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742B1 - 감각신호출력장치 - Google Patents

감각신호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742B1
KR101313742B1 KR1020110128045A KR20110128045A KR101313742B1 KR 101313742 B1 KR101313742 B1 KR 101313742B1 KR 1020110128045 A KR1020110128045 A KR 1020110128045A KR 20110128045 A KR20110128045 A KR 20110128045A KR 101313742 B1 KR101313742 B1 KR 101313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ixed
signal output
output device
leaf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1793A (ko
Inventor
강윤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일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일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일전자
Priority to KR1020110128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742B1/ko
Priority to PCT/KR2012/004443 priority patent/WO2013069858A1/ko
Priority to GB1404618.9A priority patent/GB2508763A/en
Priority to US14/349,261 priority patent/US9380366B2/en
Priority to CN201610115550.7A priority patent/CN105611472A/zh
Priority to CN201280048051.0A priority patent/CN103999370B/zh
Publication of KR20130061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9/00Details of transducers of the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covered by H04R9/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9/024Manufacturing aspects of the magnetic circuit of loudspeaker or microphon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03Transducers capable of generating both sound as well as tactile vibration, e.g. as used in cellular 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각신호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피커ㆍ리시버ㆍ버저ㆍ진동체(바이브레이터, 선형모터 포함)와 같은 음향 또는 진동력을 출력시키는 감각신호출력장치를 스마트폰의 영상출력면과 같은 피고정대상물에 고정함에 있어, 부피나 면적의 증대없이 고정이 가능하게 하면서도 견고히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스(1) 내에 고정되는 판스프링(13)의 지지를 받으며, 외부의 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반응하여 기계적으로 진동하면서 진동력 또는 음향과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자기회로를 갖는 감각신호출력장치(10)에 있어서, 케이스(1) 내부에 판스프링(13)을 고정시키는 한편, 상기 케이스(1) 중 판스프링(13)을 고정시키는 부분을 관통하여, 케이스(1)와 대응되는 피고정대상물(g)의 면에 결합되면서, 상기 케이스(1)를 피고정대상물(g)에 대해 결합시키는 고정수단(16)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감각신호출력장치의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는 고정수단을 통해 피고정대상물에 대한 압착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감각신호출력장치의 고정과 관련하여 두께나 면적의 확보없이도 고정이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해, 감각신호출력장치가 적용되는 메인장치의 최소공간 내에서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감각신호출력장치{SENSORY SIGNAL OUTPUT APPARATUS}
본 발명은 감각신호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피커ㆍ리시버ㆍ버저ㆍ진동체(바이브레이터, 선형모터 포함)와 같은 음향 또는 진동력을 출력시키는 감각신호출력장치를 스마트폰의 영상출력면과 같은 피고정대상물에 고정함에 있어, 부피나 면적의 증대없이 고정이 가능하게 하면서도 견고히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각신호출력장치는 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음향을 출력시키거나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ㆍ리시버ㆍ버저ㆍ진동체(바이브레이터, 선형모터 포함)와 같은 음향 또는 진동력을 출력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감각신호출력장치는 요크와 요크 상면에 순차적으로 접착 또는 용접을 통해 적층 고정되는 마그네트 및 탑플레이트 사이 공극에 진동판 일측 면에 고정된 코일이 위치하여, 코일로 인가되는 교류 신호의 방향에 따라 공극에 형성되는 자속에 반응하여 요크와 마그네트 및 탑플레이트를 포함한 자기회로패키지 또는/및 코일과 진동판이 진동하면서 진동력 또는/및 음향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감각신호출력장치들 중 특히, 상기 자기회로패키지 및 중량체(자기회로패키지의 중량을 가중시켜 진동력을 증대시키는 웨이트블럭)를 포함한 진동체가 진동하면서 신호를 출력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O)들의 경우, 통상의 얇은 박판으로 이루어진 다이어프램(진동판)에 비해 중량이 무거워 진동시 강한 유동성을 동반하게 되며, 이러한 강한 유동성에 의해 고정구조가 와해될 수 있으므로, 견고한 고정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구조가 요구된다.
종래 감각신호출력장치의 고정 구조를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고정대상물(g)에 접착수단(a)을 통해 고정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접착구조는 진동판(코일 포함)이 진동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들에 비해 진동체의 중량이 매우 무겁기 때문에 수없이 많은 진동이 진행되는 동안, 떨림에 의해 접착수단(a)의 접착력이 저하되면서 상기 피고정대상물(g)로부터 감각신호출력장치(O)가 탈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진동체의 중량이 매우 무겁기 때문에 수없이 많은 진동이 진행되는 동안 접착구조를 지속적으로 자극하게 되고, 그로 인해, 접착수단(a)의 접착력이 저하되면서 상기 피고정대상물(g)로부터 감각신호출력장치(O)가 탈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브래킷(b)을 통한 나사 고정에 의해 극복할 수 있다. 즉, 감각신호출력장치(O)의 덮개 또는 케이스본체의 측면 방향으로 연장 마련된 브래킷(b)에 나사를 관통시켜 피고정대상물(g)에 조임 고정시킴으로써, 피고정대상물(g)에 대해 감각신호출력장치(O)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브래킷(g)을 통한 감각신호출력장치(O)의 고정은 감각신호출력장치(O)의 측면으로 연장 마련된 브래킷(g)이 위치할 수 있는 면적을 피고정대상물(g)로부터 넓게 확보하여야 하므로, 감각신호출력장치(O)가 적용되는 메인 장치의 크기를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스피커ㆍ리시버ㆍ버저ㆍ진동체(바이브레이터, 선형모터 포함)와 같은 음향 또는 진동력을 출력시키는 감각신호출력장치를 스마트폰의 영상출력면과 같은 피고정대상물에 고정함에 있어, 부피나 면적의 증대없이 고정이 가능하게 하면서도 견고히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스(1) 내에 고정되는 판스프링(13)의 지지를 받으며, 외부의 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반응하여 기계적으로 진동하면서 진동력 또는 음향과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자기회로를 갖는 감각신호출력장치(10)에 있어서, 케이스(1) 내부에 판스프링(13)을 고정시키는 한편, 상기 케이스(1) 중 판스프링(13)을 고정시키는 부분을 관통하여, 케이스(1)와 대응되는 피고정대상물(g)의 면에 결합되면서, 상기 케이스(1)를 피고정대상물(g)에 대해 결합시키는 고정수단(16)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1) 내에 고정되는 판스프링(13)의 지지를 받으며, 외부의 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반응하여 기계적으로 진동하면서 진동력 또는 음향과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자기회로를 갖는 감각신호출력장치(10)에 있어서, 케이스(1) 내부에 판스프링(13)을 고정시키는 한편, 피고정대상물(g) 및 피고정대상물(g)과 면접하는 케이스(1)의 중앙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판스프링(13)이 고정된 부분과 결합되면서, 상기 피고정대상물(g)에 대해 케이스(1)를 결합시키는 고정수단(16); 상기 피고정대상물(g)과 면접하는 면에 마련되어, 케이스(1)의 회동을 방지하는 스토퍼(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감각신호출력장치의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는 고정수단을 통해 피고정대상물에 대한 압착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감각신호출력장치의 고정과 관련하여 두께나 면적의 확보없이도 고정이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해, 감각신호출력장치가 적용되는 메인장치의 최소공간 내에서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감각신호출력장치를 고정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감각신호출력장치가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피고정대상물에 대한 고정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도 3의 A-A선 단면 부분)
도 6은 본 발명의 고정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타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피고정대상물에 대한 고정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타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피고정대상물에 대한 고정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타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피고정대상물에 대한 고정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성 내지는 구조적인 부분에 있어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 내에 고정되는 판스프링(13)의 지지를 받으며, 외부의 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반응하여 기계적으로 진동하면서 진동력 또는 음향과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자기회로를 갖는 감각신호출력장치(10)에 있어서, 케이스(1) 내부에 판스프링(13)을 고정시키는 한편, 상기 케이스(1) 중 판스프링(13)을 고정시키는 부분을 관통하여, 케이스(1)와 대응되는 피고정대상물(g)의 면에 결합되면서, 상기 케이스(1)를 피고정대상물(g)에 대해 결합시키는 고정수단(16)이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1) 내에 고정되는 판스프링(13)의 지지를 받으며, 외부의 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반응하여 기계적으로 진동하면서 진동력 또는 음향과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자기회로를 갖는 감각신호출력장치(10)에 있어서, 케이스(1) 내부에 판스프링(13)을 고정시키는 한편, 피고정대상물(g) 및 피고정대상물(g)과 면접하는 케이스(1)의 중앙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판스프링(13)이 고정된 부분과 결합되면서, 상기 피고정대상물(g)에 대해 케이스(1)를 결합시키는 고정수단(16); 상기 피고정대상물(g)과 면접하는 면에 마련되어, 케이스(1)의 회동을 방지하는 스토퍼(17);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인 상기 감각신호출력장치(10)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 주변에 형성되는 자속과 외부 신호원으로부터 코일로 입력되는 교번 전기신호가 반응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체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진동체는 리시버일 수 있다.
상기 감각신호출력장치(10)를 실시예적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중앙이 천공된 원형블럭으로 이루어진 중량체(11); 상기 중량체(11)의 상부면에 동심원을 가지며 공극(간격)을 두고 2개조가 마련되어, 자속을 형성하는 림(Rim) 타입의 마그네트적층체(12); 상기 중량체(11)와 마그네트적층체(12)를 구속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의 내측 바닥면에 대해 탄발 지지하는 판스프링(13); 상기 공극 사이에 위치하도록 케이스(1)의 덮개(2)에 마련되어, 외부의 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되는 교번 전기신호를 제공하여, 공극 내 자속과 반응을 통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코일(14);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중량체(11)는 요크(Yoke)로서, 텅스텐 재질의 블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적층체(12)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림 타입의 마그네트(12a) 일측 면(상부면)에 자력을 소정의 방향으로 집중시키는 탑플레이트(12b)가 적층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그네트적층체(12)는 림 타입으로 이루어지되, 직경이 서로 다른 2개조가 동일한 중심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된 것일 수도 있고, 단일의 마그네트적층체(12)와 공극 형성을 위해 내측 또는 외측에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요크(미도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13)은 리벳 고정되는 중앙부분에서부터 외곽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다수의 탄성암(Arm)과 탄성암 단부를 링 형태로 연결하면서 수직 절곡된 부분이 상기 중량체(11)와 마그네트적층체(12)를 감싸서 압착 고정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14)은 케이스(1)의 덮개(2) 부분에 접착고정된 원형의 코일이며, 전기신호가 인가되는 단말은 케이스(1) 외부로 유도되어 터미널을 통해 외부 신호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에서, 판스프링(13)의 중앙 부분은 리벳핀(15)이 관통되어 케이스(1)에 리벳을 통해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벳핀(15)은 판스프링(13)을 케이스(1) 내측 바닥면에 가압하는 헤드(15a); 상기 헤드(15a)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판스프링(13)과 케이스(1)를 관통하는 본체(15b); 상기 본체(15b)의 선단부 부분이 리벳되면서 확장되어, 케이스(1) 외측 바닥면에 대해 압착력을 제공하는 리벳부(15c); 상기 헤드(15a)에서 부터 본체(15b)를 따라 중앙에 수직으로 마련되어, 상기 고정수단(16)이 관통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관통공(15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감각신호출력장치(10)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전술하였듯이 음향과 진동이 동시에 발생되는 다기능 감각신호출력장치일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코일이 다이어프램(진동판)에 고정되어, 상기 중량체(11)와 마그네트적층체(12)의 중량 진동과 함께 다이어프램과 코일의 판상 진동이 동시에 발생 즉, 음향과 진동이 동시에 또는 교번신호의 주파수 대역 및 세기에 따라 각각 발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감각신호출력장치(10)들을 모두 나열하면서 설명할 수 없는 바, 전술한 실시예의 감각신호출력장치(10)를 적용하여 설명하고 도시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고정수단(16)은 케이스(1)의 중앙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피고정대상물(g)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 또는 나사와 같은 스크루일 수 있다.
상기에서, 고정수단(16)이 관통하는 케이스(1)의 중앙부분은 케이스(1) 그 자체의 중앙부분일 수도 있고, 상기 판스프링(13)을 관통하면서 케이스에 리벳 고정시키는 리벳핀(15)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그 중앙 부분일 수도 있으며, 덮개(2)의 중앙 부분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16)은 스크루가 케이스(1) 내측으로 인입되는 경로를 제공하도록 덮개(2)의 중앙에 마련되는 통공(2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16)은 리벳핀(15)과 상기 리벳핀(15) 중앙을 관통하는 스크루를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스토퍼(17)는 피고정대상물(g)과 면접하면서 고정되어질 케이스(1)의 하부면에 마련되어, 감각신호출력장치(10)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체는 양면테이프일 수 있으며, 탄발력(쿠션체)을 갖는 양면테이프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이 고정되어질 피고정대상물(g)은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일 수 있으며, 이중 특히, 영상신호를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창 또는 디스플레이창이 고정되는 메인장치 본체의 구조물일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인 감각신호출력장치(10)는 스마트폰의 내측에서부터 디스플레이창 또는 메인장치 본체의 구조물의 내측 면에 나사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상기 감각신호출력장치(10)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 주변에 형성되는 자속과 외부 신호원으로부터 코일로 입력되는 교번 전기신호가 반응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체로서 특히, 리시버일 수 있다.
상기, 감각신호출력장치(10)는 실시예적으로 중앙이 천공된 원형블럭으로 이루어진 중량체(11); 상기 중량체(11)의 상부면에 동심원을 가지며 공극(간격)을 두고 2개조가 마련되어, 자속을 형성하는 림(Rim) 타입의 마그네트적층체(12); 상기 중량체(11)와 마그네트적층체(12)를 구속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의 내측 바닥면에 대해 탄발 지지하는 판스프링(13); 상기 공극 사이에 위치하도록 케이스(1)의 덮개(2)에 마련되어, 외부의 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되는 교번 전기신호를 제공하여, 공극 내 자속과 반응을 통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코일(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감각신호출력장치(10)는 코일(14)로 교번되는 전기신호(주파수 신호)가 입력되면, 마그네트적층체(12) 사이의 공극에 형성된 자속과 반응하여,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판스프링(13)에 의해 탄발 지지된 중량체(11)와 마그네트적층체(12)가 진동하면서 음향 또는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인 감각신호출력장치(10)는 메인장치 예컨대, 스마트폰의 내부에 탑재되어 코일(14)로 입력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중량체(11)와 마그네트적층체(12)가 진동하면서 음향 또는 진동을 출력하게 되는데, 상기 중량체(11)와 마그네트적층체(12)는 통상의 얇은 박판으로 이루어진 다이어프램(진동판)에 비해 중량이 무거워 진동시 강한 유동성을 동반하게 된다.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강한 유동성에 의해 고정구조가 와해될 수 있으므로, 견고한 고정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구조가 요구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 하부면에 마련된 스토퍼(17) 즉, 양면테이프가 감각신호출력장치(10)를 피고정대상물(g)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덮개(2)에 형성된 통공(2a)을 통해 인서트되는 고정수단(16)이 케이스(1) 하부면 또는 리벳핀(15)을 관통하여 피고정대상물(g)에 대해 감각신호출력장치(10)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고정되는 본 발명은 접착체에 의한 고정에 비해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별도로 두께 또는 면적을 가지는 고정구조를 배제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감각신호출력장치의 케이스(1) 내부에 마련되는 고정수단(17)을 통해 피고정대상물에 대한 압착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감각신호출력장치의 고정과 관련하여 두께나 면적의 확보없이도 고정이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해, 감각신호출력장치가 적용되는 메인장치의 최소공간 내에서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스프링(13)을 케이스(1)에 고정시키는 리벳핀(15)은, 헤드(15a) 부분이 덮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운데 그 선단부의 직경이 확장되어 마그네트적층체(12)의 상향 유동 범위를 제한하는 유동제한부재(15e)가 마련되고, 연장된 중앙부분에는 고정수단(16)이 인서트되는 인서트경로(15f)가 수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동제한부재(15e)의 마그네트적층체(12)가 유동하면서 접하는 면에는 탄성체(쿠션체 자성유체)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중 상기 유동제한부재(15e)는 마그네트적층체(12)의 진동과정 또는 비 동작 상태에서 외압에 의해 마그네트적층체(12)가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마그네트적층체(12) 자체의 파손을 방지하는 한편, 판스프링(13)의 변형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인서트경로(15f)는 상기 고정수단(16)을 케이스(1) 내부로 인서트 시키는 과정에서 고정수단(16)이 여타 부위로 비뚤게 인서트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바르게 인서트 유도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첨부 도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16)이 케이스(1) 내부에서부터 관통하여 피고정대상물(g)에 고정시키는 구조가 아니라, 상기 고정수단(16)이 피고정대상물(g)을 관통하여 케이스(1)의 하부면 중앙 또는 리벳핀(15)을 관통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16)은 볼트 또는 나사일 수도 있으나, 선단부에 고정돌턱이 형성된 스냅결합핀일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감각신호출력장치 11 : 중량체
12 : 마그네트적층체 12a : 마그네트
12b : 탑플레이트 13 : 판스프링
14 : 코일 15 : 리벳핀
15a : 헤드 15b : 본체
15c : 리벳부 15d : 관통공
15e : 유동방지부재 15f : 인서트경로
16 : 고정수단 17 : 스토퍼
1 : 케이스 2 : 덮개
g : 피고정대상물

Claims (14)

  1. 케이스(1) 내에 고정되는 판스프링(13)의 지지를 받으며, 외부의 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반응하여 기계적으로 진동하면서 진동력 또는 음향과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자기회로를 갖는 감각신호출력장치(10)에 있어서,
    케이스(1) 내부에 판스프링(13)을 고정시키는 한편, 상기 케이스(1) 중 판스프링(13)을 고정시키는 부분을 관통하여, 케이스(1)와 대응되는 피고정대상물(g)의 면에 결합되면서, 상기 케이스(1)를 피고정대상물(g)에 대해 결합시키는 고정수단(16)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
  2. 케이스(1) 내에 고정되는 판스프링(13)의 지지를 받으며, 외부의 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반응하여 기계적으로 진동하면서 진동력 또는 음향과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자기회로를 갖는 감각신호출력장치(10)에 있어서,
    케이스(1) 내부에 판스프링(13)을 고정시키는 한편, 피고정대상물(g) 및 피고정대상물(g)과 면접하는 케이스(1)의 중앙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판스프링(13)이 고정된 부분과 결합되면서, 상기 피고정대상물(g)에 대해 케이스(1)를 결합시키는 고정수단(16); 상기 피고정대상물(g)과 면접하는 면에 마련되어, 케이스(1)의 회동을 방지하는 스토퍼(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
  3. 제1항 또는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각신호출력장치(10)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 주변에 형성되는 자속과 외부 신호원으로부터 코일로 입력되는 교번 전기신호가 반응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리시버임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
  4. 제1항 또는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각신호출력장치(10)는 중앙이 천공된 원형블럭으로 이루어진 중량체(11); 상기 중량체(11)의 상부면에 동심원을 가지며 공극을 두고 2개조가 마련되어, 자속을 형성하는 림 타입의 마그네트적층체(12); 상기 중량체(11)와 마그네트적층체(12)를 구속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의 내측 바닥면에 대해 탄발 지지하는 판스프링(13); 상기 공극 사이에 위치하도록 케이스(1)의 덮개(2)에 마련되어, 외부의 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되는 교번 전기신호를 제공하여, 공극 내 자속과 반응을 통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코일(14);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
  5. 제1항 또는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13)의 중앙 부분은 리벳핀(15)이 관통되어 케이스(1)에 리벳을 통해 결합 고정되어지되, 상기 리벳핀(15)은 판스프링(13)을 케이스(1) 내측 바닥면에 가압하는 헤드(15a); 상기 헤드(15a)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판스프링(13)과 케이스(1)를 관통하는 본체(15b); 상기 본체(15b)의 선단부 부분이 리벳되면서 확장되어, 케이스(1) 외측 바닥면에 대해 압착력을 제공하는 리벳부(15c); 상기 헤드(15a)에서 부터 본체(15b)를 따라 중앙에 수직으로 마련되어, 상기 고정수단(16)이 관통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관통공(15d);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
  6. 제1항 또는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6)은 케이스(1)의 중앙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피고정대상물(g)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 또는 나사임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
  7. 제1항 또는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6)이 관통하는 케이스(1)의 중앙부분은 케이스(1) 그 자체의 중앙부분 또는 상기 판스프링(13)을 관통하면서 케이스에 리벳 고정시키는 리벳핀(15)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그 중앙 부분 또는 덮개(2)의 중앙 부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
  8. 제1항 또는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6)은 고정수단(16)을 이루는 스크루가 케이스(1) 내측으로 인입되는 경로를 제공하도록 덮개(2)의 중앙에 마련되는 통공(2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
  9. 제1항 또는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6)은 리벳핀(15)과 상기 리벳핀(15) 중앙을 관통하는 스크루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7)는 피고정대상물(g)과 면접하면서 고정되어질 케이스(1)의 하부면에 마련되어, 감각신호출력장치(10)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양면테이프임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
  12. 제1항 또는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고정대상물(g)은 스마트폰의 영상신호를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창 또는 디스플레이창이 고정되는 메인장치의 본체 구조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
  13. 제1항 또는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13)의 중앙 부분은 리벳핀(15)이 관통되어 케이스(1)에 리벳을 통해 결합 고정되어지되, 상기 리벳핀(15)은 헤드(15a) 부분이 덮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운데 그 선단부의 직경이 확장되어 마그네트적층체(12)의 상향 유동 범위를 제한하는 유동제한부재(15e)가 마련되고, 연장된 중앙부분에는 고정수단(16)이 인서트되는 인서트경로(15f)가 수직으로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
  14. 제1항 또는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6)이 피고정대상물(g)을 관통하여 케이스(1)의 하부면 중앙 또는 리벳핀(15)을 관통하면서 피고정대상물(g)과 감각신호출력장치(10)의 케이스(1)를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
KR1020110128045A 2011-11-09 2011-12-02 감각신호출력장치 KR101313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045A KR101313742B1 (ko) 2011-12-02 2011-12-02 감각신호출력장치
PCT/KR2012/004443 WO2013069858A1 (ko) 2011-11-09 2012-06-05 시각 및 음향신호 출력이 가능한 모바일장치의 음향출력 메커니즘 및 음향처리수단의 고정구조
GB1404618.9A GB2508763A (en) 2011-11-09 2012-06-05 Securing structure of sound output mechanism and sound processing means of mobile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visual and sound signals
US14/349,261 US9380366B2 (en) 2011-11-09 2012-06-05 Securing structure of sound output mechanism and sound processing means of mobile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visual and sound signals
CN201610115550.7A CN105611472A (zh) 2011-11-09 2012-06-05 移动设备的声响处理单元固定结构
CN201280048051.0A CN103999370B (zh) 2011-11-09 2012-06-05 移动设备的声响输出构造及声响处理单元的固定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045A KR101313742B1 (ko) 2011-12-02 2011-12-02 감각신호출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793A KR20130061793A (ko) 2013-06-12
KR101313742B1 true KR101313742B1 (ko) 2013-10-14

Family

ID=48859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045A KR101313742B1 (ko) 2011-11-09 2011-12-02 감각신호출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7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480B1 (ko) * 2014-03-04 2016-03-07 주식회사 예일전자 골전도 출력장치의 고정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4406Y2 (ja) * 1992-01-14 1998-03-09 株式会社ケンウッド 車載用スピーカの取付構造
KR100842093B1 (ko) * 2007-03-14 2008-06-30 주식회사 예일전자 감각 신호 출력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4406Y2 (ja) * 1992-01-14 1998-03-09 株式会社ケンウッド 車載用スピーカの取付構造
KR100842093B1 (ko) * 2007-03-14 2008-06-30 주식회사 예일전자 감각 신호 출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793A (ko)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3805B2 (en) Piezoelectric ceramic dual-frequency earphone structure
US7961553B2 (en) Sensory signal output apparatus
JP6425101B2 (ja) 感覚信号出力装置
US9456280B2 (en) Electromagnetic transducer
EP2490461A2 (en) Acoustic transducer device
US9210511B2 (en) Micro-electroacoustic device
EP2475190A1 (en) Multifunctional micro-speaker
US9071909B2 (en) Electromagnetic transducer
US9774956B2 (en) Speaker
CN105828257A (zh) 扬声器
US9820068B2 (en) Micro speaker with capacitors formed by conductive cover and segmented diaphragm
US20160227308A1 (en) Sound Generator
KR101313742B1 (ko) 감각신호출력장치
US11115754B2 (en) Actuator
US20170289697A1 (en) Sound Generator
US9820066B2 (en) Micro speaker with capacitors formed by conductive cover and diaphragm
KR101101696B1 (ko) 듀얼 서스펜션 마이크로 스피커
KR101500308B1 (ko) 골전도 출력장치
KR100890220B1 (ko) 감각신호출력장치
KR101420320B1 (ko) 초박형 진동판 전면 구동 스피커
KR101545144B1 (ko) 골전도 출력장치
TWI487387B (zh) 多功能微型揚聲器(三)
KR101564216B1 (ko) 보이스코일 및 이를 사용한 스피커
US9826326B2 (en) Micro speaker with capacitors formed by conductive diaphragm and pole plate
KR101722527B1 (ko) 박형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