부자리 따위의 감이 되는 '천'으로,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후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장식천(140)과 인쇄필름(130)의 크기 합이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크기와 대응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장식천(140)이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크기와 같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장식천(140)이 상기 강화유리판(120) 및 인쇄필름(130)의 후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장식천(140)의 우측부분은 상기 인쇄필름(130)에 가려져서 전방으로 투시되지 않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장식천(140)은 단색으로 이루어지는 외에도, 다양한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장식천(140) 자체에 다양한 무늬가 수놓여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글라스지지판(150)은 상기 강화유리판(12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강화유리판(120)가 같이 상하로 긴 직사각 형상을 가진다. 상기 글라스지지판(150)은 소정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플라스틱과 같이 일정 강도를 가지면서도 경량인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글라스지지판(150)의 우측 부분에는 판넬공(152)이 형성된다. 즉, 상기 글라스지지판(150)의 상반부에는 상하로 긴 직사각 형상의 판넬공(152)이 관통 형성되는데, 이러한 판넬공(152)은 아래에서 설명할 디스플레이부(112)와 버튼부(114)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110)는 상기 글라스지지판(150)의 상반부 우측단 부근에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110)는, 상기 글라스지지판(150)의 판넬공(152)에 삽입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112) 및 버튼부(114)와, 상기 글라스지지판(150)의 후면에 부착 고정되는 디스플레이제어부(11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2)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나 기타 정보가 직접적으로 디스플레이 되어 외부로 표시되는 부분이며,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116)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2)를 통해 다양한 이미지와 문자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부분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2) 및 상기 버튼부(114)는,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116)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판넬공(152)을 통해 상기 글라스지지판(15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버튼부(114)에는 다수의 버튼(114')이 구비된다. 상기 버튼(114')은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직접적으로 제어하거나, 작동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버튼(114') 상측에는 리모컨(도시되지 않음)의 신호를 리모컨수신부(114")가 구비된다.
상기 글라스지지판(150)의 테두리에는 다수의 브라켓(160,162,164,166)이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160,162,164,166)은 상기 강화유리판(120) 등이 상기 글라스지지판(15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글라스지지판(150)과 강화유리판(120)의 좌측 및 우측을 고정하기 위한 좌측브라켓(160) 및 우측브라켓(162) 그리고, 상기 글라스지지판(150)과 강화유리판(120)의 상단 및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상측브라켓(164) 및 하측브라켓(166)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및 글라스판넬유니트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기본적인 작용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작용과 동일하므로 전반적인 작동 상태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도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와 같이 냉방 또는 난방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기본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실내기(50)의 하반부 좌우를 통해서는 실내공간의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공기정화어셈블리(230)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열교환기(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열교환이 일어난 다음, 상기 토출구(222)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다시 토 출된다.
그리고,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는 상기 판넬힌지(102)를 축으로 시계방향(상방에서 볼 때)으로 회전하여 개방 가능하게 되며, 이때 상기 개방제어구(104)는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의 개방 정도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110)를 통해서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나 기타 정보가 외부로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2)를 통해 외부로 표시되는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116) 및 전체제어부(도시되지 않음)의 명령에 따르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에는 다양한 무늬가 화려하게 구현된다. 즉 상기 글라스지지판(150)의 전방에는 상기 강화유리판(120)과 상기 장식천(140)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강화유리판(120)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장식무늬(122,124)가 전사되어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장식무늬(122,124)와 상기 장식천(140)이 조화되어 다양한 색상과 무늬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면무늬(122)와 후면무늬(124)가 전체적으로 꽃무늬 형상을 가지도록 하거나, 이외에 별모양이나 다양한 다른 무늬를 가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면무늬(122)와,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무늬(124)는 서로 조화를 이루게 되어 입체감이 형성된다. 즉,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전후면에 형성되는 각각의 장식무늬(122,124)를 상기 실내기(50)의 전방 외부에서 바라보면, 서로 다른 거리감을 가 지게 되므로, 전체적으로는 꽃무늬가 입체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강화유리판(120)과 상기 글라스지지판(150) 사이에 장식천(140) 및 인쇄필름(130)이 동시에 구비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다른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상기 강화유리판(120)과 상기 글라스지지판(150) 사이에 장식천(140)만 구비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며, 이때에는 상기 장식천(140)의 크기는 상기 강화유리판(120)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게 될 것이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강화유리판(120) 등이 상기 글라스지지판(15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글라스지지판(150)의 테두리에 다수의 브라켓(160,162,164,166)을 구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브라켓(160,162,164,166)이 꼭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강화유리판(120)과 장식천(140) 및 인쇄필름(130) 그리고 상기 글라스지지판(150)이 접착제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하여, 상기와 같은 브라켓(160,162,164,166)을 사용하지 않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글라스판넬유니트에는, 강화유리판에 다양한 모양의 장식무늬가 전사되고, 이러한 강화유리판 후측에는 장식천 과 인쇄필름이 부착된다.
따라서, 장식천과 강화유리판의 장식무늬가 어우러져 다양한 이미지를 구현하게 되므로, 공기조화기의 외관이 수려해지는 장점이 있다. 즉 꽃무늬와 같은 화려한 장식무늬가 장식천과 더불어 입체감을 주는 동시에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창출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투명하게 형성되는 강화유리판과,
    상기 강화유리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장식천과,
    상기 강화유리판 일면에 부착되는 인쇄필름과,
    상기 강화유리판을 지지하는 글라스지지판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글라스판넬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유리판에는,
    장식무늬가 전사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글라스판넬유니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무늬는,
    상기 강화유리판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전사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글라스판넬유니트.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무늬는,
    상기 강화유리판의 전면에 전사되는 전면무늬와,
    상기 강화유리판의 후면에 전사되는 후면무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글라스판넬유니트.
  5. 투명하게 형성되는 강화유리판과,
    상기 강화유리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장식천과,
    상기 강화유리판을 지지하는 글라스지지판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강화유리판에는 장식무늬가 전사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글라스판넬유니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무늬는,
    상기 강화유리판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전사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글라스판넬유니트.
  7. 제 5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무늬는,
    상기 강화유리판의 전면에 전사되는 전면무늬와,
    상기 강화유리판의 후면에 전사되는 후면무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글라스판넬유니트.
KR1020070009905A 2007-01-31 2007-01-31 공기조화기의 글라스판넬유니트 KR100805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905A KR100805418B1 (ko) 2007-01-31 2007-01-31 공기조화기의 글라스판넬유니트
CN2008100002980A CN101235979B (zh) 2007-01-31 2008-01-30 空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905A KR100805418B1 (ko) 2007-01-31 2007-01-31 공기조화기의 글라스판넬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5418B1 true KR100805418B1 (ko) 2008-02-20

Family

ID=39382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905A KR100805418B1 (ko) 2007-01-31 2007-01-31 공기조화기의 글라스판넬유니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05418B1 (ko)
CN (1) CN10123597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9401A1 (en) * 2018-01-15 2019-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29052A (zh) * 2013-12-24 2015-06-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面板和空调器以及空调器前板的加工方法
CN104266267B (zh) * 2014-09-19 2017-03-08 南京创维家用电器有限公司 一种左右开门的空气净化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6333A (ko) 2003-03-07 2003-05-09 이종효 강화유리의 컬러/무늬 코팅방법
KR200334111Y1 (ko) * 2003-06-13 2003-11-21 주식회사 정암안전유리 무늬모양이 전사된 강화유리
KR20050008497A (ko) 2003-07-14 2005-01-21 젬트론 코포레이션 가전제품용 도어(do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6333A (ko) 2003-03-07 2003-05-09 이종효 강화유리의 컬러/무늬 코팅방법
KR200334111Y1 (ko) * 2003-06-13 2003-11-21 주식회사 정암안전유리 무늬모양이 전사된 강화유리
KR20050008497A (ko) 2003-07-14 2005-01-21 젬트론 코포레이션 가전제품용 도어(do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9401A1 (en) * 2018-01-15 2019-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US11022325B2 (en) 2018-01-15 2021-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35979B (zh) 2012-05-23
CN101235979A (zh) 200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5417B1 (ko) 공기조화기
ES2365042T3 (es) Elemento de pared de gran superficie para la decoración de interiores.
KR100805418B1 (ko) 공기조화기의 글라스판넬유니트
CN100549541C (zh) 空调器
JP7160521B2 (ja) 冷蔵庫
KR101466296B1 (ko) 공기조화기
CN207073866U (zh) 壁挂式空调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CN107355862A (zh) 壁挂式空调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KR101533315B1 (ko) 공기조화기
CN101865520A (zh) 一种家电产品的装饰面板
KR20020088803A (ko)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39518B1 (ko) 공기조화기
KR20090125543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N209229868U (zh) 一种空调器
CN207555939U (zh) 一种具有装饰件的柜式空调外壳
KR101503282B1 (ko) 공기조화기
KR20060081998A (ko) 공기 조화기
KR20070009344A (ko) 상태 표시 냉장고
CN218544593U (zh) 一种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210832243U (zh) 落地式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215062416U (zh) 空调器室内机以及具有其的空调器
CN208154609U (zh) 柜机
CN108518799A (zh) 空调部件及空调器
CN208920297U (zh) 立式空调室内机和具有其的空调器
KR100958394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