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921B1 -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 Google Patents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921B1
KR101313921B1 KR1020110068355A KR20110068355A KR101313921B1 KR 101313921 B1 KR101313921 B1 KR 101313921B1 KR 1020110068355 A KR1020110068355 A KR 1020110068355A KR 20110068355 A KR20110068355 A KR 20110068355A KR 101313921 B1 KR101313921 B1 KR 101313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b
attachment
coupled
bucket
b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7801A (ko
Inventor
이강창
Original Assignee
이강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창 filed Critical 이강창
Priority to KR1020110068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921B1/ko
Publication of KR20130007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13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grabbing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02F3/425Drive systems for dipper-arms, backho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1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with several digging elements or tools mounted on one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킷과 같은 어태치먼트에 삽입된 작업물이 작업장치의 움직임으로 인해 어태치먼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집게형태의 그래브를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 일체형으로 장착한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작업장치를 작업장치의 투붐이 투붐연결부에 결합된 제1결합장치 및 버킷 등의 어태치먼트와 체결되는 제2결합장치가 좌우대칭으로 형성되며, 좌우대칭으로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결합장치를 하나 이상의 연결핀에 의해 연결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장치의 외주면으로 돌출형성된 상기 투붐연결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버킷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형성된 그래브, 상기 그래브에 단부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그래브 구동핀 및 양단이 각각 상기 그래브의 타단부와 상기 제2결합장치의 상면에 결합되며, 로드가 신축함으로써 상기 그래브 구동핀을 힌지회전하도록 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작업장치의 투붐이 투붐연결부에 결합된 제1결합장치 및 버킷 등의 어태치먼트와 체결되는 제2결합장치가 좌우대칭으로 형성되며, 좌우대칭으로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결합장치를 하나 이상의 연결핀에 의해 연결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장치의 외주면으로 돌출형성된 상기 투붐연결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버킷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하며, 상부면에 유압실린더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그래브 및 단부가 상기 삽입홀에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결합장치의 상면에 결합되며, 로드가 신축함에 따라 상기 삽입홀 내에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그래브 구동핀을 힌지회전하도록 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Description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Attachment exchangeable device equipped with the grab}
본 발명은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킷과 같은 어태치먼트에 삽입된 작업물이 작업장치의 움직임으로 인해 어태치먼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집게형태의 그래브를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 일체형으로 장착한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라 함은 버킷을 부착하여 땅을 파거나 브레이커 등을 부착하여 암석과 같은 강한 지반을 분쇄할 때 사용하는 중장비로서, 필요에 따른 작업조건 및 환경에 따라 어태치먼트를 선택적으로 교환사용하게 되어 있다.
버킷에는 작업물을 신속히 수용하고 이를 안정되게 지지시킨 상태에서 이동시켜 줌으로써 이동 간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존의 굴삭기에 간단히 장착할 수 있고, 평상시 그 부피를 최소화하여 굴삭기의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며 유압을 통한 작동구조로 그 조작 및 사용이 편리한 보조집게가 설치될 수 있다.
종래 이러한 집게장치를 갖는 굴삭기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71738호에 공지된 바 있으며, 도 1에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집게장치를 갖는 굴삭기가 도시되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10)는 하방으로 점차 넓게 확대되고, 유압실린더(20)는 굴삭기의 유압컨트롤러(22)와 유압라인(21)으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이에, 집게(100)의 작동은 굴삭기에 장착된 유압컨트롤러(22)의 제어를 통해 이와 유압라인(21)으로 연결된 유압실린더(20)의 작동함으로써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집게(10)본체의 회전중심이 버킷에서 떨어져 있어서 버킷(30)의 조작과 집게(10)본체의 조작을 잘 맞추어야 하는 조작 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집게가 버킷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00-0021422호에 공지된 바 있으며, 도 2에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다용도 클램핑 버킷이 도시되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60)에 유압실린더(50)를 장착한 투붐 연결구를 형성하고, 이 투붐 연결구에 탈, 부착가능한 형태로 연결함으로써 유압실린더(50)의 움직임에 의해 집게(40)가 작동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버킷(60)의 회전중심이 가까운 한 곳에만 있어서 작은 작업물을 파지하기에는 무리가 없었지만 큰 작업물은 집는 각도가 커서 파지하기에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버킷에 작업물을 신속히 수용하고 이를 안정되게 지지시킨 상태에서 이동시켜 줌으로써 이동 간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또한, 그래브의 회전중심을 버킷이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 부착함으로써 버킷의 조작과 그래브의 조작을 잘 맞춰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기 위한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작업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작업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기존의 작업장치에 간단히 장착할 수 있고, 평상시 그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며 유압을 통한 작동구조로 그 조작 및 사용이 편리한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유압실린더를 붐대 또는 투붐(암)에 연결하는 것이 아닌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본체 내에 연결함으로써 그래브의 개방량을 더욱 확장하여 작업이 더욱 편리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작업장치를 작업장치의 투붐이 투붐연결부에 결합된 제1결합장치 및 버킷 등의 어태치먼트와 체결되는 제2결합장치가 좌우대칭으로 형성되며, 좌우대칭으로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결합장치를 하나 이상의 연결핀에 의해 연결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장치의 외주면으로 돌출형성된 상기 투붐연결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버킷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형성된 그래브, 상기 그래브에 단부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그래브 구동핀 및 양단이 각각 상기 그래브의 타단부와 상기 제2결합장치의 상면에 결합되며, 로드가 신축함으로써 상기 그래브 구동핀을 힌지회전하도록 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래브는 상기 투붐 및 상기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의 너비를 수용할 수 있도록 'Y'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래브, 상기 그래브 구동핀 및 상기 유압실린더는 좌우대칭으로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결합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한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래브 구동핀을 소정각도 이내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그래브 구동핀이 최대각도에 위치한 후 역회동을 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핀 지지부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킷과 상기 그래브가 맛닿는 부분에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마모방지부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기 투붐으로부터 연장된 유압라인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작업장치의 투붐이 투붐연결부에 결합된 제1결합장치 및 버킷 등의 어태치먼트와 체결되는 제2결합장치가 좌우대칭으로 형성되며, 좌우대칭으로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결합장치를 하나 이상의 연결핀에 의해 연결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장치의 외주면으로 돌출형성된 상기 투붐연결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버킷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하며, 상부면에 유압실린더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그래브 및 단부가 상기 삽입홀에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결합장치의 상면에 결합되며, 로드가 신축함에 따라 상기 삽입홀 내에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그래브 구동핀을 힌지회전하도록 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래브는 상기 투붐 및 상기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의 너비를 수용할 수 있도록 'Y'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래브 및 상기 유압실린더는 좌우대칭으로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결합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한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홀에 내장되며, 상기 유압실린더의 단부가 상기 삽입홀의 타단으로 이동하여 상기 그래브가 최대각도에 위치한 후 역회동을 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킷과 상기 그래브가 맛닿는 부분에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마모방지부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기 투붐으로부터 연장된 유압라인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버킷에 작업물을 신속히 수용하고 이를 안정되게 지지시킨 상태에서 이동시켜 줌으로써 이동 간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래브의 회전중심을 버킷이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 부착함으로써 버킷의 조작과 그래브의 조작을 잘 맞춰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작업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작업장치에 간단히 장착할 수 있고, 평상시 그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며 유압을 통한 작동구조로 그 조작 및 사용이 편리한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유압실린더를 붐대 또는 투붐(암)에 연결하는 것이 아닌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본체 내에 연결함으로써 그래브의 개방량을 더욱 확장하여 작업이 더욱 편리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집게장치를 갖는 굴삭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다용도 클램핑 버킷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서 그래브의 동작과정(1)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서 그래브의 동작과정(2)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서 그래브의 동작과정(3)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서 그래브의 움직임에 따른 그래브 구동핀의 움직임을 나타낸 부분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서 유압실린더의 움직임에 따른 탄성부재의 움직임을 나타낸 부분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의 측면도(a), 그래브의 평면도(b)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작업장치의 투붐(120)이 투붐연결부(110)에 결합된 제1결합장치(100) 및 버킷(210) 등의 어태치먼트와 체결되는 제2결합장치(200)가 좌우대칭으로 형성되며, 좌우대칭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결합장치(100, 200)를 하나 이상의 연결핀에 의해 연결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 있어서, 제1결합장치(100)의 외주면으로 돌출형성된 투붐연결부(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버킷(210)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형성된 그래브(130), 그래브(130)에 단부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그래브 구동핀(140) 및 양단이 각각 그래브(130)의 타단부와 제2결합장치(200)의 상면에 결합되며, 로드가 신축함으로써 그래브 구동핀(140)을 힌지회전하도록 하는 유압실린더(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유압실린더(220)는 투붐(120)으로부터 연장된 유압라인(221)에 연결되며, 유압실린더(220)의 로드가 신축함에따라 그래브(130)를 소정각도로 회동가능하게 함으로써 버킷(210)의 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이때, 그래브(130)가 소정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하도록 그래브(130)에 일측에는 그래브(130)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부재(141)를 포함하며, 지지부재(141)는 또한 그래브 구동핀이 최대각도로 뒤로 기울어지기 위하여 지렛대 역할을 함으로써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그래브(130)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서 그래브(130), 그래브 구동핀(140) 및 유압실린더(220)는 단일되게 구성될 수도 있지만, 좌우대칭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결합장치(100, 200)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버킷(210)과 그래브(130)가 맛닿는 버킷(210) 개구의 하부나 측면 또는 그래브(130)의 단부에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마모방지부재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마모방지부재는 유지와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줄 수 있다.
도 4, 도 5,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서 그래브의 동작과정(1), (2), (3)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브(130)는 도 4의 위치에서 유압실린더(220)의 로드가 연장됨에 따라 도 5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최대한 뒤로 기울어지게 된다. 또한, 도 6의 위치에 위치한 그래브(130)는 유압실린더(220)의 로드가 수축함으로써 (3)의 위치로 역회동하게 되며 버킷(210)의 입구를 폐쇄하게 된다.
이때, 그래브의 움직임에 따른 그래브 구동핀의 움직임을 나타낸 부분상세도는 도 7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의 위치에서 유압실린더(220)의 로드가 연장되어 그래브(130)가 최대각도로 기울어지게 되면 그래브 구동핀(14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b)의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a)의 위치에서 그래브 구동핀(140)은 지지부재(141)를 지렛대로써 지지하여 (b)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b)의 위치로부터 그래브 구동핀(140)은 유압실린더(220)가 수축되면서 버킷(210) 방향으로 역회동을 하여 (c)의 위치하게 되고, 이 후 그래브(130)가 버킷(210)의 입구를 폐쇄할 수 있도록 (d)의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장치의 투붐(120)이 투붐연결부(110)에 결합된 제1결합장치(100) 및 버킷(210) 등의 어태치먼트와 체결되는 제2결합장치(200)가 좌우대칭으로 형성되며, 좌우대칭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결합장치(100, 200)를 하나 이상의 연결핀에 의해 연결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 있어서, 제1결합장치(100)의 외주면으로 돌출형성된 투붐연결부(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버킷(210)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하며, 상부면에 유압실린더(220)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150)이 형성된 그래브(130) 및 단부가 삽입홀(150)에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고, 타단부가 제2결합장치(200)의 상면에 결합되며, 로드가 신축함에 따라 삽입홀(150) 내에서 이동함으로써 그래브(130)를 힌지회전하도록 하는 유압실린더(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유압실린더(220)는 투붐(120)으로부터 연장된 유압라인(221)에 연결되며, 유압실린더(220)의 로드가 신축함에따라 그래브(130)를 소정각도로 회동가능하게 함으로써 버킷(210)의 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이러한 그래브(130)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서 그래브(130), 삽입홀(150) 및 유압실린더(220)는 단일되게 구성될 수도 있지만, 좌우대칭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결합장치(100, 200)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버킷(210)과 그래브(130)가 맛닿는 버킷(210) 개구의 하부나 측면 또는 그래브(130)의 단부에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마모방지부재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마모방지부재는 유지와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서 유압실린더의 움직임에 따른 탄성부재의 움직임을 나타낸 부분상세도는 도 9와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220)의 로드가 연장되면 삽입홀(150) 내에 위치한 유압실린더(220)의 단부가 탄성부재(151)를 밀게 됨으로써 탄성부재(151)가 수축하게 되면서 그래브(130)가 뒤로 기울게 된다.
도 9에는 버킷(210)이 일부만 뒤로 기울어진 형태로 도시되었지만, 최대 각도까지 버킷(210)이 기울게 되면 그래브(130)가 투붐(120)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진 형태가 된다.
이때, 다시 유압실린더(220)의 로드가 수축되면 탄성부재(151)가 제자리로 회복되면서 그래브(130)가 버킷(210)을 폐쇄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9에서 지지부재(141) 및 탄성부재(151)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그래브(130)가 움직임을 수행하는데 지장은 없지만 그래브(130)의 움직임을 더욱 탄력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의 측면도(a), 그래브의 평면도(b)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에서 최대로 돌출된 부분에 도 10(b)의 상부가 체결되게 되는데,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브(130)는 최대각도로 뒤로 기울어졌을 때, 투붐(120) 및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의 너비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의 너비 이상, 하부는 투붐(120)의 너비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Y' 형태로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0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40 : 집게 20, 50 : 유압실린더
21 : 유압라인 22 : 유압컨트롤러
30, 60 : 버킷 100 : 제1결합장치
110 : 투붐연결부 120 : 투붐(암)
130 : 그래브 140 : 그래브 구동핀
141 : 지지부재 150 : 삽입홀
151 : 탄성부재 200 : 제2결합장치
210 : 버킷 220 : 유압실린더
221 : 유압라인

Claims (12)

  1. 작업장치의 투붐이 투붐연결부에 결합된 제1결합장치 및 버킷 등의 어태치먼트와 체결되는 제2결합장치가 좌우대칭으로 형성되며, 좌우대칭으로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결합장치를 하나 이상의 연결핀에 의해 연결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장치의 외주면으로 돌출형성된 상기 투붐연결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버킷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형성된 그래브;
    상기 그래브에 단부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그래브 구동핀; 및
    양단이 각각 상기 그래브의 구동핀과 상기 제2결합장치의 상면에 결합되며, 로드가 신축함으로써 상기 그래브 구동핀을 힌지회전하도록 하는 유압실린더
    를 포함하는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브는 상기 투붐 및 상기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의 너비를 수용할 수 있도록 'Y'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브, 상기 그래브 구동핀 및 상기 유압실린더는 좌우대칭으로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결합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브 구동핀을 소정각도 이내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그래브 구동핀이 최대각도에 위치한 후 역회동을 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핀 지지부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과 상기 그래브가 맛닿는 부분에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마모방지부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기 투붐으로부터 연장된 유압라인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7. 작업장치의 투붐이 투붐연결부에 결합된 제1결합장치 및 버킷 등의 어태치먼트와 체결되는 제2결합장치가 좌우대칭으로 형성되며, 좌우대칭으로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결합장치를 하나 이상의 연결핀에 의해 연결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장치의 외주면으로 돌출형성된 상기 투붐연결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버킷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하며, 상부면에 유압실린더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그래브; 및
    단부가 상기 삽입홀에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결합장치의 상면에 결합되며, 로드가 신축함에 따라 상기 삽입홀 내에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그래브를 힌지회전하도록 하는 유압실린더
    를 포함하는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브는 상기 투붐 및 상기 어태치먼트 교환장치의 너비를 수용할 수 있도록 'Y'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브 및 상기 유압실린더는 좌우대칭으로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결합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에 내장되며, 상기 유압실린더의 단부가 상기 삽입홀의 타단으로 이동하여 상기 그래브가 최대각도에 위치한 후 역회동을 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과 상기 그래브가 맛닿는 부분에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마모방지부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기 투붐으로부터 연장된 유압라인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KR1020110068355A 2011-07-11 2011-07-11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KR101313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355A KR101313921B1 (ko) 2011-07-11 2011-07-11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355A KR101313921B1 (ko) 2011-07-11 2011-07-11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801A KR20130007801A (ko) 2013-01-21
KR101313921B1 true KR101313921B1 (ko) 2013-10-01

Family

ID=47838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355A KR101313921B1 (ko) 2011-07-11 2011-07-11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9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165B1 (ko) * 2013-07-19 2014-09-22 김남규 클램프장착형 굴삭기용 집게장치
KR102513000B1 (ko) * 2021-01-21 2023-03-22 주식회사 더블유엔에스 미니 포크레인의 기계식 집게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5032A (ko) * 2001-07-23 2001-09-07 조성학 굴삭기 버켓용 보조핑거
KR200245906Y1 (ko) 2001-04-18 2001-10-11 정창열 굴삭기
KR100367944B1 (ko) 1994-02-09 2003-03-04 라우니스토, 아이리 푸쉬-풀조립체및푸쉬-풀조립체의푸쉬-풀자동접속을위한방법
JP2006077445A (ja) 2004-09-09 2006-03-23 Kenichi Ishimura バケットを利用した掴みフォークアタッチメン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944B1 (ko) 1994-02-09 2003-03-04 라우니스토, 아이리 푸쉬-풀조립체및푸쉬-풀조립체의푸쉬-풀자동접속을위한방법
KR200245906Y1 (ko) 2001-04-18 2001-10-11 정창열 굴삭기
KR20010085032A (ko) * 2001-07-23 2001-09-07 조성학 굴삭기 버켓용 보조핑거
JP2006077445A (ja) 2004-09-09 2006-03-23 Kenichi Ishimura バケットを利用した掴みフォークアタッチメ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801A (ko) 201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8459B2 (en) Coupler for excavators
US8020799B2 (en) Hydraulic crusher
US8007197B2 (en) Coupler device to connect bucket or tool to boom arm
US8662817B2 (en) Coupler with safety cam
GB2492850A (en) Hitch coupler
KR101313921B1 (ko) 그래브가 장착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WO2012162574A1 (en) Excavator thumb
US5621987A (en) Implement coupling assembly for excavator machines and the like
US3937515A (en) Head for pipe rackers
US8257009B2 (en) Dipper stick with implement coupling means
KR101488588B1 (ko)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
JP2006274725A (ja) 作業機械
KR101515562B1 (ko) 좌우굴절이 가능한 퀵 커플러
KR20110021425A (ko) 스톤그랩
KR101442165B1 (ko) 클램프장착형 굴삭기용 집게장치
KR101870713B1 (ko) 건설기계용 퀵 커플러 연결구조체
KR101394863B1 (ko) 버킷 체결용 집게 링크 장치
KR101437629B1 (ko) 굴삭기용 그래브와 그 구동장치
KR20160067458A (ko) 굴삭기 작업공구용 2중 안전장치 부착형 퀵커플러
CN110552390A (zh) 一种施工机械的工具更换器
KR101330620B1 (ko) 안전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KR101285073B1 (ko) 자동 안전핀을 구비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KR20090048151A (ko) 굴삭기용 작업기구 연결장치
EP2189578B1 (en) Accessory pushing implement for a convertible earthmoving machine
JP4488737B2 (ja) バックホーに使用する押しレ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