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144B1 - 골전도 출력장치 - Google Patents

골전도 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144B1
KR101545144B1 KR1020140021030A KR20140021030A KR101545144B1 KR 101545144 B1 KR101545144 B1 KR 101545144B1 KR 1020140021030 A KR1020140021030 A KR 1020140021030A KR 20140021030 A KR20140021030 A KR 20140021030A KR 101545144 B1 KR101545144 B1 KR 101545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enter
fixing means
magnetic circuit
leaf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윤규
김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일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일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일전자
Priority to KR1020140021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전도(骨傳導)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 및 자기회로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피고정대상에 고정시킴에 있어, 상기 케이스 중앙을 관통하여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고정이 이루어지는 중앙 부위에서 빈번한 진동에 의해 골전도 출력장치의 회동이 발생하여 고정구조가 와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진동 출력을 중앙 고정구조에 집중시켜 정확한 골전도 출력을 제공하는 한편, 간소한 고정구조로 이루어져 피고정대상에 고정되는 골전도 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골전도 출력장치{BONE CONDUCTION OUTPUT APPARATUS}
본 발명은 골전도(骨傳導)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 및 자기회로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피고정대상에 고정시킴에 있어, 상기 케이스 중앙을 관통하여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고정이 이루어지는 중앙 부위에서 빈번한 진동에 의해 골전도 출력장치의 회동이 발생하여 고정구조가 와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진동 출력을 중앙 고정구조에 집중시켜 정확한 골전도 출력을 제공하는 한편, 간소한 고정구조로 이루어져 피고정대상에 고정되는 골전도 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향 또는 진동 출력장치는 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음향을 출력시키거나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ㆍ리시버ㆍ버저ㆍ진동모터(바이브레이터)와 같은 음향 또는 진동력을 출력시키는 장치이며, 골전도(骨傳導) 출력장치도 이에 해당된다.
이러한 음향 또는 진동 출력장치는 크기와 용도에 따라 적용되는 분야가 매우 다양하다. 특히, 정보통신 산업의 성장에 부응하여 통신단말기의 진동호출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소형 음향 또는 진동 출력장치 특히, 소형 진동모터는 스마트폰을 포함한 터치스크린 폰이 인기를 끌면서 기존 회전식 진동모터의 기능을 뛰어 넘는 선형운동 진동모터 채용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종래의 진동모터는 진동체가 회전하면서 진동하는 타입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상기, 선형운동 진동모터가 스마트폰을 포함한 터치폰과 일반 휴대폰 등 휴대용 IT기기에 적용이 확대되고 있는 이유는 회전식 진동모터에 비해 응답속도가 빠르고 소음이 적으며, 제품 수명 또한 크게 개선되었기 때문이다.
상기의 응답속도는 최대 변위에서의 진동력의 50%에 도달할 때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며, 선형운동 진동모터를 채택하는 가장 큰 이유이다.
최근, 터치스크린 폰은 스마트폰으로 진화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기능들을 하며 그러한 기능들에 맞는 피드백 진동이 요구되는데,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종래의 선형운동 진동모터보다 응답속도 즉 반응속도가 더욱 빠른 진동모터가 요구되고 있다.
선형운동 진동모터는 브러쉬와 정류자를 사용하는 진동모터와는 구별되며, 선형운동 진동모터의 구동원리는 자기장 내에 놓여있는 도체는 일정방향으로 힘을 받는다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바탕을 두고 있다. 즉, AC교번신호를 고정된 코일에 인가하면, 코일은 전류의 방향과 세기 및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진동자인 마그네트를 운동시켜 진동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종래, 진동모터는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3)와 요크(3) 상면에 순차적으로 용접 또는 접착 또는 끼움 고정을 통해 적층 고정되는 마그네트(4) 및 탑플레이트(5)의 외주 방향 또는 내주 방향에 코일(6)이 간격(공극)을 두고 위치하여, 코일(6)로 인가되는 교류 신호의 방향에 따라 공극에 형성되는 자속에 반응하는 마그네트(4)와 탑플레이트(5 ; 기능 및 설계에 따라서는 요크 또는/ 및 중량체도 포함)를 포함한 자기회로가 진동하면서 진동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골전도 출력장치 또한 이와 같다.
이때, 상기 마그네트(3)와 탑플레이트(4)를 자기회로로 구분하며, 코일(6)을 진동유발부로 구분한다.
이러한 구조의 골전도 출력장치를 포함한 음향 또는 진동 출력장치는 통상 함체형 케이스(1)와 덮개(2) 내에 수용되며, 상기 마그네트(4)와 탑플레이트(5)가 안착 고정된 요크(6) 즉 자기회로를 별도의 판스프링(7)이 지지하면서 케이스(1)에 고정(예컨대, 리벳(8) 고정 또는 용접 고정 또는 케이스에 사출 고정)시켜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골전도 출력장치를 포함한 음향 또는 진동 출력장치는 피고정대상의 면에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접착 고정하거나 용접을 통해 고정하게 되므로, 빈번한 진동에 의해 쉽게 고정력이 와해되는 문제점 또는 고정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골전도 출력장치를 포함한 음향 또는 진동 출력장치는 접착면 전체로 진동 출력이 전달되면서 분산되므로, 선명한 음향 전달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케이스 중앙에 나사를 조여서 피고정대상에 결합 고정시키는 구조가 소개되었으나, 이러한 종래 고정구조에서는 빈번한 진동운동에 의해 골전도 출력장치에 회동이 발생하여 나사 결합 부위가 점차적으로 풀리면서 고정 구조가 와해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고정구조가 서서히 와해되는 가운데 출력전달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2차적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골전도 출력장치를 포함한 음향 또는 진동 출력장치의 선행 기술을 소개하는 문헌은 다음과 같으며, 이러한 문헌에 게재된 종래 기술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문헌1 :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06482호(출원번호 : 10-2005-7016399호(2005.09.02) ; 골전도장치)
문헌2 :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21102호(출원번호 : 10-2003-0059198호(2003.08.26) ;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스피커)
본 발명은 코일 및 자기회로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피고정대상에 고정시킴에 있어, 상기 케이스 중앙을 관통하여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고정이 이루어지는 중앙 부위에서 빈번한 진동에 의해 골전도 출력장치의 회동이 발생하여 고정구조가 와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진동 출력을 중앙 고정구조에 집중시켜 정확한 골전도 출력을 제공하는 한편, 간소한 고정구조로 이루어져 피고정대상에 고정되는 골전도 출력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스(11) 내에 탄발 지지된 자기회로(12)가 코일(13)로 인가되는 교류 신호의 방향에 따라 진동하면서 음향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골전도 출력장치(10)에 있어서, 피고정대상(1)에 마련된 상태에서 상기 골전도 출력장치의 케이스(11) 일측 면 중앙을 관통하는 블록체, 또는 상기 블록체와 블록체의 외부면에 빈번한 진동에 의해 상기 골전도 출력장치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동방지부재1(14a)가 마련된 제1고정수단(14); 상기 제1고정수단(14)의 관통부위를 제공하되, 상기 회동방지부재1(14a)에 대응하는 면접부위를 제공하는 회동방지부재2(11a)가 일측 면 중앙에 마련된 케이스(11); 상기 케이스(11)의 타측 면 중앙을 관통하여 제1고정수단(14) 선단부와의 결합력을 제공하여 케이스(11)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수단(15);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골전도 출력장치(10)를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피고정대상(1)의 면에 접착 고정하거나 용접을 통해 고정하지 않고, 피고정대상(1)의 면에 마련된 제1고정수단(14)이 케이스(11)의 일측 면을 관통하고, 제2고정수단(15)이 케이스(11)의 타측 면을 관통하여 상호 결합을 통해 고정이 이루어지므로, 빈번한 진동에 의해 쉽게 고정력이 와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발생의 주체인 자기회로를 지지하는 판스프링(12c)의 중앙 부분에 진동력이 집중되는데 이 부분에 제1고정수단(14)이 결합되어 있어, 진동력이 제1고정수단(14)을 따라서 피고정대상(1)에 집중되면서 전달되므로, 선명한 음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요크(12a)와 마그네트적층체(12b)로 이루어진 자기회로(12)가 진동시 강한 유동성을 동반하게 되므로, 이러한 유동성에 의해 제1고정수단(14)을 중심으로 골전도 출력장치(10)의 회동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제1고정수단(14)의 외부면에 회동방지부재1(14a)가 마련되고, 케이스(11) 일측 면 중앙에 상기 회동방지부재1(14a)에 대응되는 회동방지부재2(11a)가 마련되어 즉, 평면 대 평면으로 면접하면서 스토퍼 기능을 하여 회동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골전도 출력장치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1)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1)에 따른 구성과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1)에 따른 다른 구성과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실시예2)에 따른 구성과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실시예3)에 따른 구성과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실시예4)에 따른 구성과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실시예5)에 따른 구성과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실시예6)에 따른 구성과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구성은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 내에 탄발 지지된 자기회로(12)가 코일(13)로 인가되는 교류 신호의 방향에 따라 진동하면서 음향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골전도 출력장치(10)에 있어서, 피고정대상(1)에 마련된 상태에서 상기 골전도 출력장치의 케이스(11) 일측 면 중앙을 관통하는 블록체, 또는 상기 블록체와 블록체의 외부면에 빈번한 진동에 의해 상기 골전도 출력장치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동방지부재1(14a)가 마련된 제1고정수단(14); 상기 제1고정수단(14)의 관통부위를 제공하되, 상기 회동방지부재1(14a)에 대응하는 면접부위를 제공하는 회동방지부재2(11a)가 일측 면 중앙에 마련된 케이스(11); 상기 케이스(11)의 타측 면 중앙을 관통하여 제1고정수단(14) 선단부와의 결합력을 제공하여 케이스(11)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수단(15);을 포함하여서 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피고정대상(1)은 스마트폰ㆍ테블릿PC와 같은 모바일장치의 디스플레이창 또는 케이스일 수도 있고 글라스폰을 포함한 안경의 다리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케이스(11)는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함체로서, 케이스본체와 덮개로 구분될 수 있으며, 덮개는 케이스본체의 개방된 내주연에 안착되어 커링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11)의 일측 면 중앙에 마련되는 회동방지부재2(11a)는 회동방지부재1(14a)의 형상과 동일하게 관통된 상태로 케이스(11)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 돌출된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자기회로(12)는 중앙에 환형 돌턱이 형성되고, 돌턱의 선단 면에 진동시 케이스와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키면서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완충용 자성유체(12e)가 마련된 요크(12a); 상기 요크(12a)의 중앙 환형 돌턱과 간격을 두고 요크의 면에 안착되는 링 형상으로 된 마그네트(12b') 및 탑플레이트(1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도 3에 도시) 이때, 상기 자기회로(12)는 케이스(11)의 내부 일측 면에 중앙이 고정된 상태로 상기 요크(12a)와 마그네트(12b') 및 탑플레이트(12b")를 탄발지지하는 판스프링(12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회로(12)는 중앙이 관통된 요크(12a); 동심원을 가지며 간격을 두고 상기 요크(12a)의 일측 면에 한 쌍이 안착되어지되, 한 쌍의 마주하는 탑플레이트(12b")의 면에 진동시 케이스와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키면서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완충용 자성유체(12e')가 마련된 마그네트(12b')와 탑플레이트(1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도 4에 도시) 이때, 상기 자기회로(12)는 케이스(11)의 내부 일측 면에 중앙이 고정된 상태로 상기 요크(12a)와 마그네트(12b') 및 탑플레이트(12b")를 탄발지지하는 판스프링(12c)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12c)의 중앙 부분은 케이스(11)의 중앙을 관통하는 리벳(12d)에 의해 케이스(11)의 내부면에 압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12c)의 외주연은 상기 요크(12a)와 마그네트(12b') 및 탑플레이트(12b")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연장된 상태에서 커링을 통해 절곡되어, 상기 요크(12a)와 마그네트(12b') 및 탑플레이트(12b")를 가압 고정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서 내측에 위치하는 마그네트와 탑플레이트는 요크(12a)의 면에 접착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벳(12d)은 중앙이 관통되면서 "┗ ┛" 형상으로 단턱(12d')이 형성된 상태에서 양단 외경은 외측으로 절곡된 것일 수 있다.(상기 절곡된 부분 중 하나는 리벳 과정에서 가압에 의해 절곡된 것임)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코일(13)은 요크(12a)의 환형 돌턱과 마그네트(12b')의 사이 공극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제1고정수단(14)은 피고정대상(1)의 면에 용접 또는 접착 또는 나사 결합을 통해 고정된 보스(Boss)로서, 선단부에 제2고정수단(15)이 나사 결합되는 나사홈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고정수단(14)은 자기회로(12)를 케이스(11)에 탄발지지하는 판스프링(12c)의 중앙을 관통하여 케이스(11)에 고정시키는 리벳(12d)의 일측 면(예 :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연장된 것일 수도 있고, 케이스(11)의 중앙 통공이 위치하는 내부면에 밀착되도록 연장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수단(14)의 외부면에 마련되는 회동방지부재1(14a)은 제1고정수단(14)의 외부면 중 일부 구간이 평면체로 이루어져서 되거나, 다각형으로 이루어져서 되거나,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진 제1고정수단(14)의 외주면 일측 또는 양측에 돌턱이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제2고정수단(15)은 자기회로(12)를 케이스(11)에 탄발지지하는 판스프링(12c)의 중앙을 관통하여 케이스(11)에 고정시키는 리벳(12d)의 타측 면을 관통하여 제1고정수단(14)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나사일 수도 있고, 케이스(11)의 중앙 통공을 관통하여 제1고정수단(14)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나사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고정수단(15)인 나사의 헤드와 리벳(12d)의 일측 단 내경에 형성되는 단턱(12d') 사이 또는 제2고정수단(15)인 나사의 헤드와 케이스(11) 외부면 사이에 실리콘 또는 러버로 이루어진 링 또는 림과 같은 오차보상수단(16)이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오차보상수단(16)은 실리콘 도포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고정수단(15)의 고정이 이루어지고 난 후, 제2고정수단(15)인 나사의 헤드와 헤드가 접하는 면 부분에 견고한 고정을 위해 실리콘이 도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인 골전도 출력장치(10)는 코일(13)로 교번하는 전기신호(주파수 신호)가 입력되면, 마그네트(12b')와 탑플레이트(12b")로 이루어진 마그네트적층체(12b)와 요크(12a) 사이의 공극에 형성된 자속과 반응하여,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판스프링(12c)을 통해 탄발 지지된 자기회로(12)가 진동하면서 음향 또는 진동 또는 음향과 진동을 동시에 발생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인 감각신호출력장치(12)는 모바일장치 예컨대, 스마트폰의 내부에 탑재되어, 상기와 같이 코일(12d)로 입력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요크(12a)와 마그네트적층체(12b)로 이루어진 자기회로(12)가 진동하면서 음향 또는 진동을 출력하게 되는데, 상기 요크(12a)와 마그네트적층체(12b)로 이루어진 자기회로(12)가 진동시 강한 유동성을 동반하게 된다.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강한 유동성에 의해 제1고정수단(14)을 중심으로 골전도 출력장치(10)의 회동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제1고정수단(14)의 외부면에 회동방지부재1(14a)가 마련되고, 케이스(11) 일측 면 중앙에 상기 회동방지부재1(14a)에 대응되는 회동방지부재2(11a)가 마련되어 즉, 평면 대 평면으로 면접하면서 스토퍼 기능을 하게 되어, 회동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하는 자기회로(12) 중 요크(12a)의 환형 돌턱의 선단 면에 자성유체(12e)가 마련되어 있어, 진동 시 자기회로(12)가 케이스(11)에 충돌하면서 잡음이 발생하거나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골전도 출력장치(10)를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피고정대상(1)의 면에 접착 고정하거나 용접을 통해 고정하지 않고, 피고정대상(1)의 면에 마련된 제1고정수단(14)이 케이스(11)의 일측 면을 관통하고, 제2고정수단(15)이 케이스(11)의 타측 면을 관통하여 상호 결합을 통해 고정이 이루어지므로, 빈번한 진동에 의해 쉽게 고정력이 와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발생의 주체인 자기회로를 지지하는 판스프링(12c)의 중앙 부분에 진동력이 집중되는데 이 부분에 제1고정수단(14)이 결합되어 있어, 진동력이 제1고정수단(14)을 따라서 피고정대상(1)에 집중되면서 전달되므로, 선명한 음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실시예2)를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 내에 탄발 지지된 자기회로(12)가 코일(13)로 인가되는 교류 신호의 방향에 따라 진동하면서 음향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골전도 출력장치(10)에 있어서, 피고정대상(1)에 마련된 상태에서, 선단부에 쐐기형 돌턱이 형성되면서 중앙이 절결된 탄발걸림턱(14b)이 마련되어, 케이스(11)의 타측 면 중앙 통공을 관통하여 케이스(11)에 대해 직접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고정수단(14); 양측 면 중앙에 상기 제1고정수단(14)의 관통부위가 마련된 케이스(11);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탄발걸림턱(14b)과 케이스(11) 사이에는 실리콘 또는 러버로 이루어진 링 또는 림과 같은 오차보상수단(16)이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2고정수단(15) 없이도 제1고정수단(14)의 선단에 마련된 탄발걸림턱(14b)이 케이스(11)의 일측 면(상부면)을 관통한 상태에서 걸림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고정수단(15)을 구성요소에서 배제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조원가를 절감시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수단(14)의 선단부에 마련된 탄발걸림턱(14b) 부분이 케이스(11)의 상부면으로 돌출되는데, 이때, 골전도 출력장치(10) 또는 제1고정수단인 보스의 제조상 공차에 따라 상기 제1고정수단(14)의 탄발걸림턱(14b) 부분이 케이스(11) 상부면으로 돌출되는 정도가 달라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고정수단(14)의 탄발걸림턱(14b)이 위치하는 부분에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상기 오차보상수단(16)이 탄력적으로 적응하면서 오차를 보상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실시예3)를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수단(14)은 자기회로(12)를 케이스(11)에 탄발지지하는 판스프링(12c)의 중앙을 관통하여 케이스(11)에 고정시키는 리벳(12d)의 일측 단 내경에 마련된 단턱(12d')을 관통하여 단턱(12d') 상부면과 동일하거나, 상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연장된 것일 수도 있고, 케이스(11)의 중앙 통공이 위치하는 내부면에 밀착되도록 연장된 것일 수도 있고, 상기 제2고정수단(15)은 자기회로(12)를 케이스(11)에 탄발지지하는 판스프링(12c)의 중앙을 관통하여 케이스(11)에 고정시키는 리벳(12d)의 타측 면을 관통하여 제1고정수단(14)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나사일 수도 있고, 케이스(11)의 중앙 통공을 관통하여 제1고정수단(14)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나사일 수도 있으며, 상기 제2고정수단(15)인 나사의 헤드와 리벳(12d)의 일측 단 내경에 형성되는 단턱(12d') 사이 또는 제2고정수단(15)인 나사의 헤드와 케이스(11) 외부면 사이에 실리콘 또는 러버로 이루어진 링 또는 림과 같은 오차보상수단(16)이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오차보상수단(16)은 실리콘 도포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1고정수단(14)의 선단부가 리벳(12d)의 단턱(12d') 상부면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제2고정수단(15)과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골전도 출력장치(10) 또는 제1고정수단인 보스의 제조상 공차에 따라 상기 제1고정수단(14)이 리벳(12d)의 단턱(12d') 상부면으로 돌출되는 정도가 달라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1고정수단(14)의 선단부가 위치하는 부분에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상기 오차보상수단(16)이 탄력적으로 적응하면서 오차를 보상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실시예4)를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 내에 탄발 지지된 자기회로(12)가 코일(13)로 인가되는 교류 신호의 방향에 따라 진동하면서 음향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골전도 출력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12)를 탄발지지하도록 케이스(11)의 일측 내부면 중앙에 중앙이 면접된 상태로 위치하는 판스프링(12c); 피고정대상(1)에 마련된 상태에서, 상기 골전도 출력장치의 케이스(11) 일측 면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판스프링(12c) 중앙을 케이스(11)의 면에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제1고정수단(14); 상기 케이스(11)의 타측 면 중앙과 판스프링(12c)을 관통하여 제1고정수단(14) 선단부와의 결합력을 제공하여 케이스(11)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수단(15);을 포함하여서 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11)의 내면과 접하는 판스프링(12c)의 중앙면에는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케이스(11)에 접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판스프링(12c)을 케이스(11) 내부면에 고정시키는 리벳(12d)을 구성요소에서 배제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조원가를 절감시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실시예5)를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 내에 탄발 지지된 자기회로(12)가 코일(13)로 인가되는 교류 신호의 방향에 따라 진동하면서 음향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골전도 출력장치(10)에 있어서, 피고정대상(1)에 마련된 상태에서, 상기 골전도 출력장치의 케이스(11) 일측 면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11)의 타측 면 중앙을 관통하거나, 상기 케이스(11)의 타측 면에 자기회로(12)를 탄발지지하는 판스프링(12c)을 고정시키는 리벳(12d)의 중앙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시키도록 선단부에 나사탭(14c)이 마련된 제1고정수단(14); 상기 케이스(11)의 타측 면 중앙의 내주면 또는 상기 리벳(12d)의 중앙의 내주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1고정수단(14) 선단부의 나사탭(14c)과 나사 결합부위를 제공하는 나사결합부(17);를 포함하여서 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고정수단(14)의 선단부에 마련된 나사탭(14c)이 결합된 나사결합부(17)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견고한 고정을 유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수단(14)의 나사탭(14c) 부분이 케이스(11) 또는 리벳(12d)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너트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2고정수단(15)과 리벳(12d)을 구성요소에서 모두 배제시킬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제조원가를 절감시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끝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실시예6)를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 내에 탄발 지지된 자기회로(12)가 코일(13)로 인가되는 교류 신호의 방향에 따라 진동하면서 음향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골전도 출력장치(10)에 있어서, 피고정대상(1)에 마련된 상태에서, 상기 골전도 출력장치의 케이스(11) 일측 면 중앙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시키도록 외주면에 나사탭(14c)이 마련된 제1고정수단(14); 상기 케이스(11)의 일측 면 중앙의 환턱 내주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1고정수단(14)의 나사탭(14c)과 나사 결합부위를 제공하는 나사결합부(17);를 포함하여서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2고정수단(15)과 리벳(12d)을 구성요소에서 모두 배제시킬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제조원가를 절감시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골전도 출력장치 11 : 케이스
11a : 회동방지부재2 12 : 자기회로
12a : 요크 12b : 마그네트 적층체
12c : 판스프링 12d : 리벳
13 : 코일 14 : 제1고정수단
14a : 회동방지부재1 14b : 탄발걸림턱
14c : 나사탭 15 : 제2고정수단
16 : 오차보상수단 17 : 나사결합부

Claims (19)

  1. 케이스(11) 내에 탄발 지지된 자기회로(12)가 코일(13)로 인가되는 교류 신호의 방향에 따라 진동하면서 음향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골전도 출력장치(10)에 있어서,
    피고정대상(1)에 마련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1) 일측 면 중앙을 관통하는 블록체로 이루어지되, 골전도 출력장치(10)의 빈번한 진동에 의해 상기 케이스(11)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부면에 회동방지부재1(14a)가 마련된 제1고정수단(14);
    상기 제1고정수단(14)의 관통부위를 제공하되, 상기 회동방지부재1(14a)에 대응하는 면접부위를 제공하는 회동방지부재2(11a)가 일측 면 중앙에 마련된 케이스(11);
    상기 케이스(11)의 타측 면 중앙을 관통하여 제1고정수단(14) 선단부와의 결합력을 제공하여 케이스(11)를 피고정대상(1)에 가압 고정시키는 제2고정수단(1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출력장치.
  2. 케이스(11) 내에 탄발 지지된 자기회로(12)가 코일(13)로 인가되는 교류 신호의 방향에 따라 진동하면서 음향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골전도 출력장치(10)에 있어서,
    피고정대상(1)에 마련된 상태에서, 케이스(11)의 일측 면 중앙에 마련되는 회동방지부재2(11a)를 관통하되, 상기 케이스(11)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부면에 상기 회동방지부재2(11a)에 대응하는 회동방지부재1(14a)가 마련되고, 선단부는 상기 케이스(11)의 타측 면을 관통하여 케이스(11)의 관통부위를 가압하면서 걸려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선단부에 쐐기형 돌턱이 형성되면서 중앙이 절결된 탄발걸림턱(14b)이 마련된 제1고정수단(14);
    일측 면 중앙에 상기 제1고정수단(14)의 관통부위를 제공하면서 회동방지부재1(14a)에 대응하는 면접부위를 제공하는 회동방지부재2(11a)가 마련된 케이스(1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출력장치.
  3. 케이스(11) 내에 탄발 지지된 자기회로(12)가 코일(13)로 인가되는 교류 신호의 방향에 따라 진동하면서 음향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골전도 출력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12)를 탄발지지하도록 케이스(11)의 일측 내부면 중앙에 중앙이 면접된 상태로 위치하는 판스프링(12c);
    피고정대상(1)에 마련된 상태에서, 케이스(11) 일측 면 중앙에 마련되는 회동방지부재2(11a)를 관통하되, 상기 케이스(11)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부면에 상기 회동방지부재2(11a)에 대응하는 회동방지부재1(14a)이 마련되고, 선단부는 상기 판스프링(12c)의 중앙을 케이스(11)에 가압 밀착시키는 제1고정수단(14);
    상기 케이스(11)의 타측 면 중앙과 판스프링(12c)을 관통하여 제1고정수단(14) 선단부와의 결합력을 제공하여 케이스(11)를 피고정대상(1)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케이스(11)에 판스프링(12c)을 고정시키는 제2고정수단(1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출력장치.
  4. 케이스(11) 내에 탄발 지지된 자기회로(12)가 코일(13)로 인가되는 교류 신호의 방향에 따라 진동하면서 음향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골전도 출력장치(10)에 있어서,
    피고정대상(1)에 마련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1) 일측 면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11)의 타측 면을 관통하거나, 상기 케이스(11)의 타측 면에 자기회로를 탄발지지하는 판스프링(12c)을 케이스에(11)에 고정시키도록, 케이스(11)와 판스프링(12c)을 관통한 리벳(12d)의 일측 면에 밀착된 상태 또는 리벳(12d)의 중앙을 관통한 상태에서 나사 결합되도록, 선단부에 나사탭(14c)이 마련된 제1고정수단(14);
    상기 케이스(11)의 타측 면 중앙의 관통된 내주면 또는 상기 리벳(12d) 중앙의 관통된 내주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1고정수단(14) 선단부의 나사탭(14c)과 나사 결합부위를 제공하는 나사결합부(1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출력장치.
  5. 삭제
  6. 제 1항 또는 2항 또는 3항 또는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12)는 중앙에 환형 돌턱이 형성되고, 돌턱의 선단 면에 진동시 케이스(11)와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키면서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완충용 자성유체(12e)가 마련된 요크(12a);
    상기 요크(12a)의 중앙 환형 돌턱과 간격을 두고 요크의 면에 안착되는 링 형상으로 된 마그네트(12b') 및 탑플레이트(12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출력장치.
  7. 제 1항 또는 2항 또는 3항 또는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12)는 중앙이 관통된 요크(12a);
    동심원을 가지며 간격을 두고 상기 요크(12a)의 일측 면에 한 쌍이 안착되어지되, 한 쌍의 마주하는 탑플레이트(12b")의 면에 진동시 케이스(11)와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키면서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완충용 자성유체(12e')가 마련된 마그네트(12b')와 탑플레이트(12b");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출력장치.
  8. 제 1항 또는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12)는 케이스(11)의 내부 타측 면 중앙에 고정되는 판스프링(12c)에 의해 탄발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출력장치.
  9. 제 3항 또는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12c)의 외주연은 요크(12a)와 마그네트(12b') 및 탑플레이트(12b")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자기회로(1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연장된 상태에서 커링을 통해 절곡되어 자기회로(12) 적층체를 가압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출력장치.
  10.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12c)의 외주연은 요크(12a)와 마그네트(12b') 및 탑플레이트(12b")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자기회로(1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연장된 상태에서 커링을 통해 절곡되어 자기회로(12) 적층체를 가압 고정시키되, 상기 리벳(12d)은 중앙이 관통되면서 "┗ ┛" 형상으로 단턱(12d')이 형성된 상태에서 양단 외경은 외측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출력장치.
  11. 삭제
  12. 제 1항 또는 2항 또는 3항 또는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수단(14)은 피고정대상(1)의 면에 용접 또는 접착 또는 나사 결합을 통해 고정된 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출력장치.
  13. 삭제
  14. 제 1항 또는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수단(14)은 케이스(11)와 판스프링(12c)의 중앙을 관통하여 판스프링(12c)을 케이스(11)에 고정시키는 리벳(12d)의 일측 단 내경에 마련된 단턱(12d')을 관통하여 단턱(12d') 상부면과 동일하거나, 상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출력장치.
  15. 제 1항 또는 2항 또는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수단의 외부면에 마련되는 회동방지부재1(14a)은 제1고정수단(14)의 외부면 중 일부 구간이 평면체로 이루어져서 되거나, 다각형으로 이루어져서 되거나,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진 제1고정수단(14)의 외주면 일측 또는 양측에 돌턱이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출력장치.
  16. 제 1항 또는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수단(15)은 케이스(11)의 중앙 및 자기회로(12)를 케이스(11)에 탄발지지하는 판스프링(12c)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판스프링(12c)을 케이스(11)에 고정시키는 리벳(12d)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11) 또는 리벳(12d)에 밀착되는 제1고정수단(14)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출력장치.
  17. 제 1항 또는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수단(15)은 케이스(11)의 중앙 및 자기회로(12)를 케이스(11)에 탄발지지하는 판스프링(12c)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판스프링(12c)에 밀착되는 제1고정수단(14)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출력장치.
  18. 제 1항 또는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수단(15)은 케이스(11)의 중앙 및 자기회로(12)를 케이스(11)에 탄발지지하는 판스프링(12c)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판스프링(12c)을 케이스(11)에 고정시키는 리벳(12d)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리벳(12d)에 밀착되는 제1고정수단(14)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나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고정수단(15)의 헤드와 리벳(12d)의 일측 단 내경에 형성되는 단턱(12d') 사이에 실리콘 또는 러버로 이루어진 링 또는 림과 같은 오차보상수단(16)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출력장치.
  19. 제 1항 또는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수단(15)은 케이스(11)의 중앙 및 자기회로(12)를 케이스(11)에 탄발지지하는 판스프링(12c)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판스프링(12c)에 밀착되는 제1고정수단(14)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나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고정수단(15)의 헤드와 케이스(11) 사이에 실리콘 또는 러버로 이루어진 링 또는 림과 같은 오차보상수단(16)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출력장치.
KR1020140021030A 2014-02-24 2014-02-24 골전도 출력장치 KR101545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030A KR101545144B1 (ko) 2014-02-24 2014-02-24 골전도 출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030A KR101545144B1 (ko) 2014-02-24 2014-02-24 골전도 출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144B1 true KR101545144B1 (ko) 2015-08-19

Family

ID=54061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030A KR101545144B1 (ko) 2014-02-24 2014-02-24 골전도 출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1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57686A (zh) * 2018-02-21 2019-01-22 天津富禄通信技术有限公司 提供声音输出和振动功能的扬声器组件
KR20210034420A (ko) 2019-09-20 2021-03-30 (주)파트론 진동 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9480A (ja) 2000-12-27 2002-07-12 Temuko Japan:Kk 骨導スピー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9480A (ja) 2000-12-27 2002-07-12 Temuko Japan:Kk 骨導スピー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57686A (zh) * 2018-02-21 2019-01-22 天津富禄通信技术有限公司 提供声音输出和振动功能的扬声器组件
KR20210034420A (ko) 2019-09-20 2021-03-30 (주)파트론 진동 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7500B1 (ko) 감각신호출력장치
KR101514677B1 (ko) 골전도 출력장치
KR100824436B1 (ko) 전자음향변환기의 진동판 및 그 진동판을 갖는전자음향변환기
US9210511B2 (en) Micro-electroacoustic device
US9071909B2 (en) Electromagnetic transducer
KR100894656B1 (ko) 감각신호출력장치
US20180048962A1 (en) Vibration output apparatu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vibration output apparatus
US20140301579A1 (en) Vibrating acoustic device
KR101545144B1 (ko) 골전도 출력장치
KR101570366B1 (ko) 감각신호출력장치
US9237390B2 (en) Electromagnetic transducer
US20180020304A1 (en) Loudspeaker
US20180020303A1 (en) Loudspeaker
KR101500308B1 (ko) 골전도 출력장치
KR20170131332A (ko) 진동 출력 장치 및 진동을 출력하는 휴대 전자 기기
CN111200773B (zh) 致动器
US8395286B2 (en) Linear vibrator
KR101600480B1 (ko) 골전도 출력장치의 고정구조
KR102130920B1 (ko) 진동자
KR102252025B1 (ko)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
KR101313742B1 (ko) 감각신호출력장치
KR20160102658A (ko) 선형 진동모터
KR101622578B1 (ko) 감각신호출력장치
KR102214664B1 (ko)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
KR100999108B1 (ko) 감각신호출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