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915B1 - floating type docking apparatus for small craft - Google Patents

floating type docking apparatus for small craf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915B1
KR101310915B1 KR1020110129069A KR20110129069A KR101310915B1 KR 101310915 B1 KR101310915 B1 KR 101310915B1 KR 1020110129069 A KR1020110129069 A KR 1020110129069A KR 20110129069 A KR20110129069 A KR 20110129069A KR 101310915 B1 KR101310915 B1 KR 101310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able
floating
support
floating body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0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62674A (en
Inventor
이종목
권태규
Original Assignee
권태규
이종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규, 이종목 filed Critical 권태규
Priority to KR1020110129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915B1/en
Priority to PCT/KR2012/010444 priority patent/WO2013085259A1/en
Publication of KR20130062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6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9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2Buoys specially adapted for mooring a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선박용 접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다, 호수, 하천 등지에서 수시로 변하는 조수 간만차 및 홍수시 수위차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바다, 호수, 하천 등지의 수면에 부유하면서 선박의 측면을 접하여 지지해주는 부유체와; 상기 부유체의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부유체와 연결되고 타단이 수중 지면까지 드리워져 장력에 의해 부유체를 지지하여 균형을 잡아주는 복수의 지지 케이블과; 상기 지지 케이블의 타단을 수중 지면에 고정하는 고정체와; 상기 지지 케이블이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 케이블을 당겨서 관리하면서, 수위가 높아질 때 상기 부유체의 상승하는 힘에 의해 상기 지지 케이블이 당겨지면 상기 지지 케이블의 풀어짐을 허용하고 수위가 낮아져 상기 부유체가 하강할 때에는 풀어졌던 상기 지지 케이블을 회수하는 조절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ll ship's eyepiece, in particular, it can be easily installed at low cost while actively coping with the tidal tidal wave and the water level difference during the flood that changes frequently in the sea, lakes, rivers and the like.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ating body to support the side of the ship while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sea, lakes, rivers and the like; A plurality of support cables provid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loating body,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loating body and the other end is draped to the ground to support and balance the floating body by tension; Fixing body for fixing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cable to the underwater ground; While the support cable is pulled and managed by elastic force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support cable, when the support cable is pulled by the rising force of the floating body when the water level is high, the support cable is released and the water level is lowered. And a regulator for recovering the support cable which has been released when the float is lowered.

Description

소형 선박용 부유 타입 접안장치{floating type docking apparatus for small craft}Floating type docking apparatus for small craft

본 발명은 선박용 접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다, 호수, 하천 등지에서 수시로 변하는 조수 간만차 및 홍수시 수위차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소형 선박용 부유 타입 접안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p's eyepie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ll vessel floating type eyepiece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at a low cost while actively coping with tidal tides and flood water levels that frequently change in seas, lakes, and rivers.

글로벌화로 인해 전 세계는 서로간 무역을 통해서 이익을 창출하여 경제발전을 달성하고 있다. 특히나 한국은 천연자원이 부족하고 인구도 많지 않기 때문에 전 세계 나라들과의 무역이 없었다면 단기간에 지금과 같은 눈부신 경제성장을 달성할 수 없었을 것이다.Globalization is achieving economic development by generating profits through trade with each other. In particular, because Korea lacks natural resources and lacks a large population, it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to achieve such remarkable economic growth in the short term without trade with countries around the world.

대부분의 수출입 물동량은 선박을 통한 바닷길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고, 대한민국에는 세계적인 항구들이 다수 형성되었다. 대표적으로 부산항, 인천항, 광양항 등이 있으며, 대규모 컨테이너선들이 항구에 접안하여 선적과 하역을 하게 된다. Most of the imports and exports are made by sea by ship, and many international ports are formed in Korea. Representatives include Busan Port, Incheon Port, and Gwangyang Port, and large-scale container ships are docked at the port for loading and unloading.

이에 따라, 도 1을 참조로 살펴볼 수 있듯이 점차 대형화되어가는 컨테이너선과 같은 선박들이 종류에 따라 항구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콘크리트를 기반으로 하는 전용부두(10)가 건설되었지만, 이러한 전용부두(10)에는 여객선이나 기타 작은 선박들은 접안할 수 없었다.Accordingly, 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 1, concrete-based pier 10 was constructed in order to make it possible to conveniently use the port according to the type of vessels such as container ships that are gradually larger, but such pier 10 ) Could not dock passenger ships or other small vessels.

만약, 모든 선박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부두(10)를 확장한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접안시설을 갖춘 부두(10)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많은 부지를 확보해야 하고, 천문학적인 건설비용과 건설에 소요되는 장기간의 시간이 문제가 된다.If there is no problem if the pier 10 is expanded to be freely used by all vessels, there will be no problem, but in order to construct the pier 10 with eyepieces, a lot of land must be secured, and the astronomical construction cost and the long time required for construction This is a problem.

또한, 이러한 대규모 부두(10)를 건설함에 있어서는 갯벌의 훼손과 같은 환경문제를 야기하게 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즉, 새로운 부두(10)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자연 상태의 해안선을 해치면서 수심이 낮은 곳을 매립하여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배후시설이나 접안시설을 만들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onstruction of such a large pier 10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causes an environmental problem such as damaging the tidal flat. In other words, in order to construct a new pier 10 is to bury a low depth of water while damaging the coastline in the natural state to create a backing facility or a docking facility made of concrete.

따라서, 요트나 보트와 같은 소형 선박을 접안시킬 수 있는 장치 혹은 시설이 필요하였다. 특히 이러한 필요는 최근 국내 해양 레저 인구의 증가와 4대강 개발 등 정부의 정책지원에 힘입어 바다, 호수, 하천 등지에 소형 선박을 접안시키기 위한 접안시설 건설 관련 시장 규모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더욱 절실하였다. Therefore, there was a need for a device or facility to dock small vessels such as yachts and boats. In particular, such a need was further urgent due to the rapid growth of the market for the construction of berths for berthing small vessels in the sea, lakes, and rivers, supported by the government's policy support such as the increase in the domestic marine leisure pop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Four Rivers.

하지만, 국내에서 건설 예정 중인 소형 접안시설에 요구되는 특성을 살펴보면 조수 간만차 및 홍수시 수위차(많게는 7-9m, 적게는 3-5m 이상이 발생)로 인하여 접안시설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파일링 공법을 통한 시공이 불가피한 상황이며 이에 따른 전체 건설비 규모가 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을 수밖에 없었다.
However, if you look at the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the small eyepiece facility to be built in Korea, the filing method to secure the safety of the eyepiece facility due to tidal tidal wave and flood level difference (more than 7-9m, at least 3-5m occurs) Construction is inevitable and the overall construction cost is inevitably higher than in other countries.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다, 호수, 하천 등지에서 수시로 변하는 조수 간만차 및 홍수시 수위차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소형 선박용 부유 타입 접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and at low cost while actively coping with tidal tides and flood water levels that frequently change in seas, lakes, and river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ll marine floating type eyepiece that can be install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선박용 부유 타입 접안장치는, 바다, 호수, 하천 등지의 수면에 부유하면서 선박의 측면을 접하여 지지해주는 부유체와; 상기 부유체의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부유체와 연결되고 타단이 수중 지면까지 드리워져 장력에 의해 부유체를 지지하여 균형을 잡아주는 복수의 지지 케이블과; 상기 지지 케이블의 타단을 수중 지면에 고정하는 고정체와; 상기 지지 케이블이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 케이블을 당겨서 관리하면서, 수위가 높아질 때 상기 부유체의 상승하는 힘에 의해 상기 지지 케이블이 당겨지면 상기 지지 케이블의 풀어짐을 허용하고 수위가 낮아져 상기 부유체가 하강할 때에는 풀어졌던 상기 지지 케이블을 회수하는 조절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Floating type eyepiece device for ship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sea, lakes, rivers, etc. while floating to support the side of the ship; A plurality of support cables provid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loating body,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loating body and the other end is draped to the ground to support and balance the floating body by tension; Fixing body for fixing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cable to the underwater ground; While the support cable is pulled and managed by elastic force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support cable, when the support cable is pulled by the rising force of the floating body when the water level is high, the support cable is released and the water level is lowered. The technical configura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regulator for recovering the support cable released when the floating body is lowered.

여기서, 상기 조절체는, 상기 부유체 내부에서 고정 설치된 복수의 고정풀리와; 상기 고정풀리에 대하여 이격된 위치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고정풀리와 함께 상기 지지 케이블의 중간부위를 지그재그 형태로 경유되도록 지지하여 상기 고정풀리에 대하여 접근하면 상기 지지 케이블의 풀어짐을 허용하고 상기 고정풀리에 대하여 멀어지면 풀어졌던 상기 지지 케이블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한 복수의 이동풀리와; 상기 이동풀리가 상기 고정풀리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갖도록 탄성지지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Here, the regulator, and a plurality of fixed pulleys fixedly installed in the floating body; It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pulley and supports the middle portion of the support cable via the zigzag form together with the fixing pulley to allow the support cable to be released when approaching the fixing pulley and the fixing A plurality of moving pulleys capable of recovering the support cable which has been released when it is far from the pulley; The moving pulley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to elastically support to have a tendency to move away from the fixed pulley.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내부공간을 갖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일측부와 타측부에 진퇴 가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이 양측에서 당겨질 때 그에 반하는 힘으로 작용하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may include a cylinder having an inner space, a pair of pistons installed to be retractable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ylinder, and a compression spring acting as an opposite force when the piston is pulled from both sides. It may be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부유체는 상기 조절체가 내부에 설치되도록 설치공간을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외측 하부에 결합되어 수면에 대한 부력을 제공하는 부유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loating body may be made of a casing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so that the adjuster is installed therein, and a floating material coupled to the outer lower portion of the casing to provide buoyancy on the water surface.

또한, 상기 부유체의 케이싱 내부에는 상기 지지 케이블의 일단을 감거나 풀어주는 윈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sing of the floating body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ch for winding or unwinding one end of the support cable is installed.

또한, 상기 지지 케이블은 좌측에서 2개 한조를 이루고, 우측에서 2개 한조를 이루며, 같은 조에 속한 지지 케이블 간에 서로 교차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cable may be two pairs on the left side, two pairs on the right sid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cables belonging to the same group are installed to cross each other.

또한, 상기 고정체는 내부가 중공인 원통형의 철재 몸체로 이루어지되, 하단부는 수중 지면에 용이하게 박힐 수 있도록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뿔형 박힘부로 형성되고, 상기 박힘부가 형성되기 시작하는 경계선에는 상하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요입된 형태로 형성되되 그 내측면이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박힘작업시 수중 지면과의 마찰을 감소시켜주는 수직 가이드홈이 상기 경계선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body is made of a cylindrical steel body with a hollow inside, the lower end portion is formed of a conical shaped portion that decreases in diameter toward the end so that it can be easily embedded in the ground underwater, the boundary line that begins to form the nailing portion is It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nner surface is formed in a streamlined vertical guide groove for reducing friction with the underwater surface during the nailing work is continuously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boundary line It can be characterized.

또한, 상기 고정체는 몸체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유입공이 형성되되 그 유입공에는 물의 유입과 함께 유입되려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거름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ationary body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inlet holes are formed so that water can be introduced into the body, the inlet hole is provided with a strainer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to be introduced with the inflow of water.

또한, 상기 부유체에는 모니터링 유닛이 더 설치되며,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정박된 선박을 감지할 수 있도록 초음파를 발사하여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초음파를 수신하는 초음파센서와; 수위 측정을 위한 수위센서와; 상기 초음파센서에 의해 감지된 선박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와; 상기 초음파센서, 수위센서 및 카메라와 연동하여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받고 이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loating un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monitoring unit, the monitoring unit includes: an ultrasonic sensor for receiving the ultrasonic wave is reflected back by firing ultrasonic waves to detect the anchored vessel; A water level sensor for measuring water level; A camera capable of capturing the vessel detected by the ultrasonic sensor;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m in conjunction with the ultrasonic sensor, the water level sensor, and the camera;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data through the controller and transmitting it to the outside.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부유 타입 접안장치는, 바다, 호수, 하천 등지에서 수시로 변하는 조수 간만차 및 홍수시 수위차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The floating type eyepiece device for shi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at low cost while actively coping with tidal tides and flood water levels that frequently change in seas, lakes, and rivers.

또한, 본 발명은 수위가 높아지면 지지 케이블의 풀어짐을 허용함에도 불구하고 지지 케이블을 지그재그 형태로 복수의 지점에서 탄성 지지하는 구성에 의해 상기 지지 케이블에 충분한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부유체 및 그에 정박된 선박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art a sufficient tension to the support cable by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upport cable is elastically supported at a plurality of points in a zigzag form even though the support cable is released when the water level is increas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float and the vessel anchored thereon.

또한, 본 발명은 실린더와 한 쌍의 피스톤과,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다른 부품들에 대한 간섭 없이 지지 케이블에 안정적으로 장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cylinder, a pair of pistons, and an elastic member consisting of a compression spring, it is possible to stably tension the support cable without interference to other components.

또한, 본 발명은 지지 케이블에 대해 작용하는 조절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부유체의 케이싱에 은폐되어 깔끔한 외관을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neat appearance by concealing the casing of the float so that the regulator acting on the support cabl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은 부유체의 좌측과 우측에서 각각 2개의 지지 케이블을 교차하여 설치한 구성에 의해 부유체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table support for the float by the configuration provided by crossing the two support cables in each of the left and right of the float.

또한, 본 발명은 고정체의 하단부가 원뿔형으로 이루어지고 가이드홈이 형성된 구성에 의해 상기 고정체가 자중만으로도 수중 지면에 용이하게 박힐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of the fixture is made of a conical shape and the guide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fixture can be easily embedded in the ground of the water only by its own weight.

또한, 본 발명은 모니터링 유닛을 구비하여 정박된 선박에 대한 정보와 수위 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유지 및 관리에 편리하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monitoring unit can transmit the information and the water level information about the anchored ship to the outside is convenient for maintenance and management.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접안시설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부유 타입 접안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부유 타입 접안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부유 타입 접안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부유 타입 접안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유체의 내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체의 작용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부유 타입 접안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유체의 내부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부유 타입 접안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따른 변형된 고정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1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eyepie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state of use of the floating type eyepiece device for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hip floating type eyepie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ship floating type eyepie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floating body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hip-type floating eyepiece for shi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reference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reg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astic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monitor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floating body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hip floating type eyepiece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ating type eyepiece for a ship according to a second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deformed fixture according to a second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부유 타입 접안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Figure 2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floating type eyepiece device for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부유 타입 접안장치(100)는 바다, 호수, 하천 등지에서 선박의 일측을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정박시키기 위한 것이며, 수면에 부유하면서 선박을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부유체(110)가 지지 케이블(120)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있으면서도 수위에 따라 높낮이가 능동적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As shown, the vessel floating type eyepie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stably anchoring by supporting one side of the vessel in the sea, lake, river, etc., used to support the vessel while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While the floating body 11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upport cable 120 is configured to actively adjust the height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부유 타입 접안장치(100)는 수시로 변하는 조수 간만차 및 홍수시 수위차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면서 선박을 안정적으로 정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As a result, the floating type eyepiece 100 for a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anchoring the vessel stably while actively coping with the tidal tidal wave and the water level difference during the flood.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부유 타입 접안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marine floating eyepie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부유 타입 접안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부유 타입 접안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부유 타입 접안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유체의 내부 구성도이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essel floating type eyepie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vessel floating type eyepie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floating body for demon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floating type eyepiece for ships by an exampl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접안장치는 부유체(110)와, 복수의 지지 케이블(120)과, 고정체(130)와, 조절체(113,114a,114b)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As shown, the eyepie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the floating body 110, the plurality of support cables 120, the fixed body 130, and the adjuster (113, 114a, 114b). .

상기 부유체(110)는 수면에 부유하면서 선박의 측면을 접하여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부유체(110)는 상기 조절체(113,114a,114b)가 내부에 설치되도록 설치공간을 갖는 케이싱(111)과, 상기 케이싱(111)의 외측 하부에 결합되어 수면에 대한 부력을 제공하는 부유물질(112)로 이루어진다. The floating body 110 serves to support the side of the ship while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To this end, the floating body 110 is coupled to the casing 111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so that the adjuster (113, 114a, 114b) is installed therein, the outer lower portion of the casing 111 to provide buoyancy for the water surface It is made of a floating material (112).

여기서 상기 케이싱(111)의 재질은 알루미늄과 같이 경량소재이면서 외형을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지닌 것이면 좋다. 또한, 상기 케이싱(111)의 각 모서리 인근에는 지지 케이블(120)이 통과하는 관통공(111a)이 형성되고, 그 관통공(111a)의 둘레를 따라 끼워져서 지지 케이블(120)의 손상을 방지해주는 보호용 오링(111b)이 더 구비된다. 상기 보호용 오링(111b)은 지지 케이블(120)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테프론과 같은 소재로 구비된다. The casing 111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aluminum that has a strength capable of maintaining its appearance while being lightweight. In addition, a through hole 111a through which the support cable 120 passes is formed near each corner of the casing 111 and is insert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111a to prevent damage to the support cable 120. It is provided with a protective O-ring 111b. The protective O-ring 111b is provided with a material such as Teflon to reduce friction with the support cable 120.

또한, 상기 부유물질(112)은 스티로폼이나 그와 같은 기능을 갖는 소재의 것이면 바람직하며 도시된 것처럼 작은 크기의 것으로 복수개 구비되거나 커다란 크기의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spended solids 112 is preferably made of styrofoam or a material having such a function, and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nes having a small size or one having a large size as shown.

상기 지지 케이블(120)은 상기 부유체(110)의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구비되며, 일단은 상기 부유체(110) 내부에 설치된 윈치(115)에 의해 말린 상태로 고정되고, 타단은 수중 지면까지 드리워져 상기 고정체(130)에 의해 수중 지면에 고정 지지된다. 이로써 장력에 의해 상기 부유체(110)를 지지하여 균형을 잡아준다. The support cable 120 is provid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floating body 110, respectively, one end is fixed in a dried state by the winch 115 installed in the floating body 110, the other end to the ground underwater It is draped and fixed to the ground underwater by the fixing body 130. As a result, the floating body 110 is supported by tension to balance.

또한, 상기 지지 케이블(120)은 도면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좌측에서 2개가 한조를 이루고, 우측에서 2개가 한조를 이루면서 다른 조에 속한 지지 케이블(120)과 대칭된 방향에서 상기 부유체(110)를 당기면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같은 조에 속한 지지 케이블(120) 간에 'X'자형으로 서로 교차하여 설치된다. 예컨대 도면에서는 120a의 지지 케이블과 120b의 지지 케이블이 교차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이처럼 상기 지지 케이블(120)이 교차한 형태로 설치되면 상기 부유체(110)에 대하여 장력의 작용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해진다. In addition,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support cable 120 forms a pair of two on the left side, and the pair of two on the right side of the floating body 110 in a symmetrical direction with the support cable 120 belonging to the other group. Configured to support pulling. In addition, the support cables 120 belonging to the same group are installed to cross each other in an 'X' shape. For example, the drawing shows that the support cable 120a and the support cable 120b are crossed. When the support cable 120 is installed in such a way as to cros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exert the action of the tension on the floating body 110, so that stable support is possible.

또한, 상기 지지 케이블(120)은 윈치(115)에 의해 감거나 풀어줄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는 시시각각 변할 수 있는 수위에 따라 지지 케이블(120)의 길이를 실시간 능동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용도보다는 초기 설치 및 세팅시 지지 케이블(12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이같은 초기 설치 및 세팅이 완료되면 상기 윈치(115)는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되어 지지 케이블(120)의 일단을 고정한다. In addition, the support cable 120 is installed to be wound or unwound by the winch 115. This is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upport cable 120 during initial installation and setting, rather than for the purpose of activel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upport cable 120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that can change from time to time. When the initial installation and setting is completed, the winch 115 is constrained so as not to rotate to fix one end of the support cable 120.

상기 고정체(130)는 상기 지지 케이블(120)의 타단을 수중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체(130)는 하중이 큰 콘크리트 블록으로 구비된다. The fixture 130 serves to stably fix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cable 120 to the underwater surface. To this end, the fixture 130 is provided with a large concrete block.

상기 조절체(113,114a,114b)는 상기 지지 케이블(120)이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 케이블(120)을 당겨서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상기 조절체(113,114a,114b)는 상기 지지 케이블(120)의 중간 부위를 지그재그 형태로 지지하여 여유 있는 양을 확보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수위가 높아질 때 상기 부유체(110)의 상승하는 힘에 의해 상기 지지 케이블(120)이 당겨지면 상기 지지 케이블(120)의 풀어짐을 허용하는 한편, 반대로 수위가 낮아져 상기 부유체(110)가 하강할 때에는 풀어졌던 상기 지지 케이블(120)을 회수하는 것이다. The regulators 113, 114a and 114b serve to pull the support cable 120 by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support cable 120 maintains tension. Furthermore, the regulators 113, 114a, and 114b suppor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support cable 120 in a zigzag form to secure an allowable amount. In this state, when the support cable 120 is pulled by the rising force of the float 110 when the water level is increased, the support cable 120 is allowed to be released, while the water level is lowered so that the float 110 ) Is to recover the support cable 120 that was released.

이를 위해 상기 조절체(113,114a,114b)는, 복수의 고정풀리(114a)와, 복수의 이동풀리(114b)와, 복수의 탄성부재(113)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풀리(114a)는 상기 부유체(110)의 케이싱(111) 내부에서 일렬로 배치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이동풀리(114b)는 상기 고정풀리(114a)에 대하여 이격된 위치에 일렬로 배치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풀리(114a)와 함께 상기 지지 케이블(120)의 중간부위를 지그재그 형태로 경유되도록 지지한다. 이로써, 상기 이동풀리(114b)가 고정풀리(114a)에 대하여 접근하면 상기 지지 케이블(120)의 풀어짐이 허용되고, 상기 이동풀리(114b)가 고정풀리(114a)에 대하여 멀어지면 풀어졌던 상기 지지 케이블(120)이 회수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113)는 상기 이동풀리(114b)가 상기 고정풀리(114a)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갖도록 탄성지지한다. To this end, the control body 113, 114a, 114b, a plurality of fixed pulley (114a), a plurality of moving pulley (114b), and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113. The fixing pulley 114a is disposed in a row in the casing 111 of the floating body 110 and is fixedly installed. The movable pulley 114b is disposed to be movable in a row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xed pulley 114a,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support cable 120 together with the fixed pulley 114a in a zigzag form. Support via. Thus, when the movable pulley 114b approaches the stationary pulley 114a, the support cable 120 is released, and the support that was released when the movable pulley 114b moves away from the stationary pulley 114a. The cable 120 is recovered. The elastic member 113 is elastically supported so that the movable pulley 114b has a tendency to move away from the fixed pulley 114a.

주목할 점은 상기 지지 케이블(120)이 지그재그 형태로 복수의 고정풀리(114a)와 이동풀리(114b)를 경유하도록 한 독특한 구성에 의하여 하나가 아닌 복수의 탄성부재(113)에 의해 장력을 부여받도록 하였다는 점이다. 이로써 상기 지지 케이블(120)에 대하여 복수의 탄성부재(113)가 작용하면서 충분한 장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upport cable 120 is zigzag-shaped so as to be tensioned by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113 instead of one by a unique configuration that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fixing pulleys 114a and the moving pulley 114b. Is that. As a result,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113 may act on the support cable 120 to ensure sufficient tension.

참고로 언급되지 않은 도면부호 114c는 상기 지지 케이블(120)을 관통공(111a)로 안내하기 위하여 설치된 보조 풀리이다. Reference numeral 114c, which is not referred to by reference, is an auxiliary pulley installed to guide the support cable 120 to the through hole 111a.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체의 작용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 개념도이다. 6 is a reference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reg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처럼 상기 조절체(113,114a,114b)가 상기 지지 케이블(120)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장력을 유지하면서도 부유체(110)의 승강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해주는 작용의 개념이 도 6에 잘 나타나 있다. 도 6의 (a)과 같이 수위가 낮아 부유체(110)가 하강하려는 경우에는 지지 케이블(120)의 장력이 약해져 느슨해질 수 있지만 상기 탄성부재(113)가 탄성력에 의해 수축되면서 이동풀리(114b)를 고정풀리(114a)에 반하는 방향으로 당겨준다. 이때 고정풀리(114a)에 대하여 이동풀리(114b)의 이격이 벌어지면서 균형을 이루게 된다. 이로써 자칫 느슨해질 수 있는 지지 케이블(120)에 장력이 부여되어 유지되면서 상기 부유체(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control unit 113, 114a and 114b maintain the tens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cable 120 while adjusting the length according to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floating body 110. When the float 110 is lowered as the water level is lowered as shown in FIG. 6A, the tension of the support cable 120 may be weakened to loosen, but the elastic member 113 is contracted by the elastic force to move the pulley 114b. ) Pull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xing pulley (114a). At this time, the separation of the movable pulley 114b with respect to the fixed pulley 114a is balanced. As a result, the floating cable 110 can be stably supported while the tension is applied to the support cable 120 which can be loosened.

반면에 도 6의 (b)와 같이 수위가 높아 부유체(110)가 상승하려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 케이블(120)의 강력해진 장력의 영향으로 인해 상기 탄성부재(113)가 탄성력에 반하여 신장되면서 고정풀리(114a) 방향으로 이동풀리(114b)의 이동을 허용하게 된다. 그러면 고정풀리(114a)에 대하여 이동풀리(114b)의 이격이 좁혀진 상태에서 새롭게 균형을 이루게 된다. 이로써 상기 부유체(110)에 대한 지지 케이블(120)의 장력은 지속적으로 유지되지만 부유체(110)의 상승이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loat 110 rises due to the high water level as shown in FIG. 6 (b), the elastic member 113 is stretched against the elastic force and is fixed against the elastic force due to the strong tension of the support cable 120. The movement of the pulley 114b in the 114a direction is allowed. Then, a new balance is achieved in a state in which the separation of the movable pulley 114b with respect to the fixed pulley 114a is narrowed. As a result, the tension of the support cable 120 with respect to the float 110 is continuously maintained, but the rise of the float 110 is made.

한편, 개념도인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탄성부재(113)가 단순한 형태의 인장스프링으로 구비되어도 기능적으로는 무방하나 윈드라스 형태의 모듈로 구비되는 것이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회피하거나 안정성 및 설치의 용이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6 of the conceptual diagram, even if the elastic member 113 is provided as a simple type of tension spring functionally, but is provided as a module of the windlass type to avoid interference with other components or stability and installation Preferred in terms of ease of use. Thi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astic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113)는 내부공간을 갖는 원통형의 실린더(113a)와, 상기 실린더(113a)의 내부공간을 따라 일측부와 타측부에 진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선단부화 후단부에 각각 디스크(113d)와 연결고리(113e)를 갖는 한 쌍의 피스톤(113c)과, 상기 피스톤(113c)이 양측에서 당겨질 때 그에 반하는 힘으로 작용하는 압축스프링(113b)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the elastic member 1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ylindrical cylinder 113a having an inner space, and the inner space of the cylinder 113a. And a pair of pistons 113c each having a disk 113d and a connection ring 113e at the rear end portion thereof, and a compression spring 113b acting as a force opposite thereto when the piston 113c is pulled from both sides. Is done.

이같이 윈드라스 형태로 구성된 탄성부재(113)는 단순히 코일 형태로 이루어진 인장스프링에 비하여 다른 부품들에 대한 간섭 없이 이동풀리(114b)를 탄성지지하여 지지 케이블(120)에 장력을 안정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member 113 having a windlas shape can stably provide tension to the support cable 120 by elastically supporting the moving pulley 114b without interference with other components as compared to the tension spring made of a coil shape. Has the advantage.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8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monitor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모니터링 유닛(150)은 상기 부유체(110)의 케이싱(111) 측벽 중 선박이 정박하는 쪽 측벽에 설치되어(도 5 참조)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외부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니터링 유닛(150)은 초음파센서(151), 수위센서(152), 카메라(153), 제어기(154) 및 통신모듈(155)을 포함하여 하나의 패키지 형태로 이루어지며 아래에서는 이들 세부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The monitoring unit 150 is installed on the sidewall of the casing 111 sidewall of the floating body 110 on which the vessel is anchored (see FIG. 5), and collects and transmits relevant information to the outside. To this end, as shown in FIG. 8, the monitoring unit 150 includes one package including an ultrasonic sensor 151, a water level sensor 152, a camera 153, a controller 154, and a communication module 155. It is formed in the form and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se detailed components.

상기 초음파센서(151)는 정박된 선박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초음파센서(151)는 발신부와 수신부를 구비하며, 정박된 선박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발신부가 초음파를 발신하고, 선박으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초음파를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다. 그리고 그 수신된 신호는 상기 제어기(154)로 전송한다. The ultrasonic sensor 151 serves to detect the anchored vessel. To this end, the ultrasonic sensor 151 includes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and the transmitter transmits an ultrasonic wave so as to detect the anchored vessel, and the receiver receives an ultrasonic wave reflected from the vessel. The received signal is then sent to the controller 154.

상기 수위센서(152)는 부유체(110)가 부유하고 있는 수면의 수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같은 수위의 측정은 간단히 기압을 측정함으로써 가능하고 분석함으로써 가능하다. 단, 상기 수위센서(152)에 의해 측정된 값은 실제로는 수위가 아니라 수면에서 부유하고 있는 부유체(110)의 높이에 해당하므로 상기 부유체(110)에 해당하는 부분을 감하고 나면 수면의 수위를 얻을 수 있다. The water level sensor 152 serves to measure the water level of the surface of the floating body 110 is floating. This measurement of water level is possible by simply measuring the air pressure and by analyzing it. However, since the value measured by the water level sensor 152 actually corresponds to the height of the floating body 110 floating on the surface instead of the water level, after subtracting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loating body 110, The water level can be obtained.

상기 카메라(153)는 상기 초음파센서(151)에 의해 선박이 감지되면 제어기(154)의 명령을 받고 감지된 선박을 촬영하여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제어기(154)에 전송한다. When the ship is detected by the ultrasonic sensor 151, the camera 153 receives a command of the controller 154, photographs the detected ship, and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data to the controller 154.

상기 제어기(154)는 상기 초음파센서(151), 수위센서(152) 및 카메라(153)와 연동하여 이들을 제어하면서 이들이 수집한 정보 혹은 데이터를 수신한다.The controller 154 works in conjunction with the ultrasonic sensor 151, the water level sensor 152, and the camera 153, and receives the information or data collected by the controller 154.

상기 통신모듈(155)은 상기 제어기(154)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받고 이를 외부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The communication module 155 receives data through the controller 154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outside.

이처럼 상기 모니터링 유닛(150)인 구비되면 정박된 선박에 대한 실시간 정보와 수위 정보를 외부에서 전송받고 확인할 수 있으므로 유지 및 관리에 편리한 장점이 있다.
As such, when the monitoring unit 150 is provided, real-time information and water level information on the anchored ship can be received and confirmed from the outside, which is convenient for maintenance and management.

계속해서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부유 타입 접안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같은 변형실시예는 배치방식의 변형과 고정체(130)의 변형에 대한 것이며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Subsequently, a configuration of a floating type eyepiece for a ship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uch a modified embodiment is for the deformation of the arrangement and the fixture 130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9는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부유 타입 접안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유체의 내부 구성도이다. 9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floating body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loating type eyepiece device for ships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변형실시예에서는 변형전 실시예와 비교하여 윈치(115)가 생략되고 고정풀리(114a), 이동풀리(114b), 탄성부재(113)에 이르는 배치가 부유체(110) 케이싱(111)의 단방향으로 이루어졌던 것에서 장방향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the first modified embodiment, the winch 115 is omitted in comparison with the pre-deformed embodiment, and the arrangement extending to the fixed pulley 114a, the moving pulley 114b, and the elastic member 113 is a floating body 110.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in the long direction from what was made in one direction of the casing (111).

이같은 배치형태는 변형전과 비교하여 탄성부재(113)의 길이가 긴 것으로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지지 케이블(120)에 대하여 동일한 장력을 부여하는 경우 탄성부재(113)의 설치개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보다 간단한 구성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arrangement can be ensured that the length of the elastic member 113 is longer than before deformation, when the same tension is applied to the support cable 120, the number of installation of the elastic member 113 can be reduced. It has the advantage of having a simple configura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부유 타입 접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따른 변형된 고정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ating type eyepiece for a ship according to a second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modified fixture according to a second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변형실시예에서는 지지 케이블(120)의 타단을 고정해주는 고정체(160)가 수중 지면에 단순 고정되는 콘크리트 블록 형태를 탈피하여 수중 지면에 삽입 및 제거가 용이한 말뚝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the second modified embodiment, the fixing body 160 for fixing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cable 120 escapes the concrete block form that is simply fixed to the underwater ground, so that it is easy to insert and remove it into the underwater groun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이를 위해 상기 고정체(160)는 내부가 중공인 원통형의 철재 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에는 그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유입공(161)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같은 유입공(161)이 구비되면 고정체(160)가 수중에 잠기는 초기부터 그 내부로 물이 유입되면서 고정체(160) 사용에 따른 부력의 발생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체(160) 사용으로 인한 부력으로 인해 부유체(110)에 대한 지지가 불안정해질 수 있는 염려가 전혀 없다. 만일, 상기 유입공(161)이 구비되지 않는다면 고정체(160)로 인해 많은 양의 물이 배제되면서 상당한 크기의 부력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무시하기 어려운 불안정성이 부유체(110) 및 선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To this end, the fixing body 160 is made of a cylindrical steel body having a hollow inside, the bod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let holes 161 to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When such an inlet hole 161 is provided,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xture 160 in the initial stage so that buoyancy due to the use of the fixture 160 is not generated. Therefore, there is no concern that the support for the floating body 110 may become unstable due to the buoyancy caused by the use of the fixture 160. If the inlet hole 161 is not provided, a large amount of buoyancy is generated due to the exclusion of a large amount of water due to the fixing body 160, and thus instability that is difficult to ignore affects the floating body 110 and the ship. Get mad.

한편, 상기 고정체(160)의 유입공(161)에는 물과 함께 유입되려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거름망(163)이 설치된다. 상기 거름망(163)은 물에 대하여 내식성을 갖는 소재로 구비되고, 토사를 포함하여 미세한 이물질도 걸러낼 수 있는 정도로 가능하면 촘촘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거름망(163)은 상기 고정체(160)의 내부에 대응하여 밀착되게 삽입될 수 있고 후에 필터처럼 간단히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원통 형태로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inlet hole 161 of the fixing body 160 is provided with a strainer 163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to be introduced with the water. The strainer 163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corrosion resistance against water, and is made as compact as possible to filter out fine foreign matter including soil. In addition, the sieve 163 is made of a cylindrical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fixing body 160, and can be easily replaced after use as a filter.

또한, 상기 고정체(160)의 하단부에는 수중 지면에 대하여 용이하게 박힐 수 있도록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뿔형 박힘부(160b)가 형성되는데, 상기 박힘부(160b)가 형성되기 시작하는 원주방향의 경계선(160c)에는 상하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요입된 형태로 형성된 수직 가이드홈(165)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 가이드홈(165)은 상기 경계선(160c)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 가이드홈(165)은 그 내측면(165a)이 유선형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 가이드홈(165)의 하단은 상기 박힘부(160b) 표면으로부터 급격히 요입된 형태의 단턱(165b)으로 형성된다. In addition,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body 160 is formed a conical nailing portion 160b which decreases in diameter toward the end so that it can be easily nailed against the grou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which the nailing portion 160b starts to form. The boundary line 160c is provided with a vertical guide groove 165 formed in a concave shape with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vertical guide groove 165 is continuously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boundary line 160c. In this case, the vertical guide groove 165 has an inner surface 165a having a streamlined curved surface, and a lower end of the vertical guide groove 165 is a stepped portion 165b that is sharply recessed from the surface of the nailing portion 160b. Is formed.

이처럼 수직 가이드홈(165)이 구비되면, 고정체(160)의 본체부(160a)와 박힘부(160b) 사이에 각진 형태로 형성된 경계선(160c)의 대부분이 제거되고 대신 유선형 내측면(165a)으로 대체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체(160)가 자중에 의하여 수중 지면에 박힐 때 발생되는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체(160)가 일단 수중 지면에 박히게 되면 상기 수직 가이드홈(165)의 하단에 형성된 단턱(165b)이 수중 지면의 토사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 박혀 있는 상태를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vertical guide groove 165 is provided as described above, most of the boundary line 160c formed in the angular form between the body portion 160a and the nailing portion 160b of the fixing body 160 is removed, and instead the streamlined inner surface 165a is provided. Since it is replaced by the fixture 160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resistance generated when the fixed body 160 is buried in the underwater ground by its own weight. And once the fixing body 160 is stuck to the ground underwater, the step 165b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guide groove 165 serves to hold the soil of the ground underwater stably without shaking the stuck state It can be maintain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modified and applied in the same manner.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110 : 부유체 111 : 케이싱
111a : 관통공 111b : 보호용 오링
112 : 부유물질 113 : 탄성부재
114a : 고정풀리 114 b : 이동풀리
114c : 보조풀리 115 : 윈치
120,120a,120b : 지지 케이블 130,160 : 고정체
150 : 모니터링 유닛 151 : 초음파센서
152 : 수위센서 153 : 카메라
154 : 제어기 155 : 통신모듈
110: floating body 111: casing
111a: through hole 111b: protective o-ring
112: suspended solids 113: elastic member
114a: fixed pulley 114 b: moving pulley
114c: auxiliary pulley 115: winch
120,120a, 120b: Support cable 130,160: Fixture
150: monitoring unit 151: ultrasonic sensor
152: water level sensor 153: camera
154 controller 155 communication module

Claims (9)

바다, 호수, 하천 등지의 수면에 부유하면서 선박의 측면을 접하여 지지해주는 부유체와;
상기 부유체의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부유체와 연결되고 타단이 수중 지면까지 드리워져 장력에 의해 부유체를 지지하여 균형을 잡아주는 복수의 지지 케이블과;
상기 지지 케이블의 타단을 수중 지면에 고정하는 고정체와;
상기 지지 케이블이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 케이블을 당겨서 관리하면서, 수위가 높아질 때 상기 부유체의 상승하는 힘에 의해 상기 지지 케이블이 당겨지면 상기 지지 케이블의 풀어짐을 허용하고 수위가 낮아져 상기 부유체가 하강할 때에는 풀어졌던 상기 지지 케이블을 회수하는 조절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절체는, 상기 부유체 내부에서 고정 설치된 고정풀리와; 상기 고정풀리에 대하여 이격된 위치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지지 케이블의 중간부위가 경유되도록 지지하면서 상기 고정풀리에 대하여 접근하면 상기 지지 케이블의 풀어짐을 허용하고 상기 고정풀리에 대하여 멀어지면 풀어졌던 상기 지지 케이블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한 이동풀리와; 상기 이동풀리가 상기 고정풀리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갖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부유 타입 접안장치.
A float that floats on the surface of the sea, a lake, a river, etc. and supports the side of the ship;
A plurality of support cables provid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loating body,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loating body and the other end is draped to the ground to support and balance the floating body by tension;
Fixing body for fixing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cable to the underwater ground;
While the support cable is pulled and managed by elastic force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support cable, when the support cable is pulled by the rising force of the floating body when the water level is high, the support cable is released and the water level is lowered. And a regulator for recovering the support cable that has been released when the float descends,
The regulator, and the fixed pulley fixedly installed in the floating body; Installed to be movabl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xed pulley to support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support cable while approaching the fixed pulley to allow the support cable to be released and to be released when it is moved away from the fixed pulley. A movable pulley for recovering the support cable; A floating type eyepiece for a ship,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member elastically supported so that the movable pulley has a tendency to move away from the fixed pulle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내부공간을 갖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일측부와 타측부에 진퇴 가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이 양측에서 당겨질 때 그에 반하는 힘으로 작용하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부유 타입 접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lastic member includes a cylinder having an inner space, a pair of pistons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back and forth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ylinder, and a compression spring acting as an opposite force when the piston is pulled from both sides. Floating type eyepiece for ship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는 상기 조절체가 내부에 설치되도록 설치공간을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외측 하부에 결합되어 수면에 대한 부력을 제공하는 부유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부유 타입 접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loating body is a floating type eyepiece device for a ship,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asing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so that the adjuster is installed inside, and a floating material coupled to the outer lower portion of the casing to provide buoyancy on the water surfa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의 케이싱 내부에는 상기 지지 케이블의 일단을 감거나 풀어주는 윈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부유 타입 접안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loating type eyepiece for ship,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ch for winding or unwinding one end of the support cable is installed in the casing of the floating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케이블은 좌측에서 2개 한조를 이루고, 우측에서 2개 한조를 이루며, 같은 조에 속한 지지 케이블 간에 서로 교차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부유 타입 접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Said supporting cable forms a pair of two on the left, two pairs on the right, the floating type eyepiece for a ship,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cross each other between the supporting cables belonging to the same grou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내부가 중공인 원통형의 철재 몸체로 이루어지되, 하단부는 수중 지면에 용이하게 박힐 수 있도록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뿔형 박힘부로 형성되고, 상기 박힘부가 형성되기 시작하는 경계선에는 상하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요입된 형태로 형성되되 그 내측면이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박힘작업시 수중 지면과의 마찰을 감소시켜주는 수직 가이드홈이 상기 경계선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부유 타입 접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ture is made of a cylindrical steel body with a hollow inside, the lower end is formed of a conical shaped portion that decreases in diameter toward the end so as to be easily embedded in the ground underwater, the boundary line in which the nailing portion begins to form up and down It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inner surface is formed in a streamlined vertical guide groove for reducing friction with the underwater ground during the nailing work, characterized in that continuously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boundary line Floating type eyepiece for ship.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몸체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유입공이 형성되되 그 유입공에는 물의 유입과 함께 유입되려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거름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부유 타입 접안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xed body is a floating type eyepiece device for a ship,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inlet holes are formed so that water can be introduced into the body, the inlet hole is provided with a strainer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to be introduced with the inlet of the w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에는 모니터링 유닛이 더 설치되며,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정박된 선박을 감지할 수 있도록 초음파를 발사하여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초음파를 수신하는 초음파센서와;
수위 측정을 위한 수위센서와;
상기 초음파센서에 의해 감지된 선박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와;
상기 초음파센서, 수위센서 및 카메라와 연동하여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받고 이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부유 타입 접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loat further includes a monitoring unit, the monitoring unit,
Ultrasonic sensor for receiving the ultrasonic wave is reflected back by firing the ultrasonic wave to detect the anchored vessel;
A water level sensor for measuring water level;
A camera capable of capturing the vessel detected by the ultrasonic sensor;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m in conjunction with the ultrasonic sensor, the water level sensor, and the camera;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data through the controller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outside.
KR1020110129069A 2011-12-05 2011-12-05 floating type docking apparatus for small craft KR1013109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069A KR101310915B1 (en) 2011-12-05 2011-12-05 floating type docking apparatus for small craft
PCT/KR2012/010444 WO2013085259A1 (en) 2011-12-05 2012-12-05 Buoyant berthing device for small ship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069A KR101310915B1 (en) 2011-12-05 2011-12-05 floating type docking apparatus for small craf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674A KR20130062674A (en) 2013-06-13
KR101310915B1 true KR101310915B1 (en) 2013-09-25

Family

ID=48574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069A KR101310915B1 (en) 2011-12-05 2011-12-05 floating type docking apparatus for small craf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10915B1 (en)
WO (1) WO2013085259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345B1 (en) 2018-07-27 2019-06-11 한림코퍼레이션(주) Berth facility using floating platform
KR102188615B1 (en) 2020-06-22 2020-12-08 윤형석 An elevating fixing type floating platform facilit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22306B (en) * 2020-04-08 2024-03-15 中铁第五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Intelligent berthing device, pontoon, intelligent berth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13607125B (en) * 2021-08-04 2023-06-09 中国电建集团昆明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tension of inverted vertical line and using method
CN116754739B (en) * 2023-08-18 2023-10-27 北京建工环境修复股份有限公司 Detection device for ecological environment treat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3885A (en) * 1996-01-17 1997-07-29 Zeniya Kaiyo Service Kk Mooring device for floating facilit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9880A (en) * 1992-09-17 1994-04-12 Tokyo Seiko Co Ltd Start station device for boat
JPH09202291A (en) * 1996-01-30 1997-08-0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Float sway reducing device
KR20090129003A (en) * 2008-06-12 2009-12-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Mooring apparatus for a floating structure using weigh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3885A (en) * 1996-01-17 1997-07-29 Zeniya Kaiyo Service Kk Mooring device for floating facilit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345B1 (en) 2018-07-27 2019-06-11 한림코퍼레이션(주) Berth facility using floating platform
KR102188615B1 (en) 2020-06-22 2020-12-08 윤형석 An elevating fixing type floating platform fac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85259A1 (en) 2013-06-13
KR20130062674A (en)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86406B2 (en) Floating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of floating structure
US10190568B2 (en) Wave energy converter
KR101310915B1 (en) floating type docking apparatus for small craft
CN103906988B (en) Ocean barrier gate
KR101505725B1 (en) Marine floating structures of self buoyancy control device
CA2900477C (en) Apparatus for mooring floater using submerged pontoon
RU2328589C2 (en) Protection device for deep flexible uprise pipeline
KR20120091816A (en) A mooring stabilizing system for floater and control method of it
KR101310918B1 (en) Floating body module for docking facilities and docking facilities with the same
KR101675527B1 (en) Pontoon having device for maintaining tension of anchor
CN105151239A (en) Shipboard supporting structure used for integrally dismounting offshore platform topside module by means of two boat flotage
CA3120231A1 (en) Buoy and installation method for the buoy
GB2231845A (en) Raising immersed bodies
KR102243564B1 (en) Blocking screen connection platform having float state switching function and floating garbage block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60119357A (en) Anchoring apparatus and floating offshore structure having the same
JP2012051555A (en) Device for salvaging marine or submarine engine
JP2010255310A (en) Roof gate type breakwater
JP6884311B2 (en) How to lay
KR101422502B1 (en) Mooring facilities for floating structure or ship
KR101629849B1 (en) Seebed Mooring Device Collection Apparatus
US11485454B1 (en) Apparatus and method to confirm anchor holding status
KR20200046254A (en) Davit apparatus
RU144771U1 (en) DEVICE FOR MARINE SEISMO-ACOUSTIC EXPLORATION
CN216339336U (en) Floating type ship intercepting device
NO316465B1 (en) Loading system for hydrocarbon transf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7