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479B1 -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따른 피드백 제공을 위한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따른 피드백 제공을 위한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479B1
KR101311479B1 KR1020060117860A KR20060117860A KR101311479B1 KR 101311479 B1 KR101311479 B1 KR 101311479B1 KR 1020060117860 A KR1020060117860 A KR 1020060117860A KR 20060117860 A KR20060117860 A KR 20060117860A KR 101311479 B1 KR101311479 B1 KR 101311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back
feedback unit
movement
control objec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7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7876A (ko
Inventor
정한철
김남우
김현진
김창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7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479B1/ko
Publication of KR20080047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7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따른 피드백 제공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소정의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홀 내에서 움직이는 피드백 유닛을 포함한다.
피드백, 제어, 객체, 어플리케이션

Description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따른 피드백 제공을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eedback corresponding to movement of a controlled obj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유닛과 전자석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유닛과 전자석의 배치 구조를 나 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구조를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사용자가 파지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전면 및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사용자가 파지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1에 도시된 호스트 장치의 피드백 처리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나타낸 사시 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10 : 어플리케이션 처리부 1120 : 출력부
1130 : 피드백 처리부 1140 : 인터페이스부
1150 : 입력부 1160 : 호스트 연결부
1170 : 제어부
본 발명은 피드백 제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따른 피드백 제공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의 보급이 증대되고 있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이용시 보다 높은 현실감을 느끼기를 원하며, 3D 입체 영상이나 다채널 서라운딩 음향과 같은 기술이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등장해왔다.
그런데 최근에는 인간의 시각 및 청각적 자극에 그치지 않고 인간의 촉각을 이용한 정보 전달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그 중 한가지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이용 시 사용자와 인터페이스를 이루는 전자 및 기계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그 중 한가지 방법이다. 예를 들어, 비디오 게임 콘솔에서 캐릭터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이 패드에 진동기를 장착하여, 캐릭터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조이 패드를 진동시키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공지의 다양한 피드백 기술에도 불구하고, 게임과 같은 미디어에서 사용자의 몰입감 및 실제감을 증강시킬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피드백 기술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미디어에 대한 실제감을 증가시킬 수 있는 피드백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소정의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홀 내에서 움직이는 피드백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소정의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홀 내에서 움직이는 피드백 유닛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어하며, 소정의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피드백 처리부, 및 상기 제공된 피드백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피드백 유닛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가력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가이드 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소정의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홀 내에서 움직이는 피드백 유닛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소정의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피드백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피드백 유닛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가력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소정의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홀 내에서 움직이는 피드백 유닛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와 연동되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소정의 제어 객체를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 처리부, 및 상기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피드백 유닛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피드백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가이드 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소정의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홀 내에서 움직이는 피드백 유닛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와 연동되는 호스트 장치의 피드백 정보 제공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소정의 제어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피드백 유닛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소정의 제어 객체를 생성하는 호스트 장치, 및 가이드 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홀 내에서 움직이는 피드백 유닛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시스템(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엔터테인먼트 시스템(100)은 호스트 장치(11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 치(120), 및 디스플레이 장치(130)를 포함한다.
호스트 장치(110)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디바이스이다. 호스트 장치(110)의 일 예로서 컴퓨터, 셋탑박스, 게임 콘솔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호스트 장치(110)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가상 현실을 구현하고, 가상 현실에 존재하는 객체(예를 들어, 캐릭터, 아바타, 기타 물체 등)들의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예로서 비디오 게임, 온라인 게임, 시뮬레이션 등을 들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호스트 장치(110)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110)가 비디오 게임을 실행 중이라면,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비디오 게임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CRT(Cathode-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물론, 디스플레이 장치(130)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는 버튼이나 조이스틱과 같은 입력 툴(tool)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입력 툴을 조작함에 따라서 그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디바이스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가 발생시킨 입력 신호는 호스트 장치(110)로 전송되고, 호스트 장치(110)는 전송된 입력 신호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 이스 장치(120)에 구비된 방향 버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으로 인해 생성된 객체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를 통해서 사용자가 그 움직임을 직접 제어하게 되는 객체를 제어 객체(controlled object)라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는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일 실시예로서 조이 패드(joy pad), 게임 패드, 원격 제어기 등을 들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와 호스트 장치(11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는 상/하/좌/우 네 가지 방향을 각각 제어할 수 있는 방향 버튼(210), 적어도 하나의 기능 버튼(220), 및 하우징(housing, 230)을 포함한다. 물론,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는 방향 버튼(210)과 기능 버튼(220) 중에서 어느 하나만 포함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버튼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는 조이스틱이나 방향 패드를 포함할 수도 있고, 기타 다른 종류의 입력 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는 구비되는 입력 툴의 종류나 개수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는 피드백 유닛을 포함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에 포함된 피드백 유닛(도시되지 않음)은 방 향 버튼(210)의 하부에 위치한다. 피드백 유닛은 하우징(230)과 가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가동적으로 연결되었다는 것은 피드백 유닛이 하우징(230)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우징(230)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피드백 유닛은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피드백 유닛은 하우징(230)에 형성된 가이드 홀(232) 내에서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피드백 유닛이 움직인다는 것은, 피드백 유닛이 적어도 한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회전할 수 있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피드백 유닛은 가이드 홀(232) 내에서 수평 또는 수직으로 이동하거나 소정의 축을 기준으로 하여 피벗 운동을 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평면도이다. 방향 버튼(210)은 하부에 위치하는 피드백 유닛(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피드백 유닛이 움직일 경우 방향 버튼(210)도 피드백 유닛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객체(410)가 전(前)방향(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피드백 유닛 역시 전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도 4에서는 피드백 유닛은 직접 도시되지 않았지만, 피드백 유닛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방향 버튼(210)이 피드백 유닛에 의해 전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는 피드백 유닛이 움직일 수 있도록 피드백 유닛에 동력을 전달하는 가력기(force provid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력기 는 전자석, 모터, 액추에이터(actua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가력기의 종류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가력기는 하우징(230) 내부에서 하우징(23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력기로서 전자석이 사용되는 경우, 피드백 유닛과 전자석의 배치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전자석(510a, 510b, 510c, 510d)이 피드백 유닛(520)의 전/후/좌/우 네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에 관계 없이 전자석을 통칭할 경우 식별자 '510'을 사용할 것이다. 피드백 유닛(520)은 상판(522), 지지축(524), 및 하판(526)으로 구성된다. 지지축(524)의 일단은 상판(522)과 연결되고, 지지축(524)의 타단은 하판(526)과 연결된다. 상판(522), 지지축(524), 및 하판(526) 중 두 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방향 버튼(210)은 피드백 유닛(520)의 상부에서 상판(522)과 연결되어 있다.
피드백 유닛(520)은 전자석(510)으로부터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될 수 있도록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석(510)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피드백 유닛(520)을 필요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피드백 유닛(520)에 인력 또는 척력을 작용시키기 위해 필요한 전자석의 개수는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는 하나 이상의 전자석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에 구비되는 전자석의 개수나, 전자석의 배치 구조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피드백 유닛(520)이 직선 운동(1차원적인 운동), 평면 운동(2차원적인 운동), 또는 공간 운동(3차원적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며,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서는 방향 버튼(210)은 도시되지 않았다. 본 실시예에서, 피드백 유닛(520)은 하우징(230)의 가이드 홀(232) 내에 위치하며, 가이드 홀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다. 피드백 유닛(520)의 하판(526)과 하우징(230)에 형성된 이탈 방지 돌기(234)에 의해서 피드백 유닛(520)이 하우징(230)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전자석(510b, 510d)은 하우징(230) 내에서 피드백 유닛(520) 주변, 즉 가이드 홀(232)의 외곽 영역에 배치된다. 피드백 유닛(520)은 가이드 홀(232) 내에서 전자석(320)의 힘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피드백 유닛(520)은 전자석(510b, 510d)과 인력 또는 척력을 작용토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610a, 610b)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피드백 유닛(520) 자체가 자성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는 탄성체(620a, 620b, 이하 식별자 '620'를 사용하여 통칭하도록 한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620)는 피드백 유닛(520)과 하우징(230) 사이에 위치하여, 피드백 유닛(520)이 원 위치로 되돌아 갈 수 있도록 피드백 유닛(520)에 힘을 작용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가 사용되는 경우, 전 자석(510d)에 전류가 인가되면 전자석(510d)와 자성체(610a)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여 피드백 유닛(520)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510d)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만약, 전자석(510d)에 전류가 차단되고 전자석(510b)에 전류가 인가되면 전자석(510b)와 자성체(610b)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여 피드백 유닛(520)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510b)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모든 전자석(510)에 전류가 차단된다면, 피드백 유닛(520)은 탄성체(620)의 작용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b의 실시예에서는 피드백 유닛(520)의 수평 이동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를 응용하면 피드백 유닛(520)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6 내지 도 7b의 구조에서는 피드백 유닛(520)이 슬라이드 이동을 하게 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피드백 유닛(520)이 기준 축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 각도 내에서 회전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 및 도 9에 이러한 실시예의 구현 예를 도시하였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510) 및 피드백 유닛(520)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실시예에서는 다섯 개의 전자석(510a, 510b, 510c, 510d, 510e)이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피드백 유닛(520)에 전/후/좌/우 방향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으로도 인력 또는 척력을 가할 수 있으며, 피드백 유닛(520)이 3차원적인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구조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피드 백 유닛(520)은 지지축(524)과 하판(526)이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지지축(524)의 일단(524a)은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판(526)은 지지축(524)의 일단(524a)을 지지하기 위한 제1 하판(526a), 및 제1 하판(526a)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축(524)의 일단(524a)을 감싸도록 제1 하판(526a)과 결합하는 제2 하판(526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판(526a)과 제2 하판(526b)의 결합으로 인하여 지지축(524)이 하판(526)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피드백 유닛(520)은 지지축(524)의 일단(524a)을 중심으로 피벗 운동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석(510d)에 전류가 인가되어 전자석(510d)와 자성체(610a)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면, 피드백 유닛(520)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524)의 일단(524a)을 중심으로 하여 전자석(510d)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의 탄성체(620)가 피드백 유닛(520)을 감싸도록 위치하고 있으며, 회전 운동한 피드백 유닛(520)은 탄성체(620)에 의해 원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지지축(524)에는 자성체(610c)가 구비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축(524)에 구비된 자성체(610c)는 영구자석이며, 자성체(610c)의 양 끝단 중 한쪽은 N극, 다른 한쪽은 S극을 이룬다. 따라서, 전자석(510e)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조절하면, 전자석(510e)과 자성체(610c) 간에 작용하는 인력과 척력에 의해서 피드백 유닛(520)이 상하로 수직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석(510e)에 전류를 인가하여 자성체(610)c과 전자석(510e)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면, 도 10b에 도 시된 바와 같이 피드백 유닛(520)이 수직 상승할 수 있다.
피드백 유닛(520)이 상승할 경우, 피드백 유닛(520)의 하판(526)이 하우징(230)의 이탈 방지 돌기(234)에 걸리므로, 피드백 유닛(520)이 하우징(230)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도 10b와 같은 상태에서 전자석(510e)에 전류가 차단되면 피드백 유닛(520)이 중력에 의하여 원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 때, 탄성체(620)가 피드백 유닛(520)의 상판(522)과 하우징(230)에 형성된 이탈 방지 돌기(620) 사이에서 피드백 유닛(520)을 지지하게 된다. 물론, 전자석(510e)과 자성체(610c) 간에 인력이 작용할 경우에는 탄성체(620)가 수축하면서 피드백 유닛(520)이 하강할 수 있다. 이 때 전자석(510e)에 전류가 차단되면 피드백 유닛(520)은 탄성체(620)의 팽창력에 의하여 원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상 도 2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한 피드백 유닛(520)의 구조 및 형태, 피드백 유닛(520)과 하우징(230)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구현 가능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이상의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하에서는,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서 피드백 유닛(520)을 통해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호스트 장치(11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구성과 동작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110)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호스트 장치(110)는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10), 출력부(1120), 피드백 처리부(1130), 및 인터페이스부(1140)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10)는 시뮬레이션, 비디오 게임, 온라인 게임,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10)는 제어 객체의 움직임 정보를 피드백 처리부(1130)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제어 객체의 움직임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으로 인하여 생성되는 가상 현실 상에서 제어 객체의 움직임을 표현하기 위한 정보이다. 어플리케이션 제작자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경우 제어 객체의 움직임 정보가 출력되도록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 있다.
출력부(112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나 실행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130)로 전달한다. 출력부(1120)와 디스플레이 장치(130) 간의 정보 전달은 유선 매체뿐만 아니라 무선 매체를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와의 통신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부(1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로부터 소정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 신호를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10)로 전달한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10)는 인터페이스부(1140)로부터 전달 받은 입력 신호에 따라서 어플레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신호를 통해서 제어 객체의 운동 속력이나 운동 방향이 제어될 수 있다.
피드백 처리부(1130)는 제어 객체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피드백 정보를 생성한다. 피드백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피드백 유닛(520)의 움 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피드백 정보는 피드백 유닛(520)의 운동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운동 방향은 피드백 유닛이 움직이는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생성된 피드백 정보는 인터페이스부(1140)를 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로 전달된다. 피드백 처리부(1130) 및 피드백 정보에 대해서는 도 15 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할 것이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는 입력부(1150), 호스트 연결부(1160), 및 제어부(1170)를 포함한다.
입력부(1150)는 버튼, 조이스틱, 방향 패드 등과 같은 입력 툴과 연동하여 입력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입력부(1150)는 그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호스트 연결부(1160)는 유선 매체 또는 무선 매체를 이용하여 호스트 장치(110)와 데이터나 정보를 송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호스트 연결부(1160)는 입력부(1150)에 의해 발생된 입력 신호를 호스트 장치(110)로 전달하고, 호스트 장치(110)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된 피드백 정보는 제어부(1170)로 전달된다.
제어부(1170)는 호스트 연결부(1160)가 호스트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가력기를 제어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력기의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력기로서 전자석(510)이 사용될 경우, 제어부(1170)는 전자석(510)에 대한 전류의 인가 여부와 인가될 전류의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피드백 정보는 피드백 유닛(520)의 운동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 므로, 제어부(1170)는 이를 가력기의 동작에 대응하는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피드백 정보는 가력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170)는 별도의 변환 작업 없이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가력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실시예가 구현되는 경우, 제어 객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제어부(1170)에 의해 제어되는 각 전자석(510)에 대한 전류 인가 여부 및 전류 방향에 대한 일 예를 표1에 나타내었다.
[표1]
전자석
제어 객체 이동 방향 510a 510b 510c 510d 510e
중립 Off Off Off Off Off
전(前) On Off Off Off Off
후(後) Off Off On Off Off
좌(左) Off Off Off On Off
우(右) Off On Off Off Off
상(上) Off Off Off Off On+
하(下) Off Off Off Off On-
표1에서 제어 객체의 이동 방향이 '상'일 경우와 '하'일 경우 모두 전자석(510e)에 전류가 인가되는데,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반대 방향인 실시예에 따라서 표1에서는 '+'기호와 '-'기호를 사용하여 표시하였다.
제어부(1170)의 제어에 따라서 가력기가 동작하면 피드백 유닛(520)이 움직이게 된다. 사용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를 파지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피드백 유닛(520)의 움직임을 손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제어 객체의 움직임을 보다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피드백 유닛(520) 상에 방향 버 튼(210)이 배치된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감지하는 것은 방향 버튼(210)의 움직임이 된다.
그러나, 피드백 유닛(520)이 방향 버튼(210)과 연결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전면과 배면을 함께 도시하였는데,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전면은 종래의 일반적인 입력 장치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배면에는 앞서 설명한 피드백 유닛(520)이 하우징(230)에 형성된 가이드 홀(232)을 통하여 표면으로 드러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를 파지하는 형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으므로, 사용자는 피드백 유닛(520)의 움직임을 손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도 11에 도시된 호스트 장치(110)의 피드백 처리부(1130)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피드백 처리부(1130)는 산출부(1510), 운동 방향 결정부(1520), 및 정보 전달부(1530)를 포함한다.
산출부(1510)는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10)로부터 전달 받은 제어 객체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객체의 속력 및 이동 방향을 계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움직임 정보는 제어 객체의 좌표값을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10)로부터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산출부(1510)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하는 제어 객체의 좌표값을 이용하여 제어 객체의 속력 및 이동 방향을 계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움직임 정보는 제어 객체의 속력 및 이동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산출부(1510)는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10)로부터 전달 받은 정보 중에서 제어 객체의 속력 및 이동 방향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운동 방향 결정부(1520)는 제어 객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피드백 유닛(520)의 운동 방향을 결정한다. 피드백 유닛(520)의 운동 방향은 제어 객체의 이동 방향과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운동 방향 결정부(1520)는 제어 객체의 속도에 따라서 피드백 유닛(520)의 운동 방향 결정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운동 방향 결정부(1520)는 제어 객체의 속력이 임계 속력보다 높은 경우에 피드백 유닛(520)의 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 객체의 속도가 매우 낮은 경우에는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오히려 현실감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인 피드백 전달을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객체의 속력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 전달부(1530)는 운동 방향 결정부(1520)에 의해 결정된 피드백 유닛(520)의 운동 방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피드백 정보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이 동작하는 실시예를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하였다.
도 16a는 제어 객체(1610)가 오른쪽 방향으로 움직일 경우에 대한 실시예이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방향 버튼(230)을 조작하여 제어 객체(1610)가 오른쪽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지시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는 그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호스트 장치(110)에게 전송한다. 호스트 장치(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로부터 전송된 입력 신호에 따라서 제어 객체(1610)가 오른쪽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객체(1610)의 움직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어 객체(1610)가 오른쪽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므로, 피드백 유닛(520) 또한 오른쪽으로 움직이며, 피드백 유닛(520)에 연결된 방향 버튼(210) 역시 오른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도 16b는 제어 객체(1610)가 전 방향으로 움직이는 상황에서 다른 객체(1620)와의 충돌로 인하여 대각선 방향(1630)으로 움직이게 될 경우에 대한 실시예이다. 이러한 경우에도 피드백 유닛(520)은 제어 객체(162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데, 피드백 유닛(520)의 대각선 방향의 움직임은 두 개의 전자석(510a, 510b)에 동시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서는 피드백 처리부(1130)가 호스트 장치(110)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드백 처리부(1130)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에 포함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10)가 제공하는 제어 객체의 움직임 정보는 인터페이스부(1140)를 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로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호스트 연결부(1160)는 호스트 장치(110)로부터 전송된 제어 객체의 움직임 정보를 피드백 처리부(1130)로 전달하고, 피드백 처리부(1130)는 호스트 연결부(1160)로부터 전달 받은 제어 객체의 움 직임 정보를 사용하여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생성된 피드백 정보는 제어부(1170)로 전달되고, 제어부(1170)는 이를 이용하여 가력기(51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호스트 장치(110)와 디스플레이 장치(130)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하는 기능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에 통합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는 호스트 장치(110)와 디스플레이 장치(130)의 기능을 모두 포함한다. 우선, 도 18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는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810)을 더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패널(1810)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130)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810)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810)은 LCD, PDP, 유기 EL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도 18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는 PDA, 핸드폰, 휴대용 게임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9는 도 18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는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10), 출력부(1120), 피드백 처리부(1130), 입력부(1150), 및 제어부(1170)를 포함한다. 도 19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 기능은 각각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다만, 구성 요소 간의 데이터 또는 정보 전달 경로는 도 11의 실시예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 어, 도 19에서 입력부(1150)는 입력 신호를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10)에게 직접 제공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10)는 제어 객체의 움직임 정보를 피드백 처리부(1130)에게 직접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출력부(112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디스플레이 패널(1310)이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도 11, 도 15, 도 17 및 도 19에 도시된, 호스트 장치(110)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은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시된 과정은 도 11, 도 17 및 도 19에 도시된 각 실시예에서 모두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나 호스트 장치(11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관계는 상기의 각 실시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우선,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에 구비된 입력 툴을 조작하여 제어 객체의 움직임의 제어를 요청하면, 입력부(1150)는 조작된 입력 툴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S2010). 생성된 입력 신호는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10)로 전달되는데,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10)는 입력 신호에 따라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한다(S2020). 이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으로 인해 생성된 제어 객체의 움직임이 제어될 수 있는데, 제어 객체의 움직임은 출력부(1120)의 제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30)나 디스플레이 패널(1310)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10)는 제어 객체의 움직임 정보를 제공한다(S2030). 제공된 움직임 정보는 피드백 처리부(1130)로 전달되는데, 피드백 처리부(1130)는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피드백 유닛(520) 운동 방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제공한다(S2040).
그 후, 제어부(1170)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피드백 유닛(520)이 적절히 움직일 수 있도록 가력기(앞선 대부분의 실시예에서는 전자석(510)으로 설명되었다)를 제어한다(S2050).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 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따른 피드백 제공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미디어에 대한 사용자의 실제감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4)

  1. 가이드 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소정의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홀 내에서 움직이는 피드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유닛은 상판과 일단이 상기 상판과 연결되는 지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과 지지축은 각각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유닛에 각각 전/후/좌/우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4 개의 전자석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가이드 홀의 외곽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피드백 유닛에 상/하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전자석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지지축의 하부에 배치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유닛은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서 1차원적 움직임, 2차원적 움직임, 및 3차원적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유닛은 수직 이동, 수평 이동, 및 회전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움직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유닛은 상기 제어 객체의 속력이 임계 속력보다 큰 경우에 움직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유닛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력기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력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력기는 전자석이고, 상기 피드백 유닛의 자성체는 상기 전자석으로부터 인력 또는 척력을 작용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객체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툴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객체의 움직임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유닛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전면과 배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1. 가이드 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소정의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홀 내에서 움직이는 피드백 유닛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서,
    소정의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피드백 처리부; 및
    상기 제공된 피드백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피드백 유닛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가력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유닛은 상판과 일단이 상기 상판과 연결되는 지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과 지지축은 각각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유닛에 각각 전/후/좌/우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4 개의 전자석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가이드 홀의 외곽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피드백 유닛에 상/하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전자석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지지축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어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피드백 유닛의 운동 방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처리부는 상기 제어 객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상기 피드백 유닛의 운동 방향을 결정하는, 제어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처리부는 상기 제어 객체의 속력이 임계 속력보다 큰 경우에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 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제어 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객체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제어 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소정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어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제어 장치.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구비된 입력 툴이 조작됨에 따라서 상기 제어 객체의 위치 변화를 요청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제어 장치.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는 상기 제어 객체의 움직임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피드백 처리부는 상기 제공된 움직임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장치.
  19. 가이드 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소정의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홀 내에서 움직이는 피드백 유닛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소정의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피드백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피드백 유닛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가력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유닛은 상판과 일단이 상기 상판과 연결되는 지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과 지지축은 각각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유닛에 각각 전/후/좌/우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4 개의 전자석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가이드 홀의 외곽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피드백 유닛에 상/하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전자석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지지축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어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피드백 유닛의 운동 방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객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상기 피드백 유닛의 운동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객체의 속력이 임계 속력보다 큰 경우에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3. 제 19항에 있어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제어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24.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25.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구비된 입력 툴이 조작됨에 따라서 상기 제어 객체의 위치 변화를 요청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26. 가이드 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소정의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홀 내에서 움직이는 피드백 유닛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와 연동되는 호스트 장치로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소정의 제어 객체를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 처리부; 및
    상기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피드백 유닛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피드백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유닛은 상판과 일단이 상기 상판과 연결되는 지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과 지지축은 각각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유닛에 각각 전/후/좌/우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4 개의 전자석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가이드 홀의 외곽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피드백 유닛에 상/하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전자석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지지축의 하부에 배치되는, 호스트 장치.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피드백 유닛의 운동 방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호스트 장치.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처리부는 상기 제어 객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상기 피드백 유닛의 운동 방향을 결정하는, 호스트 장치.
  29.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처리부는 상기 제어 객체의 속력이 임계 속력보다 큰 경우에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호스트 장치.
  30. 가이드 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소정의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홀 내에서 움직이는 피드백 유닛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와 연동되는 호스트 장치의 피드백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소정의 제어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피드백 유닛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유닛은 상판과 일단이 상기 상판과 연결되는 지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과 지지축은 각각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유닛에 각각 전/후/좌/우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4 개의 전자석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가이드 홀의 외곽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피드백 유닛에 상/하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전자석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지지축의 하부에 배치되는, 피드백 정보 제공 방법.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피드백 유닛의 운동 방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 제공 방법.
  32.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객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상기 피드백 유닛의 운동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 제공 방법.
  33.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객체의 속력이 임계 속력보다 큰 경우에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 제공 방법.
  34.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소정의 제어 객체를 생성하는 호스트 장치; 및
    가이드 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홀 내에서 움직이는 피드백 유닛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유닛은 상판과 일단이 상기 상판과 연결되는 지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과 지지축은 각각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유닛에 각각 전/후/좌/우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4 개의 전자석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가이드 홀의 외곽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피드백 유닛에 상/하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전자석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지지축의 하부에 배치되는,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KR1020060117860A 2006-11-27 2006-11-27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따른 피드백 제공을 위한 방법 및장치 KR101311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860A KR101311479B1 (ko) 2006-11-27 2006-11-27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따른 피드백 제공을 위한 방법 및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860A KR101311479B1 (ko) 2006-11-27 2006-11-27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따른 피드백 제공을 위한 방법 및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7876A KR20080047876A (ko) 2008-05-30
KR101311479B1 true KR101311479B1 (ko) 2013-09-25

Family

ID=39664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7860A KR101311479B1 (ko) 2006-11-27 2006-11-27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따른 피드백 제공을 위한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4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68488B (zh) * 2021-06-11 2022-07-05 西南大学 一种虚拟乒乓球拍及其力反馈方法、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3859B1 (en) 1998-11-10 2001-09-04 Lord Corporation Magnetically-controllable, active haptic interface system and apparatus
US6339419B1 (en) 1998-11-10 2002-01-15 Lord Corporation Magnetically-controllable, semi-active haptic interface system and apparatus
US6482010B1 (en) * 1994-05-19 2002-11-19 Microsoft Corporation Interactive simulation including force feedback
US20030030619A1 (en) 1998-06-23 2003-02-13 Kenneth M. Martin Haptic feedback for directional control pa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2010B1 (en) * 1994-05-19 2002-11-19 Microsoft Corporation Interactive simulation including force feedback
US20030030619A1 (en) 1998-06-23 2003-02-13 Kenneth M. Martin Haptic feedback for directional control pads
US6283859B1 (en) 1998-11-10 2001-09-04 Lord Corporation Magnetically-controllable, active haptic interface system and apparatus
US6339419B1 (en) 1998-11-10 2002-01-15 Lord Corporation Magnetically-controllable, semi-active haptic interface system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7876A (ko) 200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9251B2 (en) Programmable haptic peripheral
US6906697B2 (en) Haptic sensations for tactile feedback interface devices
JP4058406B2 (ja) 手で持つコンピュータ化携帯型装置
EP2778855B1 (en) User interface device
KR20160076428A (ko) 가변하는 햅틱 효과들을 생성하기 위한 미리 프로그램된 자기 표면들 및 패턴들을 갖는 프로그램가능한 자석들을 구비하는 햅틱 액추에이터
Suzuki et al. Hapticbots: Distributed encountered-type haptics for vr with multiple shape-changing mobile robots
US20050219206A1 (en) Controlling vibrotactile sensations for haptic feedback devices
US20070111803A1 (en) Storage medium having game program stored thereon and game apparatus
CN202844541U (zh) 一种全息显示的电子游戏设备
JP2008217787A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ユニバーサルリモコンユニットおよび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制御プログラム
US20200225754A1 (en) Multi-directional actuating module
US20140062683A1 (en) Body sensing computer keyboard
KR20060075135A (ko) 촉감장치와 그를 이용한 촉감마우스
KR101311479B1 (ko)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따른 피드백 제공을 위한 방법 및장치
KR101345343B1 (ko) 제어 객체의 움직임에 따른 피드백 제공을 위한 방법 및장치
JP2014052975A (ja) 触覚・力覚提示デバイスとそれを用いた触覚・力覚提示システム
Hou et al. Enhancing touch screen games through a cable-driven force feedback device
KR20180039415A (ko) 서보모터 기반 미세진동형 모션플랫폼 시스템
JP2000047563A (ja) 物体の把持動作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CN210845261U (zh) 一种多功能沉浸式vr运动平台装置
WO2020235541A1 (ja) 画像インタフェース装置、画像操作装置、操作対象物操作装置、操作対象物操作システム、操作対象物提示方法および操作対象物提示プログラム
WO2022149361A1 (ja) 3次元触覚情報を提供可能な入力装置
Guo Retroshape: Leveraging Rear-Surface Shape Displays for 2.5 D Interaction on Smartwatches
KR20020071252A (ko) 3차원 공간이동형 시뮬레이터
KR101605977B1 (ko) 햅틱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최소한의 자유도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